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9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97B1
KR102234997B1 KR1020160028621A KR20160028621A KR102234997B1 KR 102234997 B1 KR102234997 B1 KR 102234997B1 KR 1020160028621 A KR1020160028621 A KR 1020160028621A KR 20160028621 A KR20160028621 A KR 20160028621A KR 102234997 B1 KR102234997 B1 KR 10223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ontact
insulating part
mount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713A (ko
Inventor
신현태
이선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9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 상기 대상물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들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 배터리 등과 같은 대상물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기판, 배터리 등의 부품(이하, '대상물'이라 함)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 및 대상물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0)는 대상물(200)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110), 및 상기 컨택트(110)가 설치되는 절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110)는 일측이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고, 타측이 상기 절연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대상물(200)은 상기 컨택트(110)의 상측에서 상기 절연부(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110)는 상기 대상물(200)의 하측에서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대상물(200)을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컨택트(100)는 상기 컨택트(110)가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 쪽에서만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므로,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빈번하게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대상물 및 컨택트 간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대상물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 상기 대상물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대상물에 대해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대상물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상물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대상물에 작용하는 삽입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대상물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 및 대상물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및 제2컨택트가 절연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가 절연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가 대상물에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들이 대상물에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들이 대상물에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가 절연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가 대상물에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들이 대상물에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및 제2컨택트가 대상물에 접속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들 및 제2컨택트들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들 및 제2컨택트들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 및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대상물(2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기판, 또는 배터리(Battery)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대상물(20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21)을 갖는 절연부(2),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컨택트(4)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물(200)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고,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된다.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은,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대해 반대되는 면(面)이다. 즉,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대상물(200)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접속된다. 상기 대상물(200)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대상물(200)에 대해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200)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양면에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 쪽에서만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폭을 감소시키면서 동일한 접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보다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절연부(2),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을 지지한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면서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삽입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절연부(2)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에 의해, 상기 절연부(2)에는 내벽(2a,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2a)은 상기 삽입홈(2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200)은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200)은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1)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대상물(200)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2)는 복수개의 제1결합홈(22, 도 5에 도시됨), 및 복수개의 제2결합홈(23,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2)들은 상기 내벽(2a)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결합홈(22)들은 상기 내벽(2a) 중에서 상기 삽입홈(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벽(2b)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상기 제1결합홈(22)들에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상기 제1결합홈(22)들 각각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2)들 사이에 위치한 상부벽(2b)은, 상기 제1컨택트(3)들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3)들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상기 제1결합홈(22)들 각각에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23)들은 상기 내벽(2a)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결합홈(23)들은 상기 내벽(2a) 중에서 상기 삽입홈(2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벽(2c)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2결합홈(23)들에 삽입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2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2결합홈(23)들 각각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23)들 사이에 위치한 하부벽(2c)은, 상기 제2컨택트(4)들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4)들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2결합홈(23)들 각각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2)들 및 상기 제2결합홈(23)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홈(22)들에 삽입된 상기 제1컨택트(3)들과 상기 제2결합홈(23)들에 삽입된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대상물(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대상물(200)을 가압함으로써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대상물(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컨택트(3)들은 상기 대상물(2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접속된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제1컨택트(3)들 중에서 하나의 제1컨택트(3)를 예시로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접속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어서 상기 대상물(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접속부재(31)가 상기 삽입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굽힙(Bending) 가공을 통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실장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3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실장부재(32)는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실장부재(32)가 상기 절연부(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고정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33)는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재(33)는 상기 제1결합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1고정부재(33)가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33)는 상기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1실장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연결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34)는 상기 제1실장부재(32) 및 상기 제1접속부재(3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34)는 일측이 상기 제1실장부재(3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34)는 상기 제1실장부재(32)가 기판에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1접속부재(31)가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32) 및 상기 제1고정부재(3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가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32)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34)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실장부재(32) 및 상기 제1고정부재(33)가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은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서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컨택트(4, 도 4에 도시됨)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경사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상기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1고정부재(33)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일측이 상기 제1접속부재(3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제1접속부재(31)가 상기 삽입홈(21)에서 상기 절연부(2)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제조 공차 허용치를 늘림으로써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불량률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31)가 상기 제1경사부재(35)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일면(21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4에 도시됨)을 향할수록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부분일수록 더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에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제1접속부재(31)에서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는 부분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상기 제1접속부재(31)에서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는 부분이 더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대상물(200)에 대한 접속력 및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상면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 및 상기 제1고정부재(33)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351)은 둔각(鈍角)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재(35), 상기 제1연결부재(34), 상기 제1고정부재(33), 상기 제1실장부재(32), 및 상기 제1접속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3)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기 제1경사부재(35), 상기 제1연결부재(34), 상기 제1고정부재(33), 상기 제1실장부재(32), 및 상기 제1접속부재(3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211, 도 9에 도시됨)들의 길이를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2컨택트(4, 도 4에 도시됨)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에 접속되므로,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이 모두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 쪽에서만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이 더 넓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서로 간에 간섭되는 정도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접속단자(211)들은 상기 제1컨택트(3)들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1접속단자(211)들 간에 접속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 줄임으로써,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3)의 제1경사부재(3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경사부재(35) 및 상기 제2경사부재(45)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재(35) 및 상기 제2경사부재(45)는, 상기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 각각에 동일한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대상물(200)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에 접속된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상기 제2컨택트(4)들 중에서 하나의 제2컨택트(4)를 예시로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접속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어서 상기 대상물(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삽입홈(2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굽힙 가공을 통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실장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3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실장부재(32)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실장부재(42)가 상기 절연부(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고정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3)는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43)는 상기 제2결합홈(23)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상기 제2고정부재(43)가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3)는 상기 제2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연결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제2실장부재(42)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일측이 상기 제2실장부재(42)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제2실장부재(42)가 기판에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실장부재(42) 및 상기 제2고정부재(4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제2실장부재(42)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실장부재(42) 및 상기 제2고정부재(43)가 서로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3, 도 4에 도시됨)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홈(2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경사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재(45)는 상기 제2접속부재(41) 및 상기 제2고정부재(43)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경사부재(45)는 일측이 상기 제2접속부재(4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재(45)는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삽입홈(21)에서 상기 절연부(2)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제조 공차 허용치를 더 늘림으로써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불량률을 더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2접속부재(41)가 상기 제2경사부재(45)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타면(220, 도 4에 도시됨)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재(45)는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대상물(200, 도 4에 도시됨)의 하면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재(45) 및 상기 제2고정부재(43) 사이의 끼인각(451)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재(45), 상기 제2연결부재(44), 상기 제2고정부재(43), 상기 제2실장부재(42),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4)는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기 제2경사부재(45), 상기 제2연결부재(44), 상기 제2고정부재(43), 상기 제2실장부재(42),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221, 도 14에 도시됨)들의 길이를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4)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1컨택트(3, 도 4에 도시됨)들이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접속되므로, 상기 제2컨택트(4)들 및 상기 제1컨택트(3)들이 모두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 쪽에서만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2컨택트(4)들 및 상기 제1컨택트(3)들이 더 넓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서로 간에 간섭되는 정도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접속단자(221)들은 상기 제2컨택트(4)들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제2컨택트(4)들 및 상기 제2접속단자(221)들 간에 접속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 줄임으로써,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3)는 제1위치(P1, 도 14에 도시됨)에서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에 접속되고, 상기 제2컨택트(4)는 제2위치(P2, 도 14에 도시됨)에서 상기 대상물(200)의 타면(220)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위치(P2)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P1)로부터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대상물(200)이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200)에 작용하는 삽입력을 상기 제1컨택트(3) 및 상기 제2컨택트(4) 각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대상물(200)을 상기 삽입홈(21)에 삽입시켜서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에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위치(P2)는 상기 제1위치(P1)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된 위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제2실장부재(4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제1실장부재(3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1접속부재(31)와 중첩(重疊)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택트(3)의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컨택트(4)의 제2접속부재(41)는 서로 동일한 길이(31L, 41L)를 갖도록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경사부재(35) 및 상기 제2경사부재(45)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경사부재(35)의 길이(35L) 및 상기 제2경사부재(45)의 길이(45L)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재(35) 및 상기 제2경사부재(45)는 상기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 각각에 동일한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 및 타면(220)에서 동일한 접속 면적을 갖도록 상기 대상물(20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3)의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컨택트(4)의 제2접속부재(41) 각각이 상기 대상물(200)의 일면(210) 및 타면(220)에 접속되는 접속력에 대한 편차를 줄임으로써, 상기 대상물(200)에 대한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3)의 제1경사부재(35)와 제1고정부재(33) 사이의 끼인각(351), 및 상기 제2컨택트(4)의 제2경사부재(45)와 제2고정부재(43) 사이의 끼인각(451)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대상물(200)의 특성에 따른 일면 및 타면에 필요한 접속력의 편차를 반영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31) 및 상기 제2접속부재(41)는 서로 다른 길이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35) 및 상기 제2연결부재(45)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3)들이 갖는 제1연결부재(34)들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컨택트(4)들이 갖는 제2연결부재(44)들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1실장부재(32)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접속부재(31, 도 4에 도시됨)들이 상기 제2접속부재(41, 도 4에 도시됨)들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 도 4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1실장부재(32)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들이 상기 절연부(2)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들 및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실장부재(32)들이 상기 절연부(2)로부터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실장부재(42)들은 상기 절연부(2)로부터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32)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된 후에도, 상기 제1실장부재(32)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들 모두에 대한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실장부재(42)들 및 상기 제1실장부재(32)들이 상기 절연부(2)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면, 상기 제2실장부재(42)들 및 상기 제1실장부재(32)들이 서로를 가리지 않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된 후에도, 상기 제1실장부재(41)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42)들 모두에 대한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컨택트(4)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31)들 각각에 중첩(重疊)되도록 상기 절연부(2, 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크기가 더 감소되어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는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3)가 각각 6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3)는 각각 7개 이상씩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트(4) 및 상기 제1컨택트(3)는 서로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서 상기 제1컨택트(3)에 표시된 사선은 상기 제2컨택트(4)와의 구별을 위해 표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커버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절연부(2)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버부(5)는 SUS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절연부(2)가 손상 내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부(2)를 보호하는 기능, 및 접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커버부(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좌측에서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는 커버부(5) 및 우측에서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는 커버부(5)는 위치를 바꾸더라도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부(5)는 X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중심으로 면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2)에 상기 커버부(5)를 결합시키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커넥터 2 : 절연부
3 : 제1컨택트 4 : 제2컨택트
5 : 커버부 21 : 삽입홈
22 : 제1결합홈 23 : 제2결합홈
31 : 제1접속부재 32 : 제1실장부재
33 : 제1고정부재 34 : 제1연결부재
35 : 제1경사부재 41 : 제2접속부재
42 : 제2실장부재 43 : 제2고정부재
44 : 제2연결부재 45 : 제2경사부재

Claims (12)

  1. 대상물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
    상기 대상물 및 상기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 및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들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제1위치에서 상기 대상물의 일면에 접속되며,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격된 제2위치에서 상기 대상물의 타면에 접속되되,
    상기 제2실장부재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2접속부재는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기 삽입방향에 반대되는 분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제1접속부재와 중첩(重疊)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 및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속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장부재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들은 상기 절연부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실장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2실장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들은 상기 제1실장부재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접속부재들이 상기 제2접속부재들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들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절연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부재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들이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절연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절연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부재들은 상기 제2접속부재들이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절연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절연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절연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부재 및 상기 제2경사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사이의 끼인각, 및 상기 제2경사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사이의 끼인각은, 서로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절연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절연부에 고정되기 위한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접속 면적을 갖도록 상기 대상물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제1컨택트들이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컨택트들이 결합되기 위한 복수개의 제2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들 및 상기 제2결합홈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들 각각에 중첩(重疊)되도록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028621A 2016-03-10 2016-03-10 커넥터 KR10223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21A KR102234997B1 (ko) 2016-03-10 2016-03-10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21A KR102234997B1 (ko) 2016-03-10 2016-03-10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713A KR20170105713A (ko) 2017-09-20
KR102234997B1 true KR102234997B1 (ko) 2021-03-31

Family

ID=6003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621A KR102234997B1 (ko) 2016-03-10 2016-03-10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5795A (ja) * 2012-08-07 2014-02-24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3948B2 (ja) * 1994-07-29 2002-07-2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100811910B1 (ko) * 2004-12-22 2008-03-10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5795A (ja) * 2012-08-07 2014-02-24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713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4119B (zh) 基板連接用電連接器
TWI625011B (zh) 基板連接用電連接器裝置
TWI624114B (zh) 基板連接用電連接器
US9281594B2 (en) Connector
TWI523344B (zh) 電連接器組合
KR20200005646A (ko) 전기 커넥터 장치
JP2002093502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882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e a grounding terminal with a tongue for improving mechanical stability
KR20160080636A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US1121791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cessed opening for accommodating increased elastic arm length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KR10243092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15046371A (ja) コネクタ
KR102234997B1 (ko) 커넥터
JP5736227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US20130157518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2536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12993B1 (ko) 커넥터
JP2013125581A (ja) 電気コネクタ
US902279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leeve assembled thereon
KR102566675B1 (ko) 커넥터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TWM557470U (zh) 高頻連接器
US11984689B2 (en) Conductive housing for connector and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2633838B1 (ko) 플로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