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559A - 잉크젯용 잉크 - Google Patents

잉크젯용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559A
KR20090086559A KR1020097010516A KR20097010516A KR20090086559A KR 20090086559 A KR20090086559 A KR 20090086559A KR 1020097010516 A KR1020097010516 A KR 1020097010516A KR 20097010516 A KR20097010516 A KR 20097010516A KR 20090086559 A KR20090086559 A KR 20090086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hepto
ene
dicarboxyimide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다니오카
가오리 에구치
다카시 기쿠카와
히로시 안라쿠
신스케 하나후사
Original Assignee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칫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5Permanent coat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1회의 잉크젯팅으로 비교적 두꺼운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잉크가 요구되어 왔다. 1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고분자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및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가 개시된다.
Figure P1020097010516
잉크젯, 잉크, 나드이미드 화합물, 폴리이미드, 알케닐 치환, 절연막 층, 고분자 화합물

Description

잉크젯용 잉크{INKJET INK}
본 발명은 잉크젯용 잉크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전자 부품 제작에 있어서 절연막 층을 형성하기 위한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nadimide)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상기 잉크젯용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막, 및 상기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한 필름 기판, 상기 필름 기판을 가지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미드는 내열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자 통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039714호 공보(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238683호 공보(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4-094118호 공보(특허 문헌 3) 참조].
폴리이미드를 원하는 패턴 막으로서 사용할 경우, 종래는 에칭과 감광성 폴리이미드를 사용해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잉크젯에 의해 원하는 패턴 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잉크젯용 잉크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3-213165호 공보(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006-131730호 공보(특허 문헌 5) 참조], 폴리이미드계의 잉크젯 잉크를 조제하고자 하면, 비교적 고분자이기 때문에, 잉크 젯 잉크로서 최적인 점도의 잉크를 조제하기 위해서는, 용매의 비율을 늘려서 잉크 중의 폴리아미드산 함유량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1회의 잉크젯팅으로 얻어지는 막의 두께가 얇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은, 가열함으로써 중합되어 이미드 결합을 가지는 고체 생성물(폴리이미드)로 될 수 있는 열경화성 화합물이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9-080661호 공보(특허 문헌 6), 일본 특개소60-124619호 공보(특허 문헌 7), 일본 특개소61-018761호 공보(특허 문헌 8), 일본 특개평 05-301948호 공보(특허 문헌 9) 참조].
말레이미드형, 아세틸렌형, 나딕산형 등의 열경화성 폴리이미드는, 말단에 불포화기를 가지는 저분자량, 저점성인 화합물의 삼차원 가교로 얻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선형 폴리이미드보다도 가공이 용이하다. 양호한 내열성을 나타내고, 경화 시에 보이드나 크랙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성형 재료나 적층 재료의 매트릭스 수지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의 형성 재료이며, 부피가 큰 구조를 가진 저분자량의 이미드 모노머이기 때문에, 지방족 탄화수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용해가능하며, 용액 상태로 장기간 보존해도 결정의 석출이나 겔화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한 경화 기작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가열에 의해 알릴기 및 노르보르넨 골격 중의 이중 결합의 Ene 반응과 Diels-Alder 반응이 진행되어, 삼차원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이렇게 범용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나타내고, 경화물의 양호한 내열성, 기계 적 특성, 전기적 특성, 내약품성을 나타내는 점에서, 수지 개질제, 내열도료, 및 각종 코팅 재료, 내열 접착제 등으로의 용도 전개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을 사용해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09-325210호 공보(특허 문헌 10) 참조], 잉크젯에 의해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 후에, 열경화에 의해 중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되거나 시사된 바가 없다.
또한, 폴리아미드산, 가용성 폴리이미드 등을 함유하는 바니시에, 추가로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이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배향제 바니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4-341030호 공보(특허 문헌 11) 참조]. 그러나, 이 기술은 폴리아미드산, 가용성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화합물이 주체인 것이고, 폴리이미드계 배향막의 기계적 강도나 러빙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량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다(실시예에서는 액정 배향제 바니시에 대하여 0.6% 및 0.06%).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열경화에 의해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잉크젯에 의해 인쇄 도포하는 것에 대하여도 전혀 시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0-03971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3-23868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4-09411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003-213165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 2006-131730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개소59-080661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개소60-124619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개소61-018761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개평05-301948호 공보
특허 문헌 10: 일본 특개평09-325210호 공보
특허 문헌 11: 일본 특개 2004-341030호 공보
특허 문헌 12: 일본 특개평07-053516호 공보
1회의 젯팅(토출)으로 비교적 두꺼운 폴리이미드 막(1㎛ 이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잉크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1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추가로 고분자 화합물(B)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추가로 용매(C)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를 발견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잉크젯용 잉크 등을 제공한다.
[1] 1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2]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이, 모노아민, 디아민, 트리아민 또는 테트라아민과,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만들어지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인, 상기 [1]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1
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6의 알케닐,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또는 벤질 중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이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2
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6의 알케닐,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또는 벤질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1∼4의 정수이고,
n=1일 때, R3은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1∼12의 하이드록시 알킬,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벤질, -{(CqH2q)Ot(CrH2rO)uCsH2sX}(단 q, r, s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2∼6의 정수, t는 0 또는 1의 정수 및 u는 1∼30의 정수, X는 수소 또는 수산기임)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 -(R)a-C6H4-R4(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은 탄소수 1∼4의 알킬렌,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을 각각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5{여기에서, T는 -CH2-, -C(CH3)2-, -CO-, -S- 혹은 -SO2-임}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이들 기의 방향환에 직접 결합된 1∼3개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이며,
n=2일 때, R3은 탄소수 2∼20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탄소수 5∼8의 사이클로 알킬렌, 탄소수 6∼12의 아릴렌, -(R)a-C6H4-R5-(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4-, -C6H4-T-C6H4-T-C6H4- 또는 -C6H4-T'-C6H4-T-C6H4-T'-C6H4-{단, T는 단일 결합, 탄소수 1∼6의 알킬렌, -C(CH3)2-, -C(CF3)2-, -CO-, -O-, -S- 또는 -SO2-이며, T'은 -CH2- 또는 -O-임}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이들 기의 방향환에 직접 결합하는 1∼3개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 식(7)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8)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식(7) 중, x는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y는 1∼70의 정수이고,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3
n=3일 때, R3은 하기 식(5) 또는 (5')로 표시되는 기이며,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4
식(5)에서, R은 수소, 플루오르, 염소, -OH, -OCF3, -OCF2H, -CF3, -CF2H, -CFH2, -OCF2CF2H, -OCF2CFHCF3,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이며, 식(5), (5')에서,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1,4-페닐렌, 수소가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1,4-페닐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이며, 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n=4일 때, R3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5
식(6)에서, R4, R5,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1,4-페닐렌, 수소가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1,4-페닐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이며, 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4] n이 2인,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5] n이 2이고, R3이, 탄소수 2∼15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R)a-C6H4-R5-(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4-, -C6H4-T-C6H4-T-C6H4- 또는 -C6H4-T'-C6H4-T-C6H4-T'-C6H4-{단 T는 단일 결합, -CH2-, -C(CH3)2-, -C(CF3)2-, -CO-, -O-, -S- 또는 -SO2-이며, T'은 -CH2- 또는 -O-임}로 표시되는 기인,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6]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n이 2이고, R3이 탄소수 2∼15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식(2)으로 표시되는 기, 식(3)으로 표시되는 기, 식(4)으로 표시되는 기, 식(7)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8)으로 표시되는 기인,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6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7
식(2) 및 (4)에서, R은, -CH2-, -CH2CH2-, -O-, -C(CH3)2-, -C(CF3)2-, -SO2-로 이루어지는 유기기이며, 식(4)에서, X는, -CH2-, -O-로 이루어지는 유기기이며, 식(7) 중, x는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y는 1∼70의 정수이다.
[7]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n이 3이며, R3이, 식(5-1), 식(5'-1) 또는 식(5'-2)으로 표시되는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8
식(5-1)에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 또는 -OH이며, 식(5'-2)에서,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1,2-에틸렌, 1,4-부틸렌이다.
[8]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n이 4이고, R3이, 하기 식(6-1)으로 표시되는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09
[9] n이 1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n이 2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n이 3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및 n이 4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포함하는,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0]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R3이 탄소수 1∼12의 알킬(n=1), 탄소수 6∼12의 아릴(n=1), -(CH2)p-(n=2, p는 6∼12의 정수임), 식(2-1)으로 표시되는 기, 식(3)으로 표시되는 기, 식(4-1)으로 표시되는 기, 식(7-1)으로 표시되는 기, 식(8)으로 표시되는 기, 식(5-2)으로 표시되는 기, 식(5-3)으로 표시되는 기, 식(5'-1)으로 표시되는 기, 식(5'-3)으로 표시되는 기, 식(6-1)으로 표시되는 기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0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1
[11] 고분자 화합물(B)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2] 상기 고분자 화합물(B)이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 중 1종 이상인, 상기 [11]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3] 상기 고분자 화합물(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인, 상기 [11]항 또는 상기 [12]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4] 용매(C)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5] 용매(C)가, 락트산 에틸,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사이클로헥사논 및 γ-부티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상기 [14]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6]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1∼99중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1]∼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7]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10∼80중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1]∼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8]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22∼70중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1]∼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19] 상기 [1]∼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가열 처리해서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해서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막 또는 패턴형 폴리이미드 막.
[20] 상기 [1]∼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도막을 가열 처리해서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막의 형성 방법.
[21] 상기 [20]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막의 형성 방법으로 기판 상에 폴리이미드 막이 형성된 필름 기판.
[22] 상기 [21]에 기재된 필름 기판을 가지는 전자 부품.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른 잉크젯용 잉크를 사용하면, 1회의 젯팅으로 비교적 두꺼운 막 두께를 가지는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로 형성된 폴리이미드 막은, 예를 들면, 내열성, 전기 절연성이 높고, 전자 부품의 신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합성예 12에서 얻어진 TrisANITAEA의 IR 스펙트럼이다.
도 2는, 합성예 12에서 얻어진 TrisANITAEA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합성예 13에서 얻어진 TrisANITrisAM의 IR 스펙트럼이다.
도 4는, 합성예 13에서 얻어진 TrisANITrisAM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5는, 합성예 14에서 얻어진 TrisANIPARARO의 IR 스펙트럼이다.
도 6은, 합성예 14에서 얻어진 TrisANIPARARO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7은, 합성예 15에서 얻어진 TetrakisANITAM의 IR 스펙트럼이다.
도 8은, 합성예 15에서 얻어진 TetrakisANITAM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상기 잉크를 사용한 폴리이미드 막 형성 방법 등을 제공한다.
상기 잉크젯용 잉크는, 1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추가로 고분자 화합물(B)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또는 추가로 용매(C)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이다.
1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2
한편, 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6의 알케닐,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또는 벤 질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1∼4의 정수이다.
또한, n=1일 때, R3은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1∼12의 하이드록시 알킬,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벤질, -{(CqH2q)Ot(CrH2rO)uCsH2sX} (단 q, r, s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2∼6의 정수, t는 0 또는 1의 정수 및 u는 1∼30의 정수, X는 수소 또는 수산기임)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 -(R)a-C6H4-R4(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은 탄소수 1∼4의 알킬렌,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을 각각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5{여기에서, T는 -CH2-, -C(CH3)2-, -CO-, -S- 혹은 -SO2-임}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이들 기의 방향환에 직접 결합된 1∼3개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다.
또한, n=2일 때, R3은 탄소수 2∼20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탄소수 5∼8의 사이클로 알킬렌, 탄소수 6∼12의 아릴렌, -(R)a-C6H4-R5-(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4-, -C6H4-T-C6H4-T-C6H4- 또는 -C6H4-T'-C6H4-T-C6H4-T'-C6H4-{단, T는 단일 결합, 탄소수 1∼6의 알킬렌, -C(CH3)2-, -C(CF3)2-, -CO-, -O-, -S- 또는 -SO2-이며, T'은 -CH2- 또는 -O-임}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이들 기의 방향환에 직접 결합된 1∼3개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 식(7)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식(8)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식(7) 중, x는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y는 1∼7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3
또한, n=3일 때, R3은 하기 식(5) 또는 (5')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4
식(5)에서, R은, 수소, 플루오르, 염소, -OH, -OCF3, -OCF2H, -CF3, -CF2H, -CFH2, -OCF2CF2H, -OCF2CFHCF3,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이며, 식(5), 식(5')에서,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1,4-페닐렌, 수소가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1,4-페닐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이며, 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n=4일 때, R3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5
식(6)에서, R4, R5,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1,4-페닐렌, 수소가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1,4-페닐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이며, 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n=3일 때, R3은 하기 식(5-1), 식(5'-1) 또는 식(5'-2)으로 표시되는 기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6
식(5-1)에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 또는 -OH이며, 식(5'-2)에서,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1,2-에틸렌, 1,4-부틸렌이다.
또한, n=4일 때, R3은 하기 식(6-1)으로 표시되는 기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7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에는, n이 1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1: 이하, 단지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및 n이 2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2: 이하, 단지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및 n이 3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3: 이하, 단지 "트리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및 n이 4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4: 이하, 단지 "테트라키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이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는, n이 1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n이 2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n이 3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및 n이 4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함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은, 모노아민, 디아민, 트리아 민 또는 테트라 아민과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생성되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8
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6의 알케닐,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또는 벤질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는,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R3이 탄소수 1∼12의 알킬(n=1), 탄소수 6∼12의 아릴(n=1), -(CH2)p-(n=2, p는 6∼12의 정수임), 식(2-1)으로 표시되는 기, 식(3)으로 표시되는 기, 식(4-1)으로 표시되는 기, 식(7-1)으로 표시되는 기, 식(8)으로 표시되는 기, 식(5-2)으로 표시되는 기, 식(5-3)으로 표시되는 기, 식(5'-1)으로 표시되는 기, 식(5'-3)으로 표시되는 기, 식(6-1)으로 표시되는 기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중 2종 이상을 함유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19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0
1.1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 a1 )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n이 1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구 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하이드록시-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하이드록시-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하이드록시-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하이드록시-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에틸헥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2-에틸헥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벤질-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벤질-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벤질-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3'-하이드록시-1'-프로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4'-하이드록시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하이드록시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하이드록시페닐)-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 미드,
N-(4'-하이드록시페닐)-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3'-하이드록시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3'-하이드록시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p-하이드록시벤질)-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 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4'-하이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리덴)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4'-하이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리덴)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4'-(4'-하이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리덴)페닐}-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1)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것들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1)로서 바람직한 것은
N-메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에틸헥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2-에틸헥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사이클로헥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벤질-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벤질-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벤질-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1)로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N-메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메틸-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2-에틸헥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2-에틸헥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알릴-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이소프로페닐-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1.2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 a2 )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n이 2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N,N'-에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에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에틸렌-비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트리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헥사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헥사메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도데카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도데카메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사이클로헥실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사이클로헥실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2-비스{3'-(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에탄,
1,2-비스{3'-(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에탄,
1,2-비스{3'-(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에탄,
비스[2'-{3'-(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에틸]에테르,
비스[2'-{3'-(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에틸]에테르,
1,4-비스{3'-(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부탄,
1,4-비스{3'-(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부탄,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N'-p-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페닐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페닐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1-메틸)-2,4-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2-비스[4'-{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술폰,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술폰,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술폰,
1,6-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3-하이드록시-헥산,
1,12-비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3,6-디하이드록시-도데칸,
1,3-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5-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산,
1,5-비스{3'-(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프로폭시}-3-하이드록시-펜탄,
1,4-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2-하이드록시-벤젠,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4-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2,5-디하이드록시-벤젠,
N,N'-p-(2-하이드록시)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2-하이드록시)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2-하이드록시)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2-하이드록시)크실릴렌-비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2,3-디하이드록시)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2-비스[4'-{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2'-하이드록시-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2-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3-(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5-하이드록시-페닐}술폰,
1,1,1-트리{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메틸프로판,
N,N',N"-트리(에틸렌메타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대칭의 알킬렌,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다음과 같은 것일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1
또한, 이것들의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2)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것들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2)로서, 바람직한 것은
N,N'-에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에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에틸렌-비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트리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헥사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헥사메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도데카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도데카메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사이클로헥실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사이클로헥실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N'-p-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페닐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 미드),
N,N'-m-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페닐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1-메틸)-2,4-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2,2-비스[4'-{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에테르,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술폰,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2)로서, 더욱 바람직한 것은,
N,N'-에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에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에틸렌-비스(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트리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헥사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헥사메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도데카메틸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도데카메틸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사이클로헥실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사이클로헥실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 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N'-p-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페닐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페닐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1-메틸)-2,4-페닐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p-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크실릴렌-비스(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N,N'-m-크실릴렌-비스(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2-비스[4'-{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알릴메틸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비스{4-(메탈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1.3 트리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3)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n이 3인 트리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합성은, 트리아민 1.0몰에 대하여,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을 3.0∼5.0몰 혼합하고, 상온에서,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메틸나프탈렌, 테트랄린, 클로로포름, 트리클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디옥산, 테트 라하이드로퓨란, 헥사메틸렌에테르, 아니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임의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만들고 0.5∼30시간 교반을 유지해서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용매를 20∼80℃에서 감압 건조 제거하여 아미드산이 얻어진다. 상기 아미드산을 상기 용매 중에서 0.5∼30시간, 용매의 비점 근방에서 환류 혹은, 화합물 자체를 160∼200℃로 가열하고, 탈수 폐환시킨 후, 용매를 감압 건조시켜서 원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임은 NMR, IR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n이 3인 트리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트리에틸}아민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트리페닐}메탄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하이드록시 메탄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트리에틸}아민(TrisANITAEA)의 IR 및 1H-NMR 스펙트럼(400MHz)을,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IR 스펙트럼에서는, 알켄 C-H 신축(伸縮): 3070, 2966cm-1; 방향족 C-H 신축; 2966cm-1; 알칸 C-H 신축; 2938cm-1; 이미드 C=O 신축; 1762, 1690cm-1; C=C 신축; 1640cm-1; -CH2-N-메틸렌 가위 진동(scissoring vibration): 1448cm-1; 이미드 C-N 신축; 1382cm-1등이 귀속된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2
1H-NMR 스펙트럼에서는, a, b, e, f, g, i, l 프로톤(30H): 2.50∼3.49pm의 피크; j, k, m, n 프로톤(12H): 5.01∼6.27ppm의 피크; h 프로톤(6H): 1.25∼1.76ppm의 피크 등이 귀속된다.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트리페닐}메탄(TrisANITrisAM)의 IR 및 1H-NMR 스펙트럼(400MHz)을,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IR 스펙트럼에서는, 알켄 C-H 신축; 3056, 2970cm-1; 방향족 C-H 신축; 2970cm-1; 알칸 C-H 신축; 2936cm-1; 이미드 C=O 신축; 1772, 1706cm-1; C=C 신축; 1638cm-1; 이미드 C-N 신축; 1402cm-1등이 귀속된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3
1H-NMR 스펙트럼에서는, a∼d 프로톤(12H): 6.50∼7.59ppm의 피크; e, f, g, i, l 프로톤(18H): 2.25∼3.73ppm의 피크; h 프로톤(6H): 1.25∼1.81ppm; j, k, m, n 프로톤(12H): 5.01∼5.14, 5.74∼6.34ppm의 피크; o 프로톤(1H): 5.30∼5.60ppm의 피크 등이 귀속된다.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하이드록시메탄(TrisANIPARARO)의 IR 및 1H-NMR 스펙트럼(400MHz)을,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IR 스펙트럼에서는, 알켄 C-H 신축; 3056, 2972cm-1; 방향족 C-H 신축; 2972cm-1; 알칸 C-H 신축; 2936cm-1; 이미드 C=O 신축; 1776, 1706cm-1; C=C 신축; 1636cm-1; 이미드 C-N 신축; 1402cm-1등이 귀속된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4
1H-NMR 스펙트럼에서는, a∼d 프로톤(12H): 6.98∼7.53ppm의 피크; e, f, g, i, l 프로톤(18H): 2.27∼3.60ppm의 피크; h 프로톤(6H): 1.47∼1.81ppm의 피크; j, k, m, n 프로톤(12H): 5.01∼6.24ppm의 피크 등이 귀속된다.
1.4 테트라키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4)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n이 4인 테트라키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합성은, 테트라 아민 1.0몰에 대하여,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을 4.0∼6.0몰 혼합하고, 상온에서,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메틸나프탈렌, 테트랄린, 클로로포름, 트리크렌, 테트라클로로 에틸렌, 클로로벤젠,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헥사메틸렌 에테르, 아니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임의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용매에 용해시켜서, 용액으로 만들고 0.5∼30시간 교반을 유지해서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용매를 20∼80℃에서 감압 건조 제거하여 아미드산을 얻는다. 상기 아미드산을 상기 용매 중에서 0.5∼30시간, 용매의 비점 근방에서 환류 혹은, 화합물 자체를 160∼200℃로 가열하고, 탈수 폐환시킨 후, 용매를 감압 건조시켜서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임은 NMR, IR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n이 4인 테트라키스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테트라키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테트라페닐}메탄
테트라키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테트라페닐}메탄(TetrakisANITAM)의 IR 및 1H-NMR 스펙트럼(400MHz)을, 각각 도 7 및 도 8에 나타낸다.
IR 스펙트럼에서는, 알켄 C-H 신축; 3060, 2972cm-1; 방향족 C-H 신축; 2972cm-1; 알칸 C-H 신축; 2936cm-1; 이미드 C=O 신축; 1776, 1706cm-1; C=C 신축; 1638cm-1; 이미드 C-N 신축; 1404cm-1등이 귀속된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5
1H-NMR 스펙트럼에서는, a∼d 프로톤(16H): 6.80∼7.59ppm의 피크; e, f, g, i, l 프로톤(24H): 2.25∼3.60ppm의 피크; j, k, m, n 프로톤(16H): 5.04∼6.50ppm의 피크; h 프로톤(8H): 1.25∼1.75ppm의 피크 등이 귀속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은, 부피가 큰 구조를 가진 저분자량의 이미드 모노머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용해가능하며, 용액상태로 장기간 보존해도 결정의 석출이나 겔화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에 의해 삼차원 가교 구조의 폴리이미드를 형성하여, 상기 폴리이미드 경화물은 양호한 내열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내약품성을 나타낸다.
2 고분자 화합물(B)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B)은, 폴리아미드산, 가용성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산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산 폴리머, 아크릴레이트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산 또는 가용성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2006-235336호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아미드산, 혹은 그의 이미드화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아미드산은, 적어도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과 디아민(b2)과 모노아민(b3)과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사용해서 얻 을 수 있지만, 상기 제법으로 얻어진 폴리아미드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고분자 화합물(B)을 얻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과 디아민(b2)과 모노아민(b3)과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설명한다.
2.1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b1 )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메틸-무수 말레산 공중합체등의 무수물기를 가지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와 다른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체나 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2,2', 3,3'-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2,3,3',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2,2',3,3'-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2,3,3',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2,2',3,3'-디페닐에테르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2,3,3',4'-디페닐에테르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에틸렌글리콜비스(안하이드로트리멜리테이트), 에탄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4-(2,5-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시산 무수물, 5-(2,5-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릴)-3-메틸-3-사이클로헥센-1,2-디카르복시산 무수물, 하기 식 b1-1∼b1-7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의 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6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7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8
Figure 112009030806279-PCT00029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0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1
산 무수물을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의 상기 구체예 중에서도,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식 b1-1, b1-5, b1-6, b1-7, b1-8, b1-9, b1-14, b1-18, b1-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서 고농도의 잉크를 조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젯용 잉크의 용도에 따라서는 높은 투명성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b1-6, b1-7, b1-8, b1-9, b1-14, b1-18 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된 산 무수물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2.2 디아민 ( b2 )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은 아미노기를 2개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II)∼(V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2
식(II) 중, A1은, -(CH2)p-(p는 1∼12의 정수임), -{(CqH2qO)t (CrH2rO)uCsH2s}-(여기에서, q, r, s는 각각 독립적으로 1∼6의 정수, t, u는 0 또는 1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이고, 식(III) 중, R은 -CH3 또는, -(CH3)2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며, 식(IV) 및 (VI)∼(VIII) 중, A1은, 단일 결합, -O-, -S-, -S-S-, -SO2-, -CO-, -CONH-, -NHCO-, -C(CH3)2-, -C(CF3)2-, -(CH2)m-, -O-(CH2)m-O-, -S- (CH2)m-S-이며, 여기에서 m은 1∼6의 정수이고, A2는, 단일 결합, -O-, -S-, -CO-, -C(CH3)2-, -C(CF3)2-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렌이며, 사이클로헥산환 또는 벤젠환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는, -F, -CH3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반식(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II-1)∼(II-7)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3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III-1)∼(III-3)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4
일반식(IV)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IV-1)∼(IV-3)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5
일반식(V)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V-1)∼(V-5)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6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VI-1)∼(VI-30)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7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8
일반식(V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VII-1)∼(VII-6)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39
일반식(VI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VIII-1)∼(VIII-11)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0
일반식(II)∼(VI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b2)의 상기 구체예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V-1)∼(V-5), 식(VI-1)∼(VI-12), 식(VI-26), 식(VI-27), 식(VII-1), 식(VII-2), 식(VII-6), 식(VIII-1)∼(VIII-5)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V-6), 식(V-7), 식(VI-1)∼(VI-12)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으로서는, 또한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1
식(IX) 중,
A3은, 단일 결합, -O-, -COO-, -OCO-, -CO-, -CONH- 또는 -(CH2)m-(식 중에서, m은 1∼6의 정수임)이며,
R6은, 스테로이드 골격을 가지는 기, 하기 식(X)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벤젠환에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아미노기의 위치 관계가 파라 위치일 때에는 탄소수 1∼30의 알킬, 또는 상기 위치 관계가 메타일 때에는 탄소수 1∼30의 알킬 또는 페닐이며,
상기 알킬에 있어서는, 임의의 -CH2-가 -CF2-, -CHF-, -O-, -CH=CH- 또는 -C=C-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CH3이 -CH2F, -CHF2 또는 -CF3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페닐의 환형성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는, -F, -CH3, -OCH3, -OCH2F, -OCHF2 또는 -OCF3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2
식(X) 중,
A4 및 A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O-, -COO-, -OCO-, -CONH-, -CH=CH-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렌이며,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F 또는 -CH3이며,
환 S는 1,4-페닐렌, 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피리미딘-2,5-디일, 피리딘-2,5-디일, 나프탈렌-1,5-디일, 나프탈렌-2,7-디일 또는 안트라센-9,10-디일이며,
R9은 -H, -F, 탄소수 1∼30의 알킬, 탄소수 1∼30의 플루오르치환 알킬, 탄소수 1∼30의 알콕시, -CN, -OCH2F, -OCHF2 또는 -OCF3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를 나타내고,
c, d 및 e는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e가 2 또는 3일 때 복수 개의 환 S는 동일한 기이거나 상이한 기일 수도 있고,
f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0∼2의 정수를 나타내고, 또한
c+d+e≥1이다.
일반식(IX)에 있어서, 2개의 아미노기는 페닐환 탄소에 결합되어 있지만, 바 람직하게는, 2개의 아미노기의 결합 위치 관계는,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아미노기는 각각, "R6-A3-"의 결합 위치를 1위치로 했을 때 3위치와 5위치, 또는 2위치와 5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IX-1)∼(IX-11)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3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4
상기 식(IX-1), (IX-2), (IX-7) 및 (IX-8)에서, R18은 탄소수 2∼30의 유기기이지만, 이것들 중에서도 탄소수 3∼12의 알킬 또는 탄소수 3∼12의 알콕시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5∼12의 알킬 또는 탄소수 5∼12의 알콕시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IX-3)∼(IX-6) 및 (IX-9)∼(IX-11)에서, R19은 -H 또는 탄소수 1∼30의 유기기이지만, 이것들 중에서도 탄소수 1∼10의 알킬 또는 탄소수 1∼10의 알콕시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3∼10의 알킬 또는 탄소수 3∼10의 알콕시가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추가로 예를 들면 하기 식(IX-12)∼(IX-17)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5
상기 식(IX-12)∼(IX-15)에 있어서 R20은 -H 또는 탄소수 1∼30의 유기기이며, 탄소수 4∼16의 알킬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16의 알킬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IX-16)과 식(IX-17)에 있어서 R21은 -H 또는 탄소수 1∼30의 유기기이며, 탄소수 6∼20의 알킬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20의 알킬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추가로, 예를 들면 하기 식(IX-18)∼(IX-38)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6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7
상기 식(IX-18), (IX-19), (IX-22), (IX-24), (IX-25), (IX-28), (IX-30), (IX-31), (IX-36) 및 (IX-37)에 있어서 R22는 -H 또는 탄소수 1∼30의 유기기이며,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1∼12의 알콕시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3∼12의 알킬 또는 탄소수 3∼12의 알콕시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IX-20), (IX-21), (IX-23), (IX-26), (IX-27), (IX-29), (IX-32)∼(IX-35) 및 (IX-38)에 있어서, R23은 -H, -F,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1∼12의 알콕시, -CN, -OCH2F, -OCHF2 또는 -OCF3이며, 탄소수 3∼12의 알킬 또는 탄소수 3∼12의 알콕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식(IX-33)과 (IX-34)에 있어서, A9은 탄소수 1∼12의 알킬렌이다.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추가로, 예를 들면 하기 식(IX-39)∼(IX-48)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8
Figure 112009030806279-PCT00049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디아민(b2) 중, 식(IX-1)∼식(IX-11)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이 바람직하고, 식(IX-2), 식(IX-4), 식(IX-5), 식(IX-6)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은, 또한 하기 일반식(XI) 및 (X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0
식(XI)과 (XII) 중,
R10은 -H 또는 -CH3이며,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며,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C(= O)- 또는 -CH2-이며,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탄소수 1∼20의 알킬 또는 페닐이다.
상기 일반식(XI)에 있어서, 2개의 "NH2-Ph-A6-O-" 중 하나는 스테로이드 핵의 3위치에 결합하고, 다른 하나는 6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아미노기는 각각, 페닐환 탄소에 결합되어 있고, A6의 결합 위치에 대하여,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X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XI-1)∼(XI-4)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1
일반식(XII)에 있어서, 2개의 "NH2-(R14-)Ph-A6-O-"은, 각각 페닐환 탄소에 결합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테로이드 핵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에 대하여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의 탄소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아미노기는 각각 페닐환 탄소에 결합되어 있지만, A6에 대하여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X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XII-1)∼(XII-8)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2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은, 또한 일반식(XIII), (XI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3
식(XIII) 중,
R15는 -H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이며, 상기 알킬의 그 중 탄소수 2∼20의 알킬의 임의의 -CH2-은, -O-, -CH=CH- 또는 -C=C-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A7은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이며,
A8은 단일 결합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렌이며,
환 T는 1,4-페닐렌 또는 1,4-사이클로헥실렌이며,
h는 0 또는 1이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4
식(XIV) 중,
R16은 탄소수 6∼22의 알킬이며,
R17은 -H 또는 탄소수 1∼22의 알킬이며,
A7은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이다.
상기 일반식(XIII)에 있어서, 2개의 아미노기는 각각 페닐환 탄소에 결합되어 있지만, A7에 대하여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XIII)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XIII-1)∼(XIII-9)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5
상기 식(XIII-1)∼(XIII-3)에 있어서, R24는 -H, 탄소수 1∼2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XIII-4)∼(XIII-9)에 있어서 R25는 -H, 탄소수 1∼10의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XIV)에 있어서, 2개의 아미노기는 각각 페닐환 탄소에 결합되어 있지만, A7에 대하여 메타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XIV)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XIV-1)∼(XIV-3)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6
(XIV-1)∼(XIV-3)의 식에서, R26은 탄소수 2∼30의 유기기이며, 이것들 중에서도 탄소수 6∼2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R27은 탄소수 2∼30의 유기기이며, 이것들 중에서도 -H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은, 예를 들면, 일반식(II)∼(XIV)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디아민 이외의 디아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프탈렌 구조를 가지는 나프탈렌계 디아민, 플루오렌 구조를 가지는 플루오렌계 디아민, 또는 실록산 결합을 가지는 실록산계 디아민 등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디아민과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실록산계 디아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식(XV)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7
식 중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3의 알킬 또는 페닐이며, R5는 독립적으로는 메틸렌, 페닐렌 또는 알킬 치환된 페닐렌이며, x는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y는 1∼70의 정수이다. 여기에서, 보다 바람직한 y는 1∼15의 정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으로서, 하기 식(11)∼(18)으로 표시되는 디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8
식 중에서, R30 및 R3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3∼20의 알킬기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은, 본명세서의 디아민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범위 내에서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아민(b2)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2종 이상의 조합으로서는, 상기 디아민끼리, 상기 디아민과 그 이외의 디아민, 또는, 상기 디아민 이외의 디아민끼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용 잉크의 용도에 따라서는 높은 투명성이 필요하게 되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및 일반식(XV)에 있어서 y=1∼15의 정수인 디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3 모노아민( b3 )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노아민(b3)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예로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4-아미노부틸트리메톡시실란,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시실란, 4-아미노부틸트리에톡시실란,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시실란,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p-아미노페닐 메틸디메톡시실란, p-아미노페닐메틸디에톡시실란, m-아미노페닐트리메톡시실란 및m-아미노페닐메틸디에톡시실란, 2-아미노벤조산, 3-아미노벤조산, 4-아미노벤조산, 모노에탄올아민, n-부틸 아민, 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막의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고,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모노아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도 사용할 수 있다.
2.4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 b4 )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예로서는, p-(트리메톡시실릴)페닐숙신산 무수물, p-(트리에톡시실릴)페닐숙신산 무수물, m-(트리메톡시실릴)페닐숙신산 무수물, m-(트리에톡시실릴)페닐숙신산 무수물,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무수물,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잉크의 보존 안정성이라고 하는 점에서,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무수물,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숙신산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도 사용할 수 있다.
2.5 폴리아미드산의 반응 조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산은, 예를 들면, 모노아민(b3)과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과, 디아민(b2)을 반응시켜서 합성할 수 있다.
모노아민(b3)을 사용할 경우,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1몰에 대하여, 디아민(b2) 0.01∼0.8몰 및 모노아민(b3) 0.4∼1.98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1몰에 대하여, 디아민(b2) 0.15∼0.25몰 및 모노아민(b3) 1.5∼1.7몰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사용할 경우, 디아민(b2) 1몰에 대하여,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0.01∼0.8몰 및 산 무수물기를 1 개 가지는 화합물(b4) 0.4∼1.98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아민(b2) 1몰에 대하여,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0.15∼0.25몰 및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 1.5∼1.7몰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5.1 반응 용매
적어도,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디아민(b2), 모노아민(b3),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사용해서 폴리아미드산을 얻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상기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사이클로헥사논, γ-부티로락톤, N-메틸-2-피롤리돈,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사이클로헥사논,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하면, 잉크젯 헤드에 대한 손상이 적은 잉크로 만들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응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 용매 이외에 다른 용매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반응 용매는,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3), 디아민(b2), 모노아민(b3), 및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중량부 이상 사용하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므로 바람직하다. 반응은 0∼100℃에서, 0.2∼20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5.2 반응계로의 첨가 순서
또한, 반응 원료의 반응계로의 첨가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디아민(b2), 모노아민(b3), 및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동시에 반응 용매에 가하는 방법, 디아민(b2)과 모노아민(b3)을 반응 용매 중에 용해시킨 후에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또는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과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첨가하는 방법,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과 산 무수물기를 1개 가지는 화합물(b4)을 반응 용매 중에 용해시킨 후에 모노아민(b3)을 미리 반응시킨 후에 디아민(b2)을 첨가하는 방법,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과 디아민(b2)을 미리 반응시켜서 공중합체를 합성한 후에, 그 공중합체에 모노아민(b3)을 첨가하는 방법, 등 어느 하나의 방법이나 사용할 수 있다.
2.6 고분자 화합물(B)의 중량평균 분자량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20,000인 고분자 화합물(B)이 특별히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므로 잉크젯용 잉크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B)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분자 화합물(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2,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 다. 1,000 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B)은, 가열 처리에 의해 증발되지 않고,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하며, 2,000 이하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B)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도막의 막 두께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잉크젯용 잉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분자 화합물(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고분자 화합물(B)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등으로 농도가 약 1중량%가 되도록 희석하고, 도소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컬럼 G4000HXL, G3000HXL, G2500HXL 및 G2000HXL을 사용하고, THF를 전개제로 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3 용매(C)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예를 들면,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필요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B)을 용매(C)에 용해해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용매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필요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B)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독으로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필요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B)을 용해하지 않는 용매이더라도, 다른 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용매(C)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용매(C)의 구체예로서는, N-메틸-2-피롤리돈, 디 메틸이미다졸리디논, N-메틸카프로락탐, N-메틸프로피온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에틸포름아미드, 디에틸아세트아미드, γ-부티로락톤, 락트산 에틸, 3-메틸-3-메톡시부탄올, 테트랄린, 이소포론,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메론산 디에틸, 에탄올, 2-프로판올, 디옥산, 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용매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잉크젯 인쇄기 잉크 헤드의 사양에 따라서는, 그 접합 부재나 내재하는 필터 소재가,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에 의해 부식이나 팽윤되는 경우가 있다. 또는 건조 속도가 빠른 용매에서는 잉크 헤드의 막힘이 일어나기도 하므로 용매(C)의 선택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발명자가 집중 검토한 결과, 잉크젯 헤드의 내구성 향상이나 헤드 막힘, 잉크 토출성의 관점에서, 락트산 에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γ-부티로락톤이 용매(C)로서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잉크젯용 잉크의 도포성에 잉크의 표면장력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 문에, 잉크의 표면장력을 20∼45mN/m, 바람직하게는 27∼42m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0mN/m로 조정한다. 표면장력이 45mN/m보다 커지면 잉크 토출구에서의 잉크 메니스커스가 불안정해져서 잉크가 토출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고, 20mN/m보다 작아지면 도포한 액적이 습윤 확산되어 도포 패턴의 형상이 크게 악화된다.
표면장력을 20∼45mN/m의 범위로 조정하는 데에는 용매의 선정이 중요하다. 표장력이 20∼45mN/m의 범위에 있는 1종의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표면장력이 큰 용매(예를 들면, γ-부티로락톤: 43mN/m) 및 표면장력의 작은 용매(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24mN/m, 혹은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32mN/m)를 혼합해서 사용하면 용매 조성으로 표면장력을 미조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에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에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프로피온아미드, N,N,N',N'-테트라메틸우레아,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ε-카프롤락탐, N-메틸카프롤락탐, 카르바미드산 에스테르 등의 아미드계의 용매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이나 고분자 화합물(B)의 양용매인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한편 잉크젯 헤드의 내구성에 문제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용매(C)에 있어서, 아미드계 용매는 전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많아도 용매(C)의 전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4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있어서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및 고분자 화합물(B)의 농도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 중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99중량%가 바람직하고, 10∼8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22∼7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농도 범위이면, 1회의 잉크젯팅으로 얻어지는 막의 두께가 최적이 되고, 젯팅 정밀도가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 중 고분자 화합물(B)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0중량%가 바람직하고, 0∼2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농도 범위이면, 절연막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잉크젯용 잉크로서 사용할 경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및 고분자 화합물(B)의 농도는 높을수록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막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한편 점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잉크젯 인쇄기로 토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거듭 한 결과, 특히 상기의 농도 범위이면 막 두께가 큰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용 잉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5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첨가되는 첨가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필요에 따라 고분자 화합물(B), 필요에 따라 용매(C)를 혼합해서 얻어진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특성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커플링제, 트리멜리트산 등의 에폭시 경화제, 아미노실리콘 화합물, 용매, pH 조정제, 방청제, 방부제, 방미제, 산화 방지제, 환원 방지제, 증발 촉진제, 킬레이트화제, 수용성 폴리머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첨가하고, 그것들을 균일하게 혼합 용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 에폭시 수지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에폭시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에폭시 수지는, 옥실란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옥실란을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 중 에폭시 수지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20중량%가 바람직하고, 1∼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농도 범위이면, 잉크젯용 잉크로 형성된 도막의 내열성, 내약품성, 평탄성이 양호하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 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지방환식 에폭시 수지, 옥실란을 가지는 모노머의 중합체, 및 옥실란을 가지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옥실란을 가지는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옥실란을 가지는 모노머와 공중합을 행하는 다른 모노머와의 구체예로 서는, (메타)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3-에틸-3-옥세타닐)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및 N-페닐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옥실란을 가지는 모노머의 중합체 및 옥실란을 가지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벤질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n-부틸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에틸-3-옥세타닐)메틸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가 이러한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면, 잉크젯용 잉크로 형성된 도막의 내열성이 양호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될 수 있는 에폭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상품명 "에피코트 807", "에피코트 815", "에피코트 825", "에피코트 827", "에피코트 828", "에피코트 190P", "에피코트 191P"(이상, 油化 셸 에폭시(株) 제품), 상품명 "에피코트 1004", "에피코트 1256"(이상, 쟈판에폭시레진(株) 제품), 상품명 "아랄다이트 CY177", 상품명 "아랄다이트 CY184"(니혼치바가이기(株) 제품), 상품 명 "셀록사이드 2021P", "셀록사이드 3000", "EHPE-3150"(다이셀화학공업(株) 제품), 상품명 "테크모어 VG3101L"(미쓰이가가쿠(株) 제품),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상품명 "아랄다이트 CY184", 상품명 "셀록사이드2021P", 상품명 "테크모어 VG3101L", 상품명 "에피코트 828"은,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막의 평탄성이 특히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2) 아크릴 수지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는, 아크릴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잉크젯용 잉크에 포함되는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기나 메타크릴기를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젯용 잉크 중 아크릴 수지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20중량%가 바람직하고, 1∼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농도 범위이면, 잉크젯용 잉크로 형성된 도막의 내열성, 내약품성, 평탄성이 양호하다.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실을 가지는 단관능 중합성 모노머, 하이드록실을 갖지 않는 단관능 중합성 모노머,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을 가지는 단관능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2-하이드록시에 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형성되는 막이 유연한 점에서,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실을 갖지 않는 단관능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틸-3-(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3-메틸-3-(메타)아크릴옥시에틸옥세탄, 3-에틸-3-(메타)아크릴옥시에틸옥세탄, p-비닐페닐-3-에틸옥세타-3-일메틸에테르, 2-페닐-3-(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2-트리플루오로메틸-3-(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4-트리플루오로메틸-2-(메타)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메타)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 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3-에틸-3-옥세타닐)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비닐톨루엔, (메타)아크릴아미드, 트리사이클로[5.2.1.02,6]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마크로모노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마크로모노머,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5-테트 라하이드로풀푸릴옥시카르보닐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알코올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α-클로로아크릴산, 신나메이트,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숙신산모노[2-(메타)아크릴로이록시에틸], 말레산모노[2-(메타)아크릴로이록시에틸], 또는 사이클로헥센-3,4-디카르복시산모노[2-(메타)아크릴로이록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비스페놀 F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모노스테아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피크로하이드린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피크로하이드린 변성 글리세롤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 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 수지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3) 계면활성제
잉크젯용 잉크의 도포성의 향상을 기대할 때에는, 그러한 목적에 따른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상품명 "Byk-300", "Byk-306", "Byk-335", "Byk-310", "Byk-341", "Byk-344", "Byk-370"(빅케미(株) 제품) 등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상품명 "Byk-354", "ByK-358", "Byk-361"(빅케미(株) 제품) 등의 아크릴계 계면활성제, 상품명 "DFX-18", "프타젠트 250", "프타젠트 251"(네오스(株) 제품) 등의 플루오르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는, 베이스 기판에 대한 습윤성, 레벨링성, 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중량부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대전 방지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첨가되는 대전 방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주석, 산화주석-산화안티몬 복합 산화물, 산화주석-산화인듐 복합 산화물 등의 금속 산화물이나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대전 방지제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대전 방지제는,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중량부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커플링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첨가되는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첨가되는 커플링제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알콕시실란 화합물 또는 디알콕시실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γ-비닐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비닐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로일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지에토키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아미노에틸-γ-이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γ-비닐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커플링제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커플링제는,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에폭시 경화제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첨가되는 에폭시 경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 고, 공지된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산 디하이드라지드 화합물, 이미다졸 및 그의 유도체, 디지시안디아미드, 방향족 아민, 다가 카르복시산, 다가 카르복시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디시안디아미드 등의 디시안디아미드류, 아디프산디하이드라지드, 1,3-비스(하이드라지노카르보에틸)-5-이소프로필하이단토인 등의 유기산 디하이드라지드, 2,4-디아미노-6-[2'-에틸이미다졸릴-(1')]-에틸트리아진, 2-페닐이미다졸, 2-페닐-4-메틸이미다졸,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 유도체, 무수 프탈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1,2,4-사이클로헥산트리카르복시산-1,2-무수물 등의 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양호한 무수 트리멜리트산, 1,2,4-사이클로헥산트리카르복시산-1,2-무수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에폭시 경화제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에폭시 경화제는,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0.2∼5중량부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아미노실리콘 화합물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에 있어서 아미노실리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아미노실리콘 화합물로서는, 파라아미노페닐트리메톡시실란, 파라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미노페닐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미노실리콘 화합물은,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아미노실리콘 화합물은, 기판에 대한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2중량부를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잉크젯용 잉크의 점도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온에서 젯팅을 실시할 경우는,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한 젯팅 정밀도가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mPaㆍs(2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mPaㆍs(25℃), 더욱 바람직하게는 8∼20mPaㆍs(25℃)이다.
잉크 헤드를 가열해서 젯팅을 실시할 경우는, 가열 온도(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이 경화되지 않는 온도, 바람직하게는 40∼120℃)에서, 1∼50mPaㆍs, 바람직하게는 5∼30mPaㆍs, 더욱 바람직하게는 8∼20mPaㆍs면 된다.
7 폴리이미드 막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기판 표면에 잉크젯에 의해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 등으로 가열 처리해서 전면(全面) 또는 소정의 패턴형(라인형 등)의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 패턴형의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할 경우에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하고 있지만,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에칭액, 박리액 등의 다종 대량의 약액이 필요하고, 또한 번잡한 공정을 필요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된 패턴형 폴리이미드 막은, 잉크젯 인쇄에 의해 필요한 부분에 만 묘화하기 때문에 재료 사용량은 압도적으로 적고,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다품종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동시에 제조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가 적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7.1 잉크젯 방법에 의한 잉크젯용 잉크의 도포
잉크젯 도포 방법에는, 잉크의 토출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이 있다. 예를 들면, 압전소자형, 버블제트(등록상표)형, 연속분사형, 정전유도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는, 잉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을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젯팅이 가능하고, 잉크젯용 잉크를 미리 정해진 패턴형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를 사용해서 도포를 행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한 토출 방법은 압전소자형이다. 이 압전소자형의 헤드는, 복수 개의 노즐을 가지는 노즐 형성 기판과, 노즐에 상대해서 배치되는 압전 재료와 도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압력 발생 소자와, 이 압력 발생 소자의 주위를 채우는 잉크를 구비한, 온-디맨드(on-demand) 잉크젯 도포 헤드이며, 인가 전압에 의해 압력 발생 소자를 변위시켜, 잉크의 작은 액적을 노즐로부터 토출시킨다.
잉크젯 도포 장치는, 도포 헤드와 잉크 수용부가 별도로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것들이 분리될 수 없도록 일체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잉크 수용부는 도포 헤드에 대하여 분리가능 또는 분리불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캐리지에 탑재되는 것 이외에, 장치의 고정 부위에 설치되어, 잉크 공급 부재, 예를 들면 튜브를 통해서 도포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포 헤드에 대하여 바람직한 네거티브 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구성을 잉크 탱크에 설치할 경우에는, 잉크 탱크의 잉크 수납부에 흡수체를 배치한 형태, 혹은 가요성의 잉크 수용 자루와 이것에 대하여 그 내용적을 확장하는 방향의 편향력을 작용하는 스프링부를 가진 형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리얼 도포 방식을 택하는 것 이외에, 도포 매체의 전폭에 대응한 범위에 걸쳐 도포 소자를 정렬시켜서 이루어지는 라인 프린터의 형태를 취하는 것일 수도 있다.
7.2 용매 건조
잉크젯 도포 방법을 사용하여,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에 의해 도포한 후,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 등에서의 가열에 의해 용매(C)를 기화시켜서 제거, 즉 건조함으로써,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용 잉크가, 추가로 고분자 화합물(B)을 포함할 경우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과 고분자 화합물(B)의 복합막을 형성할 수 있다.
가열 조건은 각 성분의 종류 및 배합 비율에 따라 다르지만,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이 경화되지 않는 온도가 바람직하고, 통상 70∼120℃에서, 오븐을 사용한 경우 5∼15분간, 핫플레이트를 사용한 경우 1∼5분간으로 막이 형성된다.
7.3 폴리이미드의 막의 형성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의 막, 혹은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과 고분자 화합물(B)의 복합막을 형성한 후,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 을 경화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50∼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300℃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폴리이미드 막을 얻을 수 있다(오븐을 사용한 경우는 30∼90분간, 핫플레이트를 사용한 경우는 5∼30분간이다). 한편, 고분자 화합물(B)이 폴리아미드산이나 폴리아미드산 에스테르 등일 경우는, 가열 처리에 의한 이미드화 반응도 동시에 진행된다.
막이 패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패턴형의 폴리이미드 막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폴리이미드 막은, 패턴형의 폴리이미드 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은, 내열성,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막이다. 또한, 원료의 잉크젯용 잉크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경우, 비교적 강인해서, 내약품성, 평탄성, 밀착성 및 스퍼터링 내성이 우수한 절연막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8 필름 기판
본 발명의 필름 기판은, 예를 들면, 잉크젯 등의 방법에 의해 배선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해 전면 또는 소정의 패턴형(라인형 등)으로 도포하고, 그 후, 상기 기판을 건조하고, 더욱 가열해서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하여 얻어진다.
9 전자 부품
예를 들면, 미리 배선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필름 기판 상에, 본 발명의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하고, 그 후, 상기 필름 기 판을 건조하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절연성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막으로 피복된 유연한 전자 부품이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1),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a2),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b1), 디아민(b2), 모노아민(b3) 및 용매(C)의 명칭을 약호(略號)로 나타낸다. 이하의 기술에는 이 약호를 사용한다.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
ANA: 알릴나딕산 무수물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a1 )
ANIM: N-메틸-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
비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 a2 )
BANIM: 비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메탄
트리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a3 )
TrisANITAEA: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트리에틸}아민
TrisANITrisAM: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 이미드)트리페닐}메탄
TrisANIPARARO: 트리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페닐}하이드록시메탄
테트라키스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a4 )
TetrakisANITAM: 테트라키스{4-(알릴비사이클로[2.2.1]헵토-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테트라페닐}메탄
산 무수물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 b1 )
ODPA: 3,3',4,4'-디페닐에테르테트라카르복시산 2무수물
디아민( b2 )
DDS: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HFBAPP: 4,4'-[[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리덴]비스-4,1-페닐렌옥시]비스벤젠아민
HMDA: 헥사메틸렌디아민
12DA: 1,12-도데칸디아민
BAEE: 1,2-비스(3-아미노에톡시)에탄
BAPB: 1,4-비스(3-아미노 프로폭시)부탄
BAPEE: 비스[2-(3-아미노 프로폭시)에틸에테르]
DDET: 4,4'-(1,2-에틴디일)비스벤젠아민
DDP: 4,4'-(1,5-펜탄디일)비스-벤젠아민
IPD: 이소포론디아민
APDS: 비스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실록산
FM3311: 상기 식(XV)에 있어서, R3, R4가 모두 메틸이며, R5가 메틸렌이며, x가 3이며 y가 약 10∼15의 혼합물인, 평균 분자량이 1,000인 화합물(상품명 "FM3311"(CHISSO(株) 제품))
모노아민( b3 )
S330: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트리아민( b4 )
TAEA: 트리아미노에틸아민
TrisAM: 트리아미노페닐메탄
PARARO: 파라로즈아니린
테트라아민( b5 )
TAM: 테트라아미노페닐메탄
용매(C)
EDM: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GBL: γ-부티로락톤
NMP: N-메틸-2-피롤리돈
[실시예 1] 잉크젯용 잉크(1)
교반기 및 원료 투입구를 구비한 200ml의 3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황색 투명 한 BANIM의 4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5.2mPaㆍs(25℃)이며, 표면장력(25℃)은 33mN/m이었다. 이 용액을 그대로 잉크젯용 잉크(1)로서 사용했다. 용액의 점도는, E형 점도계(TOKYO KEIKI 제조 VISCONIC ELD)로 측정했다. 표면장력은, 자동 동적 표면장력계(協和界面化學 주식회사 제조 BP-D4)로 측정했다.
BANIM 40.0g
GBL 30.0g
EDM 30.0g
[실시예 2] 잉크젯용 잉크(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3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BANIM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42.7mPaㆍs(25℃), 15.4mPaㆍs(50℃)이며, 표면장력(25℃)은 34mN/m이었다.
BANIM 50.0g
GBL 25.0g
EDM 25.0g
[실시예 3] 잉크젯용 잉크(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3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ANIM/BANIM의 6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08mPaㆍs(25℃), 18.4mPaㆍs(60℃)이며, 표면장력(25℃)은 33mN/m이었다.
ANIM 10.0g
BANIM 50.0g
GBL 20.0g
EDM 20.0g
[실시예 4] 잉크젯용 잉크(4)
온도계, 교반기, 원료 투입구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500ml의 네개인분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건조 질소 기류 하에 40℃에서 5시간 교반한 결과, 담황색 투명한 폴리아미드산(B)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5.5mPaㆍs이었다.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2,100이었다.
폴리아미드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얻어진 폴리아미드산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으로 폴리아미드산 농도가 약 1중량%가 되도록 희석하고, GPC 장치: 日本分光 주식회사 제조, JASCO GULLIVER 1500(인텔리전트 시차 굴절률계 RI-1530)을 사용하고, 상기 희석액을 전개제로 하여 GPC법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함으로써 요구했다. 컬럼은, 도소 주식회사 제조 컬럼 G4000HXL, G3000HXL, G2500HXL 및 G2000HXL의 4개를 이 순서로 접속해서 사용하고, 컬럼 온도 40℃, 유속 1.0ml/min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ODPA 55.0g
DDS 11.0g
S330 59.0g
EDM 291.0g
이 폴리아미드산(B) 용액과 BANIM을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하고,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고형분 50중량%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75.6mPaㆍs(25℃), 12.5mPaㆍs(60℃)이며, 표면장력(25℃)은 27mN/m이었다.
폴리아미드산(B) 용액 30.0g
BANIM 12.0g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1)를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FUJIFILM Dimatix사제 잉크젯 도포 장치 DMP-2831로 1.5mm 두께의 유리 에폭시 수지 양면 구리 부착판 상에 1도트 폭으로 도트 피치 20㎛으로 설정하고, 길이 5cm의 라인 도포를 행했다. 잉크젯 헤드의 히터의 설정을 30℃로 하고 피에조 전압은 16V, 구동 주파수는 5kHz로 했다. 기판을 80℃의 핫플레이트에서 5분간 건조한 후, 230℃의 오븐에서 30분간 가열하고, 라인형으로 형성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의 라인 폭, 라인 폭의 균일성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막 두께를 측정했다. 막 두께는 KLA-Tencor Japan 주식회사제의 촉침식 막 두께측정계 α스텝 200을 사용하고, 3개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막 두께로 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2)을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헤드 히터의 설정을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으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에 대해서,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 3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3)을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헤드 히터의 설정을 6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에 대해서,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4)을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헤드 히터의 설정을 6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에 대해서,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철야라고 하는 용어가 사용될 경우는, 약 12∼18시간인 시간을 가리키고, "실온"이 사용될 경우, 약 20∼25℃인 온도를 가리킨다.
[합성예 1]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
교반자(攪拌子)를 넣고, 유리 마개를 한 2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실온에서 철야 교반한 후, 실온 감압(진공계 압력 0.1Pa)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아민산을 얻었다. 이 아민산을 샬레에 옮기고, 180℃로 가열된 오븐에 30분간 넣어, 탈수 폐환시켜 고체의 이미드화물 BANIHFBAPP 4.1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을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伸縮) 진동 1710cm-1, 1778cm-1)으로 확인했다.
ANA 1.85g
HFBAPP 2.35g
THF 10.0g
[합성예 2]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2)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인 액체 이미드화물 BANIH 5.97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0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4.67g
HMDA 1.33g
THF 200.0ml
[합성예 3]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3)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 액체의 이미드화물 BANI12DA 5.93g을 얻었다. 한편,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2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4.03g
12DA 1.97g
THF 200.0ml
[합성예4]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4)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 액체의 이미드화물 BANIBAEE 27.7g을 얻었다.
ANA 22.01g
BAEE 7.99g
THF 70.0g
[합성예 5]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5)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 액체의 이미드화물 BANIBAPB 28.0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0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20.00g
BAPB 10.00g
THF 70.0g
[합성예 6]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6)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 액체의 이미드화물 BANIBAPEE 28.1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2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19.49g
BAPEE 10.50g
THF 70.0g
[합성예 7]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7)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고체의 이미드화물 BANIDDET 8.26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702cm-1, 1770cm-1)으로 확인했다.
ANA 5.92g
DDET 3.08g
THF 40.0g
[합성예 8]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8)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고체의 이미드화물 BANIDDP 8.58g을 얻었다.
ANA 5.29g
DDP 3.70g
THF 20.0g
[합성예 9]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9)
교반자를 넣은 1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은 방법을 거쳐, 고체의 이미드화물 BANIIPD 2.70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8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2.11g
IPD 0.88g
THF 7.0g
[합성예 10]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0)
교반자를 넣은 1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9와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 액체의 이미드화물 BANIAPDS 6.73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2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4.47g
APDS 2.72g
THF 16.8g
[합성예 11]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1)
교반자를 넣은 1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9와 같은 방법을 거쳐, 점액성 액체의 이미드화물 BANIFM3311 7.85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700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2.40g
FM3311 5.76g
THF 20.0g
[합성예 12]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2)
교반자를 넣은 3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9와 같은 방법을 거쳐, 매우 점성인 액체의 이미드화물 TrisANITAEA 4.45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692cm-1, 1766cm-1)으로 확인했다.
ANA 3.63g
TAEA 0.87g
THF 200.0ml
[합성예 13]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3)
교반자를 넣은 1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9와 같은 방법을 거쳐, 고체의 이미드화물 TrisANITrisAM 2.98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706cm-1, 1774cm-1)으로 확인했다.
ANA 2.04g
TrisAM 0.97g
THF 7.0g
[합성예 14]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4)
교반자를 넣은 1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9와 같은 방법을 거쳐, 고체의 이미드화물 TrisANIPARARO 2.97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706cm-1, 1778cm-1)으로 확인했다.
ANA 2.00g
PARARO 1.00g
THF 7.0g
[합성예 15]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의 합성(15)
교반자를 넣은 100ml의 가지형 플라스크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오븐의 가열 온도가 160℃인 것 이외에는 합성예 9와 같은 방법을 거쳐, 고체의 이미드화물 TetrakisANITAM 2.97g을 얻었다. 이미드화물의 동정은 FT-IR를 사용해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미드환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 1706cm-1, 1776cm-1)으로 확인했다.
ANA 2.04g
TAM 0.96g
THF 7.0g
[실시예 9] 잉크젯용 잉크(6)
교반자를 넣은 아즈완 주식회사 제조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6cc를 교반기 상에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M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황색 투명한 BANIM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7.1mPaㆍs(25℃)이었다.
BANIM 3.00g
EDM 4.00g
GBL 4.00g
[실시예 10] 잉크젯용 잉크(7)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M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황색 투명한 BANIM의 4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5.2mPaㆍs(25℃)이었다.
BANIM 4.00g
EDM 3.00g
GBL 3.00g
[실시예 11] 잉크젯용 잉크(8)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M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황색 투명한 BANIM의 6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89.6mPaㆍs(25℃)이었다.
BANIM 6.00g
EDM 2.00g
GBL 2.00g
[실시예 12] 잉크젯용 잉크(9)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DDET 고형분은 교반했지만 실온에서는 용해되지 않았다.
BANIDDET 1.20g
EDM 1.40g
GBL 1.40g
[실시예 13] 잉크젯용 잉크(10)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DDP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DDP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7.2mPaㆍs(25℃)이었다.
BANIDDP 1.20g
EDM 1.40g
GBL 1.40g
[실시예 14] 잉크젯용 잉크(11)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13.5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HFBAPP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황색 투명한 BANIHFBAPP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7.5mPaㆍs(25℃)이었다.
BANIHFBAPP 3.60g
EDM 4.20g
GBL 4.20g
[실시예 15] 잉크젯용 잉크(12)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13.5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IPD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황색 투명한 BANIIPD의 4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4.6mPaㆍs(25℃)이었다.
BANIIPD 2.40g
EDM 1.80g
GBL 1.80g
[실시예 16] 잉크젯용 잉크(13)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APDS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APDS의 55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4.6mPaㆍs(25℃)이었다.
BANIAPDS 6.60g
EDM 2.70g
GBL 2.70g
[실시예 17] 잉크젯용 잉크(14)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APDS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APDS의 7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6.5mPaㆍs(70℃)이었다.
BANIAPDS 1.40g
GBL 0.60g
[실시예 18] 잉크젯용 잉크(15)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FM3311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FM3311의 6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4.7mPaㆍs(25℃)이었다.
BANIFM3311 7.20g
EDM 2.40g
GBL 2.40g
[실시예 19] 잉크젯용 잉크(16)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H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H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4.3mPaㆍs(25℃)이었다.
BANIH 6.00g
EDM 3.00g
GBL 3.00g
[실시예 20] 잉크젯용 잉크(17)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12DA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12DA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5.8mPaㆍs(25℃)이었다.
BANI12DA 6.00g
EDM 3.00g
GBL 3.00g
[실시예 21] 잉크젯용 잉크(18)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BAEE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BAEE 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7.3mPaㆍs(25℃)이었다.
BANIBAEE 2.00g
EDM 1.00g
GBL 1.00g
[실시예 22] 잉크젯용 잉크(19)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BAPB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BAPB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8.4mPaㆍs(25℃)이었다.
BANIBAPB 2.00g
EDM 1.00g
GBL 1.00g
[실시예 23] 잉크젯용 잉크(20)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BANIBAPEE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BANIBAPEE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7.7mPaㆍs(25℃)이었다.
BANIBAPEE 2.00g
EDM 1.00g
GBL 1.00g
[실시예 24] 잉크젯용 잉크(21)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 입하고, TrisANITAEA 고형분이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TrisANITAEA의 5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6.1mPaㆍs(25℃)이었다.
TrisANITAEA 2.40g
EDM 1.20g
GBL 1.20g
[실시예 25] 잉크젯용 잉크(22)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TrisANITrisAM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적갈색 투명한 TrisANITrisAM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8.9mPaㆍs(25℃)이었다.
TrisANITrisAM 3.60g
EDM 4.20g
GBL 4.20g
[실시예 26] 잉크젯용 잉크(23)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TrisANIPARARO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세키 유카리 투명한 TrisANIPARARO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3.8mPaㆍs(25℃)이었다.
TrisANIPARARO 3.60g
EDM 4.20g
GBL 4.20g
[실시예 27] 잉크젯용 잉크(24)
라보란팩스크류관 병 20c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병을 준비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TetrakisANITAM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갈색 투명한 TetrakisANITAM의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3.8mPaㆍs(25℃)이었다.
TetrakisANITAM 3.60g
EDM 4.20g
GBL 4.20g
[비교예 1] 잉크젯용 잉크(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3구 플라스크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건조 질소 기류 하에 40℃에서 10hr 교반한 후, 70℃로 승온시켜 8hr 교반하여 점도를 낮추고, 황색 투명한 폴리아미드산의 8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9.1mPaㆍs(25℃)이며, 표면장력(25℃)은 43mN/m이었다. 본 합성예에서는, 용매로서 EDM을 사용하면 반응 생성물이 석출되기 때문에, NMP를 사용했다.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0이었다. 이 용액을 그대로 잉크젯용 잉크(5)로 했다.
ODPA 5.0g
DDS 4.0g
NMP 103.5g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5)을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에 대해서, 실시예 5와 같은 조건으로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라인 폭은 도포했을 때의 폭보다 대폭 넓어지고, 라인 에지의 직선성도 불충분하고, 또한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지 않았다.
표 1
라인 폭(㎛) 라인 폭 균일성 막 두께(㎛)
실시예 5 70 양호 2.5
실시예 6 75 양호 3.0
실시예 7 75 양호 3.4
실시예 8 130 양호 1.5
비교예 2 350 톱니모양 있음 0.3
[실시예 28] 내열성 시험
실시예 9 내지 27에서 얻어진 잉크젯용 잉크 중 실시예 10, 11, 12, 17을 제외한 잉크의 내열성 시험을 행했다. 잉크젯용 잉크 1ml를 유리 기판 상에 적하하고, 스핀코팅을 행했다. 기판을 80℃의 핫플레이트에서 5분간 건조한 후, 230℃의 오븐에서 30분간 가열하고,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추가로, 250℃로 가열한 오븐에서 30분간 가열했다. 80℃의 건조 후, 230℃의 가열 후, 250℃의 가열 후에 막 두께를 측정하고, 감소율을 산출했다. 동시에 가열 시의 막의 유동(리플로우(refolw))의 유무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실시예 감소율(%) 230℃ 가열후 /80℃ 건조시 리플로우 80℃ 건조후 230℃ 가열시 감소율(%) 250℃ 가열후 /230℃ 가열후 리플로우 230℃ 가열후 250℃ 가열시
9 88 있음 90 없음
13 87 있음 72 없음
14 89 있음 94 없음
15 63 있음 100 없음
16 건조 후 액상 있음 100 없음
18 건조 후 액상 있음 가열 후 액상 있음
19 건조 후 액상 있음 100 없음
20 건조 후 액상 있음 95 없음
21 건조 후 액상 있음 98 없음
22 건조 후 액상 있음 92 없음
23 건조 후 액상 있음 86 없음
24 65 있음 100 없음
25 91 있음 98 없음
26 85 없음 90 없음
27 85 없음 96 없음
[실시예 29] 보존 안정성 시험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에서 얻어진 잉크젯용 잉크의 보존 안정성 시험을 행했다. 잉크를 샘플병에 넣고, 제작 당일의 점도 및 140일간 실온 보존 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잉크젯용 잉크(25)
교반기 및 원료 투입구를 구비한 500ml 분리 가능한 플라스크를 준비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료를 주입하고, 고형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투명한 30중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의 점도는 17.6mPaㆍs(25℃)이었다.
ODPA 26.45g
DDS 5.3g
S330 28.25g
EDM 140g
[비교예 4] 보존 안정성 시험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잉크젯용 잉크의 보존 안정성 시험을 행했다. 잉크를 샘플병에 넣고, 제작 당일의 점도 및 140일간 실온 보존 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잉크 제조 당일의 점도 (mPaㆍs) 140일간 실온 보존 후의 점도 (mPaㆍs)
실시예 9 7.1 7.2
실시예 10 15.2 15.3
비교예 4 17.6 경화
[실시예 30]
실시예 10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7)를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FUJIFILM Dimatix사 제조 잉크젯 도포 장치 DMP-2831로 0.7㎛ 두께의 유리 기판 상에 1도트 폭으로 도트 피치 20㎛으로 설정하고, 길이 5cm의 라인 도포를 행했다. 잉크젯 헤드의 히터의 설정을 30℃로 하고, 피에조 전압은 30V, 구동 주파수는 5kHz로 했다. 기판을 80℃의 핫플레이트에서 5분간 건조한 후, 230℃의 오븐에서 30분간 가열하고, 라인형으로 형성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의 라인 폭, 라인 폭의 균일성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막 두께를 측정했다. 막 두께는 KLA-Tencor Japan 주식회사제의 촉침식 막 두께 측정계 α스텝 200을 사용하고, 3개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막후로 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31]
실시예 16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13)을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피에조 전압은 16V, 헤드 히터의 설정을 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0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에 대해서, 실시예 30과 같은 조건으로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32]
실시예 19에서 조제된 잉크젯용 잉크(16)을 잉크젯 잉크로서 사용하고, 피에조 전압은 18V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0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이미드의 절연막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 막에 대해서, 실시예 30과 같은 조건으로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라인은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표 4
라인 폭(㎛) 막 두께(㎛)
실시예 30 100 2.7
실시예 31 100 0.7
실시예 32 102 1.0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활용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가요성 배선 기판용 절연막, 그것을 사용한 전자 부품을 들 수 있다.

Claims (22)

1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nadimide)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이, 모노아민, 디아민, 트리아민 또는 테트라 아민, 및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알케닐 치환 나딕산 무수물을 반응시켜서 생성되는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인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59
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6의 알케닐,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또는 벤질 중 어느 하나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이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0
식(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3∼6의 알케닐,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또는 벤질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1∼4의 정수이고,
n=1일 때, R3은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 탄소수 1∼12의 하이드록시 알킬, 탄소수 5∼8의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6∼12의 아릴, 벤질, -{(CqH2q)Ot(CrH2rO)uCsH2sX}(단 q, r, s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2∼6의 정수, t는 0 또는 1의 정수 및 u는 1∼30의 정수, X는 수소 또는 수산기임)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 -(R)a-C6H4-R4(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은 탄소수 1∼4의 알킬렌,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을 각각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5 {여기에서, T는 -CH2-, -C(CH3)2-, -CO-, -S- 혹은 -SO2-임}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이들 기의 방향환에 직접 결합된 1∼3개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이고,
n=2일 때, R3은 탄소수 2∼20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 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이고,
탄소수 5∼8의 사이클로 알킬렌, 탄소수 6∼12의 아릴렌, -(R)a-C6H4-R5-(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4-, -C6H4-T-C6H4-T-C6H4- 또는 -C6H4-T'-C6H4-T-C6H4-T'-C6H4-{단, T는 단일 결합, 탄소수 1∼6의 알킬렌, -C(CH3)2-, -C(CF3)2-, -CO-, -O-, -S- 또는 -SO2-이며, T'은 -CH2- 또는 -O-임}로 표시되는 기, 또는 이들 기의 방향환에 직접 결합된 1∼3개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 하기 식(7)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8)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식(7) 중, x는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y는 1∼70의 정수이고,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1
n=3일 때, R3은 하기 식(5) 또는 (5')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2
식(5)에서, R은, 수소, 플루오르, 염소, -OH, -OCF3, -OCF2H, -CF3, -CF2H, -CFH2, -OCF2CF2H, -OCF2CFHCF3,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이며,
식(5), (5')에서,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1,4-페닐렌, 수소가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1,4-페닐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이며, 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n=4일 때, R3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3
식(6)에서, R4, R5, R6,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트랜스-1,4-사이클로헥실렌, 1,3-디옥산-2,5-디일, 1,4-페닐렌, 수소가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1,4-페닐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이며, 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제3항에 있어서,
n이 2인 잉크젯용 잉크.
제3항에 있어서,
n이 2이고,
R3이, 탄소수 2∼15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R)a-C6H4-R5-(여기에서, a는 0 또는 1의 정수, R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임)로 표시되는 기, -C6H4-T-C6H4-, -C6H4-T-C6H4-T-C6H4- 또는 -C6H4-T'-C6H4-T-C6H4-T'-C6H4-{단 T는 단일 결합, -CH2-, -C(CH3)2-, -C(CF3)2-, -CO-, -O-, -S- 또는 -SO2-이며, T'은 -CH2- 또는 -O-임}으로 표시되는 기인, 잉크젯용 잉크.
제3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n이 2이고,
R3이 탄소수 2∼15의 알킬렌{알킬렌 중의 서로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메틸렌은 -O- 또는 -CH=C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임의의 수소는 플루오르로 치환 되어 있을 수도 있음}, 하기 식(2)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4)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7)으로 표시되는 기 또는 하기 식(8)으로 표시되는 기인,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4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5
식(2) 및 (4)에서, R은, -CH2-, -CH2CH2-, -O-, -C(CH3)2-, -C(CF3)2-, -SO2-로 이루어지는 유기기이며, 식(4)에서, X는, -CH2-, -O-로 이루어지는 유기기이며, 식(7) 중 x는 독립적으로 1∼6의 정수이고, y는 1∼70의 정수임.
제3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n이 3이며, R3이, 하기 식(5-1), 식(5'-1) 또는 식(5'-2)으로 표시되는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6
식(5-1)에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 또는 -OH이며,
식(5'-2)에서, R4, R5,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1,2-에틸렌, 1,4-부틸렌임.
제3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n이 4이고, R3이, 하기 식(6-1)으로 표시되는 제3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7
제3항에 있어서,
n이 1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n이 2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n이 3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및 n이 4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3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이며,
R3이 탄소수 1∼12의 알킬(n=1), 탄소수 6∼12의 아릴(n=1), -(CH2)p-(n=2, p는 6∼12의 정수임), 하기 식(2-1)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4-1)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7-1)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8)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5-2)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5-3)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5'-1)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5'-3)으로 표시되는 기, 하기 식(6-1)으로 표 시되는 기인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중의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8
Figure 112009030806279-PCT00069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B)을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B)이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 중의 1종 이상인 잉크젯용 잉크.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인 잉크젯용 잉크.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C)를 추가로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C)가, 락트산 에틸,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사이클로헥사논 및 γ-부티로락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잉크 젯용 잉크.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1∼99중량부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10∼80중량부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젯용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알케닐 치환 나드이미드 화합물(A) 22∼70중량부를 포함하는 잉크젯용 잉크.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가열 처리해서 폴리이미드 막을 형성해서 얻어지는 폴리이미드 막 또는 패턴형 폴리이미드 막.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젯용 잉크를 잉크젯 도포 방법에 의해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도막을 가열 처리해서 폴리이 미드 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막의 형성 방법.
제20항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막의 형성 방법으로 기판 상에 폴리이미드 막이 형성된 필름 기판.
제21항에 기재된 필름 기판을 가지는 전자 부품.
KR1020097010516A 2006-11-16 2007-11-14 잉크젯용 잉크 KR20090086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0370 2006-11-16
JP2006310370 2006-11-16
JPJP-P-2007-288534 2007-11-06
JP2007288534 2007-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559A true KR20090086559A (ko) 2009-08-13

Family

ID=3940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516A KR20090086559A (ko) 2006-11-16 2007-11-14 잉크젯용 잉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8059986A1 (ko)
KR (1) KR20090086559A (ko)
TW (1) TW200835754A (ko)
WO (1) WO2008059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3190A1 (ja) * 2007-03-29 2008-10-16 Chisso Corporation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5315765B2 (ja) * 2007-06-27 2013-10-16 Jnc株式会社 アリル置換ナジイミド化合物、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5282415B2 (ja) * 2008-02-29 2013-09-04 Jnc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5540483B2 (ja) * 2008-08-29 2014-07-02 Jnc株式会社 熱硬化性組成物、該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組成物の用途
JP5157831B2 (ja) * 2008-10-31 2013-03-06 Jnc株式会社 アルケニル置換ナジイミド、溶媒および硬化剤を含む組成物および該組成部の用途
JP5617248B2 (ja) * 2009-01-20 2014-11-05 Jnc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2013056964A (ja) 2011-09-07 2013-03-28 Jnc Corp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JP5928129B2 (ja) 2012-04-25 2016-06-01 Jnc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
CN114057608B (zh) * 2021-11-16 2022-10-21 北京理工大学 一种纯化三异氰酸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1424B (zh) * 2005-01-12 2013-04-01 Taiyo Holdings Co Ltd A hardened resin composition for inkjet and a hardened product thereof, and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59986A1 (ja) 2010-03-04
TW200835754A (en) 2008-09-01
WO2008059986A1 (fr)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174B1 (ko) 잉크젯용 잉크
KR20090086559A (ko) 잉크젯용 잉크
KR101984017B1 (ko) 열경화성 잉크 조성물 및 그 용도
JP5691508B2 (ja) ジイミド化合物ならびに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JP561723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KR101505899B1 (ko) 잉크젯용 잉크
KR101489717B1 (ko) 잉크젯용 잉크
JP5899605B2 (ja) 熱硬化性組成物
JP5699459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JP5282414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5282415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5071135B2 (ja) 熱硬化性組成物
TWI445777B (zh) 噴墨用墨水
JP5699457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JP5942348B2 (ja) 熱硬化性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JP2011080043A (ja) 非水系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インク塗布方法
JP5407151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
JP5540483B2 (ja) 熱硬化性組成物、該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組成物の用途
JP2011256140A (ja) 新規なシリコンイミド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用途
JP5641010B2 (ja) 熱硬化性組成物
JP2012233052A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