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062B1 -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062B1
KR101454062B1 KR1020110033744A KR20110033744A KR101454062B1 KR 101454062 B1 KR101454062 B1 KR 101454062B1 KR 1020110033744 A KR1020110033744 A KR 1020110033744A KR 20110033744 A KR20110033744 A KR 20110033744A KR 101454062 B1 KR101454062 B1 KR 10145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yrene
copolymer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160A (ko
Inventor
김응수
백치경
최기대
이상록
백인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3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0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7Visc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온에서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을 가지고, 저온에서 뛰어난 충격 강도를 가짐으로써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으로 사용 가능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s composition}
본 발명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상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에어백 커버 부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고무와 같은 탄성체 성질을 가지며, 고무의 가공 시 수행되는 가교 과정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자동차, 전기 전자기기 및 사무기기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는 탁월한 기격적 물성, 우수한 인장 특성 및 뛰어난 저온 충격 강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자동차용 내·외장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는 고온 인장 특성이 높지 못하므로 자동차용 에어백 커버 부품으로 적용함에 제한이 있다.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에어백 전개 시험 시 커버가 안정적으로 찢어져야 한다. 상기 에어백 전개 시험은 자동차 사용환경에 맞게 에어백 전개 시험을 실시하게 되며, 그 온도는 상온, 고온(80℃ 내외) 및 저온(-35℃ 내외)이기 때문에 상기 온도들에서의 기계적 물성이 매우 중요하다.
저온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8-0005352호에서 제시되는 방법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중 가교결합제를 추가하여 저온 충격강도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자동차 에어백 커버로 쓰이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의 저온 물성 향상에 적용될 수 있으나, 고온에서의 인장 특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의 고온(80℃)에서의 인장 특성(ex. 인장 신율)은 에어백 전개 특성과 상관되고,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이 낮으면, 에어백이 충분히 전개(팽창)되기 전에 커버가 찢기며 원래 설계된 찢김 부위 이외 부분에서도 찢겨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 탑승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의 고온 물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고온에서 인장 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탈크와 같은 기존의 무기 필러를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의 경우, 고온 인장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저온 충격강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만회하기 위하여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의 함량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인장 신율 및 저온 충격강도는 높아지지만, 고온 인장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을 가지고, 저온에서 뛰어난 충격 강도를 가짐으로써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으로 사용 가능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80℃에서 측정한 고온 인장 강도가 60 kg/cm2 이상일 수 있으며, 고온 인장 신율은은 70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온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은 ASTM D638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상기 고온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고온 인장 강도의 상한은 150 kg/cm2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kg/c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kg/cm2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고온 인장 신율의 상한은 1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거나, 프로필렌과 지방족 알파(α)-올레핀 및/또는 방향족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알파(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ethylene), 1-부텐(1-buten), 1-펜텐(1-pentene) 및 1-헥센(1-hex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및 1-헥센(1-hexen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230℃ 및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용융지수가 1 내지 90 g/10 min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g/10 min일 수 있다.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사출 성형 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인장 강도 및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저온 충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유기화 처리된 층상 나노클레이의 층간에 작용하여 상기 나노클레이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상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종류로는 폴리프로필렌의 주쇄 또는 말단에 아크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카르복실산 및 하이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가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의 말단에 아크릴산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말단에 아크릴산이 형성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경우,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는 1 내지 80 g/10 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g/10 min일 수 있다. 또한, 이 때, 변성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아크릴산 함량은 0.1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수지의 제조 시 충분한 반응을 일으키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면, 반응성이 높아져 최종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제조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고온 인장 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로는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부분적으로 결정성을 갖거나, 또는 무정형으로서 2 종 이상의 모노 올레핀을 공중합시켜 제조한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의 용융지수는 0.1 내지 50 g/10 min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 g/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지수가 01 g/10 min 미만이면, 최종 조성물의 용융지수가 낮아져 제품 가공 시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0 g/10 min을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의 밀도는 0.85 내지 0.90 g/cm3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86 내지 0.88 g/cm3일 수 있다. 상기 밀도가 0.85 g/cm3 미만이면, 인장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0.90 g/cm3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의 100℃에서의 무늬점도 ML1+4는 1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일 수 있다. 상기 무늬점도가 10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00을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되는 조성물의 고온 인장 신율 향상 효과를 얻기 어려워 엘라스토머로서의 역할이 저하될 우려가 우려가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도가 낮아져 자동차 에어백 커버로써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저온 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스티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되는 조성물의 저온 충격 향상 효과를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흐름 특성이 낮아져 사출 성형에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경도가 낮아져 제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인장강도 및 인장 신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로는 유기 오늄 이온으로 처리된 층상 점토 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테트라 알킬 암모늄염, 테트라 알킬 포스포늄염, 알킬과 아릴을 함유하는 암모늄염 또는 알킬과 아릴을 함유하는 암모늄염이 층간 삽입된 점토 광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점토 광물로는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나이트 및 사포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부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3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의 사용효과가 미미하여 고온에서의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 상승이 이루어 지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나노클레이의 뭉침 현상으로 인하여 나노클레이가 충분히 층간 분리되지 못하여 고온에서의 인장신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상기 전술한 성분 외에,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내마찰 마모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전술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혼합 및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변성 폴리프로필렌,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의 종류 및 함량은 앞에서 전술한 종류 및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믹서에서 일한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일축 압출기(single- screw extruder), 롤밀(roll-mills), 니더(kneader) 또는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다양한 배합 가공기기 중 하나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련된 조성물은 펠릿타이저를 이용하여 펠릿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고온에서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을 가지고, 저온에서는 뛰어난 충격 강도를 가짐으로, 바람직하게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온에서 우수한 인장 강도 및 인장 신율을 가지고, 저온에서 뛰어난 충격 강도를 가짐으로써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으로 사용가능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용융지수가 25 g/10 min인 임팩트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수지(SEETE M1600, LG 화학) 40 중량부,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용융지수가 20 g/10 min이며, 아크릴산 함량이 6 중량%인 변성 폴리프로필렌 5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로 용융지수 1.1 g/10 min이며, 밀도가 0.870 g/cm3인 에틸렌-옥텐 공중합체(LC170, LG 화학)(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1) 30 중량부,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로 용융지수가 5 g/10 min이며 밀도가 0.89 g/cm3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Kraton G1657, Kraton Polymer사) 15 중량부 및 나노클레이로 층간이 디메틸 디하이드로지네이트드 탈로우 테트라 암모늄염으로 치환된 몬모릴로나이트(Cloisite 15A, Southern clay products사)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믹서로 잘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으로 만들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로 100℃에서 무늬점도 ML 1+4가 25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탄성체(KEP-020P, 금호폴리켐)(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2) 3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1 15 중량부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나노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7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1 1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1 20 중량부 및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2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나노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1 20 중량부,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20 중량부 및 탈크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펠렛의 물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였고,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경도를 하기 ASTM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고온 인장 강도 및 신율
ASTM D638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험온도는 80℃, 크로스 헤드 속도는 200 mm/min으로 설정하였다.
(2) 저온 아이조드 충격강도
ASTM D256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험조건은 -40℃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3) 경도
ASTM D224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Shore D 스케일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조성 폴리프로필렌 40 40 50 70 50 50
변성 폴리프로필렌 5 5 5 - - -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1 30 - 15 15 20 20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2 - 30 - - - -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15 15 20 15 20 20
유기화 나노클레이 10 10 10 - 10 -
탈크 - - - - - 10
물성 고온 인장 강도(Kg/cm2) 65 66 67 49 55 52
고온 인장 신율(%) 850 830 790 470 530 510
저온 충격 강도
(Kg·cm/cm2)
No break No break No break 28.4
(break)
No break 32.2
(break)
경도(Shore D) 41 42 45 58 43 4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는 저온 충격강도 측정값이 No break을 가지면서도, 비교예들에 비해 고온 인장 신율 및 고온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 저온 충격강도 측정값이 No break를 가지지만, 고온 인장 신율 및 고온 인장 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Claims (24)

  1.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 내지 60 중량부, 변성 폴리프로필렌 0.1 내지 1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5 내지 40 중량부,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5 내지 40 중량부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80℃에서 측정한 고온 인장 강도는 60 kg/cm2 이상이고, 고온 인장 신율은 700%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 중합체이거나, 폴리프로필렌과 지방족 알파(α)-올레핀 또는 방향족 올레핀의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알파(α)-올레핀은 에틸렌, 1-부텐, 1-펜텐 및 1-헥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230℃ 및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유동지수가 1 내지 90 g/10 min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의 주쇄 또는 말단에 아크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카르복실산 및 하이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가 형성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의 말단에 아크릴산이 형성된 것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말단에 형성된 아크릴산의 함량은 0.1 내지 15 중량%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230℃ 및 2.16 Kg 하중에서 측정한 유동지수가 0.1 내지 50 g/10 min이고, 밀도가 0.85 내지 0.90 g/cm3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100℃에서 무늬점도 ML1+4가 10 내지 100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스티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는 테트라 알킬 암모늄염, 테트라 알킬 포스포늄염, 알킬과 아릴을 함유하는 암모늄염 또는 알킬과 아릴을 함유하는 암모늄염이 층간 삽입된 점토 광물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점토 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나이트 및 사포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 방지제,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내마찰 마모제 및 커플링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22.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 내지 60 중량부, 변성 폴리프로필렌 0.1 내지 1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5 내지 40 중량부,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5 내지 40 중량부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혼합 및 용융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품의 제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용융 혼련은 이축 압출기, 일축 압출기, 롤밀, 니더 또는 반바리 믹서를 포함하는 배합 가공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형품의 제조 방법.
  24.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20 내지 60 중량부, 변성 폴리프로필렌 0.1 내지 10 중량부, 올레핀계 공중합체 탄성체 5 내지 40 중량부, 스티렌계 공중합체 탄성체 5 내지 40 중량부 및 유기화 처리된 나노클레이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에어백 커버 부품.
KR1020110033744A 2011-04-12 2011-04-12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145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44A KR101454062B1 (ko) 2011-04-12 2011-04-12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744A KR101454062B1 (ko) 2011-04-12 2011-04-12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60A KR20120116160A (ko) 2012-10-22
KR101454062B1 true KR101454062B1 (ko) 2014-10-27

Family

ID=4728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744A KR101454062B1 (ko) 2011-04-12 2011-04-12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664A1 (ko) * 2019-11-27 2021-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2392B2 (en) 2014-03-31 2017-10-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textured multilayered elastic laminates with enhanced strength and elasticity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9428638B2 (en) 2013-12-19 2016-08-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ong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ic films and methods of making
US10213990B2 (en) 2013-12-31 2019-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to make stretchable elastic laminates
US9358759B2 (en) 2013-12-19 2016-06-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layered elastic laminates with enhanced strength and elasticity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102186650B1 (ko) * 2018-03-30 2020-12-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80351B1 (ko) 2018-12-21 2021-07-2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1462A (en) * 1989-03-17 1992-02-25 Ube Industries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496956A (ja) * 1990-08-14 1992-03-30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050112145A (ko) * 2004-05-24 2005-11-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20090058887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1462A (en) * 1989-03-17 1992-02-25 Ube Industries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H0496956A (ja) * 1990-08-14 1992-03-30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050112145A (ko) * 2004-05-24 2005-11-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20090058887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664A1 (ko) * 2019-11-27 2021-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60A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62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101646396B1 (ko) 고유동, 고충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1180874B1 (ko) 발포 성형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KR101727018B1 (ko) 폴리올레핀과 폴리락트산의 혼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577363B1 (ko) 향상된 진동 절연성과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4800366B2 (ja) 繊維状無機充填材含有樹脂組成物ペレット
KR20200039300A (ko)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 성형품
JP3761590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CN108250653B (zh) 热塑性弹性体组合物和由其制造的模制品
JPH1087919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4885185B2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00027322A (ko) 강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2008266615A (ja) 複合成形体および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KR102573484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마스터배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18756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60114994A (ko) 저경도 열가소성 탄성체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50074482A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재활용 열가소성 소재
KR20220048936A (ko)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5222214A (ja) 防水シート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21268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