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547B1 - 트렁크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렁크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547B1
KR100992547B1 KR1020080107205A KR20080107205A KR100992547B1 KR 100992547 B1 KR100992547 B1 KR 100992547B1 KR 1020080107205 A KR1020080107205 A KR 1020080107205A KR 20080107205 A KR20080107205 A KR 20080107205A KR 100992547 B1 KR100992547 B1 KR 10099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ear
arm
link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169A (ko
Inventor
마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5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torsion bar
    • E05F1/1238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torsion bar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Abstract

토션바 방식으로 작동하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힌지 토션바(400)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일방향 댐핑 장치(500)를 적용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고가의 전동 방식과 유사한 편의성을 얻을 수 있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이 소개된다. 이러한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암(200)과, 힌지 링크(300)와, 힌지 토션바(400)와, 일방향 댐핑 장치(500)를 포함한다.
토션바, 트렁크 리드, 기어 댐퍼

Description

트렁크 개폐 시스템{TRUNKLID HINGE}
본 발명은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션바 방식으로 작동하면서도 고가의 전동식 개폐 시스템과 유사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크게 토션바 방식, 가스리프터 방식, 전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 토션바 방식에 의할 경우 개폐 스위치를 작동하면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는 트렁크 리드가 토션바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방되고, 이 후 트렁크 리드의 완전 개방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트렁크 리드를 들어올려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손에 짐을 들고 있는 경우 불편을 주는 요인이었다. 한편, 토션바의 탄성력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완전 개방되도록 토션바의 비틀림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트렁크 리드가 빠른 속도로 열려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기에 적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토션바 방식은 개폐력이 작다는 장점이 있지만, 개방완료 지점(토션바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개방되는 지점)과 개폐 속도를 조절하기 힘들고, 개방완료 지점에서 떨림이 발생하며, 부드럽게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 다.
한편, 가스리프터 방식은 부드럽게 열리는 장점은 있으나, 토션바 방식에 비해 개폐력이 크며, 차량에 적용시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동 방식은 개폐 스위치로 개폐할 수 있으며, 개폐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지만 차량에 적용시 제조 원가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션바 방식으로 작동하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일방향 댐핑 장치를 적용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댐핑 작용을 받아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트렁크 리드를 닫을 경우에는 댐핑 작용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고가의 전동 방식과 유사한 편의성을 얻을 수 있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과, 일단은 상기 힌지 브라켓에 힌지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에 고정되는 힌지 암과, 상기 힌지 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링크와, 상기 힌지 브라켓 또는 힌지 링크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이들 모두에 걸쳐 설치되며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상기 힌지 브라켓 또는 힌지 링크에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가하는 힌지 토션바와, 상기 힌지 브라켓에 설치되어 트렁크 리드의 개방동작시에는 댐핑 작용을 하고 트렁크 리드의 닫힘동작시에는 댐핑 작용을 하지 않는 일방향 댐핑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는 상기 힌지 브라켓에 상기 힌지 핀을 매개로 독립적 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반대되는 치 구배를 갖는 내측 스프라켓과 외측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기어와, 상기 힌지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기어의 외측 스프라켓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1 힌지 기어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1 기어 댐퍼와, 상기 힌지 암에 탄성력 있게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 암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기어의 내측 스프라켓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힌지 암이 특정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만 상기 제 1 힌지 기어와 힌지 암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는 상기 힌지 암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암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힌지 기어와, 상기 힌지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2 힌지 기어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2 기어 댐퍼와, 상기 힌지 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암의 토크를 상기 힌지 핀에 전달하는 부시와, 상기 힌지 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핀과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힌지 암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 댐퍼의 중심축을 이동시켜 상기 제 2 기어 댐퍼가 상기 제 2 힌지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는 상기 힌지 암의 측면에 편심되어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제 3 힌지 기어와, 상기 힌지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힌지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3 힌지 기어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3 기어 댐퍼와, 상기 힌지 핀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암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 1 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힌지 기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되는 제 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암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3 힌지 기어를 편심 회전시켜 상기 제 3 힌지 기어가 상기 제 3 기어 댐퍼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따르면, 토션바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일방향 댐핑 장치를 적용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댐핑 작용을 받아 부드럽게 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트렁크 리드를 닫을 경우에는 댐핑 작용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고가의 전동 방식과 유사한 편의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암(200)과, 힌지 링크(300)와, 힌지 토션바(400)와, 일방향 댐핑 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100)은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힌지 브라켓(100)이 쌍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 브라켓(100)에는 상기 힌지 토션바(400) 및 상기 힌지 암(200)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힌지 암(200)의 일단은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힌지 핀(H)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트렁크 리드(미도시)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암(200)의 형상은 구즈넥(Goose Neck)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링크(300)의 일단은 상기 힌지 암(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힌지 토션바(400)가 걸림될 수 있는 걸림 홈(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 링크(300)는 두 개가 설치되며, 두 개의 힌지 브라켓(10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힌지 토션바(400)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힌지 토션바(400)는 두 개가 한 쌍으로 설치되되, 어느 하나의 힌지 토션바(400)의 일단은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대응하는 방향에 설치된 힌지 링크(300) 및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된다. 다른 하나의 힌지 토션바(400)도 위와 같이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링크(300)에 설치되되, 두 개의 힌지 토션바(400)는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힌지 토션바(400)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강하게 설정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완전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500)는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상기 힌지 핀(H)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반대되는 치 구배를 갖는 내측 스프라켓(511)과 외측 스프라켓(512)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기어(510)와,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의 외측 스프라켓(512)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1 기어 댐퍼(520)와, 상기 힌지 암(200)에 탄성력 있게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 암(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의 내측 스프라 켓(51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힌지 암(200)이 특정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만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와 힌지 암(200)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30)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미도시)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토퍼(530)는 특정 회동 방향에 대해서만 탄성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 댐퍼(520)는 중심부(521)와 상기 중심부(521)를 깜싸는 기어부(5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부(522)는 상기 중심부(521)의 둘레를 회전하며, 상기 기어부(522)의 회전 속도가 커질 수록 댐핑 작용이 커지게 된다.
상술한 일방향 댐핑 장치(5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의 개방동작시 힌지 암(200)은 힌지 핀(H)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힌지 암(200)에 설치된 스토퍼(530)는 상기 힌지 암(200)과 일체로 움직이고, 제 1 힌지 기어(510)의 내측 스프라켓(511)에 걸림되기에 상기 힌지 암(200) 및 제 1 힌지 기어(510)는 반시계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 및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30)는 탄성 부재(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받게 되기에 상기 내측 스프라켓(511)에 밀착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스토퍼(530)는 내측 스프라켓(511)에 견고히 걸림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의 외측 스프라켓(512)은 제 1 기어 댐퍼(520)에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힌지 토션바(400, 도 1참조)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강하게 설정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완전 개방될 수 있도록 설정하더라도 트렁크 리드는 상기 제 1 기어 댐퍼(520)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어 부드럽게 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의 닫힘동작시 힌지 암(200)은 힌지 핀(H)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힌지 암(200)에 설치된 스토퍼(530)도 상기 힌지 암(200)과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의 내측 스프라켓(511)의 치 구배는 상기 스토퍼(530)가 상기 힌지 암(200)과 일체로 움직일 때, 상기 스토퍼(530)가 걸림되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되기에 상기 힌지 암(200)이 회동하더라도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는 힌지 브라켓(100)에 힌지 핀(H)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에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트렁크 리드의 닫힘동작시 일어나는 상기 힌지 암(200)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은 상기 제 1 기어 댐퍼(520)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트렁크 리드가 적은 힘에 의해서도 닫힐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암(200)과, 힌지 링크(300)와, 힌지 토션바(400)와, 일방향 댐핑 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암(200)과, 힌지 링크(300)와, 힌지 토션 바(4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일방향 댐핑 장치(500)의 경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일방향 댐핑 장치(500)는 상기 힌지 암(200)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암(200)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힌지 기어(540)와,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2 기어 댐퍼(550)와, 상기 힌지 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암(200)의 토크를 상기 힌지 핀(H)에 전달하는 부시(560)와, 상기 힌지 핀(H)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핀(H)과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힌지 암(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을 이동시켜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가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드(5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기어 댐퍼(520)와 동일하다. 즉, 중심부(551)와 기어부(552)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는 힌지 브라켓(100)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홀(111)이 구비된 한 쌍의 고정대(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는 상기 슬라이딩 홀(111)을 따라 그 중심축(553)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로드(570)에는 상기 가이드 로드(57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553)을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 홈(571)이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의 측면에는 고정 돌기(54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암(200)의 측면에는 고정 홈(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는 상기 힌지 암(200)에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일방향 댐핑 장치(5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의 개방동작시 힌지 암(200, 도 6참조)은 힌지 핀(H)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힌지 핀(H)에 설치된 부시(560)는 상기 힌지 암(200)의 토크를 상기 힌지 핀(H)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핀(H)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로드(5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을 가이드 홈(571)을 따라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553)은 상기 고정대(110)의 슬라이딩 홀(111)을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는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부시(560)와 상기 힌지 핀(H)은 어느 정도의 토크를 전달하면서도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기에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는 상기 힌지 암(200)과 함께 계속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에 의해 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힌지 토션바(400, 도 1참조)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강하게 설정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완전 개방될 수 있도록 설정하더라도 트렁크 리드는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어 부드럽게 열 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의 닫힘동작시 힌지 암(200, 도 6참조)은 힌지 핀(H)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힌지 핀(H)에 설치된 부시(560)는 상기 힌지 암(200)의 토크를 상기 힌지 핀(H)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핀(H)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로드(57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553)을 가이드 홈(571)을 따라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553)은 상기 고정대(110)의 슬라이딩 홀(111)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는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와 맞물리지 않게 되고, 상기 부시(560)와 상기 힌지 핀(H)은 어느 정도의 토크를 전달하면서도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기에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는 상기 힌지 암(200)과 함께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트렁크 리드가 적은 힘에 의해서도 닫힐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은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암(200)과, 힌지 링크(300)와, 힌지 토션바(400)와, 일방향 댐핑 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100)과, 힌지 암(200)과, 힌지 링크(300)와, 힌지 토션바(4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일방향 댐핑 장치(500)의 경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일방향 댐핑 장치(500)는 상기 힌지 암(200)의 측면에 편심되어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제 3 힌지 기어(580)와,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3 기어 댐퍼(590)와, 상기 힌지 핀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암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 1 링크(596)와,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59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링크(597)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암(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를 편심 회전시켜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가 상기 제 3 기어 댐퍼(59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 링크(59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어 댐퍼(590)의 구성은 전술한 제 1 기어 댐퍼(520)와 동일하다. 즉, 중심부(591)와 기어부(592)로 구성되어, 상기 기어부(592)가 상기 중심부(591) 둘레를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어 핀(P)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힌지 암(2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596)와 제 2 링크(597)는 제 1 링크 핀(K)에 의해 서로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 링크(597)와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는 제 2 링크 핀(M)에 의해 서로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술한 일방향 댐핑 장치(5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의 개방동작시 힌지 암(200)은 힌지 핀(H)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힌지 핀(H)에 고정된 제 1 링크(596)와, 상기 제 1 링크(596) 및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에 연결된 제 2 링크(597)의 작용으로 상기 제 2 링크 핀(M)은 화살표(D)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 3 힌지 기어(580)를 기어 핀(P)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는 제 3 기어 댐퍼(59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3 기어 댐퍼(590)에 의해 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힌지 토션바(400, 도 1참조)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강하게 설정하여 개폐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트렁크 리드가 완전 개방될 수 있도록 설정하더라도 트렁크 리드는 상기 제 3 기어 댐퍼(590)에 의해 속도가 제어되어 부드럽게 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트렁크 리드의 닫힘동작시 힌지 암(200)은 힌지 핀(H)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힌지 핀(H)에 고정된 제 1 링크(596)와, 상기 제 1 링크(596) 및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에 연결된 제 2 링크(597)의 작용으로 상기 제 2 링크 핀(M)은 화살표(E)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 3 힌지 기어(580)를 기어 핀(P)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는 제 3 기어 댐퍼(590)와 맞물리지 않기에 상기 제 3 기어 댐퍼(590)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어 트렁크 리드는 적은 힘에 의해서도 닫힐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트렁크 리드 개방동작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트렁크 리드 닫힘동작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에 적용된 가이드 로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요부를 나타낸 다른 도면.
도 7은 트렁크 리드 개방동작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트렁크 리드 닫힘동작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트렁크 리드 개방동작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트렁크 리드 닫힘동작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힌지 브라켓 200 : 힌지 암
300 : 힌지 링크 400 : 힌지 토션바
500 : 일방향 댐핑 장치 510 : 제 1 힌지 기어
511 : 내측 스프라켓 512 : 외측 스프라켓
520 : 제 1 기어 댐퍼 530 : 스토퍼
540 : 제 2 힌지 기어 550 : 제 2 기어 댐퍼
560 : 부시 570 : 가이드 로드
580 : 제 3 힌지 기어 590 : 제 3 기어 댐퍼
595 : 가이드 링크 596 : 제 1 링크
597 : 제 2 링크 H : 힌지 핀
P : 기어 핀 K : 제 1 링크 핀
M : 제 2 링크 핀

Claims (4)

  1. 차량의 트렁크룸 전방의 차체패널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100);
    일단은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힌지 핀(H)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렁크 리드에 고정되는 힌지 암(200);
    상기 힌지 암(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링크(300);
    상기 힌지 브라켓(100) 또는 힌지 링크(30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거나 이들 모두에 걸쳐 설치되며,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상기 힌지 브라켓(100) 또는 힌지 링크(300)에 비틀림에 의한 탄성력을 가하는 힌지 토션바(400); 및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어 트렁크 리드의 개방동작시에는 댐핑 작용을 하고, 트렁크 리드의 닫힘동작시에는 댐핑 작용을 하지 않는 일방향 댐핑 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500)는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상기 힌지 핀(H)을 매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반대되는 치 구배를 갖는 내측 스프라켓(511)과 외측 스프라켓(512)을 포함하는 제 1 힌지 기어(510);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의 외측 스프라켓(512)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1 기어 댐퍼(520); 및
    상기 힌지 암(200)에 탄성력 있게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 암(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의 내측 스프라켓(51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힌지 암(200)이 특정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만 상기 제 1 힌지 기어(510)와 힌지 암(200)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500)는
    상기 힌지 암(200)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암(200)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힌지 기어(540);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2 기어 댐퍼(550);
    상기 힌지 핀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암(200)의 토크를 상기 힌지 핀(H)에 전달하는 부시(560); 및
    상기 힌지 핀(H)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핀(H)과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힌지 암(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의 중심축을 이동시켜 상기 제 2 기어 댐퍼(550)가 상기 제 2 힌지 기어(54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 로드(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댐핑 장치(500)는
    상기 힌지 암(200)의 측면에 편심되어 회전되도록 고정되는 제 3 힌지 기어(580);
    상기 힌지 브라켓(100)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에 댐핑 작용을 하는 제 3 기어 댐퍼(590); 및
    상기 힌지 핀(H)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암(200)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 1 링크(596)와,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59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링크(597)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암(2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를 편심 회전시켜 상기 제 3 힌지 기어(580)가 상기 제 3 기어 댐퍼(59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가이드 링크(5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시스템.
KR1020080107205A 2008-10-30 2008-10-30 트렁크 개폐 시스템 KR10099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05A KR100992547B1 (ko) 2008-10-30 2008-10-30 트렁크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05A KR100992547B1 (ko) 2008-10-30 2008-10-30 트렁크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69A KR20100048169A (ko) 2010-05-11
KR100992547B1 true KR100992547B1 (ko) 2010-11-08

Family

ID=4227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205A KR100992547B1 (ko) 2008-10-30 2008-10-30 트렁크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016A (zh) * 2020-01-09 2021-07-09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行李箱盖板总成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92B1 (ko) 2001-10-20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유동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92B1 (ko) 2001-10-20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유동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69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743B1 (ko) 댐핑을 구비한 멀티-링크 힌지
US20200232264A1 (en) Dishwasher door with counterbalance assembly
US11319740B2 (en) Multi-link hinge device
CA2778726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double linkage
CN206513184U (zh) 自动缓冲开关烤箱门铰链
JP2010254215A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の開閉装置
KR20210072996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링크식 유동 방지 구조
KR101715301B1 (ko) 다단링크 힌지장치
US20130312221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cylinder alignment shoulder bushing
JP3913759B2 (ja) 扉開閉機構
KR101213128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갖는 여닫이 도어
US8911036B2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US20130312220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damper alignment spacer bushings
KR100992547B1 (ko) 트렁크 개폐 시스템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CN216197371U (zh) 一种汽车门铰链
KR10112592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아 힌지장치
CN210685670U (zh) 阻尼铰链及门体开合结构
KR20200039257A (ko) 트렁크 개폐 조절 장치
KR102600595B1 (ko) 도어 힌지
KR101997291B1 (ko) 트렁크 팝업 유지 장치
KR101481313B1 (ko) 트렁크 개폐 토크 조절 장치
KR101416465B1 (ko) 차량의 후드 리프터
KR100429196B1 (ko) 경사형 도어를 갖는 세탁기의 도어 힌지어셈블리
KR100633258B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