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342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342A
KR20090064342A KR1020080127131A KR20080127131A KR20090064342A KR 20090064342 A KR20090064342 A KR 20090064342A KR 1020080127131 A KR1020080127131 A KR 1020080127131A KR 20080127131 A KR20080127131 A KR 20080127131A KR 20090064342 A KR20090064342 A KR 2009006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ing
memo
title
informat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169B1 (ko
Inventor
고헤이 요시다
다카토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06F16/94Hypermed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 "account"와 그 설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의해 수기 문자에 의한 표제 메모 "Test point to notice"(27a)를 입력하면, 표제 메모(27a)가 검색 표제어 "account"와 대응되어 등록된다. 등록된 각 표제 메모(27a, 27b, …)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표제 메모 "Test point to notice"(27a)를 선택하면, 표제 메모(27a)에 대응한 표제어 "account"와 그 설명 정보가 즉시 표시된다. 따라서, 종이 사전처럼, 원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에서, 필요에 따라 수기로 문자를 기록한 표제 메모(27a)를 관련시키고, 이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접착식 메모지처럼 사용하여 원하는 표제어를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종이 사전의 기능을 전자 장치로 구현한 것으로서 전자 사전 장치가 있었다. 이러한 전자 사전 장치는, 소형의 기기에 다수의 사전 데이터를 수록하여 이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종이 사전에 비해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종이 사전의 경우, 예를 들면 찾고자 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가 실려있는 페이지를 펼치면, 적절한 어의(語義)나 참고하고자 하는 용례의 설명 부분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사전 장치의 경우, 그 표시되는 영역이 제한되므로, 검색된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전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없어, 적절한 어의나 참고하고자 하는 용례의 설명 부분을 파악하기 곤란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전자 사전 장치에서는, 표제어에 대응하는 어의 일람을 표시 화면의 일부의 영역에 프레임으로 둘러싸서 표시하고, 또한 이러한 어의 일람에서 지정된 어의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를 다른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종이 사전에서의 훑어보기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사전 장치의 일례 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7-24171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사전 장치에서는, 종이 사전과 같이, 원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가 실려 있는 곳에, 필요에 따라 수기(手記) 문자를 기록하여 관련시키거나, 접착식 메모지를 사용하여, 접착식 메모지에 기록한 내용으로부터 원하는 표제어가 실려 있는 곳을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기 문자를 임의의 표제어에 관련시켜서 기억시키고, 수기 문자로부터 관련 표제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복수의 표제어와 각 표제어의 설명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과,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와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과,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임의의 표제어와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기 입력부에서 수취하는 수기 입력 수취 수단과,
수기 입력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된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표제어와 대응시켜서 표제 메모로서 기억하는 표제 메모 기억 수단과,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표제 메모를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과,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일람으로 표시된 표제 메모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표제어에 기초하여,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독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제 메모 대응 표제어 표시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도면에 예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다.
전자 사전 장치(10)는, 본체 케이스(11)와 커버 케이스(12)를 구비하며, 본체 케이스(11)와 커버 케이스(12)가 경첩부(13)에 의해 전개/폐색이 가능한 접이형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이형 케이스를 전개한 경우의 본체 케이스(11)의 표면에는, 문자 입력 키(14a), 사전 지정 키(14b), "번역/결정" 키(14c), 커서 키(14d), 스피커(15L, 15R) 등을 구비한 입력부(14)와 터치 패널(16)이 구비되어 있다.
터치 패널(16)은, 사용자가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터치한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위치 검출 장치와 표시 장치가 일체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입력부(14)의 중앙 앞쪽에서, 예를 들면 256×64 도트의 액정 표시 화면에 투명 타블렛(16t)을 중첩시킨 구성을 갖는다. 이 터치 패널(16)의 입력 영역은, 필요에 따라 수기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수기 문자 입력부(16a)나 각종 기능의 터치 입력부(16b), 또는 이들 입력부(16a, 16b)가 혼재하는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도 2를 참조).
그리고, 터치 패널(16)이 수기 문자 입력부(16a)로 전환된 영역에서의 수기 입력에 따른 궤적은 그 액정 표시 화면에 에코백(echo back)되어 표시된다.
또한, 커버 케이스(12)의 표면에는, 거의 전체면에, 예를 들면 480×320 도트의 백라이트 부가 액정 표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의 전자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자 사전 장치(10)는, 각종 기억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전송된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고, 그 읽어들인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전자 회로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가 구비되어 있다.
CPU(21)는, ROM(플래시 메모리)(22) 내에 미리 기억된 장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RAM(23)을 작업용 메모리로 하여 회로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22)에 기억된 장치 제어 프로그램은, 입력부(14)나 터치 패널(16)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기동된다.
CPU(21)에는, 입력부(14), 터치 패널(16), ROM(22) 및 RAM(23)이 접속되고 그 외에 표시부(17) 등이 접속된다.
ROM(22)에는, 전자 사전 장치(10)의 전체의 동작을 통제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그 외에 각종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24)이 기억되어 있다.
각종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24)으로서는, 검색 문자열의 입력에 따른 표제어 검색 처리와 지정된 표제어에 대응하는 번역어, 의미 내용, 예문(용례) 등의 각종 설명 정보의 판독 표시 처리 프로그램,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의 판독 표시 상태에서 터치 패널(16)에서의 수기 문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를 작성하고 해당 표제어에 대응시켜 등록하는 표제 메모 등록 처리 프로그램, 이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로부터 해당 표제 메모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표시하는 표제 메모 호출 처리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ROM(22) 내에는, 각종 사전 데이터(26a, 26b, 26c, …) 및 키워드 라이브러리(25)가 기억되어 있다.
각종 사전 데이터(26a, 26b, 26c, …)로서는, "국어 사전", "영일 사전", "일영 사전", "한일 사전", "일한 사전", "한영 사전", "영한 사전", "영영사전", "영어 유사어 사전" 등과 함께, "코○지", "칸○겐" 등의 종류가 상이한 사전 데이터가 미리 또는 추가로 입력되어 기억된다.
키워드 라이브러리(25)에는, 예를 들면 각 사전 데이터(26a, 26b, 26c, …)에 수록되어 있는 단어나 숙어가 키워드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RAM(23)에는,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 의해 등록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가 기억되고, 또한 각종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24)에 응하여 CPU(21)에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기억하는 작업 영역(28)이 확보되어 있다.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에는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로서의 수기 문자 데이터의 입력 처리 시에 표시부(17)에 표시되어 있던 표제어가 대응 표제어 정보(27am, 27bm, 27cm, …)로서 부가되어 기억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서,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에는,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로서의 수기 문자 데이터를 문자인식하고, 이 문자인식된 문자 데이터와 키워드 라이브러리(25)에 기억된 키워드 데이터와의 비교 및 일치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 데이터가 대응 키워드 정보(27ak, 27bk, 27ck, …)로서 부가되어 기억된다.
액정 표시부(17)는, 표제어 검색 처리에 따라 사전 데이터(26a, 26b, 26c, …)로부터 검색된 표제어를 일람으로 표시(17a)하거나, 또한 상기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따라 RAM(23)으로부터 독출한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를 일람으로 표시(17b)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의 표제어 검색 처리에 의해 사전 데이터(26a, 26b, …)로부터 임의의 표제어(예를 들면 "account")가 검색되어 지정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 설명 정보 판독 표시 처리에 의해, 해당 표제어 "account"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독출되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으로서 액정 표 시부(17)에 표시된다(단계 S1).
이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패널(16)에는, 각종 기능 터치 입력부(16b)로서 "표제 메모" 버튼(16ba), "리턴" 버튼(16bb), "결정" 버튼(16bc), "인식" 버튼(16bd), "이전 표제어" 버튼(16b1), "다음 표제어" 버튼(16b2), "줌" 버튼(16b3), "숙어" 버튼(16b4), "성구 복합어" 버튼(16b5), "용례 해설" 버튼(16b6), "단어장 등록" 버튼(16b7), "암기 카드 등록" 버튼(16b8)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지정의 표제어 "account"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이 표시된 상태에서, 표제어 "account"에 대응하는 표제 메모를 작성해서 등록하려고, 터치 패널(16)에 표시된 "표제 메모" 버튼(16ba)을 펜(P)으로 터치해서 입력하면(단계 S2의 "예"), 해당 표제어 "account"를 대응 표제어 정보(27am)로서 가지고 있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가 RAM(23) 내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
여기서, 표제어 "account"를 대응 표제어 정보(27am)로서 가지고 있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3의 "예"),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16)에 수기 문자 입력부(16a)가 설정되고, 그 우측단의 일부에 "펜" 버튼(16bp) 및 "지우개" 버튼(16be)이 표시된다(단계 S4a). "펜" 버튼(16bp)을 터치하면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수기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지우개" 버튼(16be)을 터치하면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입력한 수기 문자를 소거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에서, 표제어 "account"를 대응 표제어 정보(27am)로서 가지고 있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3의 "아니오"), 터치 패널(16)에 수기 문자 입력부(16a)가 설정되는 동시에, 그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등록되어 있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가 표시된다(단계 S4b).
그리고,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수기 문자(예를 들면, "Test point to notice")가 표제 메모(27a)로서 입력 표시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S5의 "예"),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수기 문자 데이터 "Test point to notice"가 그대로 표제 메모 데이터(27a)로서 표제어 "account"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와 대응되어 RAM(23)에 등록된다(단계 S6).
이 때, 해당 표제어 "account"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에는, 등록 완료 메시지(RM) "등록되었습니다"가 표시되어, 표제어 "account"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를 가지는 표제 메모 데이터 "Test point to notice"(27a)의 등록이 완료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때,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한 후,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부(17)에 원래의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을 표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단계 S7).
이와 같은 일련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단계 S1∼S7)를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어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 27bm, 27cm, …)를 대응시킨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가 차례로 작성되어 RAM(23)에 등록된다.
도 5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습 기능의 메뉴 화면(Gm)이 표시부(17)에 표시되고, 메뉴 화면(Gm) 내의 "표제 메모"(MM)를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선택해서 반전 표시(H)시킨 상태에서, "번역/결정" 키(14c)의 입력에 의해 표제 메모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단계 A1의 "예"),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M(23) 내에 이미 등록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가 독출되어 표시부(17)에 일람으로 표시된다(단계 A2).
이 때, 표시부(17)에 일람으로 표시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는, 커서 키(14d)의 입력에 응하여 반전 표시(H)시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는 설명 정보 프리뷰 화면(Gp)에 의해 표시된다.
여기서, 일람으로 표시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 "Test point to notice"(27a)가 선택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A3의 "예"),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표제 메모 데이터 "Test point to notice"(27a)에 대응되어 있는 대응 표제어 정보(27am)에 따라, 표제어 "account"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사전 데이터(26a, 26b, …)로부터 독출되어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으로서 표시부(17)에 전체 화면으 로 표시된다(단계 A4).
이와 같은 일련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접착식 메모지에 상응하는 수기 문자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로부터, 그 내용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간단하게 독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및 호출 기능에 의하면,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 "account"와 그 설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의해 수기 문자에 의한 표제 메모 데이터 "Test point to notice"(27a)를 입력하면, 표제 메모 데이터(27a)가 상기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 "account"와 대응되어 등록된다. 그리고, 등록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 "Test point to notice"(27a)를 선택하면,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되어 있는 표제어 "account"와 그 설명 정보가 즉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종이 사전과 같이, 원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에, 필요에 따라 수기로 문자를 기록한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관련시켜서, 이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접착식 메모지처럼 사용하여, 원하는 표제어를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및 호출 기능에서는, 하나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에 각각 하나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 27bm, 27cm,…)를 대응시켜 등록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다음의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및 호출 기능에 의해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표제 메모 데이 터(27a, 27b, 27c, …)에 대하여 복수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1∼27amn, 27bm1∼27bmn, 27cm1∼27cmn, …)를 대응시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먼저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이 표시된 상태에서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작성하고, 작성한 표제 메모 데이터(27a)와 해당 표제어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1)를 대응시켜서 등록한다. 그리고, 그 후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서,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표시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하여, 새롭게 사전에서 검색된 원하는 표제어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2)를 추가로 대응시켜 등록한다. 이로써, 하나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하여 복수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1, 27am2, …)를 등록한다.
결국,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는,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도 3 참조)와 다르지 않다.
도 7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습 기능의 메뉴 화면(Gm)이 표시부(17)에 표시되고, 메뉴 화면(Gm) 내의 "표제 메모"(MM)를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선택하고 반전 표시(H)시킨 상태에서, "번역/결정" 키(14c) 의 입력에 의해 표제 메모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단계 B1의 "예"),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M(23) 내에 이미 등록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가 독출되어 표시부(17)에 일람으로 표시된다(단계 B2).
이미 등록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27c, …)가 일람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가 선택되어 반전 표시(H)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B3의 "예"), 선택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는 대응 표제어 정보 "help·er"(27am1)∼"help3"(27am5)가 독출되어 "신규 표제어 등록"의 항목(Rm)을 부가한 대응 표제어 일람 화면(Gs)으로서 표시부(17)에 표시된다(단계 B4).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의 대응 표제어 일람 화면(Gs)에서,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하나의 표제어 "help·er"(27am1)가 선택되어 반전 표시(H)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B5의 "예"),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표제어 "help·er"(27am1)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사전 데이터(26a, 26b, …)로부터 독출되고,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이 표시부(17)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다(단계 B6).
한편, 단계 B3 및 B4에서의 처리에 따라,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된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의 대응 표제어 일람 화면(Gs)에서,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신규 표제어 등록"의 항목(Rm)이 선택되어 반 전 표시(H)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B7의 "예"), 통상적인 사전 검색 처리에 의한 표제어 검색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B8).
이 표제어 검색 화면에 따라,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에 추가로 대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표제어가 검색되어 표시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B9의 "예"), 검색된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가 사전 데이터(26a, 26b, 26c, …)로부터 독출되어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으로서 표시부(17)에 표시된다(단계 B10).
이 새로운 표제어의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을 사용자가 확인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B11의 "예"), 단계 B3에서 선택되고 반전 표시(H)되어 있던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에 대하여, 단계 B7 내지 단계 B11에서 새로이 검색되어 결정된 표제어의 대응 표제어 정보가 추가로 대응되어 RAM(23)에 등록된다(단계 B12).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및 호출 기능에 의하면,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따라 일람으로 표시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 중에서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선택한 상태에서, 새로운 표제어를 검색해서 표시한 다음 "번역/결정" 키(14c)를 입력하면, 새로운 표제어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n)가 선택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추가로 대응되어 등록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복수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1, 27am2, …)를 대응시켜서 등록할 수 있고, 종이 사전과 같이,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접착식 메모지처럼 사용하여 원하는 하나의 표제어를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접착식 메모지)로부터 복수의 표제어를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표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하여 새로운 대응 표제어 정보(27amn)를 추가로 등록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서, 등록해야 할 표제 메모 데이터(27a)의 작성에 수반하여 복수의 표제어를 검색하여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복수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1, 27am2, …)를 대응시켜서 등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수기 문자의 입력에 의해 작성하고, 이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 표제어 정보(27am)를 대응시켜서 등록할 때, 표제 메모 데이터(27a)의 수기 문자를 문자인식하여 얻어지는 단어나 숙어에 일치하는 키워드를 키워드 라이브러리(25)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키워드[대응 키워드 정보(27ak)]도 함께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시켜서 등록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다수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를 등록한 경우라도, 키워드(27ak)를 문자 입력하여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를 신속하게 찾아내고, 표제 메모 데이터를 관련시킨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 제 메모 등록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서의 단계 C1∼C5→C7b, C8에 따른 각 처리는, 제1 실시예에서의 단계 S1∼S7(도 3 참조)에 따른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단계 C1∼C5→C7b, C8에 따른 일련의 처리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 검색된 표제어 "help·er"의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이 표시된 상태에서(단계 C1), 도 10b 및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제 메모"의 모드를 설정하고(단계 C2),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대한 수기 문자의 입력에 의해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를 작성하여 결정하면(단계 C3∼단계C5),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에 표제어 "help·er"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가 대응되어 RAM(23)에 등록된다(단계 C6→C7a/C7b). 그리고, 도 1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표제어 "help·er"의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의 표시 상태로 되돌아온다(단계 C8).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서는, 도 10c 및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대한 수기 문자의 입력에 의해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을 작성하여 "번역/결정" 키(14c)를 입력했을 때(단계 C5의 "예"), 표제 메모 데이터(27a)의 수기 문자 "special usage of HELP"이 문자인식된다. 그리고, 이 문자인식된 수기 문자 "special usage of HELP"(27a) 중 에서 키워드 라이브러리(25)에 기억되어 있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단어나 숙어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C6).
여기서, 문자인식된 수기 문자 "special usage of HELP"(27a) 중에 키워드 라이브러리(25)의 키워드 "HELP", "special", "usage"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C6의 "예"), 수기 문자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하여, 키워드 "HELP", "special", "usage" 및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 "help·er"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가 대응되어 RAM(23)에 등록된다(단계 C7a).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단계 C1∼C8)를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어의 대응 표제어 정보(27am)를 대응시킨 수기 문자에 의한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수기 문자에 포함되는 키워드의 대응 키워드 정보(27ak)와 함께 RAM(23)에 등록할 수 있다.
도 11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상기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습 기능의 메뉴 화면(Gm)이 표시부(17)에 표시되고, 메뉴 화면(Gm) 내의 "표제 메모"(MM)를 커서 키(14d)의 입력에 응하여 선택하고 반전 표시(H)시킨 상태에서, "번역/결정" 키(14c)의 입력에 의해 표제 메모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단계 D1의 "예"),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를 키워드로부터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 입력 화면(Gk)이 표시부(17)에 표시된다(단계 D2).
키워드 입력 화면(Gk)에서, 예를 들면, "usage"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를 참조하고 싶은 경우,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입력키(14a)의 입력에 따라 키워드 "usage"가 입력되어 표시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D3의 "예"),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M(23) 내에 이미 등록된 각 표제 메모 데이터 중에서, 입력된 키워드 "usage"의 대응 키워드 정보(27ak∼27dk)에 대응한 "usage"의 수기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27d)가 독출되어, 표시부(17)에 일람으로 표시된다(단계 D4).
이 키워드 "usage"를 포함하는 각 표제 메모 데이터(27a∼27d)가 일람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가 선택되어 반전 표시(H)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D5의 "예"), 선택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는 대응 표제어 정보 "help·er"(27am1)∼"help3"(27am5)가 독출되어 대응 표제어 일람 화면(Gs)으로서 표시부(17)에 표시된다(단계 D6).
사용자가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의 대응 표제어 일람 화면(Gs)에서,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서 키(14d)의 입력에 따라 하나의 표제어 "help·er"(27am1)가 선택되어 반전 표시(H)되고 "번역/결정" 키(14c)가 입력되면[단계 D7의 "예"), 도 1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표제어 "help·er"(27am1)에 대응한 설명 정보가 사전 데이터(26a, 26b, …)로부터 독출되어 설명 정보 표시 화면(G)으로서 표시부(17)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다(단계 D8).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수의 접착식 메모지에 해당하는 다수의 수기 문자의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 중에서, 원하는 키워드를 포함한 표제 메모 데이터(27a)를 신속하게 찾아내고, 그 내용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간단하게 독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및 호출 기능에 의하면,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 "help·er"와 그 설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수기 문자 입력부(16a)에 의해, 수기 문자에 의한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를 입력하면, 표제 메모 데이터(27a)가, 그 수기 문자로부터 추출된 키워드 "HELP", "special", "usage"와 함께, 사전에서 검색된 표제어 "help·er"와 대응되어 등록된다. 그리고, 키워드 "usage"를 문자 입력함으로써 "usage"라는 문자를 포함하는 이미 등록된 표제 메모 데이터(27a∼27d)를 신속하게 일람으로 표시하고,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 "special usage of HELP"(27a)를 선택하면, 이 표제 메모 데이터(27a)에 대응하는 표제어 "help·er"와 그 설명 정보가 즉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다수의 접착식 메모지에 상응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27a, 27b, …)를 등록한 경우에도, 키워드(27ak)를 문자 입력하여 원하는 표제 메모 데이터를 신속하게 찾아내고, 그 표제 메모 데이터를 관련시킨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기 문자를 임의의 표제어에 관련시켜서 기억시키고, 해당 수기 문자로부터 관련되는 표제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과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된 구성 요소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성 요소들의 적절한 조합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구성 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모든 구성 요소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가 조합되어 적절히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의 전자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상기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등록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수기 입력 기능을 가진 전자 사전 장치(10)에 의한 제3 실시예의 표제 메모 호출 처리에 수반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9)

  1. 복수의 표제어와 각각의 상기 표제어의 설명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
    상기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와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임의의 표제어와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기 입력부에서 수취하는 수기 입력 수취 수단;
    상기 수기 입력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된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표제어와 대응시켜서 표제 메모로서 기억하는 표제 메모 기억 수단;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표제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 및
    상기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일람으로 표시된 표제 메모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표제어에 기초하여,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상기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제 메모 대응 표제어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은, 상기 표제 메모로서의 수기 입력 정보에 복수의 표제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복수 표제어 대응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제 메모 대응 표제어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제 메모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 표제어 대응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표제어 일람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제어 일람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일람으로 표시된 복수의 표제어 중에서 임의의 표제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선택하는 표제어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제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에 기초하여,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상기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키워드를 기억하는 키워드 기억 수단;
    상기 수기 입력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된 수기 입력 정보에 상기 키워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키워드 판단 수단; 및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은, 상기 키워드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수기 입력 정보에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표제어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시켜서 표제 메모로서 기억하는 대응 키워드 표제 메모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와 일치하는 키워드에 대응되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표제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전자 기기.
  4. 컴퓨터를,
    복수의 표제어와 각각의 상기 표제어의 설명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
    상기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와 상기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임의의 표제어와 상기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기 입력부에서 수취하는 수기 입력 수취 수단;
    상기 수기 입력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된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표제어와 대응시켜서 표제 메모로서 기억하는 표제 메모 기억 수단;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표제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 및
    상기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일람으로 표시된 표제 메모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표제어에 기초하여,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상기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제 메모 대응 표제어 표시 제어 수단
    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은, 상기 표제 메모로서의 수기 입력 정보에 복수의 표제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복수 표제어 대응 기억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제 메모 대응 표제어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제 메모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 표제어 대응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표제어 일람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제어 일람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일람으로 표시된 복수의 표제어 중에서 임의의 표제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선택하는 표제어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제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에 기초하여,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상기 사전 데이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 한 기록 매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를,
    복수의 키워드를 기억하는 키워드 기억 수단;
    상기 수기 입력 수취 수단에 의해 수취된 수기 입력 정보에 상기 키워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키워드 판단 수단; 및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더 기능시키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은, 상기 키워드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수기 입력 정보에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사전 정보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표제어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시켜서 표제 메모로서 기억하는 대응 키워드 표제 메모 기억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표제 메모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와 일치하는 키워드에 대응되고 상기 표제 메모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표제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표시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수기 입력을 수취하는 수기 입력부;
    복수개의 표제어와 각각의 상기 표제어의 설명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임의의 표제어와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임의의 표제어와 해당 표제어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수기 입력을 상기 수기 입력부에서 수취하고, 상기 수기 입력부에서 수취된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표제어와 대응시켜서 상기 기억부에 표제 메모로서 기억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표제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고, 일람으로 표시된 표제 메모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표제어에 기초하여,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표제 메모로서의 수기 입력 정보에 복수의 표제어를 대응시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선택된 표제 메모에 대응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고,
    일람으로 표시된 복수의 표제어 중에서 임의의 표제어를 사용자 조작에 응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표제어에 기초하여, 해당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표제어와 그 설명 정보 중에서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전자 기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는 복수의 키워드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수기 입력 정보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기 입력 정보에 상기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수기 입력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표제어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시켜서 표제 메모로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문자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 정보와 일치하는 키워드에 대응되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표제 메모를 상기 표시부에 일람으로 표시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127131A 2007-12-14 2008-12-15 전자 기기 KR100997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3874 2007-12-14
JP2007323874A JP4636078B2 (ja) 2007-12-14 2007-12-14 電子辞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42A true KR20090064342A (ko) 2009-06-18
KR100997169B1 KR100997169B1 (ko) 2010-11-29

Family

ID=4075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131A KR100997169B1 (ko) 2007-12-14 2008-12-15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27987B2 (ko)
JP (1) JP4636078B2 (ko)
KR (1) KR100997169B1 (ko)
CN (1) CN10145870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17B1 (ko) * 2009-09-30 2013-03-05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사전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8645B2 (ja) * 2009-12-11 2013-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4983943B2 (ja) * 2010-03-05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テキスト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53872B2 (ja) * 2010-12-21 2013-1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9377948B2 (en) * 2013-07-01 2016-06-28 Lenovo (Singapore) Pte. Ltd. Special input for general character inquiries for input to information handling device
JP7298638B2 (ja) * 2021-03-24 2023-06-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サーバ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074B2 (ja) * 1991-09-11 2001-07-16 株式会社東芝 手書き入力装置
JPH0644308A (ja) * 1992-04-16 1994-02-18 Nec Corp キーワード自動選択方法
US5764794A (en) * 1993-10-27 1998-06-09 Perlin; Kenneth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storing alphanumeric characters
JPH096922A (ja) * 1995-06-20 1997-01-10 Sony Corp 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H10254340A (ja) 1997-03-06 1998-09-25 Ee I Soft Kk 学習検定装置および学習検定方法
JP2000031666A (ja) 1998-07-13 2000-01-28 Funai Electric Co Ltd 基板の取り外し構造
JP3817378B2 (ja) * 1998-12-15 2006-09-0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CN1144142C (zh) * 1999-10-26 2004-03-31 无敌科技(西安)有限公司 双语辞典中重复关键字的处理方法
JP2002007420A (ja) 2000-06-26 2002-01-11 Casio Comput Co Ltd 電子辞書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103848B2 (en) * 2001-09-13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book reader with annotation and usage tracking capabilities
JP2004151840A (ja) * 2002-10-29 2004-05-27 Sharp Corp 電子辞書
CN100389418C (zh) * 2004-01-15 2008-05-21 佳能株式会社 电子词典中多个专业词典的数据结构的合并方法及装置
JP2006031666A (ja) * 2004-06-17 2006-02-02 Epson Avasys Corp 電子文書閲覧システム
KR20060005482A (ko) 2004-07-13 2006-01-18 주식회사 팬택 수기 입력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발신 요청 장치 및 그방법
JP4896396B2 (ja) 2004-12-07 2012-03-14 株式会社ワオ・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687513B2 (ja) 2006-03-09 2011-05-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辞書装置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426066B2 (ja) 2006-04-12 2014-02-26 任天堂株式会社 表示更新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更新装置
CN100517329C (zh) * 2007-07-10 2009-07-22 无敌科技(西安)有限公司 一种电子辞典释义内容查找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217B1 (ko) * 2009-09-30 2013-03-05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사전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US9104658B2 (en) 2009-09-30 2015-08-11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dictionary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dictionary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7987B2 (en) 2011-09-27
CN101458704B (zh) 2011-08-24
JP2009146223A (ja) 2009-07-02
JP4636078B2 (ja) 2011-02-23
US20090157755A1 (en) 2009-06-18
CN101458704A (zh) 2009-06-17
KR100997169B1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466B1 (ko) 전자사전장치와 그 전자사전장치의 사전검색방법
KR100989455B1 (ko) 수서입력기능을 구비한 전자사전장치
KR101318712B1 (ko) 사전 정보 표시 장치
JP4935869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0997169B1 (ko) 전자 기기
JP5309873B2 (ja) 手書き入力部を備えた辞書機能を有する電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909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ctionary data display method
JP5482516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5609697B2 (ja) 辞書情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92460B1 (ko) 전자사전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JP3793878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26007A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903902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6441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5417774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5338252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
JP2011107986A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4114695B2 (ja)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148873A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33380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H04174069A (ja) 言語理解支援装置
JP2020160112A (ja) 電子機器、テキスト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6266765A (ja) 文章検索装置
JP2012198911A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における検索文字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