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728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728A
KR20090098728A KR1020090021485A KR20090021485A KR20090098728A KR 20090098728 A KR20090098728 A KR 20090098728A KR 1020090021485 A KR1020090021485 A KR 1020090021485A KR 20090021485 A KR20090021485 A KR 20090021485A KR 20090098728 A KR20090098728 A KR 20090098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tage
axis
axis direction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신야 스즈카
타카미츠 사사키
켄 엔도
토시하루 스즈키
카즈노리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작동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축-방향 이동 부재, 상기 광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내에서 이동가능한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 촬상 장치가 작동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바뀔 때 기준 위치에 대해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이동시키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 사이에 설치된 기계식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가이드한다.
작동 위치, 수납 위치, 기준 위치, 축-방향 이동 부재,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 컨트롤러, 기계식 가이드 장치, 고체 촬상 센서, 로우 패스 필터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축-방향 이동 부재와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는 광축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은 특히 촬상 장치의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광학 장치에 침동식(retractable) 렌즈(침동식 렌즈 배럴)이 폭넓게 사용되어 있다. 또한, 상 흔들림(image shake)을 감소시기키 위해서 촬상 소자(촬상 센서)를 렌즈 시스템의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시키는 흔들림 감소 시스템(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가진 카메라도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157833호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7-128055호).
침동식 렌즈는 작동 위치(예를 들면, 촬영 위치)와 광축 방향으로 상기 작동 위치의 뒤에 있는 수납 위치(예를 들면, 비-촬영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흔들림 감소 시스템을 구비한 카메라에서는, 광학 요소(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대기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정규 위치(중립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가 카메라가 흔들림 감소 모드에 있게 되면 전자기적인 장치에 의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구동된다. 침동식 렌즈와 흔들림 감소 시스템을 조합시켜서, 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하여 카메라 시스템의 소형화를 실행하면, 렌즈 배럴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침동식 렌즈의 축-방향 이동 부재와 흔들림 감소 시스템의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축-방향 이동 부재와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in-plane moving optical element)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수납 상태에서의 촬상 장치의 한층 더 향상된 소형화와, 축-방향 이동 부재와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서로 간섭하는 않는 촬상 장치의 안정적인 수납 동작과의 사이에서 밸런스를 이루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동 상태와 수납 상태를 가진 촬상 장치로서,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광축 방향으로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까지 이동하는 축-방향 이동 부재;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가능한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기준 위치로 상기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시키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는 기계식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motor-powered controller)로 될 수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의 동력이 OFF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가 단독으로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는,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그 이동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이동 한계를 결정하는 스토퍼;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도록 상기 스토퍼쪽으로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 토퍼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의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와 상기 스토퍼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특정한 광학 요소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촬상 소자이고,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상흔들림을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에 형성된 상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하는 촬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상에 장착된 제 1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상에 장착된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가이드 면;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가이드 면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이동 가이드 면은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이동 가이드 면은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이동 가이드 면과 상기 제 2 이동 가이드 면은 각각 상기 광축 방향으로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위한 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상에 장착된 제 1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상 에 장착된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일체로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방향 가이드 구멍(omnidirectional guide hole)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방향 가이드 구멍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작동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2가지 힘 성분: 즉,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제 2 방향의 힘 성분과,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통하여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제 1 방향의 힘 성분의 각각을 만들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기준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향 가이드 구멍은 상기 광축과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뿔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렌즈 그룹은, 상기 광축상에 있는 축상 위치(on-axis position)와 상기 광축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축외 퇴피 위치(off-axis displac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퇴피가능 렌즈 그룹(displaceable lens grou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기 전에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상기 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퇴피가능 렌즈 그룹을 상기 축외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퇴피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촬상 센서를 이동시켜서 상기 촬상 센서에 형성된 피사체 상의 상흔들림을 상쇄시키는 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촬상 장치로서, 광축 방향으로 전방 위치와 상기 전방 위치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축-방향 이동 부재;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상에 장착된 제 1 이동 스테이지;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상에 장착된 제 2 이동 스테이지;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가이드 면;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가이드 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촬상 센서는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지지되어 있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촬상 장치에 의하면,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예를 들면, 컨트롤러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기계식 가이드 장치에 의해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기준 위치로 안내되기 때문에,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 및 촬상 장치의 다른 요소들과의 사이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확실하게 촬상 장치의 수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촬상 장치의 수납 상태에서의 높은 공간 효율에 의해 촬상 장치를 더욱 더 소형화할 수 있으며, 촬상 장치의 수납 동작의 확실성도 확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의 줌렌즈(줌렌즈 배럴)(5)는 디지털 카메라(촬상 장치)에 내장된다. 상기 줌렌즈(5)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촬영 상태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제 3 렌즈 그룹(반경방향으로 퇴피가능 렌즈 그룹)(LG3), 제 4 렌즈 그룹(LG4), 로우 패스 필터(광학 필터)(LF) 및 고체 촬상 센서(이하, 촬상 센서라 함)(60)을 포함하고 있는 촬영 광학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표시되어 있는 "Z1" 은 줌 광학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이다. 줌동작은,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을 광축(Z1)을 따라서 소정의 이동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되고, 포커싱 동작은 광축(Z1)을 따라서 제 4 렌즈 그룹(LG4)을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광축 방향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을 지칭한다.
줌렌즈(5)의 반경방향 최외측에는 고정 배럴(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 배럴(22)의 후부에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이 고정되어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는 촬상 센서(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촬상 센서(60)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 의해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촬상 센서(60)의 유지 구조는 후술한다.
줌렌즈(5)는 고정 배럴(22) 안에 AF 렌즈 프레임(51)을 구비하고 있고, 이 AF 렌즈 프레임(51)은 AF 가이드 샤프트(52)를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다. 즉,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지는 않고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AF 렌즈 프레임(51)은 제 4 렌즈 그룹(LG4)를 유지하고 있다. 줌렌즈(5)는 고정 배럴(22)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는 AF 모터(160)를 구비하고 있고, AF 렌즈 프레임(51)은 AF 모터(160)의 작동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할 수 있다. 줌렌즈(5)는 고정 배럴(22)에 장착된 줌 모터(150)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 배럴(22)의 내측에는 상기 줌 모터(15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줌 기어(28)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배럴(22)의 내주면에는, 광축(Z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내측 헬리코이드(22a)와,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놓여 있는 3개가 한 세트인 링-형상의 원주방향 홈(22b)(도 4에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5)는 고정 배럴(22)의 바로 안쪽에 헬리코이드 링(외측 바깥 배럴/외측 전진 배럴)(18)을 구비하고 있고, 헬리코이드 링(18)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 헬리코이드(18a)가 상기 내측 헬리코이드(22a)와 결합된다. 헬리코이드 링(18)은 고정 배럴(22)로부터 전진하거나 고정 배럴(22) 속으로 후퇴한다. 헬리코이드 링(18)은 외측 헬리코이드(18a)와 내측 헬리코이드(22a)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내측 헬리코이드(22a)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18)의 외주면에는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가이드 돌기(18b)가 구비되어 있다(도 4에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 헬리코이드 링(18)이 소정의 전방 위치까지 전진하면,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가이드 돌기(18b)가 원주방향 홈(22b)으로 각각 들어간 다. 이후, 헬리코이드 링(18)은 고정 배럴(22)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만 하게 된다. 헬리코이드 링(18)의 외주면에는 또한 줌 기어(28)와 맞물리는 외측 원주방향 기어(18c)가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5)는 헬리코이드 링(18)의 안쪽에 위치되어 헬리코이드 링(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은 복수의 직진 가이드 홈(22c)(도 4에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을 통하여 고정 배럴(22)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된다.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은 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광축 방향으로 헬리코이드 링(18)과 일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헬리코이드 링(18)과 결합되어 있다.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은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3개가 한 세트인 관통 슬롯(14a)을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5)는 헬리코이드 링(18)의 안쪽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축-방향 이동 부재)(15)을 구비하고 있고, 3개가 한 세트인 관통 슬롯(14a)은 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을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한다. 3개가 한 세트인 관통 슬롯(14a)은 각각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복수의 캠 종동자(l5a)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복수의 캠 종동자(l5a)는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3개가 한 세트인 관통 슬롯(14a)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직진 가이드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고). 복수의 캠 종동자(l5a)는, 헬리코이드 링(18)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캠 홈(l8d)에 각각 결합된다. 헬리코이드 링(18)이 회전하면, 직진 안내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복수의 캠 홈(l8d)의 궤적에 따라 헬리코이드 링(18) 및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줌렌즈(5)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안쪽에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피벗 샤프트(17)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피벗 샤프트(17)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스윙 아암(swing arm)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윙 아암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제 3 렌즈 그룹(LG3)을 유지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축상 위치(촬영 위치)와,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촬영 광축(Z1)에 대해 편심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축외 퇴피 위치(광축(Z1)으로부터 벗어난 위치) 사이에서 피벗 샤프트(17)을 중심으로 회전(스윙)할 수 있다.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토션 스프링(39)에 의해 축상 위치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줌렌즈(5)가 촬영 상태(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의 일부분과 스토퍼(도시되지 않음)의 맞물림에 의해 축상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 근접하도록 작동 위치(전방 위치)(줌렌즈(5)가 촬영 상태에 있을 때의 광축상의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후방 위치)(줌렌즈(5)가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의 광축상의 위치)로 광축 방향 후방에 이동되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으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제어 캠 바(퇴피 구동 수단)(21a)에 접촉하게 되고, 또한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토션 스프링(3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축외 퇴피 위치로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제어 캠 바(21a)의 전방 단부면에는 촬영 광축(Z1)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도를 가지고 있는 캠 면(21b)이 형성되어 있고,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에는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축상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캠 면(21b)에 대향하는 캠 면(퇴피 구동 수단)(16a)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 접근하면, 상기 캠 면(21b)과 캠 면(16a)이서로 맞닿게 되어 광축 방향으로의 후방 이동력으로부터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을 회전시키는 분력이 생기고, 그 결과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축외 퇴피 위치(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외 퇴피 위치로 회전된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제3 렌즈 그룹(LG3))은, 제 4 렌즈 그룹(LG4)이나 촬상 센서(60)와 간섭하지 않는 하부 위치에 수납된다. 또한, 줌렌즈(5)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 안에 셔터 유닛(2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셔터 유닛(20)은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셔터 유닛(20)에는 셔터와 조정가능한 조리개가 내장되어 있다.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은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을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5)는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반경방향 안쪽에 광축(Z1)에 대하여 회전가능 한 캠 링(11)을 구비하고 있다. 상이한 원주방향의 위치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캠 링(11)에 설치된 3개가 한 세트인 가이드 롤러(종동자)(11a)는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에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3개가 한 세트인 가이드 롤러(11a)는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을 관통하여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서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전달 홈(18e)과 각각 결합되고, 상기 회전 전달 홈(18e)은 광축(Z1)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도록 헬리코이드 링(18)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 링(11)은 헬리코이드 링(18)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캠 링(11)이 회전하면, 캠 링(11)은 3개가 한 세트인 가이드 롤러(11a)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의 궤적을 따라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줌 모터(150)에 의해 줌 기어(28)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내측 헬리코이드(22a)와 외측 헬리코이드(18a)의 맞물림으로 인해 헬리코이드 링(18)이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헬리코이드 링(18)이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면, 제 1 직진 가이드 링(14)가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한다. 이때,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에 의해 직진 가이드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헬리코이드 링(18)의 복수의 캠 홈(l8d)의 형상에 따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회전하는 동안 헬리코이드 링(18)의 전진 이동량과 복수의 캠 홈(l8d)에 의한 헬리코이드 링(18) 및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상대적 인 전진 이동량의 합산치에 대응하는 이동량 만큼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헬리코이드 링(18)의 회전은 헬리코이드 링(18)의 내주면에 형성된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전달 홈(18e)과 캠 링(11)의 3개가 한 세트인 가이드 롤러(11a)를 통하여 캠 링(11)에 전달된다. 3개가 한 세트인 가이드 롤러(11a)는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홈(l4b)에도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의 형상에 따라 캠 링(11)은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직진 가이드 링(14) 자체도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캠 링(11)은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전방으로의 직진 이동량과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에 의한 제 1 직진 가이드 링(14)(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한 상대적인 캠 링(11)의 전방 이동량의 합산치에 대응하는 이동량만큼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전진 동작은 헬리코이드 링(18)의 외측 헬리코이드(18a)와 고정 배럴(22)의 내측 헬리코이드(22a)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동안만 수행된다. 헬리코이드 링(18)과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이 소정의 이동량만큼 전방으로 이동되면, 외측 헬리코이드(18a)와 내측 헬리코이드(22a)가 서로 분리된다. 그러면, 고정 배럴(22)의 3개가 한 세트인 원주방향 홈(22b)에 헬리코이드 링(18)의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가이드 돌기(18b)가 각각 결합되어, 헬리코이드 링(18)이 고정 배럴(22)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광축 방향의 일정 위치에서 회전만 하게 된다. 이러한 3개가 한 세트인 원주방향 홈(22b)과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가이드 돌기(18b)의 결합에 수반하여, 제 1 직진 가이드 링(14)도 광축 방향 전방으로 전진된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캠 링(11)은, 헬리코이드 링(18)이 상기한 광축 방향의 일정 위치에서 회전하는 상태로 된 후에도 헬리코이드 링(18)의 회전에 따라 3개가 한 세트인 가이드 롤러(11a)을 통하여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내주면에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을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하는 3개가 한 세트인 관통 슬롯(14a)와는 별도로,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복수의 직진 가이드 홈(14c)이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5)는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안쪽에 제 2 직진 가이드 링(10)과 중간 외측 배럴(중간 전진 배럴)(13)을 구비하고 있고, 제 2 직진 가이드 링(10)과 중간 외측 배럴(13)은 각각 복수의 직진 가이드 홈(14c)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된다. 중간 외측 배럴(13)은 헬리코이드 링(18)으로부터 전진하거나 헬리코이드 링(18) 속으로 후퇴한다.
제 2 직진 가이드 링(10)은, 캠 링(11)에 대하여 광축(Z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고 광축 방향으로는 캠 링(11)과 일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캠 링(11)에 결합되어 있다. 줌렌즈(5)는 캠 링(11)의 안쪽에 제 2 렌즈 그룹(LG2)을 직접 지지하여 유지하는 제 2 렌즈 그룹 유지 링(8)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렌즈 그룹 유지 링(8)은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 2 직진 가이드 링(1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키-돌기(10a)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된다. 제 2 렌즈 그룹 유지 링(8)의 외주면에는, 캠 링(11)의 내주면에 형성된 3개가 한 세트인 제 2 렌즈 그룹 가이드 홈(11b)(도 4에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3개가 한 세트인 캠종동자(8a)가 구비되어 있다. 캠 링(11)이 회전하면, 3개가 한 세트인 제 2 렌즈 그룹 가이드 홈(11b)와 3개가 한 세트인 캠종동자(8a)의 결합에 의해 제 2 렌즈 그룹 유지 링(8)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중간 외측 배럴(13)의 내주면에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3개가 한 세트인 직진 가이드 홈(13a)(도 4에는 1개만 표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5)는 중간 외측 배럴(13)의 바로 안쪽에 중간 외측 배럴(13)로부터 전진하거나 중간 외측 배럴(13) 속으로 후퇴하는 최전방 외측 배럴(최내측 전진 배럴)(12)을 구비하고 있다. 최전방 외측 배럴(12)은 3개가 한 세트인 직진 가이드 홈(13a)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된다. 줌렌즈(5)는 최전방 외측 배럴(12)의 안쪽에 제 1 렌즈 그룹(LG1)을 유지하는 제 1 렌즈 그룹 유지 링(19)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렌즈 그룹 유지 링(19)은, 최전방 외측 배럴(12)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고 최전방 외측 배럴(12)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허용되어 있다. 제 1 렌즈 그룹 유지 링(19)의 내주면에는 캠 링(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3개가 한 세트인 제 1 렌즈 그룹 가이드 캠 홈(11c)(도 4에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에 각각 결합되는 3개가 한 세트인 캠종동자(19a)(도 4에는 1개만 표시되어 있음)가 구비되어 있다. 캠 링(11)이 회전하면, 3개가 한 세트인 제 1 렌즈 그룹 가이드 캠 홈(11c)와 3개가 한 세트인 캠종동자(19a)의 결합에 의해 제 1 렌즈 그룹 유지 링(19)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줌렌즈(5)의 전진 동작 및 수납 동작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 다. 캠 링(11), 제 1 직진 가이드 링(14) 및 헬리코이드 링(18)의 동작(이동)은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아래에서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줌렌즈(5)의 수납 상태로부터 줌 모터(150)에 의해 줌 기어(28)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헬리코이드 링(18)이 고정 배럴(22)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헬리코이드 링(18)과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은 각각 소정의 전방 위치까지 전진하면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하고, 그후 헬리코이드 링(18)은 3개가 한 세트인 회전 가이드 돌기(18b)와 원주방향 홈(22b)의 결합에 의해 축방향의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복수의 캠 홈(l8d)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헬리코이드 링(18)이 회전할 때)헬리코이드 링(18)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상대 이동한다. 줌렌즈(5)가 완전히 수납된 상태로부터 촬영 상태(도 2에 도시된 광각단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한 상대 전방 이동량과 (회전하는 동안)헬리코이드 링(18) 자체의 전방 이동량의 합산치에 해당하는 이동량 만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방으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줌렌즈(5)가 완전히 수납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위치-제어 캠 바(21a)의 작용에 의해,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촬영 광축(Z1) 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편심되어 위치된 축외 퇴피 위치(off-axis displaced position)에 유지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수납 위치(후방 위치)로부터 줌 영역에서의 광각단(wide-angle extremity) 위치(전방 위치/작동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위치-제어 캠 바(21a)와 분리되어서, 토션 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의해 축외 퇴피 위치로부터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는 축상 위치(on-axis position)로 피벗 샤프트(17)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 이후, 줌렌즈(5)가 완전히 수납된 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l6)은 축상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캠 링(11)은, (헬리코이드 링(18)이 회전할 때)헬리코이드 링(18)의 전방 이동에 따라 제 1 직진 가이드 링(14)의 3개가 한 세트인 롤러 가이드 슬롯(14b)에 의해 가이드되고 헬리코이드 링(18)과 함께 회전하면서 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캠 링(11)이 회전하면, 캠 링(11)의 안쪽에 위치되어서 제 2 직진 가이드 링(10)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는 제 2 렌즈 그룹 유지 링(8)이, 3개가 한 세트인 캠종동자(8a)와 3개가 한 세트인 제 2 렌즈 그룹 가이드 홈(11b)의 결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캠 링(11)이 회전하면, 중간 외측 배럴(13)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는 최전방 외측 배럴(12)과 제 1 렌즈 그룹 유지 링(19)의 결합체가 3개가 한 세트인 캠종동자(19a)와 3개가 한 세트인 제 1 렌즈 그룹 가이드 캠 홈(11c)의 결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렌즈 그룹(LG1)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촬상 센서(60)의 촬상면(수광면)에 대한 제 1 렌즈 그룹(LG1)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22)에 대한 캠 링(11)의 전방 이동량과 캠 링(11)에 대한 최전방 외측 배럴(12)과 제 1 렌즈 그룹 유지 링(19)의 결합체의 이동량(캠 링(11)의 3개가 한 세트인 제 1 렌즈 그룹 가이드 캠 홈(11c)에 의한 이동량)의 합산치로서 결정된다. 제 2 렌즈 그룹(LG2)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촬상 센서(60)의 촬상면에 대한 제 2 렌즈 그룹(LG2)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22)에 대한 캠 링(11)의 전방 이동량과 캠 링(11)에 대한 제 2 렌즈 그룹 유지 링(8)의 이동량(캠 링(11)의 3개가 한 세트인 제 2 렌즈 그룹 가이드 홈(11b)에 의한 이동량)의 합산치로서 결정된다. 제 3 렌즈 그룹(LG3)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촬상 센서(60)의 촬상면(수광면)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LG3)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22)에 대한 헬리코이드 링(18)의 전방 이동량과 헬리코이드 링(18)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이동량(헬리코이드 링(18)의 복수의 캠 홈(l8d)에 의한 이동량)의 합산치로서 결정된다.
줌 동작은,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이 서로의 공기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촬영 광축(Z1) 위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줌렌즈(5)가 도 1에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전진하도록 구동되면, 먼저 줌렌즈(5)는 도 2에 도시된 줌렌즈(5)의 광각단 상태로 된다. 계속하여, 줌 모터(150)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면, 줌렌즈(5)는 도 3에 도시된 줌렌즈(5)의 망원단(telephoto extremity) 상태로 된다.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제 3 렌즈 그룹(LG3) 및 제 4 렌즈 그룹(LG4)이 줌 영역(즉, 줌렌즈(5)가 촬영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위치되어 있을 때, 피사체 거리에 따라 AF 모터(160)의 회전에 의해 제 4 렌즈 그룹(LG4)(AF 렌즈 프레임(51))을 촬영 광축(Z1)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싱(focusing) 동작이 이루어진다.
줌 모터(150)를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줌렌즈(5)는 상기한 전진 동작과는 반대 방식으로 작동하여, 줌렌즈(5)를 구성하는 각각의 환형상의 이동가능한 부재가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줌렌즈(5)의 수납 동작의 도중에,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위치-제어 캠 바(21a)에 의해 축외 퇴피 위치로 피벗 샤프트(17)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도 1에 도시된 수납 위치(후방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 3 렌즈 그룹(LG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렌즈 그룹(LG4), 로우 패스 필터(LF) 및 촬상 센서(60)가 수납되어 있는 공간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있는 공간으로 수납된다(다시 말해서, 제 3 렌즈 그룹(LG3)은 제 4 렌즈 그룹(LG4), 로우 패스 필터(LF) 및 촬상 센서(60)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범위와 대체로 동일한 축방향의 범위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되어 수납된다). 제 3 렌즈 그룹(LG3)을 이러한 방식으로 수납(퇴피)시키는 줌렌즈(5)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줌렌즈(5)가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줌렌즈(5)의 길이가 감소된다.
줌렌즈(5)의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는 촬영 센서(60)를 구동시키는 상흔들림 보정장치(상흔들림 감소 시스템)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상흔들림 보정장 치는, 줌렌즈(5)를 내장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도시되지 않음)에 가해지는 진동(손흔들림)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촬상 센서(60)을 촬영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내로 이동시켜서 촬상 센서(60)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의 상흔들림을 상쇄시킨다. 이러한 제어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회로(컨트롤러)(102)(도 13 참고)에 의해 행해진다.
도 7 내지 도 10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고정 홀더(고정 부재)(23)를 갖추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을 축상 위치로부터 축외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제어 캠 바(21a)는 상기 고정 홀더(23)상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홀더(23)는 수평 방향(이하, X-축 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X-축 방향 가이드 로드(가이드 기구)(72, 74)를 구비하고 있고,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제 1 이동 스테이지)(70)가 한 쌍의 X-축 방향 가이드 로드(72, 74)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X-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위에는, 수직 방향(이하, Y-축 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Y-축 방향 가이드 로드(가이드 기구)(73, 79)가 구비되어 있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제 2 이동 스테이지)(71)가 한 쌍의 Y-축 방향 가이드 로드(73, 79)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위에는, 센서 지지 플레이트(24)와 필터 홀더(25) 사이에 끼여 있는 방식으로 촬상 센서(60)와 로우 패스 필터(LF)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센서(60)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통하여 고정 홀더(23)에 의해, 촬영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X-축,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촬상 센서(60)를 지지하는 복합 이동 스테이지를 구성한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고정 홀더(23)의 사이에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압 스프링(가압 부재)(87x)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압 스프링(87x)은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도 10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를 가압하고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사이에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압 스프링(가압 부재)(87y)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압 스프링(87y)은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도 10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가압하고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상부에 X-축 방향 이동 부재(80)를 구비하고 있고, 이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이고, X-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의 근처에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80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이동 규제 러그(80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서로 평행한 가이드 핀(80c)을 더 구비하고 있고, 이동 규제 러그(80b)에는 가이드 구멍(80d)이 형성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또한 이동 규제 러그(80a)의 근처에 너트 접촉부(80e)를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는 X-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80b)에 각각 대향하는 이동 규제 러그(70a)와 이동 규제 러그(7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규제 러그(70a)에는 한 쌍의 가이드 핀(80c)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70c)(상부 구멍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처럼 형성되어 있고; 하부 구멍은 도 9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 규제 러그(70b)에는 가이드 구멍(80d)에 대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핀(70d)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핀(80c)과 한 쌍의 가이드 구멍(70c)의 결합 및 가이드 핀(70d)과 가이드 구멍(80d)의 결합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서로 X-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된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X-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사이에 X-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인장 스프링(결합 스프링)(81x)을 구비하고 있다. 인장 스프링(81x)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X-축 방향 이동 부재(80)을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 규제 러그(80a)와 이동 규제 러그(70a)가 서로 접촉되게 작용하고 이동 규제 러그(80b)와 이동 규제 러그(70b)가 서로 접촉되게 작용한다.
고정 홀더(23)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한 쌍의 Y-축 방향 가이드 로드(73, 79)와는 별개의 요소로서,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Y-축 방향 가이드 로드(77)가 설치되어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 닛(21)은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Y-축 방향 가이드 로드(77)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Y-축 방향의 양 단부 근처에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5b)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또한 이동 규제 러그(75a)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핀(75c)을 구비하고 있고, 이동 규제 러그(75b)에는 가이드 구멍(75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에는 또한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동 돌기(스토퍼)(75e)가 구비되어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근처에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이동 규제 러그(76a)와 이동 규제 러그(76b)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규제 러그(76a)에는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한 쌍의 가이드 핀(75c)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76c)(전방 구멍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처럼 형성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 규제 러그(76b)에는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가이드 구멍(75d)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핀(76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한 쌍의 가이드 핀(75c)과 한 쌍의 가이드 구멍(76c)의 결합 및 가이드 핀(76d)와 가이드 구멍(75d)의 결합에 의해 서로 Y-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사이에 Y-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인장 스프링(결합 스프링)(81y)을 구비하고 있다. 이 인장 스프링(81y)은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6a)가 서로 접촉하도록 작용하고, 이동 규제 러그(75b)와 이동 규제 러그(76b)가 서로 접촉하도록 작용한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연동 돌기(75e)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장착된 전달 롤러(82)와 접촉하고 있어서, 연동 돌기(75e)와 전달 롤러(82)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로부터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로 Y-축 방향의 이동력이 전달된다. 전달 롤러(82)는, 전달 롤러(82)가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함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전달 롤러(82)가 연동 돌기(75e)의 접촉면상에서 구른다. 연동 돌기(75e)의 이러한 롤러 접촉면은 X-축 방향으로 길게 뻗은 평면이기 때문에, 전달 롤러(82)를 연동 돌기(75e)의 접촉면상에서 구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가하지 않고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제어 회로(102), 촬상 센서(6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 및 촬상 센서(6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를 포 함하고 있는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는 고정 홀더(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는 모두 스테핑 모터이다.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의 드라이브 샤프트(로터리 샤프트)에는 이송 스크루로서 기능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드라이브 샤프트(로터리 샤프트)에는 이송 스크루로서 기능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의 드라이브 샤프트(이송 스크루)는 X-축 방향 구동 너트(스토퍼)(85x)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드라이브 샤프트(이송 스크루)는 Y-축 방향 구동 너트(스토퍼)(85y)의 암나사 구멍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X-축 방향 구동 너트(85x)는 X-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어, X-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너트 접촉부(80e)와 접촉하고 있다. Y-축 방향 구동 너트(85y)는 Y-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어,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너트 접촉부(76e)와 접촉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상 센서(60)를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에 있어서,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는 이동 규제 러그(75a)가 이동 규제 러그(76a)와 접촉하고 이동 규제 러그(75b)가 이동 규제 러그(76b)와 접촉한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81y)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에는, 연동 돌기(75e)와 접촉상태로 있는 전달 롤러(82)를 통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Y-축 방향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 의 가압력은, 도 1O에서 아래쪽으로, 다시 말해서, 이동 규제 러그(75a, 75b)를 이동 규제 러그(76a, 76b)로부터 각각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대해 작용하고 있지만, 인장 스프링(81y)의 가압력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보다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은, 이동 규제 러그(75a)와 이동 규제 러그(76a) 그리고 이동 규제 러그(75b)와 이동 규제 러그(76b)가 각각 탄성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도 10에서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너트 접촉부(76e)가 Y-축 방향 구동 너트(85y)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Y-축 방향 구동 너트(85y)의 위치에 의해 Y-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위치가 결정된다.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면, Y-축 방향 구동 너트(85y)가 Y-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되고, 그 결과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Y-축 방향의 위치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Y-축 방향 구동 너트(85y)가 도 10에서 위쪽으로 이동되면, Y-축 방향 구동 너트(85y)가 너트 접촉부(76e)를 같은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결과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가 도 10에서 위쪽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가 도 10에서 위쪽으로 이동되면, 연동 돌기(75e)가 전달 롤러(82)를 가압하고, 그 결과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도 도 10에서 위쪽으로 이동된다. 역으로, Y-축 방향 구동 너트(85y)를 도 10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와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가 Y-축 방향 구동 너트(85y)에 추종하여 도 10에서 아래쪽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이 때,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추종하여 도 10에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연동 돌기(75e)와 전달 롤러(82)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에 의해 언제나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촬상 센서(60)를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기구에 있어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이동 규제 러그(70a)가 이동 규제 러그(80a)와 접촉하고 이동 규제 러그(70b)가 이동 규제 러그(80b)와 접촉한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81x)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 10에서 오른쪽 방향, 다시 말해서 이동 규제 러그(70a, 70b)를 이동 규제 러그(80a, 80b)로부터 각각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인장 스프링(81x)의 가압력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보다도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X-축 방향 이동 부재(80)는, 이동 규제 러그(70a)와 이동 규제 러그(80a) 그리고 이동 규제 러그(70b)와 이동 규제 러그(80b)가 각각 탄성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너트 접촉부(80e)와 X-축 방향 구동 너트(85x)의 결합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부재(80)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X-축 방향 구동 너트(85x)의 위치에 의해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위치가 결정된다.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의 드라이브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면, X-축 방향 구동 너트(85x)가 X-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되고, 그 결과 X-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X-축 방향 위치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X-축 방향 구동 너트(85x)가 도 10에서 왼쪽으로 이동되면, X-축 방향 구동 너트(85x)가 너트 접촉부(80e)를 같은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결과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X-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도 10에서 왼쪽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역으로, X-축 방향 구동 너트(85x)를 도 10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x)의 가압력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 구동 너트(85x)에 추종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된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도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전달 롤러(82)가 접촉하고 있는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함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전달 롤러(82)와 연동 돌기(75e)의 접촉면 사이의 접촉 지점이 변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때 전달 롤러(82)가 연동 돌기(75e)의 접촉면상에서 구르기 때문에,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에 X-축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가하지 않고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의 구조에 의하면,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함께 X-축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을 단독으로 Y-축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는 이동 규제 러그(70a)의 근처에 작은 얇은 판 모양의 위치 검출 러그(70e)(도 9 참고)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는 이동 규제 러그(75b)의 근처에 작은 얇은 판 모양의 판 모양의 위치 검출 러그(75f)(도 8 참고)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은 제 1 포토 인터럽터(103)와 제 2 포토 인터럽터(10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포토 인터럽터(103)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위치 검출 러그(70e)에 의해 광빔(light beam)이 차단될 때 서로 대향하는 이미터 요소(emitter element)와 리시버 요소(receiver element) 사이를 통과하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위치 검출 러그(70e)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포토 인터럽터(104)는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위 치 검출 러그(75f)에 의해 광빔이 차단될 때 서로 대향하는 이미터 요소와 리시버 요소 사이를 통과하는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의 위치 검출 러그(75f)의 존재 여부를 검출한다. 위치 검출 러그(70e)의 존재 여부를 제 1 포토 인터럽터(103)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의해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특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위치 검출 러그(75f)의 존재 여부를 제 2 포토 인터럽터(104)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의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특정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3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줌렌즈(5)를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X-축과 Y-축) 둘레로 각속도를 검출하는 X-축 방향 자이로센서(각속도 센서)(105)와 Y-축 방향 자이로센서(각속도 센서)(106)을 갖추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가해진 카메라 흔들림(진동)의 크기와 방향은 이들 2 개의 자이로센서(105, 106)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 회로(102)는 X-축 방향 자이로센서(105)와 Y-축 방향 자이로센서(106)에 의해 검출된 2 개의 축방향의 카메라 흔들림의 각속도를 시간 적분하여 이동 각도를 구한다. 계속하여, 제어 회로(102)는 이 이동 각도로부터 초점면(촬상 센서(60)의 촬상면)상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상의 이동량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 회로(102)는 카메라 흔들림을 상쇄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축방향에 대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X-축 방향 이동 부재(8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의 구동량 및 구동 방향(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구동 펄스)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연산치에 따라 X- 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를 구동 제어한다. 즉, 제어 회로(102)로부터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각각에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위한 구동 신호가 보내진다. 이것에 의해 촬상 센서(60)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상의 상흔들림이 상쇄된다.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107)(도 13 참고)를 ON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이러한 상흔들림 보정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107)가 OFF 상태에 있으면, 상흔들림 보정 기능이 정지되고 통상적인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107)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1 트래킹(tracking) 모드 또는 제 2 트래킹 모드 중의 하나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로 선택될 수 있다. 제 1 트래킹 모드에서는,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를 구동시킴으로써 상시적으로 상흔들림 보정을 수행한다. 제 2 트래킹 모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설치된 측광 스위치(108)나 릴리스 스위치(109)가 ON 상태로 될 때에만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를 구동시킴으로써 상흔들림 보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턴(도시되지 않음)을 절반 정도 누름으로써 측광 스위치(108)가 ON 상태로 되고,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턴(도시되지 않음)을 완전히 누름으로써 릴리스 스위치(109)가 ON 상태로 된다.
상기한 줌렌즈(5)는 줌렌즈(5)의 수납 상태에서의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함으로써 소형화가 이루어지는데, 촬상 센서(60)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서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 상태로 될 수 있다. 촬상 센서(60)가 이러한 소정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 포함된 가동 부재(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X-축 방향 이동 부재(80), 제 1 Y-축 방향 이동 부재(75) 및 제 2 Y-축 방향 이동 부재(76) 등)에 대하여 그 전방의 줌렌즈(5)의 여러 요소(광축 방향으로의 가동 부재)가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 포함된 상기 가동 부재와 간섭할 가능성이 있다. 줌렌즈(5)의 수납 동작을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한 촬상 센서(60)의 상기한 소정 위치를 아래의 설명에서는 수납 기준 위치라고 한다. 촬상 센서(60)의 이러한 수납 기준 위치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 양자 모두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의 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결정된다.
통상적인 상태에서, 줌렌즈(5)가 촬영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제어 회로(102)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제어에 의해, 촬상 센서(60)가 수납 기준 위치로 이동되어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카메라의 메인 스위치(101)(도 13 참고)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에 된 때에는, 제어 회로(102)가 촬상 센서(60)을 수납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포토 인터럽터(103)와 제 2 포토 인터럽터(104)로 검출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위치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위치를 각각 X-축 방향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와 Y-축 방향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할 수 있다. 또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제 1 포토 인터럽터(103)에 의해 검출되고 난 직후 에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의 소정의 모터 구동 펄스 수에 해당하는 이동량 만큼 이동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위치가 X-축 방향의 수납 기준 위치로 되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제 2 포토 인터럽터(104)에 의해 검출되고 난 직후에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소정의 모터 구동 펄스 수에 해당하는 이동량 만큼 이동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위치가 Y-축 방향의 수납 기준 위치로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의 소정의 모터 구동 펄스 수와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소정의 모터 구동 펄스 수가 EEPROM(메모리)(110)(도 13 참고)에 미리 기록되어 있다. 그밖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의 수납 기준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X-축 방향 구동 모터(170x) 및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동력이 OFF 상태로 되면,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가 단독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통하여)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에 유지시킨다.
줌렌즈(5)는 또한 촬상 센서(60)가 수납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도 줌렌즈(5)의 수납 동작에 의해 촬상 센서(60)를 수납 기준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는 기계식 가이드 장치를 갖추고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는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한 요소)(88)가 구비되어 있다.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전방 단부는 광축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전방 단부에는 한 쌍의 경사면(제 1 이동 가이드 면)(8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경사면(88a)의 폭(한 쌍의 경사면(88a) 사이의 거리)은 광축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되고, 한 쌍의 경사면(88a)의 바로 뒤에는 한 쌍의 경사면(88a)에 연속되어 있으며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으로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고정 단부로 뻗어 있는 한 쌍의 평행 측면(88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후방 단부에는 촬영 광축(Z1)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놓여 있는 평면 플레이트 형상의 외측 플랜지(15b)가 구비되어 있고, 이 외측 플랜지(15b)에는 슬롯(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한 요소)(15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15c)은 외측 플랜지(15b)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절결부를 구성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외측 플랜지(15b)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5c)의 폭은,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평행 측면(88b)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지만,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롯(15c)의 후방 단부의 개구부는 광축 방향 후방으로, 다시 말해서,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롯(15c)의 후방 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부(도 18 내지 도 21에서 오른쪽 가장자리부 및 왼쪽 가장자리부)는 한 쌍의 경사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양 측면 가장자리부의 X-축 방향으로의 폭은 광축 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커진다. 광축 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테어퍼져 있는 슬롯(15c)의 후방 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부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슬롯(15c) 속으로의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삽입 동작이 슬롯(15c)과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는,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한 요소)(89)가 구비되어 있다.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전방 하단부에는, 광축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Y-축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도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경사 가이드 면(제 2 이동 가이드 면)(89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 가이드 면(89a)의 바로 뒤에는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상에 평행 측면(89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행 측면(89b)은 경사 가이드 면(89a)과 연속되어 있으며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으로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고정 단부로 뻗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에는 돌출부-맞닿음 경사면(기계식 가이드 장치/제 2 이동 가이드 면의 한 요소)(15d)과 돌출부-지지 평면(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한 요소)(15e)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은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과 평행하고, 돌출부-지지 평면(15e)은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에 연속되어 있으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평행 측면(89b)과 평행하게(즉, 광축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은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는 부재이고, 줌렌즈(5)의 수납 동작시에는 줌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촬영 위치(도 2, 도 3, 도 27에 도시된 전방 위치/작동 위치)로부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에 접근해 있는 수납 위치(도1 및 도 32에 도시된 후방 위치/수납 위치)까지 후퇴 이동된다. 본 실시예의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후퇴 이동에 의해 촬상 센서(60)를 수납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촬상 센서(60)(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촬상 센서(6O)는, 이 수납 기준 위치에 부가하여, 촬상 센서(6O)의 촬상면의 중심과 촬영 광축(Z1)이 대체로 일치하는 중립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때에는, 상기 중립 위치에 촬상 센서(60)를 유지한 상태에서 촬영 동작을 한다. X-축 방향에 있어서는, 상기 중립 위치와 수납 기준 위치는 서로 일치하고 있고, 도 14, 도 16 및 도 17은 각각, X-축 방향에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중립 위치)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과 슬롯(15c)의 폭 방향(X-축 방향) 중심이 서로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후퇴 이동하면,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평행 측면(88b)이 슬롯(15c)의 한 쌍의 인접한 측면을 각각 따라 이동(슬라이드)하면서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가 슬롯(15c) 안으로 삽입된다. 이 때,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는 미리 X-축 방향에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에 의한 실질적인 위치 조정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후, 줌렌즈(5)가 수납 상태로 이동하면,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외측 플랜지(15b)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전방면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는 슬롯(15c)을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외측 플랜지(15b)를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평행 측면(88b)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슬롯(15c)의 결합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는 위치 변위없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에 동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를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5는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중립 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도 15에서 왼쪽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벗어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가 후퇴 이동하면,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경사 가이드 면(88a) 중의 하나가 슬롯(15c)의 후방 단부에서 슬롯(15c)의 가장자리부(광축 방향 후방으로 테이퍼져 있는 부분)와 맞닿는다. 그러면,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경사 가이드 면(88a)의 경사 형상에 의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후퇴 이동력으로부터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력이 생기기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를 통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를 도 15의 오른손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상기의 분력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가압 이동되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도달하면,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과 슬롯(15c)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한다. 그 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외측 플랜지(15b)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전방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도 21에 도시된 수납 위치까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를 후퇴 이동시킬 수 있다.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를 이용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까지 촬상 센서(60)를 가이드하는 기능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의 전체에 걸쳐서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경사 가이드 면(88a)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보다 더 큰 최대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으로 변위한 때에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Y-축 방향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를 이용하여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위치에 관계없이 언제나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촬상 센서(60)(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Y-축 방향에 있어서는, 촬상 센서(60)(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있어서 상기 한 중립 위치와 수납 기준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립 위치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예를 들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립 위치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립 위치보다도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도 22에 도시된 상태나 도 2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후퇴 이동하면,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도 24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립 위치보다도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도 23에 도시된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도 22에 도시된 중립 위치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 사이의 상대적인 접촉 영역이 약간 변화하는 것이지만, 도 24에 도시된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후퇴 이동에 의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 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계속하여 후퇴 이동하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후퇴 이동력으로부터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력이 생기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을 도 24에서 위쪽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상기의 분력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가압 이동된 후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도달하면,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평행 측면(89b)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을 넘어서 돌출부-지지 평면(15e)과 맞닿게 된다. 이와같이 평행 측면(89b)이 돌출부-지지 평면(15e)과 맞닿는 위치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에 해당한다. 도 2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평행 측면(89b)과 돌출부-지지 평면(15e)이 맞닿아 있음으로 인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가압하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가압 스프링(87y)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에 동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를 이용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촬상 센서(60)를 가이드하는 기능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기계적인 가동 범위의 전체에 걸쳐서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경사 가이드 면(89a)의 형성 영역과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의 형성 영역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기계적인 가동 영역 보다 넓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과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를 이용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의 가동 범위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중립 위치)에 있는 때에는, 도 18,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X-축 방향의 폭 영역의 거의 전체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 및 돌출부-지지 평면(15e)의 광축 방향으로의 가상적인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나 돌출부-지지 평면(15e)와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X-축 방향의 폭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실제로는 반이상)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 및 돌출부 -지지 평면(15e)의 상기 가상적인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의 가동 범위의 어느 위치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를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이나 돌출부-지지 평면(15e)과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O)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줌렌즈(5)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O)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는 기계식 가이드 장치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l)가 소프트웨어적인 제어에 의해(모터 작동식 컨트롤러의 오작동으로 인해)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되지 않고 줌렌즈(5)의 수납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촬상 센서 유지 유닛(21)상에 위치되어 있는 줌렌즈(5)의 가동 부재와 이 가동 부재의 전방에 있는 줌렌즈(5)의 다른 요소가 서로 간섭할 가능성이 없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줌렌즈(5)의 수납 동작을 확실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각각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을 완료한 때에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 및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결합 관계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고정되므로, 여분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 및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 안에는, 전술과 같이, 피벗 샤프트(17)를 중심으로 하여 축상 위치와 축외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 3 렌즈 그룹(LG3)(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지지되어 있다. 도 26은 제 3 렌즈 그룹(LG3)(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의 퇴피 동작과,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 및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를 각각 사용하여 수행되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 대한 수납 기준 위치 결정 동작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대한 수납 기준 위치 결정 동작 사이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26에 도시된 세로축은 수납 상태(R)로부터 광각단 촬영 상태(W)까지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26에 도시된 가로축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X-축 방향의 위치,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Y-축 방향의 위치 및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의 피벗 샤프트(17)을 중심으로 하는 스윙 위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로축 방향에 있어서의 "0"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또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있어서의 중립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에 있어서는, 중립 위치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 한편,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있어서는, 중립 위치에서 위쪽으로 변위되어 있는 도 26에 표시된 "+0.6"의 위치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해당한다. 도 26의 타이밍차트에서, 수치 "+0.6"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각각의 중립 위치에서 양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이고, 수치 "-0.6"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각각의 중립 위치에서 음의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6에 도시된 예에서는, 광각단 촬영 상태에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중립 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0.6밀리미터로 되어 있고, 광각단 촬영 상태에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중립 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의 변위량이 -0.6밀리미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위량은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광각단(W)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위치-제어 캠 바(21a)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도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과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줌렌즈(5)가 와이드단 위치로부터 수납 동작을 수행하면, 먼저, 도 26에 표시된 P1의 타이밍에 위치-제어 캠 바(21a)의 캠 면(21b)에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의 캠 면(16a)이 접촉하게 되어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이 축상 위치로부터 축외 퇴피 위치로의 퇴피 동작을 개시한다(도 28 참고). 도 26에 표시된 P2의 타이밍에,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16)의 축외 퇴피 위치로의 퇴피 동작이 완료된다(도 29 참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가 더 후방으로 이동되면, 도 26에 표시된 P3의 타이밍에,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경사면(88a)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슬롯(15c)의 후방 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게 되고, 계 속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가 더 후방으로 이동되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쪽으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이 P3의 타이밍에서의 면접촉은 도 29에 도시된 상태와 도 30에 도시된 상태 사이의 타이밍에서 생긴다. 도 26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중립 위치)로부터 0.6mm 만큼 X-축 방향 변위된 상태에서 줌렌즈(5)의 수납 동작이 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제어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미리 위치되어 있는 때(도 26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일점쇄선의 궤적으로 표시되어 있음)에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의 한 쌍의 경사면(88a)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슬롯(15c)의 후방 단부의 양 측면 가장자리부가 접촉하지 않는다.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제어 회로(102)가 적어도 광각단(W)으로부터 P3의 타이밍에 이르기 까지의 사이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를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를 구동시키고 X-축 방향 구동 모터(170x)의 동작을 제어한다.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구동 제어가 완결되지 않아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에 의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도 26에 표시된 P4의 타이밍에는,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과 접촉하 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쪽으로 가압 이동한다(도 30 참고). 도 26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중립 위치로부터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Y-축 방향으로 0.6mm 만큼 변위된 상태(즉,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Y-축 방향으로 1.2mm 만큼 변위된 상태)에서 줌렌즈(5)의 수납 동작이 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제어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미리 위치되어 있는 때(도 26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일점쇄선의 궤적으로 표시되어 있음)에는,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의 경사 가이드 면(89a)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15d)과 접촉하지 않는다.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제어 회로(1O2)가 적어도 광각단(W)으로부터 P4의 타이밍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동안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를 구동시키고 Y-축 방향 구동 모터(170y)의 동작을 제어한다.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구동 제어가 완결되지 않아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 않는 때에는,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에 의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도 26에 표시된 P5의 타이밍에,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8)에 의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의 가압 이동이 완료된다. 계속하여, 도 26에 표시된 P6의 타이밍에,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89)에 의한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가 압 이동도 완료된다(도 31 참고). 소프트적인 제어에 에러가 없는 경우와 에러가 있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이 단계에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가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줌렌즈(5)가 수납 동작을 계속하면, 도 3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이 최후방 위치(후방 위치)까지 완전히 후퇴되어, 상기한 공간 효율성이 우수한 수납 상태로 된다.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용 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센서 유지 유닛(221)을 구성하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제 2 이동 스테이지)(2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제 1 이동 스테이지)(271)의 위치 관계는 앞의 실시예(제 1 실시예)의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의 위치 관계와는 반대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가 고정 홀더(고정 부재)(223)에 대해 Y-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고정 홀더(22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 위에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가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촬상 센서(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260)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상에 장착되어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는 X-축 구동 모터(370x)에 의해 구동되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은 Y-축 구동 모터(370y)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2 직진 가이드 링(10) 및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15)와 같이, 직진 이동 환(축-방향 이동 부재)(210)은 광축 방향으로 직진 가이드되고, 줌렌즈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이동되는 때에 작동 위치(전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후방 위치)로 후퇴 이동하여 촬상 센서 유지 유닛(221)에 접근하는 부재이다. 또한, AF 렌즈 프레임(251)은, 제 1 실시예의 AF 렌즈 프레임(51)과 유사한 부재이다.
제 1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를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기계식 가이드 장치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를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기계식 가이드 장치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0)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71)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3 내지 도 37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는 유사한 기계식 가이드 장치가 제 2 이동 스테이지인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에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모든 경사 성분을 포함하는 사발 형상(원뿔 형상)의 전방향 가이드 구멍(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한 요소)(9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직진 이동 링(210)에는, 전방향 가이드 구멍(9O)과 대향하는 위치에, 전방향 가이드 구멍(9O)쪽으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한 요소)(9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5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 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91)과 전방향 가이드 구멍(90)이 서로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36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변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직진 이동 링(210)이 촬영 위치(전방 위치/작동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후방 위치)쪽으로 후퇴 이동하면, 가이드 돌기(91)가 전방향 가이드 구멍(90)에서 X-축 방향의 경사 성분을 가진 수평 방향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직진 이동 링(210)이 수납 위치(후방 위치)쪽으로 더 후퇴 이동하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를 X-축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분력이 생긴다. 이러한 분력으로 인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를 이동시키지 않고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가 단독으로 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7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변위된 상태를 나타내다. 이러한 경우에, 직진 이동 링(2l0)이 촬영 위치(전방 위치/작동 위치)에서 수납 위치(후방 위치)로 후퇴 이동하면, 가이드 돌기(91)가 전방향 가이드 구멍(90)에서 Y-축 방향의 경사 성분을 가진 수직 방향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직진 이동 링(210)이 수납 위치(후방 위치)쪽으로 더 후퇴 이동하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를 Y-축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분력이 생긴다. 이러한 분력으로 인해,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와 일체로 Y-축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 문에, 결과적으로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에 작용하는 Y-축 방향의 이동력이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에도 작용하여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를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0)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향 가이드 구멍(90)과 직진 이동 링(21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91)만 사용하여 촬상 센서(260)을 수납 기준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271) 위에는 특별한 가이드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직진 이동 링(210)에 설치될 가이드 장치도 한 개의 가이드 돌기(91)만 필요하기 때문에, 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되는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촬상 센서(60) 또는 촬상 센서(260)이고 상기 직교하는 평면내에서의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이동은 상흔들림 보정(상흔들림 감소)을 위한 것이지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렌즈 그룹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광학 요소로 될 수 있고, 또한 그 이동은 상흔들림 보정 이외의 다른 기능을 위한 것으로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여러가지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영역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촬상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한 실시예의 줌렌즈 배럴의 완전히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줌렌즈 배럴가 광각단 촬영 상태에 세팅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줌렌즈 배럴이 망원단 촬영 상태에 세팅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줌렌즈 배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줌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과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과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에 대하여 축외 위치에 있는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이 수납 위치로 후퇴된 상태를 나타내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과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7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일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다른 일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주요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ll은 촬상 센서 유지 유닛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3은 디지털 카메라의 주요한 전기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의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각각 중립 위치 및 수납 기준 위치(스테이지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의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수납 기준 위치에 있고,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중립 위치 및 수납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의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각각 수납 기준 위치에 있는 상태의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을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해당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수납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기 슬롯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기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8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0은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의 첨단부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슬롯으로 진입하고, 또한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 상에 형성된 경사 가이드 면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기 슬롯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기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8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1은 줌렌즈 배럴이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의 수납 위치까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이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기 슬롯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기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8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2는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수납 기준 위치보다도 하부의 중립 위치 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해당 부분의 측면도이고;
도 23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중립 위치보다도 더 하부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24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이 도 23에 도시된 것보다 더 후퇴되어서, 상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이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의 경사 가이드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25는 줌렌즈 배럴이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의 수납 위치까지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이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돌출부-맞닿음 경사면 및 돌출부-지지 평면의 각각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26은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의 퇴피 동작,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에 대한 수납 기준 위치 결정 동작 및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에 대한 수납 기준 위치 결정 동작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고;
도 27은 제 3 렌즈 그룹으로부터 촬상 센서까지의 광학 요소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3 렌즈 그룹으로부터 촬상 센서까지의 광학 요소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의 종단면도와, X-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 및 Y-축 방향 가이드 돌출부의 각각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링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제 3 렌즈 그룹 프레임과 해당 캠 기구의 위치-제어 캠 바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동일한 광축 방향의 범위 내에서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8은 도 26의 타이밍 차트의 P1시에서의 도 27에 도시된 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9는 도 26의 타이밍 차트의 P2시에서의 도 27에 도시된 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30은 도 26의 타이밍 차트의 P4시에서의 도 27에 도시된 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31은 도 26의 타이밍 차트의 P6시에서의 도 27에 도시된 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32는 줌렌즈 배럴이 완전히 수납 상태에서의, 도 27에 도시된 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위한 줌렌즈에 설치된 기계식 가이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 AF 렌즈 프레임 및 직진 이동 링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촬상 센서 유지 유닛을 고정 홀더와 고정 홀더의 내부에 위치된 지 지 부재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3에 도시된 요소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도 3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의 수납 기준 위치에 모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6은 X-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X-축 방향의 수납 기준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5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37은 Y-축 방향 이동 스테이지가 Y-축 방향의 수납 기준 위치로부터 변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5와 유사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작동 상태와 수납 상태를 가진 촬상 장치로서,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광축 방향으로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까지 이동하는 축-방향 이동 부재;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가능한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기준 위치로 상기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시키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는 기계식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 되었을 때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의 동력이 OFF 상태로 되는 경우에도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가 단독으로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는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그 이동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이동 한계를 결정하는 스토퍼;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도록 상기 스토퍼쪽으로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모터 작동식 컨트롤러의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가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와 상기 스토퍼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촬상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상흔들림을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에 형성된 상의 상흔들림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상에 장착된 제 1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상에 장착된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가이드 면;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가이드 면은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이동 가이드 면은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한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가이드 면과 상기 제 2 이동 가이드 면은 각각 상기 광축 방향으로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상에 장착된 제 1 이동 스테이지; 그리고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상에 장착된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는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의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스테이지 기준 위치에 각각 위치시킴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는,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일체로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상기 스테이지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방향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 가이드 구멍은 상기 광축과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뿔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렌즈 그룹은, 상기 광축상에 있는 축상 위치와 상기 광축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축외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퇴피가능 렌즈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기계식 가이드 장치가 상기 평면내 이동 광학 요소를 상기 기준 위치로 가이드하기 전에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상기 이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퇴피가능 렌즈 그룹을 상기 축외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퇴피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촬상 센서를 이동시켜서 상기 촬상 센서에 형성된 피사체 상의 상흔들림을 상쇄시키는 상흔들림 보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촬상 장치로서,
    광축 방향으로 전방 위치와 상기 전방 위치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축-방향 이동 부재;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고정 부재상에 장착된 제 1 이동 스테이지;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직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상에 장착된 제 2 이동 스테이지;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1 방향으로서의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가이드 면;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가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기준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축-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를 상기 제 2 방향으로서의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가이드 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촬상 센서는 상기 제 2 이동 스테이지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90021485A 2008-03-13 2009-03-13 촬상 장치 KR20090098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4457 2008-03-13
JPJP-P-2008-064457 2008-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728A true KR20090098728A (ko) 2009-09-17

Family

ID=4063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485A KR20090098728A (ko) 2008-03-13 2009-03-13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0383B2 (ko)
JP (1) JP2009244874A (ko)
KR (1) KR20090098728A (ko)
CN (1) CN101533205B (ko)
DE (1) DE102009013076A1 (ko)
GB (1) GB2458223B (ko)
TW (1) TW200938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519B1 (ko) * 2010-06-07 2014-11-2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렌즈 배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8480B2 (en) 2007-07-16 2009-11-17 Flair Corporation Filter assembly and method
JP4924351B2 (ja) * 2007-10-09 2012-04-25 船井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0074283A (ja) * 2008-09-16 2010-04-02 Hoya Corp 撮像素子駆動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0074547A (ja) * 2008-09-18 2010-04-02 Hoya Corp 撮像素子駆動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0098474A (ja) * 2008-10-15 2010-04-30 Hoya Corp 撮像素子駆動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2011154347A (ja) * 2009-12-28 2011-08-11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
JP5441679B2 (ja) * 2009-12-28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1154297A (ja) * 2010-01-28 2011-08-11 Ricoh Co Ltd 撮像装置
TWI413849B (zh) * 2010-03-08 2013-11-01 Tsung Hsien Liu 潛望式攝影裝置
JP2011215390A (ja) * 2010-03-31 2011-10-27 Hoya Corp 可動鏡筒を備える光学機器
JP5474637B2 (ja) * 2010-03-31 2014-04-16 Hoya株式会社 防振機能付き光学機器
TWI431316B (zh) 2010-07-07 2014-03-21 Ability Entpr Co Ltd 防手振裝置
JP5656005B2 (ja) * 2010-08-30 2015-01-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TW201232027A (en) * 2011-01-17 2012-08-01 Asia Optical Co Inc Image pickup mechanism
TW201250324A (en) * 2011-02-28 2012-12-16 Hoya Corp Optical device having an image-stabilizing insertable/removable optical element
JP5718094B2 (ja) * 2011-02-28 2015-05-13 Hoya株式会社 防振挿脱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IN2012DE01104A (ko) 2011-04-12 2015-09-25 Nikon Corp
TW201303407A (zh) * 2011-07-06 2013-01-16 Asia Optical Co Inc 共用單一檢知元件進行對焦及變焦之鏡頭及其重置方法
JP2015083998A (ja) 2012-02-02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13160864A (ja) 2012-02-02 2013-08-19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
JP2015083999A (ja) 2012-02-02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13114902A1 (ja) 2012-02-02 2013-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13114908A1 (ja) 2012-02-02 2013-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13114901A1 (ja) 2012-02-02 2013-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15083997A (ja) 2012-02-02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5999186B2 (ja) * 2012-08-22 2016-09-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鏡胴
JP6265140B2 (ja) * 2012-12-21 2018-01-24 株式会社リコー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および移動体
TWI491946B (zh) * 2013-10-28 2015-07-11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光學裝置及其構件的穩定方法
JP2015166849A (ja) * 2014-01-06 2015-09-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6601273B2 (ja) * 2016-03-03 2019-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KR101855790B1 (ko) * 2017-06-02 2018-05-10 김도한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CN110933266B (zh) * 2019-07-15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装置、方法及调节元件
TWI738514B (zh) * 2020-09-16 2021-09-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反射元件的相機模組及電子裝置
CN112616007B (zh) * 2020-12-31 2022-06-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摄像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0590B2 (ja) * 1988-12-23 1998-05-1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コンバータ内蔵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3044106B2 (ja) 1991-10-09 2000-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ぶれ防止機能付カメラ
US6295412B1 (en) 1994-06-28 2001-09-25 Nikon Corporation Shake-proof camera
US7035535B2 (en) 2002-08-27 2006-04-25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photographing lens
US7097367B2 (en) 2002-08-27 2006-08-29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JP4551114B2 (ja) * 2004-04-20 2010-09-22 Hoya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JP2006098531A (ja) * 2004-09-28 2006-04-13 Pentax Corp 像ぶれ補正機構とカメラ
JP4417234B2 (ja) 2004-12-01 2010-02-17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4684771B2 (ja) 2005-06-30 2011-05-18 Hoya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TW200710555A (en) 2005-06-30 2007-03-16 Pentax Corp Optical image stabilizer
JP4784208B2 (ja) * 2005-08-29 2011-10-05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
US8019209B2 (en) 2005-09-30 2011-09-13 Hoya Corporation Optical axis correction apparatus of an imaging device, and optical axis correction method for an imaging device
JP4980024B2 (ja) 2005-10-07 2012-07-18 Hoya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
JP4841336B2 (ja) * 2006-07-04 2011-12-21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JP2008064457A (ja) 2007-11-28 2008-03-21 Sharp Corp 熱交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519B1 (ko) * 2010-06-07 2014-11-2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렌즈 배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58223A (en) 2009-09-16
CN101533205A (zh) 2009-09-16
JP2009244874A (ja) 2009-10-22
DE102009013076A1 (de) 2009-12-03
GB2458223B (en) 2011-11-16
CN101533205B (zh) 2012-10-03
GB0904384D0 (en) 2009-04-29
US7860383B2 (en) 2010-12-28
TW200938944A (en) 2009-09-16
US20090231709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8728A (ko) 촬상 장치
JP4775010B2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788203B2 (ja) レンズ鏡筒
JP4447491B2 (ja) レンズ鏡胴、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US8861104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2005049895A (ja) 沈胴式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の沈胴方法
US20120200768A1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4835095B2 (ja) レンズ鏡筒
US11815654B2 (en) 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device
JP4455350B2 (ja) 撮像装置
JP2008090065A (ja) レンズ鏡胴、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
US20100020413A1 (en) Lens barrel
JP2011154347A (ja) レンズ鏡筒
JP200700397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偏光フィルタ回転制御方法
JP5959996B2 (ja) レンズ鏡筒
JP2002214667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JP4683795B2 (ja) レンズ移動装置
JP4537896B2 (ja) 撮像装置
JP5212818B2 (ja) レンズ鏡胴、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JP5312260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2189163A (ja) 光学装置および撮影装置
US20230055253A1 (en) Optical apparatus, image stabilization device,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14106277A (ja) レンズ鏡筒
JP5889689B2 (ja) Af防振ブロックを備えるレンズ鏡筒
JP2007163841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並びにレンズ位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