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607A - 전력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력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8607A KR20120048607A KR1020127003323A KR20127003323A KR20120048607A KR 20120048607 A KR20120048607 A KR 20120048607A KR 1020127003323 A KR1020127003323 A KR 1020127003323A KR 20127003323 A KR20127003323 A KR 20127003323A KR 20120048607 A KR20120048607 A KR 201200486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ower
- starting
- shutter
- divid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전력용 커넥터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충전 개시 시에 내부전기단자를 노출함과 함께, 충전 완료 후에는, 내부전기단자를 덮어 외부와의 접촉이나 물?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해결수단] 급전구(전력용 커넥터)(1)가 급전단자와 수전단자가 접속될 때에, 급전노즐(2)이 눌러짐으로써 변위되는 기동부재(3)와, 이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수전단자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그 수전단자를 덮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셔터부재(4)와, 이 셔터부재를 상기 폐쇄위치 측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5)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전소(給電所) 또는 수전소(受電所)의 외부전기단자와 접속 가능한 내부전기단자를 수용하는 전력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으로서 매우 적합한 전력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 등의 차량이 에너지 효율의 향상이나 환경 부하의 경감 등의 관점으로부터 주목을 끌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량에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축전장치를 구비한 것이 존재하고, 가정용 전원이나 전용의 급속 충전기 측에 설치된 외부전기단자인 급전단자를, 차량 측에 설치된 내부전기단자인 수전단자에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축전장치에의 충전이 실시된다.
차량측의 수전단자는 고전압의 축전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수전단자가 수용되는 급전구(給電口)는 충전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전단자를 덮어서 외부와의 접촉이나 물?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차체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외부덮개 부착 수용부에 배치된 수전단자를 수용하는 급전구로서, 수전단자를 덮을 수 있도록 회동축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내부덮개와, 이 내부덮개를 개방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 스프링과, 부세 스프링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내부덮개를 수전단자측(폐쇄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압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종래의 급전구에서는, 압압부재의 이탈에 의해 개방상태로 된 내부덮개는 폐쇄방향으로 회동 조작된 외부덮개와 맞닿아 그 회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충전 완료 후에 사용자(운전자 등)가 내부덮개를 닫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충전을 개시할 때 , 사용자는 수용부의 외부덮개를 운전석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개방할 수 있지만, 수전단자를 덮는 덮개는 수동으로 개방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충전 완료 후에는, 내부덮개를 다시 수동으로 닫을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고,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충전 개시 시에 개방상태로 되어 내부전기단자를 노출함과 함께, 충전 완료 후에는, 폐쇄상태로 되어 내부전기단자를 덮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전력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급전소 또는 수전소의 외부전기단자가 접속하는 내부전기단자를 수용한 전력용 커넥터(1)로서, 상기 외부전기단자와 상기 내부전기단자가 접속될 때에, 상기 외부전기단자를 수용한 외부커넥터(2)가 눌러짐으로써 변위되는 기동(起動)부재(3)와, 상기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내부전기단자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그 내부전기단자를 덮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셔터부재(4)와, 상기 셔터부재를 상기 폐쇄위치 측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상기 셔터부재의 변위는 상기 외부커넥터의 접촉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하면, 상기 셔터부재는 캠기구(24, 43)에 의해 상기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하면, 상기 셔터부재는 2개의 분할 셔터부재(4L, 4R)를 갖고, 이들 분할 셔터부재가 상기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동부재는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내부전기단자와의 접속 시에, 상기 외부커넥터의 외주연부(外周緣部)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동부재는 2개의 분할 기동부재(3L, 3R)를 갖고, 이들 분할 기동부재가 상기 외부커넥터와 맞닿을 때에,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충전 개시 시(즉, 급전단자와 내부전기단자와의 접속 시)에는, 외부커넥터와 기동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셔터부재가 개방상태로 되어 내부전기단자를 노출함과 함께, 충전 완료 후(즉, 급전단자와 내부전기단자와의 접속 해제 시)에는, 부세수단의 부세에 의해 셔터부재가 폐쇄상태로 되어 내부전기단자를 다시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뛰어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셔터부재의 변위는 외부노즐의 접촉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노즐의 접촉방향에서의 전력용 커넥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외부커넥터의 접촉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있어서, 셔터부재를 기동부재의 변위에 연동시켜 개방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하면, 외부커넥터의 접촉방향으로 수직한 면상에 있어서 각 분할 셔터부재를 개방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력용 커넥터의 설치 장소에 있어서, 외부커넥터의 접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공간이 작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의하면, 외부커넥터의 이동을 저해하는 일이 없이, 외부커넥터와의 접촉 시에 기동부재를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의하면, 외부커넥터의 외주연부와의 접촉 시에 기동부재를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용 커넥터로서의 급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부재를 구성하는 좌측 분할 기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동부재를 구성하는 우측 분할 기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셔터부재를 구성하는 좌측 분할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셔터부재를 구성하는 우측 분할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셔터부재의 개방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셔터부재의 개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셔터부재의 개방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셔터부재의 개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동부재를 구성하는 좌측 분할 기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기동부재를 구성하는 우측 분할 기동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셔터부재를 구성하는 좌측 분할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셔터부재를 구성하는 우측 분할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셔터부재의 개방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셔터부재의 개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셔터부재의 개방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셔터부재의 개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력용 커넥터로서의 급전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에 대하여는,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 부재(또는 부위)에 대하여는, 각각 숫자의 부호에 좌우를 나타내는 첨자(L 또는R)를 붙여서, 예를 들면, 기동부재(3L), 기동부재(3R)(다만, 총칭하는 경우에는 기동부재(3))이라고 기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용 커넥터로서의 급전구는 예를 들면,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를 구비한 차량(예를 들면, 하이브리드차나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전원(예를 들면, 가정용 전원이나 전용의 급속 충전기)의 급전단자(외부전기단자)가 접속하는 수전단자(내부전기단자)를 수용하는 것이다. 급전구는 종래의 내연기관을 주 동력원으로 하는 가솔린차 등에서의 주지(周知)의 급유구(給油口)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차량 외벽에 설치된 문 부착 오목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구(1)는 도시하지 않은 급전단자와 수전단자가 접속될 때에, 급전단자를 수용한 외부커넥터로서의 급전노즐(2)이 눌러짐으로써 변위되는 수지제의 기동부재(3)와, 이 기동부재(3)에 연동하여, 수전단자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도 7,도 9 참조)와, 그 수전단자를 덮는 폐쇄위치(도 1 참조) 사이에서 변위하는 수지제의 셔터부재(4)와, 이 셔터부재(4)를 폐쇄위치 측으로 부세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도 9 참조)과, 이들 각 부재를 지지하는 수지제의 베이스(base)부재(6)를 주로 구비한다.
급전노즐(2)은 원통형을 이루는 수지제의 외피를 갖고 있고, 급전구(1)에 삽입되는 선단부(2a)의 하측의 개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급전단자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a)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급전노즐(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전단자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전력선에 접속된 충전용 단자나, 신호선에 접속된 신호용 단자 등의 복수의 단자로 구성되는 주지의 구성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동부재(3)는 대략 링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대략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분할 기동부재(3L, 3R)로 구성되어 있다. 분할 기동부재(3L, 3R)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노즐(2)의 선단부(2a)가 눌러지는 반원고리 형상(半圓環狀)의 접촉부(21L, 21R)를 갖고 있다. 접촉부(21L, 21R)의 내주면에 의해 정해지는 기동부재(3)의 실질적인 내경은, 그 적어도 일부가 선단부(2a)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접촉부(21L, 21R)의 뒤쪽으로 이어지는 기단부(22L, 22R)는 축구멍(25L, 25R)을 통하여 베이스 부재(6)의 후부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 설치된 회동축(3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21L, 21R)의 앞쪽으로 이어지는 자유단부(23L, 23R)의 하면에는, 캠 핀(24L, 24R)이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기동부재(3)는 접촉부(21L, 21R)의 후단(後端)이 이간됨으로써 형성된 볼록부(26)를 갖고 있다. 이 볼록부(26)는 급전노즐(2)의 볼록부(11)에 대응한 크기를 갖고 있어, 그 볼록부(11)가 삽입됨으로써, 급전구(1)와 급전노즐(2)과의 둘레방향에서의 위치 맞춤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21L, 21R)는 각각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여기서는 위쪽만)가 바깥쪽으로 향하여 서서히 확경(擴徑)되도록 경사진 테이퍼부(taper)(31L, 31R)를 갖고 있다. 기동부재(3)의 실질적인 내경은 테이퍼부(31L, 31R)에 있어서 급전노즐(2)의 선단부(2a)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는 한편, 테이퍼부(31L, 31R)의 안쪽으로 이어지는 직선형상부(32L, 32R)에 있어서는, 급전노즐(2)의 선단부(2a)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분할 기동부재(3L, 3R)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기단부(22L, 22R)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각각의 축구멍(25L, 25R)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기단부(22L, 22R)가 상하로 겹지도록 하여 회동축(30)에 장착되어 있다.
셔터부재(4)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대략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분할 셔터부재(4L, 4R)로 구성되어 있다. 분할 셔터부재(4L, 4R)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전단자를 덮는 반원판 형상의 문짝부(扉部)(41L, 41R)를 갖고 있다. 문짝부(41L, 41R)의 앞쪽으로 이어지는 기단부(42L, 42R)의 상벽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홈(43L, 43R)이 형성되고 있다. 캠 홈(43L,43R)은 각각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 삽입되는 분할 기동부재(3L, 3R)의 캠 핀(24L, 24R)과 함께 캠기구를 구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캠기구는 셔터부재(4)와 기동부재(3)와의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좌측 문짝부(41L)는 우측 문짝부(41R)에 맞닿는 직선형상 가장자리부(41La)의 하면측이 우측 문짝부(41R)측으로 돌출하여 있고, 한편, 우측 문짝부(41R)는 좌측 문짝부(41L)에 맞닿는 직선형상 가장자리부(41Ra)의 상면측이 좌측 문짝부(41L)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에 의해, 문짝부(41L, 41R)는 셔터부재(4)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 서로의 직선형상 가장자리부(41La, 41Ra)가 상하로 겹쳐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기단부(42L, 42R)의 상벽 및 하벽의 전단(前端)에 각각 형성된 안쪽 방향의 팽출부(膨出部)에는, 각각 한 쌍의 축구멍(44L, 45L) 및 축구멍(45R)이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42L, 42R)는 각각 축구멍(44L, 45L) 및 축구멍(44R, 45R)을 통하여 베이스 부재(6)로부터 위쪽에 돌출 설치된 회동축(50)(도 1 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단부(42R)의 상벽 및 하벽은 기단부(42L)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하여 각각 상하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분할 셔터부재(4L, 4R)는 축구멍(44R, 45R)의 중심을 축구멍(44L, 45L)에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기단부(42R)의 상벽이 기단부(42L)의 상벽의 하측과 겹쳐짐과 함께, 기단부(42R)의 하벽이 기단부(42L)의 하벽의 위쪽과 겹쳐지도록 하여 회동축(50)에 장착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코일부(5a)가 회동축(50)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고, 코일부(5a)의 일단측에 형성된 아암부(arm)(5b)가 좌측 분할 셔터부재(4L)에 고정됨과 함께, 코일부(5a)의 타단측에 형성된 아암부(5c)가 우측 분할 셔터부재(4R)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은 분할 셔터부재(4L, 4R)를 폐쇄위치측으로 회동시키도록 부세한다.
베이스 부재(6)는 그 내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원통 공간에 수전단자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수전단자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급전단자측의 충전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충전용 단자나, 급전단자측의 신호용 단자에 접속 가능한 신호용 단자 등의 복수의 단자로 구성되는 주지의 구성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급전구(1)에 급전노즐(2)을 삽입하는(즉, 급전단자와 수전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급전노즐(2)을 급전구(1)에 삽입하도록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그 선단부(2a)의 외주연(外周緣)이 분할 기동부재(3L, 3R)의 접촉부(21L, 21R)에 맞닿는다. 이 때, 선단부(2a)의 외주연은 접촉부(21L, 21R)의 테이퍼부(31L, 31R)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선단부(2a)의 더 아래쪽으로의 이동은 접촉부(21L, 21R)의 테이퍼부(31L, 31R)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이 때, 접촉부(21L, 21R)가 급전노즐(2)의 선단부(2a)의 외주연에 의해 서로 이간하는 방향(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압압되고, 이에 의해, 도 1의 초기 위치에 있던 분할 기동부재(3L, 3R)는 회동축(30)을 중심으로 각각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이 분할 기동부재(3L, 3R)의 회동에 따르는 캠 핀(24L, 24R)의 변위가 캠홈(43L, 43)에 작용됨으로써, 분할 셔터부재(4L, 4R)는 분할 기동부재(3L, 3R)에 연동하여 각각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급전노즐(2)을 급전구(1)를 향하여 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1L, 21R)는 회동축(30)을 중심으로 각각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더 회동하여 기동 위치에 도달하여, 급전노즐(2)을 삽입 가능한 정도까지 기동부재(3)의 내경이 확경된다. 이 분할 기동부재(3L, 3R)의 더 회동에 따르는 캠 핀(24L, 24R)의 변위가 캠 홈(43L,43)에 작용함으로써, 분할 셔터부재(4L, 4R)는 분할 기동부재(3L, 3R)에 연동하여 각각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더 회동하여, 개방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도시하지 않은 수전단자가 노출되고, 최종적으로, 수전단자와 급전노즐(2)의 급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축전장치에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축전장치에의 충전이 완료된 후는, 사용자는 급전노즐(2)을 급전구(1)로부터 빼내도록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전단자와 급전단자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21L, 21R)에 대한 급전노즐(2)의 압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분할 셔터부재(4L, 4R)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부세력에 의해, 다시 폐쇄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분할 셔터부재(4L, 4R)의 회동에 따르는 캠홈(43L, 43)의 변위가 캠 핀(24L, 24R)에 작용함으로써, 분할 기동부재(3L, 3R)는 분할 셔터부재(4L, 4R)에 연동하여 각각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초기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도시하지 않은 수전단자가 셔터부재(4)에 의해 덮여져, 외부와의 접촉이나 물?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급전구(1)는 급전노즐(2)을 누름으로써 변위되는 기동부재(3)와 연동하여 변위하는 셔터부재(4)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충전 개시 시(급전단자와 수전단자와의 접속 시)에는, 기동부재(3)의 급전노즐(2)과의 접촉에 의해 셔터부재(4)가 개방위치로 이동하여 수전단자를 노출함과 함께, 충전 완료 후(급전단자와 수전단자와의 접속 해제 시)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의 부세에 의해 셔터부재(4)가 폐쇄위치까지 이동하여 수전단자를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셔터부재(4)의 변위는 급전노즐(2)의 접촉방향(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전노즐(2)의 접촉방향에서의 급전구(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셔터부재(4)가 급전노즐(2)과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셔터부재(4)의 개폐를 반복한 경우라도, 그 변형 등에 의한 성능의 저하는 없다.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부커넥터로서 원통형의 급전노즐(2)의 예를 나타냈지만, 외부커넥터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적어도 전력용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것인 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력용 커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전용에 한정되지 않고 급전용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력용 커넥터는 수전측 장치(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차량)의 수전단자를 수용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정용 전원이나 전용의 급속 충전기에 대하여 전기단자를 수용하는 것으로 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1 : 급전구(전력용 커넥터)
2 : 급전노즐(외부커넥터)
3 : 기동부재
3L, 3R : 분할 기동부재
4 : 셔터부재
4L, 4R : 분할 셔터부재
5 :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세수단)
61 : 베이스 부재
21L, 21R : 접촉부
24L, 24R : 캠 핀(캠기구)
30 : 회동축
43L, 43R : 캠 홈(캠기구)
50 : 회동축
2 : 급전노즐(외부커넥터)
3 : 기동부재
3L, 3R : 분할 기동부재
4 : 셔터부재
4L, 4R : 분할 셔터부재
5 : 비틀림 코일 스프링(부세수단)
61 : 베이스 부재
21L, 21R : 접촉부
24L, 24R : 캠 핀(캠기구)
30 : 회동축
43L, 43R : 캠 홈(캠기구)
50 : 회동축
Claims (6)
- 급전소 또는 수전소의 외부전기단자가 접속하는 내부전기단자를 수용한 전력용 커넥터로서,
상기 외부전기단자와 상기 내부전기단자가 접속될 때에, 상기 외부전기단자를 수용한 외부커넥터를 누름으로써 변위되는 기동부재와,
상기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상기 내부전기단자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내부전기단자를 덮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상기 폐쇄위치 측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의 변위는 상기 외부커넥터의 접촉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캠기구에 의해 상기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는 2개의 분할 셔터부재를 갖고, 이들 분할 셔터부재가 상기 기동부재에 연동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재는 상기 급전단자와 상기 내부전기단자와의 접속 시에, 상기 외부커넥터의 외주연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재는 2개의 분할 기동부재를 갖고, 이들 분할 기동부재가, 상기 외부커넥터와 맞닿을 때에,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11883A JP2011062050A (ja) | 2009-09-14 | 2009-09-14 | 電力用コネクタ |
JPJP-P-2009-211883 | 2009-09-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8607A true KR20120048607A (ko) | 2012-05-15 |
Family
ID=4373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323A KR20120048607A (ko) | 2009-09-14 | 2010-09-03 | 전력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282806A1 (ko) |
EP (1) | EP2479865A4 (ko) |
JP (1) | JP2011062050A (ko) |
KR (1) | KR20120048607A (ko) |
CN (1) | CN102484382A (ko) |
WO (1) | WO20110305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07466A (ja) * | 2011-06-27 | 2013-01-10 | Nifco Inc | コネクタ |
DE102012105771B4 (de) * | 2012-06-29 | 2016-06-16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Stecker mit Kontaktbuchse und Schutzabdeckung |
CN105178655B (zh) * | 2015-08-13 | 2018-09-11 | 郑俭余 | 一种双立柱无避让立体停车库 |
CA2982540C (en) * | 2016-10-14 | 2022-09-13 | Power Products, Llc | Cord disconnect apparatus and methods |
USD924154S1 (en) | 2017-10-16 | 2021-07-06 | Power Products, Llc | Plug |
DE102018203162A1 (de) * | 2018-03-02 | 2019-09-05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Stecksystem zum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
IT201900000415A1 (it) * | 2019-01-10 | 2020-07-10 | Gewiss Spa | Connettore elettrico |
SE544579C2 (en) * | 2019-12-06 | 2022-07-26 | Nuculus AS | Safety electrical outlet |
CN113285287A (zh) * | 2021-06-24 | 2021-08-20 | 昆山鑫泰利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防水充电座机构 |
CN216488724U (zh) * | 2021-10-13 | 2022-05-10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连接器组件和换电底座 |
FR3145513A1 (fr) * | 2023-02-02 | 2024-08-09 | G. Cartier Technologies | Unite d’alimentation electrique amovible et vehicule a connectique protegee |
CN116598829B (zh) * | 2023-07-19 | 2023-09-08 |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一种无污染的储能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714802A (en) * | 1952-05-27 | 1954-09-01 | Ward Goldstone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plug-and-socket couplings |
FR80999E (fr) * | 1961-11-02 | 1963-07-12 | Arnould Ets | Perfectionnements aux prises de courant multipolaires |
US6050834A (en) * | 1998-12-21 | 2000-04-18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 Electrical outlet splash protector |
JP2002216882A (ja) * | 2001-01-23 | 2002-08-02 | Yazaki Corp | シャッタ機構付きコネクタ |
JP2003229201A (ja) * | 2002-02-05 | 2003-08-15 | Tyco Electronics Amp Kk | コネクタ用シャッタ |
JP2005056626A (ja) * | 2003-07-31 | 2005-03-03 | Mitsumi Electric Co Ltd | シャッタ付きコネクタ |
JP2006049081A (ja) * | 2004-08-04 | 2006-02-16 | Hirose Electric Co Ltd | 電気コネクタ |
US7438567B2 (en) * | 2004-12-28 | 2008-10-21 | Belkin International Inc. | Safety mechanism, electrical outlet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JP4710885B2 (ja) * | 2007-07-20 | 2011-06-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充電口構造 |
-
2009
- 2009-09-14 JP JP2009211883A patent/JP2011062050A/ja active Pending
-
2010
- 2010-09-03 KR KR1020127003323A patent/KR201200486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9-03 CN CN2010800399045A patent/CN102484382A/zh active Pending
- 2010-09-03 WO PCT/JP2010/005436 patent/WO201103052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03 US US13/390,267 patent/US2012028280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9-03 EP EP10815128A patent/EP2479865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282806A1 (en) | 2012-11-08 |
JP2011062050A (ja) | 2011-03-24 |
EP2479865A4 (en) | 2013-04-03 |
EP2479865A1 (en) | 2012-07-25 |
CN102484382A (zh) | 2012-05-30 |
WO2011030528A1 (ja) | 2011-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48607A (ko) | 전력용 커넥터 | |
US7815448B2 (en) | Service plug | |
CA2805662C (en) |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 |
EP3444906B1 (en) | Connector device | |
EP3118941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returning jig | |
US9634441B2 (en) |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 | |
US20150014128A1 (en) | Charging-cable storage device | |
US20120011959A1 (en) | Auto lock mechanism of clock spring for vehicle | |
US20120231644A1 (en) | Vehicle charge cable socket connector | |
CN102774335A (zh) | 供电控制装置 | |
WO2017130410A1 (ja) | 電動車両用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 |
US20070215089A1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e Comprising a Cylinder Head and Speed Reducer Centering Means On This Case | |
CN115734892A (zh) | 用于给电动车辆的电池充电的车辆单元和地面单元 | |
WO2010041103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CN104648315B (zh) | 电动转向锁定装置 | |
JP3013662B2 (ja) |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 |
JP2013211146A (ja) | 外部給電コネクタ、給電ポートおよび、給電ポートを設けた車両 | |
CN108963620A (zh) | 杠杆配合式连接器 | |
CN104024097A (zh) | 跨乘型电动车辆 | |
US9472897B2 (en) | Connector | |
CN218949101U (zh) | 一种带悬停功能的中控台后电源盒 | |
WO2023080127A1 (ja) | コネクタ | |
CN117917823A (zh) | 盖的开关结构和充电连接器 | |
CN110337703B (zh) | 嵌合连接器 | |
US20220348092A1 (en) | Battery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ith a replaceable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