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656A -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656A
KR20090084656A KR1020080125681A KR20080125681A KR20090084656A KR 20090084656 A KR20090084656 A KR 20090084656A KR 1020080125681 A KR1020080125681 A KR 1020080125681A KR 20080125681 A KR20080125681 A KR 20080125681A KR 20090084656 A KR20090084656 A KR 2009008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ase member
circuit terminal
opening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728B1 (ko
Inventor
노부유키 카와이
료지 타네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30Operating parts, e.g. handle not biased to return to a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과제]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좁은 스페이스라도 플러그 본체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한다.
[해결 수단]
시트 쿠션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서, 플러그 본체(15)를 베이스 부재(14)의 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이동시키고, 규제 부재(26)의 내벽(만곡면)에 플러그 본체(15)의 원호상태의 외벽을 맞대고, 베이스 부재(14)의 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규제 부재(26)의 내벽(만곡면)을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 본체(15)를 회동시키고 2개의 회로 단자(22)와 2개의 단락 단자(23)를 위치 맞춤하여, 높이에 제한을 받는 극히 좁은 장소라도, 단락 단자(23)의 삽입 방향인 높이 방향으로 플러그 본체(15)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플러그 본체(15)의 베이스 부재(14)에의 위치맞춤을 행한다.
전기 회로, 서비스 플러그

Description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ATTACHMENT STRUCTURE OF SERVICE PLUG}
본 발명은, 전기 회로를 열고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삭감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가 주목받아 오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력을 얻고 있기 때문에, 전원이 되는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다. 배터리에 의해 고전압의 회로가 구성되고, 배터리는 중량물이기 때문에, 바닥 밑에 수납되어 차량의 중심(重心)이 내려져 있다. 전기자동차에서는, 점검 정비에 즈음하여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고전압 회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기자동차에는 고전압 회로를 차단하는 서비스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다. 즉, 배터리에 의해 구성되는 고전압 회로는, 차량 사용시에는 서비스 플러그의 베이스 부재에 단락용의 플러그 본체가 삽입됨으로써 고전압 회로가 성립하고, 차량의 점검 정비시에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플러그 본체가 벗겨짐으로써 회로가 개방되어 고전압 회로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에는 단락 단자가 구비되고, 플러그 본체를 베이스 부재측에 끼워 맞추어 단락 단자를 차체측의 회로 단자에 삽입함으로써, 고전압 회로가 단락 상태가 된다. 점검 정비 등으로 고전압 회로를 차단하는 경우, 플러그 본체를 벗기고 회로 단자로부터 단락 단자를 빼어내고 있다. 점검 정비 등이 종료된 후, 플러그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끼워 맞춤으로써 차단 상태로부터 고전압 회로를 복귀시키고 있다.
통상, 서비스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는 베이스 부재에 끼워 맞추어진 채로, 간단히 벗겨지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차체의 내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위치(차체의 외측으로부터는 벗겨질 수 없는 위치)로, 탑승자의 눈에 띄지 않는 위치에 서비스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닥 밑에 배터리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트 쿠션의 하측의 플로어 패널측에 서비스 플러그가 설치되고, 점검 정비 등으로 플러그 본체를 탈착할 때에는 시트 쿠션의 하측의 스페이스에서의 작업으로 된다.
플러그 본체의 탈착은 좁은 스페이스에서의 작업으로 되기 때문에, 특별히, 삽입시에는 양호한 작업성이 요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로부터, 회로 단자측의 케이스 부재의 표면에 한 쌍의 안내벽을 대향하여 세우고, 플러그 본체의 삽입 방향(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홈을 안내벽에 각각 형성하고, 플러그 본체의 보스부를 가이드 홈의 상부로부터 위치 결정하고, 안내벽의 상부로부터 가이드 홈에 따라 플러그 본체를 삽입시키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한 쌍의 안내벽에 의해 플러그 본체의 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시트 쿠션의 하측에서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스페이스라도, 플러그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적절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회로 단자에 단락 단자를 양호하게 삽입할 수 있다.
종래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서는,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의 상측의 안내벽의 위치에 플러그 본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플로어 패널과 시트 쿠션의 하면 사이에는, 안내벽의 높이와 플러그 본체의 높이분 이상의 간극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좁은 간격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시트 쿠션의 하측에 서비스 플러그를 설치하는 경우, 차종이 한정되어 버리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안내벽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좁은 스페이스에 서비스 플러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플러그 본체의 규제가 불충분하게 되고, 회로 단자에 단락 단자를 양호하게 삽입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10-14442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좁은 스페이스라도 베이스 부재에 대한 플러그 본체의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회로 단자가 배치되고 단자를 면하는 개구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로 단자에 삽입되는 단락 단자를 구비한 플러그 본체로 서비스 플러그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개구구멍의 부근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본체를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규제 부재에 의해 이동 위치가 베이스 부재의 개구구멍에 대해 규제되고, 플러그 본체의 단락 단자가 회로 단자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한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좁은 스페이스라도 플러그 본체의 베이스 부재에의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청 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개구구멍을 끼우고 상기 규제 부재의 반대측으로서 상기 개구구멍의 상기 회로 단자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안내 부재에 의해 플러그 본체가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고, 플러그 본체의 단락 단자가 회로 단자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한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좁은 스페이스라도 플러그 본체의 베이스 부재에의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청구항 제 1항 또는 청구항 제 2항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는 차량용의 배터리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시트 쿠션의 하측의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시트 쿠션의 하면에 상기 개구구멍을 향한 상태로 상기 플로어 패널의 서비스 구멍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시트 쿠션의 하부에 서비스 플러그를 배치한 경우에도 플러그 본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베이스 부재에의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청구항 제 3항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구구멍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통형상을 하고, 상기 개구구멍의 상기 통부(筒部)와 동일 높이의 주벽부(周壁部)가 상기 개구구멍의 주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주벽부에 연속하여 높이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늘어나 형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주벽부의 내벽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측의 보스부가 활주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지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개구구멍의 통부의 상부의 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기준면의 상측에 플러그 본체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플러그 본체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청구항 제 4항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외형 형상에 따른 만곡면 부재가 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가 상기 시트 쿠션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삽입된 때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규제 부재의 만곡면에 따라 평면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스부가 홈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규제 부재에 규제된 플러그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평면 내에서 회동시켜서 단락 단자와 회로 단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 6항에 관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청구항 제 5항에 기재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에는 회동 자유롭게 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로 상기 플러그 본체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시킴에 의해, 회동에 따라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회로 단자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안내 부재에 따라 이동시키는 캠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항에 관한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위치 결정한 후, 레버를 회동시킴에 의해 캠 기구를 통하여 단락 단자를 회로 단자에 삽입하는 상태로 플러그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좁은 스페이스라도 플러그 본체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 예에 관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외관, 도 2에는 서비스 플러그의 설치 부위의 외관, 도 3에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의 분해 사시, 도 4에는 플러그 본체가 위치맞춤된 상태의 외관, 도 5에는 플러그 본체가 삽입 고정된 상태의 외관, 도 6에는 플러그 본체의 위치맞춤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으로 본 것, 도 7에는 플러그 본체의 위치맞춤 상황을 도시하는 평면으로 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의 하측의 프레임(도시 생략)에는 배터리 케이스(2)가 부착되고, 배터리 케이스(2)는 플로어 패널(10)에 덮여서 플로어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플로어 패널(10)에는 시트(3)가 지지되고, 프런트측의 시트(3)의 시트 쿠션(4)의 아래에서의 플로어 패널(10)(배터리 케이스(2))에는 서비스용의 서비스 구멍부(5)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케이스(2)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지 셀이 수용되고, 복수의 전지 셀이 접속됨에 의해 주행 구동 등의 동력원이 되는 고전압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 구멍부(5)의 위치에 서비스 플러그(11)가 마련되고, 서비스 구멍부(5)의 서비스 플러그(11)의 주위가 방수용의 부츠 부재(12)로 덮이고 덮개(13)로 플로어 패널(10)의 윗면이 닫혀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서비스 플러그(11)는, 베이스 부재(14) 및 베이스 부재(14)에 끼워 맞추어지는 플러그 본체(15)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4)에는 2개의 개구구멍(21)이 형성되고, 개구구멍(21)에는 고전압 회로의 회로 단자(22)가 각각 면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15)에는 회로 단자(22)에 삽입되는 2개의 단락 단자(23)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4)에 플러그 본체(15)가 끼워 맞춤으로써, 2개의 회로 단자(22)에 2개의 단락 단자(23)가 삽입되어 고전압 회로가 닫힌 상태(통전 상태)가 되고, 점검시 등에 덮개(13)를 벗기고 플러그 본체(15)를 베이스 부재(14)로부터 빼낸 때에 2개의 회로 단자(22)로부터 2개의 단락 단자(23)가 빠져서 고압 회로가 열린 상태(차단 상태)가 되어 감전 등이 방지된다.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이스 부재(14)는 배터리 케이스의 회로 단자(22)가 면하는 부위에 고정되고, 2개의 회로 단자(22)에 대응하여 베이스 부재(14)에는 2개의 개구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개구구멍(21)은 베이스 부재(1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통형상을 하고, 개구구멍(21)의 통 내에 회로 단자(22)(예를 들면, 암(雌)단자)가 각각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4)에는 개구구멍(21)의 통부와 동일 높이의 주벽부(25)가 2개의 개구구멍(21)의 주위에 마련되고, 주벽부(25)는 평면으로 보아 한 쌍의 직선의 양단이 원호로 연결된 소판(小判; 옛날 일본 타원형의 금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주벽부(25)의 한쪽의 원호상태의 부위에는 원호상태의 벽으로 된 규제 부재(26)가 세워지고, 규제 부재(26)는 주벽부(25)에 연속하여 높이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늘어나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26)의 내벽은 원호상태의 부위에 따른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주벽부(25)의 다른쪽의 원호상태의 부위의 내벽에는 주벽부(25)의 높이 방향에 걸쳐서 홈(27)이 형성되고, 홈(27)에 의해 안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15)는 주벽부(25)보다도 한층 작은 소판 형상의 중공 부재이고, 플러그 본체(15)의 내부에는 2개의 단락 단자(23)(숫(雄)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15)는 주벽부(25)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개구구멍(21)의 통(筒)의 축심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부재(14)에 끼워 맞추고, 2개의 단락 단자(23)가 2개의 회로 단자(22)에 삽입된다. 즉, 개구구멍(21)의 통의 축심 방향으로 플러그 본체(15)를 이동시킴으로써, 주벽부(25)에 플러그 본체(15)가 끼워 맞추고, 2개의 단락 단자(23)가 2개의 회로 단자(22)에 삽입되어 고전압 회로가 닫힌 상태가 된다.
플러그 본체(15)의 일방측의 원호상태의 외벽은 규제 부재(26)의 내벽의 형상에 따른 만곡면이 되고, 플러그 본체(15)의 타방측의 원호상태의 외벽에는 보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15)의 한쪽의 외벽을 규제 부재(26)의 내벽에 맞대여서 위치 맞춤함으로써, 다른 쪽측의 외벽의 보스부(28)가 주벽부(25)의 내벽의 홈(27)에 끼워 맞추고, 플러그 본체(15)가 홈(27)에 따라 안내된다. 즉, 2개의 단락 단자(23)가 2개의 회로 단자(22)에 대해 위치 결정되고, 단락 단자(23)의 회로 단자(22)에의 삽입이 안내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예에서는, 규제 부재(26)는, 원호상태의 벽으로 되고 내벽이 만곡면으로 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주벽부에 연속하여 높이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늘어나 형성되고, 플러그 본체(15)의 일방측의 외벽이 맞닿아서 위치가 규제되는 내벽의 형상이라면, 예를 들면, 내벽이 2면(面) 형상이나 다각면 형상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플러그 본체(15)에는 레버(31)가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레버(31)에는 캠 기구로서의 캠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4)의 주벽부(25)의 측부 외벽에는, 플러그 본체(15)가 주벽부(25)의 내측에 끼워 맞춤되었을 때에 캠 구멍(32)에 끼워 맞추는 캠 기구로서의 캠 핀(33)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본 체(15)를 베이스 부재(14)에 끼워 맞춤으로써 캠 핀(33)이 레버(31)의 캠 구멍(32)에 끼워 맞추고, 레버(31)를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캠 핀(33)이 캠 구멍(32)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플러그 본체(15)가 개구구멍(21)의 통의 축심 방향(주벽부(25)의 홈(27)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락 단자(23)가 회로 단자(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서비스 플러그(11)의 부착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14)에 대해 플러그 본체(15)가 주벽부(25)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지고, 레버(31)의 회동에 의해 베이스 부재(14)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2개의 회로 단자(22)에 2개의 단락 단자(23)가 삽입된 상태로 되고, 고전압 회로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서비스 플러그(11)의 부위는 시트 쿠션(4)의 아래에서 덮개(13)에 의해 덮이고, 외부로부터는 액세스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점검 정비시 등으로 고전압 회로를 차단하는 경우, 시트 쿠션(4)의 아래에서 덮개(13)를 볏겨내고, 레버(31)를 기립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플러그 본체(15)의 베이스 부재(14)에의 고정을 해제한다. 플러그 본체(15)를 베이스 부재(14)의 주벽부(25)로부터 떼어내고, 회로 단자(22)로부터 단락 단자(23)를 빼낸다. 이로써, 고전압 회로가 열린 상태(차단 상태)가 되어 감전 등이 방지된다.
점검 정비 등이 종료되어 고전압 회로를 닫힌 상태로 하는 경우, 플러그 본체(15)를 베이스 부재(14)에 고정하고, 2개의 회로 단자(22)에 2개의 단락 단자(23)를 삽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5)를 고정하는 부위 는, 시트(3)의 시트 쿠션(4)의 아래의 극히 좁은 장소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14)에 대한 플러그 본체(15)의 이동·위치 결정은 육안으로 보아 확인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구성의 부착 구조에서는, 시트 쿠션(4)과 플로어 패널(10) 사이에서, 플러그 본체(15)를 베이스 부재(14)의 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이동시키고(도 6중 화살표 방향), 규제 부재(26)의 내벽(만곡면)에 플러그 본체(15)의 원호상태의 외벽을 맞닿게 한다(도 7중 점선으로 도시한 상태). 즉, 플러그 본체(15)를 단락 단자(23)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4)의 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규제 부재(26)의 내벽(만곡면)을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 본체(15)를 회동시키면,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5)의 보스부(28)가 주벽부(25)의 홈(27)에 끼워지고, 2개의 회로 단자(22)와 2개의 단락 단자(23)가 위치맞춤된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4)의 아래의 높이에 제한을 받는 극히 좁은 장소라도, 단락 단자(23)의 삽입 방향(높이 방향)으로 플러그 본체(15)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플러그 본체(15)의 베이스 부재(14)에의 위치맞춤이 가능해진다. 즉, 베이스 부재(14)의 개구구멍(21)의 통부의 상부의 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기준면의 상측으로 플러그 본체(15)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플러그 본체(15)의 베이스 부재(14)에 대한 위치맞춤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시트 쿠션(4)과 플로어 패널(10)의 사이라도, 2개의 회로 단자(22)와 2개의 단락 단자(23)의 위치를 일치시켜서, 베이스 부재(14)에 대한 플러그 본체(15)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플러그 본체(15)가 베이스 부재(14)에 대해 위치맞춤되면, 주벽부(25)의 캠 핀(33)이 레버(31)의 캠 구멍(32)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레버(31)를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캠 핀(33)이 캠 구멍(32)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보스부(28)가 주벽부(25)의 홈(27)에 안내되어 단락 단자(23)가 회로 단자(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2개의 단락 단자(23)가 2개의 회로 단자(22)에 삽입된 상태로 플러그 본체(15)가 베이스 부재(14)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서비스 플러그(11)의 부착 구조에서는, 플러그 본체(15)를 단락 단자(23)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규제 부재(26)에 의해 이동 위치가 베이스 부재(14)의 개구구멍(21)에 대해 규제된다. 그리고, 보스부(28)가 주벽부(25)의 홈(27)에 끼워 맞추어 안내됨으로써, 플러그 본체(15)가 단락 단자(23)의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고, 플러그 본체(15)의 단락 단자(23)가 회로 단자(22)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시트 쿠션(4)의 하부와 같이, 단락 단자(23)의 삽입 방향(높이 방향)에 대한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좁은 스페이스라도, 플러그 본체(15)의 베이스 부재(14)에의 착탈을 용이하며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레버(31)의 회동에 의해 캠 핀(33) 및 캠 구멍(32)을 통하여 단락 단자(23)를 회로 단자(22)에 삽입한 상태로 플러그 본체(15)를 베이스 부재(14)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예에서는, 서비스 플러그(11)가 시트(3)의 아래에 마련된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즉, 시트(3)의 하부의 플로어 면의 아래에 전지 셀(배터리)이 수용된 전기자동차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는, 시트(3)의 아래로 한하지 않고, 시트(3)의 주위나 하물실(荷室)의 주위의 좁은 장소에 서비스 플러그가 마련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부착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예는, 전기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에 의해 구성된 고전압 회로의 서비스 플러그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하이브리드차나 연료전지차의 배터리로 구성된 고압 전기 회로의 서비스 플러그로서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전기 회로를 열고 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의 산업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 예에 관한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외관도.
도 2는 서비스 플러그의 설치 부위의 외관도.
도 3은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플러그 본체가 위치맞춤된 상태의 외관도.
도 5는 플러그 본체가 삽입 고정된 상태의 외관도.
도 6은 플러그 본체의 위치맞춤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플러그 본체의 위치맞춤 상황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자동차 3 : 시트
4 : 시트 쿠션 5 : 서비스 구멍부
10 : 플로어 패널 11 : 서비스 플러그
12 : 부츠 부재 13 : 덮개
14 : 베이스 부재 15 : 플러그 본체
21 : 개구구멍 22 : 회로 단자
23 : 단락 단자 25 : 주벽부
26 : 규제 부재 27 : 홈
28 : 보스부 31 : 레버
32 : 캠 구멍 33 : 캠 핀

Claims (6)

  1.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회로 단자가 배치되고 단자에 면하는 개구구멍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로 단자에 삽입되는 단락 단자를 구비한 플러그 본체로 서비스 플러그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개구구멍의 부근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개구구멍을 끼우고 상기 규제 부재의 반대측으로서 상기 개구구멍의 상기 회로 단자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단락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는 차량용의 배터리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시트 쿠션의 하측의 플로어 패널의 하부에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시트 쿠션의 하면에 상기 개구구멍을 향한 상태로 상기 플로어 패널의 서비스 구멍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구멍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통형상을 하고,
    상기 개구구멍의 상기 통부와 동일 높이의 주벽부가 상기 개구구멍의 주위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주벽부에 연속하여 높이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늘어나 형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주벽부의 내벽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본체측의 보스부가 활주 자유롭게 끼워 맞추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외형 형상에 따른 만곡면 부재가 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플러그 본체가 상기 시트 쿠션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삽입된 때의 평면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규제 부재의 만곡면에 따라 평면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스부가 홈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에는 회동 자유롭게 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에는, 상기 규제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로 상기 플러그 본체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시킴에 의해, 회동에 따라 상기 단락 단자가 상기 회로 단자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플러그 본체를 상기 안내 부재에 따라 이동시키는 캠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KR1020080125681A 2008-01-31 2008-12-11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KR100940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1614 2008-01-31
JP2008021614A JP4310663B1 (ja) 2008-01-31 2008-01-31 サービスプラグ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656A true KR20090084656A (ko) 2009-08-05
KR100940728B1 KR100940728B1 (ko) 2010-02-08

Family

ID=4054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81A KR100940728B1 (ko) 2008-01-31 2008-12-11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15448B2 (ko)
EP (1) EP2086063B1 (ko)
JP (1) JP4310663B1 (ko)
KR (1) KR100940728B1 (ko)
CN (1) CN10149938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73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102952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위치 타입의 전력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02B1 (ko) * 2009-11-30 2012-01-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배터리의 고전압 안전장치
DE102010007054A1 (de) 2010-02-06 2011-08-11 IAV GmbH Ingenieurgesellschaft Auto und Verkehr, 10587 Deckel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JP2011165477A (ja) * 2010-02-09 2011-08-25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5585650B2 (ja) * 2010-05-29 2014-09-1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5569209B2 (ja) * 2010-07-21 2014-08-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の取付構造
JP5650971B2 (ja) * 2010-09-30 2015-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728211B2 (ja) 2010-11-29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2978382B1 (fr) * 2011-07-29 2014-11-07 Renault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groupe motopropulseur sur un chassis d'un vehicule automobile
JP5913874B2 (ja) 2011-09-12 2016-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5887883B2 (ja) 2011-11-29 2016-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6118051B2 (ja) * 2012-08-31 2017-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の浸水防止取付構造
JP6168139B2 (ja) * 2013-02-20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WO2015111725A1 (ja) * 2014-01-24 2015-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
JP6291907B2 (ja) * 2014-02-28 2018-03-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装置
US9564702B2 (en) * 2014-11-28 2017-02-07 MAGNETI MARELLI S.p.A. Electric apparatus with safety conne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JP6515073B2 (ja) * 2016-08-24 2019-05-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機器ユニットのケース構造
EP3309001B1 (en) * 2016-10-14 2021-09-29 EP Equipment Co., Ltd. Battery plug-in device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EP3573196A4 (en) * 2017-01-18 2020-10-21 Samsung SDI Co., Ltd. DEVICE FOR MANUAL SERVICE INTERRUPTION FOR BATTERY SYSTEM
JP6460215B2 (ja) * 2017-11-28 2019-01-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装置
FR3074370B1 (fr) * 2017-11-30 2019-12-13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as Dispositif electrique pour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0351A (en) * 1990-04-04 1994-11-0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Housing for the interface between a motor vehicle lock, its actuator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harness of the vehicle
JPH06302353A (ja) * 1993-04-19 1994-10-28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JP3046537B2 (ja) * 1995-11-28 2000-05-29 株式会社ハーネス総合技術研究所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H09226483A (ja) 1996-02-29 1997-09-02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収納機構
US5971801A (en) * 1996-09-11 1999-10-26 Yazaki Corporation Service plug having a lever mechanism for positioning circuit terminals and short-circuiting terminals
JPH10144429A (ja) 1996-09-11 1998-05-29 Yazaki Corp サービスプラグ
US5992946A (en) * 1997-12-19 1999-11-3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ABS pump connector
JP3514290B2 (ja) * 1998-09-04 2004-03-31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遮断装置
DE19938930C1 (de) * 1999-08-17 2001-04-12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6293813B1 (en) * 2000-06-30 2001-09-25 Silicon Graphics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backplate assembly
JP2003017198A (ja) 2001-07-02 2003-01-17 Honda Motor Co Ltd サービスプラグ
JP3683516B2 (ja) 2001-07-31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6644991B2 (en) * 2002-01-23 2003-11-11 Tyco Electronics Corp. Mate assist assembly for joining electrical contacts
US6695378B2 (en) * 2002-04-22 2004-02-24 Corbin Pacific, Inc. Vehicle seat with movable backrest
JP4126961B2 (ja) 2002-05-30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搭載構造
US7012533B2 (en) * 2003-09-11 2006-03-14 Younse Jack M Occupa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for use with a child car seat
US6994559B1 (en) * 2004-08-20 2006-0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contact pins to connecting pins of a plug-in connector formed from the device
JP2006103628A (ja) 2004-10-08 2006-04-20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バッテリ取付構造
JP4799036B2 (ja) * 2005-04-12 2011-10-19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電源装置
US7270045B1 (en) * 2005-04-29 2007-09-18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ystem and method for induced acceleration mitigation for seat occupant
JP2006327251A (ja) 2005-05-23 2006-12-07 Toyota Motor Corp 電源回路開閉装置
US7438589B1 (en) * 2007-08-02 2008-10-21 Phillips & Temro Industries Inc. Dual entry connector having an integrated power indicator ligh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732A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094983A1 (ko) *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511005B2 (en) 2015-11-30 2019-12-17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vehicle containing battery pack
WO2022102952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위치 타입의 전력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830697B2 (en) 2020-11-10 2023-11-28 Lg Energy Solution, Ltd. Switch-type power disconne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15448B2 (en) 2010-10-19
KR100940728B1 (ko) 2010-02-08
CN101499381A (zh) 2009-08-05
JP4310663B1 (ja) 2009-08-12
EP2086063B1 (en) 2012-07-04
EP2086063A1 (en) 2009-08-05
CN101499381B (zh) 2012-07-18
JP2009181895A (ja) 2009-08-13
US20090197456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28B1 (ko) 서비스 플러그의 부착 구조
EP2628621B1 (en)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JP5378955B2 (ja) コネクタ構造
CN103872520B (zh) 锁闭装置
US9260080B2 (en) Electric vehicle service disconnect lock
US10003157B2 (en)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cutting-off system for electric car comprising same
US9004935B2 (en) Safety plug device for high-voltage battery
JP2010288363A (ja) 充電ポート用リッドの開閉構造
JP2012244802A (ja) コネクタ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装置
WO2012046744A1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20140031633A (ko) 자동차의 bms 커넥터
JP2012234743A (ja) 給電制御装置
KR20120048607A (ko) 전력용 커넥터
JP7225168B2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及び、受電嵌合体
JP2008218094A (ja) 接続装置
WO2011142340A1 (ja) 高電圧部品の保安装置
CN102629769A (zh) 电动车辆用充电设备及该设备中使用的充电控制模块
JP6870578B2 (ja) 防爆型バッテリ式産業車両
WO2012153413A1 (ja) 車両
JP2006228627A (ja) 電気系ユニットのカバー構造
KR20120065403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
JP4212869B2 (ja) 蓄電装置
EP3404776B1 (en) Lever fitting-type connector
JP5507891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2023173911A (ja) 車両用リ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