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467A -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 Google Patents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467A
KR20090074467A KR1020080000263A KR20080000263A KR20090074467A KR 20090074467 A KR20090074467 A KR 20090074467A KR 1020080000263 A KR1020080000263 A KR 1020080000263A KR 20080000263 A KR20080000263 A KR 20080000263A KR 20090074467 A KR20090074467 A KR 2009007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storage period
roots
ginseng culture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016B1 (ko
Inventor
황종현
이상호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비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0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7/05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with addition of chemicals or treatment with chemicals other than cryogenics, before or during cooling, e.g. in the form of an ice coating or frozen bl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몽 종자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또는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을 제공하는데, 메이야르 반응 및 폴리페놀 옥시다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갈변화를 방지하고,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장기간 동안 산삼 배양근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갈변화, 구연산, 메이야르 반응, 비타민 C, 산삼 배양근, 자몽 종자 추출액, 폴리페놀 옥시다제

Description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및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Immersion liquid to lengthen a storage period of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and Method for storage of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삼은 오가피 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하고 있는 야생식물이다.
산삼은 예부터 여러 가지 질병 치료와 병후 회복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신체조절기능의 항상성 유지작용을 근거로 한,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항당뇨 작용, 혈압조절 작용, 항암 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 두뇌기능 강화, 위장기능 강화, 면역기능 강화, 성기능 강화, 항바이러스 작용도 알려져 왔다.
하지만 산삼은 자연상태에서 채취되는 양이 매우 적어 용이하게 입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삼 뿌리 조직을 배양하여 산삼과 동일한 유효성분을 함유한 산삼 배양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산삼 배양근은 무균상태로 조직배양이 이루어지지만 조직배양이 완료되어 수확하는 순간부터 외부환경에 노출되므로 미생물에 바로 오염될 수 있다. 특히, 산삼 배양근은 수분을 90%나 함유하고 때문에 장기간 저장 또는 유통과정 중 미생물에 의한 변패가 발생되기 쉬우며, 색상도 변색되기 쉬워 전체적으로 식품의 관능적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산삼 배양근의 오염을 방지하고 장기간 유통 가능하도록 미생물에 의한 오염, 물리적·화학적 변패 및 식품의 관능적 특성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에 산삼 배양근의 품질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및 보존성 증대를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발된 것이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의 신선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몽 종자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또는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몽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및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을 자몽 종자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또는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리병에 넣고, 저장 온도 조건이 최대 10℃가 되도록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을 자몽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및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리병 에 넣고, 저장 온도 조건이 최대 10℃가 되도록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산삼의 갈변화는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인 메이야르(Maillard) 반응과 효소적 갈변화 반응인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에 의한 반응이 주요 원인이다.
비효소적 갈변화 반응인 메이야르(Maillard) 반응은 알데히드기나 케톤기를 가진 환원당 또는 가수분해되어 환원당을 만들 수 있는 당류와 아미노산, 펩타이드류와 같은 아미노기를 가진 질소화합물들의 상호반응에 의한 갈색반응으로, 영향인자로는 온도, pH, 당 등이 있다.
메이야르 반응은 포도당과 글라이신의 혼합 용액에서 온도계수(Q10)가 3~5로 온도에 민감하고, pH 1~3에서 반응속도가 가장 느리며, pH가 알칼리성이 될수록 반응속도는 증가한다. 또한, 설탕보다 헥소스(hexose), 펜토스(pentose) 등을 사용하는 경우 반응 속도가 빠르다.
효소적 갈변화 반응은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에 의한 폴리 페놀류의 산화와 아스코르빅에시드 옥시다제(ascorbic acid oxidase)에 의한 아스코르브산의 산화에 의한 갈변화가 있으나, 아스코르빅에시드 옥시다제(ascorbic acid oxidase)에 의한 갈변화 반응은 감귤류와 같은 아스콜빈산의 함량이 큰 것에 국한되어 있어, 본 발명에서는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에 의한 갈변화 반응이 주원인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pH를 변화시키는 것이 있다. 폴리페놀 옥시다제의 최적 pH는 5.8~6.8이므로 pH를 낮추어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산소 제거 및 환원성 물질의 첨가 등에 의해서도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인들로 인한 산삼 배양근의 갈변화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자몽 종자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또는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을 제공한다.
산삼 배양근 갈변화의 주원인인 메이야르(Maillard) 반응은 pH가 산성일수록 속도가 감소하고, 폴리페놀 옥시다제는 최적 pH가 5.8~6.8이므로, pH를 약산성으로 조절함으로써 산삼 배양근의 갈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은 침지액을 pH 5 이하로 유지하여 산삼 배양근의 갈변화 반응을 억제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침지액에 사용된 자몽 종자 추출액은 미생물 내 세포막 관련 효소 활성을 약화시키고, 그 투과성을 약화시켜 세포 호흡 작용의 억제함으로써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한다. 특히, 자몽 종자 추출액 성분 중, 나린진(Naringin)은 정균 작용 및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어 세균의 생육을 저해한다. 또한, 자몽 추출액 성분 중, 씨트랄((citral)은 그람(Gram)양성 및 그람 음성균뿐만 아니라 곰팡이에 대해서도 항균작용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자몽 종자 추출액을 0.1%(w/w)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0.5%(w/w)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자몽 종자 추출물의 쓴맛이 강하여 산삼 배양근의 품질 적성을 훼손한다. 구연산을 0.1%(w/w)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pH 5 이하로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산삼 배양근의 갈변화를 억제하기 어렵고, 2%(w/w)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구연산의 독특한 산미가 느껴져 산삼 배양근의 맛 및 풍미를 훼손한다.
한편, 비타민 C를 0.1%(w/w)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침지액의 pH를 5 이하로 조절하기 어려워 산삼 배양근의 갈변화를 억제하기 어렵고, 0.5%(w/w)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산삼 배양근의 품질 적성을 훼손한다.
한편,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은 일반적으로 90% 이상이기 때문에 미생물 오염 발생 확률이 높아 장기간 저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90% 이하로 낮추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전처리된 산삼 배양근은 수분함량이 최대 88%가 되도록 건조하기 때문에, 산삼 배양근 조직의 식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미생물 오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산삼 배양근은 침지액에 침지하기 전에 바람직하게 살균수로 세척하는 것이 좋다. 산삼 배양근은 무균상태에서 조직 배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확하는 순간부터 직·간접적으로 미생물 오염에 노출된다. 그런데 수확한 산삼 배양근을 살균수로 세척한 결과,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산삼 배양근 표면에 묻어 있는 환원당 및 아미노산을 최대한 제거하여 갈변화를 억제할 수 있음이 본 발명을 통해 확인되었다.
한편, 살균수는 바람직하게 염소계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염소계 살균제는 곰팡이 등의 진균류에 대해서도 살균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은 산삼 배양근을 자몽 종자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또는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리병에 넣고, 저장 온도 조건이 최대 10℃가 되도록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을 제공한다.
산삼 배양근을 본 발명의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리병에 넣어 보관하면, 산소와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갈변화를 예방할 수 있고, 유리병을 최대 10℃의 온도에 보존하면, 효소반응을 억제하면서도 산삼 배양근 조직의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된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이야르 반응 및 폴리페놀 옥시다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갈변화를 방지하고,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여 장기간 동안 산삼 배양근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 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먼저, 산삼 배양근의 장기 저장을 위한 침지액의 조건 및 산삼 배양근의 조건을 알아보기 위한 예비 실험을 하였다.
< 실험예 1> 산삼 배양근 품질에 미치는 요인
산삼 배양근의 유통 시 품질 안정성을 조사를 위하여 저장 온도(실온, 냉장) 및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 및 품질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한, 포장(PE-파우치 포장, 유리병포장)의 형태(산소투과성)에 따라 변색의 정도를 측정하여 산삼 배양근의 품질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 2시간 동안 방치하여 '자연 탈수'된 산삼 배양근을 300ml용량의 유리병과 250ml용량의 POUCH-film(PE)에 충진하여 밀폐하였다. 밀폐한 후, 각각 10, 20, 30℃에서 저장한 후, 측정을 하였다.
①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 변화 측정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초기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은 90.17%였다.
포장형태 온도(℃) 저장기간(일)
3 7 10 14
10 90.11 89.55 88.52 91.76
20 90.26 90.7 90.33 91.42
30 88.52 91.35 92.25 92.62
PE-파우치 10 89.69 90.19 89.56 89.03
20 90.97 90.06 90.37 89.97
30 89.44 91.35 92.25 92.62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은 88.52~92.62%의 넒은 범위로 측정되었는데,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삼 배양근의 수분함량이 90%이하가 되도록 저장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② 산삼 배양근의 환원당 함량 변화 측정
메이야르 반응에 의한 갈변의 주요 원인물질은 당으로, 산삼 배양근의 배양과정 중 배지 성분 또는 배양과정 중에 분해 형성된 환원당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장기간 동안의 당 함량(g/L)을 조사하였다. 초기 환원당 함량은 6.14g/L였다.
포장형태 온도(℃) 저장기간(일)
3 7 10 14
10 6.12 6.36 6.16 6.06
20 6.52 6.91 6.6 6.57
30 6.36 5.81 6.33 5.82
PE-파우치 10 6.14 6.27 6.1 6.42
20 7.68 8.14 8.2 8.4
30 7.8 7.77 8.66 8.68
저장기간 동안 산삼 배양근의 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환원당 함량이 초기 환원당 함량보다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갈변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산삼 배양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당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산삼 배양근은 표면을 충분히 세척하여 환원당이 제거된 것을 사용하였다.
③ 산삼 배양근의 아미노산성 질소량의 변화 측정
메이야르 반응에 의한 갈변의 주요 원인인 아미노산 함량을 알기 위해 저장기간 중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mg%) 변화를 측정하였다. 초기 산삼 배양근의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은 54.1mg% 였다.
포장형태 온도(℃) 저장기간(일)
3 7 10 14
10 58.5 78.4 74.2 81.2
20 82.6 98 91 112
30 86.8 98 138.6 130.2
PE-파우치 10 57.4 56 67.2 74.2
20 70 91 88.2 100.8
30 88.2 99.4 105 96.6
저장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아미노산성 질소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아미노산성 질소량은 초기 아미노산성 질소량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함량을 증가시키는 미생물 및 효소 활성을 억제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산삼 배양근은 표면을 살균수로 세척하여 미생물을 제거하였고, 제조된 침지액은 pH를 조절하여 갈변 반응을 유도하는 효소활성을 억제하였다.
④ 산삼 배양근의 pH 변화 측정
저장 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초기 산삼 배양근의 pH는 6.08이었다.
포장형태 온도(℃) 저장기간(일)
3 7 10 14
10 6.12 6.36 6.16 6.06
20 6.52 6.91 6.60 6.57
30 7.80 7.77 8.66 8.68
PE-파우치 10 6.14 6.27 6.10 6.42
20 7.68 8.14 8.20 8.40
30 7.8 7.77 8.66 8.68
저장 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 온도 10℃에서는 pH 범위가 6.06~6.42로 비교적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20,30℃에서는 pH가 급격히 증가하여 변색이 심하게 나타났다.
특히, 병이 PE-파우치보다 pH 변화가 적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온도가 10℃이하이고 통기성이 제한되는 조건에서 산삼 배양근의 pH 변화가 최소화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조된 침지액에 산삼 배양근을 침지 시키고 유리병에 담아 10℃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⑤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 측정
저장 기간 동안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산삼 배양근의 갈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unter's color 값을 측정하였고, 갈변의 진행에 따라 상대적으로 초기의 노란색에 비하여 붉은색의 값이 증가하므로 a 값과 b값의 비율인 a/b값(노란색을 기준으로 하는 붉은색 값의 비율)으로 색도 변화차이를 비교하였다. 수확 초기 Hunter's color는 L은 55.9, a는 3.29, b는 25.13, a/b는 0.131이었다.
포장형태 온도(℃) 저장기간(일)
3 7
L a b a/b L a b a/b
10 45.67 4.03 16.27 0.248 43.26 4.44 16.03 0.277
20 42.20 4.07 13.34 0.305 40.85 4.25 14.69 0.289
30 39.35 5.20 13.68 0.380 39.04 5.12 13.64 0.375
PE-파우치 10 43.58 4.57 16.9 0.270 43.84 4.01 14.79 0.271
20 36.41 4.49 11.69 0.384 39.37 5.15 13.32 0.387
30 35.01 4.60 11.20 0.414 33.75 4.86 10.64 0.457
포장형태 온도(℃) 저장기간(일)
10 14
L a b a/b L a b a/b
10 41.2 5.17 14.36 0.360 38.09 5.22 12.89 0.405
20 39.51 5.32 13.54 0.393 35.08 5.12 11.50 0.445
30 36.66 5.68 12.67 0.448 35.18 5.59 11.92 0.469
PE-파우치 10 36.26 4.39 10.89 0.403 34.24 4.94 11.21 0.441
20 35.88 4.27 10.04 0.425 39.34 5.35 11.34 0.472
30 33.54 5.54 11.83 0.468 35.19 6.07 9.20 0.498
저장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오래될수록 a/b값이 증가하면서 갈변도 나타났는데, 20℃와 30℃ 보다는 10℃에서, PE-파우치보다는 병에서 갈변이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산삼 배양근을 저장할 때, 저온과 산소투과성이 없는 조건에서 저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조된 침지액에 산삼 배양근을 침지시킨 후, 유리병에 담아 10℃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 실험예 2> 살균수에 따른 산삼 배양근의 품질 변화
상기 실험예 1에서 산삼 배양근을 침지액에 침지시키기 전 살균수로 표면을 세척하는 것이 산삼 배양근의 품질변화를 최소화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험예 2에서는 살균수에 따른 산삼 배양근의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산삼 배양근을 수확하여 '원심 탈수 공정'을 거친 후, 산삼 배양근 표면을 수도수(대조구), 멸균수, 살균제 처리수(CAMICA-SD) 및 자몽종자추출물 처리수(DF-100)로 세척한 다음, 10℃에서 저장하였다. 저장기간 동안에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 변화, 미생물 변화 및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살균수에 따른 수분 함량 변화 측정
살균수에 따른 저장 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저장기간(일)
3 7 10 14
대조구 88.49 89.25 89.94 88.91
멸균수 88.57 88.71 89.2 88.37
살균제 처리수(CAMICA-SD) 87.84 89.14 91.93 90.33
자몽종자추출물 처리수(DF-100) 89.22 88.73 89.34 88.66
산삼 배양근의 수분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살균수로 세척하지 않은 실험예 1에서는 수분 함량 범위가 88.52~92.62%이었는데, 본 실험예에서는 87.76~91.93%로 더 낮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살균수를 사용할 경우 수분함량을 낮추어 미생물의 증식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살균수를 사용하였다.
살균수에 따른 미생물 변화 측정
살균수에 따른 저장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미생물 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산삼 배양근의 미생물 총균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도 1), 대조구(수도수)로 세척한 산삼 배양근은 미생물 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보존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고, 멸균수로 처리한 산삼 배양근은 초기에는 미생물수가 낮았지만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자몽종자추출액 처리수로 세척한 산삼 배양근은 초기에는 미생물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1주차 이후부터는 미생물 수가 점차 증가하여 저장 2주차 이후에서는 보존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살균제 처리수로 세척한 산삼 배양근은 진균류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며,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미생물 수를 나타냈고, 보존성 및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살균수에 따른 색도 변화
살균수에 따른 저장기간 중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저장기간(일)
3 7
L a b a/b L a b a/b
대조구 53.29 4.87 24.01 0.203 38.55 4.34 12.12 0.358
멸균수 55.90 3.29 25.13 0.131 44.66 4.24 15.23 0.278
살균제 처리수 55.96 5.79 26.91 0.215 55.96 5.79 26.91 0.215
자몽종자추출물 처리수 51.1 4.11 19.66 0.209 51.1 4.11 19.66 0.209
처리수 저장기간(일)
10 14
L a b a/b L a b a/b
대조구 40.83 5.47 16.17 0.338 33.26 4.17 10.33 0.404
멸균수 47.59 5.00 22.58 0.221 33.08 3.79 12.11 0.313
살균제 처리수 59.40 5.71 27.44 0.208 48.88 5.52 18.37 0.300
자몽종자추출물 처리수 47.95 4.94 19.5 0.253 39.35 3.63 12.11 0.300
살균수에 따른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상기 실험예 1-3보다 실험예 2-3의 색도 변화가 적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세척으로 인해 산삼 배양근 표면의 갈변을 일으키는 물질들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살균제 처리구의 경우, 저장 14일째까지 외관상 뚜렷하게 밝은 색상을 유지하면서 갈변이 일어나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산삼 배양근을 살균제로 세척한 다음 제조된 침지액에 침지시켰다.
< 실시예 1> 산삼 배양근 침지액 제조
상기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원심 탈수기로 산삼 배양근의 수분함량이 88%가 되게 탈수한 다음, 살균제(CAMICA-SD)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산삼 배양근 50g에 하기 표 8과 같이 조성된 침지액 250㎖를 첨가한 뒤, 유리병에 충진하고 뚜껑을 닫아 밀폐시킨 다음, 10℃ 냉장고에 저장하였다.
구연산 (중량%(w/w)) 자몽종자추출액(DF-100; 중량%(w/w)) 비타민 C (중량%(w/w))
실시예 1 0.1 0.2 -
실시예 2 0.5 0.2 -
실시예 3 1.0 0.2 -
실시예 4 - 0.2 0.5
실시예 5 - 0.5 0.5
실시예 6 0.5 0.1 -
실시예 7 0.5 0.5 -
실시예 8 1 0.2 -
실시예 9 2 0.2 -
실시예 10 0.5 0.2 0.5
< 비교예 1> 산삼 배양근 침지액 제조
산삼 배양근을 원심 탈수기로 산삼 배양근의 수분함량이 88%가 되게 탈수한 다음 살균제(CAMICA-SD)로 2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산삼 배양근 50g에 하기 표 9와 같이 조성된 침지액 250㎖를 첨가한 뒤, 유리병에 충진하고 뚜껑을 닫아 밀폐시킨 다음, 10℃ 냉장고에 저장하였다.
구연산 (중량% (w/w)) 비타민 C (중량% (w/w)) 자몽종자추출액 (DF-100;중량%(w/w)) NaCl(중량% (w/w)) 알칼리이온수 (중량%(w/w)) HAPS-Fresh 희석용액(중량% (w/w))
비교예 1 0.1 - - - - -
비교예 2 0.5 - - - - -
비교예 3 1.0 - - - - -
비교예 4 - 0.05 - - - -
비교예 5 - 0.1 - - - -
비교예 6 - 0.2 - - - -
비교예 7 - 0.5 - - - -
비교예 8 0.5 - 0.5 0.9 - -
비교예 9 - - - - 100 -
비교예 10 - - - - - 100
< 실험예 3> 산삼 배양근이 침지된 침지액의 pH 측정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산삼 배양근이 침지된 침지액의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첫 번째로, 실시예 1,2,3과 비교예 1 2,3,4,5,6 침지액의 pH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수도수를 사용하였다.
처리구 저장기간(일)
1 7 14 21
대조구 6.19 5.94 5.75 5.88
실시예 1 4.03 4.46 4.39 4.31
실시예 2 2.94.943.16 3.18 3.18 3.8
실시예 3 2.57 2.92 2.69 2.65
비교예 1 4.02 4.58 4.55 4.18
비교예 2 3.11 3.29 3.25 3.08
비교예 3 2.76 2.84 2.79 2.77
비교예 4 5.02 5.65 5.41 5.68
비교예 5 4.67 5.34 5.31 5.47
비교예 6 4.11 4.34 4.44 3.56
침지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2,3의 pH는 초기보다 약간 상승하였지만, pH 5 이하를 유지하여 메이야르 반응과 폴리페놀 옥시다제에 인한 갈변화를 예방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2,3,6도 pH 5 이하를 유지하였지만 하기 실험예 2에서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산삼 배양근의 품질적성을 훼손하여 침지액으로 적합하지 못하였다(도 2 참고).
두 번째로, 실시예 2,4,5,6,7과 비교예 2,7,8 침지액의 pH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자몽 종자 추출액 DF-100 0.2%(w/w)를 사용하였다.
처리구 저장기간(일)
0 4 7 11 14 18
대조구 6.81 4.88 4.14 4.35 5.97 5.41
실시예 2 3.30 3.05 3.06 3.29 3.32 3.47
실시예 4 3.98 3.85 3.96 3.74 3.99 3.81
실시예 5 3.97 3.71 3.51 3.96 3.91 3.86
실시예 6 3.17 3.04 3.16 3.16 3.91 3.97
실시예 7 3.29 2.94 3.28 3.22 3.22 3.24
비교예 2 3.28 2.97 3.77 3.94 3.32 3.34
비교예 7 4.41 3.77 3.67 3.91 3.86 3.74
비교예 8 3.26 3.01 3.06 3.31 3.50 3.33
침지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2,4,5,6,7은 pH 5 이하를 유지하여 갈변화가 억제되었다. 한편, 비교예 2,7 역시 pH 측정결과, pH 5 이하를 유지하였지만, 하기 실험예 2에서 미생물에 의한 오염으로 산삼 배양근의 침지액으로 적합하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예 8도 pH 5이하를 유지하였지만 첨가된 NaCl에 의한 삼투압작용으로 침지액으로 적합하지 못하였다.
세 번째로, 실시예 8,9,10과 비교예 9,10 및 대조구(정제수)의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8,9,10과 비교예 9,10은 포장 용기를 다양화하여 일반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기 위해, 동일 시료에 대해 1개는 탈산소제(500㎖용량, Ever Fresh,LIPMEN Co. Ltd.)를 첨가하고 다른 1개 군은 탈산소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탈산소제 봉입유무 저장기간(일)
0 4 7 11 14
대조구 7.76 7.11 6.84 7.77 7.25
× 7.87 7.45 7.72 7.84 7.55
실시예 8 2.73 3.37 3.50 3.51 3.61
× 2.65 3.44 4.62 4.53 4.62
실시예 9 1.97 2.84 3.02 3.0 3.11
× 1.98 3.48 3.69 3.68 3.09
실시예 10 3.68 3.89 3.83 3.91 3.93
× 3.59 3.88 3.92 3.89 3.88
비교예 9 7.65 7.32 7.58 7.52 7.59
× 7.86 7.27 7.71 8.10 7.55
비교예 10 7.47 7.09 6.71 6.81 7.55
× 7.53 7.21 7.47 7.44 7.38
산삼 배양근 침지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8,9,10은 탈산소제의 봉입 유무와 무관하게 pH 5 이하로 유지되어 갈변화 반응을 억제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조구, 비교예 9 및 비교예 10의 pH는 중성으로 유지되어 갈변화 반응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은 메이야르 반응에 의한 갈변화를 억제하여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을 증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산삼 배양근이 침지된 침지액의 미생물 총균수 측정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산삼 배양근이 침지된 침지액의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첫 번째로, 대조구(수도수), 실시예 1,2,3과 비교예 1,2,3,4,5,6의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미생물의 총균수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도 2), 실시예 1,3은 저장 14일째에 오히려 미생물 총균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21일째에는 가장 낮은 미생물 총균수가 측정되었다. 또한, 실시예 2 역시 실시예 1과 실시예 3 다음으로 낮은 미생물 총균수가 측정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한편, 비교예 1,2,3,4,5,6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 총균수도 급격히 증가하여 산삼 배양근이 부패되었다.
두 번째로, 실시예 2,4,5,6,7과 비교예 2,7,8 및 대조구(자몽 종자 추출액을 첨가한 멸균수용액)의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도 3), 대조구는 7일째부터 혼탁현상이 발생하면서 미생물의 증식이 현저하게 관찰되었고, 18일째에는 부패취가 발생하였다. 실시예 7은 가장 낮은 미생물 총균수를 나타냈고, 실시예 2,4,5,6도 침지액이 투명한 색으로 유지되어 외관상으로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8은 다소 낮은 미생물 총균수가 측정되었으나, NaCl로 인한 삼투압작용으로 산삼 배양근의 품질적성을 훼손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번째로, 실시예 8,9,10과 비교예 9,10 및 대조구(멸균수)를 상기의 실험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탈산소제를 첨가한 군과 첨가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미생물 총균수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도 4), 비교예 9,10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증식도 증가하여 14일째에는 이취가 발생하여 식용이 불가능하였으나, 실시예 8,9,10은 초기부터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어 미생물의 총균수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14일째 미생물 총균수가 실시예 8,9,10은 각각 2.9*102 CFU/g, 1.10*103 CFU/g, 3.3*103 CFU/g로 측정되어 미생물 억제 효과가 뚜렷히 나타났다.
이상,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및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은 미생물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5> 침지액에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 측정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침지액에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갈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unter's color 값을 측정하였고, 갈변의 진행에 따라 상대적으로 초기의 노란색에 비하여 붉은색의 값이 증가하므로 a값과 b값의 비율인 a/b값(노란색을 기준으로 붉은색 값의 비율)으로 색도 변화 차이를 측정하였다.
첫번째로, 실시예 1,2,3과 비교예 1,2,3,4,5,6 및 대조구(수도수)에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저장기간(일)
7 14 21
HL a b a/b HL a b a/b HL a b a/b
대조구 49.09 1.85 15.96 0.12 47.47 5.19 15.75 0.32 46.92 5.84 15.4 0.38
실시예 1 55.62 1.03 17.56 0.06 52.2 1.49 16.9 0.08 53.49 1.18 16.62 0.07
실시예 2 53.06 1.02 17.15 0.06 51.96 1.33 17.14 0.07 51.5 1.19 16.05 0.07
실시예 3 53.32 0.35 16.05 0.02 49.91 0.63 15.65 0.04 50.82 0.35 15.63 0.02
비교예 1 53.73 0.54 16.47 0.03 54.14 1.26 17.00 0.07 53.41 1.16 15.87 0.07
비교예 2 55.02 0.95 17.44 0.05 52.18 1.18 17.35 0.06 52.4 1.02 16.25 0.06
비교예 3 53.31 1.01 16.41 0.06 51.83 1.10 17.2 0.06 52.33 1.86 15.76 0.11
비교예 4 51.69 1.55 16.39 0.09 51.99 2.66 17.04 0.15 49.93 1.7 16.44 0.10
비교예 5 52.73 1.27 15.98 0.08 52.19 2.03 16.93 0.11 49.51 1.87 16.25 0.11
비교예 6 55.88 0.65 16.28 0.04 55.01 1.39 17.09 0.08 53.02 1.74 17.35 0.10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2,3은 a/b 값이 0.2~0.7로 안정되어 변색이 일어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2도 a/b 값이 0.2~0.7로 안정되었지만 상기 실험예 2의 미생물 총균수 측정에서 미생물 증식으로 인해 침지액이 혼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므로 산삼 배양근의 침지액으로서 적합하지 못하였다.
두 번째로 실시예 2,4,5,6,7과 비교예 1,7,8 및 대조구(자몽종자 추출액 0.2%(w/w))에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저장기간(일)
0 4 7 11 14 18
대조구 L 54.72 56.33 55.88 53.62 57.29 49.93
a 1.18 2.35 2.52 2.13 2.66 2.65
b 14.96 16.24 15.74 16.44 14.30 13.71
a/b 0.07 0.14 0.16 0.12 0.19 0.19
실시예 2 L 60.90 60.76 61.35 57.83 56.18 58.17
a 0.12 0.47 0.46 0.55 0.63 0.60
b 16.06 16.98 15.52 16.00 16.25 15.13
a/b 0.01 0.03 0.03 0.03 0.04 0.04
실시예 4 L 62.17 62.82 62.03 61.21 57.85 56.25
a 0.30 0.41 0.86 0.85 0.88 1.25
b 15.98 16.39 16.74 16.39 15.47 16.32
a/b 0.01 0.02 0.05 0.05 0.05 0.08
실시예 5 L 60.47 61.93 61.27 59.25 56.58 55.73
a 0.21 0.45 0.71 0.76 0.81 1.03
b 15.58 16.69 15.71 16.65 15.44 15.39
a/b 0.01 0.02 0.04 0.04 0.05 0.06
실시예 6 L 60.68 62.16 60.55 58.55 57.20 58.78
a 0.47 0.40 0.66 0.79 0.74 0.83
b 15.11 16.29 16.37 14.54 15.37 15.68
a/b 0.03 0.02 0.04 0.05 0.04 0.05
실시예 7 L 59.47 59.73 59.01 55.55 55.44 55.16
a 0.27 0.47 0.48 0.69 0.71 0.73
b 15.57 15.79 16.81 16.12 16.13 16.13
a/b 0.01 0.02 0.03 0.04 0.04 0.05
비교예 1 L 56.94 60.67 62.04 61.00 64.56 58.07
a 0.29 0.6 0.27 0.65 0.84 1.2
b 13.52 15.32 15.07 15.73 15.3 14.99
a/b 0.02 0.03 0.01 0.04 0.05 0.08
비교예 7 L 57.57 61.41 60.39 61.12 59.29 59.17
a 0.13 0.44 0.5 0.67 0.82 1.16
b 15.94 11.30 15.29 17.21 15.8 18.68
a/b 0.01 0.03 0.03 0.04 0.05 0.06
비교예 8 L 61.04 61.37 58.63 55.88 55.01 55.13
a 0.08 0.29 0.56 0.81 0.81 0.87
b 16.42 15.31 15.75 16.15 15.55 15.87
a/b 0.01 0.01 0.03 0.05 0.05 0.06
실시예 2,4,5,6,7과 비교예 1,7,8 및 대조구(자몽종자 추출액 0.2%(w/w))에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2,5,6,7의 a/b값은 시간이 지나도 색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실시예 4의 a/b값은 저장 18일째에 대조구 초기 때의 값과 비슷했지만, 실험예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생물 증식이 억제되어 양호한 편이었다. 한편, 비교예 7의 a/b값은 대체적으로 안정된 편이었지만, 실험예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생물의 증식으로 침지액이 혼탁되어 산삼 배양근의 품질 적성이 훼손되었다. 또한, 비교예 8도 a/b값은 대체적으로 안정된 편이었지만 첨가된 NaCl에 의한 삼투압작용으로 침지액으로 적합하지 못하였다.
세 번째로, 실시예 8,9,10과 비교예 9,10 및 대조구(수도수)에 침지된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8,9,10과 비교예 9,10 및 대조구는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이 탈산소제를 첨가한 군과 첨가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산삼 배양근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탈산소제봉입유무 Hunter's color 저장기간(일)
0 4 7 11 14
대조구 × L 60.95 54.02 54.86 49.40 38.84
a 0.49 0.70 1.65 2.10 1.84
b 20.27 16.81 17.68 16.19 10.39
a/b 0.02 0.04 0.09 0.12 0.17
L 60.54 52.94 53.35 49.38 44.85
a 0.59 0.53 1.69 2.55 2.90
b 19.56 16.79 17.22 16.66 13.93
a/b 0.03 0.03 0.09 0.15 0.20
실시예 8 × L 66.41 59.52 57.76 56.25 56.40
a 0.64 0.77 1.38 2.07 2.33
b 23.40 16.69 16.91 17.69 17.46
a/b 0.02 0.04 0.08 0.13 0.11
L 66.98 58.49 60.01 56.05 59.07
a 0.41 0.68 0.75 1.47 1.7
b 21.49 16.24 18.07 19.42 17.95
a/b 0.01 0.06 0.01 0.13 0.09
실시예 9 × L 66.77 62.12 61.29 60.19 60.30
a 0.60 0.32 0.5 0.43 0.74
b 24.24 17.31 17.93 18.44 18.17
a/b 0.03 0.01 0.02 0.04 0.04
L 67.47 60.53 59.45 59.39 58.89
a 0.04 0.16 1.41 0.65 0.45
b 22.96 16.46 18.28 18.12 16.99
a/b 0.01 0.01 0.07 0.03 0.02
실시예 10 × L 65.43 60.18 58.95 56.33 55.87
a 0.61 0.82 1.35 1.45 2.11
b 22.81 18.65 16.95 17.13 17.52
a/b 0.03 0.04 0.07 0.08 0.12
L 66.11 59.43 58.17 55.19 54.39
a 0.67 0.75 0.97 1.13 1.34
b 22.88 17.19 17.27 18.11 18.38
a/b 0.03 0.04 0.06 0.06 0.07
비교예 9 × L 62.46 53.98 53.73 49.79 47.79
a 0.44 1.66 1.9 2.08 3.20
b 22.28 17.62 16.69 16.11 15.42
a/b 0.01 0.09 0.11 0.12 0.20
L 63.51 53.14 52.27 49.87 46.41
a 0.63 1.21 2.30 2.17 2.90
b 21.81 17.04 17.34 16.33 14.59
a/b 0.02 0.07 0.13 0.13 0.19
비교예 10 × L 62.27 52.83 52.91 50.91 43.77
a 1.41 1.47 2.5 3.52 3.20
b 22.18 16.08 16.9 17.43 13.06
a/b 0.06 0.09 0.14 0.20 0.24
L 62.02 51.15 52.24 50.51 44.13
a 1.06 2.11 1.86 2.38 2.40
b 20.61 16.07 16.44 16.06 12.74
a/b 0.05 0.13 0.11 0.14 0.18
실시예 8,9,10과 비교예 9,10 및 대조구의 색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8,9,10은 탈산소제를 봉입한 것과 봉입하지 않은것의 색도 변화에 차이가 있지만 탈산소제 봉입의 유무와 상관없이 비교예 9,10보다 색도 변화가 현저히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및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은 산삼 배양근의 갈변화를 억제하여 저장기간을 증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살균수에 따른 미생물 총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저장 기간 중 침지액에 따른 미생물 총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저장 기간 중 침지액에 따른 미생물 총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저장 기간 중 침지액에 따른 미생물 총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자몽 종자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또는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2. 자몽 추출액 0.1~0.5%(w/w)에 구연산 0.1~2.0%(w/w) 및 비타민 C 0.1~0.5%(w/w)가 첨가된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삼 배양근은,
    살균수로 세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용 침지액
  4. 산삼 배양근을 제1항의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리병에 넣고, 저장 온도 조건이 최대 10℃가 되도록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
  5. 산삼 배양근을 제2항의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리병에 넣고, 저장 온도 조건이 최대 10℃가 되도록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 배양근의 저장기간 증대방법
KR1020080000263A 2008-01-02 2008-01-02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KR10091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263A KR100915016B1 (ko) 2008-01-02 2008-01-02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263A KR100915016B1 (ko) 2008-01-02 2008-01-02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467A true KR20090074467A (ko) 2009-07-07
KR100915016B1 KR100915016B1 (ko) 2009-09-02

Family

ID=4133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263A KR100915016B1 (ko) 2008-01-02 2008-01-02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5217A (zh) * 2013-08-11 2013-12-18 吉林农业大学 一种人参加工过程中防褐变的方法
CN104472669A (zh) * 2014-11-03 2015-04-01 中国热带农业科学院海口实验站 抑制多酚氧化酶的高活性美拉德流份及其分离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550B1 (ko) 2022-09-19 2023-03-27 인천광역시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침지액 및 이를 이용한 박피 도라지의 저장성 향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62B1 (ko) * 2000-08-16 2003-03-15 학교법인 문화교육원 저장성이 향상된 김치의 제조방법
KR20030037094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클린연구소 천연 항균 조성물
KR100496349B1 (ko) * 2002-10-11 2005-06-21 주식회사 나후텍 미생물증식 억제용 식품 보존제를 첨가한 양념육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5217A (zh) * 2013-08-11 2013-12-18 吉林农业大学 一种人参加工过程中防褐变的方法
CN104472669A (zh) * 2014-11-03 2015-04-01 中国热带农业科学院海口实验站 抑制多酚氧化酶的高活性美拉德流份及其分离方法
CN104472669B (zh) * 2014-11-03 2018-05-18 中国热带农业科学院海口实验站 抑制多酚氧化酶的高活性美拉德流份及其分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016B1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57786B (zh) 一种海产品保鲜组合物、保鲜剂和海产品保鲜方法
US20210120831A1 (en) Green color-protecting bacteriostatic crisp-preserving fresh-cut sweetheart apple and biological preservation technology
CN113080252A (zh) 一种荔枝保鲜的方法
CN111543476A (zh) 一种木薯保鲜剂
KR100915016B1 (ko) 산삼 배양근의 보관방법
WO2020177425A1 (zh) 加压惰性气体与新型抑菌结合气调延长鲜切土豆保鲜期的方法
CN107484816A (zh) 一种香椿贮存保鲜及加工方法
CN113729075A (zh) 一种卡利比克毕赤酵母用于樱桃番茄采后病害控制及贮藏保鲜的方法
Öz et al. Postharvest hexanal application delays senescence and maintains quality in persimmon fruit during low‐temperature storage
CN114317178B (zh) 一种枸杞鲜果发酵酒及其酿造方法
CN110771679A (zh) 羊肚菌的保鲜方法
KR20190124549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품 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61241B1 (ko) 장기 보관이 가능한 채소의 가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조미액
CN113180213A (zh) 一种延长鲜切芦笋货架期的保鲜方法
CN113475568A (zh) 复合保鲜剂及其制备方法与河鲀的保鲜方法
Öz et al. Effects of edible coating of minimally processed pomegranate fruit.
CN110754516A (zh) 新鲜莲蓬的冷冻保鲜方法及保鲜莲蓬
CN113303364A (zh) 一种物理和生物结合抑制鲜切荸荠褐变的方法
KR20210126957A (ko) 신선편이 파프리카 침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제조방법
KR100436997B1 (ko) 송이버섯 함유 꿀 및 이의 제조방법
Shi et al. Ultrasound treatment alleviates external pericarp browning and improves fruit quality of pomegranate during storage
Sharaf-Eldin et al.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on postharvest quality of white button mushroom
KR100814727B1 (ko) 야채 건더기 스프의 제조방법
CN111165571B (zh) 一种延缓西兰花衰老黄化的方法
KR102563347B1 (ko) 키토산 나노입자를 이용한 신선편이 파프리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