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8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87A
KR20200125087A KR1020190048842A KR20190048842A KR20200125087A KR 20200125087 A KR20200125087 A KR 20200125087A KR 1020190048842 A KR1020190048842 A KR 1020190048842A KR 20190048842 A KR20190048842 A KR 20190048842A KR 20200125087 A KR20200125087 A KR 2020012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insertion groove
antenna modul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찬
황현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5087A/ko
Publication of KR2020012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일 수 있으며, 내부에 삽입홈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삽입홈의 상단에 위치하며, 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스토퍼; 상기 몸체부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절개하여 생성하며, 상기 삽입홈 내부로 벤딩되어 안테나 모듈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기판과 솔더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출원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안테나 모듈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기판과 기판 사이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일 수 있으며, 내부에 삽입홈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삽입홈의 상단에 위치하며, 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스토퍼; 상기 몸체부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절개하여 생성하며, 상기 삽입홈 내부로 벤딩되어 안테나 모듈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기판과 솔더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는, 몸체부가 삽입홈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삽입홈 내의 접촉부 등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 내에 일정한 유격량을 포함하여 안테나 모듈을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하는 동시에, 스토퍼를 이용하여 안테나 모듈의 과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는, 몸체부 내에 포함되는 접촉부의 위치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므로, 회로, 기구 구성의 자유도가 높으며,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의 하단부를 도피하는 경우, 안테나 모듈과의 유효접촉길이를 확장할 수 있으며, 결합강도 보강 구조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는, 컨텍트 핀의 좌측열과 우측열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접지부를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텍트 핀을 단일 접점, 동일한 폭으로 구현하여, 임피던스 매칭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컨텍트 핀의 좌측열과 우측열에 대한 전자기 차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접지부를 이용하여 플러그 커네터에 대한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텍트 핀을 단일 접점으로 구현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접지부의 길이 조절 등을 통하여 발거력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의 안테나 체결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의 체결시 컨텍트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 및 그래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의 기판 내 실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의 체결을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발명 1
관련 도면: 도1 내지 도7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는, 몸체부(110), 스토퍼(120), 가동부(130) 및 실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는 금속 등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s) 상에 위치하여 기판(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s)은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회로 기판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이후,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모듈(a)이 연결되는 경우,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는 내부에 삽입된 안테나 모듈(a)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안테나 모듈(a)과 기판(s)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모듈(a)이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 내부에 삽입되면, 가동부(130)는 안테나 모듈(a)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으며, 가동부(130)의 접촉부(131)는 안테나 모듈(a)의 안테나 패턴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131)는 가동부(130)의 탄성에 의하여 안테나 모듈(a)의 안테나 패턴과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도2 및 도3에서는 3개의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가 안테나 모듈(a)과 접속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의 개수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금속 등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측면과, 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삽입홈(h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삽입홈(h1)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므로, 몸체부(110)의 내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시말해, 몸체부(110)는 안테나 모듈(a)과의 결합시 발생할 수 있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내부의 접촉부(131) 등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110) 내에 형성되는 삽입홈(h1)은 삽입되는 안테나 모듈(a)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h1)의 크기는 안테나 모듈(a)의 크기와 유격량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는 스토퍼(120)를 더 포함하여, 안테나 모듈(a)이 삽입홈(h1) 내에서 과변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0)는 삽입홈(h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삽입홈(h1)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된 스토퍼(120)를 삽입홈(h1) 내부로 벤딩(bending)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a)은 삽입홈(h1) 내에 마련된 유격량에 의하여 삽입홈(h1) 내에서 일부 변위할 수 있으나, 스토퍼(140)에 의하여 고정되어 유격량을 벗어나는 범위에서의 변위는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0)는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130) 보다 몸체부(110)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안테나 모듈(a)의 삽입시 가동부(130)에 가해질 수 있는 수직방향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0)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나, 스토퍼(120)의 개수와 형상, 위치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가동부(13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몸체부(110)의 일부를 절개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13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h1) 내부로 벤딩될 수 있으며, 벤딩된 가동부(130)의 일단에는 접촉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31)는 삽입홈(h1) 내에 삽입된 안테나 모듈(a)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접촉부(131)는 안테나 모듈(a)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벤딩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130)는 몸체부(110)와 연결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삽입홈(h1) 내에 안테나 모듈(a)이 삽입되는 경우, 가동부(130)는 안테나 모듈(a)에 의하여 몸체부(11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30)는 몸체부(110)와의 탄성에 의하여, 안테나 모듈(a)의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가동부(130)는 안테나 모듈(a)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접촉부(131)는 안테나 모듈(a)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받아 안정적으로 안테나 모듈(a)과의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4는 가동부(130)가 몸체부(110)의 2개 측면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몸체부(110) 내에 형성되는 가동부(130)의 개수를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내의 1개 측면에만 가동부(130)를 형성하거나, 4개 측면 모두에 가동부(130)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기구, 회로 설계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부(130)가 2개 측면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모듈(a)에 포함되는 안테나 패턴이 안테나 모듈(a)의 외측면와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어도 기판(s)과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131)의 접점부(p1)는 가동부(130) 길이의 중심점(p2)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모듈(a) 삽입시 가동부(130)가 용이하게 변위가능하며 복원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도5(a)의 접점부(p1)는 중심점(p2) 보다 상단에 위치하며, 도5(c)의 접점부(p1)는 중심점(p2) 보다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131)를 우측으로 밀어내어 안테나 모듈(a)이 삽입되는 경우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최대변위시와 변위 후를 비교하면, 도5(b) 및 도5(d)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즉, 접점부(p1)가 중심점(p2) 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가동부(130)의 복원력이 높고 그에 따라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는, 접촉부(131)의 접점부(p1)가 가동부(130) 길이의 중심점(p2)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의 하단부에는 실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장부(140)는 기판(s)에 마련된 실장 영역(m)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실장부(140)는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에 형성되는 실장부(140)의 개수와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서 연장된 실장부(140)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실장 영역(m)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s)과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장 영역(m)은 기판(s) 상에 형성되는 전도성 영역에 해당하며, 실장부(140)에 대응하여 일정한 패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장부(140)는 실장 영역(m)에 솔더링(soldering)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100)는 실장부(140)를 통하여 기판(s)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s)을 도피하여 통공(h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공(h2) 내로 안테나 모듈(a)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모듈(a)에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과 접촉부(131) 사이의 유효 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접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모듈(a)에 쐐기 형상의 고정부(w)를 더 포함하여 안테나 모듈(a)을 통공(h2) 내에 고정시켜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 발명 2
관련 도면: 도8 내지 도9, 도12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컨텍트 핀(220) 및 접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와 연결되어, 기판와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12에 도시한 바 와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300)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plug insulator, 210)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컨텍트 핀(220) 및 접지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사출성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 핀(220) 및/또는 접지부(230)를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할 수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이 좁고 길이 방향이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컨텍트 핀(220)을 일정한 피치(pitch)로 고정할 수 있으며, 컨텍트 핀(220)들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여 컨텍트 핀(220) 사이의 단락(short circuit)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h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h3) 내에서 접지부(230)를 일부 노출시킬 수 있다.
컨텍트 핀(contact pin, 220)은 일정한 길이 및 형상을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내에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 핀(220)을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의 폭방향 양 측면에 각각 배열하여 좌측열과 우측열을 형성할 수 있다.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를 A-A' 방향으로 절단하면 도9(b)의 단면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 핀(220)은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로 구별할 수 있으며, 제1 영역(221)은 플러그 측 기판과 연결되고 제2 영역(222)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컨텍트핀(32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컨텍트핀(220)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컨텍트핀(320)과 단일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피던스 매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접지부(230)는 금속 등 도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접지부(230)는 몸체(231)를 중심으로 연장된 외부 절편(232, 233)과 내부 절편(234, 235)들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부(230)는 몸체(231)에 연결된 복수의 절편(232, 233, 234, 235)들을 벤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몸체(231)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의 상부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외부 절편(232, 233)은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내부 절편(234, 235)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홈(h3)의 폭방향 양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부(230)는 플러그 인슐레이터(210)와 결합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2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9(b)를 참조하면, 접지부(230)의 폭방향의 양 측면에는 각각 컨텍트 핀(220)들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접지부(230)는 접지(ground)와 연결되므로, 컨텍트 핀(220)의 좌측열과 우측열 사이의 전자기 차폐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부(230)는 외부 절편(232, 233)을 통하여 접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볼록부(e)를 포함하여 접지와의 접촉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홈(h3) 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돌기부(r)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결합홈(h3) 내에 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 절편(234, 235)의 단부에 단차(b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절편(234, 235)에 단차(b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차(b1)를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의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9(c)는 도9(a)의 B-B' 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도에 해당한다.
■ 발명 3
관련 도면: 도10 내지 도12
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 컨텍트 핀(320), 접지부(330) 및 홀드다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연결되어, 기판과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00)는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receptacle insulator, 310)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 상에 컨텍트 핀(320), 접지부(330) 및 홀드다운부(340)가 결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는 사출성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 핀(320), 접지부(330), 홀드다운부(340) 등을 포함하여 인서트 몰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이 좁고 길이 방향이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면에 개구부(h4) 및 돌기부(r)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00)는 개구부(h4)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돌기부(r)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h4) 내에는 접지부(330)를 돌기부(r)에 결합하기 위한 통공(h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는 컨텍트 핀(320)을 일정한 피치로 고정할 수 있으며, 컨텍트 핀(320)들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여 컨텍트 핀(320) 사이의 단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컨텍트 핀(320)은 일정한 길이 및 형상을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 내에 일정한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 핀(320)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의 폭방향 양 측면에 각각 배열하여 좌측열과 우측열을 형성할 수 있다.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A-A' 방향으로 절단하면 도11(b)의 단면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 핀(320)는 제1 영역(321) 및 제2 영역(322)로 구별할 수 있으며, 제1 영역(321)은 리셉터클 측 기판과 연결되고, 제2 영역(322)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컨텍트핀(22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컨텍트핀(320)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컨텍트핀(220)과 단일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임피던스 매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접지부(330)는 금속 등 도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실장부(331), 차폐부(332), 가이드부(333) 및 접촉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지부(330)는 실장부(331)에서 연장된 절편을 벤딩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차폐부(332), 가이드부(333) 및 접촉부(334)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실장부(331)는 돌기부(r)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접지부(33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차폐부(332)는 돌기부(r)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컨텍트핀(320)의 좌측열과 우측열 사이의 전자기 차폐를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333)는 돌기부(r)의 상부면 양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가이드부(333)를 따라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33)는 차폐부(332)의 상단에서 벤딩된 것으로, 돌기부(r)와 결합시 곡면이 노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는 가이드부(333)의 곡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개구부(h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0) 삽입시 가이드부(333)가 먼저 접촉하므로, 돌기부(r)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돌기부(r)는 플라스틱 등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하므로, 금속 등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33)를 이용하여 돌기부(r)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접촉부(334)는 차폐부(332)에 대향하여 개구부(h4) 내로 노출될 수 있으며, 개구부(h4) 내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지부(330)와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334)는 가이드부(333)와의 사이에서 단차(b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차(b2)에 의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200)의 단차(b1)와,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단차(b2)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며, 이를 통하여 플러그 커넥터(200)와 리셉터클 커넥터(300)를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단차(b1, b2)가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발거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기 차폐를 위하여 컨텍트핀(320)의 좌측열과 우측열 길이에 대응하도록 접지부(230, 3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접지부(230, 330)의 길이 전체에 단차(b1, b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컨텍트 핀의 개수를 가지는 다른 커넥터 등에 비하여 2배 이상의 발거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드다운부(340)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드다운부(340)는 몸체영역(341), 고정영역(342), 실장영역(343) 및 접점영역(34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영역(341)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영역(342), 실장영역(343), 접점영역(344) 등은 몸체영역(34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영역(342)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영역(342)에 의하여 홀드다운부(34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와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10에서는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 2개씩 고정영역(342)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고정영역(342)의 위치나 개수, 형상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실장영역(343)는 홀드다운부(340)를 리셉터클측 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실장영역(343)은 몸체영역(3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장영역(343)의 개수와 위치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몸체영역(341)에서 연장된 실장영역(343)은 외측으로 만곡되어 기판과의 접촉면정을 넓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판과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장영역(343)은 솔더링 등을 통하여 기판과 결합될 수 있으며, 홀드다운부(340)는 실장영역(343)을 통하여 접지(ground)와 연결될 수 있다.
접점영역(344)는 몸체영역(341)으로부터 연장되어 개구부(h4) 내로 벤딩될 수 있으며, 개구부(h4)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지부(23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c)를 참조하면, 접점영역(344)은 홀드다운부(340)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10)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안정적인 접점 유지 등을 고려하여, 접점영역(344)이 변위할 수 있도록 일정한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지부(230)에 볼록부(e)를 더 포함하여, 접점영역(344)과의 접촉용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홀드다운부(340)의 실장영역(343)이 접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지부(230)가 접점영역(344)과 접촉하게 되면, 접지부(230)도 접지로 동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지부(230)와 접촉하는 리셉터클 커넥터(300)의 접지부(330)도 접지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11(c)는 도11(a)의 B-B' 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은 단면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 110: 몸체부
120: 스토퍼 130: 가동부
140: 실장부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플러그 인슐레이터 220: 컨텍트 핀
230: 접지부 300: 리셉터클 커넥터
310: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320: 컨텍트 핀
330: 접지부 340: 홀드다운부

Claims (1)

  1. 내부에 삽입홈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몸체부;
    상기 삽입홈의 상단에 위치하며, 삽입홈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스토퍼;
    상기 몸체부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절개하여 생성하며, 상기 삽입홈 내부로 벤딩되어 안테나 모듈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동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기판과 솔더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테나 커넥터.
KR1020190048842A 2019-04-26 2019-04-26 커넥터 KR20200125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42A KR20200125087A (ko) 2019-04-26 2019-04-2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42A KR20200125087A (ko) 2019-04-26 2019-04-26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87A true KR20200125087A (ko) 2020-11-04

Family

ID=7357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842A KR20200125087A (ko) 2019-04-26 2019-04-2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50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7108531B2 (ja) コネクタ組立体
TWI689136B (zh)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KR101534446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KR20200005646A (ko) 전기 커넥터 장치
KR102580253B1 (ko) 커넥터
US20090029592A1 (en) Connector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20060096290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60005401A (ko) 커넥터
KR102631033B1 (ko) 리셉터클 커넥터
EP1811607B1 (en) Multipolar connector, and portable radio terminal or small-sized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olar connector
KR101344933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57956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US10170868B1 (en) Connector
KR10261124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KR102516102B1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KR20200125087A (ko) 커넥터
KR102330375B1 (ko) 보호소자가 구비된 커넥터
US12027802B2 (en) Connector
US20240128686A1 (en) Connector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