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033B1 - 자동차 번호판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 번호판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033B1
KR102324033B1 KR1020210073949A KR20210073949A KR102324033B1 KR 102324033 B1 KR102324033 B1 KR 102324033B1 KR 1020210073949 A KR1020210073949 A KR 1020210073949A KR 20210073949 A KR20210073949 A KR 20210073949A KR 102324033 B1 KR102324033 B1 KR 10232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installation part
protrusion
led package
gar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관
최재진
Original Assignee
(주)다온세미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온세미컴 filed Critical (주)다온세미컴
Priority to KR102021007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번호판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뷰(sideview) 기술을 적용한 LED 패키지를 하우징 내에 실장시킴으로써 후방카메라 등 기타 기구물이 존재하여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자동차 번호판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램프는, 테일 게이트 가니쉬에 구비되는 자동차 번호판 램프로서 가니쉬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서 번호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되 상기 가니쉬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 측에 내장되는 LED 패키지를 포함하되, 상기 LED 패키지는 사이드뷰 LED 패키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번호판 램프{LICENSE PLATE LAMP}
본 발명은 자동차 번호판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뷰(sideview) 기술을 적용한 LED 패키지를 하우징 내에 실장시킴으로써 후방카메라 등 기타 기구물이 존재하여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자동차 번호판 램프에 관한 것이다.
램프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빛을 공급하거나 조절하는 장치를 말한다. 램프의 광원으로는 백열 전구, 형광등, 네온등과 같은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다.
LED는 화합물 반도체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화시키는 소자로서, 형광등과 달리 수은 등의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 유발 원인이 적다. 또한 LED의 수명은 백열 전구, 형광등, 네온등의 수명보다 길다. 또한 백열 전구, 형광등, 네온등과 비교할 때, LED는 전력 소비가 적고, 높은 색온도로 인하여 시인성이 우수하고 눈부심이 적은 장점이 있다.
LED가 사용되는 램프는 그 용도에 따라 백라이트(backlight), 표시 장치, 조명등, 차량용 번호판 램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빛으로 전환시키는 소자로서, 차세대 광원으로서 다양하게 이용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색상 표현 및 소비 전력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여 PC, 노트북, TV 등의 백라이트 유닛(BLU)에 이용되던 종래의 냉음극형광램프(CCFL)를 대체하는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모듈로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서 광을 제공하기 위한 사이드뷰 타입의 LED 패키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LED 패키지는 전류 인가에 의해 p-n 반도체 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광을 발하는 발광소자인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패키지 구조의 광원이다.
또한, 사이드뷰 타입의 LED 패키지를 채택하는 백라이트 모듈로는,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사이드뷰 LED 패키지를 장착한 후, 그것을 도광판과 각종 필름이 있는 기구에 부착한 것과, 연성회로기판이 아닌 강성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도광판 등이 부착되어 있고, 그 인쇄회로 기판에 사이드뷰 LED 패키지를 솔더링에 의해 부착한 것이 있다.
한편, 차량 번호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채용되는 번호판 램프에 있어서도 상기한 LED 백라이트 모듈이 채용되는데,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6173호 등(이하 종래기술)이 존재한다.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광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아래쪽에 위치하는 번호판을 향해 광을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번호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어하여 상기 번호판의 표면을 향해 조사하는 제어용 렌즈와, 내부에 적어도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한 램프 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용 렌즈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의 표면의 상단측을 향해 조사하는 제1 제어부와, 이 제1 제어부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번호판 표면의 거의 전 영역을 향해 조사하는 제2 제어부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광 이용 효율의 향상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이라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직하형 방식의 LED 모듈이 채용됨으로써 LED 모듈을 실장하는 바디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궁극적으로는 차량 후방에 존재하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각 종 기구물들에 의해서 설치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됨으로써 번호판의 시인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이드뷰 백라이트 유닛을 채용함으로써 초박형으로 LED 패키지를 구성시키고, 이를 돌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에 실장시킴으로써 번호판의 시인성을 개선시킨 자동차 번호판 램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LED 패키지를 실장하고 있는 바디의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차량 후방에 존재하는 각종 기구물에 방해를 받지 않고, 또한 설치에 제약이 없는 자동차 번호판 램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램프는, 테일 게이트 가니쉬에 구비되는 자동차 번호판 램프로서 가니쉬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서 번호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되 상기 가니쉬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 측에 내장되는 LED 패키지를 포함하되, 상기 LED 패키지는 사이드뷰 LED 패키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돌출부와 수직하게 이어지되, 상기 가니쉬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설치부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편심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부에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인입홈 측에 상기 인입홈을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깊이는 2.0mm, 폭은 6.0mm로 구성되고, 상기 가니쉬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110 ~ 120mm의 간격을 가지고 4개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사이드뷰 백라이트 유닛을 채용함으로써 초박형으로 LED 패키지를 구성시키고, 이를 돌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에 실장시킴으로써 번호판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LED 패키지를 실장하고 있는 바디의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차량 후방에 존재하는 각종 기구물에 방해를 받지 않고, 또한 설치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램프가 번호판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사이드뷰 LED 패키지를 내장하는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번호판 램프가 테일 게이트 가니쉬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5는 등록특허 10-2211489호의 사이드뷰 LED 패키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06조 제5호 별표23 등록번호표에 따른 조도 측정점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 가니쉬(G)(이하 가니쉬(G))에 구비되는 자동차 번호판(P)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뷰(sideview) 기술을 적용한 LED 패키지를 하우징(H) 내에 실장시킴으로써 후방카메라 등 기타 기구물이 존재하여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자동차 번호판(P) 램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키지를 내장하는 하우징(H)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H)은 가니쉬(G)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부(H1) 및 상기 설치부(H1)에서 번호판(P)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부(H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되 상기 가니쉬(G)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H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H2)는 후술할 LED 패키지가 내장되는 공간으로서, 번호판(P) 측으로 돌출 구비되는바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번호판(P)에 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필요로 하는 개소에서의 향상된 휘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번호판(P)의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직하형의 백라이트 유닛이 채용된 LED 패키지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뷰 LED 패키지(S)보다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기 돌출부(H2)에 내장이 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목적하는 만큼의 조사량을 획득할 수 없으므로 차량 번호의 식별이 곤란해질 염려가 존재하게 되며, 이는 궁극적으로는 차량 번호의 부여/등록의 목적 자체를 훼손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뷰 LED 패키지(S)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11489호에 개시된 사이드뷰 LED 패키지(S)(이하 사이드뷰 LED 패키지(S))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뷰 LED 패키지(S)의 특징적인 점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도 4 및 5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참조부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11489호를 참조하여 해석할 수 있는바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수치한정부분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사이드뷰 LED 패키지(S)는 상기 사이드뷰 LED 패키지(S)의 후면 측이 PCB 기판(B)을 향하고 정면 측이 돌출부(H2)의 내장 공간 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뷰 LED 패키지(S)에서, 광폭부(122)의 높이(전후방향의 길이)는 몰드 하우징(4)의 높이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을 가지며, 그 비율은 [몰드 하우징(4)의 높이 : 광폭부(122)의 높이 = 3.5 ~ 4.5 : 1]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광폭부(122)의 높이를 축소하여 몰드 가이드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광폭부(122)의 최소 높이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다 바람직한 것은 몰드 하우징(4)과 광폭부(122)의 높이 비가 4:1인 것이고, 그 실시예로서 몰드 하우징(4)의 높이를 1.6mm라고 가정할 때, 광폭부(122)의 높이가 0.4mm가 되는 것이다.
또한 사이드뷰 LED 패키지(S)는 몰드 하우징(4)의 폭(상하 방향 길이)과 길이(좌우 방향 길이)를 한정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사이드뷰 LED 패키지(S)가 전장용에 특화될 수 있도록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설계상의 수치 한정이다. 그 실시예로, 몰드 하우징(4)의 폭은 1.4mm로 구성되고, 길이는 5.6mm로 구성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몰드하우징(4)의 길이가 6.0mm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는 칩의 실장 문제, 진동 문제 등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았고, 특히 사이드미러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크다는 문제도 있었으며,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차량의 경우 LED가 사용되는 부분에 곡면이 많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몰드 하우징(4)의 길이를 줄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사이드뷰 LED 패키지(S)의 수치한정부분에서 사용되는 높이 방향, 폭 방향, 길이 방향은 모두 도 4를 기준으로만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높이 방향,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은, 각각 도 3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깊이 방향, 폭 방향, 높이 방향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가니쉬(G)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H2)의 깊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2.0mm로 구성될 수 있게 되고,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6.0mm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에서 복수로 구비될 때, 상기 가니쉬(G) 내에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가니쉬(G)의 총 길이(d)가 550mm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이드뷰 LED 패키지(S) 간의 간격(더 정확히는 하우징(H) 간의 간격)(d1, d2, d3)을 110mm ~ 120mm로 하여 가니쉬(G) 내에 총 4개가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번호판(P)의 경우에 구형 번호판(P)과 달리 가로*세로의 길이가 520mm * 110mm에 해당하여 가로 길이가 긴 형태에 해당하는데, 가로 길이가 길어진 형태의 신규 번호판(P)에서의 시인성 확보에 최적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06조 제5호 별표23 등록번호표에서는 구 번호판(P)에서의 조도 측정점보다 신규 번호판(P)에서의 조도 측정점이 더 많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서도 시인성 확보에 최적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H1)는 상기 돌출부(H2)와 수직하게 이어지되, 상기 가니쉬(G)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H11)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H11)는 상기 설치부(H1)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편심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전면측과 후면측의 기준은 자명하게도 차량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H11)가 상기 설치부(H1)의 전면측 또는 후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어 획득할 수 있는 장점으로는 첫 번째로 하우징(H)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가니쉬(G)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가니쉬(G)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만약에 상기 설치부(H1)가 상기 설치부(H1)의 전면측 및 후면측 모두에 상기 돌출부(H2)와 수직하게 이어지는 경우에는 깊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어 깊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못한 가니쉬(G)의 경우에는 설치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가니쉬(G) 측에 구비되는 후방 카메라, 가니쉬(G) 램프 등 기타 기구물의 설치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 또한 상기 설치부(H1)의 부피를 줄이게 되어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H1) 측 내장공간과 사이드뷰 LED 패키지(S) 사이에는 지지블록(CIC)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는 지지블록(CIC)은 사이드뷰 LED 패키지(S)의 상부(도 2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블록(CIC)은 기구적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고, LED 부위에 위치하여 제품 실장 시 함께 SMT 작업되는 부품으로, 사출품의 조립 시에 기구적인 충격을 LED보다 먼저 받도록 설계되어 LED의 조립 시 충격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블록(CIC)은 LED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상기 설치부(H1)는 상부에 전선(W)이 인입되는 인입홈(H12)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H1)는 상기 인입홈(H12) 측에 상기 인입홈(H12)을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H1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인입홈(H12)으로는 전선(W)이 인입되어 상기 전선(W)은 상기 설치부(H1) 측의 내부공간에 커넥터(C)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H13)의 구비로 인하여 커넥터(C) 측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도 2를 참고하면, 돌기(H13)는 설치부(H1) 중 인입홈(H12)의 일 측(도 2 기준으로 상부)에서 돌출되는 일측돌기와 인인홉(H12)의 타 측(도 2 기준으로 하부)에서 돌출되는 타측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넥터(C)에 연결되는 전선(W)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전선(W)의 꺾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인입홈(H12)은 설치부(H1)의 수평 폭(도 2 기준으로 상하 길이)을 기준으로 할 때, PCB 기판(B) 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인입홈(H12)의 위치 역시 전선(W)의 직진성 확보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H1) 및 돌출부(H2)의 일 측벽을 따라 PCB 기판(B)이 설치되며, 상기 PCB 기판(B) 상에 커넥터(C)와 사이드뷰 LED 패키지(S)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뷰 LED 패키지(S)의 하부에는 렌즈(L)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트뷰 LED 패키지와 렌즈(L) 사이에는 도광판 등이 구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L)나 도광판은 특별한 어느 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서, 안착부(H11)는 설치부(H1)의 후방 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즉 상기한 인입홈(H12)은 전방 측으로 편심 구비되고, 안착부(H11)는 후방 측으로 편심 구비되어 전선(W), 커넥터(C), 기판(B), 렌즈(L)의 배치의 집적화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집적화를 통한 하우징(H)의 두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 하우징
H1: 설치부 H2: 돌출부
H11: 안착부 H12: 인입홈
H13: 돌기
S: 사이드뷰 LED 패키지 G: 가니쉬

Claims (4)

  1. 테일 게이트 가니쉬에 구비되는 자동차 번호판 램프에 있어서,
    가니쉬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설치부에서 번호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되 상기 가니쉬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 측에 내장되는 LED 패키지;
    를 포함하되,
    상기 LED 패키지는 사이드뷰 LED 패키지이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돌출부와 수직하게 이어지되, 상기 가니쉬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설치부의 전면측에 편심되어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부에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인입홈 측에 상기 인입홈을 밀폐시키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깊이는 2.0mm, 폭은 6.0mm로 구성되고,
    상기 가니쉬 내부에 상기 하우징이 110 ~ 120mm의 간격을 가지고 4개가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LED 패기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LED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지지블록(CIC)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인입홈의 일 측에서 돌출되는 일측돌기와 상기 인입홈의 타 측에서 돌출되는 타측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인입홈은 상기 설치부의 수평 폭을 기준으로 상기 설치부의 일 측벽을 따라 설치되는 PCB 기판 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73949A 2021-06-08 2021-06-08 자동차 번호판 램프 KR10232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949A KR102324033B1 (ko) 2021-06-08 2021-06-08 자동차 번호판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949A KR102324033B1 (ko) 2021-06-08 2021-06-08 자동차 번호판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033B1 true KR102324033B1 (ko) 2021-11-09

Family

ID=7861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949A KR102324033B1 (ko) 2021-06-08 2021-06-08 자동차 번호판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6173A (ko) * 2008-02-06 2009-08-1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번호판 램프
JP2012116266A (ja) * 2010-11-30 2012-06-21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ライセンスランプ
KR102211489B1 (ko) * 2020-04-02 2021-02-02 장희관 파티션을 구비한 전장용 사이드뷰 led 패키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6173A (ko) * 2008-02-06 2009-08-1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번호판 램프
JP2012116266A (ja) * 2010-11-30 2012-06-21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ライセンスランプ
KR102211489B1 (ko) * 2020-04-02 2021-02-02 장희관 파티션을 구비한 전장용 사이드뷰 led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17328U (zh) 车辆的光模块、光组件和后视装置
US7618165B2 (en) LED lamp unit
EP2690356B1 (en) Lighting device
CN101500373B (zh) 印刷电路板、背光单元和液晶显示装置
US20120182734A1 (en) Led illumination unit, led illumination device, and led illumination system
US20200386390A1 (en) Slim linear led lighting device
CN102893079A (zh) 照明装置
CN102893077A (zh) 照明装置
CN102893080A (zh) 照明装置
CN102022699B (zh) 发光模块以及车辆用灯具
US20150023015A1 (en) Attachment Plate and Cover Configuration for a Luminaire
CN1756923A (zh) 用于机动车辆的照明单元
CN103026488A (zh) 发光二极管
CN203836632U (zh) 直管形灯以及照明装置
US20140146553A1 (en) Lighting module for a vehicle lighting device with semiconductor light source
JP2015032431A (ja) Led照明装置
KR102324033B1 (ko) 자동차 번호판 램프
US8123387B2 (en) LED lamp device
CN102529802A (zh) 一种汽车仪表指针表盘的照明系统
US10434934B2 (en) High mount stop lamp for automobile
JP2023025642A (ja) Ledドライバー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JP6909974B2 (ja) 間接照明器具
JPH07114813A (ja) 車輌用灯具
JP2017027665A (ja) Led照明装置
US20210278063A1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