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866A -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866A
KR20090083866A KR1020090006634A KR20090006634A KR20090083866A KR 20090083866 A KR20090083866 A KR 20090083866A KR 1020090006634 A KR1020090006634 A KR 1020090006634A KR 20090006634 A KR20090006634 A KR 20090006634A KR 20090083866 A KR20090083866 A KR 20090083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notif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640B1 (ko
Inventor
아츠히토 이에무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Indicating an illegal or impossible operation or selec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17Notifying a communication resu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confirmation, acknowledgement or receip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단에 의해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착신을 받았을 때에, 통상과는 다른 형태에 의한 통지를 행하여, 그 착신을 보다 확실히 사용자에 통지할 수 있는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부(31)와,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부(31) 중 어느 하나의 통신부(31)에 의해 착신을 접수했을 때에, 발신자가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발신자를 조회하는 발신자 조회부(32)와,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33)와,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부(31) 중 어느 하나의 통신부에 의해 착신을 접수했을 때에, 소정의 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통지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하는 제어부(3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NO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착신에 대하여 통지를 행하는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착신시에 불응답의 경우에, 발신 번호 통지를 이용하여 착신 시간이나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여, 착신 이력을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착신을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에 있어서도 몇 시에 누구로부터 전화가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착신 표시는, 발신자의 식별이나 착신 횟수에 관계없이 행해지므로, 이용자(수신자)가 착신의 긴급성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동일 발신자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복수회의 전화의 착신이 있었을 때에, 수신자에게 착신의 중요성, 긴급성을 용이하게 통지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그런데, 전화를 걸었을 때에 상대가 불응답인 경우에, 몇 번이나 전화를 다시 거는 것보다, 예컨대, 한번 전화를 하여 자동 응답기 등에 「회신 전화를 부탁드립니다」 등의 메시지를 남기면서, 제 2 통신 기능(예컨대, 메일)에 의해 용건을 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메일을 송신하더라도 회신이 없을 때에, 제 2 통신 기능(예컨대, 전화)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효한 조치를 취할 수 없으므로, 중요한 용건이나 긴급 사태에 대하여 대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기기로서, 외부의 통신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착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착신에 대한 발신자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기억부와, 상기 착신에 대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신부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후에, 상기 통신부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발신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이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제 1 통지를 행하게 하고,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상기 제 1 통지와는 다른 제 2 통지를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 1 착신 및 제 2 착신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제 1 통지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통지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하다고 판정되고, 상기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 1 착신 및 상기 제 2 착신의 발생 후에 상기 제 1 착신 및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는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제 3 착신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착신 및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지를 우선하도록 상기 통지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에서는, 상기 제 1 통신 기능이 통화 기능이며, 상기 제 2 통신 기능이 메일 통신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기기에서는, 상기 제 1 통신 기능이 메일 통신 기능이며, 상기 제 2 통신 기능이 통화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기기로서, 외부의 통신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외부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착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착신을 발생시킨 상기 외부의 통신 기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기억부와, 상기 착신에 대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신부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후에, 상기 통신부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상기 제 2 착신이,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외부의 통신 기기와 동일한 통신 기기로부터의 착신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통신 기기와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의 착신의 발생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지부에서의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통신 기기 중 제 1 통신 기기로부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통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1 통신 기기로부터의 상기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와,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에 대한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 기기의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 에 대하여 소정의 형태로 상기 통지부에 통지시키도록 명령하는 명령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명령부의 통지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의 형태의 통지를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명령부는,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에 대한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와 동일한 경우와, 상기 제 2 통신에 대한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통지의 형태가 다르도록 명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통신 기기와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의 착신의 발생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지부에서의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통신 기기 중 제 1 통신 기기로부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통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1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이 있었던 취지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와,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 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발생시킨 통신 기기가,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형태로 상기 통지부에 통지시키도록 명령하는 명령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명령부의 통지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의 형태의 통지를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명령부는,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발생시킨 통신 기기가, 상기 제 2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발생시킨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통지의 형태가 다르도록 명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지 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기기의 통지 방법으로서, 외부로부터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화 신호의 발신자와, 상기 데이터 통신 신호의 발신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양 발신자가 같은 경우에, 이전의 수신에 대하여 응답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응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통상의 수신에 대한 통지와 다른 형태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수단에 의해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착신을 받았을 때에, 통상과는 다른 형태에 의한 통지를 행하여, 그 착신을 보다 확실하게 사용자에 통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기지국)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 기기(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 기기(1)는, 앞면 케이스(2a)와 뒷면 케이스(2b)에 의해 바깥면이 형성되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앞면 케이스(3a)와 뒷면 케이스(3b)에 의해 바깥면이 형성되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연결하는 힌지 기구(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앞면 케이스(2a)의 표면측에 노출하도록 설치되는 조작 버튼군(11)과 음성 입력부(12)를 갖고 구성된다. 조작 버튼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과, 숫자나 문자가 할당되어, 전화번호 입력시나 메일 작성시 등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시에 이용되는 입력 조작 버튼(14)과,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버튼(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측면에는, 이어폰 커넥터 캡(16)과, 외부 기기(기지국)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덮는 캡(1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하단부에는, 충전용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덮는 캡(18a)과, 한 쌍의 충전용 접점부(18b)가 마련되어 있다. 또, 음성 입력부(12)는, 휴대 전화 기기(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발한 음성을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2)를 갖고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상단부에는, 다른 휴대 전화 장치 등과의 사이에서 적외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부(23)가 마련되어 있다.
힌지 기구(4)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이들을 연결하고 있어,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서로 열린 사용 상태(개방 상태)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표면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표면이 서로 마주본 격납 상태(접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기기의 일례로서 힌지 기구(4)를 통해서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이른바, 접이식의 휴대 전화 기기(1)를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컨대, 접이식이 아닌,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포갠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포갠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이나,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2축 힌지를 통해서 연결한 것, 또한,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가 하나의 하우징에 배치된 것(이른바, 스트레이트 타입)이더라도 적용 가능하다.
휴대 전화 기기(1)(1a, 1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0)을 통해서, 네트워크(101)와 통신하도록 무선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어느 한쪽의 휴대 전화 기기(1a)로부터 다른 쪽의 휴대 전화 기기(1b)에 메일을 송신하여, 그 메일이 열람(확인)되지 않고, 다시, 한쪽의 휴대 전화 기기(1a)로부터 다른 쪽의 휴대 전화 기기(1b)에 전화를 건 경우에 있어서, 다른 쪽의 휴대 전화 기기(1b)는, 한쪽의 휴대 전화 기기(1a)로부터 메일을 수신한 것, 및 메일의 어드레스 및 송신자의 성명 등의 정보를 기억하고, 이 정보를 근거로 발신자를 조회하여, 메일과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했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소정의 형태, 즉, 통상시에 있어서의 전화 수신의 제 2 형태와는 다른 제 1 형태에 의해 통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컨대, 제 1 형태를, 제 1 멜로디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설정하고, 제 2 형태를 제 2 멜로디를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면서, 진동 기능을 구동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1 형태만을 유저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형태에 관해서는, 미리 설정된 형태로 하더라도 좋고,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제 1 형태로서는, 긴급시를 상정시키는 사이렌음 등을 울리거나, 소리와 함께 적색의 LED를 점등시키거나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휴대 전화 기기(1)의 상기 기능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 기기(1)는, 통신부(31)와, 발신자 조회부(32)와, 통지부(33)와, 제 어부(34)와, 제 1 기억부(35)를 구비한다. 통신부(31)는, 외부와 통신을 행한다. 발신자 조회부(32)는, 통신부(31)를 구성하는 제 1 통신 기능(31A) 또는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발신자에 관한 전화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이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예컨대, 휴대 통신 기기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발신자를 조회한다. 제 1 기억부는, 소개한 결과를 제 1 기억부(35)에 기억한다. 통지부(33)는 통상(소정)의 통지를 행한다. 제어부(34)는, 통신부(31)의 어느 하나의 통신 기능에 의해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통상(소정)의 형태(제 2 형태), 혹은 이것과는 다른 형태(제 1 형태)로 통지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한다.
제어부(34)는, 통지부(33)를 제어하여 이하의 조작을 행한다. 통신부(31)의 제 1 통신 기능(31A)(예컨대, 통화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제 1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발신자 조회부(32)에 의해 발신자를 조회하여, 조회한 결과를 제 1 기억부(35)에 기억하고, 제 2 형태에 의한 제 2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통지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후, 통신부(31)의 제 2 통신 기능(31B)(예컨대, 데이터 통신(메일) 기능을 갖는 통신부)에 의해 제 2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제 1 기억부에 기억된 발신자가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한 발신자이었을 때, 소정의 형태(제 2 형태)와는 다른 형태(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한다.
제어부(34)는,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 또는 제 1 형태와는 다른 제 2 형태에 의한 제 2 통지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제 1 통지를 정기적으로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제어부(34)는,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 및 제 1 형태와는 다른 제 2 형태에 의한 제 2 통지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고, 통신부(31)의 어느 하나의 통신 기능에 의해 제 3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발신자 조회부(32)에 의해 조회되어, 제 1 기억부에 기억된 발신자가 제 1 착신 및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는 다른 발신자이었을 때에는, 제 3 착신에 따른 제 2 통지보다, 제 2 착신에 따른 제 1 통지를 우선하여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요한 용건이 묻히기 어려워져, 보다 확실히 사용자에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부(31)는, 전화 통신이나, 메일의 송수신이나, 웹사이트의 게시판으로의 액세스(구체적으로는, 열람이나 게시) 등의 어느 하나의 통신 기능이 가능하면 좋지만, 통신부(31)의 통신 기능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응답이 없는 상태란, 통신부(31)가 전화 통신 기능의 경우에는, 전화의 수신에 대하여 수신 조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나, 디스플레이(21)에 부재 착신의 표시가 이루어지고 있더라도, 회신 전화를 걸지 않는 경우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이며, 통신부(31)가 메일 송수신 기능의 경우에는, 착신한 메일의 본문을 열람(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태, 즉, 읽지 않음의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통신부(31)가 게시판으로의 게시나 열람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게시판에 게시되어 있는 본문을 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를 말 한다.
통지부(33)는, 통신부(31)에 착신이 있었을 때에, 디스플레이(21)에 대하여 소정의 표시를 행하거나, 진동 기능을 구동시키거나,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LED 등의 발광부를 점등시키거나 함으로써 상기 착신을 통지하는 기능이다. 통지에는, 전화의 호출 중의 통지나, 메일이 착신된 직후의 통지에 더하여, 이들, 통신에 대하여 응답이 없는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반복 혹은 단속적으로 행해지는 표시에 의한 통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기(1)에 있어서의 착신의 변형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생각되고, 이하에 그 대표가 되는, 그러나 한정되지 않지만, 변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통신 기능(31A)은, 예컨대, 통화 기능을 갖는 통신부라고 한다. 또한,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통지되는 제 2 형태에 의한 제 2 통지는, 예컨대, 제 1 멜로디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형태의 통지이며, 또한, 일정 조건 하에 있어서,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통지되는 소정의 형태와는 다른 제 1 형태의 통지는, 예컨대, 제 2 멜로디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면서, 진동 기능이 구동되는 형태의 통지이다.
이하에서는, 제 2 통신 기능(31B)은, 예컨대, 데이터 통신 기능이라고 한다. 또한,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통지되는 제 2 통지의 형태는, 예컨대, 제 3 멜로디를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는 것이며, 또한, 일정 조건 하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통지되는 제 1 통지의 형태는, 예컨대, 제 4 멜로디를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면서, 진동 기능을 구동하는 것이다.
<제 1 변형(메일 착신→전화 수신)>
제 1 변형에 있어서의 제어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을 착신하고(단계 S1), 상기 착신한 메일이 읽지 않음의 상태에 있어서(단계 S2),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의 수신이 있었던 경우(단계 S3), 메일의 발신자와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인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한다(단계 S4). 또, 제어부(34)는, 메일의 발신자와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한 제 2 형태에 의해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한다(단계 S5).
<제 2 변형(전화 수신→메일 착신)>
제 2 변형에 있어서의 제어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를 수신하여(단계 S11), 상기 착신한 전화에 응답하지 않고(단계 S12),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단계 S13), 전화의 발신자와 메일의 발신자가 동일인인 경우에는, 상기 메일의 착신에 대한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한다(단계 S14). 또, 제어부(34)는, 전화의 발신자와 메일의 발신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일에 대한 제 2 형태에 의한 제 2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한다(단계 S15).
<제 3 변형(메일 착신→전화 수신→메일 착신)>
제 3 변형에 있어서의 제어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을 착신하고(단계 S21), 상기 착신한 메일이 읽지 않음의 상태에 있어서(단계 S22),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의 수신이 있고(단계 S23), 메일의 발신자와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인(person A)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한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4). 또, 제어부(34)는, 메일의 발신자와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인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한 제 2 형태에 의한 제 2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한다(단계 S25).
제어부(34)는, 메일의 발신자와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인(person A)인 경우에,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전화를 받지 않거나, 또는 회신 전화를 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단계 S26),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을 착신한 경우(단계 S27), 상기 메일의 발신자가 이전의 발신자(person A)와 다른 사람(person B)일 때에는, 착신 이력의 표시에 있어서, 이전의 발신자(person A)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우선적으로 표시, 또는 우선도가 높은 취지의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8).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기(1)에 있어서는, 최초의 메일의 발신자에 의해 전화의 수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우선, 메일 착신이 2건 있는 취지의 팝업 표시가 디스플레이(21)에 이루어지고,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면, 최초에 착신한 메일의 정보(발신자명 등)가 디스플레이(21)에 우선 표시된다.
본 변형에 있어서, 콜백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신자(person A)로의 발신이 우선적으로 행해진다.
<제 4 변형(전화 수신→메일 착신→전화 수신)>
제 4 변형에 있어서의 제어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는,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한 전화에 응답하지 않고,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의 착신이 있고, 전화의 발신자와 메일의 발신자가 동일인(person A)인 경우에는, 상기 메일의 착신에 대하여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4)는, 상기 메일의 착신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열람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화의 발신자가 이전의 발신자(person A)와 다른 사람(person B)일 때에는, 착신 이력의 표시에 의한 통지에 있어서, 이전의 발신자(person A)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우선적으로 표시, 또는 우선도가 높은 취지의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변형에 있어서, 콜백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신자(person A)로의 발신이 우선적으로 행해진다.
<제 5 변형(메일 착신→전화 수신→전화 수신)>
제 5 변형에 있어서의 제어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는,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을 착신하고, 상기 착신한 메일이 읽지 않음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의 수신이 있고, 메일의 발신자와 전화의 발신자가 동일인(person A)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하여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전화를 받지 않거나, 또는 회신 전화를 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화의 발신자가 이전의 발신자(person A)와 다른 사람(person B)일 때에는, 착신 이력의 표시에 의한 통지에 있어서, 이전의 발신자(person A)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취지를 우선적으로 표시, 또는 우선도가 높은 취지의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변형에 있어서, 콜백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신자(person A)로의 발신이 우선적으로 행해진다.
<제 6 변형(전화 수신→메일 착신→메일 착신)>
제 6 변형에 있어서의 제어부(3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는,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한 전화에 응답하지 않고,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의 착신이 있고, 전화의 발신자와 메일의 발신자가 동일인(person A)인 경우에는, 상기 메일의 착신에 대하여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4)는, 상기 메일의 착신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열람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을 착신한 경우, 상기 메일의 발신자가 이전의 발신자(person A)와 다른 사람(person B)일 때에는, 착신 이력의 표시에 있어서, 이전의 발신자(person A)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취지의 통지를 우선적으로 표시, 또는 우선도가 높은 취지의 표시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변형에 있어서, 콜백 기능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신자(person A)로의 발신이 우선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각 변형에 있어서는, 메일의 착신과 전화의 수신 사이의 시간적인 간격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신 메일이 읽지 않음인 한 동일 발신자로부터의 전화의 수신을 알리는 통지는,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가 된다.
제 3~제 6 변형의 변형예로서, 동일 발신자(person A)로부터의 메일 착신(또는 전화 수신)과 전화 수신(또는 메일 착신) 사이에, 제삼자(person B)로부터의 전화 수신(또는 메일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있어서도, 제삼자(person B)로부터의 전화 수신(또는 메일 착신) 후의 동일 발신자(person A)로부터의 전화 수신(또는 메일 착신)을 알리는 통지는,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가 된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그 후, 제삼자(person B)로부터 메일 착신(또는 전화 수신)이 있었던 경우에도, 상기 메일 착신(또는 전화 수신)을 알리는 통지는,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가 된다.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에 있어서는, 매너 모드(메일 착신 등의 통지에 있어서, 소리를 울리지 않고 진동을 행하는 모드) 또는 사일런트 모드(메일 착신 등의 통지에 있어서, 소리의 울림 및 진동의 양쪽을 행하지 않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상기 모드를 강제적으로 해제하여, 소리의 울림 또는 진동을 행하게 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예컨대, 최초에 메일을 송신하고, 상기 메일에 대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에, 전화를 건다고 하는 사용 상황에서는, 메일과 전화가 동일한 발신자인 경우,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에 의해 전화의 통지를 행하므로, 발신자의 요구도 및 긴급도에 따른 통지를 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 중요한 통지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을 착신하고, 상기 착신한 메일이 읽지 않음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의 수신이 있었던 경우, 혹은, 제 1 통신 기능(31A)에 의해 전화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한 전화에 응답하지 않고, 제 2 통신 기능(31B)에 의해 메일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 제어부(34)가, 메일의 문장(제목 혹은 본문)에 대하여 형태소 해석(Morphological Analysis)을 행함으로써 내용을 분석하고, 그 중에 긴급성을 나타내는 어구(긴급ㆍ지급ㆍ급함)나 연락을 요구하는 취지(요연락ㆍ전화해주십시오ㆍ메일주십시오)가 기재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33)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부(31)가 갖는 복수의 통신 기능에 의해 복수회에 걸쳐 동일한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소정의 형태와는 다른 제 1 형태에 의한 제 1 통지를 행하는 기능이 휴대 전화 기기(1)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서버에 구비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200)는, 복수의 통신 기기(제 1 통신 기능(201A), 제 2 통신 기능(201B))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발신자가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38)와, 복수의 통신 기기(201A, 201B) 중의 하나의 통신 기기(201A)로부터 다른 통신 기기(201B)로 통신이 행해졌을 때에, 데이터베이스(238)에 액세스하여, 하나의 통신 기기(201A)의 발신자를 조회하는 발신자 조회부(237)와, 발신자 조회부(237)에서 조회한 결과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235)와, 복수의 통신 기기 중의 하나의 통신 기기(201A)로부터 다른 통신 기기(201B)로 통신이 행해졌을 때에, 소정의 형태(제 2 형태)로 통지하도록 다른 통신 기기(201B)에 대하여 명령을 행하는 명령부(236)를 구비한다.
명령부(236)는, 제 1 통신 기기(201A)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부(231A)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해 제 1 통신이 발생했을 때에, 발신자 조회부(237)에 의해 발신자를 조회하여, 소개한 결과의 정보를 제 2 기억부(235)에 기억하고 또한, 제 2 기억부(235)에 기억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형태(제 2 형태)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제 2 통신 기기(201B)에 대하여 명령하여, 제 2 통신 기기(201B)에 의해 상기 소정의 형태에 의한 통지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 1 통신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통신부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해 제 2 통신이 발생했을 때에, 제 2 기억부(235)의 기억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자가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한 발신자이었을 때, 소정의 형태와는 다른 형태(제 1 형태)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제 2 통신 기기(201B)에 대하여 명령한다.
제 2 통신 기기(201B)는, 서버(200)로부터 소정의 형태에 의한 통지(제 2 형태) 또는 소정의 형태와는 다른 형태(제 1 형태)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명령이 이루어졌을 때에, 각각의 형태에 의한 통지를 행하도록 통지부(233B)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의 구체적인 형태는, 각각 상술하여 나타낸 예(소 리나 빛 등을 여러 가지 이용한 것)가 적용 가능하지만, 그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여러 가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각각의 실시예 중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으로부터 선택된 기술적 사항을 조합하여, 새로운 휴대 전화 기기나 통신 시스템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 전화 기기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과,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동일한 발신자에 의한 것인 경우에, 다른 발신자인 경우와는, 다른 형태로 통지를 행하게 하도록 했지만, 이하와 같이 하더라도 좋다. 즉,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과,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동일한 통신 기기에 의해 행해진 경우와, 다른 통신 기기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 다른 형태로 통지를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과,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동일한 발신자에 의한 것인 경우에, 다른 발신자인 경우와는, 다른 형태로 통지를 행하게 하도록 했지만, 이하와 같이 하더라도 좋다.
즉,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과,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동일한 통신 기기에 의해 행해진 경우와, 다른 통신 기기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 다른 형태로 통지를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기가 무선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메일의 착신 후에 전화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통지의 형태에 대한 설명에 도움이 되게 하는 흐름도,
도 5는 전화를 수신한 후에 메일을 착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통지의 형태에 대한 설명에 도움이 되게 하는 흐름도,
도 6은 메일의 착신 후에 전화를 수신하고, 또한 그 후에 메일을 착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통지의 형태에 대한 설명에 도움이 되게 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기 및 서버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 기기 31 : 통신부(통신 수단)
32 : 발신자 조회부(발신자 조회 수단) 33 : 통지부(통지 수단)
34 : 제어부(제어 수단)

Claims (12)

  1. 통신 기기로서,
    외부의 통신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착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착신에 대한 발신자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기억부와,
    상기 착신에 대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신부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후에, 상기 통신부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발신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제 1 통지를 행하게 하고,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상기 제 1 통지와는 다른 제 2 통지를 행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 1 착신 및 제 2 착신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응답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제 1 통지를 계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통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가 상기 제 1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 동일하다고 판정되고, 상기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 1 착신 및 상기 제 2 착신의 발생 후에 상기 제 1 착신 및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와는 다른 발신자로부터의 제 3 착신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착신 및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발신자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지를 우선하도록 상기 통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기능이 통화 기능이며, 상기 제 2 통신 기능이 메일 통신 기 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기능이 메일 통신 기능이며, 상기 제 2 통신 기능이 통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7. 통신 기기로서,
    외부의 통신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외부의 통신 기기로부터의 착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착신을 발생시킨 상기 외부의 통신 기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제 1 기억부와,
    상기 착신에 대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신부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착신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지 않은 후에, 상기 통신부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착신이 발생했을 때에, 상기 제 2 착신이, 상기 제 1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의 통신 기기와 동일한 통신 기기로부터의 착신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착신에 따른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8.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통신 기기와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의 착신의 발생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지부에서의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통신 기기 중 제 1 통신 기기로부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통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1 통신 기기로부터의 상기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와,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상기 제 2 통신 기기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에 대한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 기기의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형태로 상기 통지부에 통지시키도록 명령하는 명령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명령부의 통지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 형태의 통지를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부는,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에 대한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와 동일한 경우와, 상기 제 2 통신에 대한 발신자가 상기 발신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에 대한 발신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통지의 형태가 다르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통신 기기와 서버를 구비하되,
    상기 통신 기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서 다른 통신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의 착신의 발생에 대하여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통지부에서의 통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통신 기기 중 제 1 통신 기기로부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1 통신 기능에 의한 제 1 통신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1 통신 기기로부터 상기 제 1 통신이 있었던 취지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 2 기억부와,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상기 제 2 통신 기기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의해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 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 기능에 의한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발생시킨 통신 기기가,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형태로 상기 통지부에 통지시키도록 명령하는 명령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명령부의 통지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정 형태의 통지를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부는, 상기 제 1 통신에 대응한 상기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통신 기기로의 제 2 통신이 발생하고, 상기 제 2 통신을 발생시킨 통신 기기가, 상기 제 2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발생시킨 상기 제 1 통신 기기와 동일한 경우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 2 통신 기기의 상기 통지부에 행하게 하는 통지의 형태가 다르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통신 기기의 통지 방법으로서,
    외부로부터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화 신호의 발신자와, 상기 데이터 통신 신호의 발신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양 발신자가 같은 경우에, 이전의 수신에 대하여 응답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응답하지 않은 경우에, 통상의 수신에 대한 통지와 다른 형태의 통지를 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방법.
KR1020090006634A 2008-01-30 2009-01-28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 KR101185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8905 2008-01-30
JP2008018905 200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866A true KR20090083866A (ko) 2009-08-04
KR101185640B1 KR101185640B1 (ko) 2012-09-24

Family

ID=4093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634A KR101185640B1 (ko) 2008-01-30 2009-01-28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1196B2 (ko)
JP (1) JP5448473B2 (ko)
KR (1) KR101185640B1 (ko)
CN (1) CN1015000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4114B1 (en) * 2010-12-03 2013-08-06 Google Inc. Intelligent notifications with dynamic escalations
CN102651857A (zh) * 2011-02-28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话忙线处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840A (ja) * 1996-10-02 1998-04-24 Hitachi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サーバ
JP2001217903A (ja) 2000-01-31 2001-08-10 Hitachi Ltd 電話機及び情報端末装置及びその着信通知方法
JP2002009844A (ja) * 2000-04-20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着信通知方法、着信通知システム、及び着信通知サーバ
JP2002244980A (ja) * 2001-02-15 2002-08-30 Kyocera Corp 移動体通信端末における受信メール通知方法及び受信メール通知装置
JP2002335305A (ja) * 2001-05-09 2002-11-22 Nec Corp 携帯端末及び着信通知方法
CN1572122A (zh) * 2001-10-17 2005-01-26 株式会社H·资讯 便携式终端机用内容提供系统
JP3954834B2 (ja) * 2001-10-30 2007-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機器
JP2004032036A (ja) * 2002-06-21 2004-01-29 Ricoh Co Ltd 電話端末、及び電話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7469280B2 (en) * 2002-11-04 2008-12-23 Sun Microsystems, Inc.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management of electronic messages
US20040176072A1 (en) * 2003-01-31 2004-09-09 Gellens Randall C. Simplified handling of, blocking of, and credit for undesired messaging
KR100603437B1 (ko) * 2003-12-08 2006-07-24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최근통화목록 표시 방법
US20070190976A1 (en) * 2004-03-12 2007-08-16 Ionos Co., Ltd. Member authentication system
JP2006148725A (ja) * 2004-11-24 2006-06-08 Nec Access Technica Ltd 無線通信端末及びメッセージ通知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16702B2 (ja) * 2005-10-28 2012-04-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01196B2 (en) 2011-08-16
CN101500038A (zh) 2009-08-05
JP5448473B2 (ja) 2014-03-19
CN101500038B (zh) 2014-08-27
KR101185640B1 (ko) 2012-09-24
US20090198786A1 (en) 2009-08-06
JP2009207132A (ja)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0748B2 (en) Telephone which enables timely input an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JP4331138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100790128B1 (ko) 스케줄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85640B1 (ko) 통신 기기, 통신 시스템 및 통지 방법
KR101365819B1 (ko) 이동 단말기, 메일 통지 방법 및 메일 통지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2164354A (zh) 用于移动设备的本地语音邮件
JP3827521B2 (ja) 情報携帯端末装置
KR20050069946A (ko) 통화 연결 알림 유-무선 전화기
JP2004304236A (ja) 携帯端末装置
JP2003219469A (ja) 携帯型通信端末及び着信転送方法
KR10067235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응답 메시지 전송 장치및 전송방법
JP2005328306A (ja) 通信システム
JP4766343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09293B2 (ja) コンテンツ情報通知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027571B2 (ja) 電話装置および電話制御方法
JP2002244980A (ja) 移動体通信端末における受信メール通知方法及び受信メール通知装置
JP2006229579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2002009973A (ja) メール装置及びメール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621130B2 (ja) 代理応答履歴蓄積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JP2001045139A (ja) 移動電話通信システム、移動電話装置、電話装置及び通信方法
JPH09321861A (ja) 電話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KR101420800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JP2002330224A (ja) 音声メッセージの電子メール送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8167196A (ja) 携帯電話機
WO2016135986A1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