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115A -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115A
KR20090068115A KR1020080122294A KR20080122294A KR20090068115A KR 20090068115 A KR20090068115 A KR 20090068115A KR 1020080122294 A KR1020080122294 A KR 1020080122294A KR 20080122294 A KR20080122294 A KR 20080122294A KR 20090068115 A KR20090068115 A KR 2009006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
support
rotation range
range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766B1 (ko
Inventor
코바야시 시니치
모토수기 히데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기판부와 이 기판부 보다 솟아있는 축지편부를 갖고,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상기 기판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의 양단측 보다 절곡된 한 쌍의 지지편부를 갖고, 이 각 지지편부를 상기 각 축지편부에 제1샤프트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제2샤프트를 통하여 그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취부부재에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는 그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한다.
2축, 2방향 회동, 힌지, 전자기기

Description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biaxial hing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등의 카메라 기기, 휴대전화기, PDA, 자우르스(상표) 등의 휴대기기, 노트형 PC,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2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등의 카메라 기기, 휴대전화기, PDA, 자우르스(상표) 등의 휴대기기, 노트형 PC,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에서는 기기본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2축힌지를 통하여 2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2축힌지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기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세로방향의 개폐를 행한다. 즉, 기기본체의 폭 방향으로 늘린 제1샤프트의 축 회전에 기복회동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1샤프트를 축으로 90°까지 열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기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샤프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제2샤프트의 축 회전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2축힌지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2축힌지는 기기본체에 취부된 베이스브래킷과 디스플레이 장치에 취부된 취부브래킷과, 베이스브래킷과 취부브래킷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과, 베이스브래킷과 지지브래킷에 취부되어 기기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샤프트를 축으로 기기본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키는 제1 회동기구와, 지지브래킷과 취부브래킷에 취부되어 제1샤프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샤프트를 축으로 기기본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키는 제2 회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브래킷은 가늘고 긴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기판의 양단부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한 단면, 거의 コ 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브래킷의 양측부는 지지편으로서 양측부 사이를 기판부로 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에는 제1 회동기구가 각각 취부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판부의 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제2 회동기구가 취부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닫힌 상태(닫힌 상태)에서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중합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기기본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1샤프트를 축으로 90°회전시켜 열로, 이 상태에서 더욱더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2샤프트를 축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특개2007-16944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6-220198호 공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는 2축힌지에서 부품점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비싸게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브래킷의 양지지편에 베이스브래킷에 취부되고 있는 제1샤프트가 취부되고 있음과 동시에, 계합브래킷의 기판부의 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브래킷에 취부되고 있는 제2샤프트가 취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기본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2샤프트를 통하여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제2샤프트가 기판부에서 끌려당기는 방향으로 기판부에 힘이 작용하므로, 기판부에 인장하중이 걸려 기판부는 양단부가 서로 가까워질 방향으로 굽힐려고 한다. 이 하중에 견디는 강도를 확보하려면 기판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기판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지지브래킷의 길이(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고, 지지브래킷이 대형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지지브래킷은 가늘고 긴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기판의 양단부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단면, 거의 コ형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두께가 두꺼운 기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기판의 양측부를 절곡하여 지지브래킷을 형성하면 지지브래킷의 길이(긴 방향의 길이)가 아무리 하여도 길게 되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2축힌지 전체도 대형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1샤프트를 축으로 상대적으로 세로방향에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회동은 기기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중합된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전하게 열린 개성상태까지의 제1 회동범위에 규제된다. 이것은 닫힌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기본체가 서로 밀착하여 중합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기본체에 대하여 제1샤프트를 축의 세 로방향으로 회동하는 범위가 규제되고 동시에, 열린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기본체가 서로 계합하여 그 회동범위가 규제된다. 즉, 2축힌지만으로는 강도 부족 때문에 그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기본체에 서로 열린 상태로 계합하는 계합부를 각각 설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 전체가 대형이 되거나 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제1 회동범위를 충분히 규제하여 얻을 수 있는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는 기판부와 이 기판부 보다 솟아있는 축지편부를 갖고,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상기 기판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의 양단측 보다 절곡된 한 쌍의 지지편부를 갖고, 이 각 지지편부를 상기 각 축지편부에 제1샤프트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제2샤프트를 통하여 그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취부되는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취부부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는 그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지지판부의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한 것으로, 제1틀체에 대하여 제2틀체를 제2샤프트를 축으로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의 회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회동시켰을 때, 이 회동에 의한 하중이 지지판부에 걸려도 지지판부에 취부된 보강판에 의해서 지지판부가 구부러지는 것이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지지판부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각 지지편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각 축지편부의 적어도 일방의 것에 대하여 제1 회동제어수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이 제1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축지편부에 계합된 상태로 취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편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지지편부에 설치된 제1 캠부와 상기 제1샤프트의 축의 외주에 계합하여 상기 제1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캠부에 면 접촉하는 제1캠체와, 이 제1캠체를 상기 제1캠부와 면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1부세수단과, 상기 제1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1캠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1캠볼록부와, 상기 제1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1캠부와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캠볼록부와 계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보지하는 제1캠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 하여 제2 회동제어수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있고, 이 제2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취부부재에 계합된 상태로 취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부에 삽입된 상기 취부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설치된 제2캠부와, 상기 제2샤프트의 축의 외주에 계합하여 상기 제2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2캠부에 면 접촉하는 제2캠체와, 이 제2캠체를 상기 제2캠부와 면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2부세수단과, 상기 제2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부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제2 캠볼록부와, 상기 제2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부와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캠볼록부와 계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취부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보지하는 제2캠오목부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는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1 B회동범위규제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B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표면에 접접(摺接)하는 상기 보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는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은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된 제2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2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취부부재의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2B 회동범위규제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된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이며, 상기 제2B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보강판에 설치된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제2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B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2A 회동범위규제부가 측면으로 접접하는 상기 보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는 기판부와 이 기판부 보다 솟아있는 축지편부를 갖고,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상기 기판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의 양단측보다 절곡된 한 쌍의 지지편부를 갖고, 이 각 지지편부를 상기 각 축지편부에 제1샤프트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제2샤프트를 통하여 그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취부되는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취부부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을 설치한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에 취부된 보강판으로 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취부된 보강판으로 되는 것으로,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계합하는 개소가 보강판이므로, 충분히 2축힌지만으로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각 지지편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제1샤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각 제1샤프트에 각각 설치되어, 이 각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취부된 상기 보강판의 표면에 각각 접접하여 상기 제1 회동범위가 규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에 있어서, 상기 각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각 제1샤프트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에 각각 형성되어, 이 각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취부된 상기 보강판의 표면에 각각 접접하여 상기 제1 회동범위가 규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의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술과 같이,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지지판부의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하였으므로,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지지판부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 하다. 또,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취부된 보강판으로 되므로, 제1 회동범위를 충분히 규제하여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지지판부의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하므로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지지판부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취부된 보강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회동범위를 충분히 규제하여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 및 전자기기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1)는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기판부(21a, 22a)와 이 기판부(21a, 22a) 보다 우뚝 솟아있는 축지편부(21b, 22b)를 갖고, 전자기기(10)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에 기판부(21a, 22a)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한 쌍의 베이스부재(2)(21, 22)와, 지지판부(41)와 이 지지판부(41)의 양단측 보다 절곡된 한 쌍의 지지편부(42a,42b)를 갖고, 이 각 지지편부(42a,42b)를 각 축지편부(21b, 22b)에 제1샤프트(5)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4)와 이 지지부재(4)의 지지판부(41)에 제2샤프트(6)를 통하여 그 지지부재(4)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에 취부되는 취부부재(3)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지지부재(4)의 지지판부(41)에는 그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7(7a, 7b)을 취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전자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등의 카메라 기기가 대표적인 것이며, 이외에 휴대전화기, PDA, 자우르스(상표) 등의 휴대기기, 노트형 PC,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소형의 전자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1의 2축힌지(1)를 구비한 전자기기(10)의 일례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카메라 기기에 있어서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틀체는 예를 들면, 스위치 등의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나 카메라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가지고 있는 거의 직사각형 상자모양의 기기본체(11)이다. 제2틀체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3)를 가지고 있는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디스플레이 장치(12)이다. 이 디스플레이부(13)는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촬영 때 등에 있어서는 대형의 파인더(finder)로 하여도 기능하는 것이 다.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의 일방의 측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중합된 닫힌 상태에서 제1의 2축힌지(1)를 통하여 기기본체(11)에 디스플레이 장치(12)가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10)가 구성되어 있다. 기기본체(11)에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2)가 취부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2)에는 취부부재(3)가 취부된다.
베이스부재(2)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에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되는 브래킷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제1베이스브래킷(21)과 제2베이스브래킷(22)으로 된다.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에 취부되는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기판부(21a, 22a)와 기판부(21a, 22a)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단부가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축지편부(21b, 22b)로 부터 단면거의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은 예를 들면, 스텐레스제의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의 일방의 측면의 전단부 근방에 있어 축지편부(21b, 22b)가 서로 대향하도록 기판부(21a, 22a)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되어 있다.
기판부(21a, 22a)에는 예를 들면, 나사 등으로 기기본체(11)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구멍(21c, 22c)이나 취부오목부(22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축지편부(21b, 22b)에는 제1샤프트(5)가 취부되어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계합공(23, 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합공(23, 24) 중 일방의 구멍 예를 들면 제1베이스브래킷(21)의 계합공(23)은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전기적으로 접 속하는 배선, 예를 들면 FPC가 통과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2)는 한 쌍의 제1베이스브래킷(21)과 제2베이스브래킷(22)으로 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브래킷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취부부재(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2)에 나사 등에 의해 취부되는 브래킷으로 예를 들면,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취부브래킷(31)으로 형성되어 있다. 취부브래킷(31)의 양단부 근방에는 예를 들면, 나사 등으로 취부되는 취부구멍(31a, 31b, 31c)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취부브래킷(31)의 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계합공(32)이 설치되어 있다. 계합공(32)은 예를 들면, 제1베이스브래킷(21)의 계합공(23)의 크기와 거의 같은 소판상(거의 타원상)에 형성되어 있다. 취부브래킷(31)은 예를 들면 스텐레스제의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재(2)를 기기본체(11)에 취부하고, 취부부재(3)를 디스플레이 장치(12)에 취부하지만, 베이스부재(2)를 디스플레이 장치(12)에 취부하고 취부부재(3)를 기기본체(11)에 달도록 하여도 좋다. 베이스부재(2)와 취부부재(3)의 사이에는 지지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4)는 예를 들면, 지지브래킷(40)에 있어 제2샤프트(6) 취부되는 가지지판부(41)와 이 지지판부(41)에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제1샤프트(5)가 취부되는 복수의 지지편부(42a,4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브래킷(40)은 예를 들면, 가늘고 긴 거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기판의 양단부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단면, 거의 コ자 형상에 형성되어, 이 양측부가 지지편부(42a,42b)로 하여 양단부 사이의 직사각형 평판부가 지지판부(41)로 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브래킷(40)은 예를 들면, 스텐레스제의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편부(42a,42b)는 기판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2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판부(41)의 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제2샤프트(6)가 삽입된 삽입공(43)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공(43)은 취부브래킷(31)의 계합공(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과 양단부와의 사이에는 각각 3개의 취부구멍(44a, 44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3개 취부구멍(44a, 44b) 중 2개의 구멍(44a)의 내면에는 나사홈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부(41)의 내면(지지편부(42a,42b) 사이의 지지판부(41)의 표면)에는 보강판(7)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판(7)은 지지판부(41)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지지판부(41)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텐레스나 강판 등의 금속플레이트 등이다. 보강판(7)은 예를 들면, 지지편부(42a,42b) 사이의 내면에 취부되는 것으로, 지지판부(41)와 거의 같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판 모양이고,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 및 그 근방이 절취된 2개의 보강판(7a,7b)으로 된다. 2개의 보강판(7a,7b)은 예를 들면, 일단부가 지지편부(42a,42b)의 내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의 근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보강판(7a,7b)에는 지지판부(41)의 나사홈이 설치되지 않은 장치구멍(44b)에 계합하는 계합돌부(7c)와 지지판부(41)의 나사홈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구멍(44a)과 대향하여 예를 들면, 나사(49)를 사용하여 취부하기 위한 2개의 장 치구멍(7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보강판(7a,7b) 중 일방의 보강판(7a)(제1보강판(7a)이라는 것이 있다)의 타단부는 지지판부(41)에 취부되었을 때,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과 거의 같은 축으로 이 삽입공(43) 보다 지름이 큰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보강판(7a,7b) 중 타방의 보강판(7b)(제2 보강판(7b)이라는는 것이 있다)의 타단부에는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지지브래킷(40)은 양 지지편부(42a,42b)가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와 각각 대향하도록 제1베이스브래킷(21)과 제2베이스브래킷(2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와 대향하는 지지편부(42a)(제1지지편부(42a)라는 것이 있다)에는 제1샤프트(5)(제1A샤프트(51))가 삽입되는 관통공(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46)은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의 계합공(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모양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와 대향하는 지지편부(42b)(제2지지편부(42b)라는 것이 있다)에는 제1샤프트(5)(제1B샤프트(52))가 삽입되는 관통공(4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47)은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의 계합공(2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모양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와 지지브래킷(40)의 지지편부(42a,42b)가 제1샤프트(5)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와 취부브래킷(31)이 제2샤프트(6)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샤프트(5)는 예를 들면,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와 지지브 래킷(40)의 제1지지편부(42a)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A샤프트(51)와,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와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B샤프트(52)로 된다. 또한, 제1A샤프트(51)와 제1B샤프트(52)는 이것을 일체로 형성하여 1개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의미로 이 명세서에 있어서는 양자를 포함시킨 제1샤프트라 칭하는 것이 있다.
제1A샤프트(51)는 외경이 지지브래킷(40)의 제1지지편부(42a)의 관통공(46)에 삽입되어 얻은 길이의 원통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A샤프트(51)는 내부에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예를 들면 FPC를 통할 수 있는 내경에 형성되어 있다. 제1A샤프트(51)의 일단부에는 제1지지편부(42a)의 관통공(4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부(51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A샤프트(51)의 타단부에는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의 계합공(23)에 계합하여 얻은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감합부(5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합부(51b)를 지지브래킷(40)의 제1지지편부(42a)의 내면에서 그 관통공(46)에 삽입하여 슬리브(54, sleeve) 내를 통하고 나서,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의 계합공(23)에 계합시킨다. 이 계합공(23)에서 돌출하는 감합부(51b)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제1A샤프트(51)의 플랜지부(51a)가 제1지지편부(42a)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제1베이스브래킷(21)와 지지브래킷(40)의 제1지지편부(42a)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지지브래킷(40)의 제1지지편부(42a)와 제1베이스브래킷(21)의 축지편부(21b)와의 사이의 제1A샤프트(51)의 외주에는 슬리브(54)가 설치되어 있다.
제1B샤프트(52)는 외형이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의 삽입공에 삽 입되어 얻은 길이의 소판상(거의 타원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B샤프트(52)의 일단부에는 제2지지편부(42b)의 관통공(4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52a)는 예를 들면, 제1A샤프트(51)의 플랜지부(51a)와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B샤프트(52)의 일단부의 근방에 있어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의 관통공(47) 내에 위치되는 개소는 원형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B샤프트(52)의 타단부에는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의 계합공(24)에 계합하여 얻은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감합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합부(52b)를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의 내면에서 그 관통공(47)에 삽입하여 제2베이스브래킷(22)의 축지편부(22b)의 계합공(24)에 계합시킨다. 이 계합공(24)에서 돌출하는 감합부(52b)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2a)가 제2지지편부(42b)의 내면에 접한 상태에서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부재(4)는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통하여 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부재(2)(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에 대하여 지지부재(4)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회동제어수단(8)을 설치해도 좋다.
제1 회동제어수단(8)은 제1베이스브래킷(21)과 지지부재(4)와의 사이와,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부재(4)와의 사이의 양쪽 모두에 설치되어도 어느 쪽이든 일방에 설치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부재(4)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회동제어수단(8)은 예를 들면, 제1B샤프트(52)와 지지브래킷(40) 에 설치된 제1캠부(81)와 제1B샤프트(52)의 축의 외주에 계합하여 제1B샤프트(52)의 축 회전에 회전하지 않고, 제1B샤프트(52)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제1캠부(81)에 면 접촉하는 제1캠체(82)와 제1캠체(82)를 제1캠부(81)와 면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1부세수단(83)과 제1캠체(82)의 접촉면과 제1캠부(81)과의 적어도 한편에 설치되는 제1캠볼록부(87)와 제1캠체(82)의 접촉면과 제1캠부(81)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제1캠볼록부(87)와 계합하여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지지부재(4)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보지하는 제1캠오목부(86)를 갖추고 있다. 제1캠체(82) 및 제1부세수단(83)의 외주에는 슬리브(84)가 피복되어 있다.
제1캠부(81)는 예를 들면,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의 외면이며 관통공(47)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캠부(81)에는 예를 들면, 그 주위 방향에 180°간격으로 2개의 제1캠오목부(86)가 설치되어 있다.
제1캠체(82)는 제1B샤프트(52)와 동시에 회동하고, 제1B샤프트(52)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캠부(81)와 면 접촉하는 것이다. 제1캠체(82)는 예를 들면, 원판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캠체(82)의 중앙부에는 제1B샤프트(52)가 계합된 상태에서 관통하는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삽통공(82b)이 설치되어 있다. 제1캠체(82)의 제1캠부(81)측의 면(캠면이라는 것이 있다)에는 제1캠부(81)의 제1캠오목부(86)와 계합하는 제1캠볼록부(87)가 그 주위방향에 180°간격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제1캠볼록부(87)는 예를 들면,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캠오목부(86)는 예를 들면, 제1캠볼록부(87)가 계합하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부세수단(83)으로는 제1캠체(82)를 제1캠부(81)에 꽉 누를 수 있도록 부세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 스프링와셔(spring washer)나 그 외의 부세부재로도 좋고, 예를 들면 그릇용수철(83)이다.그릇용수철(83)의 매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매이고, 3매 이상이어도 좋다. 이들 그릇용수철(83)을 통하고 그 위에 축지편부(22b)의 계합공(24)에서 돌출하는 제1B샤프트(52)의 감합부(52b)의 단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그릇용수철(83)의 부세력에 의해 제1캠체(82)가 제1캠부(81)(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에 압접되고,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와 제2베이스브래킷(22)과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 상태에서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브래킷(40)의 제2지지편부(42b)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1베이스브래킷(21)의 계합공(23), 제1A샤프트(51), 지지브래킷(40)의 제1지지편부(42a)의 관통공(46), 제2지지편부(42b)의 관통공(47), 제1B샤프트(52)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의 계합공(24)이 거의 같은 축상에 배치되고, 베이스부재(2)(한 쌍의 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에 대하여 지지부재(4)(지지브래킷(40))가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동한다. 즉,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캠볼록부(87) 및 제1캠오목부(86)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0 ~ 180°의 회동각도(제1 회동각도라는 것이 있다) 범위에서 회동하는 경우에, 제1 회동각도가 0°와 180°에서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그 위치에서 보지 함과 동시에, 10 ~ 170°의 제1 회동범위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프리스톱(free stop)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캠볼록부(87) 및 제1캠오목부(86)는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0°와 180°의 제1 회동각도로 완전하게 계합하고 있으며 또, 0°와 180°의 제1 회동각도에서 완전하게 계합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예를 들면, 10°와 170°의 제1 회동각도에서 계합하기 시작하여 10°와 190°의 각도에서 각각 완전하게 계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캠볼록부(87) 및 제1캠오목부(86)는 예를 들면, 제1캠볼록부(87)의 돌출면(87a)와 제1캠오목부(86) 이외의 제1캠부(81)의 캠면(81a)이 평면에 각각 형성되고, 이들 제1캠볼록부(87)의 돌출면(87a)과 제1캠부(81)의 캠면(81a)이 10 ~ 170°의 제1 회동범위에서 서로 면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여 프리스톱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10 ~ 170°의 제1 회동범위에서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브래킷(40)과의 사이 즉,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와의 사이에 프리스톱 상태가 되도록 마찰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0°에서 거의 0°가 포함되고, 10°에는 거의 10°가 포함되며, 90°에는 거의 90°가 포함되고, 170°에는 거의 170°가 포함되고, 180°에는 거의 180°가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회동각도는 기기본체(11)의 측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전후방향(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기기본체(11)의 측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각도이며 예를 들면, 0°의 경우에는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중합한 상태로, 180°의 경우에는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 이 장치(12)가 전방(前方)에서 열린 상태인 것이다. 또, 제1캠볼록부(87) 및 제1캠오목부(86)는 제1 회동각도가 0°와 180°로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그 위치에서 보지함과 동시에, 10 ~ 170°의 제1 회동범위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나사홈 되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제1 회동각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지와 프리스톱 상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베이스부재(2)(한 쌍의 제1베이스브래킷(21) 및 제2베이스브래킷(22))에 대하여 지지부재(4)(지지브래킷(40))의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을 설치해도 좋다. 즉,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은 베이스부재(2)와 지지부재(4)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제1샤프트(5)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다.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은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샤프트(5)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와 계합하여 베이스부재(2)에 대하여 지지부재(4)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1 B회동범위규제부로 된다.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은 2개의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의 어느 쪽이든 일방에 설치해도 좋고, 2개의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의 양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A샤프트(51)의 플랜지부(51a) 및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2a)의 외주를 각각 거의 U자 모양으로 2개의 보강판(7a,7b)의 표면에 접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들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U자 모양의 2개의 제1평면부(71a), 제2평면부(71b)는 서로 거의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B 회동범위규제부는 2개의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가 표면에 접접하는 2개의 보강판(7a,7b)이다. 이것에 의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일방의 제1평면부(71a)가 보강판(7a,7b)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특히, 도 3(b) 참조)에서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타방의 제2평면부(71b)가 보강판(7a,7b)의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의 0 ~ 180°의 제1 회동범위에서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동하는 범위가 규제되기 위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에 의해 제1 회동범위를 0 ~ 180°에 규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2개의 평면부(71a, 71b)의 서로 대향하는 각도를 바꾸는 등 하며, 임의의 범위에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샤프트(6)는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제2샤프트(6)는 예를 들면, 내부에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예를 들면 FPC를 통하는 내경의 원통 모양에 이 외형이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에 삽입될 수 있는 길이의 소판상(거의 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샤프트(6)의 일단부에는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부(6a)가 설치되어 있다. 제2샤프트(6)의 일단부의 근방에 있어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 내에 위치된 개소는 원형모양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샤프트(6)의 타단부에는 취부브래킷(31)의 계합공(32)에 계합하여 얻은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감합부(6b)가 설치되 어 있다. 이 감합부(6b)를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의 내면에서 그 삽입공(43)에 삽입하고 나서 취부브래킷(31)의 계합공(32)에 계합시킨다. 이 계합공(32)에서 돌출하는 감합부(6b)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제2샤프트(6)의 플랜지부(6a)가 지지판부(41)의 내면에 접한 상태에서 지지브래킷(40)(지지부재(4))과 취부브래킷(31)(취부부재(3))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과의 사이에 제2 회동제어수단(60)을 설치해도 좋다.
제2 회동제어수단(60)은 예를 들면, 취부브래킷(31)에 계합된 상태로 취부됨과 동시에, 지지판부(41)에 삽입되어 취부부재(3)에 대하여 지지부재(4)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샤프트(6)와 지지브래킷(40)에 설치된 제2캠부(62)와 제2샤프트(6)의 축의 외주에 계합하며, 제2샤프트(6)의 축 회전에 회전하지 않고 제2샤프트(6)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제2캠부(62)에 면 접촉하는 제2캠체(63)와, 제2캠체(63)를 제2캠부(62)로 면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2부세수단(66)과, 제2캠체(63)의 접촉면과 제2캠부(62)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2캠볼록부(65)와, 제2캠체(63)의 접촉면과 제2캠부(62)와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어 제2 캠볼록부(65)로 계합하여 지지부재(4)에 대하여 취부부재(3)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 로 유지하는 제2캠볼록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제2캠체(63) 및 제2부세수단(66)의 외주에는 슬리브(67)가 피복되어 있다.
제2캠부(62)는 예를 들면,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의 외면에서 삽입공(4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캠부(62)에는 예를 들면, 그 주위방향에서 90°간격으로 4개의 제2캠오목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제2캠체(63)은 제2샤프트(6)과 동시에 회동하고, 제2샤프트(6)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2캠부(62)와 면 접촉하는 것이다. 제2캠체(63)는 예를 들면,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체(63)의 중앙부에는 제2샤프트(6)가 계합된 상태로 관통하는 소판상(거의 타원상)의 삽통공(63a)이 설치되어 있다. 제2캠체(63)의 제2캠부(62) 측의 면(캠면이라는 것이 있다)에는 제2캠부(62)의 제2캠오목부(64)로 계합하는 제2캠볼록부(65)가 그 주위방향으로 90°간격으로 4개 설치되어 있다. 제2캠볼록부(65)는 예를 들면, 거의 사다리꼴 형상에 형성되고, 제2캠오목부(64)는 예를 들면, 제2캠볼록부(65)가 계합하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제2부세수단(66)으로서는 제2캠체(63)를 제2캠부(62)에 꽉 누를 수 있도록 부세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그릇 용수철, 스프링 와셔나 그 외의 부세 부재에도 좋고, 압축스프링(6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축스프링(66) 내를 통하여 더욱더 취부브래킷(31)의 계합공(32)에서 돌출하는 제2샤프트(6)의 감합부(6b)의 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압축스프링(66)에 의해서, 제2캠체(63)가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제2캠부(62))에 압접되고,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와 취부브래킷(31)과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 상태에서 지지브래킷(40)(지지판부(41))와 취부브래킷(31)이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캠볼록부(65) 및 제2캠오목부(64)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제2샤프트(6)를 축으로 -135 ~ 135°의 회동각도(제2회동각도라는 것이 있다) 범위에서 회동하는 경우에는, -90°, 0°및 90°의 제2 회동각도로 완전하게 계합하고,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그 위치에 서 보지함과 동시에, -135 ~ -100°, -80 ~ -10°, 10 ~ 80°및 100 ~ 135°의 제2 회동범위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나사홈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캠볼록부(65) 및 제2캠오목부(64)는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90°, 0°및 90°의 제2 회동각도로 완전하게 계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캠볼록부(65) 및 제2캠오목부(64)는 예를 들면, 제2캠볼록부(65)의 돌출면(65a)과 제2캠오목부(64) 이외의 제2캠부(62)의 캠면(62a)이 평면에 각각 형성되고, 이들 제2캠볼록부(65)의 돌출면(65a)과 제2캠부(62)의 캠면(62a)이 -135 ~ -100°, -80 ~ -10°, 10 ~ 80°및 100 ~ 135°의 제2 회동범위에서 서로 면 접촉해 마찰이 발생하여 나사홈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135°에는 거의 -135°가 포함되며 -100°에는 거의 -100°가 포함되고, -80°에는 거의 -80°가 포함되며 -10°에는 거의 -10°가 포함되고, 80°에는 거의 80°가 포함되며 100°에는 거의 100°가 포함되고, 135°에는 거의 135°가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회동각도는 제2샤프트(6)의 축 방향에서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와 취부브래킷(31)을 보았을 때, 지지판부(41)의 긴 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과 취부브래킷(31)의 긴 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이며 예를 들면, 0°의 경우에는 지지판부(41)와 취부브래킷(31)이 중합한 상태에서 이 상태로 전후에 135°회전하며 얻은 상태이다. 또, 제2 회동각도가 0°상태인 동시에, 제1 회동각도가 0°상태 때에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중합된 닫힌 상태이고, 이 상태 때에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가 외면이 이루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취부브래킷(31)에 취부 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2캠볼록부(65) 및 제2캠오목부(64)는 제2 회동각도가 -135 ~ 135°의 제2 회동범위에서 회동하는 경우에 -90°, 0°및 90°의 각도에서 완전하게 계합하도록 형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지지부재(4)(지지브래킷(40))에 대하여 취부부재(3)(취부브래킷(31))의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을 설치하여도 좋다. 즉,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은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다.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은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2샤프트(6)에 설치된 제2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2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는 제2B 회동범위규제부로 된다.
제2A 회동범위규제부는 예를 들면, 제2샤프트(6)의 플랜지부(6a)의 외주의 일부를 그 지름방향 바깥쪽에 돌출한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이다. 제2B 회동범위규제부는 예를 들면, 제2보강판(7b)의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이다. 이들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 및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는 제2 회동각도가 -135°때에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가 제2보강판(7b)의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에 당접하여 -방향의 회전이 규제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동각도가 135°가 되면,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가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에 당접하여 +방향의 회전이 규제기 위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동하는 제2 회동범위가 -135 ~ 135°로 규제된다. 또한,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에 의해 제2 회동범위를 -135 ~ 135°로 규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범위에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1) 및 전자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서로 중합한 닫힌 상태에서는 제1 회동각도가 0°로, 제1캠볼록부(87)와 제1캠오목부(86)가 계합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계합이 이행되도록 그릇용수철(83)에 의해 제1캠체(82)가 제1캠부(81) 측에 부세됨과 동시에, 제2 회동각도가 0°로, 제2캠볼록부(65)와 제2캠오목부(64)가 계합하고있음과 동시에 이 계합이 행하여지도록 압축스프링(66)에 의해 제2캠체(63)가 제2캠부(62) 측에 부세되어 있으므로,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닫힌 상태에서 보지된다(도 1(a) 참조). 또한, 이 닫힌 상태를 보다 확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록(lock)기구를 설치하기 위하여도 좋다.
이 닫힌 상태의 전자기기(10)를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열린 상태로 사용하는 것에는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제1평면부(71a)가 보강판(7a,7b)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특히, 도 3(b) 참조)에서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반원부(71c)가 보강판(7a,7b)의 표면을 접접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제1 회동각도가 180°가 되기까지 회전하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제2평면부(71b)가 보강판(7a,7b)의 표면에 각각 접촉하여 그 회전이 정지한다(도 1(b) 참조). 이와 같이, 제1 회동각도가 180°까지 회전하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의 제2평면부(71b)가 보강판(7a,7b)의 표면에 각각 접촉함과 동시에, 제1캠볼록부(87)와 제1캠오목부(86)가 계합하므로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이 열린 상태에 보지된다.
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제1 회동각도가 10°를 넘으면 제1캠볼록부(87)가 제1캠오목부(86)에서 이탈하여 제1캠볼록부(87)의 돌출면(87a)이 제1캠부(81)의 캠면(81a)에 면 접촉하면서 그의 면상을 접동한다. 이것에 의해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와의 사이에 마찰 토오크(torque)가 발생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회전을 멈추면, 그 마찰 토오크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그 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10 ~ 170°의 제1 회동범위의 소망한 각도에 정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켜 열었을 때, 그 위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제 1회동각도가 180°로 될 때까지 회전시킨 열린 상태에서, 그 위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회전은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에 의해 각각 ±135°의 제2 회동각도에서 규제되어 있다.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 치(12)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90°회전시키면 제2캠볼록부(65)와 제2캠오목부(64)가 계합하여 그 상태에 보지된다. 이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수평이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3)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에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제2 회동각도가 -135 ~ -100°, -80 ~ -10°, 10 ~ 80°및 100 ~ 135°때에는 제2캠볼록부(65)가 제2캠오목부(64)에서 이탈하여 제2캠볼록부(65)의 선단면이 제2캠부(62)의 캠면에 면 접촉하면서 그의 면상을 접동한다. 이것에 의해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와의 사이에 마찰 토오크가 발생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회전을 멈추면, 그 마찰 토오크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그 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135 ~ -100°, -80 ~ -10°, 10 ~ 80°및 100 ~ 135°의 제2 회동각도의 범위의 소망한 각도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기본체(11)를 일방의 손으로 갖고 고정한 상태에서 더 일방의 손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를 붙잡고,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켜 열 때, 그 위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키는 것에서 디스플레이부(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촬영 때 등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3)를 대형의 파인더로 하여 보기 쉬운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켜 열어, 그 위에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특히 기기본체(11)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제2 회동기구의 제2샤프트(6)가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에서 빠지려고 하는 힘이 지지판부(41)에 작용한다. 즉, 지지판부(41)에는 인장하중이 걸려 지지판부(41)는 양측부가 서로 가까운 방향으로 구부러지려고 하지만, 지지판부(41)의 내면에 보강판(7a,7b)이 취부되어 있으므로 지지판부(41)가 구부러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지지판부(41)의 두께를 두껍고 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지지브래킷(40)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지판부(41)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지지브래킷(40)은 기판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기 위해서 지지편부(42a,42b)의 두께도 두꺼워져 지지브래킷(40)의 길이가 길어지지만, 지지판부(41)의 내면에 보강판(7a,7b)을 취부하는 것에 의해 지지편부(42a,42b)의 두께가 두껍게 되지 않으므로 지지브래킷(40)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지지판부(41)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여 지지브래킷(4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결과, 제1의 2축힌지(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은 제1A샤프트(51)의 플랜지부(51a) 및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2a)의 외주에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를 설치하고,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를 각각 2개의 보강판(7a,7b)의 표면에 접접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할 때에, 제1A 회동범위규제부(71)가 계합하는 개소가 보강판(7a,7b)과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이 직접 관계되어 지는 것은 아니다. 즉, 2개의 제1A샤프트(51),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1a, 52a)를 스토퍼(stopper)로서 사용하고 그 위에 이 스토퍼를 각각 보강판(7a,7b)의 표면에 접접(계합)시킨 것 에서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면을 크게 얻음과 동시에, 보강판(7a,7b)을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1의 2축힌지(1)만으로 충분히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기본체(11)나 디스플레이 장치(12) 또는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에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결과 제1의 2축힌지(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은 제2샤프트(6)의 플랜지부(6a)의 외주에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를 설치하고, 이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를 제2보강판(7b)에 설치한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에 당접(계합)시키도록 한 것으로,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할 때에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부(91)가 당접하는 개소가 보강판(7b)의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92)와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이 직접 서로 관계되는 것이 아니므로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에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결과, 더욱더 제1의 2축힌지(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부세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66)을 사용하는 것으로,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을 연결하는 부분의 외경 즉, 슬리브(67)의 외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부세수단으로서 그릇용수철을 사용하면 그릇용수철은 외경을 작게 하고 휘지 않는 용수철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지지브래킷(40)과 취 부브래킷(31)과의 연결부분의 외경이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대형이 된다. 이것에 대해 압축스프링(66)은 외경을 작게 하여도 용수철로서의 기능을 갖음과 동시에, 부세력의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제2부세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66)을 사용하는 것으로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을 연결하는 부분의 외경 즉, 슬리브(67)의 외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제1의 2축힌지(1)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부세 수단으로서 그릇용수철(83)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브래킷(40)을 연결하는 부분의 길이 즉, 슬리브(84)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제1의 2축힌지(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기기본체(11)와 디스플레이 장치(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예를 들면 FPC는 제1A샤프트(51) 내를 통한 지지브래킷(40)의 지지편부(42a,42b) 사이에 이르고, 거기에서 제2샤프트(6) 내를 통하므로 배선을 용이하게 행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의 상술의 제1의 2축힌지(1)와 다른 곳은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의 구성과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에 의해 규제되는 제1 회동범위, 제1 회동제어수단(8)에 의한 제어 및 제2 회동제어수단(60)에 의한 제어의 점이다. 또한, 상술의 제1의 2축힌지(1)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명칭을 부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다.
이 제2의 2축힌지도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전자기기(14)의 개폐를 행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이 제2의 2축힌지(100)을 구비한 전자기기(14)의 일례로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틀체(15) 및 제2틀체(16)는 각각 평면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틀체(15)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키보드부와 같은 조작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제2틀체(16)의 일방의 면에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제1틀체(15)의 상면에 제2틀체(16)가 중합된 닫힌 상태에서 2샤프트(6)를를 통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14)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100)도 상기의 제1의 2축힌지(1)와 같은 모양으로 도 6 ~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베이스부재(2)와 지지부재(4)와 취부부재(3)를 구비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2)와 지지부재(4)가 제1샤프트(5)를 통하여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있음과 동시에, 지지부재(4)와 취부부재(3)가 제2샤프트(6)를 통하여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취부부재(3)는 예를 들면, 횡장(橫長)의 직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이 전단부의 양측부 근방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취부편부(33a, 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취부편부(33a, 33b)에는 취부부재(3)를 예를 들면, 나사 등으로 제2틀체(16)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34a, 34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4)의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은 지지판부(41)의 긴 방향의 중앙부보다 제2지지편부(42b) 측에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공(43)과 양단부와의 사이에는 나사홈나사홈 취부공(44a)이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또, 지지판부(41)의 내면에 있어서 취부공(44a)의 근방에는 원형모양의 계합돌부(44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판부(41)의 내면에 보강판(7)(2개의 보강판(7f,7g)이 취부되어 있다.
2개의 보강판(7f,7g)은 거의 직사각형 평판모양으로, 예를 들면 일단부가 지지편부(42a,42b)의 내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2지지편부(42b) 측의 보강판(7g)(제3보강판(7g)라는 것이 있다)의 타단부가 지지판부(41)의 삽입공(43)의 근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보강판(7f,7g)에는 지지판부(41)의 취부공(44a)과 대향하여, 예를 들면 나사(49)를 사용하여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7d)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지지판부(41)의 계합돌부(44c)와 계합하는 취부공(7h)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을 구성하는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는 예를 들면, 제1A샤프트(51)의 플랜지부(51a) 및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2a)의 외주를 2개의 평면부가 서로 거의 평행한 거의 U자 모양으로 있는 2개의 보강판(7f,7g)의 표면에 접접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의 제1평면부(73a)가 보강판(7f,7g)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의 제2평면부(73b)가 보강판(7f,7g)의 표면에 접촉하기까지의 제1 회동각도가 -15 ~ 165°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회동각도가 0°의 경우에는, 제1틀체(15)에 제2틀체(16)가 밀착하여 이 이상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가 마이너스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제1 회동범위가 0 ~ 165°에 규제되게 되어있다.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15°는 거의 -15°가 포함되며 165°에는 거의 165가 포함된다.
제1 회동제어수단(8)을 구성하는 제1부세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88)이 사용되고 있다. 또, 제1 회동제어수단(8)을 구성하는 제1캠볼록부는 제1캠부(81)에 4개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제1A캠오목부(89a)가 제1캠부(81)의 주위방향에 180°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나머지의 2개 제1B캠오목부(89b)가 제1캠부(81)의 주위방향에 180°간격으로 있는 제1A캠오목부(89a)와 그 주위방향으로 100°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A캠오목부(89a)는 제1 회동각도가 0°때보다, 예를 들면 -10°때에 제1캠볼록부(87)와 완전하게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제1 회동각도가 0°및 165°때에는 제1캠볼록부(87)가 제1A캠오목부(89a)와 완전하게 계합하여 있지않고, 계합도중에 제1캠볼록부(87)가 제1A캠오목부(89a)의 경사면의 도중에 위치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또, 제1B캠오목부(89b)는 제1 회동각도가 90°때에 제1캠볼록부(87)와 계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캠부(81)의 제1A캠오목부(89a) 및 제1B캠오목부(89b) 이외의 면이 평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제1A캠오목부(89a) 및 제1B캠오목부(89b)는 제1캠부(81)의 평면에 제1캠볼록부(87)의 선단부가 접촉했을 때, 예를 들면 제1 회동범위가 10 ~ 80°및 100 ~ 150°때에, 마찰이 발생하여 나사홈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프리스톱 상태로 된 제1 회동범위는 10 ~ 80°및 100 ~ 150°로 한정되지 않고, 제1A캠오목부(89a) 및 제1B캠오목부(89b)의 형상을 바꾸는 등 하여 소망한 각도로 설정가능하다.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를 구성하는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는 예를 들면, 제2샤프트(6)의 플랜지부(6a)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이으로 있는 제3보강판(7g)의 측면으로 접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U자 모양의 2 개의 제1평면부(93a), 제2평면부(93b)는 서로 거의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B 회동범위규제부는 제3보강판(7g)이다. 이것에 의해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일방의 제1평면부(93a)가 보강판(7g)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타방의 제2평면부(93b)가 제3보강판(7g)의 측면에 접촉할 때까지의 0 ~ 180°의 제2 회동범위에서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의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동하는 범위가 규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덧붙여,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에 의해서 제2 회동범위를 0 ~ 180°의 범위에 규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2개의 제1평면부(93a), 제2평면부(93b)의 서로 대향하는 각도를 바꾸는 등 하고, 임의의 범위에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 회동제어수단(60)을 구성하는 제2캠볼록부(68) 및 제2캠오목부(69)는 각각 제2캠체(63) 및 제2캠부(62)에, 예를 들면 그 주위방향으로 180°간격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2캠볼록부(68) 및 제2캠오목부(69)는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가 0 ~ 180°의 제2 회동범위에서 회동하는 경우에는, 제2 회동각도가 0°와 180°에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그 위치에서 보지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10 ~ 170°의 제2 회동범위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프리스톱 상태로 되기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캠볼록부(68)는 단면, 거의 사다리꼴 형상에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캠오목부(69) 이외의 제2캠부(62)의 캠면(62a)이 평면에 형성되어 이들 제2캠볼록부(68)의 돌출면(68a)와 제2캠부(62)의 캠면(62a)이 10 ~ 170°의 제2 회동범위에서 서로 면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므로 나사홈 되도록 형 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홈나사홈위는 10 ~ 170°로 한정되지 않고, 제2캠오목부(69)의 형상을 바꾸는 등 하여 소망한 각도로 설정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100) 및 전자기기(14)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틀체(15)와 제2틀체(16)가 서로 중합한 닫힌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1틀체(15)의 조작부(17)를 가지는 상면과 제2틀체(16)의 디스플레이부(18)를 가지는 면이 밀착한 상태에, 이 닫힌 상태 때 제1 회동각도가 0°로 압축스프링(88)의 탄력에 의해 제1캠볼록부(87)와 제1A캠오목부(89a)가 계합함과 동시에, 제2 회동각도가 0°로 압축스프링(66)의 탄력에 의해 제2캠볼록부(68)와 제2캠오목부(69)가 계합하고 있으므로, 제1틀체(15)와 제2틀체(16)가 닫힌 상태에 보지되고 있다(도 6(a) 참조).
이 닫힌 상태 때, 제1캠볼록부(87)와 제1A캠오목부(89a)가 계합하고 있지만, 그 계합이 완전(거의 완전을 포함)히 계합된 상태는 아니고, 제1캠볼록부(87)의 선단부가 제1A캠오목부(89a)의 경사면의 도중에 위치된 상태로 있다. 이 때문에 제1틀체(15)는 제2틀체(16)와 서로 중합하기 위한 압축스프링(88)의 탄력에 의해 부세 되므로, 제1틀체(15)와 제2틀체(16)가 덜컹거림 없이 닫힌 상태에 보지되어 있다.
이 닫힌 상태의 전자기기(14)를 제2틀체(16)를 열어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열린 방향(제1틀체(15)에서 제2틀체(16)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의 제1평면부(73a)가 보강판(7f,7g)의 표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의 반원부(73c)가 보강판(7f,7g)의 표면을 접접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가 90°회전하고(도 6(b) 및 (c) 참조), 제1캠볼록부(87)와 제1B캠오목부(89b)가 계합하고,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가 90°열린 제1A 열린 상태에 보지된다. 이 제1A 열린 상태에서는 조작부(17)가 조작가능하게 노출하고 있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8)가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게 노출하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8)를 보면서 조작부(17)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1A 열린 상태에서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회전시켜 제1 회동각도가 165°가 되면(도 6(d) 및 (e) 참조),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의 제2평면부(73b)가 보강판(7f,7g)의 표면에 접촉하여 그 회전이 정지함과 동시에, 제1캠볼록부(87)와 제1A캠오목부(89a)가 계합하므로 제1틀체(15)와 제2틀체(16)가 이 제2 열린 상태에 보지된다. 이 제2 열린 상태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부(18)를 보면서 조작부(17)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2 열린 상태 때, 제1캠볼록부(87)와 제1A캠오목부(89a)가 계합하고 있지만 그 계합이 완전(거의 완전을 포함)히 계합된 상태는 아니고, 제1캠볼록부(87)의 선단부가 제1A캠오목부(89a)의 경사면의 도중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 때문에, 제1틀체(15)는 제2틀체(16)와 중합하도록 압축스프링(88)의 탄력에 의해 부세되므로, 제1틀체(15)와 제2틀체(16)가 덜컹거림 없이 제2 열린 상태에 보지되어 있다.
또,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가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제1 회동각도가 10 ~ 80°및 100 ~ 150°의 범위 때에는 제1캠볼록부(87)가 제1A캠오목부(89a) 또는 제1B캠오목부(89b)에서 이탈하며, 제1캠볼록부(87)의 선단부가 제1캠부(81)의 평면에 접촉하면서 그의 면상을 접동한다.이것에 의해 제1틀체(15)와 제2틀체(16)와의 사이에 마찰 토오크가 발생하므로 제2틀체(16)의 회전을 멈추면, 그 마찰 토오크에 의해서 제2틀체(16)가 그 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10 ~ 80°및 100 ~ 150°의 제1 회동범위의 소망한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열린 상태 및 제1A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닫을 방향(제1틀체(15)가 제2틀체(1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틀체(15)와 제2틀체(16)가 서로 중합한 닫힌 상태에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켜 열었을 때, 예를 들면 제1A 열린 상태 때,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제1평면부(93a)가 제3보강판(7g(의 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있으므로,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반원부(93c)가 제3보강판(7g)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A 열린 상태에서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회전은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의 제2평면부(93b)가 제3보강판(7g)의 측면에 접촉하기까지의 0 ~ 180°의 제2 회동범위에서 행한다. 이 회전을 90°행하면 중간상태가 된다(도 7(a) 및 (b) 참조). 게다가, 회전을 90°행하면 제1A 열린 상태와 제2틀체(16)의 방향이 다른 제1B 열린 상태가 되고(도 7(c) 및 (d) 참조), 이 때 제2캠볼록 부(68)와 제2캠오목부(69)가 계합하고 있으므로 제1B 열린 상태에 제1틀체(15)와 제2틀체(16)을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가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제2 회동범위가 10 ~ 170°때에는 제2캠볼록부(65)가 제2캠오목부(64)에서 이탈하여 제2캠볼록부(68)의 돌출면(68a)이 제2캠부(62)의 캠면(62a)에 면 접촉하면서 그의 면상을 접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틀체(15)와 제2틀체(16)와의 사이에 마찰 토오크가 발생하므로, 제2틀체(16)의 회전을 멈추면 그 마찰 토오크에 의해서 제2틀체(16)가 그 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10 ~ 170°의 제2 회동범위의 소망한 각도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B 열린 상태에 있어서도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닫을 방향에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8)를 상면으로 한 닫힌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제2틀체(16)를 닫은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8)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틀체(15)를 일방의 손으로 갖고 고정한 상태에서 더욱일방의 손으로 제2틀체(16)를 붙잡고,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켜 열고, 그 위에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키는 것에서 제2틀체(16)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2틀체(16)를 보기 쉬운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1A샤프트(51) 및 제1B샤 프트(52)를 축으로 회전시켜 열고, 그 위에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특히 제1틀체(15)에 대하여 제2틀체(16)를 제2샤프트(6)를 축으로 회전시킬 때, 제2 회동기구의 제2샤프트(6)가 지지브래킷(40)의 지지판부(41)에서 빠지려고 하는 힘이 지지판부(41)에 작용한다. 즉, 지지판부(41)에는 끌어당긴 하중이 걸려 지지판부(41)는 양측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리려고 하지만, 지지판부(41)의 내면에 보강판(7f,7g)이 취부되어 있으므로 지지판부(41)가 구부러지는 것이 없다. 따라서, 지지판부(41)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지지브래킷(40)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지판부(41)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지지브래킷(40)은 기판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기 위해서 지지편부(42a,42b)의 두께도 두꺼워져 지지브래킷(40)의 길이가 길어지지만, 지지판부(41)의 내면에 보강판(7f,7g)을 취부하는 것으로 지지편부(42a,42b)의 두께가 두껍게 되지 않으므로 지지브래킷(40)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지지판부(41)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여 지지브래킷(40)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결과 제2의 2축힌지(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70)은 제1A샤프트(51)의 플랜지부(51a) 및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2a)의 외주에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를 설치하여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를 각각 2개의 보강판(7f,7g)의 표면에 접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할 때에 제1A 회동범위규제부(73)가 계합하는 개소가 보강판(7f,7g)에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이 직접 서로 관계되는 것은 아니다. 즉, 2개의 제1A샤프트(51), 제1B샤프트(52)의 플랜지부(51a, 52a)를 스토퍼로 하여 사용하고, 그 위에 이 스토퍼를 각각 보강판(7f,7g)의 표면에 접접(계합)시킨 것으로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면을 크게 잡힘과 동시에, 보강판(7a,7b)을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2의 2축힌지(100)만으로 충분히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틀체(15)나 제2틀체(16) 또는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에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결과 제2의 2축힌지(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9)은 제2샤프트(6)의 플랜지부(6a)의 외주에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를 설치하여 이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를 제3보강판(7g)의 측면으로 당접(계합)시키도록 한 것으로,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할 때에 제2A 회동범위규제부(93)가 당접하는 개소가 제3보강판(7g)에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이 직접 서로 관계되는 것이 아니므로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에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지지브래킷(40) 등의 브래킷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그 결과 보다 제2의 2축힌지(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2부세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66)을 사용하는 것에서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을 연결하는 부분의 외경, 즉 슬리브(67)의 외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부세수단으로서 그릇용수철을 사용하면 그릇용수철은 외경을 작게하고 휘어지지 않는 용수철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과의 연결부분의 외경이 커져, 결과적으로 대형으로 된다. 이것 에 있어서, 압축스프링(66)은 외경을 작게 하여도 용수철로서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부세력의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제2부세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66)을 사용하는 것에서 지지브래킷(40)과 취부브래킷(31)을 연결하는 부분의 외경, 즉 슬리브(67)의 외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제2의 2축힌지(100)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부세 수단으로서 압축스프링(88)을 사용하는 것에서 제2베이스브래킷(22)과 지지브래킷(40)을 연결하는 부분의 외경, 즉 슬리브(84)의 외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제2의 2축힌지(10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틀체(15)와 제2틀체(16)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예를 들면 FPC는 제1A샤프트(51) 내를 통하여 지지브래킷(40)의 지지편부(42a,42b) 사이에 이르고, 거기에서 제2샤프트(6) 내를 지나므로 배선을 용이하게 행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2축힌지는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지지판부의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하므로, 부품점수를 줄이고 원가절감을 도모한 다음, 지지판부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을 설치하여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취부된 보강판으로 되므로, 제1 회동범위를 충분히 규제하여 얻는 것이 가능하 것에서, 특히 비디오카메라, 디지털카메라 등의 카메라 기기나 휴대전화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일례로서의 카메라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면으로,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 (b)는 제1샤프트를 축으로 180°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 (c)는 (b)의 상태에서 더욱더 제2샤프트를 축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a) 중의 A-A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제1A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c)는 제1A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제2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e)는 제2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1A 열린 상태에서 제2샤프트를 축으로 90°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제1A 열린 상태에서 제2샤프트를 축으로 90°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제1A 열린 상태에서 제2샤프트를 축으로 180°회전시킨 제1B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d)는 제1A 열린 상태에서 제2샤프트를 축으로 180°회전시킨 제1B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2축힌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12)

  1. 기판부와 이 기판부 보다 솟아있는 축지편부를 갖고,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일방의 틀체에 상기 기판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의 양단측 보다 절곡된 한 쌍의 지지편부를 갖고, 이 각 지지편부를 상기 각 축지편부에 제1샤프트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제2샤프트를 통하여 그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취부되게 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취부부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는 그 굴곡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각 지지편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각 축지편부의 적어도 일방의 것에 대하여, 제1 회동제어수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이 제1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축지편부에 계합된 상태에서 취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편부에 삽입된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지지편부에 설치된 제1캠부와 상기 제1샤프트의 축의 외주에 계합하여 상기 제1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1캠부에 면 접촉하는 제1캠체와, 이 제1캠체를 상기 제1캠부와 면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1부세수단과, 상기 제1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1캠부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1캠볼록부와, 상기 제1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1캠부와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된 상기 제1캠볼록부와 계합한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는 제1캠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제2 회동제어수단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이 제2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취부부재에 계합된 상태로 취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부에 삽입된 상기 취부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설치된 제2캠부와 상기 제2샤프트의 축의 외주에 계합하여 상기 제2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제2캠부에 면 접촉하는 제2캠체와 이 제2캠체를 상기 제2캠부와 면 접촉하도록 부세하는 제2부세수단과, 상기 제2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부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2캠볼록부와, 상기 제2캠체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부와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캠볼록부와 계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취부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는 제2캠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는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1B 회동범위규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으로 형성해서 되고, 상기 제1B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표면에 접접하는 상기 보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는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회동범위규제수단은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된 제2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2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취부부재의 제2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제2B 회동범위규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된 제2 회동범위규제볼록 부이고, 상기 제2B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보강판에 설치된 제2 회동범위규제돌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으로 형성해서 되고, 상기 제2B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제2A 회동범위규제부가 측면으로 접접하는 상기 보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9. 기판부와 이 기판부 보다 솟아있는 축지편부를 갖고,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어느 한쪽 일방의 틀체에 상기 기판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지지판부와 이 지지판부의 양단측 보다 절곡한 한 쌍의 지지편부를 갖고, 이 각 지지편부를 상기 각 축지편부에 제1샤프트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판부에 제2샤프트를 통하여 그 지지부재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쪽이든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취부부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이 제1 회동범위규제수단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된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이 제1A 회동범위규제부와 계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제1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에 취부된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각 지지편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제1샤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각 제1샤프트에 각각 설치되고, 이 각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취부된 상기 보강판의 표면에 각각 접접하여 상기 제1 회동범위가 규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각 제1샤프트에 설치된 플랜지부의 외주를 거의 U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고, 이 각 제1A 회동범위규제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부에 취부된 상기 보강판의 표면에 각각 접접하여 상기 제1 회동범위가 규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힌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축힌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80122294A 2007-12-21 2008-12-04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073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9782 2007-12-21
JPJP-P-2007-329782 2007-12-21
JP2008084867A JP5112925B2 (ja) 2007-12-21 2008-03-27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08-084867 200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115A true KR20090068115A (ko) 2009-06-25
KR101073766B1 KR101073766B1 (ko) 2011-10-13

Family

ID=4080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94A KR101073766B1 (ko) 2007-12-21 2008-12-04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12925B2 (ko)
KR (1) KR101073766B1 (ko)
CN (1) CN101463863A (ko)
TW (1) TWI398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52390B (zh) * 2009-10-30 2013-08-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机构
CN102094894B (zh) * 2009-12-14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轴铰链及使用该双轴铰链的照明设备
JP5503401B2 (ja) * 2010-05-10 2014-05-28 株式会社山本精密 筐体用回動機構
CN102954097B (zh) * 2011-08-26 2014-12-17 环旭电子股份有限公司 无段式角度调整结构
CN102865290B (zh) * 2012-09-05 2016-04-27 北京泛华恒兴科技有限公司 一种部件连接旋转装置
JP6561390B2 (ja) * 2014-09-05 2019-08-21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二軸ヒンジ
CN104298316A (zh) * 2014-10-08 2015-01-21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车用笔记本电脑中的旋转装置
CN104298314A (zh) * 2014-10-08 2015-01-21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带有旋转装置的车用笔记本电脑
KR101891256B1 (ko) * 2017-06-26 2018-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후드
JP7043463B2 (ja) * 2019-07-09 2022-03-29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
JP2022072199A (ja) * 2020-10-29 2022-05-1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522A (ja) * 2001-12-03 2003-06-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ンジ装置
JP4105119B2 (ja) * 2004-03-31 2008-06-25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337301A (ja) * 2004-05-24 2005-12-08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20198A (ja) * 2005-02-09 2006-08-24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655680B2 (ja) * 2005-03-01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2軸ヒンジ機構とこれを用いた携帯型通信端末
JP4740627B2 (ja) * 2005-03-31 2011-08-03 加藤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二軸ヒンジ装置
JP4546888B2 (ja) * 2005-07-08 2010-09-2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177829A (ja) * 2005-12-27 2007-07-12 Mitsubishi Steel Mfg Co Ltd 回転規制機能付2軸ヒンジ装置
KR100718663B1 (ko) 2006-05-09 2007-05-18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로터리 힌지장치
TWM308615U (en) * 2006-10-03 2007-03-21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less wearing 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3863A (zh) 2009-06-24
KR101073766B1 (ko) 2011-10-13
JP5112925B2 (ja) 2013-01-09
TW200930907A (en) 2009-07-16
TWI398584B (zh) 2013-06-11
JP2009168242A (ja)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766B1 (ko)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US6618903B2 (en) Hinge device
EP183808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riaxial Hinge Structure
US7158816B1 (en) Foldable and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5331B1 (ko) 회전규제기구 부착 2축 힌지
US766795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ouble-axis hinge and locking spring
JP4113092B2 (ja) 二軸ヒンジの回転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
US8429796B2 (en) Tilt hinge
JP2007177829A (ja) 回転規制機能付2軸ヒンジ装置
EP1820980A1 (en) Excessive rotation preventing structure for rotation supporting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US7881758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tating display housing
WO2005121572A1 (j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電子機器、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8092264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2012159095A5 (ko)
JP2012159095A (ja)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4112441A1 (ja) 開閉装置
JP2004232748A (ja) 小型開閉装置
KR20080107267A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JP2008089049A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備える機器
KR101432376B1 (ko) 2축힌지 및 이 2축힌지를 구비한 전자기기
JP4337492B2 (ja) ヒンジ装置
JP4539632B2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機器
WO2006073026A1 (ja) ヒンジ装置
JP2006070927A (ja) ヒンジ機構
JP4824071B2 (ja) 携帯端末機の回転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デュアル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