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512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512B1
KR101663512B1 KR1020140152980A KR20140152980A KR101663512B1 KR 101663512 B1 KR101663512 B1 KR 101663512B1 KR 1020140152980 A KR1020140152980 A KR 1020140152980A KR 20140152980 A KR20140152980 A KR 20140152980A KR 101663512 B1 KR101663512 B1 KR 10166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unit
air
fil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646A (ko
Inventor
유기봉
이경호
차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5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12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10612231.2A priority patent/CN105546663B/zh
Priority to CN201710383550.XA priority patent/CN107131574B/zh
Priority to CN201710383731.2A priority patent/CN107131575B/zh
Priority to CN201710383734.6A priority patent/CN107143931B/zh
Priority to EP15191217.7A priority patent/EP3012548B1/en
Priority to EP15191219.3A priority patent/EP3015784B1/en
Priority to US14/921,250 priority patent/US9855522B2/en
Priority to US14/921,400 priority patent/US9802145B2/en
Priority to EP15191216.9A priority patent/EP3012547B1/en
Priority to US14/921,287 priority patent/US9713783B2/en
Publication of KR2016005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 용량이 최대화하도록 필터가 기울어지게 장착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유닛 측에서 상기 토출유닛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상기 원통의 중심축과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본체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 용량이 최대화하도록 필터가 기울어지게 장착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고 체취나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공기 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공기청정 용량을 키우면서도 사용이 간편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청정 용량이 최대화하도록 필터가 기울어지게 장착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유닛 측에서 상기 토출유닛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상기 원통의 중심축과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본체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타원형의 필터면을 가지는 필터유닛을 원통 형상의 본체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하고 공기청정 용량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필터유닛이 안착되는 흡입유닛이 본체와 회동가능하여 필터유닛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도 있다.
셋째, 흡입유닛이 본체와 간섭없이 회동하며 본체나 베이스에 닿지 않아 사용성이 높은 장점도 있다.
넷째, 필터유닛이 흡입유닛에 장착된 후 흡입유닛을 닫아도 필터유닛이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결합을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필터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필터유닛 장착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하부 일부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내부 일부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바디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에 대한 일부 구조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상부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베이스(110)와,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120)와, 본체(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0a)가 형성된 흡입유닛(130)과,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흡입구(130a)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0a)가 형성된 토출유닛(160)과, 본체(120)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유닛(130) 측에서 토출유닛(160)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180)을 포함한다.
후술에서 전방, 후방, 좌측방향, 우측방향,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다. 상하방향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중력방향이 하측방향이고 하측방향의 반대방향이 상측방향이다.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전방은 후술한 전면패널(121)이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후술할 후면패널(122)이 배치되는 방향이다. 좌측방향은 본체(120)를 기준으로 좌측이고 우측방향은 본체(120)를 기준으로 우측이다. 또한, 중심축(SA)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하며 상하방향과 평행하고, 수평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다.
베이스(110)는 바닥에 안착되어 본체(120)를 지지한다. 베이스(110)는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가운데 부분이 뚫린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10)는 본체(120)와 결합된다.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본체(120) 및 흡입유닛(130)이 결합된다.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에 본체(120)가 결합된다. 본체(120)가 결합되지 않은 베이스(110)의 후방 반원부분에 흡입유닛(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110)의 후방 반원부분의 후방은 흡입유닛(130)의 후방과 이격된다.
본체(120)는 일부가 바닥과 수직한 중심축(SA)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2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베이스(110)에 의하여 지지된다. 본체(120)의 원통부분의 수평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둘레가 베이스(110)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
본체(120)의 상부에는 토출유닛(160)이 배치되고, 본체(120)의 하부에는 흡입유닛(130)이 배치된다. 본체(120)의 내부에는 송풍유닛(180)과 덕트(151)가 배치된다. 본체(120)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결합된다. 본체(120)는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과 결합된다.
본체(120)는, 반원통 형상의 전면패널(121)과, 전면패널(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원통 형상의 후면패널(122)과, 전면패널(121)의 후방에 배치되어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반원통 형상의 내부패널(129)과, 전면패널(121) 및 후면패널(122)의 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23)를 포함한다.
전면패널(121)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2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패널(121)의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패널(121)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즉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 둘레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 둘레는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패널(121)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는 토출유닛(160)의 상단 전방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패널(121)의 측면은 손잡이부(123)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다.
전면패널(121)의 후방에는 내부패널(129), 송풍유닛(180), 덕트(151) 및 토출유닛(160)이 배치된다. 전면패널(121)은 반원통 형상의 내부패널(129)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전면패널(121)의 후면은 내부패널(129)의 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전면패널(121)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배치된다.
후면패널(122)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2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22)의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패널(122)은 전면패널(121)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어 원통 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22)은 흡입유닛(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반원통 형상의 후방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면패널(121)의 상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의 둘레는 전면패널(121)의 상단의 둘레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타원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는 토출유닛(160)의 상단 후방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패널(122)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방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유닛(130)의 상단 둘레 일부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는 흡입유닛(130)의 상단 둘레 일부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패널(122)의 측면은 손잡이부(123)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다.
후면패널(122)의 전방에는 송풍유닛(180), 덕트(151) 및 토출유닛(160)이 배치된다. 후면패널(122)의 하측에는 필터유닛(140)과 흡입유닛(130)이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10) 상측 전방에 결합된다. 내부패널(129)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패널(129)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즉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은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의 상측에 결합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 둘레의 반경은 베이스(110)의 둘레 반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패널(129)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즉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내부패널(129)의 상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내부패널(129)의 하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내부패널(129)의 상단은 송풍유닛(180)과 결합된다.
내부패널(129)은 전면패널(121)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의 전면은 전면패널(121)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의 상측에는 송풍유닛(180)이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의 후방에는 필터유닛(140)과 흡입유닛(130)이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은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구(130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내부패널(129)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의 상면을 수직한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흡입구(130a)로 유입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한 공기를 송풍유닛(180)으로 안내한다.
손잡이부(123)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본체(120) 내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123)는 전면패널(121) 및/또는 후면패널(122)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3)는 전면패널(121)과 후면패널(122)의 경계를 중심으로 전면패널(121) 및 후면패널(122)에 모두 결합된다. 손잡이부(123)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20)의 전면패널(121), 후면패널(122) 및 내부패널(129)에 대한 상호간 및 다른 구성과의 결합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흡입유닛(130)은 흡입구(130a)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유닛(130)은 본체(120)의 하부에 구비된다. 흡입유닛(130)은 후면패널(122)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은 내부패널(129)의 후방에 결합되어 전면패널(121)의 후방에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의 후방은 베이스(1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의 흡입구(130a)는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수평으로부터 전면패널(121)이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져 전방 상측(후방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흡입구(130a)는 전면패널(121)이 배치되는 전방과 경사진 전방 상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다.
흡입구(130a)의 둘레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흡입면적을 최대화 하여 최대한 많은 공기가 타원형의 흡입구(130a)를 통하여 유입되도록 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흡입구(130a)를 형성하여 흡입구(130a)의 흡입 공기량을 최대화한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더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직한 방향에 가깝도록 경사져 흡입구(130a)의 흡입면적이 토출구(160a)의 토출면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유닛(130)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은 베이스(110)의 후방 반원부분과 이격하여 배치된다. 흡입유닛(130)과 베이스(110)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유닛(130)의 내부에는 필터유닛(140)이 안착된다. 흡입유닛(130)의 상측에는 본체(120)의 후면패널(122)이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의 전방에는 본체(120)의 내부패널(129)과 전면패널(121)이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은 회동가능하도록 내부패널(129) 및 베이스(110)와 결합된다.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로 삽입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흡입유닛(130)은 본체(120)로부터 하측 후방으로 개방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흡입유닛(130)은, 반원통 형상의 흡입패널(131)과, 흡입구(130a)가 형성되며 필터유닛(140)이 안착되는 흡입바디(132)를 포함한다.
흡입패널(131)의 일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흡입패널(131)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패널(131)은 전면패널(121)의 하부 후방에 결합되어 본체(120)와 함께 원통 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흡입패널(131)은 후면패널(122)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원통 형상의 후방외관을 형성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의 일부에는 필터유닛(1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가 형성된다. 필터 확인부(131b)는 흡입패널(131)의 상단이 하측으로 'U'자 형태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더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130a)의 흡입면적이 크도록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직한 방향에 가깝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바디(132)는 타원형의 흡입구(130a)가 형성된다. 흡입바디(132)는 흡입구(130a)에 흡입그릴(132-1)이 형성된다. 흡입바디(132)의 흡입그릴(132-1)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 상에 그릴형태로 형성된다. 흡입그릴(132-1)의 상측에는 필터유닛(140)이 안착된다. 실시예에 따라 흡입그릴(132-1)은 흡입패널(131)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유닛(140)이 본체(120)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은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은 전면패널(121)이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져 전방 상측(후방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필터유닛(140)의 하면을 지지한다.
흡입바디(132)의 하부에는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필터 지지부(132-2)가 형성된다. 필터 지지부(132-2)는 필터유닛(140)의 측면 일부를 지지한다. 필터 지지부(132-2)는 흡입바디(132)의 하부 둘레에 'U'자 형태의 단면이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흡입바디(132)는 흡입패널(131)의 내부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흡입바디(132)와 흡입패널(13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30a)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30a)로 흡입된 공기의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와 같은 오염물질을 집진하고 악취를 탈취한다.
필터유닛(140)은 둘레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둘레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유닛(140)은 타원형의 둘레에 대응하여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의 둘레가 타원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필터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에 안착되어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경사진 흡입구(130a)에 대응하여 본체(12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중심축(AS)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필터유닛(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풍유닛(180)은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둘레가 원형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송풍유닛(180)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흡입유닛(130)과 덕트(151)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유닛(130) 측에서 덕트(151) 측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내부패널(129)의 상측에 배치된다. 송풍유닛(180)의 전방은 내부패널(129)의 상측에 결합된다. 송풍유닛(180)과 내부패널(129)의 결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송풍유닛(18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89)와, 모터(189)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182)과, 송풍팬(182)의 하측 및 둘레를 감싸며 본체(120)와 결합되는 송풍바디(181)와, 송풍팬(182)의 상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82)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 측으로 안내하는 베인부(183)와, 베인부(183)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어 모터(189)를 덮는 모터커버(184)를 포함한다.
송풍유닛(180)에 대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덕트(151)는 송풍유닛(180)의 상측에 배치되어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으로 안내한다. 덕트(151)는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덕트(151)는 송풍유닛(180)의 상측에 결합된다. 덕트(151)의 상측에는 토출유닛(160)이 배치된다.
덕트(151)의 하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즉, 바닥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송풍유닛(180)의 베인부(183)의 상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51)의 상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토출유닛(160)의 하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51)의 상단 둘레는 토출구(160a)의 하단 둘레와 일치한다.
덕트(15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는 덕트(15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덕트(151)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즉 덕트(151)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덕트(151)는 내부 유로가 공기의 유동에 따라 좁아지게 형성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빨라지도록 한다.
덕트(151)는 토출유닛(160)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51)의 형상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덕트(151)의 상측에는 덕트그릴(152)이 배치된다. 덕트그릴(152)은 토출구(160a)를 통하여 덕트(151) 및/또는 송풍유닛(18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덕트그릴(152)은 덕트(151)와 토출유닛(160)의 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유닛(160)은 토출구(160a)가 형성되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토출유닛(160)은 덕트(151)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유닛(160)은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된다.
토출유닛(160)의 토출구(160a)는 그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토출구(160a)는 전방 상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토출구(160a)는 전방 상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60a)의 하측에 구비되는 흡입구(130a)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재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토출구(160a)의 둘레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토출면적을 최대화 하여 최대한 많은 공기가 타원형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토출구(160a)를 형성하여 토출구(160a)의 토출 공기량을 최대화한다.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한 방향에 가깝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60a)의 토출면적은 흡입구(130a)의 흡입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60a) 및 흡입구(130a)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토출구(160a) 및 흡입구(130a) 중 하나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수직하거나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160)은, 토출구(160a)를 형성하는 토출패널(161)과, 토출구(160a)의 일부를 가리도록 토출구(160a)의 상측에 배치되어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콘솔부(165)와, 콘솔부(165)의 하면에 배치되어 토출패널(16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66)를 포함한다.
토출패널(161)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측 외관을 형성한다. 토출패널(161)은 토출구(160a)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은 내면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내면 상부에는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된다.
토출패널(161)의 하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덕트(151)의 하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패널(16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토출구(160a)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한다.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는 토출패널(16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면적보다 더 작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넓게 퍼지도록 한다.
콘솔부(165)는 토출구(160a)의 후방 일부를 가리도록 토출구(160a)의 상측에 배치된다. 콘솔부(165)는 토출패널(161)의 후방 상측에 결합된다.
콘솔부(165)는 상면은 중심축(SA)과 수직하게(즉, 바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은 토출패널(161)의 전방 내면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콘솔부(165)의 상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후방으로 향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바로 흡입구(130a)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덕트(151), 토출패널(161) 및 콘솔부(165)에 의한 공기의 유동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명부(166)는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발광되는 빛을 토출패널(161)의 내면 상부에 조사한다. 조명부(16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송풍바디(181)는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된 내부패널결합돌기(181-1)가 형성되고, 내부패널(129)은 상단에 내부패널결합돌기(181-1)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가 형성된다. 내부패널결합돌기(181-1)는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에 삽입되어 송풍유닛(180)이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에 결합된다.
내부패널결합돌기(181-1)의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패널결합돌기(181-1)는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에 삽입하여 송풍유닛(180)을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에 결합한 후 별도의 볼팅을 통하여 송풍유닛(180)과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결합을 나타나는 도면이다.
전면패널(121)은 내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덕트결합돌기(121-1)가 형성되고, 덕트(151)는 외면에 덕트결합돌기(121-1)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덕트결합돌기 삽입부(151-1)가 형성된다. 덕트결합돌기(121-1)는 덕트결합돌기 삽입부(151-1)에 삽입되어 전면패널(121)이 덕트(151)에 결합된다.
전면패널(121)이 덕트(151)에 결합된 후 별도의 볼팅을 통하여 전면패널(121)과 내부패널(129)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패널(121)은 내면 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후면패널결합돌기(121-2)가 형성되고, 후면패널(122)은 내면 측단에 후면패널결합돌기(121-2)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후면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2-2)가 형성된다. 후면패널결합돌기(121-2)는 후면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2-2)에 삽입되어 후면패널(122)이 전면패널(121)에 결합된다.
후면패널결합돌기(121-2)는 후면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2-2)에 삽입된 후 별도의 볼팅을 통하여 전면패널(121)과 후면패널(122)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유닛(180)과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이 체결된 후 송풍유닛(180)의 상측에 덕트(151)가 결합된다. 덕트(151)에 전면패널(121)을 결합한 후 전면패널(121)을 내부패널(129)과 체결하고, 후면패널(122)을 전면패널(121)과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필터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의 장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에 안착되어 본체(12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의 둘레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132-1)에 안착되어 필터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된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필터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더 경사지도록 필터유닛(140)은 배치된다. 흡입구(130a)를 통하여 전방 상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유닛(180)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바 흡입구(130a)와 송풍유닛(180)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30a)보다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필터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덜 경사지도록 필터유닛(140)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면의 둘레가 이루는 형상이 단축(V)이 장축(H)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는 계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면의 둘레가 이루는 형상에서 상부의 최소 곡률은 하부의 최소 곡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의 외형도 필터면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하여 계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의 외형은 무게중심(G)이 하부에 편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외형이 이루는 형상에서 상부의 최소 곡률은 하부의 최소 곡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은 무게중심(G)이 하부에 편중되어 필터유닛(140)의 장착시 흡입그릴(132-1)의 상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된다. 즉, 필터유닛(140)의 상부가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고 흡입그릴(132-1)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안착된다. 또한, 필터유닛(140)의 장착 후에도 필터유닛(140)이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40)은,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141)와, 프리필터(141)의 상측에 적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파필터 바디(142)와,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안착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146)와, 헤파필터(146)의 상측에 적층되어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147, 148)와, 탈취필터(147, 148)의 상측에 적층되어 헤파필터 바디(142)와 결합되는 탈취필터 바디(143)를 포함한다.
프리필터(141)는 그릴이 형성되어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른다. 프리필터(141)는 흡입그릴(132-1)에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프리필터(141)의 후방측에는 돌출된 프리필터 돌출부(141-1)가 형성된다. 프리필터 돌출부(141-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프리필터 돌출부(141-1)는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에 삽입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가운데가 개구되고 가장자리는 헤파필터(146) 및 탈취필터(147, 148)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개구되는 부분이 흡입구(130a)와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프리필터(141)에 적층된다.
헤파필터 바디(142)의 후방측에는 돌출되어 프리필터 돌출부(141-1)와 적층되는 헤파필터 돌출부(142-1)가 형성된다. 헤파필터 돌출부(142-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헤파필터 돌출부(142-1)는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에 삽입된다.
헤파필터(146)는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삽입되어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집진한다. 탈취필터(147, 148)는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헤파필터(146)에 적층되도록 삽입된다. 탈취필터(147, 148)는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한다.
헤파필터(146) 및 탈취필터(147, 148)는 흡입구(130a)와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흡입구(130a)로 흡입되는 공기를 최대한 정화하도록 한다.
탈취필터(147, 148)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 1 탈취필터(147)와 제 1 탈취필터(147)에 적층되는 제 2 탈취필터(14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파필터(146)와 탈취필터(147, 148)는 상술한 필터면을 형성한다.
탈취필터 바디(143)는 탈취필터(147, 148)의 상측에 적층되어 헤파필터 바디(142)와 탈착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탈취필터 바디(143)는 가운데에 그릴이 형성되어 탈취필터(147, 148)가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탈취필터 바디(143)의 후방측에는 돌출되어 헤파필터 돌출부(142-1)와 적층되는 탈취필터 돌출부(143-1)가 형성된다.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부가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헤파필터(146) 또는 탈취필터(147, 148)를 교환할 때 어느 한 구성품을 누락하지 않도록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 10의 (a)와 같이 필터유닛(140)의 모든 구성품이 갖추어진 경우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10의 (b)와 같이 프리필터(141)가 누락된 경우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만 외부로 노출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의 후방 끝단은 필터면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의 후방 끝단은 필터유닛(140)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필터유닛(140)은 기울어져 배치되는 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노출되는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흡입유닛(130)의 흡입패널(131)과 일체화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필터유닛 장착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하부 일부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내부 일부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유닛(130)은 본체(120)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120)의 내부를 개폐한다. 흡입유닛(130)은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로 삽입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본체(120)로부터 하측 후방으로 개방된다. 흡입유닛(130)은 후방이 베이스(110)와 가까워지도록 본체(120)와 회동한다.
흡입유닛(130)은 베이스(1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본체(120)와 2절링크로 결합된다. 흡입유닛(130)의 흡입패널(131)은 베이스(1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결합핀(131-3)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핀(131-3)은 흡입패널(131)의 하단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베이스결합핀(131-3)과 결합되는 흡입패널결합부(113)가 형성된다. 흡입패널결합부(113)에는 베이스결합핀(131-3)이 삽입되는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113a)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113a)은 베이스결합핀(131-3)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핀(131-3)과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113a)이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흡입패널(131)은 본체(120)에 대하여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을 함께 하여 본체(120)의 전면패널(121) 및 후면패널(122)과 간섭없이 회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유닛(130)은 본체(120)와 결합되는 2절링크인 링크부(139)를 더 포함한다. 링크부(139)는 가운데 회전마디가 형성되며 본체(120)의 내부패널(129)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입패널(13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부(139)는 본체(120)의 내부패널(129)과 결합되는 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링크돌출부(139-9)가 형성된다. 본체(120)의 내부패널(129)는 내면에 흡입유닛(130)의 회동시 링크돌출부(139-9)가 걸리는 링크스톱퍼(129-9)가 형성된다. 흡입유닛(130)의 개방시 링크돌출부(139-9)는 링크스톱퍼(129-9)에 걸려 흡입유닛(130)이 어느 정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흡입유닛(130)이 과하게 회동되어 흡입패널(131)이 바닥 또는 베이스(110)에 닿을 수 없도록 링크돌출부(139-9)는 링크스톱퍼(129-9)에 걸린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바디(132)는 필터 지지부(132-2)로부터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필터유닛(140)의 일부를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132-9)가 형성된다. 필터 고정부(132-9)는 필터유닛(140)의 전단 상부와 접촉하여 필터유닛(140)이 흡입그릴(132-1)에 안착될 때 필터유닛(140)이 전방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과 같이 흡입유닛(130)은 본체(120)로부터 회동되어 본체(120) 내부가 개방된다. 사용자는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에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에 장착할 경우 사용자가 필터유닛(140)을 개방된 부분으로 밀어 넣으면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132-1)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필터 지지부(132-2)에 의하여 흡입그릴(132-1)의 상측에 안착된다. 사용자가 필터유닛(140)을 흡입유닛(130) 내에 장착한 후 흡입유닛(130)을 닫아도 필터유닛(140)의 낮은 무게중심(G)과 필터 고정부(132-9)로 인하여 필터유닛(140)은 전도되거나 전방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바디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에 대한 일부 구조도이다.
송풍팬(182)은 모터(189)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팬(182)은 흡입구(130a)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60a)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킨다.
송풍팬(182)의 상측에는 베인부(183)가 배치된다. 송풍팬(182)의 둘레 및 하측에는 송풍바디(181)가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182)은 흡입유닛(130)측인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토출구(160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측면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원심팬의 송풍량은 동일 회전속도와 크기에서 다른 종류의 팬에 비하여 풍량이 최대화되므로 송풍팬(182)은 원심팬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182)은, 공기가 유입되는 쉬라우드(182-1)와, 쉬라우드(182-1)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와, 복수의 블레이드(182-2)를 고정하며 모터(189)와 결합되는 허브(182-3)를 포함한다.
쉬라우드(182-1)는 유로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혀지는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182-1)의 하단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쉬라우드(182-1)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 각각의 하단과 연결된다.
블레이드(182-2)는 회전시 쉬라우드(182-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측면으로 이송한다. 블레이드(182-2)는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토출되는 측인 트레일링 엣지(trailing edge)가 대각선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된다.
블레이드(182-2)는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측인 리딩 엣지(leading edge)가 트레일링 엣지보다 상당히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82-2)의 상단은 허브(182-3)와 연결되고 하단은 쉬라우드(182-1)와 연결된다.
허브(182-3)는 쉬라우드(182-1)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허브(182-3)는 모터(189)와 연결된다. 허브(182-3)는 블레이드(182-2)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외경에 비교적 급격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허브(182-3)는 모터(189)측에서 쉬라우드(182-1)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182-3)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 각각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술한 허브(182-3)의 외경 형상과, 블레이드(182-2)의 형상과, 송풍바디(181)의 막힌 측면에 의하여 원심팬인 송풍팬(18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
송풍바디(181)는 송풍팬(182)의 하측 및 둘레를 감싸며 송풍팬(182)의 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측인 상측으로 안내한다. 송풍바디(181)는 하면에 쉬라우드(182-1)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그릴(181-3)이 형성된다. 송풍바디(181)의 측면은 개구된 곳이 없이 벽으로 형성되어 송풍팬(182)의 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송풍바디(181)는 하면에 송풍그릴(181-3)의 주위에 링 형태로 하측으로 인입된 공간형성부(181-9)가 형성된다. 공간형성부(181-9)는 쉬라우드(182-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공간(B)을 갖도록 형성된다. 공간형성부(181-9)는 쉬라우드(182-1)의 하단과 송풍바디(181)의 하면 사이에 공간(B)을 형성하여 블레이드(182-2)의 트레일링 엣지에서 하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다시 상측으로 유동시켜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효율을 높인다. 즉, 블레이드(182-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 중 공간형성부(181-9)가 형성하는 공간(B)으로 유동된 공기는 쉬라우드(182-1)로 유입된다.
베인부(183)는 송풍팬(182)에 의하여 유동되어 송풍바디(181)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베인부(183)를 통과한 공기는 덕트(151)로 안내되어 토출유닛(160)으로 유동된다.
베인부(183)의 가운데 부분에는 모터(189)가 배치된다. 베인부(183)의 하측에는 송풍팬(182)이 배치된다. 베인부(183)의 하단 둘레는 송풍바디(181)의 상단 둘레와 결합된다.
베인부(183)는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83-1)을 포함한다. 베인(183-1)은 상하방향으로 기립되어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베인(183-1)은 각각 길이방향이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베인(183-1)에 의하여 송풍바디(181)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베인(183-1)은 블레이드(182-2)의 트레일링 엣지가 휘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에어포일(air foil)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인(183-1)은 소음을 절감하고 블레이드(182-2)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모터커버(184)는 하측에 모터(189)가 결합되며 베인부(183)의 상측에 결합된다. 모터커버(184)는 가운데가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형성되어 베인부(183)의 가장자리로 토출되는 되는 공기가 덕트(151) 내로 유입될 때 난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송풍유닛(180)은 모터커버(184)에 배치되어 송풍팬(182)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이오나이저(185)를 더 포함한다. 이오나이저(185)는 모터커버(184)의 가운데 부분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상부 일부 단면도이다.
덕트(151)는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으로 안내한다. 덕트(151)는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단 둘레가 이루면 면이 중심축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전방 상측으로 안내한다.
덕트(151)의 전단 길이(L1)는 후단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향하는 측인 전방 상측으로 안내한다.
덕트(151)의 상단 둘레가 이루면 면의 크기는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덕트(151)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덕트(151)의 상측에 결합되는 토출패널(161)은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콘솔부(165)는 토출패널(161)이 형성하는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된다. 즉, 콘솔부(165)의 하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SA)과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60a)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급적 전방으로 안내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토출패널(161)의 전방 내면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패널(161)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 상측으로 토출된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조명부(166)는 콘솔부(165)의 하면에 배치되어 토출패널(161)에 빛을 조사한다. 조명부(166)는 콘솔부(165)의 하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가급적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는 토출패널(161)에 빛을 골고루 조사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의 내부에는 광원이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패널(161)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내면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을 타원고리(R) 형태로 반사한다. 토출패널(1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가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단 둘레의 내측면에 반사된다.
토출패널(161)은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을 토출구(160a)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형성된다. 즉, 토출패널(161)은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방 상측으로 반사하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타원고리(R) 형태의 빛이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다.
콘솔부(165)는, 중심축(SA)과 수직하게 형성된 상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부(165-1)와, 상면에 배치되어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65-2)를 포함한다. 표시부(165-2)는 빛을 발광하여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65-2)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조명부(166)가 조사하는 빛과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는 흡입구(130a)로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유닛(130) 또는 본체(120)에는 흡입구(130a)로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미도시)가 배치되며, 오염센서가 측정한 오염 정도에 따라 조명부(166)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공기의 오염 정도가 높은 경우 조명부(166)는 적색을 조사하여 타원고리(R)가 적색을 나타내며, 공기의 오염 정도가 낮은 경우 조명부(166)는 녹색을 조사하여 타원고리(R)가 녹색을 나타낸다. 표시부(165-2)도 공기의 오염 정도가 높은 경우 적색을 발광하며 공기의 오염 정도가 낮은 경우 녹색을 발광한다.
상술한 공기청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189)에 의하여 송풍팬(182)이 회전하면 흡입유닛(130)의 흡입구(130a)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공기청정기의 후방 하측의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130a)를 통하여 전방 상측으로 흡입된다.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필터유닛(140)의 프리필터(141)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걸러지며 헤파필터(146)를 통과하며 오염물질이 집진되고 탈취필터(147, 148)를 통과하며 악취가 탈취된다.
필터유닛(140)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내부패널(129)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어 송풍바디(181)의 송풍그릴(181-3)으로 유동된다.
송풍그릴(181-3)을 통과한 공기는 쉬라우드(182-1)로 유입된 후 블레이드(182-2)의 트레일링 엣지를 통하여 토출된다. 블레이드(182-2)로 토출된 공기는 송풍바디(181)의 측면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어 베인부(183)의 베인(183-1)을 통하여 상측으로 유동된다. 이 때, 블레이드(182-2)로 토출된 공기 중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송풍바디(181)의 공간형성부(181-9)가 형성하는 공간(B)을 통하여 다시 쉬라우드(182-1)로 유입된다.
베인(183-1)을 통과한 공기는 모터커버(184)의 상측에서 덕트(151)로 유입된다. 덕트(151)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 상측으로 안내되어 토출패널(161)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된다.
토출패널(161)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패널(161) 및 콘솔부(165)의 하면에 의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된다.
상술한 기술적 사상은 공기청정기뿐만 아니라 공기를 유동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베이스 120: 본체
121: 전면패널 122: 후면패널
123: 손잡이부 129: 내부패널
130: 흡입유닛 130a: 흡입구
131: 흡입패널 131b: 필터 확인부
132: 흡입바디 132-1: 흡입그릴
139: 링크부 140: 필터유닛
141: 프리필터 142: 헤파필터 바디
146: 헤파필터 143: 탈취필터 바디
147: 제 1 탈취필터 148: 제 2 탈취필터
151: 덕트 152: 덕트그릴
160: 토출유닛 160a: 토출구
161: 토출패널 165: 콘솔부
166: 조명부 180: 송풍유닛
189: 모터 182: 송풍팬
181: 송풍바디 183: 베인부
184: 모터커버 185: 이오나이저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유닛 측에서 상기 토출유닛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상기 원통의 중심축과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필터유닛이 안착되며 상기 본체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원통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흡입패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유닛이 안착되는 흡입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2절링크인 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에 돌출된 링크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유닛의 회동시 상기 링크돌출부가 걸리는 링크스톱퍼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후방 외측이 상기 베이스와 가까워지도록 회동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베이스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2절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공기청정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필터유닛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필터 확인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베이스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결합핀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결합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호형상의 개구된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이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바디는 상기 흡입구에 흡입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흡입그릴에 안착되는 공기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바디는 상기 흡입그릴이 이루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유닛의 일부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바디는 상기 필터 지지부로부터 상기 흡입그릴이 이루는 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유닛의 일부를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돌출부는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베이스에 닿지 않도록 상기 링크스톱퍼에 걸리는 공기청정기.
KR1020140152980A 2014-10-24 2014-11-05 공기청정기 KR10166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80A KR101663512B1 (ko) 2014-11-05 2014-11-05 공기청정기
CN201710383550.XA CN107131574B (zh) 2014-10-24 2015-09-23 空气净化器
CN201710383731.2A CN107131575B (zh) 2014-10-24 2015-09-23 空气净化器
CN201710383734.6A CN107143931B (zh) 2014-10-24 2015-09-23 空气净化器
CN201510612231.2A CN105546663B (zh) 2014-10-24 2015-09-23 空气净化器
EP15191217.7A EP3012548B1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EP15191219.3A EP3015784B1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US14/921,250 US9855522B2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US14/921,400 US9802145B2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EP15191216.9A EP3012547B1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US14/921,287 US9713783B2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80A KR101663512B1 (ko) 2014-11-05 2014-11-05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46A KR20160053646A (ko) 2016-05-13
KR101663512B1 true KR101663512B1 (ko) 2016-10-07

Family

ID=5602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980A KR101663512B1 (ko) 2014-10-24 2014-11-05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30B1 (ko) * 2016-06-15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EP3791948A3 (en) 2016-06-15 2021-07-21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11Y1 (ko) * 2003-05-16 2003-09-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흡입그릴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필터의 착탈장치
JP2009504385A (ja) * 2005-08-10 2009-02-0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046A (ko) * 1998-11-27 2000-06-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인렛 그릴 개폐구조
KR100436142B1 (ko) * 2001-09-25 2004-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11Y1 (ko) * 2003-05-16 2003-09-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흡입그릴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필터의 착탈장치
JP2009504385A (ja) * 2005-08-10 2009-02-0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46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716B1 (ko) 공기청정기
KR101729021B1 (ko) 공기청정기
KR101663514B1 (ko) 공기청정기
EP3012548B1 (en) Air purifier
KR101651487B1 (ko) 공기청정기
KR102244518B1 (ko) 가습 공기청정기
CN107131575B (zh) 空气净化器
JP7446066B2 (ja) 空気清浄機
KR101663512B1 (ko) 공기청정기
KR101760294B1 (ko) 공기청정기
KR101651488B1 (ko) 공기청정기
KR101732538B1 (ko) 공기청정기
CN105987443A (zh) 包括uv发光二极管和光催化过滤器的紧凑型空气净化器
CN217559916U (zh) 抽油烟机
CN105546662B (zh) 空气净化器
CN112739957B (zh) 空气净化装置
CN105546664A (zh) 空气净化器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KR20150059320A (ko) 레인지 후드 장착용 덕트
JP2001028206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器具
JP2024060375A (ja) 空気清浄機
JP2024060373A (ja) 空気清浄機
KR20120125855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