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2215A -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2215A
KR20090082215A KR1020097009798A KR20097009798A KR20090082215A KR 20090082215 A KR20090082215 A KR 20090082215A KR 1020097009798 A KR1020097009798 A KR 1020097009798A KR 20097009798 A KR20097009798 A KR 20097009798A KR 20090082215 A KR20090082215 A KR 20090082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lider
case
sliding door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003B1 (ko
Inventor
마사카즈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8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05B65/081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with additional movement, e.g. toggle, overcenter, excentr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2Locks mounted on the "frame" cooperating with means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2007/007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a double-wing sliding door or window, i.e. where both wings are sli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4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fin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 Y10T74/188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with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드 보조기구에 있어서, 본체측에 부착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1)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슬라이더(2A, 2B)}와, 상기 각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측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1쌍의 래치(5, 5)와, 상기 양 이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탄지수단(3)을 구비하고, 이동체를,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의 도중 또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의 도중까지 전환하면, 상기 이동체에 부설된 걸어맞춤 핀(9)에 의해 일측의 래치의 걸림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 핀이 상기 래치와 함께 타측의 래치측으로 상기 이동부재 및 탄지수단(3)을 통한 접근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까지 인입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SLIDING ASSISTANCE MECHANISM AND PULL-IN UNIT}
본 발명은,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이것에 이용되는 인입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20(a), 도 20(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21은 본체측 개구부의 프레임 상변(上邊)에 부착되는 인입유닛(미닫이문 클로저)이고, 부호 3은 이동체인 미닫이문측에 형성되는 작동부재(걸어맞춤 핀)이다. 이 인입유닛(21)은, 케이스(22)와, 훅체(36)와, 탄지수단(35) 등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2)는, 직사각형 용기형상을 이루며, 일단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걸어맞춤 홈부(25)와, 슬라이드 홈부(31){직선의 이동 홈부(32) 및 이동 홈부(32)의 일단측에서 절곡(折曲)되어 있는 회동 홈부(33)로 이루어진다}를 형성하고 있다. 훅체(36)는, 작동부재(3)를 걸림/걸림 해제하는 유지 오목부(46)와, 슬라이드 홈부(31)에 끼워 맞추는 걸어맞춤 볼록부(44, 45)를 형성하고 있다. 탄지수 단(35)은, 일단을 훅체(36)에 걸고, 타단을 케이스(22)측에 건 상태에서, 훅체(36)를 슬라이드 홈부(31)의 타단측으로 탄지하고 있고, 미닫이문이 폐색위치에서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탄지력을 축적한다. 작동부재(3)는, 미닫이문의 상단면에 대하여 자동복귀기구(4)를 통하여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구멍(8)을 따라서 요동 가능, 또한 도시하지 않은 탄지력에 의해 복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서는, 미닫이문의 폐색조작에 의하여 도 20(a)과 같이 작동부재(3)를 본체측의 인입유닛(21)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러면, 작동부재(3)는, 걸어맞춤 홈부(25)에 끼워맞춰지고, 이 걸어맞춤 홈부(25)를 따라서 슬라이드된 후, 도 20(b)와 같이 훅체(36)의 유지 오목부(46)와 걸어맞춰져서 유지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훅체(36)는, 걸어맞춤 볼록부(44)가 슬라이드 홈부(31)의 회동 홈부(33)로 안내되면서, 걸어맞춤 볼록부(4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대기자세에서 인입자세로 변화한 후, 이동 홈부(32)에 끼워맞춰진다. 이 끼워맞춤에 의해, 훅체(36)는, 작동부재(3)를 구속한 상태에서, 탄지수단(35)의 탄지력에 의하여 케이스(22)의 후단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인입을 완료시킨다. 또, 이 상태에서, 미닫이문의 개방조작에 의하여, 작동부재(3)가 훅체(36)와 함께 케이스(22)의 전단측으로 슬라이드되고, 탄지수단(35)에 탄지력을 축적한다. 또한 미닫이문이 개방조작되면, 훅체(36)는, 자동복귀기구(4)를 통한 작동부재(3)의 복귀작동에 의하여, 걸어맞춤 볼록부(44)가 이동 홈부(32)에서 회동 홈부(33)로 이행되어 도 20(a)의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이상과 같은 인입유닛과 함께, 미닫이문의 이동속도를 완화하는 제동기구로서 작동부재(스토퍼 핀)에 의하여 압압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 는 완충부재를 가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동력은, 회전식 댐퍼와는 별도로 부여되고, 작동부재가 케이스 내의 완충부재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발생하며 미닫이문의 속도에 비례해 증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290769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16521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미닫이문이 폐색조작될 때, 도중에서 탄지수단(35)의 탄지력에 의하여 폐색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미닫이문의 불완전한 폐색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우의 미닫이문(A, B)을 교차하여 개폐하는, 이른바 장지문에 적용하여, 각 미닫이문(A, B)을 도중에서 폐색위치, 및 도중에서 개방위치로 각각 자동으로 인입하도록 하는 경우, 인입유닛(21A ~ 21D)을 본체측의 적어도 4개소에 부착해야 하므로, 비용 및 부착공정의 수가 증대하여 채용 자체가 제약된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인입유닛(21A)은 미닫이문(A)의 폐색 시의 인입을, 인입유닛(21B)은 미닫이문(B)의 개방 시의 인입을, 인입유닛(21C)는 미닫이문(A)의 개방 시의 인입을, 인입유닛(21D)는 미닫이문(B)의 폐색 시의 인입을 맡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략화를 도모하면서, 예를 들어 미닫이문의 폐색 시 및 개방 시에 있어서 인입작동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장지문의 각 미닫이문의 폐색 시 및 개방 시의 각 인입작동도 구성하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 비용 및 부착공정의 수를 억제하여 용도 확대와 편의성을 향상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제 1 특징에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공통된 구성으로 특정한 것으로,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드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각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측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쌍을 이루는 래치와, 상기 양 이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이동부재의 래치 지지부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의 도중 또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의 도중까지 전환하면, 상기 이동체에 부설된 작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일측의 래치의 상기 걸림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타측의 래치측으로 상기 이동부재 및 탄지수단을 통한 접근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까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체로서는 미닫이문 이외에 서랍 등도 포함된다. 본체로서는 미닫이문용의 프레임이나 서랍용의 수납부 등도 포함된다. 제 1 위치는 이동체를 완전히 폐색한 위치 혹은 완전히 개방한 위치를 나타내고, 이것에는 이동체를 수납부에 완전히 압입한 폐색위치 혹은 완전히 인출한 개방위치도 포함된다. 제 2 위치는 이동체를 완전히 개방한 위치 혹은 완전히 폐색한 위치를 나타내고, 이것에는 이동체를 수납부에서 완전히 인출한 개방위치 혹은 압입한 폐색위치도 포함된다. 작동부재는, 「일측의 래치의 상기 걸림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타측의 래치측으로 상기 이동부재 및 탄지수단을 통한 접근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까지(이동체가) 인입되도록」기능하면, 각 형태의 걸어맞춤 핀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은 핀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특정한 것으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가 서로 접근/이간하는 1쌍의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의 도중 또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의 도중까지 전환하면, 상기 이동체에 부설된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의 래치의 상기 걸림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타측의 래치측으로 상기 슬라이더 및 탄지수단을 통한 접근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까지 인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서는, 제 2 실시형태로 특정한 것으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는, 래크 및 상기 래크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를 가진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의 도중 또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의 도중까지 전환하면, 상기 이동체에 부설된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의 래치의 상기 걸림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일측의 래치측으로 상기 래크 또는 상기 슬라이더, 및 탄지수단을 통한 접근 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까지 인입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 상기 인입유닛은, 상기 각 이동부재의 슬라이드(즉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드 속도를 상기 이동부재를 통하여)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제 4 특징). 이 경우, 상기 제동수단은, 피스톤식 댐퍼 또는 회전식 댐퍼의 구성(제 5 특징)이 바람직하지만, 특허문헌 2의 제동수단이나 그것과 유사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 3 특징의 경우는,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식 댐퍼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제 6 특징).
〈나〉 상기 인입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탄지수단과, 상기 쌍을 이루는 래치를 2쌍씩 배치하고 있는 구성이다(제 7 특징).
〈다〉 상기 이동체는 미닫이문이며, 상기 제 1 위치가 미닫이문의 폐색위치, 상기 제 2 위치가 미닫이문을 모두 개방한 개방위치이다(제 8 특징).
〈라〉 상기 이동체는 장지문이며, 상기 인입유닛은 상기 장지문을 배치하고 있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 상변 또는/및 프레임 하변의 대략 중간부에 부착되는 구성이다(제 9 특징).
또, 본 발명의 제 10 특징은, 상기 슬라이드 보조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부만으로 특정한 것으로,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에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드 보조기구에 이용되는 제 1 특징 내지 제 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입유닛이다.
〈발명의 효과〉
제 1 특징의 발명은, 인입유닛이 케이스와 2개의 이동부재 및 래치 및 단일의 탄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이동체의 작동부재에 의하여, 이동체를 폐색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전환하는 도중, 및 개방방향에서 폐색방향으로 전환하는 도중, 즉 이동체를 각 도중의 위치에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인입하여 폐색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각각 전환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간이화에 의한 비용 및 부착공정의 수를 억제하여 용도의 확대와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 2 특징의 발명은, 제 1 특징의 효과에 부가하여,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가 같은 형태로 슬라이드되는 1쌍의 슬라이더, 즉 같거나 유사한 부재로 구성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각 슬라이더의 형상이나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구성 등도 간략화할 수 있다.
제 3 특징의 발명은, 제 1 특징의 효과에 부가하여,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가 래크 및 상기 래크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를 가진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른바 래크·피니언 기구를 통한 양호한 슬라이드 특성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제 6 특징과 같은 전개도 가능하게 된다.
제 4 특징의 발명은, 이동체가 각 도중의 위치에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하여 최종의 폐색위치 또는 개방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인입되는데, 이때, 제동수단을 통하여 이동체가 저속으로 폐색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충돌음이 발생할 우려도 없어진다.
제 5 특징의 발명은, 제동수단을 추가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피스톤식 댐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간소화하거나,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회전식 댐퍼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기어를 통한 양호한 작동을 얻을 수 있다. 요점은, 용도나 요구되는 특성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 제 6 특징의 발명은, 제 3 특징의 회전기어가 회전식 댐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식 댐퍼의 제동력과 함께 래크·피니언 기구에 의한 양호한 슬라이드 특성도 부여할 수 있다.
제 7 특징 및 제 9 특징의 발명은, 예를 들어, 장지문의 각 미닫이문을 단일한 인입유닛과 복수의 작동부재에 의하여, 각 미닫이문을 도중에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인입하여 폐색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각각 전환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 비해 비용을 저감하여 각 미닫이문의 전환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8 특징의 발명은, 이동체를 미닫이문으로 한 형태이며, 미닫이문을 폐색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전환하는 도중, 및 개방방향에서 폐색방향으로 전환하는 도중에서 최종의 폐색위치 또는 개방위치까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하여 인입하고, 이것에 의하여 미닫이문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0 특징의 발명은, 예를 들어, 이상의 슬라이드 보조기구의 주요부인 각 인입유닛을 작동부재와 짝을 이루도록 해서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이용자가 용도에 따른 타입을 선택하여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제 1 실시형태의 인입유닛의 하면도, (b)는 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우단면도
도 2는 도 1(b)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b)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4(a)는 상기 인입유닛과 장지문을 배치하고 있는 본체측 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b)는 장지문을 개방위치로 전환한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c)는 장지문을 폐색위치로 전환한 개구부가 완전히 폐색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a), 도 5(b)는 도 4(a)의 상태에 있어서의 인입유닛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a), 도 6(b)는 도 4(b), 도 4(c)의 상태에 있어서의 인입유닛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a)는 상기 인입유닛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하면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
도 8(a)는 상기 케이스의 커버를 나타내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도 8(a)의 D-D선 단면도
도 9(a)는 상기 인입유닛의 래치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9(b), 도 9(c)는 상기 인입유닛의 2개의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10(a), 도 10(b)는 상기 인입유닛의 2개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a)는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의 하면도, (b)는 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우단면도
도 12는 도 11(b)의 E-E선 확대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각 부재를 생략한 케이스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a) ~ 도 14(c)는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과 장지문을 배치하고 있는 본체측 프레임의 관계를 도 4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a), 도 15(b)는 도 14(a)의 상태에 있어서의 인입유닛의 요부를 상하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a), 도 16(b)는 도 14(b), 도 14(c)의 상태에 있어서의 인입유닛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a)는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의 래치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17(b), 도 17(c)는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의 래크와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18은 상기 래크의 상세를 나타내며, (a)는 상기 래크의 하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
도 19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세를 나타내며, (a)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도, (b)는 상면도, (c)는 측면도, (d)는 도 19(b)의 F-F선 단면도, (e)는 도 19(c)의 G-G선 단면도
도 20(a), 도 20(b)는 특허문헌 1의 기구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특허문헌 1의 기구를 장지문에 적용하는 경우의 설명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 도 10(b)는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1(a) ~ 도 19(e)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작도 상 일부를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는 작동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동수단인 피스톤식 댐퍼를 생략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구의 특징, 제 1 실시형태의 인입유닛 및 조립과 작동,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 및 조립과 작동의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
〈기구의 특징〉
본 발명의 슬라이드 보조기구는, 도 10(a),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7)측에 부착되는 제 1 실시형태의 인입유닛(6 또는 6A),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6C 또는 6D)과, 이동체로서 미닫이문(A ~ C)측에 형성되는 작동부재로서의 복수의 걸어맞춤 핀(9)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7)는, 예를 들어, 개구부를 가진 주방가구나 선반 등, 또는 수납공간을 가진 책상이나 복사기 등이다. 이동체는, 미닫이문(A, B) 또는 미닫이문(C)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용의 인출체 등이어도 좋고, 본체(7)의 개구부나 수납공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등을 따라 폐색위치(인출 체에서는 압입(押入)위치에 상당함)와 개방위치(인출체에서는 인출위치에 상당함)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인입유닛(6 또는 6A), 혹은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6C 또는 6D)은, 도 10(a), 도 10(b)에 예시한 것과 같이 대상이 되는 이동체의 타입에 따라, 다음의 2종류의 구성으로 크게 구분된다.
제 1 구성은,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로 나타낸 인입유닛(6 또는 6C)이다. 이 인입유닛(6 또는 6C)은, 이동체로서, 도 10(a)의 장지문을 구성하고 있는 각 미닫이문(A, B)을 각각 인입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으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공통된 구성으로 특정하면, 본체(7)측에 부착되는 케이스(1 또는 1A)와, 이 케이스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제 1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슬라이더(2A, 2B),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래크(60) 및 이 래크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43)를 가진 슬라이더(71)}와, 상기 각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1)측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쌍을 이루는 래치(5 또는 5A)와, 상기 양 이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이동부재의 래치 지지부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3 또는 3A)을 단위(單位)로 하고, 그 2쌍을 케이스(1 또는 1A)에 대하여 배치하고 있다. 인입유닛(6 또는 6C)을 사용하는 경우는, 미닫이문(A) 및 미닫이문(B)에 대하여 걸어맞춤 핀(9)을 각각 2개씩 돌출 형성하게 된다.
제 2 구성은, 도 10(b)에 예시한 이동체로서 단일의 미닫이문(C)을 본체(7A)의 개구부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인입유닛(6A 또는 6D)이다. 각 인입유닛(6A 또는 6D)은, 도시를 생략했지만,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제 1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슬라이더(2A, 2B),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래크(60) 및 이 래크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43)를 가진 슬라이더(71)}와, 상기 각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1)측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쌍을 이루는 래치(5 또는 5A)와, 상기 양 이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이동부재의 래치 지지부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3 또는 3A)을 케이스{이 구성에서는 케이스(1 또는 1A)의 대략 절반 크기가 된다}에 대하여 배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인입유닛(6A 또는 6D)은, 도 2 및 도 3에서 편측의 슬라이더(2A, 2B)와, 탄지수단(3) 및 제동수단(4)과, 래치(5, 5)를 생략한 구성, 또는, 도 12에서 편측의 래크(60) 및 슬라이더(71)와, 탄지수단(3A) 및 제동수단(4A)과, 래치(5, 5)를 생략한 구성이며, 이하의 인입유닛(6 또는 6C)에서 용이하게 이해되므로, 이것 자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 인입유닛(6A 또는 6D)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동체인 미닫이문(C)에 대하여 2개의 걸어맞춤 핀(9)을 돌출 형성한다.
〈제 1 실시형태의 인입유닛〉
도 l(a) ~ 1(d)는 인입유닛을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인입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고, 도 4(a) ~ 4(c)와 도 10(a), 도 10(b)는 사용예를 나타내고, 도 5(a), 도 5(b) 및 도 6(a), 도 6(b)는 요부 작동을 나타내고, 도 7(a) ~ 도 9(c)는 인입유닛의 구성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인입유닛(6)은, 케이 스(1)에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쌍을 이루는 슬라이더(2A, 2B)와, 슬라이더(2A, 2B)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3)과, 각 슬라이더(2A, 2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1)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들을 이간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쌍을 이루는 래치(5, 5)로 이루어진다.
이 중, 케이스(1)는, 도 l(a) ~ 도 1(d)와 도 7(a) ~ 7(c) 및 도 8(a) ~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을 개구한 공간부(10)와, 공간부(10)의 좌우에 돌출되어 있는 본체측에 대한 부착부(l0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공간부(10)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커버(15) 등을 가지고 있다. 공간부(10)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용기형상을 이루고, 상면(11)과 양 측면(12)과 좌우의 단면(13)으로 구획되어 있다. 커버(15)는, 공간부(10)에 대략 수납되는 평평한 용기형상을 이루며, 내측이 하면(16)과 양 측면(17)과 좌우의 단면(18) 및 내부를 이분하고 있는 칸막이부(17b)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예에서는, 케이스(1)의 하측이 개구된 공간부로 했지만, 본 발명의 인입유닛을 저면부 또는 측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공간부의 하측이 개구되지 않고, 상측이 개구된 공간부나 측면부가 개구된 공간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양 측면(12) 및 양 측면(17)에는, 커버(15)를 공간부(10)에 배치했을 때에 서로 걸어맞춰지는 볼록한 형상의 걸림부(12a)와 구멍형상 걸어맞춤부(17a)가 복수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단면(13) 및 각 단면(18)에는, 커버(15)를 공간부(10)에 배치했을 때에 각각 내외가 연이어 통하여 걸어맞춤 핀(9)을 통과 시키는 凹형상 또는 뒤집어진 凹형상의 개구(13a, 18a)가 편측 2개소에서, 좌우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측의 하면(16)에는, 가이드 구멍(18b)이 좌우의 각 개구(13a, 18a)와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핀(9)은, 케이스(1)에 대하여 단면(13)의 개구(13a)와, 단면(18)의 개구(18a)에서, 가이드 구멍(18b)을 따라 케이스(1) 내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면(11) 및 하면(16)에는, 부착구멍(12c, 16a)과, 2개의 슬라이더용 가이드 홈(12b, 16b)과, 2개의 래치용 가이드 홈(14, 19)이 대략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부착구멍(12c, 16a)에는, 커버(15)를 공간부(10)에 장착할 때에 나사(S)가 삽입된다. 각 가이드 홈(12b, 16b)은, 각각 쌍을 이루는 직선 홈이며, 후술하는 슬라이더(2A, 2B)의 상하면에 형성된 돌기(22, 32)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슬라이더(2A, 2B)의 슬라이드를 안내한다. 각 가이드 홈(14, 19)은, 각각 가이드 홈(12b, 16b)과 평행한 쌍을 이루는 직선 홈(14a, 19a)과, 직선 홈(14a, 19a)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L자형상의 걸림 홈(14b, 19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가이드 홈(14, 19)은, 후술하는 래치(5)의 상하면에 형성된 볼록부(52)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직선 홈(14a, 19a)을 따라 래치(5)의 슬라이드를 안내하고, 또한,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과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래치(5)(및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걸어 고정한다. 또한 각 걸림 홈(14b, 19b)은, 선단의 홈 폭이 기부의 홈 폭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래치(5)의 볼록부(52)가 걸어맞춰졌을 때에 예기치 않게 걸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슬라이더(2A, 2B)는, 도 2 및 도 3과 도 9(a) ~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 기한 케이스측 상면(11)과 커버측 하면(16)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블록형상을 이루고, 상하면(20, 21) 또는 상하면(30, 31)에 돌기(22 또는 32)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래치(5)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홈(23 또는 33)을 가지고 있는 점, 블럭형상의 측면에 탄지수단(3)인 코일스프링의 대응하는 단부를 거는 걸림축(25 또는 35)을 형성하고 있는 점, 도 5(a), 도 5(b)와 같이 래치(5)를 샤프트(8)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구멍(26 또는 36)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되어 있다. 이때, 각 돌기(22 또는 32)는, 상하면의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한 가이드 홈(12b, 16b)에 끼워맞춰진다. 각 홈(23 또는 33)은, 축 구멍(26, 36)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고,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걸림 축(25 또는 35) 및 축 구멍(26 또는 36)은, 블록형상의 편측부에 1단 돌출된 지지부(24 또는 34)를 형성하고, 걸림 축(25 또는 35)이 이 지지부(24 또는 34)의 단면에서 돌출됨과 아울러, 축 구멍(26 또는 36)이 상기 지지부(24 또는 34)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또, 슬라이더(2A)에는, 상기 지지부(24)와 반대측의 편측부를 따라서 배치된 단면이 대략 U자형인 유지부(27)와, 상기 유지부(27)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유지부(27)보다 지름이 작은 U자형상 클램프부(28a)와, 유지부(27)의 타단측에 위치하여 클램프부(28a)보다 지름이 작은 U자형상 클램프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2B)에는, 상기 지지부(34)의 반대측의 편측부를 따라서 관통되어 있는 유지구멍(37)과, 상기 유지구멍(37)의 구멍 내의 일부를 지름을 작게 한 부착구멍(38)(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2A, 2B)는, 일측이 걸림 상태이고 타측이 슬라이드될 때, 반대로 타측이 걸림 상태이고 일측이 슬라이드될 때, 상기 슬라이드가 제동수단(4)에 의해 제동된다. 그리고, 이 형태에서는, 그 제동수단(4)으로서 피스톤식 댐퍼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양 슬라이더(2A, 2B)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동수단으로서 회전식 댐퍼를 사용하는 경우는 같은 형상이나 비슷한 형상으로 설정 가능하다.
또, 이상의 슬라이더(2A, 2B)에는, 래치(5)가 지지부(24, 34)측의 축 구멍(26, 36)에 삽입되는 샤프트(8)를 통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래치(5)는, 도 9(a) ~ 9(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훅부(50)와, 훅부(50)의 기부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쌍을 이루는 아암부(51)와, 각 아암부(51)의 대략 중간부에 각각 동 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축 구멍(53)과, 각 아암부(51)의 단부측의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52)와, 각 아암부(51)의 축 구멍(53) 부근에 형성되어 훅부(5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54)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 중, 훅부(50)는, 도 6(a), 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래치(5)가 샤프트(8)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된 상태에서, 걸어맞춤 핀(9)을 구속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아암부(51)는, 상기한 지지부(24, 34)의 판두께에 대응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조립〉
이상의 각 부재는, 예를 들어, 각 래치(5)를 슬라이더(2A, 2B)에 회전 가능 하게 지지한 후, 슬라이더(2A, 2B) 들을 제동수단인 피스톤식 댐퍼에 부착한다. 이것을 2쌍 제작하여, 이것들을 케이스(1)에 탄지수단(3)과 함께 조립하고, 또한 케이스(1)에 커버(15)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인입유닛(6)으로서 완성된다.
우선, 각 래치(5)는, 슬라이더(2A, 2B)에 대하여, 지지부(24, 34)측의 축 구멍(26, 36)에 삽입되는 샤프트(8)를 통하여 각각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각 래치(5)는, 아암부(51)들의 사이에 슬라이더(2A)의 지지부(24), 또는 슬라이더(2B)의 지지부(34)를 배치하고, 또한 축 구멍(53)과 축 구멍(26), 또는 축 구멍(53)과 축 구멍(36)을 일치시킨 후, 샤프트(8)가 각 축 구멍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2A, 2B)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샤프트(8)의 양 단부는 적절하게 빠지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있다.
이어서, 슬라이더(2A)와 슬라이더(2B)는, 제동수단(4)인 피스톤식 댐퍼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 피스톤식 댐퍼로서는 공지의 것(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29564호 등)이면 좋고, 실린더(40) 및 상기 실린더(40)에 완만하게 출몰되는 피스톤 로드(41)를 가지고, 피스톤 로드(41)가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40)에 대하여 완만하게 구동하거나 실린더(40)가 고정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41)에 대하여 완만하게 구동하는 구성이면 좋다. 그리고, 이 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더(2A)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린더의 선단부를 유지부(27) 내에 지름방향에서 압입해서 구속함과 아울러, 실린더의 대응부를 양 단부의 클램프부(28a, 28b)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실린더(40)에 대하여 장착된다. 이것에 대하여, 슬라이더(2B)는, 피스톤 로드(41)의 선단부를 유지구멍(37)에 일단측에서 삽입한 상태에서, 유지구멍(37)의 타단측에서 나사(S2)를 부착구멍(38)을 통하여 피스톤 로드(41)의 선단측에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41)에 대하여 장착된다.
이어서, 이상의 래치(5)를 가지는 슬라이더(2A, 2B), 제동수단(4), 탄지수단(3)을 1쌍으로 하고, 그 2쌍이 케이스(1)에 대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커버(15)에 의해 덮인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도 5(a),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1)의 가이드 홈(12b)에 대하여 슬라이더(2A)와 슬라이더(2B)의 그 대응하는 돌기(22) 또는 돌기(32)를 끼워맞추고, 케이스(1)의 가이드 홈(14)에 대하여 각 래치(5)의 그 대응하는 볼록부(52)를 끼워맞추고, 이 상태에서, 탄지수단(3)인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더(2A)와 슬라이더(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슬라이더(2A)의 걸림축(25)에 걸리고, 타단이 슬라이더(2B)의 걸림축(35)에 걸리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2A, 2B)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도 5(a),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더(2A)와 슬라이더(2B)를 탄지수단(3)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최대(L)까지 이간시켜서, 슬라이더(2A)측의 래치(5)의 볼록부(52)를 일측의 걸림홈(14b) 걸어맞추고, 슬라이더(2B)측의 래치(5)의 볼록부(52)를 타측의 걸림홈(14b)에 걸어맞춰둔다. 이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2A)측의 래치(5)와 슬라이더(2B)측의 래치(5)는, 도 6(a), 도 6(b)와 도 5(a),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훅부(50)를 해당 슬라이더측에 접근하는 자세{걸어맞춤 핀(9)과 걸어맞춰지는 자세, 이하, 이것을 인입자세라고 한다}에서, 샤프트(8)를 지지점으로 해서 훅부(50)가 해당 슬라이더측에서 이 간되는 자세{걸어맞춤 핀(9)과 걸어맞춰지지 않은 자세, 이하, 이것을 비 인입자세라고 한다}로 회동된다. 인입자세에서는, 래치(5)의 지지부(54)가 슬라이더(2A)의 홈(23), 또는 슬라이더(2B)의 홈(33)과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그 자세로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커버(15)가 케이스(1)에 부착된다. 이 조작에서는, 커버(15)가 케이스측 공간부(10)에 배치된 후, 복수의 나사(S)가 케이스측 부착구멍(12c)에서 커버측 부착구멍(16a)에 삽입된다.
〈작동〉
제작된 슬라이드 보조기구의 주요부가 되는 인입유닛(6)은, 상기한 조립상태에 있어서, 각 슬라이더(2A, 2B), 각 래치(5), 제동수단(4) 및 탄지수단(3)이 케이스측 상면(11)과 커버측 하면(16)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각 슬라이더(2A, 2B)는, 상하의 돌기(22, 32)가 대응하는 상하의 가이드 홈(12b, 16b)에 끼워맞춰지고 이 끼워맞춰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된다. 각 래치(5)는, 상하의 볼록부(52)가 대응하는 상하의 가이드 홈(14, 19)에 끼워맞춰지고 각 볼록부(52)가 직선 홈(14a, 19a)에 끼워맞춰지면 상기한 인입자세가 되고, 각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 걸어맞춰지면 상기한 비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이어서, 구체적인 작동을 도 10(a)와 도 4(a) ~ 도 6(b)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4(a) ~ 도 4(c)는 상기한 슬라이드 보조기구{인입유닛(6)}를 도 10(a)의 장지문에 적용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부호 70은 본체(7)측의 개구부에 형성된 미닫이문용 프레임의 상변측 가이드레일을 상정하고 있다. 도 4(a)는 미닫이문(A, B)을 반 정도 개방한 상태이며, 가이드, 레일(70)측에 부착되는 인입유닛(6)과 미닫이문(A, B)에 형성되는 각 걸어맞춤 핀(9)의 개략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 도 4(a) ~ 도 4(c)에 있어서, 미닫이문(A, B)을 폐색위치로 전환해서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에는, 미닫이문(A)은 도 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에서 우측 즉 폐색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고, 미닫이문(B)은 도 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에서 도 4(a)의 좌측 즉 폐색방향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그러면, 미닫이문(A)은, 폐색위치의 바로 앞(도중)까지 슬라이드되면, 도 5(b)와 같이 좌측의 걸어맞춤 핀(9)이 슬라이더(2A)측의 래치(5)의 훅부(50)의 내측에 맞닿는다. 래치(5)는, 그 응력에 의하여 샤프트(8)를 지지점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각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서 걸림 해제되어 직선 홈(14a, 19a)에 끼워맞춰지고, 도 6(a)와 같이 걸어맞춤 핀(9)을 훅부(50)에 의해 구속한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슬라이더(2A)는, 래치(5)와 함께 탄지수단(3)의 탄지력에 의하여 슬라이더(2B)측으로 인입되어 폐색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2A)는 상하의 돌기(22)가 상하의 가이드 홈(12b, 16b)을 따라서 안내되고, 래치(5)는 상하의 볼록부(52)가 상하의 직선 홈(14a, 19a)을 따라서 안내된다. 또한 미닫이문(B)도 미닫이문(A)과 같은 형태로 해서 폐색위치로 전환된다. 또, 이 형태에서는, 미닫이문(A, B)이 상기한 탄지수단(3)의 탄지력에 의하여 슬라이드될 때에는 상기한 제동수단(4)의 제동을 받아 완만하게 슬라이드된다.
〈2〉 도 4(a) ~ 도 4(c)에 있어서, 미닫이문(A, B)을 개방위치로 전환해서 개구부를 완전히 폐색하는 경우는, 미닫이문(A)은 도 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 혹은 도 4(b)의 폐색위치에서 좌측 즉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고, 미닫이문(B)은 도 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 혹은 도 4(b)의 폐색위치에서 우측 즉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그러면, 미닫이문(A)은, 개방위치의 바로 앞(도중)까지 슬라이드되면, 도 5(b)와 같이 우측의 걸어맞춤 핀(9)이 슬라이더(2B)측의 래치(5)의 훅부(50)의 내측에 맞닿는다. 래치(5)는, 그 응력에 의해 샤프트(8)를 지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각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서 걸림 해제되어 직선 홈(14a, 19a)에 끼워맞춰지고, 도 6(b)과 같이 걸어맞춤 핀(9)을 훅부(50)에 의하여 구속한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슬라이더(2B)는, 래치(5)와 함께 탄지수단(3)의 탄지력에 의하여 슬라이더(2A)측으로 인입되어 개방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2B)는 상하의 돌기(32)가 상하의 가이드 홈(12b, 16b)을 따라서 안내되고, 상기 래치(5)는 상하의 볼록부(52)가 상하의 직선 홈(14a, 19a)을 따라서 안내된다. 또한 미닫이문(B)도 미닫이문(A)과 같은 형태로 해서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미닫이문(A, B)이 상기한 탄지수단(3)의 탄지력에 의해 슬라이드될 때에는 상기한 제동수단(4)의 제동을 받아 완만하게 슬라이드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
도 11(a) ~ 도 11(d)는 인입유닛을 나타내고, 도 12 및 도 13은 인입유닛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고, 도 14(a) ~ 도 14(c)는 사용예를 나타내고, 도 15(a), 도 15(b) 및 도 16(a), 도 16(b)는 요부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17(a) ~ 도 19(e)는 인입유닛의 주된 구성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인입유닛(6C)은, 케이스(1A)에 배치되어 있는 래크(60), 및 이 래크(60)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43)를 가진 슬라이더(71)와, 래크(60)와 슬라이더(71)를 회전기어(43)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3A)과, 래크(60) 및 슬라이더(7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1A)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것에 의해 래크(60)와 슬라이더(71)를 소정 상태로 유지 가능한 쌍을 이루는 래치(5A, 5A)로 이루어진다.
이 중, 케이스(1A)는,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1)와 유사하기 때문에 단품 도면을 생략하고, 또, 제 1 실시형태와 작용적으로 같은 부재 및 부위에 동일 부호를 부여했다. 즉, 케이스(1A)는, 도 11(a) ~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측을 개구한 공간부(10)와, 공간부(10)의 좌우에 돌출되어 있는 본체측에 대한 부착부(l0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공간부(10)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커버(15A) 등을 가지고 있다. 공간부(10)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용기형상을 이루며, 상면(11)과 양 측면(12)과 좌우의 단면(13)으로 구획되어 있다. 커버(15A)는, 공간부(10)에 대략 수납되는 평평한 용기형상을 이루고, 내측이 하면(16)과 양 측면(17)과 좌우의 단면(18) 및 내부를 이분하고 있는 칸막이부(17b)로 구획되어 있다.
또, 양 측면(12) 및 양 측면(17)에는, 커버(15A)를 공간부(10)에 배치했을 때에 서로 걸어맞춰지는 볼록한 형상의 걸림부(12a)와 구멍형상 걸어맞춤부(17a)가 복수의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단면(13) 및 각 단면(18)에는, 커버(15A)를 공간부(10)에 배치했을 때에 각각 내외를 연이어 통하게 하여 걸어맞춤 핀(9)을 통과시키는 凹형상 또는 뒤집어진 凹형상의 개구(13a, 18a)가 편측 2개소에서 좌우 쌍으로 이루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측의 하면(16)에는, 가이드 구멍(18b)이 좌우의 각 개구(13a, 18a)와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핀(9)은, 케이스(1)에 대하여 단면(13)의 개구(13a)와, 단면(18)의 개구(18a)에서, 가이드 구멍(18b)을 따라 케이스(1A) 내에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11) 및 하면(16)에는, 부착구멍(12c, 16a)과, 대향하는 가이드 홈(12b, 16b)(도 15(a), 도 15(b) 참조)과, 래치용 가이드 홈(14, 19)이 대략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부가해서, 상면(11)에는, 도 15(a), 도 15(b)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가이드 홈(12b)과 평행하며, 가이드 홈(12b)보다 짧은 가이드 홈(1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부착구멍(12c, 16a)에는, 커버(15A)를 공간부(10)에 장착할 때에 나사(S)가 삽입된다. 각 가이드 홈(12b, 16b)은, 각각 쌍을 이루는 직선 홈이며, 래크(60)의 상하면에 형성된 돌기(66, 65)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래크(60)의 슬라이드를 안내한다. 각 가이드 홈(14, 19)은, 각각 가이드 홈(12b, 16b) 및 가이드 홈(12d)과 평행한 쌍을 이루는 직선형상 홈(14a, 19a)과, 직선형상 홈(14a, 19a)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L자형상의 걸림 홈(14b, 19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가이드 홈(14, 19)은, 후술하는 래치(5A)의 상하면에 형성된 볼록부(52)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직선 홈(14a, 19a)을 따라 래치(5A)의 슬라이드를 안내하고, 또한,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래치(5A)의 슬라이드를 걸어 고정한다.
래치(5A)도,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했다. 즉, 래치(5A)는, 도 17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U자형상의 훅부(50)와, 훅부(50)의 기부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1쌍의 아암부(51)와, 각 아암부(51)의 대략 중간부에 각각 동 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축 구멍(53)과, 각 아암부(51)의 단부측의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52)와, 각 아암부(51)의 축 구멍(53) 부근에 형성되어 훅부(5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54)와, 훅부(50)의 지지부(54)측의 벽면에 형성된 창부(55)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 중, 훅부(50)는, 도 16(a), 도 1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래치(5A)가 샤프트(8a)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된 상태에서, 걸어맞춤 핀(9)을 구속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래크(60)는, 도 12 및 도 17(a) ~ 도 17(c)와 도 18(a) ~ 도 1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한 케이스측 상면(11)과 커버측 하면(16)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가늘고 긴 아암형상을 이루고, 양 단부(61, 62)가 하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 단면에 형성되어 커버측 가이드 홈(16b)에 끼워 맞춰지는 돌기(65, 65)와, 일측의 단부(61) 부근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판부(64)와, 지지판부(64)와 타측의 단부(62)에 약간 못 미치는 부분의 사이에 있어서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파도형상의 톱니부(63)와, 일측의 단부(61) 부근의 측면에서 지지판부(64)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용 걸림축(67)을 가지고 있다. 이때, 지지판부(64)는, 상기 래치측의 양 아암부(51)의 사이에 삽입되는 판두께로 설정되고, 축 구멍(64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면에 래치용 규제벽부(64b)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판부(64)에는, 래치(5A)가 도 18(a), 도 18(b)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배치되고, 샤프트(8a)가 일측의 축 구멍(53), 축 구멍(64a), 타측의 축 구멍(5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경우, 래치(5A)는, 도 15(a), 도 15(b)와 같이 훅부(50)가 걸어맞춤 핀(9)을 구속하지 않는 비 구속상태에서, 걸어맞춤 핀(9)에 의해 압압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8a)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하여, 훅부(50)의 개구가 래크(60)의 대응부에 근접하는 구속상태로 전환된다. 래치(5A)는, 훅부(50)의 대응부가 규제벽부(64b)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구속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더(71)는, 도 12 및 도 17(a) ~ 도 17(c)와 도 19(a) ~ 도 19(e)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한 케이스측 상면(11)과 커버측 하면(16)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블럭형상을 이루고, 상면(72)측에 형성된 댐퍼용 걸어맞춤 오목부(74) 및 돌기(78a, 78b)와, 일측을 따라 형성된 스프링 받이부(75) 및 스프링용 걸림축(77)과, 하면(73)에 형성된 돌기(79) 및 래치용 배치부(73a)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이때, 래치용 배치부(73a)는, 하면(73)의 일단측 모서리부를 1단 낮은 단차형상으로 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73b)는 래치용 규제벽부이다. 걸어맞춤 오목부(74)는, 회전식 댐퍼(4A)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1쌍의 부착구멍(74a)이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일측부에 노치부(74b)를 개구 형성하고 있다. 돌기(78a, 78b)는 상기한 가이드 홈(12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스프링 받이부(75)는, 코일형 스프링을 수용 가능한 단면이 대략 C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 다. 돌기(79)는 커버측 가이드 홈(16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이상의 슬라이더(71)에는 래치(5A) 및 회전식 댐퍼(4A)가 조립된다. 이 중, 래치(5A)는, 도 19(a), 도 19(b)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더(71)의 대응부에 배치되어, 샤프트(8a)가 일측 축 구멍(53), 축 구멍(76), 타측 축 구멍(5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래치(5A)는, 도 15(a), 도 15(b)와 같이 훅부(50)가 걸어맞춤 핀(9)을 구속하지 않는 비 구속상태에서, 걸어맞춤 핀(9)에 의해 압압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8a)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하여, 훅부(50)의 개구가 슬라이더(71)의 스프링 받이부(75)의 연장선 상에 근접하는 구속상태{도 19(a), 도 19(b)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래치(5A)는, 훅부(50)의 대응부가 규제벽부(73b)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구속상태를 유지한다.
회전식 댐퍼(4A)는, 걸어맞춤 오목부(74)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이 댐퍼(4A)는, 주지의 회전식 오일 댐퍼 등으로 이루어지고, 본체(42) 및 본체 내의 작동유의 저항을 받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출력축에 장착된 회전기어(43)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식 댐퍼(4A)는 에어 댐퍼이어도 좋다.
〈조립〉
이상의 각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한 요령으로 각 래치(5A)를 래크(60)와 슬라이더(7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슬라이더(71)에 제동수단(4A)인 회전식 댐퍼를 장착하고, 또, 이것을 2쌍 제작한 후, 이것들을 케이스(1A)에 각 탄지 수단(3A)과 함께 조립하고, 또한 케이스(1A)에 커버(15A)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인입유닛(6C)으로서 완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래치(5A)를 부착한 래크(60)와, 제동수단(4) 및 래치(5A)를 부착한 슬라이더(71)와, 탄지수단(3)을 조립하고, 그 2쌍이 케이스(1A)에 대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커버(15A)에 의해 덮인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도 15(a), 도 1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1A)의 가이드 홈(12b)에 대하여 래크(60)의 돌기(66)를 끼워맞추고, 케이스(1A)의 가이드 홈(12d)에 대하여 슬라이더(71)의 돌기(78a, 78b)를 끼워맞추고, 케이스(1A)의 가이드 홈(14)에 대하여 각 래치(5A)의 그 대응하는 볼록부(52)를 끼워맞추고, 또한 제동수단(4A)인 회전댐퍼의 회전기어(43)를 래크측 톱니부(63)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탄지수단(3A)인 코일 스프링이 래크(60)와 슬라이더(71)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슬라이더(71)의 걸림축(77)에 걸리고, 타단이 래크(60)의 걸림축(67)에 걸리는 것에 의해, 래치(5A, 5A)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도 15(a), 도 1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래크(60)와 슬라이더(71)를 탄지수단(3A)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래치(5A, 5A)들을 최대(L)까지 이간시켜서, 래크측의 래치(5A)의 볼록부(52)를 일측의 걸림홈(14b)에 걸어맞추고, 슬라이더측 래치(5A)의 볼록부(52)를 타측의 걸림홈(14b)에 걸어맞춰 둔다. 이 과정에 있어서, 래크측 래치(5A)와 슬라이더측의 래치(5A)는, 도 16(a), 도 16(b)와 도 15(a), 도 1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훅부(50)가 톱니부(63)측에 접근하는 자세{걸어맞춤 핀(9)과 걸어맞춰지는 자세, 이 하, 이것을 인입자세라고 한다}에서, 샤프트(8a)를 지지점으로 해서 훅부(50)가 해당 톱니부(63)측에서 이간하는 자세{걸어맞춤 핀(9)과 걸어맞춰지지 않는 자세, 이하, 이것을 비 인입자세라고 한다}로 회동된다. 마지막으로, 커버(15A)가 케이스(1A)에 부착된다. 이 조작에서는, 커버(15A)가 케이스측 공간부(10)에 배치된 후, 복수의 나사(S)가 커버측 부착구멍(16a)에서 케이스측 부착구멍(12c)에 삽입되게 된다.
〈작동〉
제작된 슬라이드 보조기구의 주요부가 되는 인입유닛(6C)은, 상기한 조립상태에 있어서, 래크(60)와 제동수단(4A) 및 래치(5A), 슬라이더(71)와 래치(5A) 및 탄지수단(3A)이 케이스측 상면(12)과 커버측 하면(16)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래크(60)는, 상하의 돌기(66, 65)가 대응하는 상하의 가이드 홈(12b, 16b)에 끼워맞춰지고, 이 끼워맞춰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된다. 슬라이더(71)는, 상측의 돌기(78a, 78b)가 대응하는 가이드 홈(12d)에 끼워맞춰지고, 하측의 돌기(79)가 대응하는 가이드 홈(16b)에 끼워맞춰지고, 이 끼워맞춰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된다. 각 래치(5A)는, 상하의 볼록부(52)가 대응하는 상하의 가이드 홈(14, 19)에 끼워맞춰지고, 각 볼록부(52)가 직선 홈(14a, 19a)에 끼워맞춰지면 상기한 인입자세가 되고, 각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 걸어맞춰지면 상기한 비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또한 도 16(a), 도 16(b)에서는 번잡성을 피하기 위해 각 가이드 홈을 생략했다.
이어서, 구체적인 작동을 도 10(a)와 도 14(a) ~ 도 16(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4(a) ~ 도 14(c)는 이상의 슬라이드 보조기구(인입유닛(6C))를 도 10(a)의 장지문에 적용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부호 70은 본체(7)측의 개구부에 형성된 미닫이문용 프레임의 상변측 가이드레일을 상정하고 있다. 도 14(a)는 미닫이문(A, B)을 반 정도 개방한 상태이며, 가이드레일(70)측에 부착되는 인입유닛(6C)과, 미닫이문(A, B)에 형성되는 각 걸어맞춤 핀(9)의 개략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 도 14(a) ~ 도 14(c)에 있어서, 미닫이문(A, B)을 폐색위치로 전환해서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는, 미닫이문(A)은 도 1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에서 우측 즉 폐색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고, 미닫이문(B)은 도 1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에서 도 14(a)의 좌측 즉 폐색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그러면, 미닫이문(A)은, 폐색위치의 바로 앞(도중)까지 슬라이드되면, 도 15(b)와 같이 좌측의 걸어맞춤 핀(9)이 슬라이더측 래치(5A)의 훅부(50)의 내측에 맞닿는다. 래치(5A)는, 그 응력에 의하여 샤프트(8a)를 지지점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각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서 걸림 해제되어 직선 홈(14a, 19a)에 끼워맞춰지고, 도 16(a)와 같이 걸어맞춤 핀(9)을 훅부(50)에 의해 구속한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슬라이더(71)는, 래치(5A)와 함께 탄지수단(3A)의 탄지력에 의하여 래치(5A)측으로 인입되어 폐색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71)는, 상기한 돌기(78a, 78b) 및 돌기(79)가 상하의 가이드 홈(12d, 16b)을 따라 안내되고, 래치(5A)는 상하의 볼록부(52)가 상하의 직선 홈(14a, 19a) 을 따라 안내된다. 미닫이문(B)도 미닫이문(A)과 같은 형태로 해서 폐색위치로 전환된다. 또, 이 형태에 있어서, 미닫이문(A, B)은 상기 탄지수단(3A)의 탄지력에 의해 슬라이드될 때, 제동수단(4A)인 회전기어(43)가 래크측 톱니부(63)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동수단(4A)의 제동을 받아 완만하게 슬라이드된다.
〈2〉 도 14(a) ~ 도 14(c)에 있어서, 미닫이문(A, B)을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개구부를 완전히 폐색하는 경우는, 미닫이문(A)은 도 1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 혹은 도 14(b)의 폐색위치에서 좌측 즉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하고, 미닫이문(B)은 도 14(a)의 개방위치(반 정도 개방된 상태), 혹은 도 14(b)의 폐색위치에서 우측 즉 개방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다. 그러면, 미닫이문(A)은, 개방위치의 바로 앞(도중)까지 슬라이드되면, 도 15(b)와 같이 우측의 걸어맞춤 핀(9)이 래크측의 래치(5A)의 훅부(50)의 내측에 맞닿는다. 래치(5A)는, 그 응력에 의해 샤프트(8a)를 지지점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각 볼록부(52)가 걸림 홈(14b, 19b)에서 걸림 해제되어 직선 홈(14a, 19a)에 끼워맞춰지고, 도 16(b)와 같이 걸어맞춤 핀(9)을 훅부(50)에 의해 구속한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래크(60)는, 래치(5A)와 함께 탄지수단(3A)의 탄지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1)의 래치(5A)측으로 인입되어 개방위치에 도달한다. 이 경우, 래크(60)는 상하의 돌기(66, 65)가 상하의 가이드 홈(12b, 16b)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래치(5A)는 상하의 볼록부(52)가 상하의 직선 홈(14a, 19a)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미닫이문(B)도 미닫이문(A)과 같은 형태로 해서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또, 이 형태에서는, 미닫이문(A, B)이 상기한 탄지수단(3A)의 탄지력에 의하여 슬라이드될 때에는, 제동수 단(4A)의 제동을 받아 완만하게 슬라이드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같게 하고 있지만, 래크측 톱니부(65)와 제동수단측 회전기어(43)의 맞물림을 통하여 제동되기 때문에 제동력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은, 청구항에서 특정된 요건을 제외하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은, 용도적인 제약은 특별히 없고, 예를 들어, 이동체가 인출체나 트레이라면, 압입위치가 상기 형태의 폐색위치와 같은 의미가 되고, 인출위치가 상기 형태의 개방위치와 같은 의미가 된다.
또한 2006년 11월 1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6-306183호 및 2007년 3월 2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076620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드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각 이동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측의 대응부에 해제 가능하게 걸리는 쌍을 이루는 래치와, 상기 양 이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이동부재의 래치 지지부들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의 도중 또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의 도중까지 전환하면, 상기 이동체에 부설된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의 래치의 상기 걸림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타측의 래치측으로 상기 이동부재 및 탄지수단을 통한 접근구동에 수반하여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까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는, 서로 접근/이간하는 1쌍의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는, 래크 및 상기 래크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를 가진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유닛은, 상기 각 이동부재의 슬라이드를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이 피스톤식 댐퍼 또는 회전식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가 제동용 회전식 댐퍼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 1 이동부재 및 제 2 이동부재와, 상기 탄지수단과, 상기 쌍을 이루는 래치를 2쌍씩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미닫이문이며, 상기 제 1 위치가 미닫이문의 폐색위치, 상기 제 2 위치가 미닫이문을 완전히 개방한 개방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장지문이며, 상기 인입유닛이 장지문을 배치하고 있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 상변(上邊) 또는/및 프레임 하변(下邊)에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보조기구.
  10.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 로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드 보조기구에 이용되는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인입유닛.
KR1020097009798A 2006-11-13 2007-11-12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 KR101126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6183 2006-11-13
JPJP-P-2006-306183 2006-11-13
JPJP-P-2007-076620 2007-03-23
JP2007076620A JP5093881B2 (ja) 2006-11-13 2007-03-23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PCT/JP2007/071946 WO2008059804A1 (en) 2006-11-13 2007-11-12 Sliding assistance mechanism and pull-i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215A true KR20090082215A (ko) 2009-07-29
KR101126003B1 KR101126003B1 (ko) 2012-03-22

Family

ID=3940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798A KR101126003B1 (ko) 2006-11-13 2007-11-12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72167B2 (ko)
EP (1) EP2088270B1 (ko)
JP (1) JP5093881B2 (ko)
KR (1) KR101126003B1 (ko)
CN (1) CN101535588B (ko)
TW (1) TW200840929A (ko)
WO (1) WO2008059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898B2 (ja) * 2007-02-07 2012-09-05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両方向引き込みユニット
JP5102540B2 (ja) * 2007-06-04 2012-12-19 有限会社 石井商事 引き戸の走行制御装置
JP4319687B2 (ja) * 2007-11-22 2009-08-26 株式会社シモダイラ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4852569B2 (ja) * 2008-05-31 2012-01-11 株式会社シモダイラ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5294714B2 (ja) * 2008-06-06 2013-09-18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
IT1392066B1 (it) * 2008-10-13 2012-02-09 Agostino Ferrari Spa Dispositivo ammortizzante per elementi scorrevoli di elementi di arredamento
DE202009000616U1 (de) * 2009-01-15 2010-05-27 Hettich-Heinze Gmbh & Co. Kg Schiebetürbeschlag für zweiflügelige Schiebetür
WO2010092697A1 (ja) 2009-02-16 2010-08-19 株式会社ニフコ 移動体の移動装置
JP5336252B2 (ja) * 2009-04-24 2013-11-06 株式会社シモダイラ 戸閉具
JP2011006872A (ja) 2009-06-24 2011-01-13 Nifco Inc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4895317B2 (ja) * 2010-02-24 2012-03-14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JP5433466B2 (ja) * 2010-03-17 2014-03-05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JP2011196015A (ja) 2010-03-17 2011-10-06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EP2372064A1 (en) * 2010-04-01 2011-10-05 Elfa International AB Sliding door arrangement
DK2372066T3 (en) * 2010-04-01 2017-01-16 Elfa Int Ab sliding Interior
JP2011247053A (ja) 2010-05-31 2011-12-08 Nifco Inc 移動補助装置
JP5285679B2 (ja) 2010-11-16 2013-09-11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JP2012127139A (ja) * 2010-12-16 2012-07-05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JP5553780B2 (ja) * 2011-01-11 2014-07-16 株式会社シブタニ 可動体の自走機構
CN102174870A (zh) * 2011-01-28 2011-09-07 李浩典 与移门缓冲自关器配合实现移门缓冲自关的推拉扣
JP2012193492A (ja) * 2011-03-14 2012-10-11 Nifco Inc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DE102011109552B4 (de) * 2011-08-05 2015-04-30 Steelcase Werndl Ag Beschlagsystem zum Führen einer Verschlussklappe eines Möbelstücks sowie ein Möbelstück mit diesem
DE102012103629A1 (de) * 2012-04-25 2013-10-31 Hettich-Oni Gmbh & Co. Kg Schlepptürbeschlag
JP5926119B2 (ja) * 2012-05-28 2016-05-25 家研販売株式会社 ソフト開閉装置
DE102013114309A1 (de) * 2013-12-18 2015-06-18 Paul Hettich Gmbh & Co. Kg Einzugs- und Dämpfungseinheit für ein Schiebeelement
US10968663B2 (en) * 2016-08-30 2021-04-06 Pella Corporation Multi-point locking system
EP3680444A4 (en) * 2017-09-06 2021-08-11 TOK, Inc.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FOR MANUAL BLIND DEVICE AND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FOR HANGING SLIDING DOOR
US11118385B2 (en) * 2018-04-09 2021-09-14 ASSA ABLOY Accessories and Door Controls Group, Inc. Integrated guide system and door seal for a soft close sliding door
US11156025B2 (en) 2018-07-05 2021-10-26 Schlage Lock Company Llc Latchbolt damping module
DE102018008201B4 (de) * 2018-10-14 2022-12-22 Günther Zimmer Einzugsvorrichtung für zwei Endlagen, Schiebetür und Schiebetüranordnung
JP7264741B2 (ja) * 2019-03-29 2023-04-25 三協立山株式会社 引戸
CN113107296A (zh) * 2021-05-13 2021-07-13 伦允强 一种用于扇体的导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2506A (en) * 1973-05-21 1974-07-09 Door Controls Door coordinating device
US4572156A (en) * 1984-09-25 1986-02-25 De Soto, Inc. Fireplace screen assembly
US5148631A (en) * 1988-03-11 1992-09-22 Mark Iv Transportation Products Corporation Pneumatic door operator having pneumatic actuator and lock
US4949505A (en) * 1989-05-26 1990-08-21 Von Duprin, Inc. Door cordinator
US5755060A (en) * 1995-06-09 1998-05-26 Vapor Canada, Inc. Compact panel lock for an overhead mounted door panel operator
US6497072B2 (en) * 1997-01-10 2002-12-24 Frip Ab Sliding panel for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 in a frame structure
JP3929163B2 (ja) 1997-12-11 2007-06-13 株式会社西製作所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CA2276300A1 (en) * 1998-06-24 1999-12-24 Rytec Corporation Seal for a bi-parting door
JP4746176B2 (ja) * 2000-07-14 2011-08-10 株式会社WEST inx 引き戸用反発防止装置
JP4255782B2 (ja) 2003-07-14 2009-04-15 Thk株式会社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JP4039672B2 (ja) * 2003-05-02 2008-01-30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クローザ機構
JP3930459B2 (ja) * 2003-06-30 2007-06-13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戸の戸閉装置
JP4459679B2 (ja) * 2004-03-30 2010-04-28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JP4077421B2 (ja) * 2004-03-31 2008-04-16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部材保持装置
JP4446824B2 (ja) * 2004-07-21 2010-04-07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補助装置
JP4446825B2 (ja) * 2004-07-21 2010-04-07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補助装置
JP2006045803A (ja) 2004-07-30 2006-02-16 Shimodaira:Kk 引戸の戸閉装置。
JP2006063767A (ja) * 2004-08-30 2006-03-09 Shimodaira:Kk 引戸の戸閉装置。
DE202004018970U1 (de) * 2004-12-08 2005-02-03 Hettich-Heinze Gmbh & Co. Kg Auszug, insbesondere Schwerlastauszug mit mindestens einem Schiebelement
JP4601503B2 (ja) * 2005-07-08 2010-12-22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緩衝装置、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8270A4 (en) 2013-07-10
US8272167B2 (en) 2012-09-25
CN101535588B (zh) 2012-11-28
KR101126003B1 (ko) 2012-03-22
JP5093881B2 (ja) 2012-12-12
EP2088270B1 (en) 2016-09-14
US20100037525A1 (en) 2010-02-18
CN101535588A (zh) 2009-09-16
TW200840929A (en) 2008-10-16
EP2088270A1 (en) 2009-08-12
WO2008059804A1 (en) 2008-05-22
JP2008144567A (ja)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003B1 (ko) 슬라이드 보조기구 및 인입유닛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KR102108269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6246913B2 (ja) 可動家具部材を移動させるための駆動機構
KR101209406B1 (ko) 인입기구
WO2011152232A1 (ja) 移動補助装置
JP2006299578A (ja) 引戸又は引出しの引込み装置
RU2594867C2 (ru) Шарнир
EP3059363A1 (en) Locking device
WO2012066883A1 (ja) 引込装置
JP2011196015A (ja) 摺動補助装置
WO2009148151A1 (ja) 摺動補助機構
JP2018514668A (ja) 移動可能な家具部品用の排出デバイス
JP5105629B2 (ja)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RU25978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тягивания подвижной детали мебели в среднее положение
KR101114070B1 (ko) 이동체의 구동장치
JP2006102294A (ja) 飛び出し・引き込み装置
CN1203243C (zh) 收纳柜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JP2014004330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KR20070093157A (ko)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JP4934204B2 (ja) 摺動補助装置
KR100372880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어셈블리
JP2020012366A (ja) 片方向制動装置、双方向制動装置、片方向制動ユニット、双方向制動ユニット、片方向制動ユニット付き引戸、双方向制動ユニット付き引戸
KR101129571B1 (ko) 선단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