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887A -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887A
KR20090058887A KR1020070125684A KR20070125684A KR20090058887A KR 20090058887 A KR20090058887 A KR 20090058887A KR 1020070125684 A KR1020070125684 A KR 1020070125684A KR 20070125684 A KR20070125684 A KR 20070125684A KR 20090058887 A KR20090058887 A KR 2009005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749B1 (ko
Inventor
이종찬
이상록
최기대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12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7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7Magnes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7B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70 내지 95 중량%, 난연제 3 내지 15 중량%, 나노 클레이 0.5 내지 10 중량%, 무기 활성화제 0.3 내지 8 중량% 및 반응성 상용화제 1 내지 7 중량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장기 내열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가공성, 내충격 및 저비중 특성으로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한 수지를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난연제, 나노 클레이, 무기 활성화제, 반응성 상용화제

Description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Enhanced Long Term Heat Resistance}
본 발명은 장기 내열특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난연제, 나노 클레이, 무기 활성화제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포함하여 통상의 난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장기 내열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가공성, 내충격 및 저비중 특성으로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그 사용환경에 따라 내열성과 난연성, 고충격 특성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내열 안정성이 요구 되기도 한다. 이러한 용도에는 내열성 및 강성에 유리한 폴리에스터계, 나일론계 및 내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수지는 그 물성은 우수하나, 비중 및 단위 가격이 높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 경제적인 비용으로 요구 특성을 만족하는, 즉 내열성, 저 비중, 양호한 성형성을 가진 소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이 검토 되고 있으나, 장기 내열 특성이 열악하여 장기 내열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에 적용될 경우 장기간에 걸쳐 물성이 저하되어 변색, 물성저하, 크랙 발생 같은 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층상구조를 갖는 나노클레이와 고분자의 나노 복합화와 관련하여 서는, 1961년 최초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에 비닐단량체를 삽입 (intercalation)하여 중합하는 기술이 발표되었으며, 2000년 미국에서 폴리프로필렌과 층상점토를 이용한 난연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콘 열량계(cone calorimetry)를 이용한 열방출 속도(Heat release rate, HRR)가 늦어진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국내의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9005호에는 친유기화 층상 실리케이트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적용하여 나노컴포지트화 시킨 수지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난연성은 만족하나, 충격강도 및 장기 내열특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4-0088230호와 2005-0028944호에는 각각 수산기가 함유된 올레핀계 올리고머와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첨가하는 방법을 통해 나노클레이의 분산을 극대화 시켰으나, 다량의 난연제와 안티몬의 사용으로 충격강도, 비중 및 장기 내열성 저하의 제한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내열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가공성, 내충격 및 저비중 특성으로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70 내지 95 중량%, 난연제 3 내지 15중량%, 나노 클레이 0.5 내지 10 중량%, 무기 활성화제 0.3 내지 8 중량%, 반응성 상용화제 1 내지 7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장기 내열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가공성, 내충격 및 저비중 특성으로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한 수지 특성을 지닌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대하여, 난연제와 함께 난연 상승 및 장기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노 클레이와 무기 활성화제 성분을 조합하고, 또한 이 성분들의 분산성과 물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클레이 나노 분산 및 화염의 저지에 의한 난연 안정화를 유도하였다. 이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안정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난연성 수지조성물 보다 양호한 가공성, 내충격 및 저비중 특성과 함께 장기내열 안정성이 향상된 새로운 조성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이르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첨가하게 되면 기계적 물성의 저하와 함께 난연제 성분에 의한 열분해 촉진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장기 내열 안정성의 저하가 뚜렷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와 함께 나노 클레이와 무기 활성화제의 성분 조합과 효과적인 분산구조를 나타낼 수 있는 반응성 상용화제로 화염의 저지에 의한 난연 안정화, 가공성, 내충격성 향상 및 장기 내열성 향상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70 내지 95 중량%, 난연제 3 내지 15중량%, 나노 클레이 0.5 내지 10 중량%, 무기 활성화제 0.3 내지 8 중량%, 반응성 상용화제 1 내지 7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재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50~100 중량%의 프로필렌과 0~50 중량%의 에틸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한 용융지수(MI)가 0.1 ∼ 30 g/10분(ASTM D1238, 230 ℃)이고 결정성을 갖는 아이소택틱 프로필렌 호모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70 내지 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0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격 보강의 목적으로 올레핀 성분을 포함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EPR), EPDM, 분지형 올레핀 고무 EOR, EBR, 블록 공중합체형의 올페핀 고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제 성분으로는 할로겐계 난연제 및 난연조제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할로겐계 난연제는 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화합물로서, 할로겐기(F, Cl, Br)가 치환된 탄소수 10~50인 화합물로, 예를 들면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비스펜타브로모 페녹시에탄,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디브로모크레실에테르, 트리브로모페놀, 트리브로모페닐 트리아진, 트리브로모페닐아릴에테르, 퍼클로로시클로데칸, 퍼클로로시클로펜타데칸,염소화 파라핀, 염소화 폴리에틸렌 등이 포함되며, 난연조제로는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이 있다. 이러한 할로겐계 난연제 중 한 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과 난연조제를 3~15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이 3 중량% 이하에서는 난연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15 중량% 이상으로 사용할 경우는 수지 조성물의 비중이 증가하고, 충격강도, 인장신율 및 장기내열 안정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이다. 상기 난연제 중량 중 상기 난연조제가 차지하는 중량은 0.5~3 중량%인 것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 클레이는 상기한 난연제와 함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화염 저지에 의한 난연 상승 특성을 부여하고, 내열성 및 물성 상승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나노 클레이라 함은 그 각층의 두께가 나노 스케일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각 층의 두께가 대략 0.5 nm 내지 50 nm 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나노 클레이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카오린나이트(kaolinite)계, 일라이트(illite)계 등의 점토를 유기화하여 개질한 것을 사용한다.상기 점토로는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오리나이트(kaolinite), 하이드로마이카(hyromica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점토를 유기화하는 개질제로는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킬아민염으로는 디도데실암모늄염, 트리도데실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인산염은 테트라부틸인산염, 테트라페닐인산염, 트리페닐헥사데실 인산염, 헥사데실트리부틸 인산염, 메틸트리페닐인산염, 에틸트리페닐인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알킬아민염 또는 유기인산염은 나노클레이의 층간 금속이온과 치환되어 층간 거리를 벌려주며 유기물과 친화성이 있게 변화시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련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유기화 나노 클레이는 0.5 ∼ 10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난연 상승 및 물성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비중 증가와 함께 물성 상승 효과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무기 활성화제는 나노 클레이와 함께 난연 상승 및 장기 내열성 향상시키는 조합 성분으로, 그 예는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의 함수 염기성 카보네이트로 천연 또는 합성 하이드로 탈사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무기 활성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 칼슘 하이드레이트, 징크 설파이드, 징크 옥사이드, 카파 옥사이드,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징크 보레이트, 징크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 또는 황산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를 들 수 있다.
무기 활성화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3 내지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3중량% 미만에서는 상승 효과 및 내열성 개선 특성이 저하되고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나노 클레이 및 무기 활성화제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효과적인 분산 구조를 얻기 위해 사용한다. 여기서 반응성 상용화제란 나노첨가제 등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극성기를 포함하고 있는 상용화제를 의미 하며, 그 예로는 말단 카르복실화 폴리에틸렌(COOH-PE), 말단 카르복실화 폴리프로필렌(COOH-PP), 말단 말레익 언하이드리드화 폴리프로필렌(MAH-PP), 폴리(스티렌-아크릴산) (P(St-AA)),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PP-g-MA),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sPS-g-MA),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SEBS-g-MA)가 해당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PP-g-MA)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함 량은 1 내지 7 중량% 이하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범위이다. 1 중량% 이하에서는 효과적인 분산 구조를 얻기 어렵고, 7 중량% 이상에서는 과반응에 의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와 내열 안정성 저하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들 이외에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물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카본블랙, 실리카, 목분,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탈크, 마이카, 월라스토나이트 등의 충전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비중이 낮기 때문에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그러한 부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기계적 성질 및 장기 내열특성 등을 예시하고, 아울러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폴리프로필렌(%) PP-A 88 86 0 0 90 0 0
PP-B 0 0 86 85 0 70 88
난연제(%) FR(Br계) 4 5 5 4 5 20 5
삼산화안티몬 1 0 1 1.5 1 5 2
나노클레이 (%) Cloisite 3 3 4 5 0 3 3
무기활성화제 (%) 하이드로 탈사이트 2 0 1 0 1 0 2
징크옥사이드 0 2 0 1.5 0 0 0
반응성 상용화제 (%) MA-PP 2 4 3 0 3 2 0
MA-SEBS 0 0 0 3 0 0 0
주) PP-A : M1200 (LG화학 제품)
PP-B : M1600 (LG화학 제품)
FR : S-8010(Albermarle 제품)
삼산화안티몬 : 일성안티몬 제품
Clay : Cloisite (Southern Clay Products 제품)
무기 활성화제 : Dihydrotalcite (DHT 4A, Kyowa 제품)
MA-PP :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MA-SEBS :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비율로 배합하여, 3분간 헨셀 믹서에서 혼합한 후, 220℃로 설정된 2축 압출기(직경 40mm Φ)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한 수지 조성물에 대한 펠렛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각 수지조성물의 펠렛을 220℃로 설정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ASTM 물성 측정용 시험 편을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제작된 수지 시험편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재료는 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에 언급한 절차에 따라 인장강도, 충격강도, 굴곡강도, 열변형 온도 등의 물성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된 시험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1)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
ASTM D-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2)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
ASTM D790에 따라 측정하였다.
(3) 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 상온(23℃)에서 측정하였다.
(4) 비중
ASTM D792에 따라 상온(23℃)에서 측정하였다.
(5) 장기 내열 특성
사출 성형된 시편을 150℃ 열풍건조기에서 300시간 노화시킨 후, 48시간 상온에서 방치하고, 상기 방법으로 물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험결과는 다음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6) 난연성
UL-94의 수직연소시험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시편의 두께는 1/8”이다. 이는 수직으로 유지한 크기의 시편에 버너의 불꽃을 10초간 접염한 후의 잔염 시간이나 드립성으로부터 난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잔염시간은 착화원을 멀리 떨어뜨린 후 시편이 유염연소를 계속하는 시간의 길이이고, 드립에 의한 면의 착화는 시편의 하단으로부터 약 300mm 아래에 있는 표지용의 면이 시편으로부터의 적하(드립)물에 의해 착화되는 것에 의해 결정되며, 난연성의 등급은 하기 표에 따라 나누어진다.
구분 V0 V1 V2 HB
각 시료의 잔염시간 30초 이하 30초 이하 10초 이하 난연불가
5 시료의 전체잔염시간 50초 이하 250초 이하 250초 이하
드립에 의한 면의 착화 없음 없음 있음
그리고, 상기 시험의 결과를 아래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물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인장강도(kg/㎠) 260 255 245 240 245 235 230
굴곡탄성율(kg/㎠) 12,000 12,500 10,800 11,000 9,500 11,000 10,500
굴곡강도(kg/㎠) 280 265 260 255 260 253 250
Izod충격강도(상온) (kg·cm/cm) 45 50 30 35 50 19 9
비중(g/cc) 0.94 0.95 0.95 0.96 0.94 1.02 0.95
장기내열특성 (인장강도_kg/㎠) 251 247 235 233 220 179 193
난연성 (총연소시간_초) 105 120 145 105 280 65 150
난연성 (UL94 등급) V1 V2 V1 V1 HB V1 V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연제, 나노 클레이, 무기 활성화제 및 반응성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 예들은 나노 클레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 나노 클레이와 반응성 상용화제는 포함하되 무기 활성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 반응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3에 비하여 포스핀 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난연성을 발휘하며, 인장강도, 신율, 열변형 온도, 충격강도 및 내트래킹성의 물성이 비교 예에 비하여 장기 내열특성 저하되지 않으며, 내충격 및 저비중 특성과 함께 안정된 난연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난연제, 나노 클레이, 무기 활성화제 및 반응성 상용화제의 선택이 난연성 및 장기 내열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양호한 가공성, 내충격 및 저 비중 특성을 나타낸다.

Claims (11)

  1. 폴리프로필렌 수지 70 내지 95 중량%, 난연제 3 내지 15중량%, 나노 클레이 0.5 내지 10 중량%, 무기 활성화제 0.3 내지 8 중량%, 반응성 상용화제 1 내지 7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50~100 중량%의 프로필렌과 0~50 중량%의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MI)가 0.1 ∼ 30 g/10분(ASTM D1238, 230 ℃)이고 결정성을 갖는 아이소택틱 프로필렌 호모 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비스펜타브로모 페녹시에탄,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디브로모크레실에테르, 트리브로모페놀, 트리브로모페닐 트리아진, 트리브로모페닐아릴에테르, 퍼클로로시클로데칸, 퍼클로로시클로펜타데칸, 염소화 파라핀,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카오린나이트(kaolinite)계, 및 일라이트(illite)계 점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오리나이트(kaolinite), 및 하이드로마이카(hyromica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클레이는 상기 나노 클레이의 층간 금속이온을 치환하는 개질제에 의하여 유기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활성화제가 알루미늄 하이드레이트(Aluminum hydrate),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Magnesium hydrate), 칼슘 하이드레이트(Calcium hydrate), 징크 설파이드(Zinc sulfid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lcium carbonate), 마그네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징크 보레이트(Zinc borate), 징크 보레이트 하이드레이트(Zinc borate hydrate), 및 황산 마그네슘 하이드레이트(Magnesium sulfate hyd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상용화제는 말단 카르복실화 폴리에틸렌(COOH-PE), 말단 카르복 실화 폴리프로필렌(COOH-PP), 말단 말레익 언하이드리드화 폴리프로필렌(MAH-PP), 폴리(스티렌-아크릴산) (P(St-AA)), 폴리프로필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PP-g-MA),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sPS-g-MA),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말레익 언하이드리드 그라프트 공중합체 (SEBS-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첨가제 군 그리고 카본블랙, 실리카, 목분,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탈크, 마이카, 및 월라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충전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70125684A 2007-12-05 2007-12-05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14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84A KR101143749B1 (ko) 2007-12-05 2007-12-05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84A KR101143749B1 (ko) 2007-12-05 2007-12-05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87A true KR20090058887A (ko) 2009-06-10
KR101143749B1 KR101143749B1 (ko) 2012-05-11

Family

ID=4098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84A KR101143749B1 (ko) 2007-12-05 2007-12-05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74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6170A (zh) * 2010-06-18 2011-12-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无机复合粉末增强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554656A (zh) * 2013-10-14 2014-02-05 上海俊尓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lft-d技术制备汽车底护板的聚丙烯复合材料
KR101383621B1 (ko) * 2012-10-26 2014-04-10 (주)대웅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739950A (zh) * 2013-12-26 2014-04-23 吴江市东泰电力特种开关有限公司 一种聚丙烯抗老化开关
KR101438912B1 (ko) * 2012-10-16 2014-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난연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1449147B1 (ko) * 2012-11-19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1454062B1 (ko) * 2011-04-12 2014-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1476812B1 (ko) * 2013-05-28 2014-12-26 주식회사 럭키산업 유기나노 클레이를 함유하는 항균 칫솔모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 칫솔모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CN104292638A (zh) * 2014-10-20 2015-01-21 清华大学 一种可回收的电缆绝缘材料的制备方法
KR20150124671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청하 복합소재 스크랩의 재사용을 위한 복합소재 수지 조성물
CN109320845A (zh) * 2018-10-15 2019-02-12 广西鑫深科技有限公司 用于汽车后扰流板的改性聚丙烯材料及制备方法
CN110330720A (zh) * 2019-07-09 2019-10-15 合肥邦联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861606A (zh) * 2021-09-27 2021-12-31 宁波金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792B1 (ko) * 2003-09-17 2006-01-25 삼성토탈 주식회사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포함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745144B1 (ko) * 2004-05-24 2007-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JP4807501B2 (ja) 2006-03-02 2011-11-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86170B (zh) * 2010-06-18 2013-05-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无机复合粉末增强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286170A (zh) * 2010-06-18 2011-12-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无机复合粉末增强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54062B1 (ko) * 2011-04-12 2014-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1438912B1 (ko) * 2012-10-16 2014-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난연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1383621B1 (ko) * 2012-10-26 2014-04-10 (주)대웅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가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147B1 (ko) * 2012-11-19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1476812B1 (ko) * 2013-05-28 2014-12-26 주식회사 럭키산업 유기나노 클레이를 함유하는 항균 칫솔모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항균 칫솔모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CN103554656A (zh) * 2013-10-14 2014-02-05 上海俊尓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lft-d技术制备汽车底护板的聚丙烯复合材料
CN103554656B (zh) * 2013-10-14 2016-03-09 上海俊尓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lft-d技术制备汽车底护板的聚丙烯复合材料
CN103739950A (zh) * 2013-12-26 2014-04-23 吴江市东泰电力特种开关有限公司 一种聚丙烯抗老化开关
KR20150124671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청하 복합소재 스크랩의 재사용을 위한 복합소재 수지 조성물
CN104292638A (zh) * 2014-10-20 2015-01-21 清华大学 一种可回收的电缆绝缘材料的制备方法
CN109320845A (zh) * 2018-10-15 2019-02-12 广西鑫深科技有限公司 用于汽车后扰流板的改性聚丙烯材料及制备方法
CN110330720A (zh) * 2019-07-09 2019-10-15 合肥邦联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861606A (zh) * 2021-09-27 2021-12-31 宁波金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749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749B1 (ko)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005489B1 (ko)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US20090215928A1 (en) Ethylene/ester copolymer nanofiller composition
CN108602995B (zh) 阻燃性聚烯烃系树脂组合物
US8119713B2 (en) Polylactide-based compositions
CN103923395A (zh) 汽车内饰件用无卤阻燃耐热pp塑料及其制备方法
US10119012B2 (en) Flame-retarded polyolefin polymer composition with reduced antimony trioxide content
US9394423B2 (en) Fire retardant polypropylene
KR20100078821A (ko)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 나노클레이 함유 폴리올레핀 조성물
JP6721458B2 (ja) 難燃性マスターバッチ、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3921448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15322488B (zh) 一种阻燃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46792B1 (ko)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포함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S59184237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2009035581A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546077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3879695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20130130320A (ko) 할로겐―안티몬 프리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난연수지 조성물
JP200216748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675829A (zh) 一种聚丙烯专用耐析出无卤阻燃剂的制备方法
EP1345989B1 (en) Use of a nanofiller-containing polyolefi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improved articles
WO2002006388A1 (en) Polypropylene-clay composite having excellent flame-resistan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0443269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JPH0776640A (ja) 熱安定性に優れた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