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122A -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122A
KR20090080122A KR1020097012002A KR20097012002A KR20090080122A KR 20090080122 A KR20090080122 A KR 20090080122A KR 1020097012002 A KR1020097012002 A KR 1020097012002A KR 20097012002 A KR20097012002 A KR 20097012002A KR 20090080122 A KR20090080122 A KR 20090080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r
content
decoding
video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605B1 (ko
Inventor
가즈히코 나카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with particular housing, physical features or manual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3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42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n authentica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컨텐츠 판정 장치, 컨텐츠 판정 방법,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정보 재생 장치는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102)로부터, 컨텐츠를 판독하는 드라이브(101)와, 디크립터(103)와,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04)와, 스트림 속성 모니터(106)와,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및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107)과, 영상 디코더(105)와,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영상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 출력 제어 수단(108)을 갖는다.

Description

컨텐츠 판정 장치, 컨텐츠 판정 방법,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재생 방법, 및 정보 기록 매체{CONTENTS JUDGING DEVICE, CONTENTS JUDG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영상이나 음악 등의 디지털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컨텐츠 판정 장치, 컨텐츠 판정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이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어떤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부정하게 복사하는 행위(예컨대, 저작권 침해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이나 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등의 카피 오버패스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2bit의 저작권 보호 정보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저작권 보호 정보가 "00"이면 카피 가능, "10"이면 1회만 카피 가능, "11"이면 카피 금지를 나타낸다. 정보 기록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저작권 보호 정보를 준수한다. 그러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저작권 보호 정보는 부정하게 변질될 수 있다. 이 때문에, 2bit의 저작권 보호 정보에 더하여,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수득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2bit의 저작권 보호 정보와 같은 정보를 워터마크로서 부가해 두어, 재생 시에 양자를 검출하고, 양자의 비교 결과에 따라 디코더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할지, 출력을 금지할지를 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 기술에서는,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수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이 저작권 보호 기술에서는, 데이터 기록 시에, 보호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해 필요한 암호 키와 저작권 보호를 위한 재생 제어 데이터를 전자 워터마크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시에, 전자 워터마크를 검출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해 필요한 암호 키와 저작권 보호를 위한 재생 제어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를 복호, 그리고 복원된 재생 제어 데이터로 보호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한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6-87096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95759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종래 방식에서는, 암호를 복호하기 위한 키나 복호 수순을 비닉(秘匿)하는 강도가 보호의 강도에 대응하지만, 이들의 비닉한 정보가 일단 해독되어 버리면, 저작권 보호가 기능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약점을 안고 있었다. 예컨대, 암호화하여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가 제삼자에 의해 해독되고, 디지털 데이터가 평문으로 변환되어 버리면, 이제는 무단 재생, 복제나 도용, 변질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영상이나 음악 등의 디지털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컨텐츠 판정 장치, 컨텐츠 판정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영상이나 음악 등의 디지털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해독된 컨텐츠가 정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컨텐츠 판정 장치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되어 있는 스트림을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속성 모니터와,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판정 방법은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장치에 의한 컨텐츠 판정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디크립터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되어 있는 스트림을 복호하는 단계와,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되어 있는 스트림을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속성 모니터와,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 또는 상기 디크립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영상 디코더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는,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부호화되고 또한 암호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복호하는 디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디코더를 정규로 복호 동작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정보 재생 장치는, 부호화되고 또한 암호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복호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로 복호한 스트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복호한 스트림 정보를 정규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컨텐츠 판정 장치, 컨텐츠 판정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컨텐츠가 정상인 것인지, 이상 처리된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인 경우에, 영상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에 따르면, 컨텐츠가 정상인 것인지, 이상 처리된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가 정상인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부정 해독된 것 등의 정상이 아닌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 판정 및 출력 영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 판정 및 출력 영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저작권 보호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컨트롤러 101 : 정보 기록 매체
102 : 드라이브 103 : 디크립터
104 :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 105 : 영상 디코더
106, 116 : 스트림 속성 모니터 107, 117 : 판정 수단
108, 118 : 출력 제어 수단 109, 110 : 컨텐츠 판정 블록
120 : 회로 블록 1 : 정보 기록 매체
2 : 드라이브 3 : 디크립터
4 :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 5 : 영상 디코더
6 : 재생 컨트롤러 7 : 시스템 컨트롤러
8 : 출력 제어 수단 9 : 컨텐츠 디코더
10 : 별도의 컨텐츠 디코더 11 : 파서
12 : 영상 버퍼 13 :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14 :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
15 : 영상 디코더 16 :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18 : 영상 출력 제어 수단 19 : 영상 컨텐츠 디코더
22 : 음성 버퍼 23 :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24 :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
25 : 음성 디코더 Da :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28 : 음성 출력 제어 수단 29 : 음성 컨텐츠 디코더
32 : 제어 버퍼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 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자신이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101)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을 재생한다. 정보 기록 매체(101)는, 예컨대, DVD나 CD 등의 광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이다. 암호화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디지털 컨텐츠를, 정규의 권리를 갖지 않은 사람이 부정하게 재생 또는 복제를 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실시된다. 암호화 방식으로는, 예컨대, 저작권 보호를 위해 규정되어 있는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나 AACS(Advanced Access Content Syste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 이외의 제어 정보(예컨대,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 등은 저작권 보호 암호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00)와, 정보 기록 매체(101)로부터 컨텐츠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으로서의 드라이브(102)와,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컨텐츠의 암호화 스트림을 복호(암호 해독)하는 디크립터(103)와, 디크립터(103)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04)를 갖는다. 복호 상태 신호는 디크립터(103)가 복호 처리 중인 경우는 ED로 나타내고, 디크립터(103)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경우는 ND로 나타낸다. 컨텐츠에는, 오서링(authoring) 시에 미리, 재생되도록 하는 부분의 데이터가 저작권 보호 암호화 되는 데이터인지 그렇지 않은 데이터인지의 속성을, 부정하게 변질시키기 어려운 방법으로 포함시켜 둔다. 속성은, 예컨대, 전자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스트림에 포함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드라이브(102) 또는 디크립터(103)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의 스트림을 디코딩(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영상 디코더(105)와,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속성 모니터(106)를 갖는다. 속성 검출 신호는 전자 워터마크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EA로 나타내고, 전자 워터마크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 NA로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ND)을 나타내고 또한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EA)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ED)을 나타내고 또한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NA)을 나타내는 경우, 컨텐츠가 이상 처리(예컨대, 저작권 보호 측면에서의 부정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107)을 갖는다.
아울러,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판정 수단(107)이, 컨텐츠를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영상 디코더(105)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지 않는 출력 제어 수단(108)을 갖는다. 또, 본 출원에 있어서, 디크립 터(103)가 실행하는 「복호」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암호화된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영상 디코더(105)가 실행하는 「디코딩(복호)」은 부호화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크립터(103),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04), 스트림 속성 모니터(106) 및 판정 수단(10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컨텐츠 판정 장치(즉, 실시예 1에 따른 컨텐츠 판정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에 상당하는 컨텐츠 판정 블록(109)을 구성하고 있다. 컨텐츠 판정 블록(109)에서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는 표시 또는 경고음을,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 또는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 판정 조건 및 출력 영상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의 암호화의 상태(비암호 NC 또는 암호 EC), 복호 상태 신호(비암호 ND 또는 암호 ED) 및 속성 검출 신호(비암호 NC 또는 암호 EC)의 조합으로부터 8개의 경우(경우 a 내지 경우 h)가 생각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컨텐츠의 암호화 상태는 정보 기록 매체(101)에 기록된 컨텐츠의 원래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컨텐츠가 변질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정보 재생 장치는 컨텐츠의 원래의 상태(비암호 NC 또는 암호 EC)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a) 경우 a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NC), 복호 상태 신호도 암호 화되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며, 속성 검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는 원래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 복호 상태 신호 및 속성 검출 신호의 양쪽이,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므로, 부정하게 변질되어 있지 않다고 추측할 수 있다.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 및 속성 검출 신호의 양쪽이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D 및 N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지 않다, 즉, 「정상이다」라고 판정한다. 출력 제어 수단(108)은,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디코더(105)의 출력 신호를 그대로,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b) 경우 b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NC), 복호 상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는 원래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 복호 상태 신호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며, 속성 검출 신호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부정하게 변질(예컨대,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되어 평문으로 되어 있다)되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다, 즉, 「이상하다」라고 판정한다. 출력 제어 수단(108)은,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디코더(105)의 출력 신호를 차단하고,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지 않는다.
(c) 경우 c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NC), 복호 상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디크립터(103)는 평문의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 정상으로 복호되지 않는다.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다, 즉, 「이상하다」라고 판정한다. 출력 제어 수단(108)은,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디코더(105)의 출력 신호를 차단하고,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지 않는다.
(d) 경우 d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지만(NC), 복호 상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며, 속성 검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디크립터(103)는 평문의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 정상으로 복호되지 않는다. 경우 d는 통상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케이스이다. 단,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고, 속성 검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지 않다, 즉, 「정상이다」라고 판정한다. 단, 화면을 본 사용자는 이상(異常)을 알 수 있어, 수동으로 재생을 정지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e) 경우 e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만(EC), 복호 상태 신호는 암호화되 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며, 속성 검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디크립터(103)는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아, 정상인 영상은 출력되지 않는다. 경우 e는 통상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케이스이다. 단,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고, 속성 검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지 않다, 즉, 「정상이다」라고 판정한다. 단, 화면을 본 사용자는 이상을 알 수 있어, 수동으로 재생을 정지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f) 경우 f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지만(EC), 복호 상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며,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디크립터(103)는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지 않아, 정상인 영상은 출력되지 않는다.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다, 즉, 「이상하다」라고 판정한다. 출력 제어 수단(108)은,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디코더(105)의 출력 신호를 차단하고,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g) 경우 g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고(EC), 복호 상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전자 워터마크의 속성이 잘못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경우 g는 통상적으로는 일어날 수 없는 케이스이다.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지만, 속성 검출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N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다, 즉, 「이상하다」라고 판정한다. 출력 제어 수단(108)은,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디코더(105)의 출력 신호를 차단하고,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지 않는다.
(h) 경우 h는, 컨텐츠는 암호화되어 있고(EC), 복호 상태 신호도 암호화되어 있는 것(ED)을 나타내며, 속성 검출 신호 또한 암호화되어 있는 것(EA)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는 원래 암호화되어 있고, 복호 상태 신호 및 속성 검출 신호의 양쪽이,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부정하게 변질되어 있지 않다고 추측할 수 있다. 판정 수단(107)은, 복호 상태 신호 및 속성 검출 신호의 양쪽이 암호화되어 있는 것(ED 및 EA)을 나타내므로, 컨텐츠는 부정 처리되어 있지 않다, 즉, 「정상이다」라고 판정한다. 출력 제어 수단(108)은,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디코더(105)의 출력 신호를 그대로,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 상기 경우 a 내지 경우 h에서는, 판정 수단(107)의 판정 결과에 따라, 출력 제어 수단(108)이 영상 디코더(105)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출력시킬지, 출력시 키지 않을지의 제어를 행하였지만, 이러한 제어 대신, 드라이브(102)에 의한 재생 처리를 실행할지, 정지할지의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또는 컨텐츠 판정 방법, 컨텐츠 판정 장치)에 의하거나, 또는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101)를 정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하면, 재생할지 재생 정지할지를 나타내는 재생 출력 제어 신호가 판정 수단(107)으로부터 출력 제어 수단(108)으로 보내지고, 출력 제어 수단(108)은, 영상 디코더(105)가 복호한 영상 출력 신호를 받아, 재생 출력 제어 신호가 재생을 허가하는 경우에만, 영상 출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출력 제어 수단(108)을 포함하는 영상 디코더 전체인 영상 복호 블록(109)의 상태를 검지하면서, 재생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암호화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되어 평문으로 되어 있었을 때, 그 데이터의 스트림이 입력되면 부정하게 해독된 것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부정 처리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부정하게 해독된 스트림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생 영상 출력 신호를 통해, 컨텐츠가 부정하게 복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출력 제어 수단(118)이 디크립터(103)와 영상 디코더(105)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점, 및 스트림 속성 모니터(116)가 디크립터(103)의 출력으로부터 속성을 검출하고 있는 점이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와 상이하다.
현실의 장치에서는, 저작권 보호 기능을 효과적으로 기능시키기 위해, 저작권 보호 암호의 복호 처리를 행하거나, 부정 해독의 검출이나 재생 정지의 판단·제어를 행하거나 하는 처리 블록은 외부로부터 신호의 해석이나 변질을 행할 수 없도록 엄하게 방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LSI에 실장하는 경우나, 그것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경우에, 개조를 막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 때문에 방어해야 할 부분을 집중하여 보호하는 편이 편리한 경우가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실시예 1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비해, 부정 해독의 검출이나 재생 정지의 판단·제어를 행하는 처리 블록을 디크립터(103)와 같은 LSI 상의 회로 블록(120) 내에 정리한 것이다.
도 3에서, 스트림 속성 모니터(116)는 디크립터(103)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전자 워터마크를 복원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취하고, 전자 워터마크의 내용으로부터, 지금 재생하고 있는 부분의 영상 데이터가 저작권 보호 암호화되어 있어야 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속성을 복원하여, 속성 검출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출된 복호 상태 신호와 속성 검출 신호를 판정 수단(117)에 입력하고, 재생하고 있는 컨텐츠가 부정 해독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 판정 및 출력 영 상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 수단(117)에서의 판정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판정한 결과, 재생할지 재생 정지할지를 나타내는 재생 출력 제어 신호가 판정 수단(117)으로부터 출력 제어 수단(118)으로 보내진다. 출력 제어 수단(118)에서는, 디크립터(103)로부터 영상 디코더(105)로 보내지는 복호한 데이터를 받아, 재생 출력 제어 신호가 재생을 허가하는 경우에만, 영상 출력 신호를 영상 디코더(105)로 출력한다.
실시예 2의 출력 제어 수단(118)과 실시예 1의 출력 제어 수단(108)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의 출력 제어 수단(108)은 영상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모든 영상 신호를 차단할 수 있지만, 실시예 2의 출력 제어 수단(118)은 디크립터(103)의 출력만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비교하면, 경우 b 및 경우 f의 출력 영상이 다르다. 도 4의 경우 b에서는, 컨텐츠가 원래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재생 영상을 출력하여도,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는 문제없다고 생각된다. 도 4의 f의 경우는,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크립터에 의해 복호하지 않는 케이스이며, 이상 영상밖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는 문제없다고 생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또는 컨텐츠 판정 방법, 컨텐츠 판정 장치)에 의하거나, 또는 실시예 2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101)를 정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하면, 암호화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되어 평문으로 되어 있었을 때, 그 데이터의 스트림이 입력되면 부정하게 해독된 것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부정 처리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디지털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이나 음성 등의 정보를 재생한다. 정보 기록 매체는, 예컨대, DVD나 CD 등의 광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이다. 또한, 정보 기록 매체가 원격지에 있고, 거기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가 정보 재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디지털 컨텐츠는 영상이나 음성 등의 컨텐츠를 부호화하여 표현한 것이고, 그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정규의 권리를 갖지 않는 사람이 부정하게 재생 또는 복제를 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작권 보호를 위한 암호화가 실시된다. 암호화 방식으로서, 예컨대, 광 디스크의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용으로 규정된 CPRM이나 AAC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전부를 암호화할 필요는 없고,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이외의 제어 정보(예컨대,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 등은 저작권 보호 암호화되지 않아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7)와, 정보 기록 매체(1)로부터 컨텐츠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으로서의 드라이브(2)와, 컨텐츠의 암호화된 부분인 암호화 스트림을 복호(암호 해독)하는 디크립터(3)와,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 는 복호 상태 신호 D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암호를 해독하는 디크립터(3)의 내부는 해독해야 하는 암호화 데이터를 보지하는 암호화 데이터 레지스터와, 이 암호를 해독하기 위한 암호 키의 데이터를 보지하는 암호 키 레지스터와, 이들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논리 연산을 실시하여 암호를 해독하기 위한 해독 회로와, 해독 결과로서의 평문의 데이터를 보지하는 해독 데이터 레지스터가 포함된다. 이들 각 레지스터와 해독 회로 중 적어도 암호화 데이터 레지스터에 해독해야 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로딩할 때, 및 해독 결과를 해독 데이터 레지스터에 순차적으로 저장할 때에, 타이밍 신호가 발행된다. 또한, 해독 회로가 복수 단계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각 단계간에 중간 데이터를 인도(引渡)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가 발행된다.
이러한 타이밍 신호 등의 디크립터(3)의 내부 신호를 인출하여,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에 취입한다.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에서는, 디크립터(3)가 실제로 암호 해독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그 내부 신호에 근거하여 판단하고, 그 결과를 복호 상태 신호 D로서 출력한다. 복호 상태 신호 D는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 중인 경우는 값(내지 상태) Ed를 나타내고,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경우는 값(내지 상태) Nd를 나타낸다.
복호 상태 신호 D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와 같은 타이밍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일례이며, 암호화 방식이나 그 해독 방법에 따라, 암호 해독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디크립터(3)의 내부 신호는 적절히 선택하여 설계한다.
예컨대, 별도의 암호화·해독 방식의 예로서, 디크립터(3)에는 항상 해독 처리를 실행시키지만, 암호 키 레지스터에 설정하는 데이터를 단위 원(元) 데이터로 했을 때에 한하여 해독 회로가 암호화 데이터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켜, 해독 데이터 레지스터로 출력함으로써, 비암호화 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는 방식인 경우에는, 디크립터(3)로부터 인출하여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에 취입해야 하는 내부 신호를, 암호 키 레지스터의 데이터로 하거나, 또는 그 암호 키 레지스터의 데이터가 단위 원 데이터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로 한다는 구성이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디크립터(3)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의 해독 스트림을 디코딩(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하여 영상이나 음성 등의 복호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디코더(5)와, 디코더(5)가 출력하는 컨텐츠의 복호화 데이터를 영상이나 음성의 컨텐츠로서 재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 수단(8)과,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는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를 받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컨트롤러(6)를 갖는다.
재생 컨트롤러(6)가 검출한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는 다음에 재생해야 하는 컨텐츠의 개소나, 컨텐츠로서 재생할 때의 설정 정보도 포함한다. 이들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7)에 의해 처리되고, 드라이브(2)에 대한 정보 기록 매체(1)에의 액세스 지령, 디코더(5)에서의 복호 동작의 제어 지령, 출력 제어 수단(8)의 설정 지령으로서 각각 대응하는 블록에 전달되고, 또한 그들에 대한 응답이 행해진다. 출력 제어 수단(8)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나 스피커 등의 음성화 수단으로부터, 영상이나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 본 출원에 있어서, 디크립터(3)가 실행하는 「복호」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처리를 의미하고, 디코더(5)가 실행하는 「복호」는 영상이나 음성이 부호화된 컨텐츠의 부호화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도 6을 이용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지털 컨텐츠 중, 저작권 보호해야 할 중요한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이다.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한 부분과 암호화하지 않은 비암호화 부분이 있고, 더욱이 암호화한 부분이 그대로 보호되어 있는 경우와, 원래 암호화되어 있던 것이 부정하게 해독되어 정보 기록 매체 상에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평문인 상태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하는 것을 상정했을 때, 정보 재생 장치에 입력되는 컨텐츠에 관하여,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암호화가 Ec/비암호화가 Nc), 정보 기록 매체 상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암호화가 Em/비암호화가 Nm)의 관계는 도 6에 나타내는 4가지의 경우 Sa, Sb, Sc, Sd 중 어느 하나로 된다.
경우 Sa는, 원래 암호화되어야 하는 컨텐츠가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 정확하게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이다. 저작권 보호가 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정규로 재생하는데 문제없다.
경우 Sb는, 원래 암호화되어야 하는 컨텐츠가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 정확하 게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부정하게 해독되어 정보 기록 매체 상에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평문의 상태로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저작권 보호가 깨졌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재생을 금지한다.
경우 Sc는, 원래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가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이다. 어떠한 데이터 조작에 의해 저작권 보호의 암호화가 부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저작권 보호가 부정하게 적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재생을 금지한다.
경우 Sd는, 원래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가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도 정확하게 비암호화 그대로인 경우이다. 저작권 보호상, 정규로 재생하는데 문제없다.
여기서, 정보 기록 매체 상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가 비암호화 상태 Nm일 때,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로서 암호화 상태 Ec(경우 Sb)와 비암호화 상태 Nc(경우 Sc)의 2개의 경우가 있기 때문에, 부정 해독된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하여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원래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는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면,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가 암호화 상태 Ec나 비암호화 상태 Nc의 어느 하나를 별도의 수단(내지 정보)을 통해 아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가령 어떠한 수단을 마련하여 통지 가능하게 했다고 해도, 그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단(정보)이 더욱 부정 해독에 의해 회피된 경우,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없게 될 위험성이 남는다.
여기서, 상기의「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수단(내지 정보)」 로는, 예컨대, 영상 음성 정보 중에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배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전자 워터마크」의 모양으로 포함시키는 것도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원래 암호화되야 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컨텐츠의 암호화 규정에 의해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로서 암호화 상태 Ec밖에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단이 부정 해독되는 것에 의해 저작권이 보호되지 않아, 부정 재생된다고 하는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전부 암호화된 컨텐츠를 재생할 때, 드라이브(2)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디크립터(3)에 입력된다. 디크립터(3)에는 디크립터(3)의 내부 신호를 수신하여, 디크립터(3)가 저작권 보호의 암호를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 D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가 접속되어 있다. 도 6 중 경우 Sa와 경우 S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호 상태 신호 D는 정보 기록 매체 상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가 암호화된 상태 Em인 컨텐츠에 대하여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를 실행 중인 경우에는 Ed를, 또한 정보 기록 매체 상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가 비암호화 상태 Nm인 컨텐츠에 대하여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Nd를 나타낸다.
복호 상태 신호 D는 디코더(5)로 보내진다. 디코더(5)에서는, 디크립터(3)에서 복호 처리 중에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 출력된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Ed를 나타낸(즉,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가, 그 값이 Ed의 복호 상태 신호 D를 출력한) 컨텐츠에 대하여,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정규로 실시한다. 그러나, 디크립터(3)에서 복호 처리 중에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 출력된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Nd를 나타낸(즉,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가, 그 값이 Nd의 복호 상태 신호 D를 출력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부정하게 해독된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한다.
디코더(5)에서 부호화의 복호 처리 과정에서 저작권 보호를 실시하는 것의 이점으로서, 디크립터(3),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 디코더(5)는 일련의 연속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에 사용하는 회로이므로 LSI로서 1칩화되는 것, 또한 이들3개의 블록은 도 5 중에 컨텐츠 디코더(9)로서 파선으로 둘러싼 것과 같이 근접한 회로이므로 LSI 내에서 일체화하기 쉽고, 복호 상태 신호 D 등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변질을 위한 부정 개조나 부정 모니터를 쉽게 회피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디지털 컨텐츠 중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이외의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 등의 제어 정보는 디크립터(3)로는 입력·처리되지 않고, 재생 컨트롤러(6)로 보내지므로, 저작권 보호 암호화하지 않는 것으로 했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원래 암호화되어야 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것이고, 원래의 암호화/비암호화의 상태로서 암호화 상태 Ec밖에 허용하지 않도록 한다고 기술했지만, 컨텐츠의 암호화/비암호화 상태의 판정 기준에 대하여, 여기서 구체예를 설명한다.
영상 데이터는 어떤 시점의 영상을 정지 화상으로 표현한 프레임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여, 매초 24장 내지 30장이 연속적인 프레임의 열로서 구성된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에서는 MPEG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MPEG에서는, 예컨대, 15장 등과 미리 설정한 소정 매수의 연속하는 프레임을 그룹화하여 일괄해서 취급하고, 일괄해서 부호화한다. 이 그룹의 선두의 프레임은 기준 프레임이라 불리고 독립적으로 부호화되고, 동일 그룹의 다른 프레임은 기준 프레임이나 다른 프레임을 참조하여 그들과의 차분값에 의해 부호화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부호화된 전체 데이터열을 암호화하는 것이 저작권 보호의 강도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암호화와 암호 복호화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 즉, 연산량이나 그 연산을 실행하기 위한 회로나 소프트웨어를 설계·실장하기 위한 비용과 암호의 강도를 고려하면, 반드시 전체 데이터열을 암호화하는 것이 최적이 아닌 경우도 있다. 예컨대, 1장의 프레임 중의 소정 부분만 암호화하거나, 하나의 그룹의 프레임 중 소정 프레임의 데이터만 암호화하거나, 소정 간격으로 암호화하는 그룹을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예컨대, 간헐적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가 복호 상태를 모니터하는 타이밍은 상술한 영상 데이터 중의 암호화 대상 부분의 선정과 배치에 관련된다. 부정하게 해독된 컨텐츠에 대하여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Nd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서, 정규의 규정에 따라 부분적(간헐적)으로 암호화된 컨텐츠에 대하여 잘못하여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Nd를 나타내지 않고, 정확하게 복호 상태 신호 Ed를 나타내도록 해야한다. 이 때문에, 복호 상태의 판정은 영상 데이터 중의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에 걸쳐,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를 실행 중인지 여부를 모니터한 후에 이루어지도록 설계한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중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 중에, 한 순간이라도 혹은 소정 시간 이상, 디크립터(3)의 내부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에서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디코더(5)에서 컨텐츠에 대한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정규로 실시하도록 설계한다.
다른 방법에서는, 디코더(5)에서,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의 복호 상태 신호 D를 관측하여, 컨텐츠에 대한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정규로 실시할지 실시하지 않을지를 판정하는 단계에서, 영상 데이터 중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에 걸쳐, 복호 상태 신호 D를 관측한 후에 판정하도록 설계한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중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 중에, 한 순간이라도 혹은 소정 시간 이상,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Ed를 나타낸 경우에는, 디코더(5)에서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컨텐츠에 대한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정규로 실시하도록 설계한다.
이들 방법에 의해, 영상 데이터 중 소정 부분만이 암호화되도록 규정된 컨텐츠에 대해서도, 오판정에 의해 정규 컨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지 않고, 또한 부정하게 해독된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는 원래 암호화되어야 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정보 재생 장치의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원래 암호화되지 않은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이 허용되고, 원래 암호화되지 않은 컨텐츠가 암호화되지 않고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이 금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또는 컨텐츠 판정 방법, 컨텐츠 판정 장치)에 의하면, 재생할지 재생 금지할지의 제어에 이용되는 복호 상태 신호 D가,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 직접 디코더(5)로 보내지고, 디코더(5)는 디크립터(3)가 해독한 데이터 신호를 컨텐츠로서 부호화를 복호할지 여부를 복호 상태 신호 D에 의해 직접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시스템을 부정하게 변질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컨텐츠의 부정 해독이나 부정 재생의 위험성이 대폭 낮아진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암호화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야 하는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되어 평문으로 되어 있었을 때, 그 데이터의 스트림이 입력되면 부정하게 해독된 것을 정확하게 검지하고, 부정 처리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르면, 부정하게 해독된 스트림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생 영상 출력 신호를 통해, 컨텐츠가 부정하게 복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대체로 실시예 3에서 설명 한 정보 재생 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하고 있고,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가 출력하는 복호 상태 신호 D의 접속처가 다른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3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도 7 중의 블록에서 도 5와 동일 부호로 나타내는 것은 동일 기능을 갖는다.
복호 상태 신호 D는 도 5에서는 디코더(5)로 보내지는데 대하여, 도 7에서는 출력 제어 수단(8)으로 보내진다. 출력 제어 수단(8)에서는, 디크립터(3)에서 복호 처리 중에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 출력된 복호 상태 신호가 값 Ed를 나타낸 컨텐츠에 대하여, 디코더(5)가 출력하는 컨텐츠의 복호화 데이터를 영상이나 음성의 컨텐츠로서 정규로 재생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디크립터(3)에서 복호 처리 중에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 출력된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Nd를 나타낸 컨텐츠에 대해서는, 디코더(5)가 출력하는 컨텐츠의 복호화 데이터를 영상이나 음성의 컨텐츠로서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것에 의해 부정하게 해독된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한다.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예컨대, 간헐적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로서, 출력 제어 수단(8)에서,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의 복호 상태 신호 D를 관측하여, 디코더(5)로부터의 컨텐츠의 복호화 데이터를 영상이나 음성 컨텐츠로서 재생하여 출력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영상 데이터 중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에 걸쳐, 복호 상태 신호 D를 관측한 후에 상기 판정을 행하도록 설계한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중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 중에, 한 순간이라 도 혹은 소정 시간 이상, 복호 상태 신호 D가 값 Ed를 나타낸 경우에는, 출력 제어 수단(8)에서, 디크립터(3)가 복호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디코더(5)로부터의 복호화 데이터의 재생 출력을 실시하도록 설계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 중 소정 부분만이 암호화되도록 규정된 컨텐츠에 대해서도, 오판정에 의해 정규 컨텐츠의 재생이 정지되지 않고, 또한 부정하게 해독된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할 수 있다.
출력 제어 수단(8)에서의 처리의 과정에서 저작권 보호를 실시하는 것의 이점으로서, 기존 LSI에 본 발명의 기능을 추가할 때의 설계가 용이한 점을 들 수 있다. 디코더(5)로서 이미 모듈화한 IP(Intellectual Property)가 있을 때, 디코더(5)를 재설계하지 않고, 저작권 보호 기능의 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도 7 중에 별도의 컨텐츠 디코더(10)로서 파선으로 둘러싼 것과 같이, 디크립터(3),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 디코더(5), 출력 제어 수단(8)의 4개의 블록을 LSI 내에서 일체화하여, 복호 상태 신호 D 등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변질을 위한 부정 개조나 부정 모니터을 피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또는 컨텐츠 판정 방법, 컨텐츠 판정 장치)에 의하면, 재생할지 재생 금지할지의 제어에 이용되는 복호 상태 신호 D가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로부터 직접 출력 제어 수단(8)으로 보내지고, 출력 제어 수단(8)은 디코더(5)가 복호한 데이터 신호를 컨텐츠로서 출력할지 여부를 복호 상태 신호 D에 의해 직접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시스템을 부정하게 변질하기 어렵게 되어, 컨텐츠의 부정 해독이나 부정 재생의 리스크가 대폭 낮아진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암호화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야 하는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되어 평문에 되어 있었을 때, 그 데이터의 스트림이 입력되면 부정하게 해독된 것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부정 처리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복호 상태 신호 D를 디코더(5)에 접속하여 저작권 보호 기능을 강화하는 수법과, 이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복호 상태 신호 D를 출력 제어 수단(8)에 접속하여 저작권 보호 기능을 강화하는 수법을 병용함으로써, 보다 강고한 저작권 보호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코더(5)와 출력 제어 수단(8)의 2개소에서 저작권 보호를 회피하기 위한 부정한 해독을 저지하는 기구를 포함시키므로, 보다 강고한 저작권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실시예 3에서 설명한 정보 재생 장치의 더욱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3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또, 도 8 중 블록에서 도 5와 동일 부호로 나타내는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실시예 5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7)에 의해, 정보 기록 매체(1)로부터 컨텐츠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으로서의 드라이브(2)를 제어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파서(11)는 판독된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를 종류별로 구분한다. 영상 데이터는 파서(11)로부터 영상 버퍼(12)로, 음성 데이터는 파서(11)로부터 음성 버퍼(22)로, 제어 데이터는 파서(11)로부터 제어 버퍼(32)로 보내진다.
영상 버퍼(12)에 축적된 영상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영상 컨텐츠의 암호화 스트림을 복호(암호 해독)하는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로 보내진다.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는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의 내부 신호를 받아,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가 저작권 보호의 암호를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를 생성한다.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는 각각 상기 실시예 1의 디크립터(3),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에 상당한다.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는 실시예 3에 설명한 복호 상태 신호 D에 상당하고,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가 복호 처리 중인 경우는 값(내지 상태) Ed를 나타내고,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경우는 값(내지 상태) Nd를 나타낸다.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해독 스트림은 실시예 1의 디코더(5)에 상당하는 영상 디코더(15)가 디코딩(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하여 영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영상 디코더(15)가 출력하는 영상 컨텐츠의 복호화 데이터는 실시예 3의 출력 제어 수단(8)에 상당하는 영상 출력 제어 수단(18)이 컨텐츠의 영상으로서 재생하여 출력한다. 영상 출력 제어 수단(18)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 등의 영상 표시 수단으로부터 영 상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영상 디코더(15)에서는,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로부터 복호 처리 중에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로부터 출력된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가 값 Ed를 나타낸(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가, 그 값이 Ed인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를 출력한) 컨텐츠에 대하여,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정규로 실시한다. 그러나,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에서 복호 처리 중에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로부터 출력된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가 값 Nd를 나타낸(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가, 그 값이 Nd인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를 출력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부정하게 해독된 영상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할 수 있다.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13),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 영상 디코더(15)의 3개의 블록은 도 8 중에 영상 컨텐츠 디코더(19)로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것과 같이 연속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에 사용하는 근접한 회로이므로, 1칩의 LSI 내에서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어,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등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변질을 위한 부정 개조나 부정 모니터를 회피할 수 있다.
음성 버퍼(22)에 축적된 음성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음성 컨텐츠의 암호화 스트림을 복호(암호 해독)하는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로 보내진다.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는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의 내부 신호를 받아,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가 저작권 보호의 암호를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를 생성한다.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 음성 암 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는 각각 상기 실시예 1의 디크립터(3),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4)에 상당한다.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는 실시예 3에 설명한 복호 상태 신호 D에 상당하고,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가 복호 처리 중인 경우는 값(내지 상태) Ed를 나타내고,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경우는 값(내지 상태) Nd를 나타낸다.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컨텐츠의 해독 스트림은 실시예 1의 디코더(5)에 상당하는 음성 디코더(25)가 디코딩(부호화 데이터의 복호화)하여 음성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25)가 출력하는 음성 컨텐츠의 복호화 데이터는 실시예 3의 출력 제어 수단(8)에 상당하는 음성 출력 제어 수단(28)이 컨텐츠의 음성으로서 재생하여 출력한다. 음성 출력 제어 수단(28)이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등의 음성화 수단으로부터, 음성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음성 디코더(25)에서는,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에서 복호 처리 중에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로부터 출력된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값 Ed를 나타낸(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가, 그 값이 Ed인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를 출력한) 컨텐츠에 대하여,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정규로 실시한다. 그러나,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에서 복호 처리 중에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로부터 출력된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값 Nd를 나타낸(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가, 그 값이 Nd인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를 출력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다. 이것에 의해 부정하게 해독된 음성 컨텐츠의 재생을 금지할 수 있다.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23),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24), 음성 디코더(25)의 3개의 블록은 도 8 중에 음성 컨텐츠 디코더(29)로서 파선으로 둘러싸여 나타낸 것과 같이 연속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에 사용하는 근접한 회로이므로, 1칩의 LSI 내에서 용이하게 일체화할 수 있고,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 등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변질을 위한 부정 개조나 부정 모니터링을 회피할 수 있다.
재생 컨트롤러(6)는, 실시예 3과 같이,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는 네비게이션 제어 정보를 제어 버퍼(32)를 통해 받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 상기 실시예 4에 설명한 복호 상태 신호 D를 출력 제어 수단(8)에 접속하여 저작권 보호 기능을 강화하는 수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적용하거나 또는 병용하여 보다 강고한 저작권 보호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를 영상 출력 제어 수단(18)에 접속하고, 및/또는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를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에 접속한다. 영상과 음성의 양쪽의 복호 상태 신호 Dv, Da를 병용할지, 한쪽을 이용할지에 대해서는, 장치 설계의 부하와 저작권 보호의 효과에 의해 판단하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5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또는 컨텐츠 판정 방법, 컨텐츠 판정 장치)에 의하면, 재생할지 재생 금지할지의 제어에 사용되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영상 암호화와 음성 암호화의 각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6, 24)로부터 직접 영상과 음성의 각 디코더(15, 25)로 보내지고, 양 디코더는 영상 암호화와 음성 암호화의 각 디크 립터(13, 23)가 해독한 영상과 음성의 데이터 신호를, 각각 영상과 음성의 부호화를 복호할지 여부를 각각의 복호 상태 신호 Dv, Da에 의해 직접 판단하게 된다.
또한, 재생 허가할지 재생 금지할지의 제어에 사용되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영상 암호화와 음성 암호화의 각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14, 24)로부터 직접 영상과 음성의 각 출력 제어 수단(18, 28)으로 보내지는 경우에는, 양 출력 제어 수단(18, 28)은 영상 암호화와 음성 암호화의 각 디코더(15, 25)가 복호한 영상과 음성의 데이터 신호를, 각각 영상과 음성의 컨텐츠로서 출력할지 여부를 복호 상태 신호 Dv, Da에 의해 직접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시스템을 부정하게 변질하기 어렵게 되어, 컨텐츠의 부정 해독이나 부정 재생의 리스크가 대폭 낮아진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암호화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컨텐츠가 부정하게 해독되어 평문으로 되어 있었을 때, 그 데이터의 스트림이 입력되면 부정하게 해독된 것을 정확하게 검지하여, 부정 처리된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시예 5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와 같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는 실시예 5에서 설명한 정보 재생 장치의 일부를 변형한 것이고, 도 8과 도 9 중에서 동일 부호로 나타내는 블록은 동일 기능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 5와 대비하여 설명한다.
도 8과 도 9 중에서 다른 점은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의 접속처이다. 도 8에서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각각, 영상 디코더(15) 및 음성 디코더(25)의 한쪽에 접속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9에서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각각, 영상 디코더(15) 및 음성 디코더(25)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때,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가 값 Nd를 나타낸 컨텐츠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금지할 뿐만 아니라,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도 금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값 Nd를 나타낸 컨텐츠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금지할 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도 금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영상과 음성의 적어도 한쪽이 저작권 보호를 부정하게 해독시킨 컨텐츠에 대하여, 영상 음성 양쪽의 재생을 금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확실한 저작권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변형으로서,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 중 한쪽만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영상과 음성의 어느 한쪽만의 복호 상태 신호에 의해,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양쪽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를 실행할지 금지할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 경우, 암호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의 설계·실장이 한쪽만으로도 좋으므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나 LSI 의 설계·제작의 부하가 가벼워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6에 따른 정보 재생 장치(또는 컨텐츠 판정 방법, 컨텐츠 판정 장치)에 의하면, 재생할지 재생 금지할지의 제어에 사용되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양쪽 모두 재생을 허가하지 않는 한 재생을 금지할 수 있으므로, 영상과 음성의 적어도 한쪽이 저작권 보호를 부정하게 해독시킨 컨텐츠에 대하여, 영상 음성 양쪽의 재생을 금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강고한 저작권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 중 어느 한쪽만의 복호 상태 신호에 의해, 양쪽의 컨텐츠의 재생을 판단하여 금지함으로써, 부정한 변질에 강한 구성으로 하거나, 설계나 실장이 용이한 구성으로 하는 등, 시스템에 요구되는 수단에 대하여 적절한 쪽을 이용하여, 보다 강고한 저작권 보호를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예 6에 있어서, 상기 이외의 점은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의 경우와 같다.
(실시예 7)
본 실시예 7에서는, 상기 실시예 6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9와 같은 블록 구성을 이용한다. 단,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동작과 다른 점이 있다. 즉,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를 받은 영상 디코더(15) 및 음성 디코더(25)에서의 영상 및 음성의 복호를 허가할까 금지할지의 처리를 다른 것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 중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만으로, 영상, 음성 양쪽의 컨텐츠의 재생을 판단하도록 하고,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가 값 Nd를 나타낸 컨텐츠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는 금지하지 않고,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만 금지하도록 했다.
부정 디스크를 재생하는 사용자 중에는, 그 디스크가 부정 처리된 것을 모르는 사용자도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영상, 음성 모두 재생을 금지한 경우, 이러한 사용자가 재생 장치가 이상하다고 오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음성만 재생시킴으로써, 영상에 관한 저작권은 보호하면서 컨텐츠 전체로서는 가치를 제공하지 않고, 컨텐츠가 이상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저명 배우의 영상이 배경 음악과 함께 수록된 컨텐츠와 같이, 영상의 저작권에 큰 가치가 있어 음성의 저작권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고,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의 예와는 반대로,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 및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a 중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만으로, 영상, 음성 양쪽의 컨텐츠 재생을 판단하도록 하고,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Dv가 값 Nd를 나타낸 컨텐츠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는 금지하지 않고,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만 금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과 음성의 저작권 보호의 정도에 관한 관계는 상기와 반대로 되지만,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예컨대, 저명한 음악가의 연주가 배경 영상과 함께 수록된 컨텐츠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어, 효과가 얻어진다.
이 실시예 7에 있어서, 영상과 음성의 어느 하나의 복호 상태 신호 Dv, Da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의 어느 쪽의 저작권을 보호할지는 장치 설계의 부하와 저작권 보호의 목적과 효과에 의해 판단하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7종류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하나의 실시예의 설명에 나타내어진 사고 방식이나 기술은 그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다른 실시예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실시예 3에서는, 암호를 해독하는 디크립터(3)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을 실시예 1이나 2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7에서 복호 상태 신호 Dv, Da를 이용하여, 영상과 음성의 어느 하나의 부호화의 복호 처리의 허가/금지를 제어하여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실시예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허가/금지하여 저작권을 보호하도록 하여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이나 2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실시예 5 내지 7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와 같은 수법을 음성 데이터에 적용하거나, 영상과 음성의 쌍방의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를 서로 이용함으로써 영상과 음성의 양쪽의 저작권 보호를 강력하거나, 또는 유연하게 실시하는 수법을 실시예 1이나 2에 적용하여 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Claims (15)

  1.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되어 있는 스트림을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속성 모니터와,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정 장치.
  2.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장치에 의한 컨텐츠 판정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디크립터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되어 있는 스트림을 복호하는 단계와,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판정 방법.
  3.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터마크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판독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컨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의 암호화되어 있는 스트림을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 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전자 워터마크로부터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림 속성 모니터와,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 또는 상기 디크립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컨텐츠의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영상 디코더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컨텐츠가 이상 처리된 것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상기 영상 디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지 않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속성 검출 신호가 암호화되어 있는 컨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디크립터의 출력을 상기 영상 디코더에 입력시키지 않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속성 모니터는, 상기 영상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후의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속성 모니터는, 상기 디크립터에 의해 복호된 후의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8. 청구항 3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는 암호화되어 있는지 여부의 속성을 나타내는 전자 워 터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매체.
  9. 부호화되고 또한 암호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복호하는 디코더
    를 구비하고,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디코더를 정규로 복호 동작시키도록 한 정보 재생 장치.
  10. 부호화되고 또한 암호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복호하는 디크립터와,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와,
    상기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복호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서 복호한 스트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복호한 스트림 정보를 정규로 출력하도록 한 정보 재생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가 간헐적으로 실시되고 있고,
    상기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는, 상기 스트림 정보 중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에 걸쳐,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관측한 후에,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가 간헐적으로 실시되고 있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디크립터 상태 모니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복호 상태 신호를, 상기 스트림 정보 중의 암호화 대상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간에 걸쳐 관측한 후에, 정규의 복호 처리를 행할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정보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와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크립터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복호하는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와,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복호하는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를 포함하고,
    상기 디크립터 모니터는,
    상기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암호화 디크립터 모니터와,
    상기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암호화 디크립터 모니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복호하는 영상 디코더와,
    상기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복호하는 음성 디코더
    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 및 상기 음성 암호화 복호 상태 신호의 쌍방이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영상 디코더 및 상기 음성 디코더를 정규로 복호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14. 부호화되고 또한 암호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디크립터에 의해 복호하고,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디코더에 의해 복호할 때,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디코더를 정규로 복호 동작시키도록 한
    정보 재생 방법.
  15. 부호화되고 또한 암호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하는 스트림 정보의 암호화를 디크립터에 의해 복호하고,
    상기 디크립터의 내부 신호를 받아, 상기 디크립터가 복호 처리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복호 상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림 정보의 부호화를 디코더에 의해 복호하며,
    상기 디코더로 복호한 스트림 정보를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할 때, 상기 복호 상태 신호가 복호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 복호한 스트림 정보를 정규로 출력하도록 한
    정보 재생 방법.
KR1020097012002A 2006-12-11 2007-12-03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KR101011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3078 2006-12-11
JPJP-P-2006-333078 2006-12-11
JP2007068233 2007-09-20
WOPCT/JP2007/068233 2007-09-20
JP2007253908 2007-09-28
JPJP-P-2007-253908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122A true KR20090080122A (ko) 2009-07-23
KR101011605B1 KR101011605B1 (ko) 2011-01-27

Family

ID=4140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002A KR101011605B1 (ko) 2006-12-11 2007-12-03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1004B2 (ko)
EP (2) EP2104102B1 (ko)
JP (4) JP4393574B2 (ko)
KR (1) KR101011605B1 (ko)
TW (1) TWI376937B (ko)
WO (1) WO2008072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1004B2 (en) * 2006-12-11 201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ent assessment apparatus, content assessment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4428424B2 (ja) * 2007-08-20 2010-03-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143451A (zh) * 2011-04-01 2011-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保护彩信多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20321279A1 (en) * 2011-06-15 2012-12-20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and or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9767840B2 (en) * 2011-08-18 2017-09-19 Apple Inc. Securing protected content during video playback
US10536726B2 (en) 2012-02-24 2020-01-14 Apple Inc. Pixel patch collection for prediction in video coding system
US9451288B2 (en) * 2012-06-08 2016-09-20 Apple Inc. Inferred key frames for fast initiation of video coding sessions
US20140037090A1 (en) * 2012-08-06 2014-02-06 Media Speed Tech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160039922A (ko) * 2014-10-0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2445B1 (en) * 1993-06-07 2002-01-23 Hitachi, Ltd.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842796B2 (ja) * 1994-12-06 1999-01-06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の暗号化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暗号化された動画像の復号化処理方法及び装置
JPH09251267A (ja) 1996-03-15 1997-09-22 Toshiba Corp 暗号化装置及び暗号化方法
JP3794646B2 (ja) 1997-08-26 2006-07-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内容情報とそれに関する補足情報とを転送するシステム
US6523113B1 (en) * 1998-06-09 2003-02-1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 protection
CN100356475C (zh) 1999-02-26 2007-12-19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重放方法
WO2000052684A1 (fr) * 1999-03-03 2000-09-08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nregistrement, procede d'enregistrement, dispositif de reproduction et procede de reproduction
JP2000252974A (ja) 1999-03-03 2000-09-14 Kobe Steel Ltd ディジタル情報暗号化装置,及び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
JP4269289B2 (ja) 1999-04-08 2009-05-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JP3916804B2 (ja) 1999-07-06 2007-05-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EP1079627A1 (en) 1999-08-27 2001-02-28 Canon Kabushiki Kaisha Copyright protection in MPEG-4 using digital watermarking
JP3728621B2 (ja) 2000-02-10 2005-1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のコピー制御方法及び再生装置
TW529020B (en) 2000-03-14 2003-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crypted data signal, data storage medium, data signal playback apparatus, and data signal recording apparatus
JP2001320363A (ja) 2000-05-10 2001-11-16 Pioneer Electronic Corp 著作権保護方法、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2002024751A (ja) 2000-07-05 2002-01-25 Pfu Ltd バーコード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019303B2 (ja) * 2001-02-02 2007-12-12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透かしに含めた暗号鍵を用いた暗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
JP2003037589A (ja) * 2001-07-26 2003-02-07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003059178A (ja) 2001-08-17 2003-02-28 Toshiba Corp 情報記憶再生装置における不正コピー防止装置
JP2003195759A (ja) 2001-12-25 2003-07-09 Hitachi Ltd 暗号化データの生成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復号方法、記録媒体再生装置、伝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4030882A (ja) 2002-04-30 2004-01-29 Toshiba Corp レンダリング装置、コピー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51000B1 (ko) * 2003-02-19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불법 복제 판별방법
JP4043388B2 (ja) 2003-03-20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4362721A (ja) 2003-06-09 2004-12-24 Sony Corp 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39340A (ja) * 2003-07-15 2005-02-10 Hitachi Ltd 再生装置
US7783039B2 (en) * 2003-08-04 2010-08-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recording device, digital reproduction device, digital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encryption device, decryption device, encryption method, and decryption method
US7721111B2 (en) * 2003-12-14 2010-05-18 Realnetworks, Inc. Auto-negotiation of content output formats using a secure component model
JP2005271586A (ja) 2004-02-27 2005-10-0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A2560395C (en) * 2004-04-02 2014-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nauthorized contents detection system
JP2005295468A (ja) 2004-04-06 2005-10-20 Hitachi Hybrid Network Co Ltd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6339988A (ja) 2005-06-01 2006-12-14 Sony Corp ストリーム制御装置、ストリーム暗号化/復号化装置、および、ストリーム暗号化/復号化方法
JP2007164377A (ja) * 2005-12-12 2007-06-28 Toshiba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US9281004B2 (en) * 2006-12-11 201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ent assessment apparatus, content assessment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6937B (en) 2012-11-11
EP2535896A1 (en) 2012-12-19
JP2010238351A (ja) 2010-10-21
TW200838286A (en) 2008-09-16
US9281004B2 (en) 2016-03-08
EP2104102B1 (en) 2013-02-20
JP2009301702A (ja) 2009-12-24
EP2104102A1 (en) 2009-09-23
EP2535896B1 (en) 2016-07-13
JPWO2008072497A1 (ja) 2010-03-25
US20100034379A1 (en) 2010-02-11
JP4393574B2 (ja) 2010-01-06
WO2008072497A1 (ja) 2008-06-19
EP2104102A4 (en) 2010-04-14
KR101011605B1 (ko) 2011-01-27
JP2012043528A (ja)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05B1 (ko)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재생 방법
US6314518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content information and supplemental information relating thereto
JP4645687B2 (ja) 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JP4023818B2 (ja) 種々の記録媒体用のコピー防止の方法及び装置
US7043645B2 (en)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3673234B2 (ja) 暗号処理を行う情報記録再生装置と情報記録再生方法
KR20040092651A (ko) 광디스크의 복사 방지 정보 관리방법
JP2001023298A (ja) コンテンツの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2004030882A (ja) レンダリング装置、コピー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87867A (ja) 媒体上に記憶されたディジタルデータのコピー保護方法
JP3837974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1196675A (ja) デジタル記録媒体、デジタル記録媒体のデータ暗号化装置、データ復号化装置、データ暗号化復号化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022104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7318279A (ja) 情報処理装置
KR100556731B1 (ko) 디스크의 암호화 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JP4201010B2 (ja) 復号装置
JP2000339697A (ja) 円盤状光記録媒体を用いた情報のデジタル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49306A (ja) 映像情報受信装置、集積回路装置
JP2002016593A (ja) 著作権保護装置および著作権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