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173A - 번호판 램프 - Google Patents

번호판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173A
KR20090086173A KR1020090009969A KR20090009969A KR20090086173A KR 20090086173 A KR20090086173 A KR 20090086173A KR 1020090009969 A KR1020090009969 A KR 1020090009969A KR 20090009969 A KR20090009969 A KR 20090009969A KR 20090086173 A KR20090086173 A KR 2009008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819B1 (ko
Inventor
히로야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9008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이용 효율의 향상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아래쪽에 위치하는 번호판(100)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8)와, 발광 다이오드와 번호판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는 제어용 렌즈(9)와, 내부에 적어도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한 램프 보디(2)를 구비하고, 제어용 렌즈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번호판의 표면의 상단측을 향해 조사하는 제1 제어부(10)와, 이 제1 제어부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번호판의 표면의 거의 전 영역을 향해 조사하는 제2 제어부(11)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번호판 램프{LICENSE PLATE LAMP}
본 발명은 번호판 램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번호판의 표면에 조사하는 제어용 렌즈를 설치하여 광 이용 효율의 향상 등을 도모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후단부에 부착된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번호판 램프가 있다.
이러한 번호판 램프에는, 광원으로서 백열전구가 이용된 것이 있지만, 백열전구는 수명이 짧고, 소비전력이 큰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백열전구 대신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번호판 램프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발광 다이오드는 백열전구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소형이면서 저소비 전력이기 때문에, 백열전구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번호판 램프는 발광 다이오드의 광축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되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이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며, 이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광이 발광 다이오드와 번호 판 사이에 배치된 렌즈를 투과하여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7889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번호판 램프에 있어서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시켜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도록 하고 있어, 리플렉터에 있어서의 반사 효율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만큼 광 이용 효율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리플렉터를 대형화하여 반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리플렉터를 대형으로 하면, 제조 비용이 비싸지거나 번호판 램프가 대형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리플렉터를 이용하여 광을 제어(배광 제어)하는 경우에는, 리플렉터의 반사면의 높은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만, 가공 정밀도를 높이면, 그 만큼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번호판 램프는 광 이용 효율의 향상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번호판 램프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광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아래쪽에 위치하는 번호판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번호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상기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는 제어용 렌즈와, 내부에 적어도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한 램프 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렌즈에, 상기 발광 다 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의 표면의 상단측을 향해 조사하는 제1 제어부와, 이 제1 제어부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 표면의 거의 전 영역을 향해 조사하는 제2 제어부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번호판 램프에 있어서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어용 렌즈에 의해 제어되어 번호판을 향해 조사된다.
상기 번호판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어용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켜 상기 번호판을 향해 조사하는 확산용 렌즈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을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용 렌즈를 설치함으로써, 번호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번호판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번호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며, 상기 제어용 렌즈의 제2 제어부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능이 다른 복수의 기능부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방 구획으로부터 후방 구획으로 차례로 상하 방향의 집광성이 커지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방 구획으로부터 후방 구획으로 차례로 상기 번호판의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기능부를 제어용 렌즈에 설치함으로서, 번호판에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광이 제2 제어부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상기 번호판 램프를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2개 배치하고, 상기 확산용 렌즈에 상기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렌즈 스텝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2개의 번호판 램프를 배치하고 렌즈 스텝에 의해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휘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번호판 램프는 차체의 후단부에 부착된 번호판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는 번호판 램프로서, 광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번호판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번호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상기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는 제어용 렌즈와, 내부에 적어도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한 램프 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렌즈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의 표면의 상단측을 향해 조사하는 제1 제어부와, 이 제1 제어부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의 표면의 거의 전 영역을 향해 조사하는 제2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리플렉터를 이용하지 않고 제어용 렌즈에 의해 제어하여 번호판 표면을 향해 조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대형 리플렉터를 배치하지 않고 광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번호판 램프의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어용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켜 상기 번호판을 향해 조사하는 확산용 렌즈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번호판 표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이 저감되어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번호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며, 상기 제어용 렌즈의 제2 제어부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능이 다른 복수의 기능부로 구획하고, 이들 복수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방 구획으로부터 후방 구획으로 차례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집광성이 커지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방 구획으로부터 후방 구획으로 차례로 상기 번호판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근거리의 위치에 존재하는 번호판의 상단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집광성이 작은 광이 조사되고,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원거리의 위치에 존재하는 번호판의 하단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집광성이 큰 광이 조사되어, 번호판에는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광이 제2 제어부로부터 조사되어 번호판 상에서의 휘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2개 배치하고, 상기 확산용 렌즈에 상기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렌즈 스텝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개소에서의 휘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번호판의 시인성(視認性)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번호판 램프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번호판 램프(1)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번호판(100)은 차체(1000)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다(도 1 참조). 번호판(100)은 가로로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번호판(100)의 경사 각도는 예컨대, 부착되는 차종에 따라 다르며, 도 1에 도시된 경사 각도(θ)의 범위로 되어 있다.
번호판 램프(1)는 차체(1000)의 후단부에 부착되고, 번호판(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번호판 램프(1)는 차체(1000)의 후단부에 부착된 차폐 커버(200)에 의해 후방에서 덮여진 상태로 되어 하방측에만 광이 조사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번호판 램프(1)는 번호판(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도 2 참조), 차체(1000)에 부착된 램프 보디(2)와 이 램프 보디(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확산용 렌즈(3)를 포함하고 있다.
램프 보디(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개구부가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향하도록 차체(1000)에 부착되고,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2a)와 이 본체부(2a)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플랜지형의 부착부(2b)를 포함하고 있다.
확산용 렌즈(3)는 외주부가 램프 보디(2)의 부착부(2b)에 부착되어 있다. 확산용 렌즈(3)는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거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제1 면부(4)와 상하 방향을 향하는 제2 면부(5)를 가지며, 제1 면부(4)의 아래쪽 가장자리와 제2 면부(5)의 뒤쪽 가장자리가 연속되어 있다.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의 내면(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스텝(5a, 5a, ···)과 제2 렌즈 스텝(5b, 5b, ···)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확산용 렌즈(3)의 제1 면부(4)의 내면과 제2 면부(5)의 내면에는 제1 렌즈 스텝(5a, 5a, ···)과 제2 렌즈 스텝(5b, 5b,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거의 전면의 범위(도 1에 도시된 범위 S)에, 새김 가공(engraving)에 의해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확산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확산부에 있어서의 새김 가공하는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되어 있고, 확산부에서 투과된 광은 상하 방향으로 확산되어 번호판(100)의 표면을 향해 조사된다.
제1 렌즈 스텝(5a, 5a, ···)은 예컨대 볼록형으로 형성되고, 입사된 광의 진행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제1 렌즈 스텝(5a, 5a, ···)은, 예컨대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광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번호판(100)이 좌우 방향으로 한층 더 길게 형성되어 좌우 양단부에 광을 조사해야 하는 경우에는, 번호판(100)의 좌우 양단부를 향하도록 광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 스텝(5b, 5b, ···)은 예컨대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번호판(100) 상의 휘도 불균일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광을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램프 보디(2)와 확산용 렌즈(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은 등실(6)로 되어 있다(도 1 참조). 등실(6)에는 회로 기판(7), 광원으로서 이용된 발광 다이오드(8) 및 제어용 렌즈(9)가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회로 기판(7)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회로 기판(7)의 하면에 발광 다이오드(8)가 탑재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8)는 광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는 아래쪽을 향해 광이 출사된다.
제어용 렌즈(9)는 발광 다이오드(8)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번호판(100)의 표면에 조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용 렌즈(9)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아래쪽으로 볼록한 거의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제어용 렌즈(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 형상으로 보아 위쪽으로 볼록한 거의 삼각 형상의 부분을 갖는 제1 제어부(10)와 이 제1 제어부(10)의 후단에 연속해서 위쪽으로 돌출된 볼록 렌즈형으로 형성된 제2 제어부(11)로 이루어진다.
제1 제어부(10)는 제어용 렌즈(9)의 전단부로서 설치되고,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는 입사면(10a)과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는 반사면(10b)과 아래쪽을 향하는 출사면(10c)을 갖고 있다.
제2 제어부(11)는 위쪽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거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입사면(11a)과 아래쪽을 향하며 평면형으로 형성된 출사면(11b)을 가지며, 입사면(11a)의 전단이 제1 제어부(10)의 입사면(10a)의 후단에 연속되고, 출사면(11b)이 제1 제어부(10)의 출사면(10c)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제어부(11)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예컨대, 3개의 기능부, 즉 제1 기능 부(12), 제2 기능부(13) 및 제3 기능부(14)로 구획되어 있다(도 4에 1점 쇄선으로 구획). 제1 기능부(12)는 주로 번호판(100)의 상단측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2 기능부(13)는 주로 번호판(1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3 기능부(14)는 주로 번호판(100)의 하단측 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등실(6)에는 제어용 렌즈(9)의 주위 부분에 익스텐션(15)이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상과 같이 구성된 번호판 램프(1)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되어 제1 제어부(10)의 입사면(10a)에 입사된 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10b)에서 내면 반사되어 출사면(10c)으로부터 번호판(100)의 표면을 향해 출사된다. 출사면(1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서 투과되어 주로 번호판(100)의 표면의 상단부에 조사 광선(A)으로서 조사된다.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되어 제2 제어부(11)의 제1 기능부(12)에 있어서의 입사면(11a)에 입사된 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부(12)에 있어서의 출사면(11b)으로부터 번호판(100)의 표면을 향해 출사된다. 제1 기능부(12)에 있어서의 출사면(11b)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서 투과되어 주로 번호판(100)에 대하여 제1 제어부(10)에서 투과된 광의 조사 범위의 하측에 연속되는 범위에 조사 광선(B)으로서 조사된다.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되어 제2 제어부(11)의 제2 기능부(13)에 있어서의 입사면(11a)에 입사된 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능부(13)에 있 어서의 출사면(11b)으로부터 번호판(100)의 표면을 향해 출사된다. 제2 기능부(13)에 있어서의 출사면(11b)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서 투과되어, 주로 번호판(100)에 대하여 제1 기능부(12)에서 투과된 광의 조사 범위의 하측에 연속되는 범위에 조사 광선(C)으로서 조사된다.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되어 제2 제어부(11)의 제3 기능부(14)에 있어서의 입사면(11a)에 입사된 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능부(14)에 있어서의 출사면(11b)으로부터 번호판(100)의 표면을 향해 출사된다. 제3 기능부(14)에 있어서의 출사면(11b)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서 투과되어, 주로 번호판(100)에 대하여 제2 기능부(13)에서 투과된 광의 조사 범위의 하측에 연속되는 범위에 조사 광선(D)으로서 조사된다.
이상과 같이,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되어 제1 제어부(10)의 입사면(10a) 및 제2 제어부(11)의 입사면(11a)에 입사된 광은 제1 제어부(10), 제1 기능부(12), 제2 기능부(13) 및 제3 기능부(14)에 의해 번호판(100)에 대하여 각각 다른 영역에 조사 광선(A, B, C, D)으로서 조사된다(도 9 참조).
제어용 렌즈(9)에 있어서는, 제1 기능부(12), 제2 기능부(13), 제3 기능부(14)의 순서로 광의 상하 방향의 집광성이 커지도록 되어 있으며, 제1 기능부(12)로부터 조사된 조사 광선(B)의 집광성이 가장 작게 되어 있고, 제3 기능부(14)로부터 조사된 조사 광선(D)의 집광성이 가장 크게 되어 있다. 특히, 조사 광선(D) 중, 후방측에 조사되는 조사 광선(D1)의 집광성이 크게 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이와 같이, 번호판 램프(1)에 있어서는, 발광 다이오드(8)에 대하여 근거리 위치에 존재하는 번호판(100)의 상단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의 집광성이 작은 광이 조사되고, 발광 다이오드(8)에 대하여 원거리 위치에 존재하는 번호판(100)의 하단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의 집광성이 큰 광이 조사되어, 번호판(100)에는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광이 제2 제어부(11)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된 광의 제2 제어부(11)에 있어서의 수광량은 제1 기능부(12), 제2 기능부(13), 제3 기능부(14)의 순서로 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번호판(100)에 있어서는, 발광 다이오드(8)에 대하여 원거리가 됨에 따라 조사되는 광량이 많아져 번호판(100) 상에 있어서의 휘도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0)로부터는 번호판(100)의 상단부에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제2 제어부(11)로부터 번호판(100)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조사된 광과 제1 제어부(10)로부터 번호판(100)의 거의 전 영역에 조사된 광에 의해, 번호판(100)이 도 1에 도시된 경사 각도(θ)의 범위 내에서 어떠한 경사 상태에 있더라도 번호판(100)의 표면의 전체에 거의 균일한 광이 조사된다.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된 광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는, 도 2에 조사 범위 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확산되어 제어용 렌즈(9)를 통해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 입사된다. 제2 면부(5)에 입사된 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새김 가공에 의해 형성된 확산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확산되어 번호판(100)의 표면에 조사된다. 또한, 제2 면부(5)에 입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렌 즈 스텝(5a, 5a, ···)에 의해 진행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변화되고, 제2 렌즈 스텝(5b, 5b, ···)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확산되어 번호판(100)의 표면에 조사된다.
또한, 상기에는 하나의 번호판 램프(1)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번호판 램프(1)는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대응시켜 좌우로 이격시켜 복수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0 및 도 11 참조).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M)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2개의 번호판 램프(1, 1)를 배치하여,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 있어서의 제1 렌즈 스텝(5a, 5a, ···)에 의해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좌우로 이격시켜 2개의 번호판 램프(1, 1)를 배치하고, 제1 렌즈 스텝(5a, 5a, ···)에 의해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예컨대, 좌우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번호판(100)이 이용된 경우에, 필요로 하는 개소에서의 휘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번호판(100)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M)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2개의 번호판 램프(1, 1)를 배치하여, 확산용 렌즈(3)의 제2 면부(5)에 있어서의 제1 렌즈 스텝(5a, 5a, ···)에 의해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번호판(100)의 좌우 양 단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좌우로 이격시켜 2개의 번호판 램프(1, 1)를 배치하고, 제1 렌즈 스텝(5a, 5a, ···)에 의해 번호판(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번호판(100)의 좌우 양단부를 향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예컨대, 좌우 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번호판(100)이 이용된 경우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 휘도의 균일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번호판 램프(1)에 있어서는,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된 광을 리플렉터를 이용하지 않고 제어용 렌즈(9)에 의해 제어하여 번호판(100)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광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제어용 렌즈(9)에 제1 제어부(10)를 설치함으로써, 광이 도달하기 어려운 번호판(100)의 상단부에 발광 다이오드(8)로부터 출사된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번호판(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여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한 후에, 광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등실(6) 내부에 대형 리플렉터를 배치하지 않고 광 이용 효율의 향상이 도모되기 때문에, 그 만큼 번호판 램프(1)의 소형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확산용 렌즈(3)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켜 번호판(100)을 향해 조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번호판(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휘도 불균일이 저감되어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번호판 램프(1)를 1개 또는 2개 배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번호판 램프의 수는 1개 또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번호판(100)에 대한 조사 광량이나 조사 범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수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는 제어용 렌즈(9)의 제2 제어부(11)를 제1 기능부(12), 제2 기능부(13) 및 제3 기능부(14)의 3개의 기능부로 구획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2 제어부(11)의 구획의 수는 임의적이며, 번호판(100)에 대한 조사 광량이나 조사 범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수로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서 나타낸 각 부분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행하는 구체화의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11과 함께 본 발명의 번호판 램프의 최량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도면은 번호판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확산용 렌즈의 제2 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어용 렌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어용 렌즈의 제1 제어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조사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어용 렌즈의 제2 제어부의 제1 기능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조사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제어용 렌즈의 제2 제어부의 제2 기능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조사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제어용 렌즈의 제2 제어부의 제3 기능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조사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어용 렌즈로부터 조사된 광의 조사 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2개의 번호판 램프를 배치하고, 렌즈 스텝에 의해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 광을 유도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2개의 번호판 램프를 배치하고, 렌즈 스텝에 의해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좌우 양단부로 광을 유도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번호판 램프
2 : 램프 보디
3 : 확산용 렌즈
5a : 제1 렌즈 스텝
8 : 발광 다이오드
9 : 제어용 렌즈
10 : 제1 제어부
11 : 제2 제어부
12 : 제1 기능부
13 : 제2 기능부
14 : 제3 기능부
1000 : 차체
100 : 번호판

Claims (4)

  1. 차체의 후단부에 부착된 번호판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는 번호판 램프로서,
    광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번호판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번호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상기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는 제어용 렌즈와,
    내부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한 램프 보디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렌즈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의 표면의 상단측을 향해 조사하는 제1 제어부와, 이 제1 제어부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 표면의 전 영역을 향해 조사하는 제2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판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제어용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켜 상기 번호판을 향해 조사하는 확산용 렌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판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며,
    상기 제어용 렌즈의 제2 제어부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기능이 다른 복수의 기능부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방 구획으로부터 후방 구획으로 차례로 상하 방향의 집광성이 커지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부에 있어서 전방 구획으로부터 후방 구획으로 차례로 상기 번호판에 있어서의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판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2개 배치되고,
    상기 확산용 렌즈에 상기 번호판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렌즈 스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판 램프.
KR1020090009969A 2008-02-06 2009-02-06 번호판 램프 KR101163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6495A JP5503109B2 (ja) 2008-02-06 2008-02-06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ランプ
JPJP-P-2008-026495 2008-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73A true KR20090086173A (ko) 2009-08-11
KR101163819B1 KR101163819B1 (ko) 2012-07-09

Family

ID=4057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69A KR101163819B1 (ko) 2008-02-06 2009-02-06 번호판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2269B2 (ko)
EP (1) EP2088031A3 (ko)
JP (1) JP5503109B2 (ko)
KR (1) KR101163819B1 (ko)
CN (1) CN1015041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33B1 (ko) * 2021-06-08 2021-11-09 (주)다온세미컴 자동차 번호판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3774A4 (en) * 2009-08-31 2013-01-23 Federal Mogul Corp LIGHT ARRANGEMENT FOR ONE VEHICLE
CN101885355A (zh) * 2010-08-05 2010-11-17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牌照板照射装置
JP5830399B2 (ja) * 2012-02-02 2015-12-0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ランプ
DE102012019847A1 (de) 2012-10-10 2014-04-10 Audi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das hintere Kennzeichenschild eines Kraftfahrzeugs
ITPN20120076A1 (it) * 2012-12-20 2014-06-21 Sole Spa Dispositivo diffusore perfezionato per illuminare la targa di un autoveicolo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JP6162559B2 (ja) * 2013-09-25 2017-07-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US9199575B2 (en) * 2013-11-27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lamp assembly with flexible lens
JP2015227099A (ja) * 2014-05-30 2015-12-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6152001B (zh) * 2015-03-26 2018-10-16 市光法雷奥(佛山)汽车照明系统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牌照灯以及包含该牌照灯的机动车辆
WO2017023824A1 (en) * 2015-07-31 2017-02-09 Federal-Mogul Corporation Illum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US9688189B1 (en) * 2016-03-09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license plate
US9688190B1 (en) * 2016-03-15 2017-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cense plate illumination system
US10464472B2 (en) * 2016-11-18 2019-11-05 Rebo Lighting & Electronics, Llc Illum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JP6766789B2 (ja) * 2017-09-26 2020-10-14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
JP2021113882A (ja) 2020-01-17 2021-08-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ンズ及びライセンスランプ
CN111140818A (zh) * 2020-01-20 2020-05-12 江西省绿野汽车照明有限公司 一种车用照明装置及车
TWI782602B (zh) * 2021-06-30 2022-11-01 統亞電子科技股份有限公司 光導式牌照板燈
KR102578873B1 (ko) * 2023-02-17 2023-09-18 주식회사 알리 라이센스 램프용 렌즈장치
KR102578874B1 (ko) * 2023-02-17 2023-09-18 주식회사 알리 라이센스 램프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98310U (de) * 1963-05-03 1964-08-06 Westfaelische Metall Ind K G H Seitlich vom kennzeichenschild angeordnete leuchte fuer kraftfahrzeuge.
JPS5623167Y2 (ko) * 1976-08-09 1981-05-30
US4733335A (en) * 1984-12-28 1988-03-22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
JPH027075Y2 (ko) * 1985-11-01 1990-02-20
JPH0172049U (ko) * 1987-11-04 1989-05-15
JP3222383B2 (ja) * 1996-06-06 2001-10-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H10244876A (ja) * 1997-03-04 1998-09-14 Koito Mfg Co Ltd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ランプ
JP2000168438A (ja) * 1998-12-03 2000-06-20 Koito Mfg Co Ltd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ランプ
ITPN20010040A1 (it) * 2001-06-08 2002-12-08 Sapa Autoplastics S P 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della targa di autoveicoli
US6758587B2 (en) * 2001-06-25 2004-07-06 Grote Industries, Inc. Light emitting diode license lamp with reflector
US7163322B2 (en) * 2003-09-19 2007-01-16 Toyoda Gosei Co., Ltd. Illumination device for license plate
JP4437707B2 (ja) * 2004-06-24 2010-03-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照明装置
JP2006193121A (ja) * 2005-01-17 2006-07-27 Fujikura Ltd 車両用バックパネルのガーニッシュ
JP2007039920A (ja) * 2005-08-01 2007-02-15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ハンドル装置
DE202005014363U1 (de) 2005-09-12 2005-11-10 Fer Fahrzeugelektrik Gmbh LED-Kennzeichenleuchte mit homogener Lichtverteilung
ES2303453B2 (es) * 2006-11-10 2009-03-01 Maier, S. Coop. Sistema de iluminacion de la placa de matricula de un vehiculo.
JP3129212U (ja) * 2006-11-27 2007-02-08 株式会社アデルジャパン ナンバー灯
ITPN20070022A1 (it) * 2007-04-17 2008-10-18 Plastal Spa "dispositivo per illuminare la targa di un autoveicol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33B1 (ko) * 2021-06-08 2021-11-09 (주)다온세미컴 자동차 번호판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8031A2 (en) 2009-08-12
CN101504120A (zh) 2009-08-12
CN101504120B (zh) 2011-11-30
JP5503109B2 (ja) 2014-05-28
JP2009184501A (ja) 2009-08-20
US8262269B2 (en) 2012-09-11
US20090196059A1 (en) 2009-08-06
EP2088031A3 (en) 2009-12-16
KR101163819B1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819B1 (ko) 번호판 램프
JP4780788B2 (ja) Led灯具ユニット
KR101114183B1 (ko) 조명 조립체
JP4290601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灯具
JP2006236588A (ja) 光照明装置及び車両用灯具
JP2013016386A (ja) 車両用灯具
US20170241616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CN110260263B (zh) 车载双功能发光模块及车载双功能照明灯组
JP5353353B2 (ja) 車両用信号灯具
US11603972B2 (en) Light guide for vehicles, and lamp for vehicles
JP2007265722A (ja) 発光装置
JP2017120745A (ja) 照明装置及び自動車
JP6164893B2 (ja) 車両用灯具
KR20160117122A (ko) 자동차용 조명 장치
CN108603646B (zh) 车辆用灯具
JP6793494B2 (ja) 車両用灯具
JP5435257B2 (ja) 車両用信号灯具
JP2011154912A (ja) 車両用灯具
JP2015076249A (ja) 車両用灯具
JP2010021002A (ja) 灯具
JP2015018689A (ja) 車両用灯具
JP6648428B2 (ja) 車両用灯具
JP2010244833A (ja) 車両用灯具
JP2012114102A (ja) 灯具ユニット
WO2024053324A1 (ja) 車輌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