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189A - 모터 홀더 및 진동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 홀더 및 진동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189A
KR20090086189A KR1020090066001A KR20090066001A KR20090086189A KR 20090086189 A KR20090086189 A KR 20090086189A KR 1020090066001 A KR1020090066001 A KR 1020090066001A KR 20090066001 A KR20090066001 A KR 20090066001A KR 20090086189 A KR20090086189 A KR 20090086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ibration motor
holder
vibr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726B1 (ko
Inventor
아츠노리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진동 모터 조립체(10)는, 모터 본체(16)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된 출력축(18)에 추(20)가 편심 고정된 진동 모터(12)를 탄성을 갖는 모터 홀더(30)에 장전하여 이루어진다. 이 모터 홀더는 모터 본체의 보디(14)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32)를 구비한다. 수용 공간부는, 출력축(18)의 축선(L)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수용 공간부(32)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보디(14)의 외면과 접하는 동시에, 그 외면에 붙지 않을 정도의 요철면(S)으로 형성되어 있어, 진동 모터를 모터 홀더에 수용하거나 빼낼 때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모터 홀더 및 진동 모터 조립체{Motor holder and Vibrating motor assembly}
본 발명은 출력축에 추가 편심 고정된 진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홀더 및 그 모터 홀더에 진동 모터가 수용된 진동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분야의 기술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345196호가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진동 모터 조립체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모터 홀더에 진동 모터가 수용된 것이다. 이 모터 홀더는 진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부를 갖는다. 수용 공간부는 진동 모터의 케이스(보디)에 외접하는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진동 모터의 수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용 공간부는 내벽면의 일부가 진동 모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345196호에 기재된 진동 모터 조립체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모터 홀더가 고무제이기 때문에, 진동 모터를 모터 홀더에 장착시, 진동 모터의 케이스(보디)의 외면에 모터 홀더의 내벽면이 붙기쉽다. 그리고, 모터 홀더의 내벽면이 케이스의 외면에 붙으면, 진동 모터에 모터 홀더를 장착시 작업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내벽면이 진동 모터의 보디의 외면에 붙지 않을 정도의 접동성을 가지며, 진동 모터를 수용하거나 빼낼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모터 홀더 및 그 모터 홀더에 진동 모터를 수용하여 이루어진 진동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는 탄성을 갖는 동시에 모터 본체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추가 편심 고정되어 이루어진 진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홀더에 있어서, 출력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모터 본체의 보디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를 구비하며, 보디의 외면과 접하도록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모터 홀더에서는, 모터 본체의 보디의 외면과 접하는 모터 홀더의 내벽면이 요철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모터를 모터 홀더의 수용 공간부내에 수용하거나 빼낼 때, 탄성을 가진 모터 홀더에서의 수용 공간부의 내벽면이 보디의 외면에 붙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진동 모터를 모터 홀더내에 장착하거나 빼낼 때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 조립체는, 모터 본체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추가 편심 고정되어 이루어진 진동 모터와, 출력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탄성을 갖는 동시에 모터 본체의 보디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를 갖는 모터 홀더를 구비하며, 보디의 외면과 접하도록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진동 모터 조립체에서는, 모터 본체의 보디의 외면과 접하는 모터 홀더 내벽면이 요철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모터를 모터 홀더의 수용 공간 부내에 수용하는 작업시, 탄성을 가진 모터 홀더에서의 수용 공간부의 내벽면이 보디의 외면에 붙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진동 모터를 모터 홀더에 장착하여 진동 모터 조립체를 조립할 때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에 의하면, 내벽면이 진동 모터의 보디의 외면에 붙지 않을 정도의 접동성을 갖고 있으며, 진동 모터를 수용하거나 빼낼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 조립체의 조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모터 조립체(10)는 휴대전화 등의 기기의 진동 발생원으로서 이용되는 진동 모터(12)를 갖는다. 이 진동 모터(12)는 코어드 모터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직경 약 4mm, 길이 약 8mm의 대략 원통 형상의 금속제 모터 케이스(보디)(14)를 가진 모터 본체(16)를 구비하여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모터 케이스(14)의 내벽면에는 N극, S극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고정자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 케이스(14)의 내부에는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회전자가 수용되어 있다. 이 회전자의 중심에는 베어링으로 지지된 출력축(18)이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18)의 선단부는, 모터 본체(16)의 전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축(18)의 선단부에는 대략 반원주 형상의 추(20)가 성형되거나 압입되며, 추(20)는 출력축(18)에 편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 본체(16)가 갖는 모터 케이스(14)내에서, 출력축(18)의 후단부에는 정류자편이 고정되어 있다. 각 정류자편에는 한 쌍의 브러시가 접동 접촉되어 있고, 각 브러시에는 판 형상의 단자(22)가 고정되어 있다. 각 단자(22)의 후단부는 모터 케이스(14)의 후단부에 마련된 수지제의 브래킷(2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모터 본체(16)의 일부를 이루는 브래킷(24)에는 모터 케이스(14)를 따라 연장된 단자 수용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단자(22)에는, 소정의 전력을 브러시에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26)의 일단이 솔더(28)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좌우 한쌍의 터미널(26)은 얇은 판 스프링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터미널(26) 은 모터 본체(16)에 고정되는 제 1 부분(26a)과, 제 1 부분(26a)의 끝단부터 출력축(18)의 축선(L) 방향을 따라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부분(26b)과, 제 2 부분(26b)의 끝단부터 출력축(18)의 축선(L)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매달리도록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 3 부분(26c)을 갖는다. 이 제 1 및 제 2 부분(26a, 26b)은 브래킷(24)의 단자 수용부(24a)내에 수용되고, 제 3 부분(26c)은 단자 수용부(24a)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휴대전화 등의 기기내의 회로 기판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진동 모터(12)에서는, 출력축(18)의 선단 부분에 추(20)가 편심 고정되어 있으므로, 출력축(18)의 회전력으로 추(20)를 회전시킴으로써 모터 케이스(14) 자체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모터(12)는, 휴대전화 등의 기기의 케이스를 진동시키기 위해 이용되지만, 진동시에 케이스로부터 불필요한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진동 모터(12)의 모터 본체(16)가 고무제의 모터 홀더(30)내에 수용되어 있다.
진동 모터 조립체(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무제의 모터 홀더(30)는, 출력축(18)의 축선(L)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모터 홀더(30)를 화살표(A) 방향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도 5 참조)이다. 이 모터 홀더(30)는 모터 본체(16)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부(32)를 갖고, 수용 공간부(32)는 출력축(18)의 축선(L) 방향으로 모터 홀더(30)의 전단면(34)으로부터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축선(L) 방향에서의 수용 공간부(32)의 길이는, 모터 케이스(보디)(14)의 길이와 거의 같다. 이것에 의해, 모터 본체(16)의 후단부, 즉 브래킷(24)의 후단부가 모터 홀더(30)의 후벽부(36)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모터 본체(16)를 수용 공간부(32)내에 밀어넣어도, 추(20)는 전단면(34)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수용 공간부(32)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모터 케이스(14)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모터 홀더(30)의 앞부분 쪽에서 모터 케이스(14)의 외주면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된다. 그리고, 모터 홀더(30)의 뒷부분 쪽에서, 그 저면(30a)에는 단자 수용부(24a)를 모터 홀더(30)로부터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모터 삽입구)(3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8)는 사각형으로서 수용 공간부(32)에 연통된다(도 5 참조).
상기 개구(38)는, 모터 홀더(30)와 진동 모터(12)로 진동 모터 조립체(10)를 조립할 때, 수용 공간부(32)에 진동 모터(12)를 삽입하기 위한 모터 삽입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개구(38)는 후벽부(36)에 형성된 슬릿(40)에 연통되어 있다. 이 슬릿(40)은 출력축(18)의 축선(L)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개구(38)를 넓힐 때에 이용된다.
여기서, 진동 모터 조립체(10)는 개구(38)를 지나 진동 모터(12)를 수용 공간부(32)내에 삽입함으로써 조립된다. 또한, 수용 공간부(32)는 그 내벽면이 모터 케이스(14)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본체(16)를 수용 공간부(32)에 수용하는 작업에서 내벽면은 모터 케이스(14)의 외주면과 접한다. 이 때, 수용 공간부(32)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표면에 요철을 가지며, 모터 케이스(보디)(14)의 외주면과 쉽게 붙지 않을 정도의 접동성을 갖는 요철면으로서의 돌기면(S)으로 되어 있으므로, 모터 홀더(30)가 고무제더라도 모터 케이스(14)의 외주 면에 모터 홀더(30)의 내벽면이 쉽게 붙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진동 모터 조립체(10)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진동 모터(12)를 모터 홀더(30)에 장착하기가 쉬워 조립 작업(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모터 홀더(30)로부터 진동 모터(12)를 빼낼 때에도 내벽면이 모터 케이스(14)의 외주면에 쉽게 붙지 않아 진동 모터(12)를 빼내기가 쉽다.
또한, 모터 홀더(30)의 후벽부(36)에는 슬릿(40)이 마련되어 있고, 모터 홀더(30)는 고무제로서 탄성을 가지므로 개구(38)를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며, 조립 작업시에 진동 모터(12)를 수용 공간부(32)에 더욱 삽입하기 쉬우며, 또는 진동 모터(12)를 모터 홀더(30)로부터 빼낼 때에 수용 공간부(32)로부터 빼내기가 쉬워진다.
또한, 상기 고무제의 모터 홀더(30)는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모터 홀더(30)의 성형시, 수용 공간부(32)는 내부 표면 부재(中子)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때, 내부 표면 부재의 표면은 샌드블라스트 100번에 의해 블라스트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면이 블라스트 처리된 내부 표면 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수용 공간부(32)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돌기면(요철면)(S)으로서 용이하게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수용 공간부(32)의 내벽면을 돌기면(요철면)(S)으로서 형성하기 위해, 내부 표면 부재의 표면을 샌드블라스트 100번에 의해 샌드블라스트 처리하고 있되, 이 블라스트 처리는 샌드블라스트 100번에 의한 처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진동 모터 조립체(10)의 조립 작업시에 모터 케이스(보디)(14)의 외면에 대해 접동성을 가짐으로써, 수용 공간부(32)의 내벽면이 쉽게 붙지 않는 요철면으로 내벽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처리라도 상관없다.
또한, 모터 홀더의 요철면으로는, 요철이 형성되고 진동 모터의 보디의 외면에 붙지 않을 정도의 접동을 갖고, 돌기면 등으로서 알려진 바와 같은 소위, 거친 면으로 되어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모터 홀더(30A)의 요철면(S1)은, 표면이 파형으로 되어 요철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모터 홀더(30B)의 요철면(S2)은, 표면에 다수의 홈(42)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모터 홀더(30C)의 요철면(S3)은, 표면에 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44)가 다수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모터 홀더(30D)의 요철면(S4)은, 표면에 직방체 형상의 돌기(46)가 다수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 조립체를 탑재한 여러가지 기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경보 기기의 일례인 휴대전화(50)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51)이 수용되고, 이 회로 기판(51) 상에는 상술한 진동 모터 조립체(10)가 탑재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정보 단말기의 일례인 PDA(60)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61)이 수용되고, 이 회로 기판(61) 상에는 상술한 진동 모터 조립체(10)가 탑재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락 기기의 일례인 텔레비젼 게임 등의 콘트롤러(70)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71)이 수용되고, 이 회로 기판(71) 상에는 상술한 진동 모터 조립체(10)가 탑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모터 조립체(10)는 여러가지 기기에 탑재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 홀더에서는, 보디를 수용 공간부에 삽입하는 모터 삽입구가 더 마련되어 있고, 모터 삽입구와 연통된 슬릿은 모터 본체의 후단에 대향하는 후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모터 홀더의 후벽부에는, 모터 삽입구에 연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모터 삽입구를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 모터를 수용 공간부내에 삽입하거나 빼내기가 쉬워, 진동 모터를 수용하거나 빼내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l에 도시한 진동 모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경보 기기의 일례인 휴대전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기의 일례인 PDA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 기기의 일례인 텔레비젼 게임의 콘트롤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진동 모터 조립체 12 진동 모터
14 모터 케이스(보디) 16 모터 본체
18 출력축 20 추
30, 30A∼30D 모터 홀더 32 수용 공간부
36 후벽부 38 개구(모터 삽입구)
40 슬릿 50 휴대전화(진동 경보 기기)
60 PDA(휴대 정보 단말기) 70 콘트롤러(오락 기기)
S, S1∼S4 요철면

Claims (7)

  1. 탄성을 갖는 동시에 모터 본체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추가 편심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진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상기 모터 본체의 보디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디의 외면과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를 상기 수용 공간부에 삽입하는 모터 삽입구가 더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 삽입구와 연통된 슬릿은 상기 모터 본체의 후단부와 대향하는 후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홀더.
  3. 모터 본체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에 추가 편심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진동 모터와,
    상기 출력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탄성을 갖는 동시에 상기 모터 본체의 보디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부를 갖는 모터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보디의 외면과 접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벽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조립체.
  4. 제3항에 기재된 진동 모터 조립체는 단자를 가지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가 접속된 상기 진동 모터 조립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경보 기기.
  5. 제3항에 기재된 진동 모터 조립체는 단자를 가지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가 접속된 상기 진동 모터 조립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6. 제3항에 기재된 진동 모터 조립체는 단자를 가지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가 접속된 상기 진동 모터 조립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
  7. 제3항에 기재된 진동 모터 조립체는 단자를 가지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가 접속된 상기 진동 모터 조립체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기기.
KR1020090066001A 2004-06-02 2009-07-20 진동 경보 기기,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오락 기기에 탑재되는 진동 모터 조립체 KR10099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165041 2004-06-02
JP2004165041A JP4651973B2 (ja) 2004-06-02 2004-06-02 モータホルダ及び振動モータ組立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17A Division KR100928310B1 (ko) 2004-06-02 2005-05-31 모터 홀더 및 진동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89A true KR20090086189A (ko) 2009-08-11
KR100996726B1 KR100996726B1 (ko) 2010-11-25

Family

ID=355003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17A KR100928310B1 (ko) 2004-06-02 2005-05-31 모터 홀더 및 진동 모터 조립체
KR1020090066001A KR100996726B1 (ko) 2004-06-02 2009-07-20 진동 경보 기기,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오락 기기에 탑재되는 진동 모터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17A KR100928310B1 (ko) 2004-06-02 2005-05-31 모터 홀더 및 진동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51973B2 (ko)
KR (2) KR100928310B1 (ko)
CN (1) CN1705200B (ko)
TW (1) TW2006126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1645B2 (ja) * 2006-04-14 2012-03-0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5074935B2 (ja) * 2008-01-21 2012-11-14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CN106357079A (zh) * 2016-09-19 2017-01-25 四川安和精密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带fpc微型振动马达
JP7124792B2 (ja) * 2019-06-07 2022-08-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端子用のカバー装置
KR102210559B1 (ko) * 2019-11-07 2021-02-01 박은주 조립식 완구용 모터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55U (ja) * 1991-08-03 1993-02-26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電動モータの据付部材
JP2933190B2 (ja) * 1993-10-19 1999-08-09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弾性部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低挿入力弾性部材用成形型の製造方法
JP3123360B2 (ja) * 1994-09-16 2001-01-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ゴム製プラグ
JPH10248192A (ja) * 1997-02-28 1998-09-14 Kokusai Electric Co Ltd バイブレータ保持構造
JP3172487B2 (ja) * 1998-02-19 2001-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振動モータ
JP2000324763A (ja) * 1999-05-12 2000-11-24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およびモータホルダ
JP2001309601A (ja) * 2000-04-25 2001-11-02 Asmo Co Ltd モータ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5200B (zh) 2010-05-05
CN1705200A (zh) 2005-12-07
KR20060046309A (ko) 2006-05-17
KR100996726B1 (ko) 2010-11-25
JP4651973B2 (ja) 2011-03-16
KR100928310B1 (ko) 2009-11-25
TW200612645A (en) 2006-04-16
JP2005348516A (ja) 2005-12-15
TWI355789B (ko) 201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112B2 (en) Vibrating device for axially vibrating a movable member
US6740999B1 (en) Motor
KR100996726B1 (ko) 진동 경보 기기,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기 또는 오락 기기에 탑재되는 진동 모터 조립체
KR101146767B1 (ko) 진동 모터
JP2002142413A (ja) 小型モータ
CN109565189B (zh) 无刷直流振动电机
KR100798829B1 (ko) 모터
EP1293264B1 (en) Small-sized vibrating motor
KR200403543Y1 (ko) 진동발생장치
JP2006224068A (ja) 振動モータ
JP4566356B2 (ja) モータ
JP2003324890A (ja) 小型コアレスモータ
JP3737765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KR200335670Y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케이스와 터미널의 결합 구조
JP3737762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3737766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3737764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3737763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3875249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JP2002094613A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装置
KR20090070675A (ko) 휴대폰용 코인형 진동모터
KR20120012346A (ko) 수평 선형 진동기
JPH09181638A (ja) ペ−ジャ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などの携帯無線通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