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716A -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 - Google Patents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716A
KR20090092716A KR1020090016147A KR20090016147A KR20090092716A KR 20090092716 A KR20090092716 A KR 20090092716A KR 1020090016147 A KR1020090016147 A KR 1020090016147A KR 20090016147 A KR20090016147 A KR 20090016147A KR 20090092716 A KR20090092716 A KR 2009009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needle
springs
spring
longitudinal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639B1 (ko
Inventor
클라우스 키르크마이어
프랑크 바이힝
위르겐 슈나이더
오스카 샤퍼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9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8)을 갖는 진보적인 트랜스퍼 니들(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8)은 그의 한 단부상에서 니들 몸체의 리세스 또는 적합한 측면 포켓에 보유되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팁은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 슬릿에 위치된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니들 몸체(5)의 길이 방향(L)으로 개방되는 입구(25)를 갖는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입구(25)는 후크(6)로부터 이격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단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Transfer needle with internal spring tip}
본 발명은 편직 공구(knitting tool)로서 작용하도록 배치된 트랜스퍼 니들(transfer needl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클램핑 효과 없이도 니들 베드의 니들 채널 안으로 오그라들 수 있는 트랜스퍼 니들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퍼 스프링들을 구비한 편직 공구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WO 2007/057041호는 그의 한 단부상에 후크(hook)가 제공되는 확장된 니들 몸체를 갖는 트랜스퍼 니들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후크는 래치와 결합된다. 상기 래치 니들의 샤프트의 양쪽 측면에는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의 후방 단부들이 정위치에 보유되는 리세스들이 제공된다. 그들 단부들 부근에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은 측면으로 외향 굴곡된 영역들을 가지며, 그들이 팁들은 차례로 상기 니들 몸체의 측면 리세스들에 설정된다.
그와 같은 트랜스퍼 스프링들은 - 적어도 구동 풋(driving foot)이 제공되는 후방 영역으로 - 편직기(knitting machine)의 니들 채널로 안내된다. 상기 니들 채널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외향 굴곡된 영역들에 의해 취하여진 폭보다 명백하게 작은 폭을 갖는다. 만약, 상기 외향 굴곡된 영역들이 좁은 니들 채널 안으로 진입되도록 상기 니들이 상기 니들 채널 안으로 훨씬 멀리 오그라든다면,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은 압축된다. 그와 같이 하는 경우, 상기 측면 리세스들에 위치한 트랜스퍼 니들들의 팁들이 외부를 향해 이격되어 펼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니들 채널에 위치한 니들의 마찰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편직 공구의 실질적인 수행으로 인해 빈번하게 상부 니들백과 트랜스퍼 스프링 사이에 리세스 또는 계단부를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방향으로 니들 샤프트상에서 슬라이딩하는 반-스티치(stitch)는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상으로 더욱 슬라이딩하기 전에 상대적으로 깊은 리세스 안으로 낙하한다.
또한, 제작 공차로 인해, 반-스티치들이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반-스티치들이 팀들상에 포획될 수 있도록,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팁들이 상기 니들 두께를 너머로 돌출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혼합 니들(compound needle)이 문헌 JP 33-10684에 공개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후크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고 또한 스티치들을 이송시키도록 배열된다. 상기 혼합 니들은 길이 방향 리세스를 갖는 확장 브레스트 영역(breast region)을 갖는다. 이와 같은 리세스는 니들의 후크를 향해 개방된다. 상기 슬라이드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니들상에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는 외향 굴곡된 탄성 아암들을 갖는다. 탄성 팁들은 서로에 대해 접촉하며, 상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리세스 안으로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는 후크의 내측 공간을 개방 및 밀봉하고 또한 스티치들을 이송시키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개량된 트랜스퍼 니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트랜스퍼 니들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니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의 한 단부는 니들 몸체에 견고하게 연결, 즉 그에 부착된다. 후방 단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은 측면 방향으로 굴곡되며, 따라서 상기 니들 몸체 너머 측면으로 분명하게 돌출한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전방 단부는 상기 니들 몸체를 향해 다시 굴곡되며,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 슬릿으로 진입한다. 상기 트랜스퍼 니들의 전방 단부는 상기 길이 방향 슬릿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된다. 적합하게도, 상기 니들 몸체는 균일한 폭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니들 몸체의 폭은 그의 2개의 적합한 평평한 측면들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이 제공된 니들 샤프트의 섹션이 나머지 니들 샤프트보다 넓을 때, 장점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의 결과로서,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트랜스퍼 스프링을 갖는 트랜스퍼 니들은, 클램핑 효과나 또는 과도한 마모가 발생하는 일 없이, 니들 채널 안으로 오그라들 수 있다. 상기 니들 채널의 벽들은 트랜스퍼 스프링의 외향 굴곡된 영역들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킨 결과,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상기 길이 방향 슬릿에서 다소 슬라이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은 테이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팁들의 두께 감소 또는 테이퍼는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 폭의 50%까지 예상될 수 있다. 특별한 적용에 있어서, 상기 감소는 상기 스프링 폭의 50% 이상이 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 슬릿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을 안내하며, 그들이 상기 니들 채널의 벽에 대항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은 외향으로 펼쳐져 자체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니들 채널의 벽들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을 상기 길이 방향 슬릿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니들 몸체는 니들 샤프트의 외부 측면들 위로 슬라이딩되는 반-스티치들이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지적된 전방 단부들상에 포획되지 않도록 상기 영역에 평탄한 외부 측부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은, 상기 반-스티치들이 손상되는 일 없이 상기 니들 샤프트로부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니들 샤프트의 좁은 상부 표면과 원할하게 인접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은 입구를 가지며, 상기 입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 또는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팁(들) 또는 단부(들)이 상기 길이 방향 슬릿 안으로 진입된다. 적합하게도, 이와 같은 입구는 상기 트랜스퍼 니들의 후크로부터 이격되어 마주하는 길이 방향 슬릿의 측면상에 제공된다. 상기 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의 고정 후방 단부들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많은 경우, 만약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이 상기 후크로부터 이격되어 마주하는 측면상에 뿐만 아니라 상기 후크와 마주하는 측면상에서 - 길이 방향으로 - 개방된다면 유익하다. 특히, 이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 방향 슬릿을 갖는 니들 몸체들의 사용에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의 팁은 - 그가 니들 베드의 니들 채널 안으로 진입할 때 -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의 후크측 단부상으로 다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는 또한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들을 구비하는 트랜스퍼 니들에 제공된다. 만약 압축 상태의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팁들이 상기 슬릿 단부 너머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경우, 그들은 니들 채널의 벽과 직접 접촉하는 일 없이 상기 외부를 향해 약간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팁들의 해제로 인해, 2개의 스프링들을 압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을 상기 니들 채널 안으로 삽입하도록 감소된다. 그 결과, 그와 같지 않을 경우 상기 트랜스퍼 니들과 상기 니들 채널 사이에 발생하게 될 마찰력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또한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 슬릿의 경계를 정하는 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팁이 부풀어오르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는 측면 진입부(break-through)가 제공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랜스퍼 니들이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을 갖는다면, 그들의 전방 단부들 또는 팁들은 - 작동 위치에서 - 상기 길이 방향 슬릿에서 탄성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한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이 압축될 때조차, 상기 2개의 전방 단부들 사이의 접촉은 지속된다. 기껏해야,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이 서로 접촉하는 지점이 길이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이 상기 트랜스퍼 니들들의 중앙 평면에서 만나므로,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니들 채널 벽과 직접 접촉하는 일 없이 (예들 들면,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의 측면 벽들의 개구부들을 통해) 외부를 향해 약간 펼쳐질 수 있다. 이 경우, 트랜스퍼 스프링들이 니들 몸체의 측면 포켓들에 지지되는 트랜스퍼 니들들과 비교할 때, 현격한 장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들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들이 도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의 주제가 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실시예들 및 다방면의 양태에 대해 언급된다. 도면들은 추가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며, 보충을 위한 참고로서 관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트랜스퍼 스프링을 갖는 트랜스퍼 니들은, 클램핑 효과나 또는 과도한 마모가 발생하는 일 없이, 니들 채널 안으로 오그라들 수 있다. 상기 니들 채널의 벽들은 트랜스퍼 스프링의 외향 굴곡된 영역들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킨 결과,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상기 길이 방향 슬릿에서 다소 슬라이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은 테이퍼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팁들의 두께 감소 또는 테이퍼로 인해,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 슬릿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을 안내하며, 그들이 상기 니들 채널의 벽에 대항하여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의 전방 단부들은 외향으로 펼쳐져 자체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니들 채널의 벽들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니들을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과 관련된 트랜스퍼 니들을 상세하게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와 관련된 트랜스퍼 니들을 상세하게 확대한 다른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트랜스퍼 니들의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니들의 변경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니들의 다른 변경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
도 7은 다른 스프링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래치 니들의 사시도.
도 8은 도 7과 관련된 래치 니들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랜스퍼 니들 2 : 반-스티치
3 ; 니들 4 : 축
5 : 니들 몸체 L : 길이 방향
6 : 후크 7 : 래치
8, 9 : 트랜스퍼 스프링 10 ; 구동 풋
11, 12 : 홀딩 섹션 13, 14 : 신장부
15, 15' : 리세스 16 : 차단부
17 : 편평한 측면 18, 19 : 섹션
20, 21 : 아암 22, 23 : 단부
24 : 세로 방향 슬릿 25 : 입구
26, 27 : 에지 28, 29 : 스티치 지지 숄더
30 : 차단부 31 : 개구부
32, 33 : 가닥부 34 : 가로 방향 개구부
35, 36 : 편평한 측면 37 : 수용 슬릿
38 ; 가로 방향 개구부 39, 40 : 풋
도 1은 반-스티치(2)를 운반하는 트랜스퍼 니들(1)을 도시한다. 상기 반-스티치(2)는 생성되는 공정에 있는 편물(knit fabric)로부터 돌출하는 스티치의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반-스티치(2)를 취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퍼 니들(1)과 관련하여 연장하는 축(4)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니들(3)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은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하는 길이 방향 니들 몸체(5)를 갖는다. 한 단부상에서, 상기 니들 몸체(5)에는 후크(6)가 제공된다. 상기 후크(6)는 - 어떠한 다른 래치 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 또한 선회 방식으로 지지되는 래치(7)와 결합된다. 도 1은 그의 후방 위치에 위치한 래치(7)를 도시한다. 상기 래치(7)는 상기 후크(6)를 향해 선회될 수 있으며, 스레드 또는 반-스티지를 밀봉하기 위해 그에 대해 접촉한다. 상기 니들 몸체(5)는 얇은 스프링 강판 재료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적합하게는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을 운반하며,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니들 몸체(5)상의 적소에 고정된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은 상기 반-스티치(2)를 다른 편직 공구들, 예를 들면 니들(4)로 이송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이송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이송 영역은 다소 긴 샤프트 섹션에 의해 인접된다. 상기 니들 몸체(5)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풋(10) 또는 다른 구동 수단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니들 몸체에는 예를 들면 풋 니들(foot needle) 등과 같은 구동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결속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실시예를 고려하여,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은 서로에 대해 미러 이미지형(mirror-image-like)을 구성한다. 그러나, 만약 필요한 경우, 그들은 또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들 각각은 도 2 내지 도 4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단부 형태의 홀딩 섹션(11, 12)을 가진다. 상기 어태치먼트 단부(11, 12)는 예를 들면 상향으로 신장부(13, 14)를 연장시키는 평판형의 편평한 섹션이며, 상기 신장부는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을 축 방향으로 고착시키도록 작용한다. 상기 홀딩 섹션들(11, 12)은 상기 니들 몸체(5)에 제공된 측면 리세스(15)에 배열된다. 상기 리세스(15)는 예를 들면 편평한 홈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홀딩 섹션(12)은 상기 홈의 편평한 바닥과 접촉한다. 상기 홀딩섹션(11)은 상기 홀딩 섹션(12)상에 합체되는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15)는 상기 니들 몸체(5)의 샤프트의 좁고 편평한 상부 측면(17)으로 상승 연장하는 차단부(16)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편평한 측면을 통해 차단된다. 상기 신장부(13, 14)는 상기 리세스(15)의 차단부(16) 안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을 축 방향으로 고착시킨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신장부들(13, 14)이 상기 좁고 편평한 측면(17) 너머로 최소한으로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홀딩 섹션들(11, 12)은 클림핑, 용접, 시멘트 접합, 납땜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상기 니들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섹션들(11, 12)로부터 상기 후크(6)를 향한 연장선상에,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탄성 섹션들(18, 19)이 존재한다. 상기 섹션들(18, 19)은 그들 사이의 상기 니들 몸체(5)의 폭을 초과하는 거리를 규정한다. 상기 니들 몸체(5)의 폭은 그의 평행한 2개의 큰 편평한 측면들(35, 36) 사이에서 측정된다.
상기 섹션들(18, 19)의 전방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연장하는 아암들(20, 21)에서 종결한다. 전방 단부들(22, 23)상에서, 상기 아암들(20, 21)은 서로 접촉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단부들(22, 23)은 상기 니들 몸체(5)의 상부 측면상에서 적절히 개방되는 길이 방향 슬릿(24) 안으로 연장한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나머지 트랜스퍼 섹션에 있는 니들 몸체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갖는 니들 몸체(5)의 섹션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벽들은 외향으로 굴곡되지 않으며, 직선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후크(6)로부터 이격된 그의 단부상에서 개방된다. 거기에서, 상기 홀딩 섹션들(11, 12)을 향해 개방되는 입구(25)를 갖는다. 상기 단부들(22, 23)은 상기 입구(25)를 통해 상기 길이 방향 슬릿 안으로 연장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니들의 상부 측면상에서 개방된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외부, 적합하게는 평탄하고 편평한 측면들(35, 36)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을 규정하는, 2개의 벽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팁들은 상기 길이 방향 슬릿의 벽들 사이에 보유되며, 상기 니들 채널의 벽들로부터 떨어져 보유된다.
적합하게도, 상기 슬릿(25)은 계단부상에 배열된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경계를 정하는 벽들의 상부 에지들(26, 27)은 각각 굴곡된 원호형 또는 직선형 표면으로서 상기 단부들(22, 23) 및 아암들(20, 21)에 인접한다. 이 결과, 거의 계단부를 형성하지 않는 전이가 상기 길이 방향 슬릿들(24)을 갖는 니들 몸체으)의 영역으로부터 각각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단부들(22, 23) 및 아암들(20, 21)까지 발생한다. 반-스티치는 상기 니들 몸체(5)로부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8, 9)의 아암들(20, 21)상으로의 전이부 위로 손상 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의 한 부품인 상기 니들 베이스 몸체(5)로부터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의 다른 부품인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8, 9)으로의 상기 반-스티치의 균일하고,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에지들(26, 27)은 거기에 존재하는 계단부의 입구(25)에서 종결된다.
상기 단부들(22, 23)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으로 안내된다. 함께, 그들은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내부 폭보다 최소한으로 작은 폭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입구(25) 및 그의 상부 측면상에서 개방될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후크(6)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들(20, 21)은 그들의 상부 측면상에서 반드시 직선으로 된다. 그들은 스티치 지지 숄더들(28, 29)에 있는 예들 들어 섹션들(18, 19)에서 종결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트랜스퍼 니들의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7, 8)을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니들 몸체(5)는 상기 각각의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에 대한 자체 개별 리세스(15, 1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리세스(15)는 상기 큰 편평한 측면(35)으로부터 상기 니들 몸체(5) 안으로 연장하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9)을 수용한다. 상기 제 2 리세스(15')는 상기 큰 편평한 측면(34)으로부터 상기 니들 베이스 몸체(5) 안으로 연장하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8)을 수용한다. 다른 특징들은 상술된 것과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기본적으로는 상술된 설명에 따라 형성된다.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은 작업에 관한 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1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은 상기 반-스티치(2)을 취할 수 있다. 그는 상기 니들 샤프트 위의 후크(6)로부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예들 들어 그들에 의해 펼쳐진다. 그들은 상기 스티치 지지 숄더들(28, 29)과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편직 공구, 예를 들면 니들(3)에 의해 펼쳐진 형태로 취하여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충분한 중간 공간이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6)과 상기 큰 편평한 측면(34) 사이(도 4) 및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9)과 상기 큰 편평한 측면(36) 사이(도 2)에 존재하게 되며, 설명된 바와 같이 그 안의 상기 니들(3)은 상기 길이 방향(1)과 평행하거나 또는 그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갖고 위치될 수 있다. 만약 필요한 경우, 상기 니들 몸체(5)에는 이와 같은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차단부(30)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면,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이 압축될 때, 상기 차단부가 상기 섹션들(18, 19)의 하향 신장부들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편성 작업이 수행될 때,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은 니들 베드의 길이 방향(L)으로 전후 이동된다. 운동은 구동 풋(10)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 니들 채널은, 상기 니들 몸체(5)의 폭보다 약간 큰, 서로로부터의 거리를 갖는 2개의 채널 벽들에 의해 경계가 정하여진다. 만약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이 상기 채널 벽들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이 상기 니들 채널 안으로 충분히 멀리 이동된다면,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은 압축된다. 그 결과, 상기 니들 몸체(5)의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단부들(22, 23)은 전방으로 밀려진다. 그러나, 상기 단부들(22, 23)이 상기 니들 채널의 채널 벽들과 접촉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단부들(22, 23)이 각각의 작동 모드에서 상기 반-스티치(2)과 접촉하는 것도 방지된다. 그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반-스티치(2)는 포획 또는 손상으로부터 방지된다.
도 5는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을 약간 수정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와 같은 수정은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구성에 제한되며, 이는 도 5에서의 설명이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의 대응 섹션으로 제한하는 이유이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경계를 정하는 벽들에는 상기 길이 방향(L)과 횡으로 연장하는 개구부(31)가 제공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입구(25)에서 종결된다. 오직 가닥부들(32, 33)만이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벽들에 잔류하며, 상기 가닥부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포크 형태를 갖는다.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단부들(22, 23)은 상기 가닥부들(32, 33) 사이에 남는다. 그러나, 상기 단부들(22, 23)의 최외곽 팁들은 또한 상기 가닥부들(32, 33) 아래의 개구부(31)를 통해 다소 외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이 압축되면, 서로 접촉되어 있는 상기 단부들(22, 23)의 최외곽 팁들은 상기 가닥부들(32, 33) 아래로 선회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2개의 스프링들(8, 9)을 압축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퍼 니들(1)은 그의 니들 채널 안으로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니들(1)과 상기 니들 채널의 벽들 사이에서 크게 증가될 수 있는 마찰력은 회피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경계를 정하는 벽들에는 상기 입구(25)와 연통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가로 방향 개구부(34)가 제공된다. 또한, 이 경우, 예들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로 방향 개구부(34)는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팁들에 대한 클램핑 작업을 허용한다; 그리고 특히 상기 니들 채널에서의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1)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수정된 어태치먼트를 갖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들을 수용하기 위해, 적절한 후방 샤프트 섹션에는 상기 니들 몸체(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부를 향해, 즉 상기 니들 후방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되는 수용 슬릿(37)이 제공된다. 상기 2개의 홀딩 섹션들(11, 12)은 상기 수용 슬릿(37) 안으로 서로에 대해 접하며 연장한다. 가로 방향 개구부(38)가 상기 니들 몸체(5)를 통해 연장하며 따라서 수용 슬릿(37)을 절삭한다. 원칙적으로, 상기 가로 방향 개구부(38)는 어떠한 원하는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는 약간 장방향 또는 정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 섹션들(11, 12)에는 상기 수용 슬릿들(37)의 저부를 너머 상기 개구부(36) 내로 하향 연장하는 풋들(39, 40)이 제공된다. 상기 가로 방향 개구부(30) 및/또는 상기 풋들(39, 40)의 에지들에 대한 가소성 변형은 상기 니들 몸체(5)와 상기 홀딩 스프링들(8, 9) 사이에 지속되는 영구적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변형 대신에, 용접, 시멘트 접합, 납땜 등에 의한 연결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8)을 갖는 진보적인 트랜스퍼 니들(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8)은 그의 한 단부상에서 상기 니들 몸체의 리세스 또는 적절한 측면 포켓에 보유되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팁은 상기 니들 몸체의 길이 방향 슬릿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니들 몸체(5)의 길이 방향(L)으로 개방하는 입구(25)를 갖는다.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입구(25)는 상기 후크(6)로부터 이격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의 단부에 위치한다.

Claims (13)

  1. 트랜스퍼 니들(1)로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8, 9)을 구비하는 길이 방향 니들 몸체(5)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한 단부(12, 11)는 상기 니들 몸체(5)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니들 몸체(5) 너머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의 다른 단부(23, 22)는 상기 니들 몸체(5)의 길이 방향 슬릿(24)에 위치되는 트랜스퍼 니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8, 9)의 고정 단부(12, 11)를 향해 개방되는 입구(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몸체(5)는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또한 그의 한 단부상에 후크(6)를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후크(6)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측면상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은 상기 후크(6)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측면상에서 뿐만 아니라 상기 후크(6)와 마주하는 측면상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24)은 상기 니들 몸체(5)의 편평한 측면(35, 36)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6.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은 상기 트랜스퍼 니들(1)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은 중심 영역(18, 19)에서 서로로부터 떨어져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팁들(22, 23)은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에 최소한의 활동 범위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의 팁들(22, 23)은 상기 길이 방향 슬릿(24)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프링들(8, 9)은 그들의 전방 단부상에서 테이퍼지는 팁들(22, 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8)은 그의 고정 단부(12)상에서 상기 니들 몸체(5)의 측면 개방 포켓(15)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몸체(5)는 2개의 리세스들(15)을 가지며, 각각의 리세스(15)는 하나의 트랜스퍼 스프링(8, 9)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15)는 큰 편평한 측면(36)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 2 리세스(15)는 큰 편평한 측면(35)으로부터 상기 니들 몸체(5) 안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니들.
KR1020090016147A 2008-02-27 2009-02-26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 KR101027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03528A EP2096200B1 (de) 2008-02-27 2008-02-27 Umhängenadel mit innen liegender Federspitze
EP08003528.0 200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716A true KR20090092716A (ko) 2009-09-01
KR101027639B1 KR101027639B1 (ko) 2011-04-07

Family

ID=3927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47A KR101027639B1 (ko) 2008-02-27 2009-02-26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36729B2 (ko)
EP (1) EP2096200B1 (ko)
JP (1) JP4954229B2 (ko)
KR (1) KR101027639B1 (ko)
CN (1) CN101532208B (ko)
TW (1) TWI3772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5239A1 (de) * 2013-05-22 2014-11-27 Groz-Beckert Kg Schiebernadel
DE102015105648A1 (de) * 2015-04-14 2016-10-20 Groz-Beckert Kg Schieberfeder, Schieber, Schiebernadel, Führ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wenigstens einer Schieberfeder
JP6642955B2 (ja) 2016-01-11 2020-02-12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内視鏡用の部分使い捨て外科用クリップアプライア
EP3418434B1 (de) * 2017-06-19 2019-05-01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werkzeug, insbesondere maschinenstricknadel
CN107354575A (zh) * 2017-08-09 2017-11-17 南通市光阳针业有限公司 一种新型移圈织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7865A (en) * 1961-08-29 Philip
US885150A (en) * 1906-02-24 1908-04-21 Powell Knitting Company Transferring device for knitting-machines.
GB419601A (en) * 1933-05-11 1934-11-12 Frederick George Colem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nitting needles and knitting machines
US2667770A (en) * 1950-08-23 1954-02-02 Ordnance Gauge Company Transfer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FR1407989A (fr) * 1964-09-16 1965-08-06 Aiguille spéciale pour le passage de la maille à côte ou de la maille élastique ou analogue à la maille unie dans un métier de bonneterie rectiligne
ES243765Y (es) * 1979-05-24 1980-04-16 Aguja de transferencia de malla en maquinas de tejidos de punto.
ES256197Y (es) 1981-01-27 1982-04-16 Aguja de transferencia de malla para maquinas de generos de punto
IT8321328V0 (it) * 1983-03-30 1983-03-30 Santoni & C Spa Ago del piatto composito per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per calzetteria atta a produrre maglia a costa.
CH664392A5 (de) * 1984-12-18 1988-02-29 Dubied & Cie Sa E Zungennadel fuer maschenuebertragung.
IT1185187B (it) * 1985-07-04 1987-11-04 Mecmor Spa Dispositivo per il passaggio del punto da un ago per la formazione di maglia diritta ad un ago per la formazione di maglia rovescia e viceversa,in una macchina per maglieria e simili
JPS6328957A (ja) * 1986-07-14 1988-02-06 伊藤 暁 目移しジヤツク付き複合針
JPH034744Y2 (ko) * 1987-05-12 1991-02-07
JPH0578962A (ja) * 1991-09-17 1993-03-30 Shima Seiki Mfg Ltd 編機用コンパウンドニードル
JP3310684B2 (ja) 1992-01-28 2002-08-05 ニチ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電解液
DE19905668C2 (de) * 1999-02-11 2001-01-25 Groz Beckert Kg Umhängenadel zur Maschenübertragung
DE19913822C2 (de) * 1999-03-26 2001-02-22 Groz Beckert Kg Schiebernadel mit geteiltem Schieber
DE10227533C1 (de) * 2002-06-20 2003-12-11 Groz Beckert Kg Nadel mit Umhängefeder
JP5364379B2 (ja) 2005-11-18 2013-12-11 サントニ エッセ.ピ.ア. 靴下編機等のためのその針自身から隣接する針へステッチを移す針
EP1887117B1 (de) 2006-08-11 2010-03-17 Groz-Beckert KG Zungennadel für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2208B (zh) 2012-02-01
KR101027639B1 (ko) 2011-04-07
JP2009215693A (ja) 2009-09-24
TWI377275B (en) 2012-11-21
CN101532208A (zh) 2009-09-16
TW201009149A (en) 2010-03-01
EP2096200A1 (de) 2009-09-02
JP4954229B2 (ja) 2012-06-13
EP2096200B1 (de) 2011-06-08
US7836729B2 (en) 2010-11-23
US20090211304A1 (en)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639B1 (ko) 내부 스프링 팁을 구비한 트랜스퍼 니들
JP4108549B2 (ja) 横編機用の針
WO2020083644A1 (en) Device for loop-forming, sinker means and method for loop forming
EP3702505A1 (en) Compound needle in flat knitting machine
EP3702506A1 (en) Compound needle for flat knitting machine
KR100740023B1 (ko) 래치 니들
JP6373361B2 (ja) スライド針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20060128728A (ko) 방직 기계용 걸쇠 바늘
EP2581480A1 (en) Slider needle with improved slider
KR20090086036A (ko) 래치 니들
US7509820B2 (en) Latch-type needle for stitch-forming textile machine
EP2551393B1 (en) Complex needle, weft knitting machine
JP3977783B2 (ja) べら針
KR100821867B1 (ko) 복합 바늘
KR101170661B1 (ko) 회전 스위블 핀을 구비한 편직바늘
JPH10266049A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のための舌針
US11891734B2 (en) Compound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US7810358B2 (en) Latch-type needle with sliding surface
CN102477662B (zh) 横机的复合针
US20210301434A1 (en) Latch needle
TW202328528A (zh) 編織工具及製造編織工具的方法
JP5232862B2 (ja) 円形靴下編み機における編み目の移動のためのプッシャー
JP2008007931A (ja) べら針
US20070295034A1 (en) Latch needle for loop-forming tex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