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491A -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491A
KR20090071491A KR1020080134787A KR20080134787A KR20090071491A KR 20090071491 A KR20090071491 A KR 20090071491A KR 1020080134787 A KR1020080134787 A KR 1020080134787A KR 20080134787 A KR20080134787 A KR 20080134787A KR 20090071491 A KR20090071491 A KR 2009007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recording
setting
pag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하루 호리우치
야스히로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2Transmitting printer device capabilities, e.g. upon request or period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the user being informed about print result after a job sub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기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에 있어서, 설정하기 어려운 기록 장치의 기능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린터(3)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1)는, 프린터(3)에 의한 기록 동작에 있어서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를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할지 여부 및 롤지(100)를 페이지간에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가 입력될 때에, 디스플레이(1a)에, 페이지간의 종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종이의 절단의 유무의 여러 가지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도록 선택 표시 유닛을 표시하고, 또한, 선택 표시 유닛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되면,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와의 상대적 위치를 도안화한 화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들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기록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프린터 드라이버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 08-244279 호 공보를 참조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조건이나 각종 기능의 설정을 행한다.
그런데, 최근의 프린터의 다기능화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설정되 는 파라미터도 복잡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프린터 동작을 설정할 때에, 잘못된 설정을 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신중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복잡한 기능을 갖는 기록 장치의 기능에 따른 설정을,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을 구비한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록 제어 장치이다. 상기 기록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한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할지 여부 및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페이지간에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유닛과,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록 제어 유닛과,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입력이 행해질 때에,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 표시 유닛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상기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설정 후보가 선택된 때에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대응하여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 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기록 장치가 반송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할지 여부 및 절단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에 대해 입력되면, 본 발명은,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다른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표시 유닛을 표시하고, 이 선택 표시 유닛에 표시된 적절한 설정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프린터는 용이하고 바람직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대응하여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화상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므로, 설정 후보를 선택할 때에, 그 설정 후보를 선택한 경우에 기록 장치가 어떠한 동작을 할지가 분명히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선택된 설정의 내용을 확인한 후에 설정이 저장되므로, 오설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오설정에 의한 기록 매체의 손실이나 노력의 낭비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페이지간의 종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종이의 절단의 유무를 설정할 때에는, 잘못된 설정에 의해, 예컨대, 절단해서는 안 될 저널 보고서나 다른 형태를 절단하여버리거나, 페이지간의 불필요한 반송에 의해 있어서는 안 될 여백을 추가하여버리거나, 혹은 반대로 필요한 여백이 확보되지 않는 등, 무시할 수 없는 손 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 이와 같은 설정을 행하는 오퍼레이터는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선택된 설정의 결과에 따라 기록 장치가 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화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이 화상에 의해 기록 장치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어, 간단히, 실수 없이 기록 장치의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오설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록 장치 설정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심리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지나친 노력 없이 기록 장치가 설정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1 또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작업마다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페이지간에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할지 여부 및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페이지간에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뿐만 아니라,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작업간에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할지 여부 및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작업간에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입력이 행해질 때에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상기 선택 표시 유닛으로서, 작업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작업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및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설정 후보에 근거하여 작업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작업간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기록 장치가 1 또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작업마다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 및 절단의 유무뿐만 아니라, 작업간에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절단의 유무를 간단하고, 실수 없이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작업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작업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및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와 같은 다수의 요소가 관계하는 복잡한 설정이, 적절한 설정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더구나, 특정 설정 후보를 선택한 경우의 기록 장치의 동작이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므로, 복잡한 설정을, 간단하게, 또한 실수 없이 행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도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입력 수단에서 화상의 기록 방향 및 기록 매체의 종류 설정을 행할 때에,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는 설정 후보만을 선택을 위해 표시한다.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화상의 기록 방향 및 기록 매체의 종류가 설정되면, 이 설정에 적합한 설정 후보만이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선택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화상의 기록 방향이나 기록 매체의 종류에 적합하지 않은 설정은 설정될 수 없으며, 오설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선택 표시 유닛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별도의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 설정 후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설정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상기 선택 표시 유닛의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입력 유닛에 의해 확인된 경우에, 선택된 설정 후보가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선택 표시 유닛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설정 후보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고, 별도의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는, 새롭게 선택된 설정 후보에 대응하는 화상이 전환되어 표시되므로, 표시되는 화상에서 기록 장치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선택 표시 유닛에 표시된 설정 후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소망하는 설정을 찾을 수 있고, 그러므로, 쉽고, 오류 없이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닛에 의해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선택이 확인되면, 선택된 설정 후보가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되므로, 선택이 확인될 때까지 선택 표시 유닛에서 선택된 설정 후보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되고,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보다 한층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한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록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 제어 방법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할지 여부 및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가 입력될 때에,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 보를 선택 입력 가능하게 선택 스크린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선택된 설정 후보에 의해 결정되는,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여, 설정한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기록 장치의 반송 수단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를 반송할지 여부 및 절단 수단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때에, 선택 표시 유닛상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단순히 이 선택 표시 유닛에 표시된 설정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설정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선택 표시 유닛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설정 후보에 대응하여, 각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므로, 설정 후보를 선택한 경우의 기록 장치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간단하게, 실수 없이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록 제어 방법은, 상기 기록 장치를 이용하여 1 또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각 작업마다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와,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에 덧붙여, 작업 사이에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 부, 및, 작업 사이에서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입력이 있을 때에, 작업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작업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및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설정 후보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근거하여 작업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작업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설정이 이루어질 때 설정되는 상기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는 설정 후보만을 선택하도록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수단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다른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 설정 후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고,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확정되었을 때에, 선택된 설정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한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반송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할지 여부 및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이 행해질 때에,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의해 결정되는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킴으로써, 기록 장치가 반송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를 반송할지 여부 및 절단 수단에 의해 페이지간에 기록 매체를 절단할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할 때에, 선택 표시 유닛에,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다른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이 선택 표시 유닛에 표시된 적절한 설정 후보를 선택함으로써, 기록 장치는 용이하게 원하는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설정 후보에 대응하여,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간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므로, 그 설정 후보를 선택한 경우의 기록 장치의 동작을 표시되는 화상으로서 확인할 수 있어, 기록 장치가 용이하고, 실수 없이 설정될 수 있다.
이 제어 프로그램은, 플로피디스크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의 자기적 기록 매체, MO디스크 등의 광자기 기록 매체, CD-R, CD-RW, DVD±R, DVD±RW, DVD-RAM과 기타 광학식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상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설정 후보를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설정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프린터 설정의 결과로서의 기록 장치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화상을 보면서, 간단하게, 실수 없이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 및 형태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호스트 컴퓨터(1)(기록 제어 장치)는 케이블(4)을 통하여 프린터(3)(기록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터(3)는, 롤 형상으로 감긴 감열지로 이루어지는 롤지(100)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고, 롤지(100)의 인쇄면에 접하는 감열 헤드(thermal head)에 의해, 문자와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식 프린터이다.
프린터(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롤지(100)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내부 종이 커터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호스트 컴퓨터(1)는, 프린터(3)에 대하여, 케이블(4)을 통하여 화상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를 송신하여, 프린터(3)를 제어하여, 롤지(100)에 화상을 인쇄시킨다. 호스트 컴퓨터(1)는, 각종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a)(표시 화면)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키보드(1b)와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이다.
도 2는, 호스트 컴퓨터(1) 및 프린터(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호스트 컴퓨터(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1) 및 프린터(3)를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기본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11), CPU(1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12), 디스플레이(1a)(도 1)에 각종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3), 키보드(1b)(도 1)나 마우스를 포함하고, 이들 입력 장치의 조작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14)(입력 수단), 케이블(4)을 통하여 프린터(3)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15),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유닛(20) 및, 이들 각 구성 요소를 연 결하는 버스(16)를 포함한다.
CPU(10)는, ROM(11)에 기억되어 있는 기본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12)에 마련되는 작업 메모리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1)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CPU(10)는, 기억 유닛(20)으로부터,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21)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3)을 판독하여, 호스트 컴퓨터(1)의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CPU(10)는, 후술하는 프린터 드라이버(22)를 기억 유닛(20)으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파라미터 설정 수단, 기록 제어 수단, 및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프린터(3)의 동작 파라미터에 따른 설정을 행하고, 이 설정에 따라 프린터(3)를 제어한다.
ROM(11)은,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기본 제어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를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RAM(12)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CPU(10)에 의해 사용되는 작업메모리로 사용된다.
기억 유닛(20)은, 자기적, 광학적, 또는 다른 종류의 기억 매체 또는 반도체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 영역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컨대, 기억 유닛(20)은, 호스트 컴퓨터(1)의 다른 부분의 초기화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3)의 요구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21), 프린터(3)를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22)(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프로그램에 대응), 호스트 컴퓨터(1)에 의해 특정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3)을 기억한다.
표시 장치(13)는, CPU(10)의 제어에 따라,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인 디스플 레이(1a)에,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입력 장치(14)는, 키보드(1b)나 마우스, 태블릿 또는 디스플레이(1a)에 중첩 배치된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해석하여, 입력된 내용을 CPU(10)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15)는, CPU(10)의 제어에 따라, 케이블(4)을 통하여 프린터(3)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터페이스(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CPU(10)가 생성하는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케이블(4)을 통하여 프린터(3)에 송신한다.
프린터(3)는, 프린터(3)의 다른 부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1),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케이블(4)을 통한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33),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감열 헤드(35)(기록 수단), 반송 모터(36)(반송 수단), 및 커터 기구(37)(절단 수단)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34)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회로(34)에 접속된 감열 헤드(35)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탑재하고, 롤지(100)(도 1)에 당접하는 발열 소자를 선택적으로 발열시킴으로써 롤지(100)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헤드이다. 구동 회로(34)는,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감열 헤드(35)의 적절한 발열 소자를 통전시킴으로써, 발열 소자를 필요한 타이밍에 발열시킨다.
반송 모터(36)는, 예컨대, 스테핑모터와 같은 반송 모터(도시 생략)와, 이 반송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반송 롤러(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송 롤러는, 상기 감열 헤드(35)에 대향하여 롤지(100)를 감열 헤드(35)와의 사이에 끼 우는 압반(platen)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반송 롤러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 회로(34)는,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반송 모터(36)에 대하여 구동 전류와 구동 펄스를 출력함으로써, 반송 모터(36)를 필요한 타이밍에 필요량만큼 회전시킨다.
커터 기구(37)는, 감열 헤드(35)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후에 롤지(100)가 지나는 반송 경로에 마련되고, 롤지(100)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커터(도시 생략)와, 커터를 구동하는 커터 구동 유닛(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커터는, 예컨대, 롤지(100)의 반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고정날과, 이 고정날에 맞물리도록 상기 커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1 또는 복수의 가동날을 갖는다. 이 커터는, 가동날의 구동량을 조정함으로써, 롤지를 완전히 절단하는 것도, 롤지의 끝 또는 중앙의 일부를 약간 남겨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회로(34)는,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커터 구동 유닛(도시 생략)에 통전하여, 필요한 타이밍에 필요량만큼 가동날을 움직인다.
인터페이스(33)는, 컨트롤러(31)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1)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고,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컨트롤러(31)에 출력한다.
컨트롤러(31)는, 인터페이스(33)를 통하여 수신한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해석하여, 롤지(100)에 인쇄해야할 화상 데이터를, 내장하는 메모리에 전개한다. 컨트롤러(31)는, 수신한 인쇄 작업의 데이터로부터, 인쇄시에 있어서의 인쇄 조건 및 인쇄 전후에 있어서의 동작을 지정하는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한다. 이 제어 데이터는, 인쇄시의 여백이나 인쇄 농도, 종이를 반송하여 페이지간(페이지 경계)에서 여백을 마련하는지 여부, 페이지간에 커터 기구(37)에 의해 롤지(100)를 절단할지 여부, 종이를 반송하여 작업간에 여백을 마련하는지 여부, 작업간에 커터 기구(37)에 의해 롤지(100)를 절단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 및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컨트롤러(31)는 제어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에 따라 구동 회로(34)를 제어하여, 제어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반송 모터(36) 및 커터 기구(37)를 동작시키고, 내장하는 메모리에 전개한 화상 데이터에 따라 인쇄를 행하기 위해 감열 헤드(35)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프린터(3)는, 호스트 컴퓨터(1)의 제어하에 롤지(100)에 화상을 인쇄하여, 출력한다.
도 3은, 프린터 드라이버(22)(도 2)의 실행시에 호스트 컴퓨터(1)(도 2)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각 기능 블록은 CPU(10) 및 기억 장치(20)에 의해 가상적으로 실현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록 제어 장치에 대응한다.
CPU(10)는 요구 접수 유닛(102),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표시 제어 수단, 데이터 제어 수단), 입력 제어 유닛(104), 페이지간 제어 유닛(105)(설정 수단),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 송신 제어 유닛(107), 및, 이들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101)을 구비한다.
요구 접수 유닛(102)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3)(도 2)에 의한 프린터(3)에 대한 인쇄 요구를, 인쇄 대상의 문서와 함께 접수한다.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은, 요구 접수 유닛(102)에 의해 접수한 인쇄 대상 문서에 대응하는 프린터(3)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기억 유닛(20)의 화면 포맷 기억 유닛(201)에 기억되어 있는 윈도우 포맷 및 설정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에 근거하여, 표시 장치(13)의 윈도우 내에 표시한다.
입력 제어 유닛(104)은, 데이터 표시 제어부(103)에 의해 표시된 프린터(3)의 설정에 관한 소망하는 정보가, 입력 장치(14)의 조작에 의해 선택이나 입력된 경우에, 이 입력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급지 모드와 용지 방향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입력 장치(14)의 조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페이지간 제어 유닛(105)은, 입력 제어부(104)에 의해 접수한 입력 내용에 근거하여, 프린터(3)의 설정 중 하나인 급지 모드가, 페이지간에 여백을 만들도록 종이를 반송하는 페이지 여백 모드인지, 페이지간에 롤지(100)(도 1)를 절단하는 종이 절단 모드인지를 판정한다.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은, 인쇄 대상 문서를 인쇄할 때에 실제로 롤지(100)에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페이지간 제어 유닛(105)에 의해 판정한 종이 반송과 절단 동작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들 화상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합쳐서 프린터(3)에 인쇄 작업으로서 송신한다. 이 인쇄 작업의 데이터는, 기억 유닛(20)의 인쇄 데이터 기억 유닛(203)에 기억된다.
송신 제어 유닛(107)은,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에 의해 생성된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인쇄 작업의 실행을 요구하는 인쇄 요구의 커맨드와 함께 프린터(3)에 송신한다. 여기서, 인쇄 작업의 데이터 자체가 인쇄 요구의 커맨드를 겸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 및 송신 제어 유닛(107)은 기록 제어 수단으로서 동작하고, 이들에 의해 생성 및 송신되는 작업의 데이터에 따라, 프린터(3)가 설정된대로 동작한다.
제어 유닛(101)은, 요구 접수 유닛(102),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 입력 제어 유닛(104), 페이지간 제어 유닛(105),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 및 송신 제어 유닛(107)이 서로 협동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프린터 드라이버(22)의 실행시, 기억 유닛(20)은, 화면 포맷 기억 유닛(201), 설정 정보 기억 유닛(202), 및 인쇄 데이터 기억 유닛(203)으로서 기능한다. 화면 포맷 기억 유닛(2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에 의해, 예컨대, 표시 장치(13)의 표시 영역에 인쇄 설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포맷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영역이다. 설정 기억 유닛(202)은, 입력 제어 유닛(104)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설정된, 프린터(3)의 동작에 관한 설정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인쇄 데이터 기억 유닛(203)은,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에 의해 생성된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설정 가능한 급지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급지 모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는 페이지간의 반송도 절단도 행하지 않는 예, 도 4(b)는 페이지간의 반송을 행하고 절단은 행하지 않는 예, 도 4(c)는 페이지간의 반송을 행하지 않고 절단을 행하는 예, 도 4(d)는 페이지간의 반송도 절단도 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a)~(d)에서는, 편 의상, 페이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직선을 도시하고 있지만, 프린터(3)가 실제로 직선을 인쇄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간의 반송도 절단도 행하지 않는 경우, 프린터(3)가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하여 인쇄하면, 프린터(3)로부터는, 각 페이지의 화상이 인쇄된 부분을 나타내는 인쇄부(50)가 이어진 상태로 긴 롤지(100)가 배출된다. 각 페이지 내에 설정된 여백이 각 페이지의 끝에 나타날 뿐, 다른 여백은 페이지 사이에 추가되지 않는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간에 반송을 행하면서, 프린터(3)가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하여 인쇄하면, 롤지(100)에서 페이지간에는 여백(51)이 삽입된다. 이 경우, 프린터(3)는, 인접하는 페이지 사이에 추가의 여백을 갖는 연속적인 거미줄같은 롤지(100)를 배출한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간의 반송을 행하지 않고서 절단을 행하는 경우, 프린터(3)가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하여 인쇄하면, 각 페이지의 인쇄부(50)는 페이지 밖의 여백 없이 연결되어 있고, 페이지간에 절단 위치(52)가 설정된다. 프린터(3)는, 절단 위치(52)에서 커터 기구(37)(도 2)를 동작시켜 롤지(100)를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여기서, 페이지간에 여백이 없으므로, 절단 위치(52)는 실질적으로 페이지의 경계, 즉, 페이지의 끝에 위치한다. 그러나, 커터 기구(37)의 고정날(도시 생략) 및 가동날(도시 생략)의 공차, 커터 기구(37)의 동작 타이밍의 공차, 및, 커터 기구(37)에 의해 롤지(100)를 절단할 때의 절단폭의 영향으로, 절단 위치(52)가 페이지의 끝으로부터 어긋나거나, 각 페이지의 일부가 절단에 의해 없어지거나 할 수 있다. 이 어긋남 등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는, 각 페이지 내의 인쇄부(50)에 있어서의 여백에 여유를 갖게 하거나, 혹은, 도 4(d)의 예와 같이 여백(51)이 설정될 수 있다. 도 4(c)의 예에서는, 프린터(3)에 의해 각 페이지의 인쇄부(50)에서 절단되어, 1장씩 분리된 상태로 배출된다.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지간의 반송을 행하고, 절단도 행하는 경우, 프린터(3)가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하여 인쇄하면, 롤지(100)에 있어서는 각 페이지간에 여백 부분(51)이 형성되고, 이 여백 부분(51)에 절단 위치(52)가 설정된다. 도 4(d)의 예에서는, 각 페이지의 인쇄부(50)가, 여백 부분(51)을 포함하여 조금 크게 절단되어, 페이지가 1장씩 프린터(3)로부터 배출된다.
도 5는, 프린터(3)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작업을 연속하여 실행하는 경우의 급지 모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작업간의 반송도 절단도 행하지 않는 예, 도 5(b)는 작업간의 반송을 행하고 절단은 행하지 않는 예, 도 5(c)는 작업간의 반송을 행하지 않고 절단을 행하는 예, 도 5(d)는 작업간의 반송도 절단도 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a)~(d)에서는, 편의상, 페이지의 끝 및 작업의 끝을 나타내는 직선을 도시하고 있지만, 프린터(3)가 실제로 이러한 직선을 인쇄하는지 여부는 임의적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프린터(3)는, 하나의 작업의 인쇄부(55)를 인쇄한 후, 작업간 종이의 반송도 절단도 행하지 않고서 다음 작업의 인쇄부(55)를 인쇄한다. 그 결과, 복수의 작업이 인쇄된 인쇄부(55)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프린터(3)로부터 롤지(100)가 배출된다.
도 5(b)의 예에서는, 프린터(3)는, 작업을 인쇄한 후에 롤지(100)를 소정량만큼 반송하므로, 작업의 말미에 여백(51)이 형성된다. 그 후에 다음 작업이 인쇄되면, 각 작업의 인쇄부(55)의 사이에 여백(51)이 형성된다. 이 경우, 프린터(3)는, 연속하는 작업간에 여백(51)이 삽입된 롤지(100) 거미줄을 배출한다.
도 5(c)의 예에서는, 종이는 작업간에 반송되지 않고 절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린터(3)가, 복수의 작업을 연속하여 인쇄할 때에, 각 작업의 인쇄부(55)의 사이에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생기지 않도록 연속하여 인쇄를 행하고, 절단 위치(52)는 작업간에 설정되며, 프린터(3)는 이 절단 위치(52)에서 커터 기구(37)(도 2)를 동작시켜 롤지(100)를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각 작업 후에 인쇄되지 않은 롤에서 인쇄된 롤지(100)가 절단된다. 여기서, 작업간에는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없으므로, 절단 위치(52)는 작업의 경계의 거의 바로 위, 혹은, 경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다.
도 5(d)의 예에서는, 프린터(3)는 복수의 작업을 연속하여 인쇄할 때에, 작업간에 여백(51)이 형성되고, 이 여백(51)에 절단 위치(52)가 설정되고, 절단 위치(52)에서 커터 기구(37)에 의해 롤지(100)가 절단된다. 이 예에서는, 각 작업의 인쇄부(55)가 여백 부분(51)을 포함하는 더 큰 크기로 절단되어 배출된다.
도 5(a)~(d)에는, 하나의 작업의 페이지간에는 반송도 절단도 행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실제로는, 도 4(a)~(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페이지간에 반송 및 절단을 행하는 동작과, 도 5(a)~(d)에 나타낸 각 작업간에 반송 및 절단을 행하는 동작을, 원하는대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의 제어에 의해, 프린터(3)는, 인쇄하는 페이지와 페이지간에 반송을 행하여 여백을 형성하는 동작과, 페이지간에 롤지(100)를 절단하는 동작과, 복수의 작업을 연속하여 인쇄할 때에 작업간에 반송을 행하여 여백을 형성하는 동작과, 작업간에 롤지(100)를 절단하는 동작을 조합하여, 예컨대, 16가지의 다양한 급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급지 모드는, 호스트 컴퓨터(1)에 있는 프린터 드라이버(22)(도 2)를 접속하여, 디스플레이(1a)에 설정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1a)에 표시되는 설정 윈도우(6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예시하는 설정 윈도우(61)는, 디스플레이(1a)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서 표시된다. 설정 윈도우(61)는, 다수의 선택 가능한 파라미터 중에서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선택(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 선택 영역(62)을 포함한다.
파라미터 선택 영역(62)에는, 입력 장치(14)의 키보드(1b) 또는 다른 부분을조작하여 선택되는 항목과, 각 항목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현재의 설정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 파라미터 선택 영역(62)이 표시되고, 「급지」가 설정을 위해 선택되면, 급지 모드의 설정을 행하는 윈도우가 표시된다.
도 7은 설정 윈도우(6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급지 모드의 설정을 위해 표시되는 설정 윈도우(61)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설정 윈도우(61)에는, 급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급지 모드 표시 유 닛(63)(선택 표시 유닛)이 표시된다.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는, 프린터(3)의 기종 및 프린터(3)에서 사용 가능한 용지에 따라, 선택 가능한 급지 모드의 후보가 일람 표시되어 있다. 입력 장치(14)를 조작하여,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 표시된 후보 중 원하는 급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서 하나의 급지 모드가 선택 되면, 설정 윈도우(61)에, 선택된 급지 모드에 대응하여 급지 모드 그래픽(64)(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화상에 대응)이 표시된다. 급지 모드 그래픽(64)은, 선택된 급지 모드에 있어서, 각 페이지에 인쇄되는 화상과, 페이지간 및 작업간 종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 및 작업간 종이의 절단의 유무를 시각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입력 장치(14)를 이용하여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서 하나의 급지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화상이 급지 모드 그래픽(64)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서,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서 다른 급지 모드의 후보가 선택되면, 급지 모드 그래픽(64)이 새롭게 선택된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화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의 오퍼레이터는, 급지 모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급지 모드 그래픽(64)을 보면서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서 급지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급지 모드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급지 모드 그래픽(64)으로서 표시되는 그래픽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e)의 그래픽에는, 각각 2페이지를 포함하는 2개의 작업이 연속하여 인쇄되며, 각 작업이 「Job1」, 「Job2」로서 표시되고, 각 작업의 각 페이지로서 인쇄되는 화상의 위치가, 「Job1 Page1」, 「Job1 Page2」, 「Job2 Page1」, 「Job2 Page2」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페이지간이나 작업간에 절단을 행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에는, 절단 위치는 파선으로 표시되고, 그 파선이 절단 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로서 가위의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페이지간이나 작업간에 종이를 반송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에는, 종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이 그려져 있다.
도 8(a)는,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종이가 반송 및 절단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도시한다. 이 그래픽으로부터 각 작업 내에 있어서의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여백이 형성되고, 이 여백에서 종이가 절단됨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8(b)는,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반송을 행하는 한편, 절단은 행하지 않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도시한다. 이 그래픽으로부터 각 작업 내의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여백이 형성되고, 절단이 행해지지 않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8(c)는,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반송을 행하지 않고, 절단을 행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도시한다. 이 그래픽으로부터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삽입되지 않고, 작업간과 페이지간에 종이가 절단됨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8(d)는, 페이지간에 반송 및 절단을 행하지 않고, 작업간에 반송 및 절단을 행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도시한다. 이 그래픽으로부터 각 작업 내의 페이지간에는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없이 절단되지 않고, 작업간에는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형성되고, 이 여백에서 절단됨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8(e)는, 페이지간에 반송을 행하지 않고 작업간에 반송을 행하여 여백을 형성하고, 절단은 페이지간에도 작업간에도 전혀 행하지 않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도시한다. 이 그래픽으로부터 각 인쇄 작업 내의 페이지간에는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없고, 작업간에는 페이지 영역을 벗어난 여백이 삽입되며, 종이는 절단되지 않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마찬가지로 급지 모드 그래픽(64)으로서 표시되는 그래픽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c)의 그래픽에는, 도 8(a)~(e)와 마찬가지로, 각각 2페이지를 포함하는 2개의 작업이 연속하여 인쇄되면, 각 작업이 「Job1」, 「Job2」로서 표시되고, 각 작업의 각 페이지로서 인쇄되는 화상의 위치가, 「Job1 Page1」, 「Job1 Page2」, 「Job2 Page1」, 「Job2 Page2」로서 표시되어 있다.
페이지간이나 작업간에 절단을 행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에는, 절단 위치가 파선으로 도시되며, 그 파선이 절단 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로서 가위의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또한, 페이지간이나 작업간에 종이를 반송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에는, 종이를 반송함으로써 형성되는 여백이 도시된다.
도 9(a)는 인덱스 마크가 붙은 롤지(100)를 이용한 경우에 선택 가능해지는 급지 모드에 대응한 그래픽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종이가 반송 및 절단됨은 명백하며, 롤지(100)상의 인덱스 마크와 페이지의 화상,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의 여백, 절단 위치의 상대적 위치가 명료하게 도시된다.
도 9(b)는 롤지(100)로서 라벨 용지를 이용한 경우에 선택 가능해지는 급지 모드에 대응한 그래픽의 예이다. 이 예에서는, 그래픽으로부터 페이지간 및 작업간의 양쪽에서 종이가 반송 및 절단됨은 명백하다. 이 그래픽에 의하면, 이 급지 모드에서 라벨이 1장씩 분리되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9(c)는, 롤지(100)로서 라벨 용지를 이용한 경우에 선택 가능해지는 급지 모드로서, 페이지간 및 작업간의 양쪽에서 반송을 행하고, 작업간에만 절단을 행하는 급지 모드에 대응한 그래픽의 예이다. 이 급지 모드에서는, 하나의 작업에 포함되는 복수매의 라벨이 1장의 대지(臺紙)로 연결된 상태로 라벨 용지 롤로부터 분리된다. 이 그래픽에 의하면, 라벨이 복수매씩 분리되는 것 등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는, 설정 윈도우(61)의 표시 중에, 용지의 종류에 따라, 선택 가능한 급지 모드뿐만 아니라 그 급지 모드에 있어서의 종이가 어떻게 반송 및 절단되는지를 설명하는 그래픽을 표시한다.
도 10은, 프린터 드라이버(22)의 실행 중에 있어서의 호스트 컴퓨터(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특히, 설정에 따른 동작과 관련되어 있다.
입력 장치(14)의 조작에 의해 설정 개시 요구가 이루어지면(단계 S11), CPU(10)는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으로 기능하며, 설정 기억 유닛(202)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설정 상태를 취득하고(단계 S12), 화면 포맷 기억 유닛(201)에 기억되어 있는 화면 포맷을 취득하고(단계 S13),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1a)에 표시한다(단계 S14). 여기서 표시되는 설정 화면은, 예컨대, 도 6에 예시한 설정 윈도우(61)이다.
CPU(10)는, 입력 제어 유닛(104)으로 기능하며, 설정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4)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고, 설정 상태를 선택하는 조작이 검출되면 (단계 S15), 어떤 설정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6).
여기서, 선택된 설정 항목이 용지 설정인 경우, CPU(10)는 입력 장치(14)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용지의 종류 및 용지 방향을 취득한다(단계 S17). 설정 항목이 확인되면(단계 S18; 예), 취득한 용지의 종류 및 용지 방향을 설정 내용으로서 설정 정보 기억 유닛(202)에 의해 저장하고(단계 S19), 단계 S20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용지 방향이란, 롤지(100)에 있어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방향을 가리키고, 페이지 화상을 롤지(100)의 반송 방향을 따라 화상의 상하로 하는 포트레이트 방향으로 인쇄할지, 롤지(100)의 폭 방향을 따라 화상의 상하로 하는 랜드스케이프 방향으로 인쇄할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CPU(10)는 설정 조작을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설정을 종료하는 취지의 입력 조작이 입력 장치(14)에 의해 검출되면 본 처리를 종료하고, 설정 처리를 계속하는 경우는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15에서 선택된 설정 항목이 용지 설정이 아니고, 급지 설정(급지 모드의 설정)도 아닌 경우, CPU(10)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단계 S20으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S15에서 선택된 설정 항목이 급지 설정인 경우, CPU(10)는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 및 입력 제어 유닛(104)으로서 기능하고, 프린터 드라이버(22)에 의해 설정 가능한 모든 급지 모드 중에서, 설정 기억 유닛(202)으로부터 취득한, 용지 종류, 용지 방향, 및 프린터(3)의 기종 설정에 근거하여, 선택 가능한 급지 모드를 추출한다(단계 S21).
계속해서 CPU(10)는,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으로 기능하여, 단계 S21에서 추출한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예컨대, 도 8(a)~(e) 및 도 9(a)~(c)의 급지 모드 그래픽(64))을 취득한다(단계 S22).
그리고, CPU(10)는,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으로 기능하여, 선택 가능한 급지 모드로서 단계 S21에서 추출한 급지 모드의 리스트를 표시하고(단계 S23), 입력 장치(14)를 통한 선택을 기다린다(단계 S24).
입력 장치(14)에 의해 급지 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검출하면(단계 S24; 예), CPU(10)는 입력 제어 유닛(104)으로 기능하여, 이 조작에 의해 선택된 급지 모드를 확인하고,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으로 기능하여, 확인된 급지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표시한다(단계 S25).
이렇게 하여 급지 모드가 선택된 후, 설정이 확인되면(단계 S18; 예), CPU(10)는 선택된 급지 모드를 설정 기억 유닛(202)에 저장하고(단계 S27), 단계 S20으로 이행한다.
도 11은, 프린터 드라이버(22)를 실행할 때의 호스트 컴퓨터(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특히, 인쇄 처리의 실행과 관련한 동작을 나타낸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3)을 실행하여 인쇄의 요구가 이루어지면, CPU(1)는 요구 접수 유닛(102)으로서 기능하여, 이 요구를 접수한다(단계 S31). 계속해서 CPU(10)는, 데이터 표시 제어 유닛(103)으로 기능하여 설정 기억 유닛(202)에 기억된 설정을 취득하여, 용지 방향 및 급지 모드를 판정하고(단계 S32), 다른 설정을 더 취득한다(단계 S33).
CPU(10)는, 페이지간 제어 유닛(105)으로서 기능하여, 급지 모드에 근거하여, 페이지간의 종이의 반송 및 절단, 작업간에의 종이의 반송 및 절단에 대응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S34), 다른 설정에 근거하여 다른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35). 그리고 CPU(10)는, 인쇄 데이터 생성 유닛(106)으로서 기능하여, 이들의 제어 데이터와 롤지(100)에 인쇄해야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생성하여(단계 S36), 인쇄 데이터 기억 유닛(203)에 저장하고, 또한, 송신 제어 유닛(107)으로서의 기능에 의해 인쇄 작업의 데이터를 프린터(3)에 송신한다(단계 S37). 본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1)는, 프린터 드라이버(22)를 실행하여, 프린터(3)가 페이지간에 반송 모터(36)에 의해 종이를 반송할지 여부 및 커터 기구(37)에 의해 롤지(100)를 페이지간에 절단할지 여부에 대하여 설정을 행할 때에, 디스플레이(1a)상에,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을 제공한다. 이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을 통해 사용자는 페이지간 종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 종이의 절단의 유무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는 급지 모드의 후보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 표시된 급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프린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덧붙여,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서 급지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급지 모드에 대응하여 페이지에 인쇄되는 화상과 페이지간 종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와의 관계를 시각화한 화상이 급지 모드 그래픽(64)으로서 표시되므로, 급지 모드를 선택할 때에, 그 급지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프린터(3)가 어떠한 동작을 할지가 분명히 시각화되어 표시된다. 설정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설정의 내용이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으므로, 오설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오설정에 의한 롤지(100)의 손실이나 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페이지간 종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간 종이의 절단의 유무를 설정할 때에는, 잘못된 설정에 의해, 예컨대, 절단해서는 안 될 저널 보고서 및 다른 형태를 절단하여버리거나, 페이지간의 불필요한 반송에 의해 불필요한 여백을 추가하여버리거나, 혹은 반대로 필요한 여백이 확보되지 않는 등, 무시할 수 없는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경우, 호스트 컴퓨터(1)를 조작하여 설정을 행하는 오퍼레이터는 신중하게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동작을 설명하는 급지 모드 그래픽(64)을 봄으로써, 선택된 설정의 결과로서 프린터(3)가 행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설정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오설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 설정으로 인한 오퍼레이터의 심리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프린터가 지나친 노력 없이 설정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가 프린터(3)에 대하여, 1 또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작업의 데이터를 송신하여, 프린터(3)가 작업마다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작업에 포함되는 페이지간 종이의 반송 및 절단의 유무뿐만 아니라, 작업간에의 종이의 반송의 유무와 절단의 유무를, 간단히, 실수 없이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작업간의 종이의 반송의 유무, 작업간의 종이의 절단의 유무, 페이지간의 종이의 반송의 유무, 및 페이지간의 종이의 절단의 유무라고 하는 다수의 요소가 관계 하는 복잡한 설정을, 급지 모드의 선택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더구나, 특정 급지 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프린터(3)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급지 모드 그래픽(64)이 표시되므로, 복잡한 설정을, 간단하게, 또한 실수 없이 행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보다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는, 용지 방향 및 롤지(100)의 종류가 설정된 경우에, 이 설정에 적합한 급지 모드의 후보만을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 있어서 선택 가능하게 하므로, 용지 방향이나 롤지(100)의 종류에 적합하지 않은 설정을 행하여버리는 일이 없어, 오설정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으로부터 급지 모드의 후보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급지 모드의 후보에 대응하여 급지 모드 그래픽(64)이 표시되고, 다른 급지 모드의 후보가 선택된 경우는, 새롭게 선택된 급지 모드의 후보에 대응하여 다른 급지 모드 그래픽(64)이 표시된다. 이 때문에, 프린터(3)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에 표시된 급지 모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소망하는 설정을 용이하고 실수 없이 찾아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급지 모드가 선택되고 나서 확인되면 설정이 행해지므로, 확인이 행해질 때까지는 급지 모드 표시 유닛(63)의 급지 모드에서 후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대응 그래픽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성을 더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담을 보다 한층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22)를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1a)상에 표시된 급지 모드의 후보를 선택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 작에 의해 프린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설정의 결과로서의 프린터(3)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화상을 보면서, 간단하게, 실수 없이 소망하는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스트 컴퓨터(1)와 프린터(3)가 케이블(4)을 통해 직접 접속되어 통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호스트 컴퓨터(1)와 프린터(3)가, 각각 네트워크(LAN 등)에 접속되고, 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1)가 프린터(3)를 제어하여 인쇄를 행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다른 예로 호스트 컴퓨터(1)가 구비하는 인터페이스(15) 및 프린터(3)가 구비하는 인터페이스(33)가, 모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페이지간 및 작업간에 롤지(100)를 커터 기구(37)에 의해 절단하는 동작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설정과는 관계없이, 커터 기구(37)에 의해 롤지(100)를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특정한 기종의 프린터(3)에 대해서만 대응하는 프린터 드라이버(22)를 호스트 컴퓨터(1)가 실행하는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22)에 의한 프린터(3)의 기종의 설정을 생략하더라도 좋다.
프린터(3)가 특정한 롤지(100)에 대해서만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롤지(100)의 종류에 관한 설정을 생략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페이지간 종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된 여백과 절단 위치와 관련된 페이지상에 기록된 화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단이 화면에 표시되는 시각적 그래픽이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부저, 음성 알림 또는 다른 수단으로 대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CPU(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린터 드라이버(22)를 미리 기억 유닛(20)에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각종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메모리카드 또는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프린터 드라이버(22)를 미리 기록하고, 이들 기록 매체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가 프린터 드라이버(22)를 읽어, 인스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 LAN 또는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1)가 프린터 드라이버(22)를 다운로드하고, 인스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린터(3)가 감열 롤지(100)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식 프린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프린터(3)는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지시에 따라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좋고, 그 기록 방식은 임의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3)는 기록 매체로서, 롤지(100) 대신에 보통지 또는 발색하지 않는 다른 시트 매체를 이용하여, 가열에 의해 용융하는 잉크가 부착된 잉크 리본을 상기 시트에 당접시키고, 이 잉크 리본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이른바, 열전사 방식의 프린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통지를 이용하고 잉크를 가열하여 시트에 잉크를 승화시키는 염료 승화형 프린터나, 액상 또는 겔상의 잉크를 시트 매체에 분사하여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젯 프린터, 감광체를 레이저광에 노출시키고 감광체상에 잠복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화상을 시트 매체에 전사하는 레이저 프린터, 잉크를 부착시킨 잉크 리본을 시트에 포개고 잉크 리본에 타격 또는 압력을 가함으로써 잉크를 시트 매체에 전달하는 도트 임팩트 프린터, 캡슐 형상의 발색체를 코팅된 시트에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등, 다른 형태의 프린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에 내장되고, 혹은 다른 전자 기기와 일체가 되어 복합기로서 기능하는 프린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프린터(3)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1)는, 퍼스널 컴퓨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서 구성하더라도 좋고, 제어 대상의 프린터(3)와 일체가 된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어 대상의 프린터(3)를 구비한 장치 본체에, 디스플레이(1a)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 및 입력 장치(14)에 대응하는 입력 장치가 마련되고, 프린터 드라이버(22)를 실행함으로써, 이 장치 본체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보면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그밖에, 프린터(3)에 있어서 롤지(100)를 반송하는 기구 등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모든 발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호스트 컴퓨터 및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다른 급지 모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다른 급지 모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각 급지 모드를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그래픽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각 급지 모드를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그래픽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호스트 컴퓨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호스트 컴퓨터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2)

  1.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절단 유닛
    을 구비한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록 제어 장치로서,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입력 유닛과,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유닛과,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록 제어 유닛과,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 입력이 있을 때에,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 표시 유닛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상기 선택 표시 유닛으로부터 설정 후보가 선택되었을 때에, 선택된 설정 후보에 의해 결정된,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 사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
    을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1 또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각 작업마다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은,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에 덧붙여, 작업 사이에서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작업 사이에서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기록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으로부터 입력이 있을 때에, 상기 선택 표시부에서, 작업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작업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및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하고, 설정 후보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근거하여 작업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작업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기록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고,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상기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가 설정될 때에, 선택 표시 유닛에 설정된 상기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는 설정 후보만을 선택하도록 표시하는
    기록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선택 표시 유닛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다른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 설정 후보에 대응하 는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기록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은,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상기 선택 표시 유닛의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확정되었을 때에, 선택된 설정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제어 장치.
  8.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
    을 구비한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기록 제어 방법으로서,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가 입력될 때에,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 사이의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 사이의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표시하고, 또한, 상기 선택된 설정 후보에 의해 결정된,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 사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입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고,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
    을 포함하는 기록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를 이용하여 1 또는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각 작업마다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와,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에 덧붙여, 작업 사이에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작업 사이에서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입력이 있을 때에, 작업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작업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 및 페이지 사이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설정 후보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근거하여 작업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작업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 단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록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있어서의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를 지정하는 정보가 입력 가능하고,
    설정이 이루어질 때 설정되는 상기 화상의 기록 방향 및 상기 기록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는 설정 후보만을 선택하도록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기록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서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다른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 설정 후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전환하여 표시하고,
    설정 후보가 선택된 후 확정되었을 때에, 선택된 설정 후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제어 방법.
  12.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
    을 구비한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을 행하는지 여부, 및, 페이지 사이에서 상기 절단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이 있을 때에, 표시 화면상에, 페이지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의 유무와 페이지 사이의 상기 기록 매체의 절단의 유무의 조합을 나타내는 설정 후보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설정 후보가 선택된 경우는, 선택된 설정 후보에 의해 결정된, 페이지에 기록되는 화상과 페이지 사이의 반송에 의해 형성되는 여백과 절단 위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
    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080134787A 2007-12-27 2008-12-26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20090071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7512A JP2009157806A (ja) 2007-12-27 2007-12-27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7-337512 2007-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491A true KR20090071491A (ko) 2009-07-01

Family

ID=4079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787A KR20090071491A (ko) 2007-12-27 2008-12-26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68094A1 (ko)
JP (1) JP2009157806A (ko)
KR (1) KR20090071491A (ko)
CN (1) CN1015249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0043B2 (ja) * 2008-04-17 2013-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ドライバおよび印刷データの印刷方法
JP5810609B2 (ja) * 2011-04-28 2015-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0235B2 (ja) * 2013-05-20 2017-07-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44428A (ja) * 2013-12-27 2015-08-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セキュリティ印刷方法
JP6938850B2 (ja) * 2016-04-19 2021-09-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235106B2 (en) * 2016-09-21 2019-03-19 Oki Data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o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19012418A (ja)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12389102B (zh) * 2020-11-27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JP2023151238A (ja) * 2022-03-31 202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8320A (en) * 1996-10-04 1998-07-07 Motorola, Inc.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among groups of communication units
ES2292578T3 (es) * 2000-08-04 2008-03-16 Seiko Epson Corporation Controlador de impresora, metodo de control de impresion y soporte de registro de informacion.
US6860662B2 (en) * 2001-03-30 2005-03-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predetermined location on a printed sheet and a driver program therefor
US6688791B2 (en) * 2001-06-08 2004-02-10 Seiko Epson Corporation Roll paper printing system, method for managing remaining amount of roll paper, recording medium, roll paper with memory
JP4232631B2 (ja) * 2001-07-30 2009-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樹脂コーティング用水性分散組成物
JP3630127B2 (ja) * 2001-09-21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ホストおよびプリンタドライバ
JP2005144894A (ja) * 2003-11-17 2005-06-09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印刷制御方法
JP4876912B2 (ja) * 2006-12-28 2012-0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裁断装置、及び裁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7806A (ja) 2009-07-16
US20090168094A1 (en) 2009-07-02
CN101524925A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1491A (ko) 기록 제어 장치, 기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JP4962310B2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32377B2 (ja) 記録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記録装置
US94598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covery printing function that allows user to designate recovery printing starting page
JP4599827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
JP678402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によるカット設定方法、および印刷システム
US8873087B2 (en)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replacing fonts with printer fonts correlates print data attributes
JP2007164773A (ja) 画像形成システム、該システム用記録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10773528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control terminal, print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printing control terminal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JP681280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US6821037B2 (en) Printing device provided with cutter to cut recording paper
US20230166535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control method
JP4266769B2 (ja) 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4262099A (ja) 画像形成装置
JP5299535B2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050469B2 (ja) テープ印字装置
EP3072702B1 (en) Print data generating device, printing device, print data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JP6544470B2 (ja) ラベル発行装置、及びラベル印字方法
JP3254653B2 (ja) テープ印刷装置
CN116483291A (zh) 编辑方法、记录介质以及信息处理装置
JP2023034827A (ja) プログラム
JPH07186455A (ja) ラベルプリンタ及びデータ作成装置
JP2005254499A (ja) ラベ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14

Effective date: 201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