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228A -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및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및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228A
KR20090069228A KR1020080130152A KR20080130152A KR20090069228A KR 20090069228 A KR20090069228 A KR 20090069228A KR 1020080130152 A KR1020080130152 A KR 1020080130152A KR 20080130152 A KR20080130152 A KR 20080130152A KR 20090069228 A KR20090069228 A KR 2009006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able body
assembled
slide
contro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140B1 (ko
Inventor
야스히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6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가동체의 동작을, 소정의 왕동(往動)위치까지는 4절 링크에 의한 동작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1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해결수단) 제 1 회전지지부(A)를 통하여 가동체(M)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회전지지부(B)에 의해 고정체(S)에 조립된 베이스 암(1)과, 가동체(M)에 제 3 회전지지부(C)를 통하여 조립됨과 아울러 고정체(S)에 형성된 캠부(4)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부(2b)를 구비한 제어 암(2)과, 제 4 회전지지부(D)를 통하여 고정체(S)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지지체(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암(2)은 지지체(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캠부(4)는 제 1 부분(4a)과 이 제 1 부분(4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4e)을 구비하고 있고, 제어 암(2)의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2 부분(4e)에 있을 때, 제 3 회전지지부(C)와 제 4 회전지지부(D)의 거리가 변하면서, 가동체(M)가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및 덮개장치{OPERATION CONTROL DEVICE OF MOVABLE BODY AND LID EQUIPMENT}
본 발명은, 가동체의 동작을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1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이것을 이용하여 구성된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납 용기의 개구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 있어서 덮개의 상단의 위치가 낮게 억제됨과 아울러, 상기 개구 위에서 덮개를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이 개구를 크게 개방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그런데, 이 특허문헌 1의 것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의 측부에 덮개의 이동방향에 걸친 가이드 홈이 필요함과 아울러, 이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는 링크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이 링크에도 개방의 최종단계에서 덮개를 하강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이 필요한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15925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가동체의 동작을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1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능한 한 간소하면서 설치공간을 최소로 하는 구조로써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제 1 관점에서, 제어장치를 이하의 (가)~(바)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가) 제 1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가동체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고정체에 조립되는 베이스 암과,
(나) 가동체에 제 3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조립됨과 아울러, 고정체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한 제어 암과,
(다) 제 4 회전지지부에 의해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라) 제어 암은 지지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마) 캠부가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바) 제어 암의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2 부분에 있을 때, 제 3 회전지지부와 제 4 회전지지부의 거리가 변하면서, 가동체가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를 캠부의 제 1 부분에 의해 안내시킨 상태에서는, 이 제 1 부분에 의해 4개의 회전지지부의 위치관계가 변하지 않도록 해서, 가동체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2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3 회전지지부와 제 4 회전지지부의 거리가 변하도록 지지체에 대해 제어 암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동체가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가동체를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왕동이 종료된 가동체를 복동(復動)시킬 때에는,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왕동시와 반대로 가동체를 회전운동시킨 후, 슬라이드부를 캠부의 제 1 부분에 다시 안내시키서 왕동시와 반대방향으로 가동체를 왕동 전 위치까지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제2의 관점에서, 제어장치를 이하의 (사)~(차)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사) 제 1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가동체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고정체에 조립되는 베이스 암과,
(아) 가동체에 제 3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조립됨과 아울러, 고정체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제 3 회전지지부와 슬라이드부의 사이에 있어서, 고정체에 구비된 제 4 회전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제어 암을 구비함과 아울러,
(자) 캠부가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차) 제어 암의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2 부분에 있을 때, 제 3 회전지지부와 제 4 회전지지부의 거리가 변하면서, 가동체가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 1 관점에 관한 제어장치와 같이 가동체의 동작을 제어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1 부분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어 암이 제 4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2 부분에 삽입되면, 제 4 회전지지부에 지지되면서 제어 암이 슬라이드 이동되고 제 3 회전지지부와 제 4 회전지지부와의 거리가 가변된다.
또,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덮개장치를, 상기 가동체를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덮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덮개의 개방측의 단부를 개방측과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덮개가 고정체의 개구의 레벨 위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덮개를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킬 수 있고, 제 1 회전지지부와 덮개의 개방측 단부의 간격이 큰 경우에도, 개구를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의 개방측 단부와 개구 사이의 덮개의 돌출 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암에 제 2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회동력을 부여하는 제 1 탄지수단을 구비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가동체의 왕동을 제 1 탄지수단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암의 슬라이드부가 제 2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2 부분을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를 제 1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 이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을 구비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슬라이드부가 제 1 부분에서 제 2 부분으로 안내되는데에 도달함과 동시에 제 2 부분을 따라서 제어 암이 이동되어,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가동체를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캠부의 제 1 부분이 지지체의 회동중심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시켜두면, 상기 소정의 왕동위치까지의 왕동 및 소정의 왕동위치에서의 복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이 피니언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의 상기 피니언 및 이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 중 어느 일측을, 지지체에 구비시키고,
상기 피니언 및 래크의 타측을, 제어 암에 구비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왕동종료위치까지의 가동체의 왕동에 제동을 부여해서, 가동체의 왕동이 상기 제 1 탄지수단 및 제 2 탄지수단의 쌍방 또는 일방의 탄지에 저항하여 소정의 왕동위치부터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베이스 암과, 제어 암 및 이것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와, 캠부에 의해, 가동체의 동작을,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하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간소한 구조이며, 또, 가동체를 이와 같이 동작시키도록 하면서 제 1 회전지지부 ~ 제 4 회전지지부의 위치가 근접 가능하며, 최소의 설치공간을 가지고 구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제어장치(G)를 적용해서 구성된 콘솔박스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서,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며, 도 3 ~ 도 5는 상기한 동작제어장치(G)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도록, 콘솔박스의 요부를 단면으로 해서 동작제어장치(G)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은 도 1 ~ 도 5에 나타낸 제어 암(2)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동작제어장치(G)는, 베이스 암(1)과 제어 암(2)을 통하여 고정체(S)에 조립된 가동체(M)의 동작을,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키고,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1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장치는, 상기 가동체(M)를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고정체(S)에 형성된 개구(Sb)를 폐색하는 덮개(Ma)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시한 예는, 동작제어장치(G)의 전형적인 적용예로서의 콘솔박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동작제어장치(G)는, 상기한 콘솔박스를 구성하는 가동체(M)로서의 덮개(Ma)의 개방측(개방이 시작되는 측)과 반대의 기부측에 있어서, 상기 덮개(Ma)를 고정체(S)로서의 박스 본체(Sa)에 연계시키고 있다. 덮개(Ma)는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박스 본체(Sa)의 상면 개구(Sb)를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암(2)은 베이스 암(1)보다 덮개(Ma)의 개방측에 위치되어 있다. 또, 덮개(Ma)의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 암(1) 및 제어 암(2)은 모두 전방으로 경사지어져 있다. 덮개(Ma)가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하기까지 전방으로 경사지어져어 있던 각 암(1,2)이 일단 기립한 후 후방으로 경사지어지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덮개(Ma)의 움직임은 박스 본체(Sa)로부터 멀어지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것 같이 이동하게 된다. 소정의 왕동위치(도 4의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후술하는 제 3 회전지지부(C)와 제 4 회전지지부(D)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제어 암(2)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한편, 베이스 암(1)이 후방으로 경사지어지는 것은 박스 본체(Sa)의 측판(Sc) 내측으로 규제되어, 가동체(M)가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덮개(Ma) 기부측의 단부(Mb)는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박스 본체(Sa) 측판(Sc)의 외측으로 벗어나고, 그 후의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덮개(Ma)의 기부측은 박스 본체(Sa)의 측판(Sc)의 외측에 있어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회전지지부(A)에서 덮개(Ma) 개방측의 단부(Mc)까지의 간격을 길게 하고 있어도, 왕동종료위치(도 5의 위치)에 있어서의 덮개(Ma) 개방측의 단부(Mc)의 높이는 낮게 억제된다.
도시한 예에 관한 콘솔박스의 덮개(Ma)의 왕동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왕동 전 위치(폐색위치/도 3)→소정의 왕동위치(개방 도중위치/도 4)→왕동종료위치(개방 완료위치/도 5)
또, 상기 덮개(Ma)의 복동은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복동 전 위치(개방 완료위치, 즉 왕동종료위치)→ 소정의 복동위치(개방도중위치, 즉 소정의 왕동위치)→복동종료위치(폐색위치, 즉 왕동 전 위치)
또, 도시한 예에서는 폐색위치에서 개방 완료위치까지의 덮개(Ma)의 왕동은 후술하는 제 1 탄지수단(5)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 완료위치에 있는 덮개(Ma)의 상태는 상기 제 1 탄지수단(5)의 탄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제어장치(G)는 다음의 ①~⑥의 요소를 포함해서 이루어진다.
① 베이스 암(1)
② 제어 암(2)
③ 지지체(3)
④ 캠부(4)
⑤ 제 1 탄지수단(5)
⑥ 제 2 탄지수단(6)
도시한 예에서, 덮개(Ma)는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을 이룬다. 베이스 암(1)은 그 상단이 상기 덮개(Ma)의 기부측 내면에 장착되어 조립되는 베이스 플레이트(Md)에 대해서 제 1 회전지지부(A)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어 암(2)은 그 상단이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Md)에 대해서 제 3 회전지지부(C)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박스 본체(Sa)는 상기한 덮개(Ma)에 의해서 폐색되는 가늘고 긴 개구(Sb)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Sa)의 일단측에는 동작제어장치(G)의 지지브래킷(Sd)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체(3)는 상기 지지브래킷(Sd)을 통하여 고정체(S)로서의 박스 본체(Sa)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 상기 지지브래킷(Sd)에 캠부(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브래킷(Sd)은 박스 본체(Sa)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측판(Sc)의 내측에 있어서 캠부(4)가 형성된 측이 상기 측판(Sc)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조립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는, 2조의 동작제어장치(G)에 의해서 덮개(Ma)와 박스 본체(Sa)를 연계시키고 있다.또, 도 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좌측의 동작제어장치(G)의 각 구성 부재는, 대응하는 우측의 동작제어장치(G)의 각 구성부재에 대해, 덮개(Ma)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중심선(X)을 사이에 둔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덮개(Ma)의 개방측의 단부(Mc)에는 덮개(Ma)의 폐색위치에 있어서 박스 본체(Sa)의 피걸어맞춤부(Se)에 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Me)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면부호 Sf로 나타낸 버튼을 누르면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제 1 탄지수단(5)의 탄지에 의해 덮개(Ma)가 강제적으로 왕동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암(1)은 제 1 회전지지부(A)을 통하여 가동체(M)로서의 덮개(Ma)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회전지지부(B)를 통하여 고정체(S)로서의 박스 본체(Sa)에 조립된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베이스 암(1)은 그 상단측이 덮개(Ma)의 기부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고, 덮개(Ma)의 폭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제 2 회전지지부(B)를 구성하는 축체(1b)에 의해 하단에 있어서 박스 본체(S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또, 덮개(Ma)의 폭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제 1 회전지지부(A)를 구성하는 축체(1a)에 의해 상단에 있어서 덮개(M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어 암(2)은 제 3 회전지지부(C)를 통하여 가동체(M)로서의 덮개(Ma)에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체(S)측이 되는 상기 지지브래킷(Sd)에 형성된 캠부(4)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회전지지부(C)는 제 1 회전지지부(A)보다 덮개(Ma)의 개방측, 즉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제어 암(2)은 상단측이 덮개(Ma)의 개방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덮개(Ma)의 폭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제 3 회전지지부(C)를 구성하는 축체(2a)에 의해 상단에 있어서 덮개(Ma)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슬라이드부(2b)는 제어 암(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2b)는 덮개(Ma)의 폭방 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축체(2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체(2c)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3)는 제 4 회전지지부(D)를 통해 고정체(S)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지지체(3)는 상단과 하단을 모두 개방시킨 각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3)는 그 하단측에 있어서, 그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 4 회전지지부(D)를 구성하는 축체(3a)를 가지고 있으며, 이 축체(3a)가 지지브래킷(Sd)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체(S)측에 지지되어 있다. 제 4 회전지지부(D)는 제 1 회전지지부(A) 및 제 3 회전지지부(C)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제 2 회전지지부(B)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지지체(3)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 내곽 형상은, 제어 암(2)의 만곡되어 있는 개소 이외의 개소에 있어서의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 외곽 형상을 모방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어 암(2)은 상기 지지체(3)를 관통하여 이 지지체(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캠부(4)는 제 1 부분(4a)과 이 제 1 부분(4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4e)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분(4a)은 제 2 회전지지부(B)의 하측에 홈의 후단(4c)을 위치시키고 거기에서 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측으로 만곡된 호형상의 캠 홈(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분(4e)은 제 1 부분(4a)의 홈의 전단(4d)에서 제 1 부분(4a)과 연이어 통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며 지지체(3)의 제 4 회전지지부(D)의 하측에서 종료되는 캠 홈(4f)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캠 홈(4b, 4f)의 폭은 상기 슬라이드부(2b)가 되는 롤러체(2c)의 외경과 대략 같아지도록 구 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암(2)의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1 부분(4a)에 있을 때, 이 제 1 부분(4a)은 제 3 회전지지부(C)와 제 4 회전지지부(D) 양자 사이의 거리를 이간시키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게 슬라이드부(2b)가 위치결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암(2)의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2 부분(4e)에 있을 때, 제 3 회전지지부(C)와 제 4 회전지지부(D)의 거리가 변하면서 가동체(M)로서의 덮개(Ma)가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부(2b)를 캠부(4)의 제 1 부분(4a)에 안내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부분(4a)에 의해 4개의 회전지지부(A~D)의 위치관계가 변하지 않도록 해서, 가동체(M)를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2 부분(4e)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3 회전지지부(C)와 제 4 회전지지부(D)의 거리가 변하도록 지지체(3)에 대해서 제어 암(2)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동체(M)가 소정의 왕동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가동체(M)를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왕동이 종료된 가동체(M)를 복동시킬 때에는,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왕동시와 역방향으로 가동체(M)를 회전운동시키고, 그 후, 슬라이드부(2b)를 캠부(4)의 제 1 부분(4a)으로 다시 안내시켜서, 왕동시와 역방향으로 가동체(M)를 왕동 전 위치까지 4절 링크에 의한 평행 슬라이드에 가까운 동작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동체(M)를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고정체(S)에 형성된 개구(Sb)를 폐색하는 덮개(Ma)로 한 경우, 소정의 왕동위치까지는 덮개(Ma)의 개방측의 단부(Mc)를 개방측과 반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소정의 왕동위치에서부터는, 덮개(Ma)가 고정체(S)의 개구(Sb)의 레벨 위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덮개(Ma)를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킬 수 있고, 제 1 회전지지부(A)와 덮개(Ma)의 개방측 단부(Mc)의 간격이 큰 경우에도, 개구(Sb)를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덮개(Ma)의 개방측 단부(Mc)와 개구(Sb) 사이의 덮개(Ma)의 돌출치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캠부(4)의 제 1 부분(4a)이 지지체(3)의 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소정의 왕동위치까지의 왕동 및 소정의 왕동위치에서의 복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 1 탄지수단(5)은 베이스 암(1)에 제 2 회전지지부(B)를 중심으로 한 회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 제 1 탄지수단(5)은, 제 2 회전지지부(B)를 구성하는 축체(1b)가 스프링의 비틀림부(5b)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위치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일단(5c)이 베이스 암(1)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5d)이 지지브래킷(Sd)에 고정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M)가 왕동 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a)의 비틀림부(5b)가 최대한 탄성변형되어, 가동체(M)를 왕동시키는 방향으로 베이스 암(1)을 회동시키는 탄지력이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체(M)의 왕동이 제 1 탄지수단(5)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 2 탄지수단(6)은, 제어 암(2)의 슬라이드부(2b)가 제 2 부분(4e)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2 부분(4e)을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2b)를 제 1 부분(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 제 2 탄지수단(6)은, 스프링의 상단(6b)이 지지체(3)의 상부에 걸림 고정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하단(6c)이 슬라이드부(2b)를 구성하는 롤러체(2c)의 축체(2d)에 있어서의 롤러체(2c)가 형성된 쪽의 반대측에 걸림 고정된 인장 코일스프링(6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1 부분(4a)에 있을 때 스프링(6a)이 가장 인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부(2b)가 제 1 부분(4a)에서 제 2 부분(4e)으로 안내되는데에 도달함과 동시에 제 2 부분(4e)을 따라서 제어 암(2)이 이동되어, 제 1 회전지지부(A)를 중심으로 해서 가동체(M)를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다. 왕동종료위치에 있는 가동체(M)를 복동시키면 제 3 회전지지부(C)를 제 4 회전지지부(D)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제어 암(2)이 슬라이드 이동되고 스프링(6a)이 다시 인장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에는 피니언(7a) 및 이 피니언(7a)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 장치(7)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어 암(2)에는 상기 피니언(7a)에 맞물리는 래크(2e)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어 암(2)의 후방을 향한 쪽에 이 제어 암(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래크(2e)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지지체(3)에 형성된 노치(3b)를 통해서 지지체(3)내에 상기 피니언(7a)의 일부를 삽입시켜서, 래크(2e)에 그 일부 를 맞물리게 한 댐퍼장치(7)가 지지체(3)에 조립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왕동위치에서 왕동종료위치까지의 가동체(M)의 왕동에 제동을 부여해서, 가동체(M)의 왕동이 상기 제 1 탄지수단(5) 및 제 2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여 소정의 왕동위치부터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댐퍼 장치(7)로서는, 지지체(3)에 고정되는 고정자(7b)와, 이 고정자(7b)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외주에 상기 피니언(7a)을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자와, 고정자(7b)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점성유체의 저항을 작용시키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암(2)을, 제 3 회전지지부(C)와 슬라이드부(2b)의 사이에 있어서, 고정체(S)에 구비된 제 4 회전지지부(D)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시키도록 해도, 도 1 ~ 도 5에 나타낸 예와 같이 덮개(Ma)의 동작을 제어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3)가 불필요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4 회전지지부(D)가 고정체(S)측, 구체적으로는 지지브래킷(Sd)에 고정된 축체(3a’)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암(2)에는 이 축체(3a’)를 흔들림 적게 수납할 수 있는 폭을 가진 긴 구멍(2f)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1 부분(4a)에 있을 때에는 긴 구멍(2f)의 상단에 제 4 회전지지부(D)가 위치되어 제어 암(2)이 이 제 4 회전지지부(D)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된다. 슬라이드부(2b)가 캠부(4)의 제 2 부분(4e)에 삽입되면, 제 4 회전지지부(D)가 긴 구멍(2f)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제 3 회전지지부(C)와 제 4 회전지지부(D)의 거리가 가변된다.
도 1은 동작제어장치(G)의 적용예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2는 동 요부 사시 구성도
도 3은 동 요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동 요부 파단 측면도
도 5는 동 요부 파단 측면도
도 6은 제어 암(2)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 - 동작제어장치 M - 가동체
S - 고정체 1 - 베이스 암
2 - 제어 암 3 - 지지체
A - 제 1 회전지지부 B - 제 2 회전지지부
C - 제 3 회전지지부 D - 제 4 회전지지부

Claims (11)

  1. 제 1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가동체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고정체에 조립되는 베이스 암과,
    가동체에 제 3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조립됨과 아울러, 고정체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한 제어 암과,
    제 4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 암이 지지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캠부가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제어 암의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2 부분에 위치할 때, 제 3 회전지지부와 제 4 회전지지부의 거리가 변하면서, 가동체가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2. 제 1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가동체에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고정체에 조립되는 베이스 암과,
    가동체에 제 3 회전지지부를 통하여 조립됨과 아울러, 고정체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 3 회전지지부와 슬라이드 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고정체에 구비된 제 4 회전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제어 암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캠부가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제어 암의 슬라이드부가 캠부의 제 2 부분에 위치할 때, 제 3 회전지지부와 제 4 회전지지부의 거리가 변하면서, 가동체가 제 1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암에 제 2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회동력을 부여하는 제 1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암에 제 2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한 회동력을 부여하는 제 1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 암을, 그 슬라이드부가 제 2 부분에 삽입되었을 때, 이 제 2 부분에 따라 제 1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 이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 암을, 그 슬라이드부가 제 2 부분에 삽입됐을 때, 이 제 2 부분에 따라 제 1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 이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부의 제 1 부분이 지지체의 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피니언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 장치의 피니언 및 이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 중 어느 일측이 지지체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 및 래크의 타측이 제어 암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피니언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 장치의 피니언 및 이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 중 어느 일측이 지지체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 및 래크의 타측이 제어 암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1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체를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장치.
  11. 청구항 7에 기재된 가동체를 왕동 전 위치에 있어서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장치.
KR1020080130152A 2007-12-25 2008-12-19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및 덮개장치 KR10097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1908A JP4942634B2 (ja) 2007-12-25 2007-12-25 可動体の動作制御装置、およびリッド装置
JPJP-P-2007-331908 2007-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228A true KR20090069228A (ko) 2009-06-30
KR100973140B1 KR100973140B1 (ko) 2010-07-29

Family

ID=4095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52A KR100973140B1 (ko) 2007-12-25 2008-12-19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및 덮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42634B2 (ko)
KR (1) KR100973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101A (ko) * 2012-03-19 2013-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납박스
KR20130106102A (ko) * 2012-03-19 2013-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납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041B2 (ja) 2011-06-16 2015-07-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蓋開閉機構及び収納装置
JP5913391B2 (ja) * 2014-01-17 2016-04-27 株式会社ジャムコ 航空機の乗客用シートの収納ユニット
CN106509991B (zh) 2016-10-18 2018-11-1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滑动式开盖装置
CN110525354B (zh) * 2019-10-10 2021-10-29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027B2 (ja) * 1995-01-20 2001-09-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ッド開閉装置
JP2000159251A (ja) * 1998-11-26 2000-06-13 Araco Corp 蓋付き収納容器
JP2001164827A (ja) * 1999-09-29 2001-06-19 Toyoda Gosei Co Ltd ボックスにおける蓋体の開閉構造
JP4375891B2 (ja) * 2000-09-18 2009-12-02 株式会社ニフコ 容器ホルダー
JP3770129B2 (ja) * 2001-09-21 2006-04-26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収納ボックス
JP4293452B2 (ja) * 2004-11-30 2009-07-08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収納ボックス
JP4825486B2 (ja) 2005-10-07 2011-11-30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開閉機構
JP4854073B2 (ja) 2006-05-19 2012-01-11 株式会社ニフコ 制動機構
JP2008105512A (ja) 2006-10-24 2008-05-08 Inoac Corp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JP4912183B2 (ja) 2007-02-28 2012-04-11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動作制御装置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101A (ko) * 2012-03-19 2013-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납박스
KR20130106102A (ko) * 2012-03-19 2013-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납박스
KR101869086B1 (ko) * 2012-03-19 2018-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수납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140B1 (ko) 2010-07-29
JP2009154568A (ja) 2009-07-16
JP4942634B2 (ja)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140B1 (ko) 가동체의 동작제어장치 및 덮개장치
US8851537B2 (en) Assisting mechanism of movable body
EP2090733A1 (en) Retracting mechanism and fixing structure
US20020101091A1 (en) Panel driving device
KR101886445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WO2013073752A1 (ko) 도어 힌지
US20140173989A1 (en) Sliding door
KR20040012443A (ko)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JP2018500482A (ja) 射出装置及び射出装置と家具を有する構造物
JP2015520816A (ja) 可動家具部分を作動させるための構造体
JP5312840B2 (ja) 回転部材ヒンジ装置
JP2017532468A (ja) 家具用ヒンジ
JP4283284B2 (ja) 補助装置、及び、建具
KR100968034B1 (ko) 리드장치
JP4912183B2 (ja) 可動体の動作制御装置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086962B1 (ja) 引き違い戸装置
KR100452578B1 (ko) 인터로크 장치
KR101081259B1 (ko) 래치기구
KR200228234Y1 (ko) 유압식 플로어힌지의 하우징
KR0123756Y1 (ko) 자동차용 컵 홀 고정장치
JPH085133Y2 (ja) 往復移動体通路溝の開閉装置
KR100992547B1 (ko) 트렁크 개폐 시스템
JP7049959B2 (ja) 開閉装置
JP3168532B2 (ja) 引き戸開閉用ダンパー
KR20020082488A (ko) 트럭 등의 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