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56B1 - 포터블 후드 - Google Patents

포터블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56B1
KR101891256B1 KR1020170080673A KR20170080673A KR101891256B1 KR 101891256 B1 KR101891256 B1 KR 101891256B1 KR 1020170080673 A KR1020170080673 A KR 1020170080673A KR 20170080673 A KR20170080673 A KR 20170080673A KR 101891256 B1 KR101891256 B1 KR 101891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inge
coupled
shaft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류종관
전종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시 상기 헤드를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포터블 후드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바디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와, 헤드에 마운팅되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혀지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 힌지와,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윙 힌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힌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터블 후드{PORTABLE HOOD}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포터블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 발생되는 냄새, 수증기 또는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가스렌지와 같은 조리기구는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스렌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후드도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식탁이나 거실에 휴대용 버너를 두고 고기를 굽는다거나, 캠핑을 가서 화로에 고기를 굽는 경우, 고정형 후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34156호에서는 휴대용 환풍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34156호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환풍 장치는, 몸체에 환풍호스를 연결하여 연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조건 및 공간 제약이 발생되고, 상기 환풍호스로 인해 휴대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8640에서는 이동식 배연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8640에서 개시하는 이동식 배연장치는, 배기관을 실외와 연결해야 하며, 흡입관 및 배기관의 긴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적용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동식 배연장치의 휴대를 위해 분해, 분해 후 가방에 수납, 이동,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후드를, 바디와, 상기 바디에 접히고 상기 바디에서 펼쳐지는 헤드로 구성하여, 접힘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휴대성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다만, 바람이 불 때 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 먼지 및 냄새는 상측으로 곧게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헤드를 바디로부터 펼쳤을 시 유증기, 먼지 및 냄새가 올라가는 방향으로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물론, 바디의 위치를 조절하여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바디는 헤드가 전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헤드의 위치가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시 상기 헤드를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상기 헤드를 들어 올려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는 조절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3 과제는, 상기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를 들어 올릴 때, 헤드가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터블 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바디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와, 헤드에 마운팅되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혀지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 힌지와,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윙 힌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힌지를 포함한다.
제2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에는 원형의 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윙 힌지는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 및 상기 스윙 힌지의 하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홈이 형성된다.
제3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후드는, 상기 스윙 힌지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 삽입홀은, 상기 축부의 외경과 대응하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축부 삽입홀과, 상기 제1 축부 삽입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축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축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축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축부 삽입홀 내에 배치되는 제1 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스윙 힌지가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틸팅 힌지가 상기 스윙 힌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헤드를 들어 올릴 때 상기 헤드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를 적은 힘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헤드를 들어 올리면 회전방지 돌기가 회전방지 홈에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스윙 힌지가 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헤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헤드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 헤드를 놓으면, 헤드의 자중에 의해 스윙 힌지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방지 돌기가 상기 회전방지 홈에 다시 삽입되어 상기 스윙 힌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헤드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헤드를 들어 올리면 상기 스윙 힌지는 상기 스윙 힌지 중 제2 축부 삽입홀의 바닥면이 제1 링에 접촉될 때까지만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를 들어 올릴 때 상기 헤드가 상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헤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바디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헤드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터블 후드의 접혀지는 과정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헤드 마운팅 브래킷이 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윙 힌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베이스 및 스윙 힌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15는 헤드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팅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헤드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헤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1)는, 바디(100)와, 바디(10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토출하는 헤드(200)와, 바디(100) 및 헤드(200)를 연결하는 커넥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식탁 또는 지면과 같이 평평한 곳에 놓여질 수 있다. 바디(100)는 헤드(200) 및 커넥터(300)를 지지할 수 있다.
헤드(200)는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때 바디(100) 위에 안착되고,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가 헤드(200) 및 커넥터(300)의 중량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디(100)는 헤드(200) 및 커넥터(300)의 보다 높은 중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후드(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일 때 바디(100)가 헤드(200) 및 커넥터(300)의 중량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디(100)의 바닥면에는 흡착댐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착댐퍼는 하측이 개구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바디(100)가 놓여지는 대상에 공기압에 의해 흡착될 수 있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헤드(200)를 작동시키는 전력이 충전된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100)의 후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포트(11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300)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헤드(200)로 전달하는 전기적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은 상단의 직경이 크고 하단의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은 상단이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하단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은 상단 및 하단 사이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의 외형은 상단의 직경이 작고 하단의 직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의 외형은 상단이 바디(100)의 외형의 하단의 직경인 제2 직경보다 작은 제3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하단은 바디(100)의 외형의 상단의 직경과 같은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헤드(200)의 외형은 상단 및 하단 사이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의 상단의 직경과, 헤드(200)의 외형의 하단의 직경이 동일한 제1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혔을 때 포터블 후드(1)의 외형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게 됨으로써, 바디(100) 및 헤드(200)의 이물감이 저하될 수 있다.
바디(100)의 외형의 하단의 직경이, 헤드(200)의 외형의 상단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혔을 때 포터블 후드(1)는 쉽게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바디(100)의 외주면에는 바디 손잡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손잡이부(120)는 바디(100)의 외주면 중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손잡이부(120)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에서 바디 손잡이부(120)에 손가락을 넣은 후 포터블 후드(1)를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디(100)의 상측면에는 커넥터 수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홈(130)은 바디(100)의 상측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바디(100)의 상측면 중 센터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일 때 커넥터(300)는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접힌 상태일 때 커넥터(30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됨으로써, 포터블 후드(1)의 외부에서 볼 때 커넥터(300)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바디(100)에는 래치(140)가 설치될 수 있다. 래치(140)는 커넥터 수용홈(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00)에는 걸림편(330)이 결합될 수 있다. 걸림편(330)은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되어 커넥터(30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되면 래치(140)에 걸림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헤드(200)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상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헤드(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는 에어 가이드(220)와, 에어 가이드(220) 내에 배치되는 송풍기(230)와,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고 에어 가이드(220)의 상단 및 하우징(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송풍기(230)가 송풍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디퓨져(240)와, 디퓨져(240)의 상단에 결합되는 토출그릴(250)과, 하우징(210) 내에 배치되고 에어 가이드(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필터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200)는 송풍기(230)가 작동되면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상측면 및 하측면이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외주면에는 헤드 손잡이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손잡이부(211)는 하우징(210)의 외주면 중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손잡이부(211)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헤드 손잡이부(211)에 손가락을 넣은 후 헤드(200)를 밀어서 헤드(200)를 바디(100) 위에 안착시켜 포터블 후드(1)를 접을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송풍기(230)가 작동될 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디퓨져(240)로 안내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흡입된 공기가 디퓨져(240)로 이동되는 흡입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유닛(260)은 에어 가이드(22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질 및 냄새를 걸러낼 수 있다. 필터유닛(260)은 에어 가이드(22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유증기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 필터(261)와, 제1 필터(26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필터(261)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냄새를 걸러내는 제2 필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261) 및 제2 필터(26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261) 및 제2 필터(262)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측 내부에 필터유닛(260)이 장착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의 내부에는 필터유닛(260)보다 상측에 송풍기(230)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는 내측에 필터유닛(260)이 장착되는 필터유닛 장착부(221)와, 필터유닛 장착부(2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송풍기(230)를 둘러싸는 쉬라우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부(222)는 필터유닛(26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쉬라우드부(223)와,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쉬라우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의 외경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확장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의 외경은 제1 쉬라우드부(22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하로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의 내주면 및 에어 가이드(220)의 외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빈 공간(S)은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헤드 손잡이부(211)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면은 수평판(22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는 수평판(225)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는 수평판(225)에서 연장되는 하단이 라운드부(226)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는 내경이 제1 필터(261)의 직경 및 제2 필터(2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경이 제1 필터(261)의 직경 및 제2 필터(2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필터(261) 및 제2 필터(262)를 통과하여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는 제1 쉬라우드부(223)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경이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 쉬라우드부(223)를 통과하여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빠르게 토출될 수 있다.
필터유닛(260)에는 일측에 제1 마그넷(263)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260)에는 타측에 체결후크(2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쉬라우드부(223)에는 제1 마그넷(263)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 마그넷(227)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260)을 필터유닛 장착부(221)에 장착할 시 제1 마그넷(263) 및 제2 마그넷(227)의 인력(붙는 힘)에 의해, 필터유닛(26)의 일측은 필터유닛 장착부(221)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유닛 장착부(221)의 내주면에는 필터유닛(260)에 형성된 체결후크(264)가 삽입되는 후크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유닛(260) 중 제1 마그넷(263)이 배치된 일측을 아래로 당겨서 필터유닛(260)의 일측을 탈거한 후, 체결후크(264)가 후크홈(228)에서 빠지도록 필터유닛(260)을 당겨서 필터유닛(260)의 타측을 탈거할 수 있다.
필터유닛 장착부(221)의 외주면에는 제1 결합리브(229)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210)의 내주면에는 제1 결합리브(229)와 결합되는 제2 결합리브(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필터유닛(260)을 에어 가이드(220)에서 탈거할 시, 에어 가이드(220)에 전해지는 사용자의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인 필터유닛 장착부(221)가 제1 결합리브(229) 및 제2 결합리브(212)를 통해 하우징(110)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필터유닛(260)을 탈거할 시 에어 가이드(220)에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에어 가이드(220)는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헤드(200)는 필터유닛 장착부(221) 및 하우징(210) 사이의 하측이 개구될 수 있고, 필터유닛 장착부(221) 및 하우징(210) 사이의 개구된 하측은 조명유닛(27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조명유닛(270)은 빛을 생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지면 점등될 수 있다. 조명유닛(270)은 헤드(200)의 하측면에 둘레방향으로 장착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230)는 모터(231)와, 모터(23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팬(23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1)는 회전축이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231)는 제1 쉬라우드부(22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31)는 모터마운트(235)를 통해 에어 가이드(22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마운트(235)는 제1 쉬라우드부(223) 내에 배치되어 모터(231)를 지지할 있고, 양단이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면인 수평판(225)의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마운트(235)는 양단이 수평판(225)의 하측면에 접촉되게 절곡될 수 있다.
팬(232)은 회전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회전축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축류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232)은 그 자신의 센터를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의 허브(233)와, 허브(233)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23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233)는 센터가 모터(23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231)가 구동되는 경우 모터(231)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블레이드(234)는 하단이 제1 쉬라우드부(223)의 상측면인 수평판(225)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234)는 하부가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가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234)의 하부가 제1 쉬라우드부(223)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제2 쉬라우드부(224)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팬소음을 낮출 수 있다.
디퓨져(240)는 하단이 에어 가이드(2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는 하단이 제2 쉬라우드부(224)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의 하단에는 고리형의 기밀유지부(2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기밀유지부(241)는 디퓨져(240)의 외주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220)의 상단은 기밀유지부(241)의 내부로 삽입되어 디퓨져(2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쉬라우드부(224)의 상단은 기밀유지부(241)의 내부로 삽입되어 디퓨져(24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는 송풍기(23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져(240)는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될 수 있다. 디퓨져(240)가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됨으로써, 팬(232)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디퓨져(240)의 상단 내경은 제1 쉬라우드부(223)의 하단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240)의 상단은 하우징(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240)의 상단은 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상단 내주면에는 디퓨져(240)의 상단이 안착되는 안착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240)는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단턱(242)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그릴(250)은 디퓨져(240)의 내주면에 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다. 토출그릴(250)은 디퓨져(240)에 형성된 단턱(242)에 안착될 수 있다. 토출그릴(250)은 복수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300)는 하단이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00)는 하단이 바디(100)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13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헤드(200)의 후방부에 형성된 결합부(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홈(130)은 바디(100)의 상측면 중 센터를 전후로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214)는 헤드(200)의 하측면 중 센터를 지나는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바디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에서 헤드 및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300)는 2개의 링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300)는 바디(10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커넥터(310)와, 바디(100)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은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하단이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히고 바디(100)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하단이 제3 힌지축(630)을 통해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제4 힌지축(640)을 통해 헤드(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헤드(200)가 바디(100)에 접히고 바디(100)로부터 펼쳐질 때, 헤드(20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힌지축(611, 612)과 제2 힌지축(621, 622)과 제3 힌지축(630)과 제4 힌지축(640)은 서로 상이한 위치의 힌지축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서로 상이한 위치의 제1 힌지축(611, 612) 및 제3 힌지축(630)을 통해 바디(100)에 연결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졌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바디(100)에 대해 회전되지 않고 헤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서로 상이한 위치의 제2 힌지축(621, 622) 및 제4 힌지축(640)을 통해 헤드(200)에 연결됨으로써,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졌을 시 헤드(200)는 메인 커넥터(310) 보조 커넥터(320)에 대해 회전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사용자가 헤드(200)를 바디(100) 위에 안착시키거나 바디(100)로부터 펼쳐기 위해 헤드(200)를 밀거나 당길 때, 헤드(200)에 가하는 사용자의 힘의 방향에 상관없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헤드(200)는 보조 커넥터(320)로 인해 바디(100) 위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길이방향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후방측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커넥터(310)는 제1 사이드부(311)와, 제1 사이드부(311)와 대향하는 제2 사이드부(312)와,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의 전방측을 연결하는 연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메인 커넥터(310)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사이드부(312)는 메인 커넥터(31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부(313)는 메인 커넥터(310)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가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커넥터 수용홈(130)의 좌우폭을 메인 커넥터(310)의 좌우폭에 맞춰 설계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시 보조 커넥터(320)가 커넥터 수용홈(1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00)에는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이 마운팅될 수 있고, 헤드(200)에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이 마운팅될 수 있다.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은 커넥터 수용홈(130)의 전단부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고,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은 헤드(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14)에 상부가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결합부(214)는 하우징(210)의 후방부가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사각형상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장착공간 내에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의 상단부가 수용된 후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의 상단은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의 하단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 제3 힌지축(6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보조 커넥터(320)의 상단은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 제4 힌지축(64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는 좌측에 제1 체결돌기(411)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제2 체결돌기(4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는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커넥터 수용홈(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는 좌측에 제3 체결돌기(511)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에 제4 체결돌기(5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헤드(200)의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된 상태일 때,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바디(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 사이에는 메인 탄성부재(45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탄성부재(4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메인 커넥터(310)에 탄지될 수 있고, 타단은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에 탄지될 수 있다.
메인 탄성부재(450)는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지는 방향으로 메인 커넥터(3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3 체결돌기(511)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하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3 체결돌기(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상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311)는 하단이 제1 체결돌기(4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3 체결돌기(5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312)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312)는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하단이, 제2 사이드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제2 힌지축(621, 622)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상단이, 제2 사이드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사이드부(312)는 하단이 제2 체결돌기(4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4 체결돌기(5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제3 힌지축(630)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힌지축(640)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커넥터(320)는 하단이 제2 체결돌기(4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4 체결돌기(5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는 제1 축결합편(314)과 제2 축결합편(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 및 2 축결합편(315)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에서 제1 사이드부(311)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사이드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사이드부(311)와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이 제1 사이드부(311)와 별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축결합편(314)은 일부가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 부분이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된 후,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 및 연결부(313)의 하단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축결합편(314)은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에서 제2 사이드부(3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313)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1 힌지축(611, 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2 사이드부(3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사이드부(312)와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이 제2 사이드부(312)와 별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축결합편(315)은 일부가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직각으로 꺾인 평판형 부분이 제1 사이드부(311) 및 제2 사이드부(312) 사이에 배치된 후,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 및 연결부(313)의 하단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축결합편(315)은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인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에 제1 축결합편(314) 및 제2 축결합편(315)이 결합되지 않고, 제1 사이드부(311)의 하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제2 사이드부(312)의 하단이 연결부(313)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메인 커넥터(310)의 무게로 인해 메인 커넥터(310)를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이 곤란해질 수 있다. 특히, 바디 마운팅 브래킷(400)이 커넥터 수용홈(13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커넥터 수용홈(130)에 수용된 상태일 때,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을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은 더욱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에는 제1 축결합편(314) 및 제2 축결합편(315)이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제1 축결합편(314)을 제1 체결돌기(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축결합편(315)을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후, 제1 축결합편(314) 및 제2 축결합편(315)을 메인 커넥터(310)에 결합함으로써, 메인 커넥터(310)의 하단을 제1 체결돌기(411) 및 제2 체결돌기(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 힌지축(611, 612)은 제1-1 힌지축(611)과 제1-2 힌지축(6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1 힌지축(611) 및 제1-2 힌지축(612)은 서로 이격되고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힌지축(621, 622)은 제2-1 힌지축(621)과 제2-2 힌지축(6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1 힌지축(621) 및 제2-2 힌지축(622)은 서로 이격되고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힌지축(611, 612)이 제1-1 힌지축(611) 및 제1-2 힌지축(612)으로 구성되고, 제2 힌지축(621, 622)이 제2-1 힌지축(621) 및 제2-2 힌지축(622)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 사이드부(311)는 제1-1 힌지축(611)을 통해 제1 체결돌기(411)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1 힌지축(621)을 통해 제3 체결돌기(511)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부(312)는 제1-2 힌지축(612)을 통해 제2 체결돌기(41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2 힌지축(622)을 통해 제4 체결돌기(512)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완전히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터블 후드의 접혀지는 과정에 따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a)도 및 도 9의 (a)도는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도 및 도 9의 (b)도는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되는 도중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c)도 및 도 9의 (c)도는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헤드(200)는 바디(100)로부터 펼쳐지거나 바디(100) 위에 안착될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의 링크구조로 인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펼쳐지거나 바디(100) 위에 안착될 시, 바디(100)의 상측면을 지나는 직선(L1)과 헤드(200)의 하측면을 지나는 직선(L2)은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포터블 후드(1)를 접거나 펼치지기 위해, 헤드(200)를 어느 방향에서 밀거나 당기더라도 헤드(200)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힌지축(630)은 제1 힌지축(611, 612)보다 전방상측에 위치하고, 제4 힌지축(640)은 제2 힌지축(621, 622)보다 전방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의 (a)도 및 도 9의 (a)도를 참조하면,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졌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각각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경사져서 배치되고,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서로 접촉된다. 이 경우, 제1 힌지축(611, 612) 및 제3 힌지축(630)은 제2 힌지축(621, 622) 및 제4 힌지축(640)보다 후방하측에 위치한다. 힌지축들(611, 612, 621, 622, 630, 640)이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고,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졌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가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헤드(200)는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도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헤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8의 (b)도 및 도 9의 (b)도를 참조하면, 헤드(200)가 바디(100) 위에 안착되는 도중에,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각각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경사져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힌지축(611, 612) 및 제3 힌지축(630)은 제2 힌지축(621, 622) 및 제4 힌지축(640)보다 전방하측에 위치한다.
도 8의 (c)도 및 도 9의 (c)도를 참조하면, 헤드(200)가 바디(100)에 완전히 접혔을 시,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는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힌지축(611, 612)은 제2 힌지축(621, 622)과 동일한 높이에서 제2 힌지축(621, 622)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제3 힌지축(630)은 제4 힌지축(640)과 동일한 높이에서 제4 힌지축(64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헤드 마운팅 브래킷이 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윙 힌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베이스 및 스윙 힌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은 베이스(510)와 스윙 힌지(520)와 틸팅 힌지(531, 5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 힌지(520)는 베이스(5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윙 힌지(520)가 베이스(5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이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에 결합되고 헤드(200)에 결합된 상태일 때, 헤드(200)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는 헤드(200)에 결합되고, 스윙 힌지(520)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가 스윙 힌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헤드 마운팅 브래킷(500)이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에 결합되고, 헤드(200)에 결합된 상태일 때, 헤드(200)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메인 커넥터(3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10)는 양측에 각각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는 베이스(510)의 좌측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4 체결돌기(512)는 베이스(510)의 우측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 및 제4 체결돌기(512)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511)는 제2-1 힌지축(621)에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의 제1 사이드부(311)의 상단은 제2-1 힌지축(6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체결돌기(512)는 제2-2 힌지축(6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커넥터(310)의 제2 사이드부(312)의 상단도 제2-2 힌지축(6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4 체결돌기(512)는 제4 힌지축(6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보조 커넥터(320)의 상단은 제4 힌지축(6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2 힌지축(622) 및 제4 힌지축(640)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으므로, 베이스(510)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메인 커넥터(310) 및 보조 커넥터(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상측면에는 중심에 원형의 축부(5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윙 힌지(520)는 베이스(5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축부(5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5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축부(513)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윙 힌지(520)에는 중심에 축부(513)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축부 삽입홀(521)은, 축부(513)의 외경과 대응하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축부 삽입홀(522)과, 제1 축부 삽입홀(5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축부 삽입홀(523)을 포함할 수 있다.
축부(513)의 상단에는 제1 링(524)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524)은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축부(513)의 상단에 스크류(525)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524)은 축부(513)보다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축부 삽입홀(52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524)은 스윙 힌지(520) 중 제2 축부 삽입홀(523)의 바닥면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524)은 스윙 힌지(520) 중 제2 축부 삽입홀(523)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윙 힌지(520)는 축부(513)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200)를 들어 올리면 스윙 힌지(520)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스윙 힌지(520) 중 제2 축부 삽입홀(523)의 바닥면이 제1 링(524)에 접촉되어, 스윙 힌지(520)는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스윙 힌지(520)가 베이스(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윙 힌지(520)가 베이스(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링(524)은 베이스(510) 및 스윙 힌지(520)보다 경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링(524)이 베이스(510) 및 스윙 힌지(520)보다 경질로 형성되는 경우, 스윙 힌지(520) 중 제2 축부 삽입홀(523)의 바닥면이 제1 링(524)에 접촉되면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윙 힌지(520) 중 제2 축부 삽입홀(523)의 바닥면에는 제1 링(524)과 동일한 재질의 제2 링(526)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526)은 제1 링(524)과 동일한 형상인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윙 힌지(520)에는 제2 축부 삽입홀(523)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걸림홈(527)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526)의 외주면에는 걸림홈(527)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28)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528)가 걸림홈(527)에 삽입됨으로써, 제2 링(526)은 스윙 힌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526)은 스윙 힌지(5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시 스윙 힌지(5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 링(526)은 제1 링(524)과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526)은 제1 링(524)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제1 링(524)과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200)를 상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스윙 힌지(520)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링(526)은 제1 링(524)에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상측면에는 회전방지 돌기(514)가 형성될 수 있고, 스윙 힌지(520)의 하측면에는 회전방지 돌기(514)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홈(529)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 돌기(514) 및 회전방지 홈(529)은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 돌기(514) 및 회전방지 홈(529)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회전지 돌기(514)는 스윙 힌지(520)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회전방지 홈(529)은 베이스(51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510)의 상측면 및 스윙 힌지(520)의 하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 돌기(514)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방지 돌기(514)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홈(529)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200)가 바디(100)로부터 완전히 펼쳐진 후, 사용자가 헤드(200)를 상측으로 당기면, 스윙 힌지(52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스윙 힌지(520)가 상측으로 이동시, 회전방지 돌기(514)는 회전방지 홈(529)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스윙 힌지(520)는 축부(51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디(100)를 고정시켜 놓은 채로 헤드(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헤드(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스윙 힌지(520)에는 양측에 각각 지지돌기(520a, 520b)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520a, 520b)는 스윙 힌지(520)의 좌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520a)와, 스윙 힌지(520)의 우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돌기(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520a, 520b)에는 고정축(541, 542)이 결합된다. 고정축(541, 542)은 지지돌기(520a, 520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축(541, 542)은 제1 지지돌기(520a)에 결합되는 제1 고정축(541)과, 제2 지지돌기(520b)에 결합되는 제2 고정축(5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돌기(520a) 및 제2 지지돌기(520b)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축(541)은 제1 지지돌기(520a)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고정축(542)은 제2 지지돌기(520b)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는 고정축(541, 542)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가 고정축(541, 542)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의해, 틸팅 힌지(531, 532)는 스윙 힌지(520)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는 제1 고정축(541)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틸팅 힌지(531)와, 제2 고정축(542)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틸팅 힌지(532)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는 직각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틸팅 힌지(531, 532)는 수평부(531a, 532a)와 수직부(531b, 532b)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531a, 532a)는 수직부(531b, 532b)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벤딩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531b, 532b)는 수평부(531a, 532a)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벤딩되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평부(531a, 532a)는 헤드(200)의 하우징(210)에 형성된 결합부(214) 내로 삽입되어 결합부(214)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531b, 532b)에는 고정축(541, 542)이 관통될 수 있다. 고정축(541, 542)이 수직부(531b, 532b)를 관통한 후 너트(N1, N2)와 체결됨으로써, 틸팅 힌지(531, 532)는 고정축(541, 542)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541, 542)에는 틸팅 제한편(543, 544)이 형성될 수 있다. 틸팅 제한편(543, 544)은 고정축(541, 542)의 외주면에 고정축(541, 5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틸팅 제한편(543, 544)은 틸팅 힌지(531, 532)의 수직부(531b, 532b) 및 지지돌기(520a, 5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 제한편(543, 544)은 제1 고정축(541)에 형성되는 제1 틸팅 제한편(543)과, 제2 고정축(542)에 형성되는 제2 틸팅 제한편(5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제한편(543)은 제1 틸팅 힌지(531)의 수직부(531b) 및 제1 지지돌기(52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틸팅 제한편(544)은 제2 틸팅 힌지(532)의 수직부(532b) 및 제2 지지돌기(5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 제한편(543, 544)은 회전위치 제한홈(545)을 가질 수 있고, 틸팅 힌지(531, 532)에는 회전위치 제한홈(545)에 삽입되는 회전위치 제한돌기(535)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위치 제한홈(545)은 틸팅 제한편(534, 544)의 하단에 하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고, 회전위치 제한돌기(535)는 틸팅 힌지(531, 532)의 수직부(531b, 532b)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다가 수직으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틸팅 힌지(531, 532)는 회전위치 제한돌기(535)가 회전위치 제한홈(545)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틸팅 힌지(531, 532)는 헤드(200)의 하측면을 지나는 직선(L2)에 대해 상측으로 20도까지 회전 가능하게 된다.
틸팅 제한편(543, 544) 및 지지돌기(520a, 520b)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551, 552)이 배치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551, 552)은 고정축(541, 542)이 관통할 수 있다. 리턴 스프링(551, 552)은 틸팅 힌지(531, 532) 및 지지돌기(520a, 520b)에 탄지되어, 틸팅 힌지(531, 532)에 원위치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리턴 스프링(551, 552)은 제1 틸팅 제한편(543) 및 제1 지지돌기(520a)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리턴 스프링(551)과, 제2 틸팅 제한편(544) 및 제2 지지돌기(520b)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리턴 스프링(5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턴 스프링(551)은 제1 틸팅 힌지(531)의 수직부(531b)에 일단이 걸림되고, 제1 지지돌기(520a)에 타단이 걸림되어, 제1 틸팅 힌지(531)에 원위치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리턴 스프링(551)의 일단은 제1 틸팅 힌지(531)의 수직부(531b)에 형성된 홀에 끼움되어 제1 틸팅 힌지(531)의 수직부(531b)에 걸림될 수 있다. 제1 리턴 스프링(551)의 타단은 제1 지지돌기(520a)에 형성된 홀에 끼움되어 제1 지지돌기(520a)에 걸림될 수 있다.
제2 리턴 스프링(552)은 제2 틸팅 힌지(532)의 수직부(532b)에 일단이 걸림되고, 제2 지지돌기(520b)에 타단이 걸림되어, 제2 틸팅 힌지(532)에 원위치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리턴 스프링(552)의 일단은 제2 틸팅 힌지(532)의 수직부(532b)에 형성된 홀에 끼움되어 제2 틸팅 힌지(532)의 수직부(532b)에 걸림될 수 있다. 제2 리턴 스프링(552)의 타단은 제2 지지돌기(520b)에 형성된 홀에 끼움되어 제2 지지돌기(520b)에 걸림될 수 있다.
도 15는 헤드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틸팅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헤드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 헤드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터블 후드(1)는 도 1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200)를 잡고 들어 올리면, 헤드(200)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방이 후방에 비해 높이가 높게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헤드(200)를 후방으로 밀어서 바디(100)에 접을 수 있으며, 이 때 소용되는 사용자의 힘은 헤드(200)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적게 소모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후드(1)는 도 1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헤드(200)가 전방이 후방에 비해 높이가 높게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헤드(200)를 좀 더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린 후, 도 1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헤드(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헤드(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헤드(200)를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스윙 힌지(520)가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회전방지 돌기(514)가 회전방지 홈(529)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스윙 힌지(52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헤드(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윙 힌지(520)가 축부(513)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헤드(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헤드(200)의 위치를 조절한 후 놓으면, 헤드(200)의 자중에 의해 스윙 힌지(520)기 아래로 이동되어서, 회전방지 돌기(514)가 회전방지 홈(529)으로 다시 들어가게 되어, 헤드(200)는 더 이상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헤드(200)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1 : 포터블 후드 100 : 바디
200 : 헤드 300 : 커넥터
500 : 헤드 마운팅 브래킷 510 : 베이스
513 : 축부 514 : 회전방지 돌기
520 : 스윙 힌지 520a : 제1 지지돌기
520b : 제2 지지돌기 521 : 축부 삽입홀
522 : 제1 축부 삽입홀 523 : 제2 축부 삽입홀
524 : 제1 링 526 : 제2 링
527 : 걸림홈 528 : 걸림돌기
529 : 회전방지 홈 531 : 제1 틸팅 힌지
532 : 제2 틸팅 힌지 535 : 회전위치 제한돌기
541 : 제1 고정축 542 : 제2 고정축
543, 544 : 틸팅 제한편 545 : 회전위치 제한홈
551, 552 : 리턴 스프링

Claims (10)

  1. 바디;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외부로 토출하는 헤드;
    헤드에 마운팅되는 헤드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바디 및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을 연결하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에 접혀지고 상기 헤드가 상기 바디로부터 펼쳐질 수 있게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팅 브래킷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 힌지와,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스윙 힌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에는 원형의 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윙 힌지는 상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윙 힌지에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 삽입홀은, 상기 축부의 외경과 대응하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축부 삽입홀과, 상기 제1 축부 삽입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축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축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축부보다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축부 삽입홀 내에 배치되는 제1 링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힌지는 상기 축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 및 상기 스윙 힌지의 하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홈이 형성되는 포터블 후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힌지에는 상기 제2 축부 삽입홀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윙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링과 상하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링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힌지에는 지지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 힌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윙 힌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터블 후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는 회전위치 제한홈을 가지는 틸팅 제한편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힌지에는 상기 회전위치 제한홈에 삽입되는 회전위치 제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 힌지는 상기 회전위치 제한돌기가 상기 회전위치 제한홈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포터블 후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팅 힌지 및 상기 지지돌기에 탄지되어, 상기 틸팅 힌지에 원위치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포터블 후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스윙 힌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스윙 힌지의 타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1 지지돌기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축과, 상기 제2 지지돌기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 고정축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 힌지는, 상기 제1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틸팅 힌지와, 상기 제2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틸팅 힌지를 포함하는 포터블 후드.
KR1020170080673A 2017-06-26 2017-06-26 포터블 후드 KR101891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73A KR101891256B1 (ko) 2017-06-26 2017-06-26 포터블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73A KR101891256B1 (ko) 2017-06-26 2017-06-26 포터블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256B1 true KR101891256B1 (ko) 2018-08-24

Family

ID=6345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73A KR101891256B1 (ko) 2017-06-26 2017-06-26 포터블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061A1 (en) * 2021-01-12 2022-07-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Extracting device for removing air, combination appliance and suction arm
KR20230084683A (ko) 2021-12-06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
KR20230084684A (ko) 2021-12-06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의 제어방법
KR20230084685A (ko) 2021-12-06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7738B2 (en) 2001-01-10 2002-12-24 Yu-Yuan Lin Filter for indoor barbecue
KR200394656Y1 (ko) * 2005-06-24 2005-09-02 배수호 휴대용 집진장치
JP2009168242A (ja) * 2007-12-21 2009-07-30 Kato Electrical Mach Co Ltd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7738B2 (en) 2001-01-10 2002-12-24 Yu-Yuan Lin Filter for indoor barbecue
KR200394656Y1 (ko) * 2005-06-24 2005-09-02 배수호 휴대용 집진장치
JP2009168242A (ja) * 2007-12-21 2009-07-30 Kato Electrical Mach Co Ltd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061A1 (en) * 2021-01-12 2022-07-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Extracting device for removing air, combination appliance and suction arm
WO2022152505A1 (en) * 2021-01-12 2022-07-2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Extracting device for removing air, combination appliance and suction arm
KR20230084683A (ko) 2021-12-06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
KR20230084684A (ko) 2021-12-06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의 제어방법
KR20230084685A (ko) 2021-12-06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256B1 (ko) 포터블 후드
KR101891253B1 (ko) 포터블 후드
CN107461812B (zh) 空气清洁器
US20200078719A1 (en) Air cleaner
KR101647716B1 (ko) 공기청정기
KR101184999B1 (ko)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US9630133B2 (en) Air cleaner
US9175861B2 (en) Cook top with a ventilation system and a blower mount therefor
EP2952240B1 (en) Air cleaner
US11732901B2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80099393A (ko) 포터블 후드
CN111720907A (zh) 空气净化系统
US6820609B2 (en) Low-profile ventilation hood
US20070243819A1 (en) Ceiling Fan
KR20080029523A (ko) 주방용 후드장치
KR101970252B1 (ko) 포터블 후드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KR101891254B1 (ko) 포터블 후드
KR101891255B1 (ko) 포터블 후드
JP3990397B2 (ja) 電気着火式炭火ロースター
JP2009156514A (ja) レンジフード
KR102152770B1 (ko) 이동식 연기 포집기
KR101663512B1 (ko) 공기청정기
KR20100000630U (ko) 이동식 고기구이기용 연기 제거기
CN216814290U (zh) 一种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