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165A -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165A
KR20090074165A KR1020097005877A KR20097005877A KR20090074165A KR 20090074165 A KR20090074165 A KR 20090074165A KR 1020097005877 A KR1020097005877 A KR 1020097005877A KR 20097005877 A KR20097005877 A KR 20097005877A KR 20090074165 A KR20090074165 A KR 2009007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duit
frame
blocking elem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060B1 (ko
Inventor
요하네스 알프레드 비일리
Original Assignee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filed Critical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7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2)가 수송로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 그 수송로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은 개구부 내에 또는 개구부 상에 밀봉 상태로 고정되어 있거나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100)을 포함하며, 프레임(100)은 각각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도관(203)의 내주 벽과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2)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공간을 밀봉 상태로 충전하기 위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러그(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하나 또는 다수의 도관(203)을 포함하며, 시스템은 각각의 도관(203) 내에서 도관(203) 내에 삽입된 플러그(4)의 일단부의 이동을 막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37)를 또한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밀봉, 도관, 파이프, 케이블, 덕트, 플러그, 블로킹 요소

Description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t least one conduit through which a pipe or cable extends}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가 수송로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 그 수송로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부의 외주에 끼워 맞춤 상태로 그리고 밀봉 상태로 고정되거나 개구부에 대응하는 도관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가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개구부는 바닥, 데크, 벽 또는 격벽 내에 설치된 관상 통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성도 가능한데, 개구부는 하나의 튜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하나의 튜브에 수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유체가 두 개의 튜브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의 튜브가 제공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튜브 중 하나는, 예를 들어, 가정용 공급 시설 접속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관을 형성하거나 본관의 분기관인 튜브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튜브는, 예를 들어, 물, 가스, 기름, 액체, 화학 약품 등을 수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튜브 사이의 공간은 본 발명이 관련되는 시스템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전화, 전기 및 텔레비전용 케이블이 상호 연결된 그러한 튜브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 유리 섬유 케이블과 보호 튜브 사이의 밀봉 부재로서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건물의 벽, 특히 건물의 토대를 이루는 벽 또는 바닥은 물론, “손실된 플라스틱 튜브 부분”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콘크리트 내에서 물 또는 가스용 튜브 또는 케이블을 통해 연장되는 통로가 개방된 상태로 놓이게 되는 천장 또는 지붕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통로는 천공 방법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기저부 내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덕트와 “손실된 튜브 부분” 또는 천공된 구멍의 내벽 사이의 공간은 나중에 본 발명이 관련되는 시스템에 의해 밀봉된다.
더욱이, 본 발명이 관련되는 시스템은 신축 건물, 선박 및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시설의 구성 및/또는 유지 보수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의 일부는, 선박의 경우, 조선소의 도크에서, 사전 설정된 계획에 따라 미리 제작된 격벽을 배치함으로써 통상적으로 형성된다. 격벽이 배치되기 전이라도, 관통 연장 튜브가, 예를 들어 용접을 통해, 격벽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관통 연장 튜브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도관 슬리브일 수도 있다. 덕트가 관통 연장 튜브를 통해 연장된 후에, 관통 연장 튜브의 내벽과 관통 연장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관련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관통 연장 튜브 및 그를 통해 연장되는 덕트, 케이블 또는 튜브는 서로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접촉 부식이 적어도 사실상 불가능하도록, 관통 연장 튜브 및 그를 통해 연장되는 덕트, 케이블 또는 튜브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관 슬리브의 내벽과 적어도 하나의 튜브 또는 덕트 사이의 공간은 이하에서는 간단히 “공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GB 2186442에는 케이블 및 파이프용 수송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은 관통 블록과 블랭크 블록으로 메워진 개구부를 갖는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관통 블록은 결합되었을 때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가 연장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두 개의 반쪽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관통 블록의 두 개의 반쪽 부분은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를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는 적어도 두 개의 블록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개구부 내의 나머지 공간은 블랭크 블록으로 메워진다. 이렇게 해서, 도관 슬리브의, 이 경우에는 금속 프레임의, 내벽과 도관 슬리브 또는 금속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파이프, 덕트 또는 케이블 간의 공간이 블록으로 메워지게 된다. 블록의 각 층 사이에 스테이 플레이트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압력이 조립된 블록에 인가되어,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 둘레에서 블록을 가압함으로써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 둘레의 관통 블록을 밀봉하게 되고, 블록을 서로 죄어서 고정하게 되고, 프레임 또는 도관 슬리브의 측벽 및 스테이 플레이트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압축 및 패킹 시스템을 포함한다. 너트 또는 압축 볼트의 조임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압축에 필요한 힘은 매우 높고, 그 일부가 덕트 내에 배치된 파이프 또는 케이블 에, 종종 비-유체 정역학적으로, 가해진다. 이 시스템은 적재된 블록의 전반에 걸쳐서 균등하게 하중을 분배할 수 없다. 실제로, 덕트 내에 배치된 파이프 또는 케이블은 하중의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균등한 분배를 방해한다. “덕트 내에 배치된 파이프 또는 덕트의 그늘에서” 압축을 훨씬 적게 받게 되는 블록은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고무의 비가역적인 변형인데, 이러한 변형은, 시스템의 일부가 갑자기 더욱 높은 압력에 노출될 때 불리해질 수 있는 수송로 시스템의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시스템이 설치가 힘들고, 시간 소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고, 큰 재고 관리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 이외에도, 장기적으로는 보았을 때 시스템의 동작이 만족스럽지 않다. 고무는, 비록 가황 처리가 잘 된 고무일지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적인 이완이 발생하게 된다. 고무가 적절히 포화되지 않았거나 적절히 가황 처리되지 않은 경우, 화학적 이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무의 전반적인 이완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GB 2186442에 개시된 시스템의 압축 및 패킹 시스템의 압축 볼트 또는 너트는 빈번히 다시 조여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열팽창 또는 열수축으로 인하여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압축 볼트가 느슨해지거나 과도하게 조여지게 됨에 따라, 밀봉 상태가 약해지고 고무가 비가역적인 상태로 변형된다.
특히 플라스틱 편조를 갖는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금속 프레임 또는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될 때, 이들 튜브 또는 케이블의 외표면이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받게 되고, “크리핑"으로 알려진 현상으로 인해 이들 플라스틱 파이프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압축된 고무 블록 및 방사상으로 압축된 플라스틱 파이프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 상태가 물리적 현상인 크리핑 및 이완에 의해 약화되기 때문에, 압축 및 패킹 시스템의 압축 볼트 및 너트는 더욱 빈번하게 다시 조여져야만 한다. 그러나, 아무리 빈번하게 압축 볼트 및/또는 너트를 다시 조인다고 하더라도, 다시 조여진 직후에, 고무의 이완 현상과 플라스틱 파이프의 크리핑 현상이 계속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밀봉 상태는 그 즉시 더욱 더 약화된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크고 가장 진보된 반잠수식 플랫폼인 선더호스는 멕시코의 걸프 만에서 허리케인 “데니스”를 만난 후 대략 20 내지 30 도로 기울어 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기울어짐에 대한 확실한 설명이 아직 보고되지는 않았지만, 연구를 통해 예비적인 결론을 내렸는데, 그 결론에 의하면, 접근 공간 사이에서의 물의 이동이 GB 2186442와 유사한 시스템이 장착된 다중 케이블 수송로를 통해 발생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무 링이 도관 슬리브 내에서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파이프 둘레에 동축적으로 배치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고무 링은 강으로 된 링 형태의 플레이트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것은 각도적으로 균등하게 인가되는 방사상 힘을 증강시키지만, 고무가 이완되는 문제와, 플라스틱 파이프의 경우 크리핑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압축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강 플레이트를 빈번히 다시 조여 줄 필요가 있다.
WO 2004/111513에는 도관 슬리브의 내벽과 그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파이 프, 케이블 또는 덕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시스템이,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플러그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밀봉 플러그를 형성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분리된 종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방향 부분에는 각각, 사용 시에 밀봉 플러그와 개구부의 내벽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그 내부에서 폐쇄되는 환상 접촉 표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외측 리브를 포함하는 외측부가 제공된다. 종방향 부분은 각각 그 내측부 상에서 사용 시에 밀봉 플러그와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는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그 내부에서 폐쇄되는 환상 접촉 표면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내측 리브가 제공된다. 종방향 부분에는 각각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놓이게 되는 외측 칼라가 또한 제공된다. 플러그가 조립되면, 이들 칼라는, 종방향 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힘이 플랜지 상에 인가되도록 하는, 플랜지의 일부이다. 플랜지는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놓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는 플랜지에 의해 커버된다. 플랜지는 균등한 삽입을 더욱 보장함으로써, 종방향 부분의 외측 리브가 한 줄로 정렬하여 환상 접촉 표면을 형성하며, 내측 리브가 한 줄로 정렬하여 환상 접촉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밀봉 시스템의 장점은 삽입이 매우 용이하며, 종방향 부분에 그리스가 도포된 후에는 수동 삽입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플러그가 도관 슬리브 또는 개구부 내로 더욱 밀어 넣어질 염려가 없으며, 매우 높은 압력이 플랜지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밀봉 시스템은 매우 높은 압 력이 개구부 또는 도관 슬리브 내로 최초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측부에 인가될 때에도 그 완전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직 플러그의 단부에 매우 높은 압력이 인가된 후에만, 플러그는 도관 슬리브 또는 개구부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리브가 밀봉 시스템 내에서 약간의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다시 조이는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고무가 이완될 때, 리브는 여전히 환상 접촉 표면을 제공하며, 따라서 밀봉 상태로 온전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반응은 개구부 또는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플라스틱 파이프의 직경을 더욱 작게 하는 크리핑의 발생에 또한 적용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플라스틱 파이프에 인가된 사실상의 방사상 하중이, 고무의 이완으로 인하여, 조만간 감소하게 됨으로써, 크리핑의 발생이 가속되기 보다는 감속되기 때문에, 크리핑 자체는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WO 2004/111513에 개시된 시스템이 만족스럽게 동작을 하지만, 밀봉 시스템의 일단부에 인가되는 압력의 급격한 증가에 견딜 수 있는 밀봉 시스템이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첫 번째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 번째 목적은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가 수송로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 그 수송로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개구부의 외주에 끼워 맞춤 상태로 그리고 밀봉 상태로 고정되거나 개구부에 대응하는 도관 슬리브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가 관통 연장되는 개구부를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시스템은 도관 슬리브 내에 끼워 맞춤 상태로 그리고 밀봉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를 포함한다. 플러그는 두 단부, 외측부 및 내측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단부가 도관 슬리브 내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외측부는 플러그와 도관 슬리브의 내주 벽 사이에서 환상 접촉 표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러그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면을 구비한 다수의 외측 리브를 포함한다. 내측부는 플러그와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 사이에서 환상 접촉 표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러그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면을 구비한 다수의 내측 리브를 포함한다. 내측부 및/또는 외측부에는 플러그의 종방향 압축을 촉진하고 내측 리브 또는 외측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촉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이 제공된다.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단부가 도관 슬리브 내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치수를 갖기 때문에, 플러그 전체가 슬리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의 일단부에 매우 높은 압력이 인가되면, 그 일단부는 초기에 타단부를 향해 눌려진다.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은 플러그의 종향향 압축을 촉진하게 된다. 내측 리브 또는 외측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압축이 일어날 때, 밀봉성이 실제로 향상된다. 밀봉 플러그의 일단부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 그러한 밀봉에 의해 플러그는 도관의 내벽과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 사이의 공간 내에서 더욱 더 조여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밀봉은 동적으로 작용하기 시작한다.
시스템은 개구부를 통해 도관 슬리브를 지나 연장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상에 계속해서 매우 높은 압력을 인가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높은 압력이 플러그의 일단부에 인가될 때에만 매우 높은 방사상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파이프에 있어서 크리핑은 별로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가능한 표면은 인접한 두 리브의 인접한 두 경사 표면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가 종방향으로 압축될 때 적어도 두 리브의 횡방향 이동이 촉진된다. 더욱이, 종방향 길이를 따라 다수의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인접한 두 리브 사이에는 힌지 가능한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러그의 종방향 길이가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의 일단부에 압력이 인가됨이 없이 삽입이 이루어진 이후에 전반적인 밀봉 성능이 향상되며, 압력이 플러그의 일단부에 인가될 때에는 더욱 그러한 밀봉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사용 시에 플러그의 양단부 사이에 외부 압력 기울기가 존재할 때, 플러그의 하류 쪽 단부가 압력 기울기의 하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블로킹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이 블로킹 요소는 균등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리브가 일렬로 정렬하게 되어 환상 접촉 표면이 정확하게 형성된다. 또한, 블로킹 요소는 플러그가 전체적으로 도관 슬리브 내에서 외부 압력 기울기의 하류 쪽으로 이동하기보다는 압축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에 의해 밀봉 성능의 향상이 더욱 더 촉진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수중 침몰, 폭발, 허리케인 또는 쓰나미로 인한 충격파를 견딜 수 있다. 실험을 통해, 플러그의 양단부에서의 압력차가 최대 15 바(수면 아래 150 미터에 존재하는 압력)까지는 플러그가 완전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두 플러그가 도관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 블로킹 요소가 이들 두 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다. 이 경우, 시스템은 외부 압력 기울기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동적으로 밀봉 동작을 수행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플러그 중 하나는 압축되어서 밀봉 접촉 표면을 증가시키며, 이들 접촉 표면에 수직하게 더욱 높은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밀봉성이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된다.
또한, 사용 시에 플러그의 양단부가 도관에 대해 외부 압력 기울기의 하류 쪽으로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이동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블로킹 요소가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장점들을 갖는다. 압력 기울기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플러그는 항상 압축됨으로써 그 밀봉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플러그와 도관 슬리브를 포함하는 수송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도관 슬리브의 내벽과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튜브 또는 덕트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독립항인 제 1 항의 요지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명확히 밝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종방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종방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종방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종방향 부분에 의해 조립되고, 도관 슬리브의 내벽과 도관 슬리브 내에 수용된 하나의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공간 내에 수용된 도 3에 따른 종방향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I-I 선을 따라 취한 개략 횡단면도로서, 도 12에서 화살표(V)의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평면도로서 도시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가 절결된 격벽(1)을 도시하고 있다. 격벽(1)에 의해 두 구획(I, II)으로 분할된다. 격벽(1)은 파이프(2)가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하에서는 파이프로서 언급되지만, 파이프는 덕트 또는 케이블일 수 있다. 도관 슬리브(3)가 개구부에 대응한다. 도관 슬리브(3)가 개구부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고 밀봉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관 슬리브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도관의 일 예이다. 이러한 도관은 도관의 내주 벽과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파이프, 케이블 또는 덕트 등의 부재 사이의 공간을 밀봉 상태로 충전하기 위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러그를 수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도관 슬리브(3) 내에 끼워 맞춤 상태로 그리고 밀봉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그러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러그(4)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1)은 강으로 된 벽일 수 있다. 도관 슬리브(3) 또한 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실상 강으로 된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강으로 된 튜브는 격벽(1)의 개구부 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4)는, 파이프(2)가 도관 슬리브(3)를 통해 연장되기 전에 플러그(4)가 도관(3)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경우에 적합한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플러그(4)는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된 종방향 부분(5)의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4)가 또한 형성되어, 플러그(4)의 삽입 이전에, 파이프(2)가 도관 슬리브(3) 를 통해 연장될 때,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4)의 두 개로 분리된 종방향 부분(5) 사이의 분할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4)의 하나의 종방향 부분(5)의 사시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종방향 부분(5)의 내측부(6)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종방향 부분(5) 두 개가 결합하여 플러그(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상부(UP)와 하부(LP)는 종방향 부분(5)의 종방향(L)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에 대응한다. 도 3의 상부(UP)의 횡단면도가 도 4에 확대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부분(5)에는 외측부(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외측부(7)는 플러그(5)와 도관 슬리브(3)의 내주 벽(10) 사이에서 환상 접촉 표면(9)(도 5 참조)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러그(4)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면(8a)을 구비한 다수의 외측 리브(8)를 포함하고 있다. 내측부(6)는 플러그(4)와 파이프(2) 사이에서 환상 접촉 표면(12)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러그(4)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면(11a)을 구비한 다수의 내측 리브(11)를 포함하고 있다.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라는 표현은 리브가 이웃하는 리브에 연결되지 않는 부분을 갖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라는 표현은 리브가 상호 인접한 경우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측부(6)에는 플러그(4)의 종방향(L) 압축을 촉진하고 내측 리브(11) 및/또는 외측 리브(8) 중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촉진하기 위한, 다수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원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은 인접한 두 내측 리브(11)의 인접한 두 경사 표면(14)에 의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은 내측부(6) 상에 제공된다. 내측부에는 4 개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내측부(6)에 단지 한 개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만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더 많이 제공될수록, 플러그(4)의 종방향 압축이 더욱 촉진된다. 더욱이, 인접한 두 내측 리브(11)의 인접한 두 경사 표면(14)에 의해 더 많은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제공될수록, 횡방향 이동이 촉진되는 내측 리브(11)의 숫자가 더욱 증가한다.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어떻게 동적으로 밀봉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 단계에서는, 이 실시예에서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내측부(6) 상에 제공되지만, 하나 이상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이 또한, 또는 대안으로서, 외측부(7)에 제공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단계에서, 종방향 부분(5)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내측 리브(11)는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내측 리브(11)에는 종방향(L)으로 연장되며, 사용 중에, 파이프(2)와 접하게 되는 인접 표면(13)이 제공된다. 각각의 내측 리브(11)에는, 인접 표면(13)의 각각의 측부 상에서, 인접 표면(13)에서 멀리 연장되는 경사 표면(14)이 제공된다. 각각의 경사 표면(14)의 경사는, 종방향 부분(5)이 삽입될 때 각각의 내측 리브(11)의 구부러짐이 사실상 억제되도록, 종방향 부분(5)의 횡방향(T) 각도(γ)를 둘러싼다. 삽입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내측 리브(11)의 형상과 각도(γ)의 크기에 의 해, 플러그(4)가 삽입되는 동안 내측 리브가 파이프(2) 상에서 쉽게 활주할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언급할 수 있다.
경사 표면(14)의 경사는 인접 표면(13)으로부터 사실상 일정한데, 인접 표면으로부터 인접한 내측 리브(11)의 경사 표면(14)과 교차하는 지점(P)까지 연장된다. 내측 리브(11) 중 하나의 경사 표면(14)의 각각의 경사는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사가 다소 변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인접한 두 내측 리브(11)의 경사 표면(14)은 함께 V 형상 그루브, 즉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을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모든 내측 리브(11)의 모든 경사는 사실상 동일하다. 각도(γ)는 60 도 내지 80 도이며, 바람직하게는 65 도 내지 77 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도 내지 75 도이다.
플러그(4)의 일단 및 각각의 종방향 부분(5)의 일단은, 플러그(4) 또는 종방향 부분(5)이 삽입되는 도관 슬리브(3)의 부분의 말단부이기 때문에, 말단부(17)로서 나타낼 수 있다. 플러그(4)의 타단 및 각각의 종방향 부분(5)의 타단은, 말단에 대해서 플러그(4) 또는 종방향 부분(5)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도관 슬리브의 부분의 기부이기 때문에, 기부(17)로서 나타낼 수 있다.
외측 리브(8)는 사실상 각각 기부(18)를 향해 상승하는 상승 표면을 구비한 톱니(19)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단 하나의 외측 리브(8)만이 톱니(19)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전부가 아니라 일부 외측 리브(8)가 톱니(19)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든 외측 리브(8)는 톱니(19)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톱니(19)의 상면(8a)에 인접하는 상승 표면(20) 의 부분(21)에는, 상면(8a)에서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상승 표면(20)의 부분(22)에 대해, 종방향(L) 각도(α)를 포함하는 레벨링(levelling)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부분(21)은 사용 중에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을 가압하는 가압 표면(23)을 제공한다. 가압 표면(23)은 종방향(L) 각도(α)를 포함한다. 이 각도(α)는 상면(8a)으로부터 더욱 더 멀리 위치하는 상승 표면(20)의 부분(22)의 표면에 의해 포함되는 종방향(L) 각도(β)보다 작다. 어떠한 경우라도, 각도(α)는 0보다는 크다.
상승 표면(20)의 레벨링 부분(21)과 레벨링 부분(22)이 교차함으로써 상승 표면(20) 내에 위치하는 외향 굴곡부(24)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굴곡부(24)가 직선 표면의 교차에 의해 형성되지만, 굴곡부가 표면의 방위에 있어서 더욱 점진적으로 결합하게 되는 표면의 교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톱니(19)의 하강 표면(25)에는 상면(8a)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부분(26)이 제공되는데, 상면(8a)에 인접하는 하강 표면(25)의 부분(27)에 대해 기부(18)를 향해 경사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톱니(19)의 상면(8a)에 인접한 하강 표면(25)의 부분(27)은 종방향(L) 각도(θ)를 포함하고 있다. 각도(θ)는 상면(8a)으로부터 더욱 더 멀리 위치하는 하강 표면(25)의 부분(26)에 의해 포함되는 종방향(L) 각도(ω)보다 크다.
톱니(19)의 상면(8a)에 인접하는 하강 표면(25)의 부분(27)과 상면(8a)에서 더욱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하강 표면(25)의 부분(26)이 교차함으로써 하강 표면(25) 내에 위치하는 내향 굴곡부(28)가 형성된다. 굴곡부 또는 교차부(24)는 횡 방향으로 굴곡부(28)보다 더욱 더 바깥쪽에 위치한다. 교차부(24)에 의해 형성된 굴곡부에 대한 상기의 언급은 또한 굴곡부(28)에도 적용된다. 즉, 하강 표면(20)의 부분(27)과 부분(26)으로부터의 더욱 점진적인 결합은, 본 명세서에서, 굴곡부로서 또한 이해된다. 아울러, 레벨링 부분을 구성하는 톱니(19)의 상승 표면(20)을 제공함이 없이, 하강 표면(25) 내의 굴곡부(28)를 톱니(19)에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 1 형태(A)의 가상 횡방향 평면이 외측부(7)에서 외측 표면(29)과 교차하고 내측부(6)에서 인접 표면(13)과 교차하는 것이 도 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가상 횡방향 평면(A)과 교차하는 외측 표면(29)과 인접 표면(13)은 종방향(L)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동일한 가상 횡방향 평면(A)과 교차하는 외측 표면(29) 및/또는 인접 표면(13)의 종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외측 표면(29) 및 인접 표면(13)이 사실상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종방향 부분(5)이, 따라서 플러그(4)가,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과 상호 작용을 하고 개구부 내에 수용된 파이프(2)와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을 더욱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을 단면도로서 도시하고 있으며, 종방향 부분(5)의 도움으로 형성된 밀봉 플러그(4)는 도관 슬리브(3)의 절반이 제거되었을 때 보게 되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러그(4)의 삽입 이전에, 파이프(2)가 도관 슬리브(3)를 통해 연장될 때, 종방향 부분(5)은 튜브(2) 둘레에 단단히 접촉되며, 그런 다음, 종방향(L) 이동에 의해,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 및 파이프(2) 사이의 공간(30) 내로 강제적으로 밀려들 어간다.
말단부(17)를 향함에 따라, 각각의 종방향 부분(5)은 외측부(7)에서 런-인(run-in) 리브(31)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이 촉진된다. 런-인 리브(31)는, 다른 각각의 외측 리브(8)가 연장되는 외주 레벨보다 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더 많이 떨어져 있지 않은 외주 레벨까지 연장된다.
종방향(L)으로 더욱 더 가압됨에 따라, 내측 리브(11) 또한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과 접촉하게 된다. 특히, 상면(8a) 및 가압 표면(23)의 적어도 일부가 내벽(10)과 접촉하게 된다. 삽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발생하게 되는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개 종방향 부분 및/또는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 및/또는 파이프(2)에, 예를 들어 바셀린 또는 부드러운 비누 등의, 윤활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내벽(10)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우, 높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좋은 해결책을 제공하게 된다.
플러그(4) 및 종방향 부분(5)은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종방향 부분(5)에 의해 형성된 밀봉 플러그(4)를 예를 들어 망치를 이용하여 종방향(L)으로 더욱 더 말단부에 가깝도록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목재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공간(30) 내로 자유로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 공작물을 플러그(4)의 기부(18)에 배치하는 것이, 망치가 플러그 대신에 공작물을 종방향으로 더욱 더 말단부에 가깝도록 가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따라서 플러그(4)의 종방향 부분(5)이 망치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
플러그(4)가 도관 슬리브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각각의 가압 표면(23)의 적어도 일부는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을 가압하게 됨은 명백하다.
도 6은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삽입된 플러그(4)는 동일한 단면 평면 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다. 종방향 부분(5)의 인접 표면(13)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 접촉 표면(12)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4)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보다 더욱 더 말단부에 가깝게 삽입될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말단부(17)에 가해지는 높은 압력과 환상 접촉 표면(9, 12)에서의 마찰력으로 인해, 도관 슬리브(3) 내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4)를 기부에 가깝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그러한 이동을 방해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종방향 부분(5)으로부터 조립된 플러그(4)가 말단부(17)에 가해지는 7 바의 압력까지는 이동을 막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어떠한 이론이라도 그러한 이론에 기반을 두기를 원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동적인 방식으로 동작함을 확신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한 사항은 본 발명의 가능한 동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나의 부재로 된 플러그이든지 종방향 부분으로 이루어지든지 간에, 그러한 플러그(4)의 기부(18) 및 말단부(17)가 상호 압축되면, 인접한 두 내측 리브(11)의 인접한 두 경사 표면(14)이, 압축이 이루어지기 이전보다, 더욱 작은 각도를 둘러싸도록,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15)이 반응한다. 인접한 경사 표면(14)이 속하는 두 내측 리브(11)에는 횡방향으로 안쪽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환상 접촉 표면(12)의 폭은 증가하게 된다. 이 폭은 환상 접촉 표면의 종방향 치수이다. 이것은 플러그(4)와 파이프(2)의 표면 사이의 밀봉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파이프(2)가 후퇴하지 않음에 따라, 파이프(2)는 내측 리브(11)에 반작용력을 가하게 된다. 플러그(4)는, 외측 리브(8)가 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밀려나도록,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밀려나도록, 반응한다. 그 결과, 가압 표면(23)의 더욱 큰 표면적이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과 접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환상 접촉 표면(9)의 폭이 또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폭은 환상 접촉 표면(9)의 종방향 치수이다. 따라서, 플러그(4)와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 사이의 밀봉 또한 크게 향상된다.
플러그(4)의 종방향(L) 압축이 중단되면 플러그(4)는 느슨해지면서 압축이 일어나기 전에 놓여 있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자체만으로, 시스템은, 플러그의 말단부 및 기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될 때 밀봉 상태를 향상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종방향 압축 시에 동적으로 반응한다.
플러그는, 비압축 상태에서는, 다소간 유연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며 비교적 낮은 하중이 파이프와 도관의 내벽에 인가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사용 중에 외부 압력 기울기가 플러그의 양단부 사이에 존재할 때, 압력 기울기의 하류 쪽으로 플러그의 하류 쪽 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블로킹 요소(37)를 또한 포함한다. 도 7은 격벽(1)의 위험한 쪽이 알려져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획(I) 보다는 구획(II) 내에서 높은 압력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스템은, 사용 중에 외부 압력 기울기가 플러그(4)의 양단부(17, 18) 사이에 존재할 때, 압력 기울기의 하류 쪽으로 플러그(4)의 하류 쪽 단부(17)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블로킹 요소(37)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매우 높은 압력이 구획(II) 내에 존재하고, 낮은 압력이 구획(I) 내에 존재할 때, 기부(18)가 말단부(17)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4)가 압축된다. 구획(II) 내의 압력이 매우 높을 때, 플러그는 압축되고, 따라서 환상 접촉 표면(9, 12)이,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가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37)는 도관 슬리브(3)에 고정된다. 실제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37)는 도관 슬리브(3)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37)가 도관 슬리브(3)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지만, 도관 슬리브(3)와 블로킹 요소(37)가 밀링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 슬리브(3)의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표면을 구비한다. 표면은 폴리싱 처리되었을 수 있다. 이것은 기부(18)의 말단부(17)쪽으로의 이동을 촉진시켜서 플러그(4)의 종방향(L) 압축을 촉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37)는 사실상 환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플러그(4)의 말단부(17)와 마주보는 블로킹 요소(37)의 일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4)의 말단부(17)와 런-인 리브(31)의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블로킹 요소는, 파이프(2)가 도관 슬리브(3) 내에 삽입될 때는 물론 파이프(2)가 도관 슬리브(3)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때에도 파이프(2)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너무 많이 연장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 다는 점에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파이프(2)가 블로킹 요소(37)와 접촉할 때 파이프(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로킹 요소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가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위험한 쪽이 알려져 있는 경우, 즉 구획(I) 보다는 구획(II) 내에서 높은 압력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관 슬리브(3)와 블로킹 요소(37)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관 슬리브(3)에는 도관 슬리브(3)의 일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사용 중에 플러그의 말단부(17)를 둘러싸는, 칼라(3a)가 제공되어 있다. 블로킹 요소(37)는 사용 중에 환상 리테이너 링을 형성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링은, 일단 파이프가 삽입되면, 예를 들어 각각의 리테이너 링(37)과 칼라(3a) 내에 형성된 적절히 정렬된 구멍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파이프(2) 둘레에 고정될 수 있고, 도관 슬리브(3)의 칼라(3a)에 고정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가 방사상으로 약간 더 안쪽으로 연장되어 파이프(2)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리테이너는 더욱 작은 방사상 내부 길이를 갖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파이프(2)와 마주보는 리테이너 링의 가장자리는 둥글게 가공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도관 슬리브(3)가 매우 긴 도관 슬리브라면, 즉 플러그(4)의 길이보다 훨씬 더 길다면, 블로킹 요소(37)를 고정하기 전에, 도관 슬리브(3)의 내벽과 파이프(2) 사이의 환상 공간 내에 먼저 고무 슬리브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무 슬리브(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파이프(2)를 둘러싸서, 구획(I) 내의 압력과는 반대로 구획(II) 내의 압력이 매우 높은 경우에, 플러그(4)의 압축이 일어나기 전에는, 플러그(4)가 도관 슬리브(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움직일 필요가 없음을 보장한다. 대신에, 압축이 거의 즉시 시작되어서 동적 밀봉 시스템의 빠른 반응에 도달할 수 있다. 밀봉 상태의 향상은 도 6을 설명할 때 제안하였던 기구와 더욱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격벽(1)의 어느 쪽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여 도관 슬리브(3)에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는 격벽(1)의 어느 한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견디기에 특히 적합하다. 시스템은 두 개의 플러그(4)를 포함한다. 이들 두 개의 플러그(4) 중 하나는 구획(I)으로부터 도관 슬리브(3) 내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플러그(4)는 구획(II)으로부터 도관 슬리브(3) 내로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블로킹 요소(37)는 두 플러그(4) 사이에 위치한다. 블로킹 요소(37)가 도관 슬리브(3)의 내벽(10)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리테이너 링으로 또 다시 구성될 수 있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 내의 개구부가 격벽(1) 내의 더 작은 개구부의 외주 둘레에 동축적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도관 슬리브(3)의 직경보다 사실상 더 작게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면, 격벽(1)의 일부는 리테이너 링의 역할을 하는, 즉 블로킹 요소(37)의 역할을 하는, 도관 슬리브(3) 내에 놓이게 된다. 또 다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킹 요소가 더욱 더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더라도, 블로킹 요소의 방사상 안쪽 길이는 다소간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어느 쪽에서 위험한 상황이,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여 도관 슬리브(3)에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시스템은 또 다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던 방식으로, 도관 슬리브(3)에 고정될 수 있는 블로킹 요소(37)를 포함하고 있다. 두 플러그(4) 의 말단부(17) 사이의 도관 슬리브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체적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 플러그(4)의 전체 길이보다 약간 더 긴 길이를 갖는 도관 슬리브(3)를 제공하거나, 슬리브가 두 플러그(4) 사이에 위치하도록 도관 슬리브(3) 내에 고무 슬리브(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를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플러그(4) 사이의 공기 갭은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열적 팽창의 결과로서 공기 갭 내의 공기의 압력이 상승하면, 공기 갭 자체가 블로킹 요소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기부(18)가 높은 압력을 받게 되는 플러그의 압축을 촉진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열적 팽창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공기 갭의 체적이 작은 경우에서는, 체적이 약간 더 감소하더라도, 갭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갭은 블로킹 요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11은 도관 슬리브 자체가 짧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4) 각각에는 플러그(4)의 외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환상 슬롯이 제공되어 있다. 이 슬롯은 플러그(4)의 기부(18)에 가장 가까운 외측 리브와 기부(18) 자체 사이에 제공된다. 플러그(4)가 삽입된 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환상 슬롯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도관 슬리브(3)의 칼라(3a)에 더욱 더 고정될 수 있는, 블로킹 요소(37)를 수용할 수 있다.
도관 슬리브에 고정될 수 있는 블로킹 요소(37)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요소이거나 적어도 파이프의 일단에서 파이프 상에서 블로킹 요소를 활주시킬 필요 없이 파이프를 둘러쌀 수 있는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블로킹 요소(37)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4) 사이에 제공될 수 있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구획(II) 내에서 폭발이 일어나면,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는, 완전한 격벽이 종방향(L)을 따라 구획(I) 내로 이동할 때, 적어도 도관 슬리브 내에 존재하고 구획(I)으로 연장되거나 마주보는 플러그가 도관 슬리브(3) 내에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는 격벽(1)이 종방향(L)을 따라 움직이는 방향과는 무관하게 양쪽 플러그(4)를 붙잡게 된다. 특별한 장점은 밀봉 시스템의 동적 반응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폭발로 인해 전체 격벽이 종방향(L)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플러그(4)를 포함하는 도관 슬리브(3)가, 그러한 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격벽(1)과 함께 동일하게 이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분리된 종방향 부분(5), 즉 플러그(4)의 제조에 사용되는 탄성 재료는 내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는 상승된 온도에 노출될 때 팽창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리콘 고무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EPDM이 또한 채용 될 수 있다. 경도는, 예를 들어 70 Shore A일 수 있다. 충분한 유연성과 EPDM의 압축과 유사한 압축을 갖는 고무라면 어떠한 고무라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전성 고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종방향 부분의 제조 시에,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금형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그러한 제조 공정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이 사용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블로킹 요소가 도관 슬리브(3)에 고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또는 폴리에테르술폰아미드(PES) 등의, 경질 플라스틱으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러그는 다수의 파이프가 연장되는 도관 슬리브를 밀봉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WO 2004/111513, 특히 둘 이상의 파이프가 연장되는 도관 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설계된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밀봉 플러그(4)가 사실상 원통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형상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설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시스템은 사각형 및/또는 장방형의 도관 슬리브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수의 각도를 갖는 도관 슬리브에 적합한 실시예 또한 배제되지 않는다. 다른 비원형, 예를 들어 타원형 도관 슬리브를 사용하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이들 모두 파이프 및 케이블 및 덕트가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기에 적절하다는 점에서 유효하다. 시스템은, 사용 중에 원형 형상과는 다른 단면을 갖는 파이프 등이 플러그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숙련된 기술자가 요구되는 경우에 맞도록 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블로킹 요소가 도관 슬리브에 고정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다른 메커니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는 용접에 의해 도관 슬리브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블로킹 요소(37)는, 단일 금속 부재로부터 기계 가공되거나 단일 금형 내에서 성형됨으로써,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도관 슬리브에 또한 고정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37)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크루를 사용하는 기계적인 연결에 의해 또는 래치 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들 모두 공지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가 수송로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 밀봉된 수송로를 제공한다. 도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개구부 내에 또는 개구부 상에 밀봉 상태로 고정되거나 (도시되지 않음)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그러한 프레임이 개구부 내에 또는 개구부 상에 어떻게 고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00)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도관(203)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5 내지 도 11은 도관(3)으로서 단일 도관 슬리브(3)를 포함하는 실시예들만을 보여준다. 이들 도면 또한 프레임(1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도면에 도시한 프레임은 각각 오직 하나의 도관 슬리브(3)만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프레임 각각은 단일 도관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도관은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 트(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각각의 도관은, 도관의 내주 벽(1)과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2) 사이의 공간(30)을 밀봉 상태로 메우기 위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러그(4)를 수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시스템은 각각의 도관(203) 내에서 도관(203) 내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4)의 일단의 이동을 막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37)를 포함하고 있다.
도 13은 도 12의 I-I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로서, 도 12에서 화살표(V)의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블로킹 요소(37)는 각각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실제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로킹 요소(37)는 프레임(10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블로킹 요소(37)는 각각 하나의 도관(203) 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는 단일 블록의 재료에서 도관(203)을 기계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블록의 일단에서보다 블록의 타단을 향하여 도관(203)이 더욱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관(203)의 직경의 감소에 의해 블로킹 요소(37)가 제공된다. 도관(203)의 직경이 도 13에 도면부호“D"로 나타낸 점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블로킹 요소(37)의 위치에서의 도관(203)의 직경은 도면부호“d"로 나타낸 점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100) 및 모든 블로킹 요소(37)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도관 슬리브(30)의 내주 벽(10)은, 예를 들어 적절한 밀링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 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러그(4)의 기부에 높은 압력이 갑작스럽게 인가될 때, 플러그(4)의 삽입을 촉진하고 플러그(4)의 반응을 빠르게 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프레임(100) 및 모든 블로킹 요소(37)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한 프레임이 기계 가공되는 재료는 강 또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격벽이 만들어지는 대향하는 유사한 재료에 프레임(100)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프레임에는 프레임(100)이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된 구성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플랜지(F)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플랜지는 도 16에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는 용접 중에 또는 용접 후에 발생하는 열응력을 수용함으로써 도관(203)의 치수의 과도한 변경을 피할 수 있는 버퍼 영역(Z)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퍼 영역은 용접 공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프레임(100)의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블로킹 요소(37)를 제공함으로써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시예는 링 형상의 블로킹 요소(37)가 프레임(100)이 격벽에 대해 용접되는 위치(P)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버퍼 영역(Z)은,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킹 요소(37) 자체에 의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횡방향으로, 프레임(100)에는, 플랜지(F)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버퍼 영역(Z)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웃하는 두 도관 사이의 프레임의 최소 두께(t)는 외측면(104)과 그에 가장 가까운 하나의 도관(203)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의 최소 두께(T)보다 작다.
플랜지(F)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격벽의 일부에 프레임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또한 적합하다. 플랜지(F)는 플랜지(F)를 구비하지 않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될 수 없는 치수를 갖는 개구부에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볼트 결합 방식이 적용될 경우, 밀봉 개스킷이 사용된다. 이는 공지된 기술이다.
도 12 내지 도 14가 16 개의 도관(203)을 갖는 프레임(100)을 보여주고 있지만, 도관(203)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4 개 및 9 개의 도관(203)을 갖는 프레임(100)을 보여주고 있다. 프레임(100)은 적절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즉, 반드시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예를 들어 둥근 형상 또는 육각형 형상을 취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장방형 프레임은 많은 분야에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관(203)을 여러 행과 여러 열로 배열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벌집 모양 배열 또는 프레임(100) 내에 도관(203)을 촘촘하게 채워 넣는 또 다른 형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최적의 배열은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프레임의 강도, 각각의 도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 및 프레임의 무게 등의 요인은 프레임의 최적 설계를 획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관은, 도관 밖으로 나올 때 플러그의 횡방향 크기의 요인에 대해 어떠한 필요성도 제기되지 않도록, 사용 중에, 각각의 플러그 전체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내지 도 16에는 모든 프레임이 유사한 크기의 도관(203)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관(203)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모든 도관(203)의 단면이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1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4)는 도관(203)의 내벽(10)과 그러한 도관(203)을 통해 연장되는 다수의 파이프(2) 사이의 공간(30)을 메우기에 적합할 수 있다.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플러그(4)의 일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처음부터 프레임(100)의 모든 도관(203)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파이프가 연장될 필요는 없다. 프레임(100)은 충분히 클 수 있고, 비교적 많은 수의 도관(2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제로 프레임(100)이 설치될 때 즉시 필요할 수 있다. 몇몇 도관(203)에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갖지 않는 도관(203)을 밀봉 상태로 충전하기 위한 소위 블라인드 플러그(101)가 제공될 수 있다. 여분의 케이블이 프레임을 통해 삽입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케이블이 제거될 필요가 있을 때, 밀봉된 전체 수송로를 해체할 필요는 없다. 그러한 작업 과정은 다른 도관에서의 밀봉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연루된 하나 또는 소수의 도관(203)에 집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도관(203)을 포함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모든 설명은 둘 이상의 도관(203)을 갖는 프레임(10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블로킹 요소(37)는 시스템에서 분리된 부분일 수 있으며,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블로킹 요소는, 예를 들어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블로킹 요소에는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프레임(100)의 각각의 도관(20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관통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은,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사전 설정된 위치에 제공된 나사 구멍에 스크루를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이 둘 이상의 도관(203)을 갖는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은 각각의 도관(203) 내에서 플러그(4)의 양단부가 플러그(4)가 삽입된 도관(203)에 대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이동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한 추가 블로킹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추가 블로킹 요소(37)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시스템은 도관 슬리브(3) 중 하나에 끼워 맞춤 상태로 그리고 밀봉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러그(4)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관(203)은 각각, 예를 들어 도 13에서 점선 화살표(1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4) 전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도관은 축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종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두 플러그(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도 12 내지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프레임(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다수의 도관(203)을 구비할 수 있고, 블로킹 요소(37)의 어느 쪽에서도 각각의 도관(203)이 플러그 전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갖도록, 블로킹 요소(37)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도관(203)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관(203)이 플러그 전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면, 플러그의 기부는 프레임(100)의 전방과 같은 높이에 놓이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플러그(4)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도관(203)이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4)의 치수 또한, 적어도 그 외경이, 동일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금속으로 제조될수 있지만, 그 대안으로서,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또는 폴리에테르술폰아미드(PES)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프레임은, 예를 들어 해변에 위치한 건축물에 채용될 수 있으며, 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적절한 밀봉 키트의 도움을 받아 콘크리트 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또는 개구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F)를 갖춘 실시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개스킷을 사용하여, 구획용 구성 요소에 프레임을 볼트로 고정할 때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는 조임 (tightening) 요소가 없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플러그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할 때, 플러그는 더욱 팽팽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플러그를 조이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적용되는 요소보다 플러그가, 일반적으로는 시스템이, 차단을 하게 되는 (가스 또는 유체 등의) 매체에 의해 압력이 증가할 때, 그러한 조임이 발생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모든 변형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하나 또는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가 수송로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 그 수송로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은 개구부 내에 또는 개구부 상에 밀봉 상태로 고정되어 있거나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각각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도관의 내주 벽과 다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공간을 밀봉 상태로 충전하기 위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러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하나 또는 다수의 도관을 포함하며, 시스템은 각각의 도관 내에서 도관 내에 삽입된 플러그의 일단부의 이동을 막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를 또한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는 프레임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는 다수의 사실상 링 형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관은 낮은 마찰 계수의 표면을 갖는 내주 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는 단 일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프레임에는 프레임을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구성 요소에 용접 고정하거나 프레임을 구획용 구성 요소에 볼트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에는 용접 중에 및/또는 용접 후에 발생하는 열응력을 수용함으로써 도관의 치수의 과도한 변경을 피할 수 있는 버퍼 영역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전술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도관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각각의 도관 내에서 플러그의 양단부가 플러그가 삽입된 도관 슬리브에 대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이동을 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블로킹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블로킹 요소는 프레임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하나의 도관 내에 끼워 맞춤 상태로 그리고 밀봉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관은 플러그 전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도관은 축방향으로 상호 이웃하는 두 플러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의 어느 쪽에서도 각각의 도관이 플러그 전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요소의 일부는 각각의 도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두 단부, 외측부 및 내측부를 가지며,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단부가 도관 내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외측부는 플 러그와 도관의 내주 벽 사이에서 환상 접촉 표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러그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면을 구비한 다수의 외측 리브를 포함하며, 내측부는 플러그와 도관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 사이에서 환상 접촉 표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플러그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면을 구비한 다수의 내측 리브를 포함하며, 내측부 및/또는 외측부에는 플러그의 종방향 압축을 촉진하고 내측 리브 또는 외측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촉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 가능한 표면 영역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힌지 가능한 표면은 인접한 두 리브의 인접한 두 경사 표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힌지 가능한 표면은 내측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5 항,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플러그는 적어도 두 개로 분리된 종방향 부분의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에는 관통 연장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덕트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갖지 않는 도관 슬리브를 밀봉 상태로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라인드 플러그가 또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에는 조임 요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97005877A 2006-08-25 2007-08-24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076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17773A EP1892448B1 (en) 2006-08-25 2006-08-25 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t least one conduit through which a pipe or cable extends
EP06017773.0 2006-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65A true KR20090074165A (ko) 2009-07-06
KR101076060B1 KR101076060B1 (ko) 2011-10-21

Family

ID=3730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877A KR101076060B1 (ko) 2006-08-25 2007-08-24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490353B2 (ko)
EP (1) EP1892448B1 (ko)
JP (1) JP4890617B2 (ko)
KR (1) KR101076060B1 (ko)
CN (1) CN101506565B (ko)
AT (1) ATE440239T1 (ko)
BR (1) BRPI0715622A2 (ko)
CA (1) CA2661612C (ko)
DE (1) DE602006008612D1 (ko)
ES (1) ES2328612T3 (ko)
NO (2) NO339619B1 (ko)
WO (1) WO20080230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226A (ko) * 2013-02-14 2015-10-23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KR20170117157A (ko) * 2015-02-11 2017-10-20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선박 구조물, 도관 프레임, 및 파이프 및/또는 케이블이 도관을 통해 덕팅되는, 밀폐 완전성의 테스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945982T3 (en) 2005-10-27 2018-01-15 Lake Products Ltd A peripheral sealing bush for elongated objects that pass through a surface or longer than a moving one
ES2394649T3 (es) 2006-03-20 2013-02-04 Beele Engineering B.V. Sistema para sellar dinámicamente un manguito de canalización a través del cual se extiende un tubo o cable
USD796014S1 (en) 2006-05-18 2017-08-29 Lake Products Limited Sealing gland
ES2328612T3 (es) 2006-08-25 2009-11-16 Beele Eng Bv Sistema para sellar de manera dinamica al menos una conduccion a traves de la cual se extiende una tuberia o cable.
USD840516S1 (en) 2006-09-11 2019-02-12 Lake Products Limited Sealing gland
JP5203094B2 (ja) * 2008-04-03 2013-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パッキン構造
EP2280461A1 (de) 2009-07-27 2011-02-02 Firentis AG Durchführen eines Kabels, einer Leitung oder eines Rohrs durch eine Raumbegrenzung
ES2392791T3 (es) * 2010-05-25 2012-12-13 Beele Engineering B.V. Un conjunto y un procedimiento para proporcionar un sistema de sellado en una abertura
WO2012054147A2 (en) * 2010-10-19 2012-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losure for a cable connection
DE102011113032B4 (de) * 2011-09-10 2023-05-25 Minebea Mitsumi Inc. Elektrisches Gerät mit einem Gehäuse und einer Kabeldurchführung
FR2982088B1 (fr) * 2011-10-26 2013-12-27 Airbus Operations Sas Harnais electrique equipe d'un dispositif d'ecartement de ses elements conducteurs electriques au droit d'un passage d'une paroi
CA2783650A1 (en) 2012-07-20 2014-01-20 Gabe Coscarella Surround for electrical boxes
RU2526142C2 (ru) * 2012-08-21 2014-08-20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Переход высокочастотный
JP5996335B2 (ja) * 2012-08-30 2016-09-21 未来工業株式会社 耐火処理材及び貫通部の耐火構造
ES2626753T3 (es) * 2012-08-30 2017-07-25 Beele Engineering B.V. Sistema de estanqueidad para un espacio anular
JP6307778B2 (ja) 2012-09-21 2018-04-11 レイク プロダクツ リミテッド 改善されたシーリング・グランド
US9611966B2 (en) * 2012-10-31 2017-04-04 Prabhat Industries Pipe retainer
US8898974B1 (en) * 2012-11-20 2014-12-02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ical panel structures
CA2802269C (en) * 2013-01-15 2020-09-01 Gabe Coscarella Method of installing elongate bodies in a building
US9407078B2 (en) * 2013-03-15 2016-08-02 Michael R. Budagher Adaptable cable hanger insert
CA2851442C (en) 2013-05-07 2021-05-25 Gabe Coscarella Backplate for a utility box
KR200476401Y1 (ko) * 2013-07-23 2015-03-24 (주)인디고존 가스차단 접속장치
IL227729A (en) * 2013-07-31 2015-07-30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Inflatable connector
US9046194B2 (en) * 2013-08-13 2015-06-02 Specifiedtechnologies Inc. Protective conduit for a structural panel opening
US9989252B2 (en) * 2013-08-22 2018-06-05 Noritz Corporation Exhaust adapter, exhaust structure for water heater, and method for installing exhaust adapter
US9581271B2 (en) * 2013-08-23 2017-02-28 Lake Products Limited Sealing gland
NL1040459C2 (en) 2013-10-18 2015-04-23 Beele Eng Bv A pipe transit system.
NL1040462C2 (en) 2013-10-18 2015-04-23 Beele Eng Bv A pipe transit system for plastic pipes.
EP2866322B1 (de) * 2013-10-27 2018-10-10 Lapp Engineering & Co. Kabeldurchführungsvorrichtung
US10018287B2 (en) 2014-02-28 2018-07-10 Gabe Coscarella Weather barrier for a building penetration
JP2015178928A (ja) * 2014-03-19 2015-10-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内外一体型空気調和機の配管部材支持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内外一体型空気調和機
JP5830126B2 (ja) * 2014-03-31 2015-12-09 未来工業株式会社 耐火処理具及び耐火処理構造
CN104154331B (zh) * 2014-07-18 2016-10-1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管路多通道弹性穿舱件
CN104154332A (zh) * 2014-07-18 2014-11-1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管路弹性穿舱件
RU2623090C1 (ru) * 2015-03-11 2017-06-22 Ханон Системз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трубки 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а
DE202015102280U1 (de) * 2015-05-05 2016-05-10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Anordnung mit einer Wanddurchführung für mehrere Kabel und Bausatz
TWI593906B (zh) * 2015-05-18 2017-08-01 guan-long Lin Embedded / reserved perforation device and the tube with this embedded perforation device
US10119632B2 (en) 2015-05-18 2018-11-06 Kuan-Lung Lin Method for producing through hole in floor system for pipe penetration and floor system using the same
NO341490B1 (no) * 2015-06-18 2017-11-27 Braathen Thor F Et skap og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et skap
DE102015112285A1 (de) * 2015-07-28 2017-02-02 R.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5112287A1 (de) * 2015-07-28 2017-02-02 R. 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9951890B2 (en) 2015-08-24 2018-04-24 Lake Products Limited Sealing gland
CN105202274A (zh) * 2015-09-17 2015-12-3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用于测试引线安装座的密封装置
GB2543289B (en) * 2015-10-13 2022-03-02 Snug Solutions Ltd A surrounding member for a pipe
JP6140257B1 (ja) * 2015-12-07 2017-05-31 東尾メック株式会社 漏れ防止具
US10695599B2 (en) * 2016-05-20 2020-06-30 Specified Technologies Inc. Bus duct firestop system
DE202016103494U1 (de) 2016-06-30 2017-07-06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Kabelwanddurchführung und Bausatz
GB2554752A (en) * 2016-10-10 2018-04-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rommet for sealing a tube, 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a tube of an electric device
US10700502B2 (en) * 2016-11-02 2020-06-30 RPH Intellectual Holdings, LLC Wall penetration panel
US10557573B2 (en) * 2016-11-04 2020-02-1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eed through seals and fittings
EP3392988B1 (en) * 2017-04-18 2021-05-26 Roxtec AB Sealed cable passage
CA2973567A1 (en) 2017-07-17 2019-01-17 Gabe Coscarella Weather barrier for a building penetration with a removable collar
WO2019028128A2 (en) 2017-08-04 2019-02-0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CONDUIT ASSEMBLY PROVIDING HEAT RESISTANCE THROUGH OPENING IN AN INSULATED PANEL
NL2019585B1 (en) 2017-09-20 2019-03-28 Beele Eng Bv System for sealing in an opening a space around a pipe
FR3073986B1 (fr) * 2017-11-21 2023-09-08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cables electriques d’un vehicule automobile
SE541547C2 (en) * 2017-12-22 2019-10-29 Mct Brattberg Ab Insert block and sealing system comprising said insert block
JP6708681B2 (ja) * 2018-03-12 2020-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ロテクタ
CN108397607A (zh) * 2018-05-04 2018-08-14 抚顺欧柏丽实业股份有限公司 电缆及管道的贯穿密封装置及贯穿密封组件
CN108626486A (zh) * 2018-05-24 2018-10-09 国家能源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封孔装置及封孔方法
IL260942B (en) * 2018-08-01 2019-09-26 Karpel Eran A passageway facility for inserting pipes and electrical wires into protected rooms
FR3086115B1 (fr) * 2018-09-17 2021-09-24 Naval Energies Systeme de test de l'etancheite d'un presse-etoupe de traversee d'une cloison notamment d'un connecteur electrique immergeable
US20210359500A1 (en) * 2018-10-02 2021-11-18 Nidal Qumsieh Sealing apparatus
KR20210007067A (ko) * 2019-07-09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작방법
US11175089B2 (en) * 2019-12-18 2021-11-16 Whirlpool Corporation Flexible passthrough insulation for VIS
CN212231033U (zh) * 2020-07-01 2020-12-25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线缆引出系统
US11837860B2 (en) * 2020-10-22 2023-12-05 Quanta Computer Inc. Cable-gland system for an electronic chassis providing enhanced sealing functionality
FI130900B1 (fi) * 2020-11-10 2024-05-21 Vilpe Oy Läpivientisarja ja menetelmä ilmanvaihtokanavien läpiviemiseksi rakenteen läpi
FR3120997B1 (fr) * 2021-03-19 2023-09-08 Alstom Transp Tech Ensemble de conduite de câble électrique comprenant un bouchon hermétique
CN113511822B (zh) * 2021-09-13 2021-11-26 武汉锐科光纤激光技术股份有限公司 光纤载氢装置和光纤处理系统
CN114738562B (zh) * 2022-03-15 2023-05-23 陕西建工第九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伸缩风管、线槽穿墙套管装置
NL2031700B1 (en) 2022-04-25 2023-11-07 Beele Eng Bv Holder for placement in and/or against an opening in a construction element and for having cables sealingly extending through channels in the holder
NL2031699B1 (en) 2022-04-25 2023-11-07 Beele Eng Bv Holder for placement in and/or against an opening in a construction element and for having cables sealingly extending through channels in the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2492A (en) 1934-10-31 1936-03-03 Goodrich Co B F Pipe joint assembly
US2202617A (en) * 1939-02-24 1940-05-28 A C Horn & Company Method of sealing conduits
US2271777A (en) 1939-04-25 1942-02-03 Goodrich Co B F Sealing structure
US2448769A (en) 1945-09-07 1948-09-07 James M W Chamberlain Fluid-coupling assembly
US2819099A (en) 1953-06-12 1958-01-07 Westinghouse Air Brake Co Flange union fitting with contractible lined wedge
GB916461A (en) 1958-06-20 1963-01-23 Robert Alexandre De Vienne A sealing attachment device for securing an elongated element such as an electric cable, in an apertured member
US3067425A (en) 1959-11-09 1962-12-11 Goodrich Co B F Flying suit helmet with penetrable sealing closure structure
US3048415A (en) 1960-12-05 1962-08-07 Press Seal Gasket Corp Pipe joint assembly
US3163448A (en) * 1961-10-03 1964-12-29 American Pipe & Constr Co Conduit joint and seal member therefor
US3352212A (en) * 1962-05-03 1967-11-14 Dresser Ind Well swab device
US3331914A (en) 1965-09-24 1967-07-18 M & W Electric Mfg Co Inc Watertight sealing devices for electrical cables
US3578027A (en) * 1969-07-30 1971-05-11 William L Zopfi Sealing plugs or closures
DE2000221A1 (de) * 1970-01-03 1971-07-08 Tank Und Appbau Schwietert & C Fahrzeug-Fluessigkeitsbehaelter mit Schwalleinbauten
US3702193A (en) * 1971-02-22 1972-11-07 Josam Mfg Co Self-retaining and sealing joint gasketing sleeve
BE788705A (fr) * 1971-12-03 1973-01-02 Formex Mfg Inc Termineur de conduit
BE794441A (fr) 1972-01-25 1973-05-16 Wunderlich Heinz Dispositif pour l'ancrage de sorties de tuyauteries dans les murs
US3827704A (en) 1972-06-16 1974-08-06 G Gillemot Sealing grommet and plug for use with electrical cabling
US3811711A (en) 1972-10-03 1974-05-21 Harsco Corp Multiple concrete to plastic pipe adapter
US3793672A (en) 1972-12-06 1974-02-26 Raychem Corp Heat recoverable article and process
US3913928A (en) * 1973-05-09 1975-10-21 Seiichi Yamaguchi Resilient joint
US3893919A (en) 1973-10-31 1975-07-08 Josam Mfg Co Adjustable top drain and seal
US4075803A (en) * 1976-06-24 1978-02-28 Formex Manufacturing, Inc. Split duct terminator
US4086736A (en) * 1976-12-16 1978-05-02 Daniel International Corporation Fire and liquid seals for pipes and conduits and method of forming same
NL177516C (nl) * 1978-09-12 1985-10-01 Pidou Bv Afdichtmanchet.
GB2057595A (en) * 1979-03-30 1981-04-01 Avon Ind Polymers Bradford On Seal Assembly
US4385777A (en) 1980-06-02 1983-05-31 The Logsdon Foundation Decorative escutcheon capable of inhibiting the propagation of noise
US4426095A (en) 1981-09-28 1984-01-17 Concrete Pipe & Products Corp. Flexible seal
US4431243A (en) 1982-07-28 1984-02-14 The Bendix Corporation Contact stop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4429886A (en) 1982-09-29 1984-02-07 Concrete Pipe & Products Corp. Flexible pipe gasket
FR2547888B1 (fr) 1983-06-22 1985-12-13 Sabla Sa Bague d'etancheite a implants pour tuyaux a emboitement
EP0139337A3 (en) * 1983-10-19 1986-07-30 Pidou B.V. Multi-part sealing system
DE3443284A1 (de) * 1984-11-28 1986-05-28 Dipl.-Ing. Dr. E. Vogelsang GmbH & Co KG, 4352 Herten Endverschlussanordnung an einem aggregat aus kabelkanal und eingezogenem rohrbuendel aus kabelfuehrungsrohren
GB2186442B (en) 1986-02-11 1990-03-14 Hawke Cable Glands Ltd Improved transit for cables and pipes
NL8700204A (nl) 1987-01-28 1988-08-16 Pidou Bv Afdichtinrichting.
CA1287138C (en) 1987-04-08 1991-07-30 Sadao Kuboi Drip-proof connector
JPH0693372B2 (ja) * 1987-04-08 1994-11-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防滴コネクタ
GB2221736B (en) 1988-08-10 1992-08-19 Hawke Cable Glands Ltd Apparatus for sealing a service duct
US4998896A (en) 1989-09-25 1991-03-12 Amp Incorporated Sealed stamped and formed pin
FR2675879B1 (fr) 1991-04-25 1993-12-31 Vibrachoc Dispositif pour supporter une tuyauterie au passage d'une cloison et assurer l'etancheite de part et d'autres de la cloison.
NL9101637A (nl) * 1991-09-27 1993-04-16 Csd Int Bv Brandwerend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vloeistof- en gasdicht doorvoeren van ten minste een kabel, buis of dergelijke, door een opening van een wand.
DE9204067U1 (ko) 1992-03-26 1992-07-23 Betonbau Gmbh, 6833 Waghaeusel, De
DE9206312U1 (ko) 1992-05-11 1992-08-06 Passavant-Werke Ag, 6209 Aarbergen, De
DE4225916C2 (de) * 1992-08-05 1995-05-18 Thyssen Polymer Gmbh Dichtelement für Kabelkanalrohre
JP2768173B2 (ja) 1992-09-16 1998-06-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耐候性鋼材
US5456050A (en) * 1993-12-09 1995-10-10 Construction Consultants & Contractors, Inc. System to prevent spread of fire and smoke through wall-breaching utility holes
DE69522488T2 (de) 1994-04-13 2002-05-16 Sumitomo Wiring Systems Abdichtungsvorrichtung und Herstellverfahren eines wasserdichten Stecker
JP2962144B2 (ja) * 1994-04-13 1999-10-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785695B2 (ja) 1994-07-20 1998-08-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用防水シール
FI101498B (fi) 1995-05-16 1998-06-30 Uponor Innovation Ab Muhviliitos muoviputkia varten
DE29605883U1 (de) 1996-03-29 1996-07-18 Svt System Service Gmbh Kabelschottung
EP0987482A3 (de) 1998-09-14 2000-11-08 Kröner GmbH Armaturen und Dichtungstechnik Hauseinführung für Rohre
US6180882B1 (en) 1999-01-19 2001-01-3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Single and dual cable seal system
SI20182A2 (sl) * 1999-02-15 2000-08-31 Liv Plastika, Predelava Plastike, D.O.O. Postojna Priključek odtočne cevi na nadometni WC splakovalnik
JP3540197B2 (ja) 1999-05-18 2004-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NL1012759C2 (nl) * 1999-08-02 2001-02-05 Beele Eng Bv Afdichtsamenstel en afdichtmanchet hiervoor.
DE19955762C1 (de) 1999-11-19 2001-02-01 Hilti Ag Hülsenförmiges Abdichtelement zum Abdichten des Ringspalts zwischen einem zylindrischen Gegenstand und einer in einem Bauelement vorhandenen zylindrischen Druchführung
AT410734B (de) 2000-03-14 2003-07-25 Bst Brandschutztechnik Doepfl Dichtungselement für eine vorrichtung zur brandgesicherten durchführung von leitungen durch in wänden befindliche öffnungen hindurch
DE10035006C1 (de) 2000-07-19 2002-03-07 Langmatz Lic Gmbh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von vorzugsweise mehreren Kabeln und/oder Leitungen durch eine Wand
CA2319876A1 (en) * 2000-09-19 2002-03-19 Michael P. Sakno Block for fire and smoke along a barrier penetrating member
US6494463B1 (en) * 2000-11-06 2002-12-17 Kurt J. Rank Plug for sealing more than one size of hole
NL1016749C2 (nl) 2000-11-30 2002-05-31 Beele Eng Bv Afdichtsysteem.
JP2002343493A (ja)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端子一体型シール部材
GB2380241B (en) * 2001-07-12 2003-08-20 Huntleigh Technology Plc Connector
US6575430B1 (en) 2002-04-10 2003-06-10 National Coupling Company, Inc. Hydraulic coupling with dovetail seal having multiple radial sealing surfaces
NL1023688C2 (nl) 2003-06-18 2004-12-21 Beele Eng Bv Systeem voor het afdichten van een ruimte tussen een binnenwand van een buisvormige opening en tenminste een althans voor een deel in de opening opgenomen buis of leiding waarvan de as in hoofdzaak evenwijdig is aan de as van de opening.
US6969799B2 (en) * 2003-11-20 2005-11-29 Sgc Technologies, L.L.C. Poke through
DE202004017185U1 (de) 2004-11-03 2006-03-23 Doyma Gmbh & Co Dichtungsvorrichtung
ES2394649T3 (es) * 2006-03-20 2013-02-04 Beele Engineering B.V. Sistema para sellar dinámicamente un manguito de canalización a través del cual se extiende un tubo o cable
ES2328612T3 (es) 2006-08-25 2009-11-16 Beele Eng Bv Sistema para sellar de manera dinamica al menos una conduccion a traves de la cual se extiende una tuberia o cable.
US7374210B2 (en) * 2006-10-17 2008-05-20 Jeffery Gene Staskal Hydro penetration prevention slee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226A (ko) * 2013-02-14 2015-10-23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KR20170117157A (ko) * 2015-02-11 2017-10-20 비일리 엔지니어링 비.브이. 선박 구조물, 도관 프레임, 및 파이프 및/또는 케이블이 도관을 통해 덕팅되는, 밀폐 완전성의 테스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3058A1 (en) 2008-02-28
CA2661612A1 (en) 2008-02-28
CA2661612C (en) 2012-01-17
ES2328612T3 (es) 2009-11-16
JP2010501813A (ja) 2010-01-21
US20130161913A1 (en) 2013-06-27
NO341928B1 (no) 2018-02-19
US20100059941A1 (en) 2010-03-11
JP4890617B2 (ja) 2012-03-07
EP1892448B1 (en) 2009-08-19
NO20091228L (no) 2009-05-15
EP1892448A1 (en) 2008-02-27
ATE440239T1 (de) 2009-09-15
BRPI0715622A2 (pt) 2013-07-02
NO339619B1 (no) 2017-01-16
KR101076060B1 (ko) 2011-10-21
US8490353B2 (en) 2013-07-23
CN101506565B (zh) 2012-05-30
CN101506565A (zh) 2009-08-12
DE602006008612D1 (de) 2009-10-01
US8833014B2 (en) 2014-09-16
NO20130243L (n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060B1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
US9528636B2 (en) 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 conduit sleeve through which a pipe or cable extends
JP5993071B2 (ja) 開口に密封システムを提供するアセンブリ
KR101953728B1 (ko)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US7802798B2 (en)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tubular opening and a tube
EP1837572A1 (en)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n inner wall of a tubular opening and at least one tube or duct at least partly received in the opening
EP3063448B1 (en) Method for providing a pipe transit system
KR20090001795U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