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985A -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 Google Patents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985A
KR20090084985A KR1020080010895A KR20080010895A KR20090084985A KR 20090084985 A KR20090084985 A KR 20090084985A KR 1020080010895 A KR1020080010895 A KR 1020080010895A KR 20080010895 A KR20080010895 A KR 20080010895A KR 20090084985 A KR20090084985 A KR 2009008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filter bag
fermentation
grain win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훈 filed Critical 최지훈
Priority to KR102008001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4985A/ko
Priority to CN2009801039468A priority patent/CN101932692A/zh
Priority to PCT/KR2009/000511 priority patent/WO2009096759A2/ko
Priority to US12/865,811 priority patent/US20110011269A1/en
Priority to CA2713600A priority patent/CA2713600A1/en
Priority to JP2010544897A priority patent/JP2011510652A/ja
Publication of KR2009008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9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05Solid or pasty alcoholic beverage-for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Package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곡주를 매우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곡주 제조용 키트(kit)"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곡주 제조용 키트는, 필터백(filter bag); 및 상기 필터백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건조된 찐 곡식 및 발효 미생물을 포함하는 곡주 발효 원료;를 포함한다.
곡주, 필터

Description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Grain wine kit with filter bag}
본 발명은 발효주 제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곡주 제조에 관한 것이다.
곡주라 함은 곡식을 발효시켜 얻은 술을 통칭한다.
양조장에서 생산되는 상업적 곡주 제품에는, 일반적으로, 유통과정에서의 곡주 제품의 변질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가 투입되어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곡주의 맛을 저하시킬 수 있고, 마시는 이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숙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첨가제가 투입되지 않은 곡주를 편안하게 즐기기를 원한다면, 소비자가 가정에서 직접 곡주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곡주 제조 과정을, 쌀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쌀을 2 시간 정도 물에 불린다. 불린 쌀을 1 시간 정도 체반에 놓아 물기를 제거한다. 체반에 걸러진 불린 쌀을 수증기로 1 시간 정도 찐다. 찐 쌀을 건조시킨다. 건조된 찐쌀에 누룩과 물을 넣어 발효시킨다. 2 주 정도의 발효 후에, 발효 혼합물 중의 쌀 찌꺼기를 걸러낸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곡주 제조 과정은, 가정에서 간편하게 수행하기에는 매우 번거로운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하여, 소비자가, 전통적인 곡주 제조 과정을 가정에서 직접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곡주를 매우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곡주 제조용 키트(kit)"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곡주 제조용 키트는,
필터백(filter bag); 및
상기 필터백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건조된 찐 곡식 및 발효 미생물을 포함하는 곡주 발효 원료;를 포함한다.
필터백은, 수불용성 및 수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마른 상태 또는 젖은 상태의 곡주 발효 원료가 실질적으로 새어 나오지 않을 정도의 기공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임의의 형태의 주머니(bag)를 의미한다.
필터백의 수불용성은, 발효과정 동안 물과 접촉하게 되는 필터백이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요소이다. 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필터백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면, 필터백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필터백 내의 곡주 발효 원료가 다량으로 새어나올 수 있다. 그리하면, 별도의 거름 과정 없이 간편하게 맑은 곡주를 얻고자 하는 목적이 달성되기 어렵다. 또한, 필터백의 구성성분이 물에 녹으면, 제조된 곡주가 필터백 성분으로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백이 수불용성을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필터백의 수투과성은, 필터백 내에 발효반응의 반응매질인 물을 공급하기 위한 요소이다. 필터백을 용기에 넣고, 용기에 물을 부으면, 물은 필터백을 투과하여 필터백의 내부로 스며든다. 필터백의 내부에 스며든 물은, 필터백 내에 충진되어 있는 곡주 발효 원료가 발효반응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는 반응매질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필터백의 수투과성은, 발효과정 동안 필터백 내에서 생성된 에틸알코올을 포함하는 곡주성분이, 필터백의 외부로 확산되어 나오도록 하는데에도 필요한 요소이다.
필터백의 기공도는, 곡주제조과정 이전에, 마른 상태의 곡주 발효 원료가 필터백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곡주제조과정 중에, 젖은 상태의 곡주 발효 원료가 필터백의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필터백의 기공은, 물이 필터백 내로 더욱 원활하게 스며들수 있게 한다. 또한, 필터백의 기공은, 필터백 내에서 생성된 에틸알코올을 포함하는 곡주성분이, 필터백의 외부로 더욱 원활하게 확산되어 나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필터백으로서는, 합성섬유 천(cloth) 또는 천연섬유 천(cloth)으로 이루어진 주머니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학물질에 의한 곡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인 천연섬유 천(cloth)으로 이루어진 주머니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바람직한 필터백으로서, 광목천, 삼베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곡주 발효 원료는 필터백 내에 담겨 있다. 또한, 곡주 발효 원료는 건조된 찐 곡식 및 발효 미생물을 포함한다.
건조된 찐 곡식은, 곡식을 찌고 말리는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찐 곡식을 얻는 방법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된 찐 곡식에 사용되는 곡식의 예로서는, 쌀, 찹쌀, 좁쌀, 옥수수,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다. 건조된 찐 곡식의 형태는, 도정된 알갱이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발효 미생물로서는, 예를 들면, 누룩균, 효모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발효 미생물의 형태는, 건조된 알갱이, 또는, 건조된 분말일 수 있다.
곡주 발효 원료 중의 발효 미생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양조용 누룩균의 경우 그 함량은, 건조된 찐 곡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0 내지 약 30 중량부일 수 있다. 통상적인 예를 들면, 양조용 효모균의 경우 그 함량은, 건조된 찐 곡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0.1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곡주 제조용 키트는, 예를 들면, 자루 형태의 필터에 곡주 발효 원료를 넣은 후, 자루 형태의 필터의 상단 개방부를 바느질하거나 묶으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곡주 제조용 키트는, 서로 마주보는 쉬트 형태의 두 장의 필터 사이에 곡주 발효 원료를 배치시키고, 두 장의 필터의 주변부를 바느질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터백 내에 곡주 발효 원료 를 봉입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자루 형태의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자루 형태의 필터의 상단 개방부를 반드시 폐쇄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발효 용기의 뚜껑에 필터 자루의 상단부를 걸어 놓는 경우에는, 자루의 상단 개방부를 통하여 곡주 발효 원료가 새어나올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곡주 제조용 키트는, 예를 들면, 진공 포장용기에 제습제와 함께 넣어진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이 경우, 곡주 발효 원료에, 예를 들어, 방부제와 같은 첨가제를 투입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곡주 제조용 키트와 물을 용기에 넣은 후, 상온에서 일정기간 (예를 들어, 약 2 주 정도) 방치하면, 곡주 발효가 완료된다. 곡주 발효가 완료된 후, 용기로부터 곡주 제조용 키트를 단순히 꺼내기만 하면, 용기에는 맑은 곡주가 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곡주 제조용 키트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곡식을 물에 불리는 단계, 물에 불린 곡식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불린 곡식을 찌는 단계, 찐 곡식을 건조시키는 단계, 특히, 발효 혼합물 중의 찌꺼기를 걸러내는 단계 등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용기에 담긴 맑은 곡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먼저, 찹쌀 3 kg을 물 3 리터와 함께 용기에 넣고 10 시간 동안 불렸다. 그 다음, 불린 찹쌀을 1시간 동안 체반으로 걸러 물기를 제거한 후, 찜통(steamer)에 넣고, 100 ℃에서 100 분 동안 쪘다. 찐 찹쌀을, 상온에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7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렇게 얻은 건조된 찐 찹쌀 3 kg, 누룩 300 g, 양조용 효모 5 g 을 혼합하여, 곡주 발효 원료를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곡주 발효 원료 3305 g을, 광목천 자루에 넣은 후, 광목천 자루의 입구를 광목실로 바느질하여, 곡주 발효용 키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곡주 발효용 키트를 15 리터 용량의 유리병에 넣고, 정수된 식수 10 리터를 유리병에 추가 투입한 후, 유리병의 뚜겅을 닫은 다음, 2 주일 동안 상온에 방치하므로써, 곡주 발효를 진행시켰다. 2 주일 간의 발효 후, 유리병으로부터, 사용된 곡주 발효용 키트를 꺼냈다. 유리병 내의 잔류물이 바로, 제조된 곡주이다.
유리병 내에 담겨 있는 곡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곡주 발효 원료의 찌꺼기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유리병 내의 곡주의 알코올 함량은 8 중량% 이었다. 또한, 유리병 내의 곡주를 시음한 결과, 전통적인 찹쌀 곡주의 맛이 느껴졌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곡주 발효 원료를 필터백 내로 제한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예상될 수 있는 바와는 달리, 곡주 발효가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

  1. 필터백(filter bag); 및
    상기 필터백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건조된 찐 곡식 및 발효 미생물을 포함하는 곡주 발효 원료;를
    포함하는 곡주 제조용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백이, 광목천 또는 삼베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주 제조용 키트.
KR1020080010895A 2008-02-02 2008-02-02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KR20090084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895A KR20090084985A (ko) 2008-02-02 2008-02-02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CN2009801039468A CN101932692A (zh) 2008-02-02 2009-02-02 使用滤袋的粮食酒制造工具包
PCT/KR2009/000511 WO2009096759A2 (ko) 2008-02-02 2009-02-02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US12/865,811 US20110011269A1 (en) 2008-02-02 2009-02-02 Grain wine manufacturing kit using a filter bag
CA2713600A CA2713600A1 (en) 2008-02-02 2009-02-02 Grain wine manufacturing kit using a filter bag
JP2010544897A JP2011510652A (ja) 2008-02-02 2009-02-02 フィルターバッグを利用した穀酒製造用キ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895A KR20090084985A (ko) 2008-02-02 2008-02-02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985A true KR20090084985A (ko) 2009-08-06

Family

ID=4091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895A KR20090084985A (ko) 2008-02-02 2008-02-02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11269A1 (ko)
JP (1) JP2011510652A (ko)
KR (1) KR20090084985A (ko)
CN (1) CN101932692A (ko)
CA (1) CA2713600A1 (ko)
WO (1) WO200909675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7387A1 (de) 2009-09-09 2011-03-10 Dong-A Pencil Co., Ltd. Werkzeugreduzierung des Rohrs für nadelartige Kugelschreiberspitzen
KR101251318B1 (ko) * 2010-01-22 2013-04-05 정기철 막걸리 제조용 포장 원료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36B1 (ko) * 2010-11-22 2013-04-12 정 준 배 흑 막걸리 제조방법
JP5946610B2 (ja) * 2011-06-23 2016-07-06 群栄化学工業株式会社 マッコリ風味飲料
JP5823771B2 (ja) * 2011-08-10 2015-11-25 有限会社ラヴィアンサンテ マッコリ風味飲料用粉末又は顆粒、及びそれを用いる飲料の調製方法
US10301583B2 (en) 2013-03-14 2019-05-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avor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US10524609B2 (en) 2013-03-14 2020-01-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Disposable beverage p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EP3116328B1 (en) 2014-03-12 2017-08-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avor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herry wine like beverages
US9642384B2 (en) 2014-03-13 2017-05-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avor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4498U (ko) * 1972-12-20 1974-09-06
JPS5547284U (ko) * 1978-09-26 1980-03-27
JPS55117288U (ko) * 1979-02-13 1980-08-19
JPS6217900U (ko) * 1985-07-18 1987-02-03
GB9522782D0 (en) * 1995-11-07 1996-01-10 Sachetpac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of materials
JPH1146716A (ja) * 1997-08-01 1999-02-23 Utsubo Katsuobushi Kk 出汁汁用パック
JPH11196830A (ja) * 1998-01-20 1999-07-27 Morinaga & Co Ltd 甘酒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74424A (ko) * 1999-05-20 2000-12-15 윤명노 송엽주의 제조방법
JP2002186477A (ja) * 2000-12-19 2002-07-02 Choya Umeshu Co Ltd 飲用セット体
JP2005278619A (ja) * 2004-03-29 2005-10-13 Takeshi Yoshimura 簡易甘酒製造キ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7387A1 (de) 2009-09-09 2011-03-10 Dong-A Pencil Co., Ltd. Werkzeugreduzierung des Rohrs für nadelartige Kugelschreiberspitzen
KR101251318B1 (ko) * 2010-01-22 2013-04-05 정기철 막걸리 제조용 포장 원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6759A2 (ko) 2009-08-06
CA2713600A1 (en) 2009-08-06
JP2011510652A (ja) 2011-04-07
CN101932692A (zh) 2010-12-29
US20110011269A1 (en) 2011-01-20
WO2009096759A3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985A (ko) 필터백을 이용한 곡주 제조용 키트
CN101491281B (zh) 一种金花散茶的加工方法
CN105733879B (zh) 纯净、醇厚、柔绵、协调、适口的豫香型白酒生产工艺
CN107881055A (zh) 一种米酒加工工艺
CN104686693A (zh) 一种发酵茶饮料的生产工艺
CN107227237B (zh) 一种白酒单纯酿造方法
JP2008017759A (ja) 麦芽の加工方法及び発酵麦芽飲料の製造方法
CN105707278A (zh) 酸浆工艺标准化生产方法
CN112725117A (zh) 一种新型用蜂蜜酿造蜜香型白酒的方法
KR101156062B1 (ko) 맥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74424A (ko) 송엽주의 제조방법
CN112210456A (zh) 一种以黑茶为主料的酿酒方法
KR20110009254U (ko) 곡물발효주 제조용 키트
CN110564552A (zh) 一种玫瑰红茶露酒的酿制方法
CN109393079A (zh) 一种金花茶的散茶发花工艺
US11773356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ood particles for the production of alcoholic beverages and their use and an apparatus for their use
CN115786060A (zh) 一种基于青稞酒生产用快速发酵工艺及方法
CN104365896A (zh) 一种茯砖茶的制备方法和散茶木模
CN115710541A (zh) 利口葡萄酒生产方法
CN109536334A (zh) 一种茶酒及其制作方法
CN116925873A (zh) 一种黄酒抑酸酿造方法
CN104357301A (zh) 一种小吊酒的生产工艺
CN112280647A (zh) 一种柿子醋的制备方法
CN115505476A (zh) 一种低生物胺和高非糖固形物含量黄酒的生产方法
KR100979093B1 (ko) 식이섬유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08

Effective date: 2012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