KR20090110714A - 기판조립체 - Google Patents

기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714A
KR20090110714A KR1020080036351A KR20080036351A KR20090110714A KR 20090110714 A KR20090110714 A KR 20090110714A KR 1020080036351 A KR1020080036351 A KR 1020080036351A KR 20080036351 A KR20080036351 A KR 20080036351A KR 20090110714 A KR20090110714 A KR 2009011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or
circuit
fr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5056B1 (ko
Inventor
신은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05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조립체(10)는 한 쌍의 회로기판(11)과 상기 회로기판(11)의 사이에 구비되는 센터보드(30)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보드(30)에는 상기 회로기판(11)에 연결되는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부(41)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부(41)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와 상기 회로기판(11)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터미널(T")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센터보드(30)에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부(41)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대커넥터와 상기 회로기판(11)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구성이 단순해 지고 별도의 커넥터를 설치하는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기판조립체, 회로기판, 센터보드, 커넥터부

Description

기판조립체{PCB assembly}
본 발명은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을 적층되도록 조립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회로기판은 집적 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실장되는 얇은 판이다.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전기적 부품들은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여 회로기판이 채용되는 전자기기의 구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로기판은 전자기기의 기능이 다양화 복잡화되면서, 복수개의 회로기판이 적층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조립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기판조립체(1)는 2개의 회로기판(3)이 센터보드(5)를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회로기판(3)에는 회로를 형성하는 회로패턴(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회로기판(3)에는 상기 회로기판(3)에 설치되는 전장품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T)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회로기판(3)의 사이에는 센터보드(5)가 구비된다. 상기 센터보드(5)는 상기 회로기판(3)에 실장된 부품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회로기판(3)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로기판(3)에는 다수개의 커넥터(C)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로기판(3)의 외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하여 상대커넥터와 상기 회로기판(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로기판(3)의 일측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점프공(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점프공(3')은 상기 회로기판(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점프터미널(T')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점프공(3')에 상기 점프터미널(T')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로기판(3)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C)에 의해 상기 기판조립체(1)의 외관 부피가 커지게 되고 그만큼 상기 기판조립체(1)가 사용되는 제품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대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의 상기 커넥터(C)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져 제품의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작업공수 또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커넥터가 설치되는 커넥터부가 센터보드에 일체로 구비되는 기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로패턴이 구비되고, 전장품들이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일측에 상대커넥터가 설치되는 커넥터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는 센터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부는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커넥터수용실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수용실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 내부의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는 연결터미널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터미널은 그 일부는 일측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나머지는 타측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센터보드의 골격은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창이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넥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가 돌출 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상기 한 쌍의 회로기판의 상대위치를 설정해주는 위치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가이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모서리가이드와,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사이드가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은 점프터미널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터보드는 상기 회로기판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서 상기 점프터미널이 설치되는 점프공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센터보드보다 돌출되게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의 관통창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강도를 보완해주는 보강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터미널은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센터보드에 결합될 때, 탄성변형되고,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점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기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센터보드에 커넥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커넥터가 구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판조립체의 두께가 얇아져 제품이 경박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별도의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따라서, 제품의 조립공정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그만큼 제품의 생산비용이 줄어들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커넥터부의 연결터미널 중 일부가 일측의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나머지는 타측의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점프터미널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어,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역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보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기판조립체(10)는 크게 한 쌍의 회로기판(11)과 센터보드(30)로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1)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상기 회로기판(11)에는 회로패턴(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회로기판(11)에는 반도체소자 및 릴레이와 같은 전장품(13)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11)에는 터미널(T)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T)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11)의 회로패턴과 연결되어 상기 회로패턴과 상기 회로기판(11)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로기판(1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점프공(15)이 그 둘레를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점프공(15)은 후술할 점프터미널(T')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로기판(11)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공(17)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7)은 나사와 같은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공(17)을 통해 후술할 센터보드(30)의 결합부(43)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11)과 센터보드(30)를 함께 고정시킨다.
상기 회로기판(11)의 중앙부분에는 후술할 센터보드(30)의 삽입돌기(4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홀(19)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9)은 삽입돌기(47')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19)에 삽입돌기(47')가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11)의 상대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회로기판(11)의 점프공(15)에는 점프터미널(T')이 결합된다. 상기 점프터미널(T')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로기판(1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즉, 상기 회로기판(11)이 후술할 센터보드(3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후에 상기 회로기판(11)의 점프공(15)을 통해 상기 점프터미널(T')이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11)에서 후술할 센터보드(30)의 커넥터부(4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공(2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은 커넥터부(41)에 설치되는 연결터미널(T")의 일단이 통과하여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한 쌍의 회로기판(11)의 사이에는 센터보드(30)가 구비된다. 상기 센터보드(3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11) 각각에 설치된 부품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로기판(11)을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터보드(30)의 골격은 프레임(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1)은 그 내부가 관통된 사각틀 형상으로 그 내부에 관통창(31')이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프레임(31)은 상기 회로기판(11) 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11)에서 상기 점프공(15)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센터보드(30)보다 돌출되게 결합된다. 이는 상기 회로기판(11)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점프터미널(T')이 설치되는 부분이 센터보드(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점프터미널(T')은 상기 점프공(15)에 설치된 후에 솔더링되는데 이때, 점프터미널(T')이 구비된 일단을 납조(Solder pot)에 담가서 솔더링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터보드(30)가 납조에 담그어지면 고온의 납에 의해 상기 센터보드(3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센터보드(30)보다 상기 회로기판(11)이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프레임(31)의 가장자리에는 지지가이드(33)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가이드(33)는 상기 프레임(31)의 상면 및 하면 가장자리에 양쪽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가이드(33)는 상기 회로기판(11)의 일면에 각각 접하여 상기 회로기판(11)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가이드(33)는 상기 프레임(31)을 둘러 다수개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통기부(35)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부(35)는 상기 회로기판(1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센터보드(30)의 중량을 줄여 재료를 절감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기부(35)의 위치 및 크기는 설치되는 회로기판(11)의 사양 및 형상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31)에는 위치가이드(37,39)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가이드(37,39)는 상기 회로기판(11)의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상기 회로기판(11) 사이의 상대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가이드(37,39)는 모서리가이드(37) 및 사이드가이드(39)로 구분된다.
상기 모서리가이드(37)는 상기 프레임(31)의 모서리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11)의 일측모서리와 대응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가이드(37)는 상기 지지가이드(33)와 동일하게 상기 프레임(31)의 두께방향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가이드(37)는 상기 회로기판(11)의 모서리 부분에 접하여 상기 회로기판(11)의 상대위치가 정확히 되도록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가이드(39)는 상기 모서리가이드(37)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가이드(39)는 상기 회로기판(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회로기판(11)의 상대위치를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서리가이드(37) 및 사이드가이드(39)의 위치 및 형상은 상기 회로기판(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31)에는 커넥터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부(41)는 상기 기판조립체(1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 터부(41)는 대략 일측이 개구되고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커넥터수용실(41')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수용실(41')의 내부에는 연결터미널(T")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터미널(T")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11)의 회로패턴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상대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터미널(T")은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아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커넥터수용실(41')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 타단이 상기 프레임(31)의 관통창(31') 내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터미널(T")에서 상기 관통창(31') 내에 위치한 선단은 상기 회로기판(11)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11)의 관통공(21)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11)의 외면으로 돌출된 후에 솔더링되어 고정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터미널(T")은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41)에 설치된 연결터미널(T")은 그 일부가 일측 상기 회로기판(11)에 연결되고, 나머지는 타측 회로기판(11)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연결터미널(T")을 통해 상기 한 쌍의 회로기판(1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점프터미널(T')이 사용되는 개수를 줄이거나 상기 점프터미널(T')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회로기판(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프레임(31)의 모서리 부분에는 결합부(43)가 구비된 다. 상기 결합부(43)는 상기 회로기판(11)과 상기 센터보드(30)를 고정시키는 체결구(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43)에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결합공(4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1)의 관통창(31')에는 보강리브(45)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45)는 그 양단이 상기 관통창(31')의 내면에 각각 지지된 바아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31)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리브(45)가 상기 관통창(31')의 중앙을 중심으로 격자형상이 되도록 구비되는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십자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리브(45)에서 서로 교차하는 정중앙 부분에는 센터가이드(47)가 구비된다. 상기 센터가이드(47)는 상기 지지가이드(33)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센터가이드(47)는 상기 회로기판(11)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터가이드(47)의 상단에는 삽입돌기(4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47')는 상기 회로기판(11)의 가이드홀(19)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가이드(37,39)와 함께 상기 회로기판(11)의 상대위치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기판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각각의 회로기판(11)에 터미널(T) 및 전장품(13)들을 조립한다. 상기 회로기판(11)의 조립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한 쌍의 회로기판(11)에 센터보드(3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1)의 사이에 상기 센터보드(30)가 위치하도록 한 후에, 상기 센터보드(30)의 모서리가이드(37) 및 사이드가이드(39)에 상기 회로기판(11)이 접하도록 맞추고 동시에 상기 센터보드(30)의 삽입돌기(47')가 상기 회로기판(11)의 가이드홀(19)에 삽입되도록 맞추어 결합한다. 또한, 커넥터부(41)의 연결터미널(T")이 각각에 해당하는 회로기판(11)의 관통공(21)을 정확히 통과하도록 잘 맞추어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체결구를 상기 회로기판(11)의 체결공(17)을 통해 상기 센터보드(30)의 결합부(43)에 결합시켜 상기 회로기판(11)과 상기 센터보드(30)를 고정시키고, 점프터미널(T')을 상기 회로기판(11)의 점프공(15)에 결합시킨다.
상기 점프터미널(T')이 결합되면 작업자는 상기 점프터미널(T') 및 상기 연결터미널(T")을 솔더링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부(41)에 각각에 해당하는 상대커넥터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부(41)가 상기 센터보드(3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상대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커넥터를 설치하는 작업공정이 필요없게 되고, 그만큼 부품수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41)의 연결터미널(T")은 그 일부가 일측의 회로기판(11)에 연결되고, 나머지가 타측의 회로기판(11)에 연결되므로, 점프터미널(T')의 역할을 상기 연결터미널(T")이 대신 할 수 있어, 사용되는 점프터미널(T')의 개수가 줄어든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터미널(T")이 상기 회로기판(11)의 관통공(21)을 통과하여 솔더링되었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연결터미널(T")을 다수회 절곡성형하여 상기 연결터미널(T")이 상기 회로기판(11)의 결합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상기 회로기판(11)을 상기 센터보드(30)에 결합시킬 때, 상기 연결터미널(T")이 탄성변형되고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11)에 접점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터미널(T")이 상기 회로기판(11)의 관통공(21)에 압입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터미널(T")을 고정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터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조립체 11 : 회로기판
13 : 전장품 15 : 점프공
17 : 체결공 19 : 가이드홀
21 : 관통공 30 : 센터보드
31 : 프레임 33 : 지지가이드
35 : 통기부 37 : 모서리가이드
39 : 사이드가이드 41 : 커넥터부
41': 커넥터수용실 43 : 결합부
43': 결합공 45 : 보강리브
47 : 센터가이드 47': 삽입돌기
T : 터미널 T': 점프터미널
T": 연결터미널

Claims (8)

  1. 회로패턴이 구비되고, 전장품들이 설치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일측에 상대커넥터가 설치되는 커넥터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부가 구비되는 센터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판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커넥터수용실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수용실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 내부의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는 연결터미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터미널은 그 일부는 일측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나머지는 타측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보드의 골격은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창이 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넥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가이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상기 한 쌍의 회로기판의 상대위치를 설정해주는 위치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이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모서리가이드와,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사이드가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점프터미널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터보드는 상기 회로기판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서 상기 점프터미널이 설치되는 점프공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센터보드보다 돌출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관통창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강도를 보완해주는 보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터미널은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센터보드에 결합될 때, 탄성변형되고,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접점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조립체.
KR1020080036351A 2008-04-18 2008-04-18 기판조립체 KR10095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51A KR100955056B1 (ko) 2008-04-18 2008-04-18 기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51A KR100955056B1 (ko) 2008-04-18 2008-04-18 기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14A true KR20090110714A (ko) 2009-10-22
KR100955056B1 KR100955056B1 (ko) 2010-04-28

Family

ID=4153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51A KR100955056B1 (ko) 2008-04-18 2008-04-18 기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843A (ko) * 2010-08-24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정션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736B1 (ko) 2010-10-25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절곡형 인쇄회로기판용 센터보드
KR101146497B1 (ko) 2010-10-27 2012-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기판블록
US9179560B2 (en) 2010-10-25 2015-11-03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Board block for vehicles
KR20160114465A (ko) 2015-03-24 2016-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회로기판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차량용 블록 및 그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57Y1 (ko) * 2001-01-16 2001-06-15 홍순범 연결단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적층 정션박스
KR200400294Y1 (ko) 2005-08-24 2005-11-04 주식회사 아시아 정션박스용 인쇄회로기판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843A (ko) * 2010-08-24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정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5056B1 (ko) 201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5662B2 (ja) 電気接続箱
KR100955056B1 (ko) 기판조립체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US9129734B2 (en) Magnetic module and base thereof
JP2013168324A (ja) コネクタ
US20230363095A1 (en) Housing for an electronic circuit which is arrang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9942988B2 (en) Circuit board and power supply apparatus
JP6024428B2 (ja) 保持部材及びコネクタ
JP6256675B2 (ja) ピンヘッダ
JP2016201506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H11288751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への端子の取付構造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4016B1 (ko) 기판조립체
JP2017208273A (ja) 電子装置
JP5381617B2 (ja) 電気接続箱
CN112470555B (zh) 电子控制装置
JPH08186339A (ja) 配線基板
KR100804261B1 (ko) 기판실장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2014203716A (ja)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N210838170U (zh) 插拔连接器、电路板装置和电路板连接装置
KR100741543B1 (ko) 기판의 휨방지 가조립구조
KR100850031B1 (ko) 자동차용 카오디오 커넥터
KR20180005000A (ko) 기판조립체용 언더커버
KR102234997B1 (ko) 커넥터
KR20042908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