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047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047A
KR20090109047A KR1020080129256A KR20080129256A KR20090109047A KR 20090109047 A KR20090109047 A KR 20090109047A KR 1020080129256 A KR1020080129256 A KR 1020080129256A KR 20080129256 A KR20080129256 A KR 20080129256A KR 20090109047 A KR20090109047 A KR 2009010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rtial
images
sub
or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226B1 (ko
Inventor
히데아키 아시카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Figure P1020080129256
화상 수용 모듈, 영역 순서 부여 모듈, 서브 화상 추출 모듈, 가공 모듈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매체가 종이인 문서에 사용자가 기입한 추기(追記) 등을 검출하거나, 보안 문서가 개찬(改竄)되어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검증하거나 하는 등의, 문서에 대한 추가나 삭제 등의 변경 개소를 명확히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원본과 종이 문서(원본과 비교하고 싶은 문서, 즉, 추기 등이 행해져 있을 가능성이 있는 문서)를 스캐너로 판독하여, 양자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분을 추출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것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차분 처리 후에서의 잔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가필 화상의 추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필 화상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제 1 영역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전자 문서의 원고 화상의 각각의 영역과 제 2 영역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가필 중첩 화상의 각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위치 시프트량을 화상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한 위치 시프트량에 의거하여 화상 차분 처리 수단으로 위 치를 보정하여 차분 처리를 행하고, 이에 따라, 전자 문서의 원고 화상과 가필 중첩 화상의 사이에서 시프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위치 시프트를 보정하고나서 차분 처리를 행함으로써, 차분 처리 후에서의 잔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필 화상의 추출 정밀도가 향상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전자 문서와 가필 중첩 화상으로부터의 가필 추출시에, 가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잔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정밀도가 높은 가필 추출을 행할 수 있는 가필 추출 장치 및 가필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가필 추출 장치는, 전자 문서의 원고 화상과 전자 문서를 종이에 출력한 후에 손으로 쓴 가필이 중첩한 상태로 스캐너 등의 화상 판독 장치에서 재차 전자화된 화상으로부터, 문자 인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소영역으로 분할해서 소영역마다 가필 추출 조작의 필요성의 유무를 판정하는 영역 분할부와, 이것에 의해 분할되어 차분 계산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소영역에 대해서 차분 계산을 행하는 화상 차분부와, 이것에 의해 차분 처리된 화상에 대해서 보간(補間) 처리를 행하는 화상 보간부를 가지며, 이에 따라, 가필 추출의 정밀도가 향상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전자 문서 파일 및 화상 파일의 갱신에 따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여, 파일의 보존 영역의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하고, 원래의 전자 문서 파일을 영상화한 화상 데이터(원문서 화상 데이터)의 블랙 화소에 대해서 화상 팽창부에 의해 팽창 처리를 행하고, 위치 맞춤시의 오차를 보정하고, 다음에 가필된 인쇄물을 이미지 스캐너로 판독한 화상 데이터(가필 화상 데이터)와, 원문서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부분 영역 분할부에 의해 각각 화상 데이터 영역의 분할을 행하고, 그 후, 직사각형 추출부에 의해 직사각형 정보를 취득하고, 직사각형 비교·위치 맞춤부에서 화상 데이터끼리의 위치맞춤을 행하고, 논리 계산부에 의해 화소 단위에서의 배타적 논리합을 산출하여, 차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차분 정보와, 원문서 화상 데이터를 보존함으로써 데이터 영역의 절약을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4-28768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4-21323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4-341914호 공보
종래 기술에서는,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필요로 하고, 또한, 그 위치 맞춤이 되었다고 해도, 행간격이나 문자 간격이 변화된 경우는 그 내용이 변화되지 않음(예를 들면, 문자의 변경 등이 행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화상으로서의 차분을 추출해버린다.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고,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하도록 한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다음 각 항의 발명에 있다.
[1] 본 발명의 한 측면으로서는,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2]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은, 각각 복수의 페이지를 가져도 좋고, 상기 순서 부여 수단은, 각각의 상기 화상의 페이지에 의거하여, 상기 부분 화상의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순서 부여를 행해도 좋다.
[3] [1] 또는 [2]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차이 추출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과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개개의 부분 화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비교의 순서는,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행해도 좋다.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제 1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그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 2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을, 그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이다.
[5] [4]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은, 각각 복수의 페이지를 갖고 있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의 복수 페이지 에 걸치는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순서 부여 수단은, 상기 제 2 화상의 페이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순서 부여를 행해도 좋다.
[6] [4] 또는 [5]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로서, 그 부분 화상의 순서 및 그 부분 화상의 특징량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차이 추출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과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개개의 부분 화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비교의 순서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의 순서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한 순서 부여에 의거하여 행해도 좋다.
[7] [1] 또는 [4]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차이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차이가 있는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화상 또는 상기 제 2 화상을 가공하는 화상 가공 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다.
[8]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는,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다.
[9]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는, 제 1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그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 2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을, 그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이다.
[10]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는, 컴퓨터를,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는, 컴퓨터를, 제 1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그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 2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을, 그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여,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복수의 화상간에서도,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3]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에 비교하여,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위한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다.
[4]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여,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5]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페이지를 갖는 복수의 화상간에서도,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6]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에 비교하여,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위한 처리량을 삭감할 수 있다.
[7]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그 외의 것과 다르게 하여 제시할 수 있다.
[8]의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여,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9]의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여,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10]의 기록 매체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여,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11]의 기록 매체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간에서 비교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 전체의 위치 맞춤을 불필요하게 하여, 부분 화상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화상간의 차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의 적합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듈이란, 일반적으로 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 하드웨어 등의 부품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모듈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모듈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구성에서의 모듈도 가리킨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시스템 및 방법의 설명도 겸하고 있다. 단, 설명의 편의상, 「기억한다」, 「기억시킨다」, 이들과 동등한 문언을 사용하지만, 이들의 문언은, 실시예가 컴퓨터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기억 장치에 기억시킨다, 또는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모듈은 기능에 거의 1대1로 대응하고 있지만, 실장(實裝)에서는, 1모듈을 1프로그램으로 구성해도 좋고, 복수 모듈을 1프로그램으로 구성해도 좋고, 반대로 1모듈을 복수 프로그램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복수 모듈은 1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고, 분산 또는 병렬 환경에서의 컴퓨터에 의해 1모듈이 복수 컴퓨터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1개의 모듈에 다른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하, 「접속」이란 물리적인 접속 외에, 논리적인 접속(데이터의 수수, 지시, 데이터간의 참조 관계 등)의 경우에도 사용한다.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란, 복수의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 등이 네트워크(1대1 대응의 통신 접속을 포함) 등의 통신 수단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 외에, 1개의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 등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장치」와 「시스템」은, 서로 동의(同義)의 용어로서 사용한다. 또한, 소정이라는 용어는, 미리 정해진 의미 이외에, 그 때의 상황·상태에 따라, 또는 그때까지의 상황·상태에 따른 의미를 포함해서 사용한다.
비교하는 화상으로서, 복수의 화상간이면 좋지만, 이하, 2개의 화상(1페이지 또는 2페이지 이상도 포함)을 대상으로 하여, 1개의 비교되는 화상(소위 원본의 화상, 이하 「화상 A」라고도 함)과 1개의 비교하는 화상(변경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화상, 이하 「화상 B」라고도 함)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화상으로서, 문서를 예시하지만, 부분 화상(이하, 서브 화상이라고도 함)을 갖고 있는 화상이면 좋다. 부분 화상으로서, 일본어의 문자의 화상을 예시하지만, 알파벳이나, 간체자, 번체자, 한글 등의 문자라도 좋다. 또한, 문자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문자의 일부분, 반대로 복수의 문자, 도형 등이라도 좋다. 또한, 화상의 내용으로서, 비지니스용으로 사용되는 문서, 광고 선전용의 팸플릿 등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수용 모듈(100), 전(前)처리 모듈(110), 영역 추출 모듈(120),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 대조 모듈(170), 가공 모듈(180), 출력 모듈(190)을 갖고 있다.
화상 수용 모듈(100)은, 전처리 모듈(110)과 접속되어 있어, 화상을 받아들여서, 그 화상을 전처리 모듈(110)에 넘긴다. 화상을 수용한다는 것은, 스캐너로 화상을 읽어 들이는 것, 팩스로 화상을 수신하는 것, 화상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그 화상은, 1매라도 좋고, 복수매라도 좋다. 또한, 수용하는 화상은 반드시 종이 매체의 화상일 필요는 없고, 전자 문서 (즉, 인쇄하기 전의 전자 문서로서, 예를 들면,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주체의 전자 문서 등)를 수용하고, 그것으로부터 인쇄용의 화상을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전처리 모듈(110)은, 화상 수용 모듈(100), 영역 추출 모듈(120)과 접속되어 있어, 전처리 모듈(110)로부터 화상을 받아들이고, 그 화상에 대해서 전처리를 행하고, 그 전처리를 행한 화상을 영역 추출 모듈(120)에 넘긴다. 전처리로서, 예를 들면, 받아들인 화상이 다치(多値) 화상(컬러 화상을 포함)이면, 2치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 화상에 대해서 정립(正立) 처리를 행하는 것, 스큐(skew) 보정을 행하는 것, 노이즈 제거를 행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정립 처리란, 화상의 방향을 일반적인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4방향으로 화상을 회전시키면서 문자 인식 처리를 행하고, 가장 인식율이 높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이 있고, 기존의 기술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스큐 보정이란, 경사(傾斜)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스캐너 등으로 판독한 경우에 경사가 발생하고, 그 화상에 대해서, 허프(huff) 변환으로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여, 그것이 수직 또는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키는 등이 있고, 기존의 기술을 이용해도 좋다.
영역 추출 모듈(120)은, 전처리 모듈(110),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과 접속되어 있어, 전처리 모듈(110)로부터 화상을 받아들이고, 그 화상을 구성하는 영역(예를 들면, 문자 영역, 도형 영역, 사진 등의 영역)을 추출하고, 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에 넘긴다. 예를 들면, 화상 내에서 문자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을 블록(직사각형의 영역)으로서 추출하는 것이며, 문자와 이미 지의 분리 기술이나 문자 인식 처리에서의 전처리인 문자 영역 추출 기술 등의 기존의 기술을 이용해도 좋다.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은, 영역 추출 모듈(120),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과 접속되어 있어, 영역 추출 모듈(120)로부터 영역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중에서 대상으로 하는 영역에 대해서, 순서 부여를 행하고, 그 순서 부여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에 넘긴다. 예를 들면, 횡서(좌에서 우로 문자가 쓰여 있는 경우) 문서의 경우, 문자 영역에 대해서, 그 화상 위에 있는 것으로부터 차례로 순서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하의 위치로서 소정 범위 내에 있고, 가로로 배열되어 문자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좌에서 우로 순서를 부여한다. 또한, 종서 문서의 경우에는, 그 화상의 우측에 있는 것으로부터 차례로 순서를 부여한다. 그리고, 좌우의 위치로서 소정 범위 내에 있고, 세로로 배열되어 문자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를 부여한다. 또한,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이, 횡서, 종서의 판단을 행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일반적인 읽기 순이 되도록 순서 부여를 행하지만, 반드시 정확한 읽기 순이 될 필요는 없다. 단, 비교하는 화상간에서는 같은 순서 부여의 규칙에 의거하여, 영역의 순서 부여를 행한다.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은,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과 접속되어 있어,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로부터 순서 부여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영역 내의 화상으로부터 서브 화상을 추출하여,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에 넘긴다. 예를 들면, 대 략 1문자 단위의 서브 화상을 추출한다. 그 때, 추출한 페이지, 위치를 기억해 둔다. 문자 인식 기술의 전처리인 문자 추출 기술 등의 기존의 기술을 이용해도 좋다.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은,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과 접속되어 있고,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에 의해서 추출된 서브 화상을, 화상 내에서의 그 서브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고, 그 순서 부여한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넘긴다. 예를 들면, 횡서 문서의 경우, 서브 화상에 대해서, 그 화상 위에 있는 것으로부터 차례로 순서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하 위치로서 소정 범위 내에 있고, 가로로 배열되어 서브 화상이 있는 경우에는, 좌에서 우로 순서를 부여한다. 또한, 종서 문서의 경우에는, 그 화상의 우측에 있는 것으로부터 차례로 순서를 부여한다. 그리고, 좌우의 위치로서 소정 범위 내에 있고, 세로로 배열되어 문자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를 부여한다. 또한,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이, 횡서, 종서의 판단을 행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일반적인 읽기 순이 되도록 순서 부여를 행하지만, 반드시 정확한 읽기 순이 될 필요는 없다. 단, 비교하는 화상간에서는 같은 순서 부여의 규칙에 의거하여, 서브 화상의 순서 부여를 행한다.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은,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대조 모듈(170)과 접속되어 있어,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로부터 영역 내에서 순서 부여된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그 서브 화상에 화상 전체를 통한 순 서 부여를 행하여, 그 순서 부여된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대조 모듈(170)에 넘긴다. 즉, 화상 내에 문자 영역이 복수 있던 경우에는,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에 의해 순서 부여된 영역을 따라, 서브 화상에 순서를 부여한다. 화상이 복수 페이지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페이지를 통과한 순서이다. 2페이지 이후에 있는 서브 화상은, 이전의 페이지에 있는 서브 화상의 뒤가 되도록 순서 부여를 행한다. 즉, 3단계에서 소트(순서 부여)를 행하고, 그 소트 순위는, 제일 우선으로서 페이지의 순서, 제 2 우선으로서 그 페이지 내의 문자 영역의 순서, 제 3 우선으로서 그 문자 영역 내의 서브 화상의 순서가 된다.
또한, 전처리 모듈(110)로부터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까지의 처리는, 화상(A)과 화상(B)에 대해서 각각 처리를 행한다. 단, 각각의 모듈이 화상(A)에 대한 처리를 행한 후에 화상(B)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는 순서일 필요는 없고, 화상(A)에 대한 처리를 전처리 모듈(110)로부터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순차적으로 행하고, 그 결과를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이 기억 장치에 기억시켜 두고, 그 후에, 화상(B)에 대한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이 기억 장치는, 화상(A)에서 추출된 서브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화상(A) 내에서의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화상(A)이 복수 페이지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순서 부여된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화상(A)에 대해서는, 대조 모듈(170)에 의한 서브 화상에 대한 특징 추출까지 행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로서, 그 서브 화상의 순서 및 서브 화상의 특징량을 기억하고 있어도 좋다.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경우, 비교하는 화상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화상(A)에 대한 처리는 1회로 끝나게 된다.
대조 모듈(170)은,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 가공 모듈(180)과 접속되어 있어,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순서 부여된 서브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화상(A)과 화상(B)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그 서브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여, 화상(A)과 화상(B)의 차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차이에 관한 정보를 가공 모듈(180)에 넘긴다. 또한, 대조 모듈(170)은, 화상(A) 내에서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과 화상(B) 내에서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개개의 서브 화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비교의 순서는,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순서 부여된 서브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기억 장치에 화상(A) 내의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조 모듈(170)은, 그 기억 장치 내의 서브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순서 부여된 화상(B) 내에서의 서브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화상(A)과 화상(B)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그 서브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여, 화상(A)과 화상(B)의 차이를 추출한다. 또한,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A) 내에서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과 화상(B) 내에서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개개의 서브 화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비교의 순서는,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A) 내의 서브 화상의 순서 및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한 화상(B) 내의 서브 화상의 순서 부여에 의거하여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추출하는 차이로서, 예를 들면, 서브 화상의 삭제, 삽입, 변경이 있다. 이 경우, 화상(A)과 화상(B)의 서브 화상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은 후에, 화상(A)의 서브 화상을 고정하여 화상(B)의 서브 화상을 탐색해서 일치하는 것이 있던 경우에는 「삽입」이라고 판정하고, 화상(B)의 서브 화상을 고정하여 화상(A)의 서브 화상을 탐색해서 일치하는 것이 있던 경우에는 「삭제」로 판정하고, 어느 것도 아닌 경우에는 「변경」으로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일치하지 않은 후에 행하는 탐색은,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 화상에 대해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가공 모듈(180)은, 대조 모듈(170), 출력 모듈(190)과 접속되어 있어, 대조 모듈(170)에 의해 추출된 차이가 있는 서브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화상(A) 또는 화상(B)을 가공하고, 그 가공한 화상을 출력 모듈(190)에 넘긴다. 예를 들면, 대조 모듈(170)에 의해 다르다고 판단된 서브 화상의 위치에 상응하는 화상(A) 또는 화상(B)에, 다른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가공을 실시한다. 가공에는, 「기호(예를 들면, ◆ 등)」등의 표시를 붙인다, 문자를 굵게 한다/색을 변경한다 /배경색을 변경하는 등이 있다. 또한, 화상 자체를 가공해도 좋고, 화상에 부전(주석)을 첨부해도 좋다. 또한, 화상을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서브 화상을 블링크(blink)하거나 해도 좋다.
출력 모듈(190)은, 가공 모듈(180)과 접속되어 있어, 가공 모듈(180)로부터 가공된 화상을 받아들이고, 그 화상을 출력한다. 또한, 화상을 출력한다는 것은, 프린터에 의해 인쇄하는 것,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 팩스로 화상을 송 신하는 것, 화상 데이터베이스 등에 화상을 저장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210부터 스텝 S224까지의 처리는 화상(A)에 대한 처리이며, 스텝 S230 내지 스텝 S244에 대한 처리는 화상(B)에 대한 처리이다. 양자는, 동일한 처리이므로, 화상(A)에 대한 처리(스텝 S210부터 스텝 S224까지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하고, 화상(B)에 대한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12에서는, 전처리 모듈(110)이, 화상(A)에 대해서 정립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14에서는, 전처리 모듈(110)이, 화상(A)에 대해서 스큐 보정을 행한다.
스텝 S216에서는, 영역 추출 모듈(120)이, 스텝 S212, 스텝 S214에서 전처리된 화상(A)의 각 페이지로부터 문자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문자 영역뿐만 아니라, 도형 영역 등을 추출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도 4를 이용하여, 문자 영역 등의 추출 결과를 저장하는 영역 데이터 테이블(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영역 데이터 테이블(400)은, No.란(401), 좌상(左上) x좌표란(402), 좌상 y좌표란(403), 폭란(404), 높이란(405), 페이지란(406), 영역란(407), 영역 순서란(408), 서브 화상란(409)을 갖고 있다. 서브 화상란(409)은, 최초란(410), 최후란(411)을 갖고 있다.
No.란(401)은, 추출한 영역을 일의적(一意的)으로 식별하는 부호를 기억한다.
좌상 x좌표란(402), 좌상 y좌표란(403), 폭란(404), 높이란(405)은, 그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고, 각각은, 그 페이지 내에서의 직사각형 영역의 좌상 코너의 x좌표, y좌표, 영역의 폭, 높이를 기억한다.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좌상 좌표와 우하(右下) 좌표 등이라도 좋다.
페이지란(406)은, 그 화상에서의 페이지 순서를 기억한다.
영역란(407)은, 영역의 종류(문자 영역, 도형 영역 등)를 기억한다. 스텝 S218 이후에서는, 문자 영역만을 대상으로 하여 처리를 행한다.
영역 순서란(408)은, 스텝 S218에 의한 문자 영역에 대한 순서 부여의 결과를 기억한다.
서브 화상란(409)은, 그 영역 내에 있는 서브 화상을 기억한다. 최초란(410)은, 그 영역 내의 선두에 있는 서브 화상의 도 5의 예에 나타낸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No.란(501)의 부호를 기억한다. 최후란(411)은, 마찬가지로, 그 영역 내의 최후 말미에 있는 서브 화상의 도 5의 예에 나타낸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No.란(501)의 부호를 기억한다.
스텝 S218에서는,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이, 화상(A)의 각 페이지 내에서의 문자 영역의 순서 부여를 행한다. 이 결과를 영역 데이터 테이블(400)의 영역 순서란(408)에 기억한다.
스텝 S220에서는,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이, 화상(A)의 각 페이지(의 문자 영역) 내에서 서브 화상을 추출한다.
여기서, 도 5를 이용하여, 서브 화상의 추출 결과를 저장하는 서브 화상 데 이터 테이블(5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은, No.란(501), 좌상 x좌표란(502), 좌상 y좌표란(503), 폭란(504), 높이란(505), 영역 내 순서란(506), 페이지 내 순서란(507), 전체 순서란(508), 플래그란(509), 서브 화상란(510)을 갖고 있다.
No.란(501)은, 추출한 서브 화상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부호를 기억한다.
좌상 x좌표란(502), 좌상 y좌표란(503), 폭란(504), 높이란(505)은, 그 서브 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은, 그 페이지 내에서의 직사각형 영역의 좌상 코너의 x좌표, y좌표, 영역의 폭, 높이를 기억한다.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좌상 좌표와 우하 좌표 등이라도 좋다.
영역 내 순서란(506)은, 스텝 S222에 의한 결과(그 문자 영역 내의 서브 화상의 순서)를 기억한다.
페이지 내 순서란(507), 전체 순서란(508)은, 스텝 S224에 의한 결과(그 화상 내의 서브 화상의 순서)를 기억한다.
플래그란(509)은, 스텝 S260, 스텝 S268, 스텝 S270에 의한 결과를 기억한다.
서브 화상란(510)은, 그 서브 화상을 기억한다. 기억하는 내용은, 서브 화상 그 자체라도 좋고, 서브 화상을 기억하고 있는 장소에의 링크라도 좋다.
스텝 S222에서는,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이, 서브 화상의 그 문자 영역 내에서의 순서 부여를 행한다. 이 결과를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영역 내 순서란(506)에 기억한다.
스텝 S224에서는,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이, 서브 화상의 화상(A) 내에서의 순서 부여를 행한다. 즉, 복수의 문자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18에서의 순서 부여에 따라서 서브 화상의 순서 부여를 행하고, 복수 페이지인 경우에는, 그 페이지순에 따라서 서브 화상의 순서 부여를 행한다. 이 결과를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페이지 내 순서란(507), 전체 순서란(508)에 기억한다.
스텝 S250부터 스텝 S270까지의 처리는, 대조 모듈(170)이 행한다.
스텝 S250에서는, 화상(A) 및 화상(B) 내의 서브 화상에 대해서, 스텝 S224, 스텝 S244에서 각각 소트된 결과에 따라서, 미대조의 서브 화상을 순차적으로 대조한다. 즉, 서브 화상의 각각의 화상 내에서의 순서에 따라서, 그 서브 화상간의 대조를 행한다. 항상 같은 순서끼리를 대조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순서에서 대조한다. 그리고, 모든 서브 화상에 대해서 대조가 종료했을 때는, 스텝 S272로 진행한다. 대조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스텝 S252에서는, 스텝 S250의 대조 처리의 결과, 2개의 서브 화상이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Y)는 스텝 S250으로 되돌아가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254로 진행한다. 단, 여기서 동일하다는 것은, 서브 화상간에서 차가 없는 것 이외에, 그 차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도 포함한다(이하, 동일).
스텝 S254에서는, 화상(A)의 일치하지 않은 서브 화상과 그것에 이어지는 합계 N개(N은 0이상의 정수)의 서브 화상열에 착목(着目)한다. 즉, 이 서브 화상열을 스텝 S256에서의 고정된 대조 대상으로 한다.
스텝 S256에서는, 화상(B)의 서브 화상에서, 일치하지 않은 서브 화상 이후로부터, 스텝 S254의 착목 서브 화상열에 일치하는 서브 화상열을 대조한다.
스텝 S258에서는, 스텝 S256의 대조 처리의 결과, 2개의 서브 화상열(화상 A의 착목 서브 화상열과 화상(B)의 서브 화상열)이 일치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일치하는 것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Y)는 스텝 S260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262로 진행한다. 단, 여기서 일치란, 서브 화상열간에서 차가 없는 것 이외에, 그 차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도 포함한다(이하, 동일).
스텝 S260에서는, 화상(B)의 서브 화상에서, 일치 위치까지의 서브 화상열에 「삽입」플래그를 첨부한다. 즉, 화상(A)의 착목 서브 화상열과 같은 것이, 화상(B) 내에 있는 것이 판명되었으므로, 그것까지의 사이의 화상(B)의 서브 화상은 화상(A)과 비교하면 삽입된 것이다. 이 결과를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플래그란(509)에 기억한다.
스텝 S262, 스텝 S264는, 스텝 S254, 스텝 S256의 반대의 처리이다. 즉, 스텝 S254, 스텝 S256은, 화상(A)의 서브 화상을 고정하여 대조했지만, 스텝 S262, 스텝 S264에서는 화상(B)의 서브 화상을 고정하여 대조한다.
스텝 S262에서는, 화상(B)의 일치하지 않은 서브 화상과 그것에 이어지는 합계 N개의 서브 화상열에 착목한다. 즉, 이 서브 화상열을 스텝 S264에서의 고정한 대조 대상으로 한다.
스텝 S264에서는, 화상(A)의 서브 화상에서, 일치하지 않은 서브 화상 이후 로부터, 스텝 S262의 착목 서브 화상열에 일치하는 서브 화상열을 대조한다.
스텝 S266에서는, 스텝 S264의 대조 처리의 결과, 2개의 서브 화상열(화상(A)의 서브 화상열과 화상(B)의 착목 서브 화상열)이 일치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일치하는 것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Y)는 스텝 S268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2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8에서는, 화상(A)의 서브 화상에서, 일치 위치까지의 서브 화상열에 「삭제」플래그를 첨부한다. 즉, 화상(B)의 착목 서브 화상열과 같은 것이, 화상(A) 내에 있는 것이 판명되었으므로, 그것까지의 사이의 화상(A)의 서브 화상은 화상(B)과 비교하면 삭제된 것이다. 이 결과를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플래그란(509)에 기억한다.
스텝 S270에서는, 화상(A), 화상(B)의 착목 서브 화상열의 최초의 1개에, 각각 「변경」플래그를 첨부한다. 즉, 어느 착목 서브 화상도 다른 쪽 화상 내에는 존재하지 않은 것이 판명되었으므로, 착목 서브 화상열의 최초의 것은 변경된 것이다. 이 결과를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플래그란(509)에 기억한다.
스텝 S272에서는, 가공 모듈(180)이, 스텝 S250부터 스텝 S270까지의 처리에서, 「삭제」, 「삽입」, 「변경」이라고 판단된 서브 화상의 위치를 가공한다. 즉,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플래그란(509)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서브 화상의 위치(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좌상 x좌표란(502) 내지 높이란(505))를 가공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서브 화상의 대조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 내의 스텝 S250의 대조 처리에 대한 것이며, 대조 모듈(170)이 행하는 처리이다.
스텝 S310에서는 화상(A)의 서브 화상을 받아들이고, 스텝 S320에서는 화상(B)의 서브 화상을 받아들인다. 즉, 비교할 양자의 서브 화상을 받아들인다.
스텝 S330에서는, 양자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 1(예를 들면, 서브 화상의 외접 직사각형의 크기, 더 구체적으로는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500)의 폭란(504)과 높이란(505))을 비교한다.
스텝 S332에서는, 스텝 S330에서의 비교의 결과, 즉 차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소정 범위 내인 경우(Y)는 스텝 S33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348로 진행한다.
스텝 S334에서는, 양자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 2(예를 들면, 서브 화상의 블랙 화소 수)를 비교한다.
스텝 S336에서는, 스텝 S334에서의 비교의 결과, 즉 차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소정 범위 내인 경우(Y)는 스텝 S338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348로 진행한다.
스텝 S338에서는, 양자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 3(예를 들면, 서브 화상을 세선화(細線化)한 후의 블랙 화소 수)을 비교한다. 또한, 여기서, 세선화한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서체에 좌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는 스캐너로 판독한 경우의 농도의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함이다.
스텝 S340에서는, 스텝 S338에서의 비교의 결과, 즉 차가 소정 범위 내인지 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소정 범위 내인 경우(Y)는 스텝 S342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348로 진행한다.
스텝 S342에서는, 양자의 서브 화상의 특징량 4(예를 들면, 서브 화상간에서의 패턴 매칭 후의 상관 계수값, 더 구체적으로는 2개의 서브 화상간의 EOR 연산 후의 1의 화소 수)를 비교한다.
스텝 S344에서는, 스텝 S342에서의 비교의 결과, 즉 차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소정 범위 내인 경우(Y)는 스텝 S346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N)는 스텝 S348로 진행한다.
스텝 S346에서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화상(A)의 서브 화상과 화상(B)의 서브 화상은 일치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는, 스텝 S252에서 Y의 경우이다.
스텝 S348에서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화상(A)의 서브 화상과 화상(B)의 서브 화상은 불일치로 판정한다. 즉,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는, 스텝 S252에서 N의 경우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처리예는, 비교 처리 부하가 적은 것부터 차례로 4단계의 비교를 행하고 있다. 이것은, 불일치의 것은 부하가 큰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비교의 단계 수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비교를 행해도 좋고 (예를 들면, 문자 인식 처리에 사용되는 특징 추출과 동등한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는 등을 추가), 적은 비교라도 좋다. 또한, 비교하는 특징량은 이들에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특징량을 이용해도 좋다.
도 6, 도 7,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1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의 (a1), (b1)은, 화상(A)으로서 화상(610)을 예시하고, 화상(B)으로서 화상(620)을 예시한 것이다. 즉, 화상(620)은, 화상(610)의 행간을 변경하여, 문자의 일부분이 변경된 것이다. 이 경우, 화상(610)과 화상(620)에서 전체의 위치 맞춤을 행하고, 화상으로서 차이를 추출하도록 한 경우, 행간이 다르므로, 「제안 내용」이후의 것은 모두 다르다고 판정하게 된다.
도 6의 (a2), (b2)에 나타낸 화상(610), 화상(620)은, 영역 추출 모듈(120)에 의한 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화상(610)은, 문자 영역(611), 문자 영역(612)을 갖고 있고, 화상(620)은, 문자 영역(621), 문자 영역(622), 문자 영역(623)을 갖고 있다고 판정된다. 이것은, 화상(610)과 화상(620)은, 행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에 의해서, 영역 순서는 화상(610)이 문자 영역(611, 612)이고, 화상(620)이 문자 영역(621, 622, 623)이 된다.
도 7은, 화상(610), 화상(620)에 대해서,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 및 대조 모듈(170)에 의한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에 의해 추출된 서브 화상(문자)을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서 나타내고 있고,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순서 부여된 순서로 서브 화상을 배열한 것(서브 화상(701a) 내지 서브 화상(733a), 서브 화상(701b) 내지 서브 화 상(733b))이다. 즉, 문자 영역이 2개로 분리되었다고 해도, 서브 화상의 순서는 영역을 통과한 순서가 된다. 이 순서 부여된 서브 화상을 대조 모듈(170)에 의해 대조한다. 즉, 각각의 서브 화상의 순서에 따라서, 대응하는 서브 화상간(예를 들면, 서브 화상(701a)과 서브 화상(701b), ···)의 비교를 행하고, 그 결과, 서브 화상(701a) 내지 서브 화상(715a)과 서브 화상(701b) 내지 서브 화상(715b)은 각각 일치한다고 판정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는, 스텝 S250, 스텝 S252가 반복된다. 그리고, 서브 화상(716a)「ろ」와 서브 화상(716b)「x」에서는 불일치로 판정되어, 스텝 S254, S256, S258, S262, S264, S266, S270의 처리가 행해지고, 서브 화상(716a)은 변경되어 서브 화상(716b)이 되었다고 판정된다. 마찬가지로, 서브 화상(717a)「わ」와 서브 화상(717b)「x」, 서브 화상(729a)「か」와 서브 화상(729b)「x」, 서브 화상(730a)「き」와 서브 화상(730b)「x」가 「변경」으로 판정된다.
도 8은, 가공 모듈(180)이 화상(620)(화상(B))에 대해서, 「변경」으로 판정된 서브 화상(서브 화상 716b, 717b, 729b, 730b)의 위치에 가공을 실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나타낸 화상(810)은, 그 위치에 있는 서브 화상(문자 811, 812, 813, 814)을 굵은 글씨로 하고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화상(820)은, 그 위치에 있는 서브 화상(가공 문자 821, 822, 823, 824)의 배경을 착색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케이스 2는, 각각의 화상이 복수 페이지이며, 삽입, 삭제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1), (a2)는, 화상(A)으로서 화상(911, 921)을 예시하고, 도 9의 (b1), (b2)는, 화상(B)으로서 화상(951, 971)을 예시한 것이다. 즉, 화상(B)은, 문자가 삽입 등이 되고, 화상(971)에 전(前) 페이지의 문자열의 일부가 밀려나온 것이다.
도 9의 (a3), (a4), (b3), (b4)에 나타낸 화상(911, 921), 화상(951, 971)은, 영역 추출 모듈(120)에 의한 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화상(911)은, 문자 영역(931, 932)을 갖고 있고, 화상(921)은, 문자 영역(933) 내지 문자 영역(937)을 갖고 있고, 화상(951)은, 문자 영역(981, 982)을 갖고 있고, 화상(971)은, 문자 영역(983) 내지 문자 영역(988)을 갖고 있다고 판정된다.
그리고,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에 의해, 영역 순서는 화상(911)이 문자 영역(931, 932)이고, 화상(921)이 문자 영역(933, 934, 935, 936, 937)이고, 화상(951)이 문자 영역(981, 982)이고, 화상(971)이 문자 영역(983, 984, 985, 986, 987, 988)이 된다.
도 10의 (a), (b)는, 화상(911, 921)의 화상(A), 화상(951, 971)의 화상(B)에 대해서,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및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한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에 의해 추출된 서브 화상(문자)을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서 나타내고 있고,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에 의해 순서 부여된 순서에 서브 화상을 배열한 것(화상(A)은 60개, 화상(B)은 66개의 서브 화상)이다. 즉, 복수 페이지, 복수 영역이었다고 해도, 서브 화상의 순서는 페이지, 영역을 통과한 순서가 된다.
도 11의 (a), (b)는, 대조 모듈(170)에 의한 처리의 도중(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 스텝 S250 내지 스텝 S258)을 나타낸 것이다. 즉, 스텝 S250, S252에서, 서로 12개의 서브 화상까지는 일치한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 스텝 S254에서 N을 1로 한 경우, 즉 화상(A)의 2개의 서브 화상열(「い」와 「う」)을 착목 서브 화상열로 하고, 그것을 화상(B) 내의 그 후의 서브 화상열(13개째의 서브 화상 이후)부터 탐색한다(스텝 S256). 이 경우, 일치하는 것은 없으므로 스텝 S262로 진행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비교의 결과, 일치하는 것은 점선의 화살표, 불일치한 것은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 (b)는, 대조 모듈(170)에 의한 처리의 도중(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 스텝 S250 내지 스텝 S268, 즉 「삽입」과 「삭제」를 판정하는 처리)을 나타낸 것이다. 스텝 S262에서 화상(B)의 2개의 서브 화상열(「わ」와 「を」)을 착목 서브 화상열로 하고, 그것을 화상(A) 내의 그 후의 서브 화상열(13개째의 서브 화상 이후)부터 탐색한다(스텝 S264). 이 경우, 일치하는 것이 17개째의 서브 화상의 열(「わ」와 「を」)이므로 스텝 S268로 진행한다. 스텝 S268에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화상(A) 내의 서브 화상(13개째)부터 화상(B)의 착목 서브 화상열과 일치한다고 판정된 서브 화상의 직전까지의 서브 화상(16개째)까지를 삭제 서브 화상(1201)으로 한다.
그리고, 이 후, 화상(A)의 17개째(「わ」)부터 28개째(「ろ」)까지와 화 상(B)의 13개째 (「わ」)부터 24개째(「ろ」)까지는, 서로 일치하므로 스텝 S250, S252에 의한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화상(A)의 29개째의 서브 화상(「か」)과 화상(B)의 25개째의 서브 화상(「の」)은 불일치하므로, 화상(A)의 29개째와 30개째의 서브 화상열(「か」와 「き」)을 착목 서브 화상열로 하고, 그것을 화상(B) 내의 그 후의 서브 화상열(26개째의 서브 화상 이후)부터 탐색한다. 이 경우, 일치하는 것이 30개째의 서브 화상의 열(「か」와 「き」)이므로 스텝 S26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0에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화상(B) 내의 서브 화상(25개째)부터 화상(A)의 착목 서브 화상열과 일치한다고 판정된 서브 화상의 직전까지의 서브 화상(29개째)까지를 삽입 서브 화상(1202)으로 한다.
그리고, 그 후, 화상(A)의 31개째의 서브 화상과 화상(B)의 32개째의 서브 화상은 일치한다고 판정되어, 처리가 계속된다.
도 13의 (a), (b)는, 마찬가지로 처리를 반복하여, 화상(B)으로부터 삽입 서브 화상(1301)을 판정하고, 그 후, 화상(A)의 착목 서브 화상열 (「の」와 「は」)과 일치하는 것을 화상(B)의 그 후의 서브 화상열로부터 발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의 (a), (b)는,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화상(A)으로부터 삭제 서브 화상(1401)을 판정하고, 화상(B)으로부터 삽입 서브 화상(1402)을 판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정리하면, 화상(A)과 화상(B)의 차이로서, 삭제 서브 화상(1201, 1401), 삽 입 서브 화상(1202, 1301, 1402)을 판정하고 있다.
도 15는, 가공 모듈(180)이 화상(951, 971)(화상(B))에 대해서, 「삭제」,「삽입」으로 판정된 서브 화상(삭제 서브 화상(1201, 1401), 삽입 서브 화상(1202, 1301, 1402)의 위치에 가공을 실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5의 (a1), (a2)에 나타낸 것은, 「삭제」부분은, 그 서브 화상의 전후 각 1개씩의 서브 화상을 선을 굵게 하여 색을 변경한 것이다(문자 1511과 1522, 문자 1523과 1524). 그리고, 「삽입」부분은, 선을 굵게 하여 색을 변경한 것(「삭제」와는 다른 색)이다(문자 1513 내지 1517, 문자 1518 내지 1522, 문자 1525 내지 1527).
또한, 도 15의 (b1), (b2)에 나타낸 것은, 「삭제」부분은, 그 서브 화상의 전후 각 1개씩의 서브 화상을 선을 굵게 하여 배경색을 변경한 것이다(가공 문자 1531, 가공 문자 1534). 그리고, 「삽입」부분은, 선을 굵게 하여 배경색을 변경한 것(「삭제」와는 다른 색)이다(가공 문자 1532, 가공 문자 1533, 가공 문자 1535).
또한, 도 15의 (c1), (c2)에 나타낸 것은, 「삭제」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기호(◆)를 첨부한 것이다(가공 화상 1541, 1552). 그리고, 「삽입」부분은, 선을 굵게 하여 색을 변경한 것(「삭제」의 기호와는 다른 색)이다(문자 1542 내지 1546, 문자 1547 내지 1551, 문자 1553 내지 1555).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구성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스캐너 등의 데이터 판독부(1617)와, 프린터 등의 데이터 출력부(1618)를 구비한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601)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의 모듈, 즉, 영역 추출 모듈(120), 영역 순서 부여 모듈(130), 서브 화상 추출 모듈(140),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150), 전체 순서 부여 모듈(160), 대조 모듈(170) 등의 각 모듈의 실행 시퀀스(sequence)를 기술한 컴퓨터·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이다.
ROM(Read Only Memory)(1602)은, CPU(16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1603)은, CPU(1601)의 실행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서 적절히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다. 이들은 CPU 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16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1604)는, 브리지(1605)를 통하여,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1606)에 접속되어 있다.
키보드(1608),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1609)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 디바이스이다. 디스플레이(1610)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 정보로서 표시한다.
HDD(Hard Disk Drive)(1611)는, 하드디스크를 내장하여, 하드디스크를 구동하고, CPU(1601)에 의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시킨다. 하드디스크에는, 수용된 화상이나 가공 모듈(180)에 의해 가공된 화상 등이 저장된 다. 또한, 그 밖의 각종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등, 각종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드라이브(1612)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removable) 기록 매체(161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1607), 외부 버스(1606), 브리지(1605), 및 호스트 버스(160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RAM(1603)에 공급한다. 리무버블 기록 매체(1613)도,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접속 포트(1614)는, 외부 접속 기기(1615)를 접속하는 포트이며, USB, IEEE(1394) 등의 접속부를 갖는다. 접속 포트(1614)는, 인터페이스(1607), 및 외부 버스(1606), 브리지(1605), 호스트 버스(1604) 등을 통하여 CPU(1601) 등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616)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판독부(1617)는, 예를 들면, 스캐너이며, 문서의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출력부(1618)는, 예를 들면, 프린터이며, 문서 데이터의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은, 1개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실시예는, 도 16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듈을 실행 가능한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면, 일부의 모듈을 전용 하드웨어(예를 들면, 특정 용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로 구성해도 좋고, 일부의 모듈은 외부의 시스템 내에 있고 통신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 는 형태라도 좋고, 또한 도 16에 나타낸 시스템이 복수 서로 통신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서 서로 협조 동작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복사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복합기(스캐너, 프린터, 복사기, 팩스 등의 어느 2개 이상의 기능을 갖고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등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서, 스텝 S250 이하의 처리에서, 「삽입」, 「삭제」, 「변경」을 판정하는 처리예를 나타냈지만, 미리 「변경」뿐이라고 판명되어 있는 경우 또는 삽입, 삭제도 변경으로서 판정하는 경우(즉, 삽입, 삭제 이후는 모두 변경)는, 스텝 S250 이후의 처리를, 스텝 S224, 스텝 S244에서 소트된 순으로 양자의 서브 화상을 대조하고, 다른 서브 화상에 플래그를 첨부하여, 그 다르다고 판정된 서브 화상의 위치를 가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공 모듈(180)은, 화상(B)을 기초로 하여 가공을 행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화상(A)을 기초로 하여 가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양쪽의 화상에 가공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즉, 화상(A)에는 삭제 부분에 관한 가공을 행하고, 화상(B)에는 삽입 부분의 가공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변경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화상에 가공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대조 모듈(170)이 행하는 대조 처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문자열(텍스트열)에 사용되고 있는 대조 처리를 적용해도 좋다.
또한, 설명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제공해도 좋고, 또한 그 프로그램을 통신 수단에 의해 제공해도 좋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설명한 프로그램에 대해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발명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프로그램의 인스톨, 실행, 프로그램의 유통 등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말한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VD)로서, DVD 포럼에서 책정된 규격인 「DVD-R, DVD-RW, DVD-RAM 등」, DVD+RW에서 책정된 규격인 「DVD+R, DVD+RW 등」, 콤팩트 디스크(CD)로서,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CD 리코더블(CD-R), CD 리라이터블(CD-RW) 등, 광자기 디스크(MO), 플렉시블 디스크(FD),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소거 및 재기록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의 프로그램 또는 그 일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보존이나 유통 등을 시켜도 좋다. 또한, 통신에 의해, 예를 들면,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메트로폴리탄 에리어 네트워크(MAN), 와이드 에리어 네트워크(WAN),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등에 사용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한 이들의 조합 등의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전송시켜도 좋고, 또한 반송파에 실어서 반송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의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라도 좋고, 또는 별개의 프로그램과 함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기록 매체로 분할하여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압축이나 암호화 등, 복원 가능하면 어떠한 형태로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구성예에 관한 개념적인 모듈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서브 화상의 대조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4는 영역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서브 화상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1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1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1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2의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본 실시예를 실현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 수용 모듈
110 : 전처리 모듈
120 : 영역 추출 모듈
130 : 영역 순서 부여 모듈
140 : 서브 화상 추출 모듈
150 : 서브 화상 순서 부여 모듈
160 : 전체 순서 부여 모듈
170 : 대조 모듈
180 : 가공 모듈
190 : 출력 모듈

Claims (11)

  1.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은, 각각 복수의 페이지를 갖고 있고,
    상기 순서 부여 수단은, 각각의 상기 화상의 페이지에 의거하여, 상기 부분 화상의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순서 부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추출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과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개개의 부분 화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비교의 순서는,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1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그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 2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을, 그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은, 각각 복수의 페이지를 갖고 있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의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순서 부여 수단은, 상기 제 2 화상의 페이지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복수 페이지에 걸치는 순서 부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로서, 그 부분 화상의 순서 및 그 부분 화상의 특징량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차이 추출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과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특징량을 이용하여 개개의 부분 화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비교의 순서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의 순서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한 순서 부여에 의거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차이가 있는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화상 또는 상기 제 2 화상을 가공하는 화상 가공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제 1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그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 2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을, 그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0. 컴퓨터를,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으로부터 각각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부분 화상을, 각각의 상기 화상 내 에서의 그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컴퓨터를,
    제 1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된 그 제 1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 2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추출하는 부분 화상 추출 수단과,
    상기 부분 화상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을, 그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위치에 의거하여, 순서 부여를 행하는 순서 부여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화상 내의 부분 화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순서 부여 수단에 의해 순서 부여된 상기 제 2 화상 내에서의 부분 화상의 순서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그 부분 화상간의 비교를 행하고, 상기 제 1 화상과 상기제 2 화상의 차이를 추출하는 차이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129256A 2008-04-14 2008-12-18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235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4340A JP4539756B2 (ja) 2008-04-14 2008-04-14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JP-P-2008-104340 200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47A true KR20090109047A (ko) 2009-10-19
KR101235226B1 KR101235226B1 (ko) 2013-02-21

Family

ID=4116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256A KR101235226B1 (ko) 2008-04-14 2008-12-18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1607B2 (ko)
JP (1) JP4539756B2 (ko)
KR (1) KR101235226B1 (ko)
CN (1) CN101561877B (ko)
AU (1) AU200824627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9756B2 (ja) * 2008-04-14 2010-09-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3509820A (ja) 2009-10-28 2013-03-14 ザ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コロンビア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 ザ シティ オブ ニューヨーク 符号化ローリングシャッタ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000528B2 (en) * 2009-12-29 2011-08-16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rinted documents using multi-level image comparison based on document characteristics
JP5724311B2 (ja) * 2010-11-15 2015-05-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2134951A (ja) * 2010-11-30 2012-07-12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331670B2 (en) * 2011-03-22 2012-12-11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Method of detection document alteration by comparing characters using shape features of characters
CN103309847A (zh) * 2012-03-06 2013-09-1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文件比较的方法与设备
JP6051675B2 (ja) * 2012-08-16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35381B2 (ja) 2014-03-17 2015-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490912A (zh) * 2019-02-21 2021-10-08 三菱电机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程序
CN110222590B (zh) * 2019-05-15 2021-05-2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图像差异判断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3559B2 (ja) * 1988-05-20 1998-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認識支援装置
CA2078423C (en) * 1991-11-19 1997-01-14 Per-Kristian Halvors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ementing significant portions of a document selected without document image decoding with retrieved information
US5452105A (en) * 1992-11-19 1995-09-19 Sharp Kabushiki Kaisha Joint-portion processing device for image data for use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699453A (en) * 1994-09-30 1997-12-1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ly tagging of document elements in the column by major white region pattern matching
US6353840B2 (en) * 1997-08-15 2002-03-05 Ricoh Company, Ltd. User-defined search template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documents
JP3432736B2 (ja) * 1997-10-29 2003-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573945B2 (ja) * 1998-03-12 2004-10-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フォーマット認識装置及び文字読み取り装置
JP3821267B2 (ja) * 1999-01-18 2006-09-13 富士通株式会社 文書画像結合装置、文書画像結合方法及び文書画像結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470336B1 (en) * 1999-08-25 2002-10-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ocument image search 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document search program stored thereon
US7221796B2 (en) * 2002-03-08 2007-05-22 Nec Corporatio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2003331217A (ja) * 2002-03-08 2003-11-21 Nec Corp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4120795B2 (ja) 2002-12-27 2008-07-16 株式会社リコー 加筆抽出装置及び加筆抽出方法
JP4275973B2 (ja) * 2003-03-20 2009-06-10 株式会社リコー 加筆画像抽出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加筆画像抽出方法
JP2004334339A (ja) * 2003-04-30 2004-11-2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プログラム
US20040223648A1 (en) * 2003-05-05 2004-11-11 Keith Hoene Determining differences between documents
JP2004341914A (ja) 2003-05-16 2004-12-02 Ricoh Co Ltd 文書ファイリング装置、文書ファイリング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4298588B2 (ja) * 2004-05-31 2009-07-2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検出装置および情報検出方法
JP4641414B2 (ja) * 2004-12-07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画像検索装置、文書画像検索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060146062A1 (en) * 2004-12-30 2006-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classifiers based on face texture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face using statistical features of face texture information
US7702159B2 (en) * 2005-01-14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imilar differences in images
EP1705895A1 (en) 2005-03-23 2006-09-27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lated control method
EP1890268A1 (en) * 2005-06-07 2008-02-20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1226595B (zh) * 2007-01-15 2012-05-23 夏普株式会社 文档图像处理装置以及文档图像处理方法
JPWO2009081791A1 (ja) * 2007-12-21 2011-05-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39756B2 (ja) * 2008-04-14 2010-09-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46275B2 (en) 2010-11-11
US20090257653A1 (en) 2009-10-15
KR101235226B1 (ko) 2013-02-21
CN101561877A (zh) 2009-10-21
JP2009258815A (ja) 2009-11-05
JP4539756B2 (ja) 2010-09-08
CN101561877B (zh) 2013-08-21
AU2008246275A1 (en) 2009-10-29
US8391607B2 (en)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26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569957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5021333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3013636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8217833A (ja) 文書画像認識装置および文書画像認識プログラムの記憶媒体
JP200925187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2122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5005100A (ja) 情報処理装置、テンプレート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08114A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文書処理方法
JP536544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94236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007950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2018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47688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84038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19485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88292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93028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06207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97353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93532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53166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019449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6115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2092549A (ja) 文字認識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