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646A - 전기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646A
KR20200005646A KR1020197036618A KR20197036618A KR20200005646A KR 20200005646 A KR20200005646 A KR 20200005646A KR 1020197036618 A KR1020197036618 A KR 1020197036618A KR 20197036618 A KR20197036618 A KR 20197036618A KR 20200005646 A KR20200005646 A KR 20200005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dth direction
shield shell
boar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783B1 (ko
Inventor
다케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콘택트 부재의 외방 위치에 쉴드 쉘을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제1 커넥터(10)의 제1 콘택트 부재(13)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에 배치한 제1 쉴드 쉘(12a)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에 그라운드 접속부(12d)를 돌출시키는데 즈음하여, 양쪽 커넥터(10, 20)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접속부(12d)의 내방 단면(12d3)을 제2 쉴드 쉘(22)의 판폭 t의 범위 내에 배치함으로써, 제1 쉴드 쉘(12)을 그라운드 접속부(12d)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배치하고, 양쪽 커넥터(10, 20)의 감합시에, 제1 쉴드 쉘(12a)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에 배치되는 제2 쉴드 쉘(22)을 종래보다 커넥터 내방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스태킹(stacking) 커넥터 등으로 불리는 기판 접속용의 전기 커넥터 장치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 배선 기판이 연결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의 상방에, 제2 배선 기판이 연결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러한 상하의 대향 상태로부터, 상방측의 제2 커넥터가, 하방측의 제1 커넥터를 향해 하강되도록 하여 밀어넣어져 가고, 이에 따라 양쪽 전기 커넥터끼리를 감합 상태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배선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특히 근년의 전송 신호의 고주파화에 수반하여, 이른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고,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전자기 차폐용의 쉴드 쉘(shield shell)을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신호 전송용의 콘택트 부재의 외방에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신호 전송용의 콘택트 부재가 접속되는 신호 도전로와, 쉴드 쉘의 기판 접속부가 접속되는 그라운드(ground) 도전로와의 사이에는, 스파크(spark)의 발생이나 땜납재에 의한 단락을 회피하기 위한 간격을 커넥터 폭 방향으로 설치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아래와 같은 특허 문헌 1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장치에서는, 쉴드 쉘의 기판 접속부가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을 향해 끼워넣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쉴드 쉘의 기판 접속부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도전로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쉴드 쉘이 장출(張出)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한편, 근년에 있어서는, 전송 신호의 다극화가 진행되는데 수반하여, 전기 커넥터 장치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장척화(長尺化)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장척 형상을 이루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쉴드 쉘은,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재(延在)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휨이나 변형을 일으키기 쉽게 되어 있어 예정된 쉴드(shield) 기능이나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일본국 특허 제 611741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contact)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쉴드 쉘을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가 있도록 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배선 기판의 주면(主面)에 각각 실장된 상태에서, 감합 상태로 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에 설치된 절연성을 가지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각각에, 신호 접속용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와, 이들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에 대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상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판폭(板幅)을 가지는 도전성의 제1 및 제2 쉴드 쉘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쉴드 쉘에 설치된 제1 및 제2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제1 및 제2 그라운드용 도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쉴드 쉘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과, 상기 제2 쉴드 쉘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 단면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서로 중합되는 관계로 되는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제1 쉴드 쉘의 상기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기판 접속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 단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쉴드 쉘의 상기 판폭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제1 쉴드 쉘이, 제1 기판 접속부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제1 쉴드 쉘의 외방에 배치되는 제2 쉴드 쉘이, 종래보다 커넥터 내방에 배치되게 되어, 제1 쉴드 쉘의 제1 기판 접속부와 제1 콘택트 부재의 신호 접속부와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면서,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형화 된다.
또,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1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제1 쉴드 쉘의 상기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장출하는 단차부와, 그 단차부로부터 상기 제1 배선 기판의 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접속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제1 기판 접속부의 접속편부가 제1 배선 기판의 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분만큼, 제1 쉴드 쉘의 전체가 제1 배선 기판의 주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제1 쉴드 쉘의 내방에 배치된 제1 콘택트 부재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에 대해서, 제1 쉴드 쉘이 간섭하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제1 쉴드 쉘을 신호 전송용 도전로에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제1 쉴드 쉘의 제1 기판 접속부가 접속되는 그라운드용 도전로를 제1 콘택트 부재가 접속되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가까이 함으로써,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관련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1 기판 접속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을 상기 제1 쉴드 쉘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으로 이간시키는 공극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4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공극부를 통해 제1 콘택트 부재의 접속 상태 등의 관찰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공극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이 매우 적합한 상태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5에 관련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가, 커넥터 폭 방향과 직교하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어 복수 배치된 것으로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접속부가, 인접하는 상기 제1 콘택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6에 관련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제1 및 제2 신호 전송용 도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전송용 도전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용 도전로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7에 관련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1 쉴드 쉘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2 쉴드 쉘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판스프링편(plate spring piece)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청구항 8에 관련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쉴드 쉘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쉴드 쉘에 있어서의 연재 방향의 양단부의 사이 부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에 고정되는 계합편(係合片)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8에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제1 쉴드 쉘이, 계합편을 통해 제1 하우징에 강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제1 쉴드 쉘의 변형의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공극부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안정적인 쉴드 기능이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련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는,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쉴드 쉘을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상하 반전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 중의 VI-V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 중의 VII-VI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4 중의 VIII-VII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도 8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도 9에 나타난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측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0~도 1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0~도 1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2 중의 XV-XV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2 중의 XVI-XVI선을 따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0~도 1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를 제2 커넥터를 위로 하여 감합시킨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상하 반전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난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1 중의 XXIII-XXIII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1 중의 XXIV-XXIV선을 따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횡단면 설명도이다.
도 25는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배선 기판의 구조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도 26은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되는 배선 기판의 구조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구조에 대해]
도 1~도 2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 혹은 테블릿형(tablet type)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기기 내에 배치된 배선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이용되는 것으로서, 도 1~도 9에 나타난 제1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도 10~도 17에 나타난 제2 커넥터로서의 플러그(plug) 커넥터(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가,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나 있는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 상에 땜납 접합 등에 의해 실장됨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가,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나 있는 제2 배선 기판 P2의 주면 상에 땜납 접합 등에 의해 실장되고, 그 실장 상태로 된 제1 및 제2로 이루어지는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서로의 배선 기판의 주면끼리가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나서 감합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상술한 제1 및 제2 배선 기판 P1, P2가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를 통해 전기적인 접속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와의 감합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그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 위치에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상방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20)가 배치된 상하의 대면 상태로부터,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20)가 하방향으로 밀어넣어짐으로써, 도 18~도 24에 나타나 있듯이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 상태로 된다.
또, 상술한 것 같은 감합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가 상방을 향해 적당한 힘으로 끌어 올려짐으로써, 하방의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0)가 상방으로 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를 감합 및 발거하는 조작은, 작업자의 손으로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치구나 기계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 및 발거를 행하는데 즈음해서는, 하방에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대해서, 상방에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가 상하 반전된 상태로 대향 배치되게 되지만, 그 상하를 반전된 상태로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20) 단체의 설명을 행하는데 즈음해서는, 반전 전의 상태, 즉 하방에 배치된 제2 배선 기판 P2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20)를 상방으로부터 실장한 상태로 설명한다.
이러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는, 각각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재하는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은, 절연성의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몰드 성형된 것이지만, 당해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의 긴 방향을 따라, 신호 접속용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제1 콘택트 부재(13) 및 제2 콘택트 부재(23)가, 소정의 피치(pitch)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제1 콘택트 부재(13) 및 제2 콘택트 부재(23)의 배열 방향인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의 긴 방향을 이하에 있어서 「커넥터 길이 방향」이라고 부르고, 그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 방향을 「커넥터 폭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이들 각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은, 특히 도 9 및 도 17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의 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기단부(11a, 11a) 및 기단부(21a, 2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있어서는, 상기 기단부(11a, 11a)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끼리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건너지르도록 하여 중앙 볼록부(11b)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있어서는, 상기 기단부(21a, 21a)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끼리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건너지르도록 하여 중앙 오목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의 기단부(11a, 11a) 및 기단부(21a, 21a)는, 중앙 볼록부(11b) 및 중앙 오목부(21b)를 통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들 기단부(11a, 11a) 및 기단부(21a, 21a)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양단부끼리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건너지르도록 하여,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은, 얇은 판상 금속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부재의 절곡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콘택트 부재(13) 및 제2 콘택트 부재(23)에 대한 쉴드 벽부를 구성하도록,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21)의 외방 부분을 커넥터 길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어 평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둘러싸는 배치 관계로 장착되어 있다. 이 때의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쉴드 쉘(12)은, 제1 하우징(11)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의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한편,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장착된 제2 쉴드 쉘(22)은, 제2 하우징(21)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의 압입 또는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제1 하우징(11)의 중앙 볼록부(11b)에는,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콘택트 장착 홈(11c)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요설(凹設)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 하우징(21) 및 중앙 오목부(21b)에도, 콘택트 장착 홈(도시 생략)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도록 요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콘택트 장착 홈(11c) 등에 대해서, 제1 콘택트 부재(13) 및 제2 콘택트 부재(23)가, 각각 압입 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제1 콘택트 부재(13) 및 제2 콘택트 부재(23)는,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전체 구성은 개략 이상과 같지만, 이하에 있어서 각부(各部)의 상세한 구성 및 배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제1 하우징(11)에, 압입에 의해 장착된 제1 콘택트 부재(13), 및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제2 하우징(21)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된 제2 콘택트 부재(23)는, 각각의 전기 커넥터(10, 20)마다,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2열의 전극열을 각각 형성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2열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제1 콘택트 부재(13, 13)끼리, 및 제2 콘택트 부재(23, 23)끼리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서로 마주 보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대칭적인 배치 관계로 이루어진 제1 콘택트 부재(13, 13)끼리, 및 제2 콘택트 부재(23, 23)끼리를 구별하는 일이 없이 동일한 설명으로 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제1 콘택트 부재(13)가 장착되어 있는 제1 하우징(11)의 중앙 볼록부(11b)에는, 특히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2열의 전극열끼리의 사이 부분, 즉 커넥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저면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칸막이판(11d)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띠판(band plate) 형상을 이루어 연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판(11d)은, 상술한 콘택트 장착 홈(11c)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홈바닥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지만, 그 칸막이판(11d)과 당해 칸막이판(11d)의 커넥터 폭 방향의 양측에 입설(立設)된 긴 측벽부(11e, 11e)와의 사이의 공간 부분에, 양측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제1 콘택트 부재(13, 13)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 본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제1 콘택트 부재(13)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커넥터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어 연재하도록 절곡된 금속제의 띠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콘택트 장착 홈(11c)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의 압입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제1 콘택트 부재(13)에 있어서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재하도록 절곡 형성된 감합 오목부(13a)가, 상술한 칸막이판(11d) 가까이의 커넥터 중심 가까이의 부분에 오목형상을 이루어 움푹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상대 감합체인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제2 콘택트 부재(23)의 일부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술한 것처럼 대략 U자 형상을 이루어 연재하는 제1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재하는 저변부(13b)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입상(立上)하는 외방 입상 변부(13c) 및 내방 입상 변부(13d)를 가지고 있다. 이들 내외의 양쪽 입상 변부(13c, 13d) 중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에 배치된 외방 입상 변부(13c)는, 상술한 긴 측벽부(11a)에 요설된 콘택트 장착 홈(11c)에 대해서 하방측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고정 상태로 된 외방 입상 변부(13c)로부터 커넥터 중심(내방)을 향해 상술한 저변부(13b)가 편지(片持) 형상으로 연츨(延出)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저변부(13b)를 통해 내방 입상 변부(13d)가, 마찬가지로 편지 형상으로 연츨하고 있다. 이 내방 입상 변부(13d)는, 커넥터 중심 가까이의 칸막이판(11d)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것처럼 고정 상태로 된 외방 입상 변부(13c)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중심측에 배치된 내방 입상 변부(13d)의 상단 부분은, 상술한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을 향해 만곡 형상을 이루어 장출(張出)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만곡 형상이 절곡 부분 중에서,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으로 장출된 부위에 내방 접점부(13e)가 볼록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내방 접점부(13e)는, 전술한 것처럼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제2 콘택트 부재(23)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제2 콘택트 부재(23)의 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커넥터 외방측에 배치된 외방 입상 변부(13c)는, 상술한 것처럼 긴 측벽부(11a)에 설치된 콘택트 장착 홈(11c)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임하는 부위에 외방 접점부(13f)가 볼록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외방 접점부(13f)는, 전술한 것처럼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제2 콘택트 부재(23)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제2 콘택트 부재(23)의 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점에 관해서도 후단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제1 콘택트 부재(13)는, 각각의 제1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마다 2개소의 내방 접점부(13e) 및 외방 접점부(13f)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제1 콘택트 부재(13)마다 설치된 내방 접점부(13e) 및 외방 접점부(13f)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제2 콘택트 부재(23)에 대한 신호 전송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들 제1 콘택트 부재(13)에 있어서의 외방 입상 변부(13c)는, 상술한 저변부(13b)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상면 위치까지 입상(立上)되어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장출된 후에 하방을 향해 반전하도록 역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하면 위치에 있어서, 다시 커넥터 외방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제1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13g)로 되어 있다. 이 제1 콘택트 접속부(13g)는,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고, 제1 배선 기판 P1에 대해서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실장될 때에, 도 25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제1 배선 기판 P1 상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땜납 접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1 콘택트 접속부(13g)의 땜납 접합은, 장척 형상의 땜납재를 이용하여 모든 제1 콘택트 접속부(13g)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플러그 커넥터의 콘택트 부재에 대해]
다음에, 도 17에 나타나 있듯이,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21)의 중앙 오목부(21b)는, 커넥터 길이 방향(제2 콘택트 부재(23)의 배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긴 측벽부(21d, 21d)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긴 측벽부(21d)에는,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콘택트 장착 홈(도시 생략)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들 콘택트 장착 홈에 대해서, 제2 콘택트 부재(23)가, 2열의 전극열을 구성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들 2열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제2 콘택트 부재(23)는,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서로 마주 보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콘택트 부재(23)가 장착되어 있는 제2 하우징(21)의 중앙 오목부(21b)는, 특히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2열의 전극열끼리의 사이 부분, 즉 양측의 긴 측벽부(21d, 21d)끼리의 사이 부분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재하는 오목한 형상의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긴 측벽부(21d)를 단면에 있어서의 외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각 제2 콘택트 부재(23)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양측의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는 한 쌍의 제2 콘택트 부재(23, 23)끼리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 보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제2 콘택트 부재(23)에 있어서, 단면 역U자 형상을 이루어 상방으로 돌출하는 부위가, 감합 볼록부(23a)로 되어 있다. 이들 감합 볼록부(23a)는, 상대 감합체인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제1 콘택트 부재(13)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13a)에 대해서 상방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제1 콘택트 부재(13)가 탄성 변위함으로써, 감합 오목부(13a)의 내부에 받아들여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콘택트 부재(23)에 있어서의 역U자 형상을 이루는 감합 볼록부(23a)는, 상하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재하는 커넥터 중심 가까이의 내벽면과 커넥터 외방 가까이의 외벽면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 커넥터 내외의 각 벽면에는, 내방 접점부(23b) 및 외방 접점부(23c)가 각각, 예를 들면 오목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쌍방의 전기 커넥터(10) 및 전기 커넥터(20)끼리가 감합되어,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설치된 제1 콘택트 부재(13)의 감합 오목부(13a)의 내방 공간에,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설치된 제2 콘택트 부재(23)의 감합 볼록부(23a)가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20)의 내방 접점부(23b) 및 외방 접점부(23c)가,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내방 접점부(13e) 및 외방 접점부(13f)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짐으로써 신호 전송을 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콘택트 부재(23)의 감합 볼록부(23a)의 내벽 부분은, 하방을 향해 연출하고 있고, 제2 하우징(21)의 저면 부분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제2 콘택트 부재(23)의 매설 부분은, 플러그 커넥터(20)의 하면 위치에 있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뻗어 있고, 그 수평 연재 부분이 제2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23d)로 되어 있다. 이들 제2 콘택트 접속부(23d)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실장시에, 도 26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제2 배선 기판 P2 상의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2a에 대해서 땜납 접합된다. 이들 제2 콘택트 접속부(23d)의 땜납 접합은, 장척 형상의 땜납재를 이용하여 모든 제2 콘택트 접속부(23d)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쉴드 쉘에 대해]
다음에,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쉴드 벽부로서 설치된 쉴드 쉘(12)은, 특히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2체로 분할된 프레임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1 쉴드 쉘(12, 12)의 각각은,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얇은 판상 금속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쉴드 쉘(12)에 있어서의 평면 대략 コ자 형상의 장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12a)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평면 대략 コ자 형상의 단변(短邊)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짧은 측벽판(12b)이, 커넥터 폭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쉴드 쉘(12, 12)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12a, 12a)끼리, 및 짧은 측벽판(12b, 12b)끼리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그러한 대향 배치 관계로 이루어짐으로써, 평면시로 했을 때의 전체 형상이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과 짧은 측벽판(12b)과의 연결 부분인 네 귀퉁이 부분에는, 제1 하우징(11)에 대한 고정 계지편(12c)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고정 계지편(12c)은, 긴 측벽판(12a) 및 짧은 측벽판(12b)의 상연(上緣) 부분으로부터 커넥터 중심(내방)을 향해 장출하도록 연출(延出)하고 있지만, 짧은 측벽판(12b)으로부터 연출하고 있는 고정 계지편(12c)은, 커넥터 중심(내방)으로의 장출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역U자 형상으로 뻗도록 절곡된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짧은 측벽판(12b)으로부터 연출하고 있는 고정 계지편(12c)이, 전술한 제1 하우징(11)의 기단부(11a)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압입됨으로써, 쉴드 쉘(12)의 전체가 제1 하우징(11)에 대해서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면 대략 장방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쉴드 쉘(12)이, 제1 하우징(11)의 외주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 하우징(11)에 장착된 제1 콘택트 부재(13)에 대한 전자기 차폐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당해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은, 전술한 제1 콘택트 부재(13)의 제1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13g)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입설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당해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이, 제1 콘택트 부재(13)의 제1 콘택트 접속부(13g)의 외단면(外端面)에 대향하면서 커넥터 길이 방향(제1 콘택트 부재(13)의 배열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콘택트 접속부(13g)를 포함하는 제1 콘택트 부재(13)의 전체에 대한 전자기 차폐가, 상술한 제1 콘택트 접속부(13g)와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과의 사이의 공간 부분을 통해 적당하게 임피던스(impedance) 정합된 상태로 양호하게 행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에 대해서, 상술한 제1 하우징의 긴 측벽부(11e)는, 특히 도 6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커넥터 중심측)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공극부(11f)를 통해 이간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공극부(11f)는, 제1 하우징의 긴 측벽부(11e)의 외방 단면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을 제외한 부분, 즉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술한 제1 콘택트 부재(13)와 대향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고, 당해 공극부(11f)를 설치함으로써, 제1 하우징의 긴 측벽부(11e)의 외방 단면을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으로 이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극부(11f)를 설치해 두면, 당해 공극부(11f)를 통해 제1 콘택트 부재(13)의 접속 상태 등이, 상방으로부터 관찰 가능하게 된다. 또, 그 공극부(11f)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당해 공극부(11f)에 기초한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이 매우 적합한 상태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쉴드 쉘에 의한 쉴드 기능이나 임피던스 특성을 매우 적합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기판 접속부에 대해]
한편, 특히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의 하단 연부(緣部)에는, 하방의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기판 접속부(12d)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 복수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커넥터 길이 방향에 배치된 각 제1 기판 접속부(12d)는, 특히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마찬가지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고 있는 제1 콘택트 부재(13, 13)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제1 쉴드 쉘(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12a)의 하단 연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장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측면 형상이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특히 도 7 및 도 24에 나타나 있듯이, 당해 제1 기판 접속부(12d)는, 상술한 제1 쉴드 쉘(12)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장출하는 단차부(12d1)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그 단차부(12d1)로부터는, 하방의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을 향해 접속편부(12d2)가 돌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의 하단 부분을 이루는 접속편부(接續片部)(12d2)가,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 상에 형성된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 패드(ground pad)) P1b에 대해서 땜납 접합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게 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의 제1 기판 접속부(12d)의 땜납 접합은, 장척 형상의 땜납재를 이용하여 모든 제1 기판 접속부(12d)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특히 도 24에 나타나 있듯이, 상술한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의 접속편부(12d2)는, 커넥터 폭 방향(판 두께 방향)의 내방에 내방 단면(12d3)을 가지고 있지만, 그 접속편부(12d2)의 내방 단면(12d3)은,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가 감합되었을 때에, 제2 쉴드 쉘(22)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판폭 t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은, 접속편부(12d2)에 대해서, 상술한 제1 기판 접속부(12d)의 단차부(12d1)가 가지는 커넥터 폭 방향의 단차분에 걸쳐서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위치하고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제1 쉴드 쉘(12)이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위치하고 있는 분만큼,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의 감합시에 제1 쉴드 쉘(12)의 외방에 배치되는 제2 쉴드 쉘(22)이, 종래보다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 장치 전체의 폭 치수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축소되어 있다.
또, 제1 쉴드 쉘(12)은, 상술한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의 접속편부(12d2)의 높이분에 걸쳐서,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쉴드 쉘(12)의 하방 부분에는, 제1 배선 기판 P1에 대해서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제1 쉴드 쉘(12)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배치된 제1 콘택트 부재(13)가 접속되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제1 쉴드 쉘(12)이 간섭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쉴드 쉘(12)을,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제1 쉴드 쉘(12)이 접속되는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 패드) P1b를 제1 콘택트 부재(13)가 접속되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가까이 함으로써, 전기 커넥터 장치 전체의 한층 더 소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에는,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해 장출하는 판스프링편(12e)이 떼어 내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편(12e)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복수 설치되어 있고, 당해 판스프링편(12e)의 선단 부분이, 제1 쉴드 쉘(12)의 외표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장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에 대해서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가 상방측으로부터 감합되었을 때에, 상술한 판스프링편(12e)의 선단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20)의 제2 쉴드 쉘(22)에 대해서, 내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 쉴드 쉘(12)에 있어서의 연재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사이 부분에는, 제1 하우징(11)의 일부에 고정되는 복수(한 쌍)의 계합편(12f)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하우징(11)의 긴 측벽판(12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도중 부분에는, 상술한 제1 쉴드 쉘(12)의 각 계합편(12f)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한 쌍)의 계지부(11g)가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계지부(11g)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1 하우징(11)의 계지부(11g)의 각각에 설치된 계지 구멍에 대해서 제1 쉴드 쉘(12)에 설치된 계합편(12f)이 상방으로부터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두면, 제1 쉴드 쉘(12) 전체가, 계합편(12f)을 통해 제1 하우징(11)에 강고한 고정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제1 쉴드 쉘(12)의 휨이나 변형의 우려가 회피되기 때문에, 공극부(11f)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매우 적합한 쉴드 기능(전자기 차폐) 및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이 얻어진다.
[플러그 커넥터의 쉴드 쉘에 대해]
한편, 특히 도 17에 나타나 있듯이,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쉴드 벽부로서 설치된 쉴드 쉘(22)도, 2체로 분할된 프레임 형상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2 하우징(21)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2 쉴드 쉘(22, 22)의 각각은,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얇은 판상 금속의 절곡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쉴드 쉘(22)에 있어서의 평면 대략 コ자 형상의 장변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22a)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긴 측벽판(22a)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양단 부분에는, 타방의 쉴드 쉘(22)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짧은 측벽판으로서의 고정 계지편(22b, 22b)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쉴드 쉘(22)의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 22b)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출하고 있고, 제1 하우징(1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연(端緣)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기단부(21a, 21a)의 내부에 압입 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쉴드 쉘(22)의 전체가 제2 하우징(21)에 고정 상태로 되어 있다.
상술한 한 쌍의 제2 쉴드 쉘(22, 22)을 구성하고 있는 긴 측벽판(22a, 22a)끼리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배치됨과 아울러, 짧은 측벽판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계지편(22b, 22b)끼리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맞대어 배치됨으로써, 평면시로 했을 때의 전체 형상이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있어서는,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의 양단 부분에 설치된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이, 제1 하우징(11)의 기단부(21a)의 내부에 삽입(매설)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하우징(21)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 범위 내에 쉴드 쉘(22)이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쉴드 쉘(22)이 제2 하우징(21)의 외방으로 장출하는 일이 없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쉴드 쉘(22)의 제2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22c)가, 쉴드 쉘(22)을 구성하는 판상 부재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쉴드 쉘(22)의 외방으로 장출하는 일이 없이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도 커넥터 전체의 소형화가 더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것처럼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각각에 있어서는, 평면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쉴드 쉘(12, 12)끼리 및 제2 쉴드 쉘(22, 22)끼리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도 18~도 24에 나타나 있듯이 감합 상태로 되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설치된 제1 쉴드 쉘(12)의 외방에, 플러그 커넥터(20)에 설치된 제2 쉴드 쉘(22)이 배치되고,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는,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이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12a)이 가지고 있는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에 대해서,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이 가지고 있는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 단면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서로 중합되는 관계로 됨과 아울러, 제1 쉴드 쉘(12)의 짧은 측벽판(12b)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외방 단면의 외방 위치에, 제2 쉴드 쉘(22)의 짧은 측벽판을 이루는 고정 계지편(22b)에 있어서의 커넥터 길이 방향의 내방 단면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여 서로 중합되는 관계로 된다. 그 결과,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 둘레가 쉴드 벽부에 의해 완전하게 덮인 상태로 되어 매우 양호한 쉴드 기능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의 하단 연부에는, 제2 배선 기판 P2의 표면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하는 판상 돌기편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22c)가, 복수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제2 기판 접속부(22c)를 구성하고 있는 판상 돌기편은,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과 하나의 면인 표면을 가지고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22b)을 구성하는 판상 부재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 연재하고 있다.
상술한 제2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22c)의 하단부는, 도 26에 나타나 있는 제2 배선 기판 P2의 주면 상에 설치된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 패드) P2b에 대해서 땜납 접합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을 하지만, 그 경우의 제2 기판 접속부(22c)의 땜납 접합은, 장척 형상의 땜납재를 이용하여 모든 제2 기판 접속부(22c)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은, 전술한 제2 콘택트 부재(23)의 제2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23d)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있어서, 제2 배선 기판 P2의 표면 상에 입설되는 배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이, 제2 콘택트 부재(23)의 제2 콘택트 접속부(23d)의 외단면(外端面)에 대해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커넥터 길이 방향(제2 콘택트 부재(23)의 배열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음으로써, 제2 콘택트 접속부(23d)를 포함하는 제2 콘택트 부재(23)의 전체에 대한 전자기 차폐가, 상술한 제2 콘택트 접속부(23d)와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과의 사이의 공간 부분을 통해 적당하게 임피던스(impedance) 정합된 상태로 양호하게 행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의 각각에 대해, 제1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13g) 및 제2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23d)에 대한 전자기 차폐 작용을 각각의 쉴드 벽부로서 설치된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에 의해 얻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가 감합되었을 때에 있어서는,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이 내외에 있어서 이중으로 배치되고, 또한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의 일방과, 양쪽 배선 기판 P1, P2 중의 일방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의 타방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 장치로서 매우 양호한 전자기 차폐 작용이 얻어진다. 특히,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과 제1 및 제2 배선 기판 P1, P2와의 간극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EMI 대책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가 감합되었을 때에, 특히 도 24에 나타나 있듯이, 제1 쉴드 쉘(12)에 설치된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의 상방 위치에,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이 배치된다. 즉,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의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감합 위치는, 제1 쉴드 쉘(12)의 제1 기판 접속부(12d)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중합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쉴드 쉘(12)의 제1 기판 접속부(12d) 및 그 제1 기판 접속부(12d)가 접속되는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 패드) P1b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 가까이의 위치에 제2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22a)이 배치된다.
즉, 제1 쉴드 쉘(12)이, 제1 기판 접속부(12d)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커넥터(10, 20)가 감합되었을 때에, 제1 쉴드 쉘(12)의 외방에 배치되는 제2 쉴드 쉘(22)이, 종래보다 커넥터 내방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 패드) P1b가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떨어져 있는 경우라도, 상술한 것처럼 제2 쉴드 쉘(12)의 긴 측벽판(22a)이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으로 가까워져 있게 됨으로써,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좁혀져 소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쉴드 쉘(12)에 설치된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가, 제1 쉴드 쉘(12)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으로부터 동일 방향의 외방을 향해 장출하는 단차부(12d1)로부터 접속편부(12d2)가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그 접속편부(12d2)가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분만큼, 제1 쉴드 쉘(12)의 전체가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쉴드 쉘(12)은, 제1 콘택트 부재(13)에 설치된 제1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13g) 및 그 제1 콘택트 부재(13)가 접속되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간섭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쉴드 쉘(12)의 하방에, 제1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13g)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공간부를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쉴드 쉘(12)이, 제1 배선 기판 P1의 주면에 근접하여 제1 콘택트 접속부(13g)와 간섭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제1 쉴드 쉘(12)을,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제1 쉴드 쉘(12)이 접속되는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 패드) P1b를, 제1 콘택트 부재(13)가 접속되는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 P1a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가까이 함으로써, 전기 커넥터 장치의 전체의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20)에 설치된 제2 쉴드 쉘(22)은, 양쪽 전기 커넥터(10, 20)끼리를 감합했을 때에, 당해 제2 쉴드 쉘(22)의 긴 측벽판(22a)의 내벽면(내방 단면)이,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10)의 제1 쉴드 쉘(12)에 설치된 판스프링편(12e)의 선단 부분에 대해서 외방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쉴드 쉘(12) 및 제2 쉴드 쉘(22)끼리가 전기적인 접속 상태로 되고, 그 판스프링편(12e)을 통해 그라운드 회로의 일부가 구성되기 때문에, 당해 판스프링편(12e)의 접촉 면적분만큼 전기적 도통성이 향상하여 그라운드 저항이 저감되고 쉴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쉴드 쉘(12)에 설치된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12d)를,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장출하는 단차부(12d1)를 통해 접속편부(12d2)를 구비한 측면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그러한 단차부를 개재시키는 일 없이, 제1 쉴드 쉘(12)의 하단 연부를 배선 기판의 표면에 근접시킨 상태까지 뻗게 하고, 그 제1 쉴드 쉘(12)의 하단 연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를 긴 측벽판(22a)의 외방 단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하여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장시킨 측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콘택트 부재(12, 22)는, 대칭적으로 마주보는 2열의 전극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당연히 단렬(1열)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전자 및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다종의 다양한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1a 기단부 11b 중앙 볼록부
11c 콘택트 장착 홈(groove) 11d 칸막이판
11e 긴 측벽부
11f 공극부 11g 계지부
12 제1 쉴드 쉘(쉴드 벽부)
12a 긴 측벽판 12b 짧은 측벽판
12c 고정 계지편
12d 제1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
12d1 단차부 12d2 접속편부
12d3 내방 단면
12e 판스프링편 12f 계합편
13 제1 콘택트(contact) 부재
13a 감합 오목부 13b 저변부
13c 외방 입상 변부 13d 내방 입상 변부
13e 내방 접점부 13f 외방 접점부
13g 제1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
20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
21 제2 하우징(housing)
21a 기단부 21b 중앙 오목부
21d 긴 측벽부
22 제2 쉴드(shield) 쉘(shell)(쉴드 벽부)
22a 긴 측벽판 22b 고정 계지편(짧은 측벽판)
22c 제2 기판 접속부(그라운드 접속부)
23 제2 콘택트 부재
23a 감합 볼록부
23b 내방 접점부 23c 외방 접점부
23d 제2 콘택트 접속부(신호 접속부)
P1 제1 배선 기판
P1a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pad))
P1b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ground) 패드(pad))
P2 제2 배선 기판
P2a 신호 전송용 도전로(신호 패드(pad))
P2b 그라운드용 도전로(그라운드(ground) 패드(pad))

Claims (8)

  1. 제1 및 제2 배선 기판의 주면에 각각 실장된 상태에서, 감합 상태로 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에 설치된 절연성을 가지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각각에, 신호 접속용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와, 이들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에 대한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위치에, 상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판폭을 가지는 도전성의 제1 및 제2 쉴드 쉘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쉴드 쉘에 설치된 제1 및 제2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제1 및 제2 그라운드용 도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쉴드 쉘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과, 상기 제2 쉴드 쉘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 단면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여 서로 중합되는 관계로 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제1 쉴드 쉘의 상기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1 기판 접속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 단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쉴드 쉘의 상기 판폭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접속부가, 상기 제1 쉴드 쉘의 상기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장출하는 단차부와, 그 단차부로부터 상기 제1 배선 기판의 주면을 향해 돌출하는 접속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접속부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으로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콘택트 부재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의 외방 단면을 상기 제1 쉴드 쉘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의 내방으로 이간시키는 공극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가, 커넥터 폭 방향과 직교하는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어 복수 배치된 것으로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접속부가, 인접하는 상기 제1 콘택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택트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배선 기판에 설치된 제1 및 제2 신호 전송용 도전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전송용 도전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용 도전로에 대해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쉘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되었을 때에, 상기 제2 쉴드 쉘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판스프링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쉘이, 커넥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쉴드 쉘에 있어서의 연재 방향의 양단부의 사이 부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에 고정되는 계합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0197036618A 2017-11-06 2018-08-29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240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4126A JP6573135B2 (ja) 2017-11-06 2017-11-06 電気コネクタ装置
JPJP-P-2017-214126 2017-11-06
PCT/JP2018/031863 WO2019087551A1 (ja) 2017-11-06 2018-08-29 電気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646A true KR20200005646A (ko) 2020-01-15
KR102240783B1 KR102240783B1 (ko) 2021-04-14

Family

ID=6633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618A KR102240783B1 (ko) 2017-11-06 2018-08-29 전기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97097B2 (ko)
JP (1) JP6573135B2 (ko)
KR (1) KR102240783B1 (ko)
CN (1) CN110800169B (ko)
WO (1) WO20190875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36B1 (ko) * 2022-10-04 2023-01-10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5754B2 (ja) * 2018-12-27 2022-07-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CN216872292U (zh) * 2019-06-24 2022-07-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以及具备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套件
WO2021029306A1 (ja) * 2019-08-09 2021-0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電子回路装置
JP7349635B2 (ja) 2019-09-30 2023-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並びにそれに用いるソケット及びヘッダ
JP7418202B2 (ja) 2019-12-25 2024-01-19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201580B2 (ja) 2019-12-25 2023-01-1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7244412B2 (ja) 2019-12-25 2023-03-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2525442B1 (ko) * 2020-05-13 2023-04-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11489291B2 (en) * 2020-05-13 2022-11-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1539170B2 (en) * 2020-05-13 2022-12-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urrounding board-to-board connectors in connected state
JP1682140S (ko) 2020-10-06 2021-08-30
JP1682141S (ko) 2020-10-06 2021-08-30
JP1682136S (ko) 2020-10-06 2021-08-30
JP1682137S (ko) 2020-10-06 2021-08-30
JP1682138S (ko) 2020-10-06 2021-08-30
JP1682139S (ko) 2020-10-06 2021-08-30
JP1696084S (ko) * 2020-10-26 2021-10-04
KR20240014741A (ko) 2022-07-26 2024-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KR20240014740A (ko) 2022-07-26 2024-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보드 투 보드 타입 커넥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415B2 (ko) 1978-12-29 1986-05-07 Nippon Electric Co
JPH06117415A (ja) * 1991-02-15 1994-04-26 Yutani Heavy Ind Ltd 可変再生回路
JPH06145529A (ja) * 1992-11-10 1994-05-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火用パテ組成物
JPH06179564A (ja) * 1992-12-14 1994-06-28 Ricoh Co Ltd シート処理装置
CN104241972A (zh) * 2013-06-14 2014-12-24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路基板用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安装体
CN205882212U (zh) * 2015-07-29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连接用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50431U (en) * 2003-08-08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51313U (en) * 2003-08-13 2004-1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667690Y (zh) * 2003-09-06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I249886B (en) * 2004-06-18 2006-0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860823B2 (ja) * 2004-08-19 2006-12-20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CN2736999Y (zh) * 2004-09-23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01944B2 (ja) * 2009-12-03 2012-03-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10250800A1 (en) * 2010-04-12 2011-10-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plug and receptacle contacts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71845B2 (ja) * 2012-06-04 2016-08-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6279989B2 (ja) * 2014-06-25 2018-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99342B2 (ja) * 2014-09-24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10084265B2 (en) * 2015-07-29 2018-09-25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9893480B2 (en) * 2015-09-04 2018-02-13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JP6145529B2 (ja) * 2016-03-01 2017-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6117415B1 (ja) * 2016-08-04 2017-04-1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TWM539713U (zh) 2016-11-25 2017-04-11 Tarng Yu Enterprise Co Ltd 板對板連接器總成
CN108232526B (zh) *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US10498058B1 (en) * 2018-05-11 2019-12-03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415B2 (ko) 1978-12-29 1986-05-07 Nippon Electric Co
JPH06117415A (ja) * 1991-02-15 1994-04-26 Yutani Heavy Ind Ltd 可変再生回路
JPH06145529A (ja) * 1992-11-10 1994-05-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火用パテ組成物
JPH06179564A (ja) * 1992-12-14 1994-06-28 Ricoh Co Ltd シート処理装置
CN104241972A (zh) * 2013-06-14 2014-12-24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路基板用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安装体
CN205882212U (zh) * 2015-07-29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连接用电连接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36B1 (ko) * 2022-10-04 2023-01-10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WO2024075995A1 (ko) * 2022-10-04 2024-04-11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7097B2 (en) 2021-01-19
JP2019087382A (ja) 2019-06-06
WO2019087551A1 (ja) 2019-05-09
CN110800169B (zh) 2021-06-22
JP6573135B2 (ja) 2019-09-11
CN110800169A (zh) 2020-02-14
US20200220287A1 (en) 2020-07-09
KR102240783B1 (ko)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5646A (ko) 전기 커넥터 장치
JP6828843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816410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TWI565145B (zh) 對接的第一連接器及第二連接器
US6431914B1 (en) Grounding scheme for a high speed backplane connector system
KR101534446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US7128607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shielding member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US882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e a grounding terminal with a tongue for improving mechanical stability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KR100904604B1 (ko) 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JP726718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970928B2 (ja) 電気コネクタ
JP5445622B2 (ja) アンテナ接続切換装置
CN111009784A (zh) 电连接器
CN110707454A (zh) 电连接器
US9923291B2 (en) Audio jack connector having compressive contacts
TW202044691A (zh) 電連接器裝置
JP2023069607A (ja) コネクタ
KR20210017350A (ko) 기판 커넥터
KR20200125087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