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290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290A
KR20060096290A KR1020060016695A KR20060016695A KR20060096290A KR 20060096290 A KR20060096290 A KR 20060096290A KR 1020060016695 A KR1020060016695 A KR 1020060016695A KR 20060016695 A KR20060016695 A KR 20060016695A KR 20060096290 A KR20060096290 A KR 20060096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mating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이가라시
아키라 쿠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9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설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용 콘택트와 전원용 콘택트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호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2) 및 상대 커넥터(3)에 의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1)를 구성한다. 전기 커넥터(2)는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13)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21) 및 전원용 콘택트(2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에는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15)이 설치되어 있다.
신호용 콘택트, 전원용 콘택트, 격벽, 위치결정용 안내부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하기 전의 단면도이고, 단, 샷다부재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
도 3은 도 2(A)에 있어서 3-3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전기 커넥터의 결합요부 내에 도전편이 침입한 일예를 도시한 도 2(A)에 있어서 3-3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
도 6은 종래예의 도킹 커넥터의 개략 설명도;
도 7은 도킹 커넥터의 일방측을 구성하는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전원용 콘택트 및 신호용 콘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의 일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 전기 커넥터
3 : 상대 커넥터
10 : 하우징
13 : 위치결정용 안내부
15 : 격벽
21 : 신호용 콘택트
22 : 전원용 콘택트
50 : 상대 하우징
53 : 위치결정용 요부
54 : 격벽용 요부
61 : 상대 신호용 콘택트
61a : 접촉부
62 : 상대 전원용 콘택트
62a : 접촉부
70 : 샷다부재
80 : 쉘부재
81 : 규제편
[특허문헌 1] 특개평 11-288760호 공보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와, 확장 유닛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알맞은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와, 확장 유닛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를 결합함으로써, 전자기기와 확장 유닛이 상호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와 전자기기 측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를 합쳐서 일반적으로 도킹 커넥터라고 한다.
이 도킹 커넥터에 있어서는 결합접속하는 한 쌍의 커넥터의 대응하는 전체 콘택트끼리를 바르게 위치시켜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극히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체 콘택트끼리를 바르게 위치정합시킬 수 있는 도킹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것(특허문헌 1 참조)이 공지되어 있다.
이 도킹 커넥터(101)는 상호 결합접속되는 제1커넥터(110) 및 제2커넥터(1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1커넥터(110)는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절연성의 제1하우징(111)과, 이 제1하우징(111)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제1하우징(111)의 양단에는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가이드핀(112)(일단측의 가이드핀은 큰 직 경이고 타단측의 가이드핀은 가는 직경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커넥터(120)는 도시하지 않은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절연성의 제2하우징(121)과, 이 제2하우징(121)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제2하우징(121)의 양단에는 제1커넥터(110)의 위치결정용 가이드핀(112)이 감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시(guide bush:1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가 결합하는 때에, 위치결정용 가이드핀(112)이 가이드 부시(122)에 감입되어 위치결정되면,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의 위치어긋남은 흡수되어 전체 콘택트끼리를 바르게 위치맞춤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킹 커넥터(101)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제1커넥터(110) 및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제2커넥터(120)의 쌍방에 있어서, 비교적 큰 전류가 통전하는 전원용 콘택트와 비교적 작은 전류가 통전하는 신호용 콘택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7에서, 도킹 커넥터의 한 쪽을 구성하는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전원용 콘택트 및 신호용 콘택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전기 커넥터(201)는 길이방향(도 7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성 하우징(210)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기부(211)와, 이 하우징 기부(2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212)는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상대 커넥터(미도시)에 결합하는 것이고, 칸막이벽(212a)을 끼고서 전후측에 한 쌍의 결합요부(212b)(전방측의 결합요부만 도시함)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2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결합부(212)의 결합면(결합부의 상단면)에 대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결합요부(212b)의 전후면에는 복수의 신호용 콘택트(221)가 각각의 전후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결합요부(212b)의 전후면의 길이방향 최우측단의 신호용 콘택트(221)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는 전원용 콘택트(222)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용 콘택트(221)는 회로기판(미도시)의 신호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한편, 전원용 콘택트(222)는 회로기판의 전원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201)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클립 등의 도전편(M)이 결합부(212)의 결합요부(212b) 내에 침입해 버리는 일이 있고, 이 경우 신호용 콘택트(221)와 전원용 콘택트(222)가 도전편(M)에 의해 단락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신호용 콘택트(221)와 전원용 콘택트(222)가 단락하면, 신호용 콘택트(221) 및 회로기판 상의 신호라인에 큰 전류가 흘러, 이들 신호용 콘택트나 신호라인이 손상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설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용 콘택트와 전원용 콘택트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신호용 콘택트와 상기 전원용 콘택트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위치결정용 안내부가 감입되는 위치결정용 요부를 갖는 상대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 각각에 접촉하는 상대 신호용 콘택트 및 상대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신호용 콘택트와 상기 전원용 콘택트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상기 상대 하우징에 상기 격벽이 감입되는 격벽용 요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상대 하우징에 대해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부세되어 상기 상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신호용 콘택트의 접촉부 및 상기 상대 전원용 콘택트의 접촉부를 덮는 샷다부재와, 상기 상대 하우징에 부착된 금속제의 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쉘부재에 상기 샷다부재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위치결정용 안내부와 위치결정용 요부에 있어서는 각각이 한 쌍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한 쌍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단, 도 1에 있어서는 샷다부재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있어서 3-3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 커넥터의 결합요부 내에 도전편이 침입한 일예를 도시한 도 2(A)에 있어서 3-3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상호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2) 및 상대 커넥터(3)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2)는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되는 한편 상대 커넥터(3)는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되며, 전기 커넥터(2) 및 상대 커넥터(3)에 의해 이른바 도킹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전기 커넥터(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부착된 복수의 신호용 콘택트(21) 및 전원용 콘택트(22)와, 타인 플레이트(30; tine plate)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의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기부(11)와 하우징 기부(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12)는 상대 커넥터(3)에 결합하는 것이고, 구분벽(12a)을 끼고서 전후측에 한 쌍의 결합요부(12b)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 기부(1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결합부(12)의 결합면[결합부(12)의 상단면]에 대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안내부(13) 각각에는 상대 커넥터(3)의 쉘부재(80; 도 5)에 접촉해서 접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금속제의 쉘(40)이 부착되어 있다. 각 쉘(40)은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에 접지접속된다.
또한, 신호용 콘택트(21)는 하우징의 각 결합요부(12b)의 전후면을 따라서 소정 피치로 4열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 신호용 콘택트(21)는 상대 커넥터(3)에 설치된 상대 신호용 콘택트(61)의 접촉부(61a)에 접촉하는 접촉부(21a)과, 확장 유 닛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신호라인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1b)를 구비하고,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굽힘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각 신호용 콘택트(21)의 접촉부(21a)는 각 결합요부(12b)의 전후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기판 접속부(21b)는 하우징 기부(1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한, 전원용 콘택트(22)는 하우징(10)의 각 결합요부(12b)의 전후면의 길이방향 최우측단의 신호용 콘택트(21)로부터 소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4개 부착되어 있다. 각 전원용 콘택트(22)는 상대 커넥터(3)에 설치된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의 접촉부(62a)에 접촉하는 접촉부(22a)와,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전원라인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22b)를 구비하고, 금속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각 전원용 콘택트(22)의 접촉부(22a)는 각 결합요부(12b)의 전후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기판 접속부(22b)는 하우징 기부(1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한, 타인 플레이트(30)는 신호용 콘택트(21)의 기판 접속부(21b) 및 전원용 콘택트(22)의 기판 접속부(22b)를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고, 하우징 기부(11)의 하방에 있어서 임시 계지위치와 본 계지위치의 사이를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결합부(12)의 결합요부(12b)의 각각에는 길이방향 최우측단의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의 사이를 구분하는 한 쌍의 격벽(15)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5)은 결합요부(12b)의 저면으로부터 결합부(12)의 결합면(결합부의 상 단면)에 이르기까지 상방으로 향해서 점차 가늘어지도록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등의 도전편(M)이 신호용 콘택트(21) 측의 결합요부(12b) 내에 침입하여도, 격벽(15)에 의해 도전편(M)이 전원용 콘택트(22)에만 접촉하고,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가 단락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도전편(M)이 전원용 콘택트(22) 측의 결합요부(12b) 내에 침입하여도 격벽(15)에 의해 도전편(M)이 신호용 콘택트(21)에만 접촉하고,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가 단락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호용 콘택트(21) 및 회로기판 상의 신호라인에 큰전류가 흐르고, 이들 신호용 콘택트나 신호라인이 손상해 버리지 않는다.
한편, 상대 커넥터(3)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상대 하우징(50)과 상대 하우징(50)에 부착된 복수의 상대 신호용 콘택트(61) 및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와, 타인 플레이트(90)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 하우징(50)은 절연성의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결합요부(51)와, 이 결합요부(5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결합철부(52)를 갖고 있다. 결합요부(51) 내에는 전기 커넥터(2)의 결합부(12)가 침입하고, 이 때에, 결합철부(52)가 전기 커넥터(2)의 한 쌍의 결합요부(12b) 내에 침입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결합요부(5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전기 커넥터(2)의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13)가 감입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요부(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대 하우징(50)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금속제의 쉘 부재(80) 가 부착되어 있다. 각 쉘 부재(80)에는 전기 커넥터(2)가 결합하는 때에, 전기 커넥터(2)의 금속 플레이트(14)가 접촉하는 설편(82)이 위치결정용 요부(53) 내에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쉘 부재(80)는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에 접지접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대 신호용 콘택트(61)는 상대 하우징(50)의 각 결합철부(52)의 전후면을 따라서 소정 피치로 4열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 상대 신호용 콘택트(61)는 전기 커넥터(2)의 콘택트(21)의 접촉부(21a)에 접촉하는 접촉부(61a)와,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신호라인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61b)를 구비하고, 금속판을 타발가공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각 상대 신호용 콘택트(61)의 접촉부(61a)는 각 결합출부(52)의 전후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기판 접속부(61b)는 상대 하우징(5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한, 상대 전원용 콘택트(62)는 상대 하우징(50)의 각 결합출부(52)의 전후면의 길이방향 최우측단의 상대 신호용 콘택트(61)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4개 부착되어 있다. 각 상대 전원용 콘택트(62)는 전기 커넥터(2)의 전원용 콘택트(22)의 접촉부(22a)에 접촉하는 접촉부(62a)와,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의 전원라인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62b)를 구비하고, 금속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각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의 접촉부(62a)는 각 결합출부(52)의 전후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기판 접속부(62b)는 상대 하우징(5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 타인 플레이트(90)는 상대 신호용 콘택트(61)의 기판 접속부(61b) 및 상 대 전원용 콘택트(62)의 기판 접속부(62b)를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대 하우징(5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 하우징(50)의 결합출부(52)의 각각에는 길이방향 최우측단의 상대 신호용 콘택트(61)와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 커넥터(2)의 격벽(15)이 감입되는 격벽용 요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2)가 상대 커넥터(3)에 결합하면, 전기 커넥터(2)의 격벽(15)이 격벽용 요부(54)에 감입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2)에 격벽(15)을 설치하여도 어떠한 지장이 없다. 또한, 전기 커넥터(2)가 상대 커넥터(3)에 앞귀가 바뀌어서 결합하면, 전기 커넥터(2)의 격벽(15)이 상대 커넥터(3)의 격벽용 요부(54)에 감입하지 않고, 전기 커넥터(2)의 상대 커넥터(3)에 대한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커넥터(3)는 상대 하우징(50)에 대해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부착한 샷다부재(70)를 갖고 있다. 이 샷다부재(70)는 절연성의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을 갖고, 결합출부(52)를 제외한 결합요부(51; 도 1)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샷다부재(70)는 결합요부(51)의 4개 코너에 배치된 복수의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부세되어 상방위치에 대해서 상대 신호용 콘택트(61)의 접촉부(61a) 및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의 접촉부(62a)를 덮고, 이들 접촉부(61a, 62a)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샷다부재(70)가 상방위치, 즉 전기 커넥터(2)가 상대 커넥터(3)에 결합하기 전에는 샷다부재(700에 의해 접촉부(61a, 62a)가 보호되고, 이들 접촉부(61a, 62a)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샷다부재(70) 의 전후 양측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스토퍼용 돌기(71)가 설치되고, 상대 하우징(50)에 부착된 각 금속제의 쉘부재(80)에는 스토퍼용 돌기(71)에 직접 접촉해서 샷다부재(7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복수의 규제편(8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샷다부재(7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기 커넥터(2)를 상대 커넥터(3)에 결합하면, 각 위치결정용 안내부(13)가 각 위치결정용 요부(53) 내에 감입되면서 안내되어, 전기 커넥터(2)의 신호용 콘택트(21) 및 전원용 콘택트(22)가 각각 상대 커넥터(3)의 상대 신호용 콘택트(61) 및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에 대해서 위치결정되고, 전기 커넥터(2)의 결합부(12)가 샷다부재(70)를 압하하면서 결합요부(51)에 결합한다. 이에 의해서, 전기 커넥터(2)의 신호용 콘택트(21)의 접촉부(21a)가 상대 신호용 콘택트(61)의 접촉부(61a)에 접촉해서 확장 유닛 측의 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신호라인과 퍼스널컴퓨터 측의 회로기판상에 설치된 신호라인이 도통하고, 전원용 콘택트(22)의 접촉부(22a)가 상대 전원용 콘택트(62)의 접촉부(62a)에 접촉해서 확장 유닛 측의 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전원라인과 퍼스널컴퓨터 측의 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전원라인이 도통하게 된다. 또한, 전기 커넥터(2)를 상대 커넥터(3)에 결합하면, 전기 커넥터(2)의 쉘(40)과 상대 커넥터(3)의 쉘부재(80)가 접촉하여, 접지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 커넥터(2)가 상대 커넥터(3)에 결합하면, 전기 커넥터(2)의 격벽(15)이 격벽용 요부(54)에 감입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격벽(15)은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의 사이를 구분하는 위치에 설치하면 좋고,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의 배열에 따라서 적절히 접지장소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격벽(15)은 신호용 콘택트(21)와 전원용 콘택트(22)의 사이를 구분하는 것으로 하면, 결합요부(12b)의 저면으로부터 결합부(12)의 결합면(상면)에 이르기까지 상방으로 향해서 점차 가늘어지도록 연장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기 커넥터(2)를 퍼스널컴퓨터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에 실장하고, 상대 커넥터(3)를 확장 유닛 측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에 실장하여도 좋다.
또한,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13) 및 위치결정용 요부(53)는 각각 하우징 기부(11)의 길이방향 양단 및 결합요부(51)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에 신호용 콘택트와 전원용 콘택트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설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전편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 내에 혼입하여도 격벽에 의해 신호용 콘택트와 전원 용 콘택트의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서로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전기 커넥터가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대 커넥터가 상기 위치결정용 안내부가 감입되는 위치결정용 요부를 갖는 상대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에 설치되어,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 각각에 접촉하는 상대 신호용 콘택트 및 상대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있어서, 하우징에 신호용 콘택트와 전원용 콘택트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상대 하우징에 격벽이 감입되는 격벽용 요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결합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설치한 전기 커넥터와 상대 하우징에 위치결정용 안내부가 감입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용 요부를 설치한 상대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신호용 콘택트와 전원용 콘택트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앞뒤 바뀌어 결합되면, 전기 커넥터의 격벽이 상대 커넥터의 격벽용 요부에 감입되지 않아, 전기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에 대한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상대 하우징에 대해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부세되어 상기 상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신호용 콘택트의 접촉부 및 상기 상대 전 원용 콘택트의 접촉부를 덮는 샷다부재와, 상기 상대 하우징에 부착된 금속제의 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쉘부재에 상기 샷다부재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편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샷다부재가 상방위치, 즉 전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하기 전에는 샷다부재에 의해 상대 신호용 콘택트의 접촉부 및 전원용 콘택트의 접촉부가 보호되며, 이들 접촉부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샷다부재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결합면에서 돌출하는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신호용 콘택트와 상기 전원용 콘택트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상호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결합면에서 돌출하는 위치결정용 안내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위치결정용 안내부가 감입되는 위치결정용 요부를 갖는 상대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용 콘택트 및 전원용 콘택트 각각에 접촉하는 상대 신호용 콘택트 및 상대 전원용 콘택트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신호용 콘택트와 상기 전원용 콘택트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을 설치하고,
    상기 상대 하우징에 상기 격벽이 감입되는 격벽용 요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기 상대 하우징에 대해서 상방위치와 하방위치의 사이 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부세되어 상기 상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신호용 콘택트의 접촉부 및 상기 상대 전원용 콘택트의 접촉부를 덮는 샷다부재와, 상기 상대 하우징에 부착된 금속제의 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쉘부재에 상기 샷다부재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60016695A 2005-03-04 2006-02-2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60096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60642 2005-03-04
JP2005060642A JP2006244902A (ja) 2005-03-04 2005-03-04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90A true KR20060096290A (ko) 2006-09-11

Family

ID=3694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695A KR20060096290A (ko) 2005-03-04 2006-02-21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73382B2 (ko)
JP (1) JP2006244902A (ko)
KR (1) KR20060096290A (ko)
CN (1) CN100576647C (ko)
TW (1) TWM2993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68U (ko) * 2019-06-20 2020-12-3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전송 보드 대 보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7169A1 (en) 2003-01-28 2004-07-29 Allison Jeffrey W. Power connector with safety feature
US7458839B2 (en) 2006-02-21 2008-12-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power contacts with alignment and/or restraining features
WO2005065254A2 (en) 2003-12-31 2005-07-2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tacts and connectors comprising same
US7384289B2 (en) 2005-01-31 2008-06-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urface-mount connector
US7726982B2 (en) 2006-06-15 2010-06-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with air-circulation features
US7905731B2 (en) 2007-05-21 2011-03-1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distribution features
US7762857B2 (en) * 2007-10-01 2010-07-2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onnectors with contact-retention features
US8062051B2 (en) 2008-07-29 2011-11-2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latching and strain relief features
USD610548S1 (en) 2009-01-16 2010-02-2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Right-angle electrical connector
USD606497S1 (en) 2009-01-16 2009-12-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08293S1 (en) 2009-01-16 2010-01-1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40637S1 (en) 2009-01-16 2011-06-28 Fci Americas Technology Ll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64096S1 (en) 2009-01-16 2012-07-24 Fci Americas Technology Ll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19099S1 (en) 2009-01-30 2010-07-0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US8323049B2 (en) 2009-01-30 2012-12-04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wer contacts
US8366485B2 (en) 2009-03-19 2013-02-0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ibbed ground plate
USD618180S1 (en) 2009-04-03 2010-06-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Asymmetr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18181S1 (en) 2009-04-03 2010-06-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Asymmetrical electrical connector
JP5090432B2 (ja) 2009-12-21 2012-12-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嵌合案内部品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装置
JP5184619B2 (ja) 2010-12-21 2013-04-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73757B2 (ja) 2010-12-22 2013-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2930658U (zh) * 2011-08-12 2013-05-08 Fci公司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EP2624034A1 (en) 2012-01-31 2013-08-07 Fci Dismountable optical coupling device
USD727852S1 (en) 2012-04-13 2015-04-28 Fci Americas Technology Llc Ground shield for a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US8944831B2 (en) 2012-04-13 2015-02-0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ibbed ground plate with engagement members
USD727268S1 (en) 2012-04-13 2015-04-2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9257778B2 (en) 2012-04-13 2016-02-09 Fci Americas Technology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D718253S1 (en) 2012-04-13 2014-11-2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D751507S1 (en) 2012-07-11 2016-03-1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US9543703B2 (en) 2012-07-11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stack height
USD745852S1 (en) 2013-01-25 2015-12-2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USD720698S1 (en) 2013-03-15 2015-01-06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6112555B2 (ja) * 2013-06-05 2017-04-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9426931B2 (en) 2014-02-07 2016-08-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Fluid-flow-through cooling of circuit boards
US10170868B1 (en) * 2017-10-16 2019-01-01 Jae Electronics, Inc. Connector
JP7044622B2 (ja) * 2018-04-27 2022-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TWI712231B (zh) * 2019-04-10 2020-12-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結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254Y2 (ja) * 1990-09-27 1996-08-28 ホシデン株式会社 プラグ及びソケット
JP3354866B2 (ja) * 1998-03-31 2002-12-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ドッキングコネクタ
US20020098743A1 (en) * 1998-04-17 2002-07-25 Schell Mark S. Power connector
DE19836693A1 (de) * 1998-08-13 2000-02-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teckverbindung zum Anschluß von Signal- und Stromversorgungsleitungen an einen Verbraucher
JP2002184521A (ja) * 2000-12-18 2002-06-2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181895B2 (ja) * 2003-02-25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
TWI275213B (en) * 2004-06-11 2007-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868U (ko) * 2019-06-20 2020-12-3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속 전송 보드 대 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8542A (zh) 2006-10-18
TWM299388U (en) 2006-10-11
CN100576647C (zh) 2009-12-30
JP2006244902A (ja) 2006-09-14
US20060199417A1 (en) 2006-09-07
US7273382B2 (en) 200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6290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CN109565135B (zh) 连接器
EP1986275B1 (en) Connector
US956469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7690946B2 (en) Contact organiz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07078426B (zh) 插头、插座以及具备它们的基板连接用连接器
US20090061661A1 (en) Mezzanine-type electrical connectors
US2021011150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CN109496377B (zh) 触头
US20230042553A1 (en) Connector
US8758043B2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
KR20120075341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2022005248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foolproof structure
KR102395645B1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JP3226008U (ja) バックルコネクタ
CN114600321A (zh) 连接器
US20230012762A1 (en) Terminal and Central Electrical Box
KR102330375B1 (ko) 보호소자가 구비된 커넥터
US2024002202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7196402B2 (ja) コネクタ装置
JP700243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