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37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375A
KR20090083375A KR1020097009867A KR20097009867A KR20090083375A KR 20090083375 A KR20090083375 A KR 20090083375A KR 1020097009867 A KR1020097009867 A KR 1020097009867A KR 20097009867 A KR20097009867 A KR 20097009867A KR 20090083375 A KR20090083375 A KR 2009008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article
absorbent
surface memb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니시타니
마사시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8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non-continuous bo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을 고려하여 접합된 표면부재(20)를 갖는 흡수성 물품(1)을 제공한다.
길이방향과 폭방향과 두께방향을 가지며, 신체에 착용되는 흡수성 물품(1)으로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10)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부재(20)를 가지며, 상기 표면부재(20)는,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재(10)를 착용했을 때의 신체쪽을 덮고, 상기 표면부재(20)는, 표면시트와,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보다 상기 흡수부재(10)쪽에 배치된 중간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시트는 제 1 방향을 따른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중간시트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른 제 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2 오목부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중간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월경혈과 같은 소정의 액체를 흡수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에는,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와, 인체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흡수부재에 가급적 신속히 흡수시키는 동시에 인체로부터 멀리하기 위해 흡수부재와 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표면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표면부재로서, 예컨대 열가소성 필름과 섬유층을 겹쳐 가열된 2개의 롤 사이에 밀어 넣고, 한쪽 롤에 설치된 압형(押型)과, 표면에 요철이 없는 다른 롤의 둘레면에 의해, 열가소성 필름을 녹여 개구부나 미소(微小)한 엠보싱을 형성하여 접합한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특허공개공보 H2(1990)-102046호).
상기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표면부재는 열가소성 필름과 섬유층 등의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2개의 부재는 개구부나 미소한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겹쳐 접합되어 있는데, 개구부나 미소한 엠보싱으로 이루어지는 접합부에 의한, 액체의 흡수성에 대한 작용은 고려되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수성을 고려하여 접합된 표면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된 본 발명은, 길이방향과 폭방향과 두께방향을 가지며, 신체에 착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부재를 가지며, 상기 표면부재는,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재를 착용했을 때의 신체쪽을 덮고, 상기 표면부재는, 표면시트와,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보다 상기 흡수부재쪽에 배치된 중간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시트는 제 1 방향을 따른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중간시트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른 제 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2 오목부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중간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형성된 세로 오목부 및 가로 오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부재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부재의 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표면부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표면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한 쌍의 롤러의 표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표면부재의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밀도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밀도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수성 물품 1a : 라운드 시일부
2 : 흡수성 물품 10 : 흡수부재
10a : 제 1 영역 10b : 제 2 영역
10c : 제 3 영역 12 : 흡수체 소재
14 : 표면시트 14a : 세로 오목부
15 : 접합부 16 : 중간시트
16a : 가로 오목부 16b : 폭이 좁은 가로 오목부
18 : 얕은 홈부 19 : 깊은 홈부
20 : 표면부재 25 : 사이드시트
30 : 이면시트 32 : 유지부
50 : 상측 롤러 50a : 선형상 돌출부
50b : 분단 돌출부 51 : 하측 롤러
51a : 링형상 돌출부 52 : 가이드 롤러
52a : 링형상 돌출부 53 : 상측 롤러
53a : 선형상 돌출부
Z :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
본 명세서 및 도면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길이방향과 폭방향과 두께방향을 가지며 신체에 착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부재를 가지며, 상기 표면부재는,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재를 착용했을 때의 신체쪽을 덮고, 상기 표면부재는, 표면시트와,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보다 상기 흡수부재쪽에 배치된 중간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시트는 제 1 방향을 따른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중간시트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른 제 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2 오목부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중간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표면시트와 중간시트를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접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을 높일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오목부는 표면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중간시트쪽으로의 함몰부이며, 제 2 오목부는 중간시트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시트쪽으로의 함몰부이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1 오목부와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 2 방향을 따라 제 2 오목부를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제 2 오목부가 복수 부위에서 제 1 오목부와 접합되므로 흡수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2 오목부와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오목부를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가 복수 부위에서 제 2 오목부와 접합되므로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흡수부재의 길이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제 1 오목부를 흡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시트 및 상기 중간시트는 열용융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이며, 상기 접합부는 열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열용착함으로써 표면시트와 중간시트를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할 필요없이 높은 흡수성의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 예컨대, 상기 흡수성 물품이 월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인 경우에는, 착용중에 착용자가 격하게 움직여도 용착부가 잘 벗겨지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가 있다. 착용중에는, 제 1 오목부는 피부에 맞닿는 표면으로부터 의복쪽을 향해 오목하게 되고, 제 2 오목부는 흡수부재와의 맞닿음면으로부터 신체쪽을 향해 오목하게 된다.
(실시형태)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구성의 개요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이며, 이하에서는 신체에 접촉되는 쪽을 표면쪽이라 하고, 속옷에 접촉되는 쪽을 이면쪽이라 하며, 착용시에 인체의 앞쪽에 위치하는 단부를 전단, 뒷쪽에 위치하는 단부를 후단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표면쪽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형성된 세로 오목부 및 가로 오목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소정 방향으로 긴 형상을 이루며, 월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거의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흡수부재(10)와, 흡수부재(10)의 이면에 설치된 이면시트(30)와, 흡수부재(10)의 표면쪽을 덮는 액체투과성의 표면부재(20)와,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흡수부재(10)의 양쪽에 배치된 사이드시트(25)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에서의 중심선상으로서,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 전단쪽에, 신체 배설구 부위가 흡수성 물품(1)에 맞닿는 것으로 상정되는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가 위치한다.
흡수부재(10)는 시트상(狀)의 펄프를 분쇄한 분쇄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로 형성되는 흡수체 소재(12)와, 예컨대 티슈 페이퍼와 같은 박엽지(薄葉紙 ; 도시생략)를 가지며,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을 이루는 흡수체 소재(12)가 박엽지에 싸여 있다. 여기서, 박엽지는 액체투과성을 갖는, 고 흡수성 폴리머 입자보다 결이 고운 시트로서, 박엽지의 외측으로 고 흡수성 폴리머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흡수체 소재(12)에는, 사용중에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용융성 섬유가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이면시트(30)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및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이면시트(30)는 흡수부재(10)보다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 가장자리부는 전체 둘레에 있어서 흡수부재(10)의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하, '폭방향'이라 함)에서의 양쪽에는, 길이방향에서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에, 폭방향 외측으로 뻗어 나온 유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부재(20)는 폭방향이 흡수부재(10)보다 약간 넓고, 길이방향은 이면시트(30)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흡수부재(10)의 표면을 전역에 걸쳐 덮고 있다. 표면부재(2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사이드시트(25)는 합성수지섬유로 형성된 에어 스루(air through) 부직포나 스판 본드(spun bond) 부직포, 스판 본드-멜트 블로운(meltblown)-스판 본드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등의 적절한 부직포이다.
흡수성 물품(1)은 흡수부재(10)의 표면쪽에 핫멜트계 접착제에 의해 표면부 재(20)가 접합되고, 더욱이 고온의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두께방향으로 가압하는 깊은 홈 엠보싱 가공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깊은 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깊은 홈 엠보싱 가공으로 형성된 깊은 홈부(19)에 의해 흡수부재(10)와 표면부재(20)는 보다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 형성된 깊은 홈부(19)는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하였을 때, 신체를 따라 밀착되기 쉽도록 굴곡하기 위한 굴곡 유발부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깊은 홈부(19)에 의해 구획된 3개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3개의 영역을 길이방향을 따라 전단쪽으로부터 제 1 영역(10a), 제 2 영역(10b), 제 3 영역(10c)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흡수부재(10)와 표면부재(20)에는 이면쪽에 이면시트(30)가 핫멜트계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표면쪽에는 흡수부재(10)의 양측부에 각각 약간 겹치는 위치로부터 이면시트 상에 걸쳐, 사이드시트(25)가 핫멜트계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부재(20), 사이드시트(25)가 겹치는 위치에는, 저온으로 가열된 가압부재에 의한 엠보싱 가공을 통해, 라인형상 및 꽃형상의 얕은 홈부(18)가 형성되어 표면부재(20), 사이드시트(25)가 더욱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저온으로 열용착하는 라운드 시일가공이 실시되어 보강된 라운드 시일부(1a)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부재(20)는 2층 구조를 이루며, 흡수성 물품(1)의 상태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표면시트(14)와, 표면시트(14)와 흡수부재(10)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시트(16)를 갖는다.
표면시트(14)와 중간시트(16)에는, 모두 적절한 열용융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소재로서 이용되며,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섬유, 합성수지섬유로 형성된 에어 스루 부직포나, 합성수지섬유 등으로 형성된 스판레이스(spunlace) 부직포 등이 이용된다. 표면시트(14)는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박엽지보다 부드러운 시트가 이용된다. 또한, 중간시트(16)는, 표면시트(14)보다 고밀도로 형성된 액체투과성이 높은 부재이며, 표면시트(14)와 흡수부재(10)의 사이에 중간시트(16)를 설치함으로써, 표면시트(14)에 침투한 액체를, 표면시트(14)보다 액체의 인입(引入)성이 높은 중간시트(16)쪽으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부재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부재의 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편의상, 흡수부재(10)와 접합되었을 때 제 2 영역에 상당하는 위치를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표면부재(20)는, 흡수부재(10)를 덮도록 설치되는데, 흡수성 물품(1)의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의 주변이 되는, 흡수부재(10)에서의 중앙쪽의 소정의 영역은, 열용착된 접합부(15)의 밀도가 다른 영역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깊은 홈 엠보싱 가공에 의해 구획된 3개의 영역(10a,10b,10c) 중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를 포함하는 영역, 즉, 3개의 구획된 영역(10a,10b,10c) 중 정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 2 영역(10b)이 중앙쪽의 소정의 영역에 상당하며, 접합부(15)의 밀도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표면부재(20)를 구성하는 표면시트(14)에는, 전역에 걸쳐 제 1 방향으로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제 1 오목부로서의 세로 오목부(14a)가 폭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세로 오목부(14a)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시트(14)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표면쪽의 윤곽은 물결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간시트(16)에는, 제 2 영역(10b)을 제외하고 제 2 방향으로서의 폭방향을 따라 이어진 복수의 제 2 오목부로서의 가로 오목부(16a)가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영역(10b)에는, 폭방향에서 제 2 영역(10b)의 양쪽에 형성된 가로 오목부(16a)에 이어서, 폭이 좁은 가로 오목부(16b)가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영역(10b)에서는, 폭이 좁은 가로 오목부(16b)가, 흡수성 물품(1)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폭이 좁은 가로 오목부(16b)는, 폭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세로 오목부(14a) 중 하나와, 각각 하나 걸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표면시트(14)와 중간시트(16)는 세로 오목부(14a)와 가로 오목부(16a,16b)가 거의 직교하도록 중합되는 동시에, 표면시트(14)의 세로 오목부(14a)와, 중간시트(16)의 가로 오목부(16a,16b)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열용착됨으로써 접합되어 일체의 표면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오목부(14a)와 가로 오목부(16a,16b)가 교차하는 각 부위에는, 열용착에 의해 도트형상의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시트(14)쪽의 두께가 얇은 부분인 세로 오목부(14a)와, 중간시트(16)쪽의 두께가 얇은 부분인 가로 오목부(16a,16b)가 열용착되므로, 세로 오목부(14a) 및 가로 오목부(16a,16b)의 외측이 되는 표면시트(14)와 중간시트(16)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표면시트(14)와 중간시트(16)를 접합함에 따라 압축되지 않고 접합부(15)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표면부재(20)의, 세로 오목부(14a) 및 가로 오목부(16a,16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는,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표면시트(14) 및 중간시트(16)의 두께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부재(20)는, 제 2 영역(10b)보다 외측의 영역에서는, 표면시트(14)에 형성된 세로 오목부(14a)의 중간시트(16)쪽으로 돌출된 부위와, 중간시트(16)에 형성된 가로 오목부(16a)의 표면시트(14)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격자형상을 이루며, 그 교차하는 위치(이하, '교점'이라 함)가 모두 접합되어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영역(10b)에서는, 표면시트(14)에 형성된 세로 오목부(14a)의 중간시트(16)쪽으로 돌출된 부위와, 중간시트(16)에 형성된 폭이 좁은 가로 오목부(16b)의 표면시트(14)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교차하는 위치에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영역에 형성된 접합부(15)는, 제 2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에 형성된 접합부(15)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나 하나 걸러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영역(10b)에서의 인접하는 접합부(15)의 간격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어느 방향에서나 제 2 영역(10b)보다 외측의 영역에서 인접하는 접합부(15)의 간격의 거의 2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영역(10b)의 두께는 제 2 영역(10b) 이외의 영역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영역보다 두께가 있고 밀착성이 높은 제 2 영역(10b)에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는 신체 배설구 부위에 제 2 영역(10b)이 밀착되어 배설된 액체를 확실히 흡수하며 또한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 2 영역(10b)은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닿는 느낌도 양호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의 표면시트(1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세로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와의 사이에, 착용시의 전후방향을 따른 틈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높다. 이에 따라,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제 2 영역(10b) 이외의 영역에서는, 통기성이 확보됨에 따라 열기나 습기로 인한 화끈거림 등이 억제되어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시키며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1)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부재(20)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도 7은 표면부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표면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한 쌍의 롤러에서의 표면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부재(20)는, 동일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롤러(50,51) 사이에, 표면시트(14)는 하방측으로부터, 중간시트(16)는 상방측으로부터 각각 공급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시트(14)쪽에 배치된 하측 롤러(51)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리브(rib)형상의 링형상 돌출부(51a)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중간시트(16)쪽에 배치된 상측 롤러(50)에는, 축방향을 따라 리브형상의 선형상 돌출부(50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롤러(50,51)가 회전하면, 이들의 사이에 공급된 표면시트(14) 및 중간시트(16)는 링형상 돌출부(51a)와 선형상 돌출부(50a)가 대향하는 위치에서 압착되어 접합된다.
상측 롤러(50)에 있어서, 표면부재(20)의 제 2 영역(10b)에 상당하는 위치를 접합하는 부위에는, 폭이 좁은 가로 오목부(16b)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형상 돌출부(50a)가 축방향에서 분단된 분단 돌출부(50b)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분단 돌출부(50b)는, 하측 롤러(51)에 설치된 복수의 링형상 돌출부(51a) 중 하나의 링형상 돌출부(51a)와 폭방향에서 하나 걸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더욱이, 둘레방향에 있어서도, 하측 롤러(51)에 설치된 복수의 링형상 돌출부(51a) 중 하나의 링형상 돌출부(51a)와 둘레방향에서 하나 걸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시트(14)는, 중간시트(16)와 겹쳐져 상하 롤러(50,51)에 의해 끼움지지되기 이전에, 하측 롤러(51)를 따르는 동시에, 하측 롤러(51)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롤러(52)에 의해 굴곡되어 세로 오목부(14a)가 형성된다. 가이드 롤러(52)는, 하측 롤러(51)의 링형상 돌출부(51a)와 동일 피치로 형성된 링형상 돌출부(52a)를 가지며, 서로의 링형상 돌출부(51a,52a)의 선단이, 대향하는 롤러(51,52)와 접촉하지 않고서 맞물리는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면시트(14)는, 하측 롤러(51)와 가이드 롤러(52)의 사이를 통과하는 위치부터 세로 오목부(14a)가 형성된다. 이때, 하측 롤러(51)에는, 표면시트(14)에 포함되어 있는 열용융성 섬유의 융점(融點)에 가까운 온도가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가압력이 없어도 단면형상이 굴곡되는 정도의 세로 오목부(14a)가 형성된다.
한편, 중간시트(16)는, 표면시트(14)와 겹쳐져 상하 롤러(50,51)에 의해 끼움지지되기 이전에, 장력이 부여되면서 상측 롤러(50)를 따르게 되어 가로 오목부(16a,16b)가 형성된다. 이때, 상측 롤러(50)에는, 중간시트(16)에 포함되어 있 는 열용융성 섬유의 융점(融點)에 가까운 온도가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가압력이 없어도 단면형상이 굴곡되는 정도로 가로 오목부(16a,16b)가 형성된다. 이때, 상하 롤러(50,51)에 의해 끼움지지되기 전에 형성된 세로 오목부(14a) 및 가로 오목부(16a,16b)는, 가이드 롤러(52)에 의해 굴곡되어 형성된 세로 오목부(14a)가, 가로 오목부(16a,16b)보다 확실히 형성되어 있다.
세로 오목부(14a)가 형성된 표면시트(14)와, 가로 오목부(16a,16b)가 형성된 중간시트(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가 가해진 상하 롤러(50,51) 사이에서 겹쳐진 상태로 링형상 돌출부(51a)와 선형상 돌출부(50a)가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압되어 열용착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면시트(14)가 세로 오목부(14a)를 구비하고 중간시트(16)가 가로 오목부(16a,16b)를 구비하며, 세로 오목부(14a)와 가로 오목부(16a,16b)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접합된 표면부재(20)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1)의 흡수성을, 본 흡수성 물품의 발명자는 이하와 같은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흡수성 비교시험 >>
< 시험의 개요 >
인공 월경혈을 흡수성 물품과 동등한 시험편의 표면에 반복 적하(滴下)하여 각 적하 후의 열이동속도(Qmax)를 측정한다. 이때, 열이동속도(Qmax)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핑거로봇 서모라보(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이용한다.
열이동속도(Qmax)는 본래 「물체에 닿았을 때의 차가움과 따뜻함」을 측정하 는 것인데, 표면시트 표면의 액체 잔존량이 많을수록 높은 수치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표면시트 표면에서의 액체 잔존성(흡수성 물품의 흡수성)을 열이동속도(Qmax)로 나타내기로 하였다. 이 때, 흡수성 물품(시험편)의 흡수성이 높을 경우에는 표면시트의 표면에 잔존하는 액체의 양이 적어지게 되므로, 열이동속도(Qmax)의 값은 작아진다. 또한, 인공 월경혈로서 점도 22∼26mPa·s 정도의 액체를 미리 생성하여 둔다.
< 시험편 >
흡수부재 위에 표면부재를 겹치고 양측부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시험편을 형성한다. 흡수부재 및 표면부재는 하기와 같다. 이하에서는 제 1 표면부재가 겹쳐진 시험편을 제 1 시험편, 제 2 표면부재가 겹쳐진 시험편을 제 2 시험편, 제 3 표면부재가 겹쳐진 시험편을 제 3 시험편이라 한다.
흡수부재
논 트리트먼트(non-treatment) 펄프, 내지는 트리트먼트 펄프를 박엽지로 싸고 길이 100mm×폭 60mm로 자른 물체를 이용한다. 또, 펄프의 평량(坪量)은 500g/㎡, 밀도는 0.09g/㎤로 조정한다.
표면부재
상술한 표면시트 및 중간시트를 중합하고 엠보싱가공을 실시하여 접합한 물체를 길이 100mm× 폭60mm로 잘랐다. 여기서는, 비교를 위해 이하의 3종류의 표면부재를 이용한다. 또한, 모든 표면부재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이용한 에어 스루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제 1 표면부재
둘레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롤러와, 표면에 요철이 없는 롤러에 의해 엠보싱가공된 표면부재(종래제품에 상당함). 평량은 30g/㎡.
제 2 표면부재
표면시트에 세로 오목부, 중간시트에 가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세로 오목부와 가로 오목부의 모든 교점에서 접합된 표면부재(상기 실시형태의 제 2 영역 이외의 영역과 동일). 평량은 40g/㎡.
제 3 표면부재
제 2 표면부재보다 엠보싱 밀도가 낮은 표면부재(상기 실시형태의 제 2 영역과 동일). 평량은 40g/㎡.
< 시험순서 >
1. 시험편의 표면부재 상에,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아크릴판을 올려놓는다. 여기서, 아크릴판의 사이즈는 예컨대, 길이 200mm×폭 100mm이며, 개구의 사이즈는 40mm×10mm이고, 중량은 125g 정도이다.
2. 인공 월경혈을 적하하기 위한 오토 뷰렛의 노즐을, 아크릴판의 개구 위이면서 아크릴판의 상면으로부터 10mm인 위치에 배치한다.
3. 시험편 위에 인공 월경혈을 적하한다(1회째, 적하량 3ml, 적하속도 95ml/min).
4. 인공 월경혈의 적하개시 60초 후에 표면부재의 표면에서의 열이동속도를 측정한다(1회째). 즉, 핑거로봇 서모라보의 접촉식 온도센서를 시험편의 인공 월 경혈이 적하된 위치에 맞닿게 한다. 이 때, 반복되는 측정마다 시험편에 접촉되는 접촉식 온도센서의 압력 등의 측정조건이 변화되지 않도록 지그(jig)를 이용한다.
5. 1회째의 열이동속도를 측정한 후, 시험편 위에 인공 월경혈을 적하한다(2회째, 적하량 4ml, 적하속도 95ml/min).
6. 2회째의 인공 월경혈 적하개시 60초 후에 표면부재의 표면에서의 열이동속도를 측정한다(2회째).
7. 2회째의 열이동속도를 측정한 후, 시험편 위에 인공 월경혈을 적하한다(3회째, 적하량 3ml, 적하속도 95ml/min).
8. 3회째의 인공 월경혈 적하개시 60초 후에 표면부재의 표면에서의 열이동속도를 측정한다(3회째).
상기와 같은 순서로 각 시험편을 각각 5개씩 이용하여 열이동속도(Qmax)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기초하여 평가한다.
(참고) Qmax값과 접촉시 감촉의 기준
Qmax값 0∼0.30 거의 차갑게 느껴지지 않는다(젖은 것을 느끼기 어렵다)
0.30∼0.50 약간 차갑다(젖은 것을 약간 느낀다)
0.50 이상 차갑다(젖은 것을 느낀다)
< 측정결과 >
제 1 시험편 제 2 시험편 제 3 시험편
Qmax 1회째 0.172 0.096 0.082
Qmax 2회째 0.187 0.107 0.092
Qmax 3회째 0.263 0.167 0.13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 2 영역 이외의 영역 에 상당하는 제 2 시험편, 및 제 2 영역에 상당하는 제 3 시험편은 모두 종래기술에 상당하는 제 1 시험편보다 Qmax값이 작아 거의 반 정도가 되었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과 같이, 표면부재(20)를 표면시트(14)와 중간시트(16)로 구성하고, 표면시트(14)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세로 오목부(14a)를, 중간시트(16)에는 가로 오목부(16a,16b)를 각각 형성하여, 세로 오목부(14a)와 가로 오목부(16a,16b)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접합함으로써, 종래의 흡수성 물품보다 액체 투과성이 높은 표면부재(20)를 구비하여 흡수성이 높은 흡수성 물품(1)을 실현할 수가 있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영역(10b)에서는 가로 오목부(16a)를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둔, 폭이 좁은 복수의 가로 오목부(16b)로서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접합부(15)의 간격이 제 2 영역(10b) 이외의 영역보다 넓어진 예에 관해 나타내었으나, 가로 오목부(16a)는 폭방향을 따라 이어져 있으며, 세로 오목부(14a)가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둔, 폭이 좁은 복수의 세로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폭이 좁은 각 가로 오목부(16b)는, 하나의 세로 오목부(14a)와 교차하여 하나의 접합부(15)가 형성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폭이 좁은 각 가로 오목부(16b) 또는 폭이 좁은 세로 오목부가 2개 이상의 세로 오목부(14a) 또는 가로 오목부(16a)와 교차하여 복수의 접합부(15)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영역(10b)에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15)의 밀도가, 제 2 영역(10b) 외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15)의 밀도보다 낮은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표면부재(20)의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밀도로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9는 표면부재의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밀도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밀도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영역(10b)에도, 제 2 영역(10b)보다 외측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표면시트(14)에 형성된 세로 오목부(14a)의 중간시트(16)쪽으로 돌출된 부위와, 중간시트(16)에 형성된 가로 오목부(16a)의 표면시트(14)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격자형상을 이루며, 그 교차하는 위치(교점)가 모두 접합되어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2)의 표면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롤러는,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롤러(53)의 전체 둘레에 폭방향으로 이어진 선형상 돌출부(53a)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 롤러(51)의 전체 둘레에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링형상 돌출부(51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 한 쌍의 롤러(51,53) 사이에 표면시트(14)와 중간시트(16)를 삽입하여 중합시키는 동시에, 링형상 돌출부(51a)와 선형상 돌출부(53a)에 의해 끼움지지된 위치가 접합됨으로써, 표면부재(20)의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밀도로 접합부(15)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흡수부재(10)가 폭방향의 중앙에 1개의 흡수체 소재(12)를 구비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흡수부재(10)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 라 측부 흡수체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측부 흡수체 대신에, 상기 양단부의 각각에 입체 개더(gather)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가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 전단쪽에 위치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신체 배설구 부위 맞닿음 상정위치(Z)는 길이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면시트(30)를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및 액체 불투과성을 가진 시트로 하였으나, 열가소성 및 액체 불투과성을 가진 시트를 포함하며, 예컨대 박엽지나 부직포 등이 적층된 시트상(狀)의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 개량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等價物)이 포함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3)

  1. 길이방향과 폭방향과 두께방향을 가지며, 신체에 착용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부재
    를 가지며,
    상기 표면부재는,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부재를 착용했을 때의 신체쪽을 덮고,
    상기 표면부재는, 표면시트와,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시트보다 상기 흡수부재쪽에 배치된 중간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시트는 제 1 방향을 따른 제 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중간시트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른 제 2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2 오목부가 교차하는 위치에서 상기 표면시트와 상기 중간시트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1 오목부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2 오목부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97009867A 2006-11-27 2007-11-21 흡수성 물품 KR20090083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9365 2006-11-27
JP2006319365A JP5054963B2 (ja) 2006-11-27 2006-11-2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375A true KR20090083375A (ko) 2009-08-03

Family

ID=3946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867A KR20090083375A (ko) 2006-11-27 2007-11-2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91487B2 (ko)
EP (1) EP2087864A4 (ko)
JP (1) JP5054963B2 (ko)
KR (1) KR20090083375A (ko)
CN (1) CN101541277B (ko)
TW (1) TWI414280B (ko)
WO (1) WO2008065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39713T3 (es) 2003-02-12 2010-05-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Nucleo absorbente para un articulo absorbente.
ES2314137T3 (es) 2003-02-12 2009-03-16 THE PROCTER &amp; GAMBLE COMPANY Pañal comodo.
MX2009013906A (es) 2007-06-18 2010-01-28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desechable con nucleo absorbente sellado con material polimerico particulado absorbente practicamente distribuido en forma continua.
PL2157950T3 (pl) 2007-06-18 2014-03-31 Procter & Gamble Jednorazowy wyrób chłonny z chłonnym cząsteczkowym materiałem polimerowym rozmieszczonym zasadniczo w sposób ciągły oraz sposób
JP2011518648A (ja) 2008-04-29 2011-06-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耐歪み性のコアカバーを備える吸収性コアの作製プロセス
US9084699B2 (en) * 2009-02-20 2015-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5328586B2 (ja) * 2009-09-28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665338B2 (ja) * 2010-03-24 2015-02-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JP5684046B2 (ja) * 2011-05-20 2015-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596535B (zh) 2011-06-10 2015-11-25 宝洁公司 用于一次性吸收制品的吸收芯
JP6339010B2 (ja) 2011-06-10 2018-06-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S2585338T3 (es) 2011-06-10 2016-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structura absorbente para artículos absorbentes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PL3284449T3 (pl) 2011-06-10 2020-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ielucha jednorazowego użytku
JP5863359B2 (ja) * 2011-09-22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168732B2 (en) * 2011-12-21 2015-10-27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imparting different visually detectable features to a plurality of items, and a package comprising items each having a different visually detectable feature
JP6193391B2 (ja) 2012-11-13 2017-09-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S2655690T3 (es) 2013-06-14 2018-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absorbente y canales de formación de núcleo absorbente cuando están húmedos
CN110013386B (zh) 2013-08-27 2021-10-01 宝洁公司 具有通道的吸收制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FR3010631A1 (fr) 2013-09-16 2015-03-20 Procter & Gamble Articles absorbants avec canaux et signaux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PL2886092T3 (pl) 2013-12-19 2017-03-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kłady chłonne z obszarami tworzącymi kanały i zgrzewami osłony c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3113740B1 (en) 2014-03-06 2018-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CN106061454A (zh) 2014-03-06 2016-10-26 宝洁公司 三维基底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JP5648144B1 (ja) * 2014-06-30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99242B1 (ja) * 2014-06-30 2015-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R112017009580A2 (pt) * 2014-11-06 2017-12-26 Procter & Gamble artigos absorventes que compreendem laminados voltados para a peça de vestuário
JP2018508292A (ja) 2015-03-16 2018-03-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コアを有する吸収性物品
GB2554228B (en) 2015-03-16 2021-08-04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CN107592805B (zh) 2015-05-12 2021-07-06 宝洁公司 具有改善的芯与底片粘合剂的吸收制品
WO2016196069A1 (en) 2015-05-29 2016-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340954B1 (en) 2015-08-26 2020-03-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JP6375354B2 (ja) * 2016-11-29 2018-08-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1228354A1 (en) * 2020-05-11 2021-11-18 Ontex Bv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structural functionality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329A (en) * 1973-01-16 1975-11-25 Hercules Inc Methods of making network structures
JPS50111490A (ko) 1974-02-13 1975-09-02
JPS5926502A (ja) * 1982-07-30 1984-02-10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し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02046A (ja) 1988-09-30 1990-04-13 Fibertec Corp 繊維−フィルム基材
US4863785A (en) * 1988-11-18 1989-09-05 The James River Corporation Nonwoven continuously-bonded trilaminate
JP2859725B2 (ja) * 1990-09-20 1999-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GB9200629D0 (en) 1992-01-13 1992-03-11 British Tech Gro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btaining nmr information
MX9300424A (es) * 1992-11-06 1994-05-31 Kimberly Clark Co Tela laminada fibrosa y metodo y aparato para la fabricacion de la misma.
JP3215262B2 (ja) 1994-06-03 2001-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IN189366B (ko) * 1996-02-12 2003-02-15 Mcneil Ppc Inc
US5865824A (en) * 1997-04-21 1999-02-02 Chen; Fung-Jou Self-texturing absorbent structures and absorbent articles made therefrom
JP3875007B2 (ja) * 2000-09-01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連続フィラメントを有する表面層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09361B2 (ja) 2000-10-12 2005-01-12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材料
JP3611838B2 (ja) * 2001-12-2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4198978B2 (ja) * 2002-12-05 2008-1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4124687B2 (ja) * 2003-03-31 2008-07-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におけるエンボス形成方法
JP4275521B2 (ja) * 2003-12-25 2009-06-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ティライ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1277A (zh) 2009-09-23
US20100010464A1 (en) 2010-01-14
EP2087864A4 (en) 2013-06-26
WO2008065945A1 (fr) 2008-06-05
JP2008132084A (ja) 2008-06-12
CN101541277B (zh) 2013-01-23
TWI414280B (zh) 2013-11-11
TW200913966A (en) 2009-04-01
JP5054963B2 (ja) 2012-10-24
EP2087864A1 (en) 2009-08-12
US8591487B2 (en)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3375A (ko) 흡수성 물품
JP4392936B2 (ja) 生理用ナプキン
WO2012101934A1 (ja) パッド形態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4255440B2 (ja) 立体シート
KR101608560B1 (ko) 흡수성 물품
WO2011118725A1 (ja)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法
JP5972584B2 (ja) 吸収性物品
JP4972384B2 (ja) 吸収性物品
JP4990003B2 (ja) 吸収性物品
JP4822961B2 (ja) 吸収性物品
JP5992285B2 (ja) 吸収性物品
JP6275364B1 (ja) 吸収性物品
JP6261838B1 (ja) 吸収性物品
WO2019181831A1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0821A (ja) 吸収性物品
WO2013047715A1 (ja) 吸収性物品
JP5734164B2 (ja) 吸水性物品の製造方法
JP4368297B2 (ja) 立体シート
JP3926250B2 (ja) 吸収性物品
CN108348376B (zh) 吸收性物品
JP6073619B2 (ja) 吸収性物品
WO2018029785A1 (ja) 吸収性物品
JP6308646B2 (ja) 吸収性物品
CN218529065U (zh) 吸收用品
JP5957240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