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532A -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 Google Patents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532A
KR20090056532A KR1020070123728A KR20070123728A KR20090056532A KR 20090056532 A KR20090056532 A KR 20090056532A KR 1020070123728 A KR1020070123728 A KR 1020070123728A KR 20070123728 A KR20070123728 A KR 20070123728A KR 20090056532 A KR20090056532 A KR 20090056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lay
sheet
copper foil
release paper
foi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505B1 (ko
Inventor
김용건
김완수
이만식
Original Assignee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옵트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505B1/ko
Priority to US11/966,715 priority patent/US20090139471A1/en
Publication of KR2009005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4Arrangements of liquid pipes or h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레이시트로부터 커버레이를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의하여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와 가접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를 적재하고 상기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이송하며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서로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도체 패턴이 형성된 동박시트를 적재하는 동박시트 적재수단;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으로부터 커버레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 적재수단으로부터 동박시트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동박시트를 정렬하고 일부분을 가접하는 가접수단; 을 포함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COVER LAY SEPARATING MEANS AND COVER LAY ATTACH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낱장으로 제조된 커버레이시트를 커버레이와 이형지로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과 이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의하여 분리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가접하는 공정을 자동화한 커버레이 가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박시트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도전성을 갖는 도체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커버레이는 동박시트의 도체 패턴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박시트에 부착된다. 커버레이시트는 커버레이와 이형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커버레이시트를 커버레이와 이형지로 분리한 후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접합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커버레이시트는 롤 타입과 낱장 타입이 있다.
롤 타입의 커버레이시트의 경우 롤에 감겨진 커버레이시트를 풀면서 연속적으로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분리하여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부착하는 기술이 많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낱장 형식의 경우 롤 형과 달리 자동으로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분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커버레이시트를 커버레이와 이형지로 분리한 후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부착하였다.
종래와 같이 낱장 형태의 커버레이시트로부터 수작업으로 분리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부착하는 경우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육안으로 기판에 표시되어 있는 마크(Mark)를 보면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정렬하는 경우 커버레이와 동박시트의 정렬이 부정확하여 불량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낱장 형식의 커버레이시트로부터 커버레이를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과,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정확하게 가접하는 컴팩트하고 효율 좋은 자동 가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버레이 가접장치는,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를 적재하고 상기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이송하며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서로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도체 패턴이 형성된 동박시트를 적재하는 동박시트 적재수단;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으로부터 커버레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 적재수단으로부터 동박시트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동박시트를 정렬하고 일부분을 가접하는 가접수단; 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의 이송 경로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가접수단에 의하여 가접 완료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직교하는 이송 경로들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 또는 모서리부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때,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 다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부는 제1분리부, 제2분리부 및 제3분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제1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를 털어주는 회전 날개를 구비하고, 제2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분리부 노즐과 상기 꼭지부의 커버레이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흡착판을 구비하며, 제3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일측 모서리를 클램핑하는 커버레이 클램프 및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하는 이형지 클램프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폭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에 선행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제3분리부 노즐을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레이를 클램핑하며, 상기 이형지 클램프는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이 클램프 사이에서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는 상기 커버레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레이의 로딩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형지 클램프는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레이의 로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강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는,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 블레이드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를 클램핑하는 회동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은,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다수 매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픽업하여 상기 분리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상기 가접수단에 투입하기 전에 대기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정렬하는 적재가이드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일부를 지지하고 그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이송부에 노출되게 하는 적재받침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부재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픽업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픽업 부재의 초기 위치를 P1, 상기 픽업 부재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하여 상기 커버레이시트 방향으로 상승된 위치를 P2, 상기 픽업 부재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배면에 부착된 다음 아래로 하강된 위치를 P3,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를 털어주는 회전 날개에 상기 커버레이시트가 대면되게 하는 위치를 P4,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가 상기 분리부에 의하여 각각 클램핑되는 위치를 P5,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부재가 아래로 하강되는 위치를 P6라고 할 때, 상기 픽업 부재의 이동 궤적은 P1-P2-P3-P4-P5-P6-P1 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픽업하는 상기 픽업 부재의 상면에 접착성 테이프 또는 음압을 형성하는 에어 홀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이송수단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흡착하는 커버레이 흡착판과,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상기 가접수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상기 제1이송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승강시키는 제3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레이 가접장치는, 상기 동박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간지를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는 간지배출수단; 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간지배출수단은, 상기 간지가 착지되는 간지받침대와, 상기 간지받침대를 직선 이동 및 회동시키는 간지받침대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동박시트 이송수단은, 상기 동박시트를 흡착하는 동박시트 흡착판과,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에 상기 동박시트가 흡착되었는지 상기 간지가 흡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을 상기 가접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을 승강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간지받침대는,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이 상승되면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의 하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로부터 분리된 간지를 수용하고, 상기 간지를 상기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도록 회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접수단은 가접 완료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간지와 동일한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도록 회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간지받침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교대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상기 간지가 삽입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접수단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가 로딩되는 것으로 가접 완료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배출하도록 회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를 정렬하고 일부분을 가접하는 가접부와, 상기 가접부를 이동시키는 안내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접부는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가접부는 상기 커버레이가 흡착되는 커버레이 픽업부재와,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는 정렬센서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에 열을 가하여 가접하는 가압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이 픽업부재가 상기 커버레이의 일측 또는 타측 모서리의 양단에 흡착되어 평면상에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가 정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에서 커버레이를 연속적으로 분리하고 이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정확하게 가접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가접 또는 접합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커버레이 가접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은 도체 패턴이 형성된 동박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커버레이를 소정 위치에 정렬시킨 다음 이들을 서로 가접하고, 가접된 시트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완전히 접합한 다음 소정의 패턴 및 크기로 재단함으로써 대량 생산된다.
본 발명의 커버레이 가접장치는 동박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커버레이를 정렬하고 가접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가접장치에 의하여 커버레이의 가접이 완료된 동박시트는 가접 완료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동박시트에는 회로 배선에 해당하는 도체 패턴이 형성되며, 커버레이시트는 도체 패턴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커버레이시트 및 동박시트의 접합면에는 열경화성의 접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커버레이(1)와 동박시트(7)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지만, 정렬 방법뿐만 아니라 커버레이(1) 및 이형지(3)가 부착된 커버레이시트(5) 및 동박시트(7)의 형상을 볼 수 있다. 커버레이시트(5)는 폴리이미드 수지, PET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고분자 필름으로 된 커버레이(1)에 이형지(3)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이형지(3)는 각각의 커버레이시트(5)가 서로 엉겨 붙지 않게 하고, 커버레이시트(5) 및 동박시트(7)가 서로 접합되기 전에 커버레이 시트(5)의 접합면을 보호하는 것이다. 커버레이시트(5)를 동박시트(7)에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커버레이(1)와 이형지(3)를 분리하고 접합면을 노출시켜야 한다.
동박시트(7)는 동박(銅箔) 등의 도체 패턴(8)이 폴리이미드 수지, PET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고분자 필름 위에 패터닝된 것이다. 여러 장의 동박시트(7)가 적재된 경우 각각의 동박시트(7)가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간지(미도시)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화된 커버레이 가접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열거되는 각각의 참조 도면과 함께 도 1을 항상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접장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10), 동박시트 적재수단(30), 가접수단(50), 커버레이 이송수단(20), 동박시트 이송수단(40)을 포함하며, 간지배출수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커버레이 분리수단(1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커버레이 분리수단(10)은 다수 매의 커버레이시트(5)를 적재하는 적재부(110)와, 적재부(110)의 커버레이시트(5)를 분리부(130)에 낱장 이송하는 이송부(120)와, 커버레이시트(5)를 커버레이와 이형지로 분리하는 분리부(130)와,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안착하는 평판 형상의 안착부(140)를 구비한다.
도 3은 적재부(1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적재부(110)는 적재받침대(111)와 적재가이드(112)를 구비하며, 다수 매의 커버레이시트(5)를 적재한다. 적재부(110)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5)는, 그 배면의 일부가 적재받침대(111)에 의하여 지지되며 그 배면의 또 다른 일부는 이송부(120)의 픽업 부 재(122)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노출된다. 적재가이드(112)는 커버레이시트(5)의 측면에 접촉되어 커버레이시트(5)를 정렬한다. 적재가이드(112)는 커버레이시트(5)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될 수 있으므로 적재부(110)는 임의의 크기의 커버레이시트(5)를 적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이송부(120)는 적재부(110)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5)를 한 장씩 픽업(pick up)하여 안착부(140)로 이송한다. 이송부(120)는 커버레이시트(5)를 낱장으로 픽업하는 픽업 부재(122), 픽업 부재(122)를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액츄에이터(127), 픽업 부재(122)를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액츄에이터(126)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방향은 x축 방향이며, 제2방향은 z축 방향이고, 제1액츄에이터(127)는 이송부 모터(123)와, 이송부 모터(12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 스크류(124)와, 볼 스크류(124)에 맞물려 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슬라이더(125)를 구비한다. 제2액츄에이터(126)는 픽업 부재(122)를 z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공압 실린더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방향은 x축 외의 다른 방향을 지시할 수 있고, 제2방향도 z축 외의 다른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이송부(12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픽업 부재(122)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가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픽업 부재(122)의 초기 위치는 P1, 픽업 부재(122)가 커버레이시트(5)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하여 커버레이시트(5) 방향으로 상승된 위치는 P2, 커버레이시트(5)를 적재받침대(111)로부터 낱장 픽업하기 위하여 픽업 부재(122)가 커버레이시트(5)의 배면에 부착된 다음 아래로 하강된 위치를 P3, 픽업된 커버레이시트(5)의 꼭지부(도 10 참조, K)를 털어주기 위하여 제1분리부(131)로 커버레이시트(5)가 이동된 위치를 P4, 제1분리부(131)를 통과한 커버레이시트(5)가 제2분리부(132) 및 제3분리부(133)로 이동된 위치를 P5, 커버레이 및 이형지의 분리를 완료한 다음 초기 위치 P1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픽업 부재(122)가 아래로 하강되는 위치를 P6로 표시하였다. 이때, 픽업 부재(122)의 이동 궤적을 참조부호 P1~P6 로 표현하면, P1-P2-P3-P4-P5-P6-P1 이 된다.
픽업 부재(122)가 참조 부호 P2 위치로 상승하였을 때 커버레이시트(5)가 낱장으로 픽업 부재(122)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픽업 부재(122)의 상면에 접착성 테이프(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픽업 부재(122)의 상면에 음압을 형성하는 에어 홀(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커버레이시트(5)를 낱장 픽업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1액츄에이터(127) 및 제2액츄에이터(126)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적재부(110)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5)는 그 일부만 적재받침대(111)로 지지되므로, 낱장 픽업을 위한 힘(예를 들어 상기 접착력 또는 음압)이 적재받침대(111)의 지지력보다 크기만 하면 낱장 픽업이 가능하므로 상기 접착력 또는 음압의 크기는 커버레이시트(5)의 전체가 지지되는 경우보다 작다.
도 10 내지 도 14는 분리부(130)의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분리부(130)는 이송부(1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커버레이시트(5)를 커버레이와 이형지로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 작용은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보다 여러 단계에 걸쳐 점 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균일한 분리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커버레이시트(5)의 파손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분리부(130)는 제1분리부(131), 제2분리부(132) 및 제3분리부(13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분리부(131), 제2분리부(132) 및 제3분리부(1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커버레이 및 이형지가 분리되는 실시예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분리부의 실시예가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제1분리부(13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분리부(131)는 커버레이시트(5)의 꼭지부(K)를 반복적으로 털어줌으로써 접촉 충격력을 작용하는 회전 날개(1312)와, 회전 날개(1312)를 회전시키는 제1분리부 모터(1311)를 구비한다. 제1분리부(131)는 회전 날개(1312)의 접촉 충격력에 의하여 커버레이시트(5)의 꼭지부(K)를 털어줌으로써, 꼭지부(K)에 대하여 커버레이 및 이형지를 분리한다.
회전 날개(1312)의 회전 방향이 커버레이시트(5)와 평행한 평면에 존재하는 제1분리부(131)의 실시예 외에, 제1분리부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점선 원 내부에 도시되었다. 즉, 회전 날개(1312')의 회전 방향이 커버레이시트(5) 평면과 수직인 제1분리부(131')의 실시예와, 회전 날개(1312")의 회전 방향이 커버레이시트(5) 평면과 소정 각도 경사진 제1분리부(131")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왕복 직선 운동에 의하여 커버레이시트의 모서리를 털어주는 제1분리부의 변형된 실시예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제1분리부의 동작시 이송부(120)의 픽업 부재(122)는 도 7에 도시된 P4 위치에 있다. 회전 날개(1312)가 커버레이시트(5)의 꼭지부(K)에 접촉 충격력을 작용하 는 동안 커버레이시트(5)의 이송은 도 7의 P4 위치에서 잠시 정지된다. 제1분리부(131)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 커버레이시트(5)는 제2분리부(132)를 향하여 이송된다.
도 11은 제2분리부(13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분리부(132)는 커버레이시트(5)의 꼭지부(K)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분리부 노즐(1321)과, 상기 에어 분사에 의하여 위로 들려진 커버레이를 음압에 의하여 흡착하는 흡착판(1322)을 구비한다. 흡착판(1322)에 의하여 흡착된 커버레이(1) 및 이형지(3) 사이의 틈새는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가 인입되는 개구가 된다.
커버레이시트(5)의 상면 및 배면에 각각 밀착되는 고정대(135a,135b)는 커버레이시트(5)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제2분리부 노즐(1321)로 에어를 불어 꼭지부(K)의 커버레이가 이형지로부터 충분히 들리게 한다. 그리고, 흡착판(1322)으로 꼭지부(K)의 커버레이를 흡착하여 꼭지부(K)에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며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가 이 틈새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분리부(132)의 에어 분사 및 흡착시 커버레이시트(5)의 이송은 도 8의 P5 위치에서 잠시 정지된다. 이송부(120)의 픽업 부재(122)는 도 8에 도시된 P5 위치에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제3분리부(13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분리부(133)는 커버레이시트(5)의 모서리부(L)를 따라 이동되면서 에어를 분사하는 제3분리부 노즐(1331)과, 커버레이를 클램핑하여 안착부(140)로 이송하는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와, 이형지를 클램핑하여 커버레이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형지 클램프(1338)를 구비한다.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는 커버레이시트(5)의 폭방향을 따라 1쌍(1335,1336)이 배치되며 그 이격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형지 클램프(1338)는 제1커버레이 클램프(1335) 및 제2커버레이 클램프(1336) 사이의 위치로 상승/하강된다.
제3분리부(133)는 커버레이시트(5)의 모서리부(L)에 대한 분리 작업을 먼저 진행하고(도 12 참조), 이어서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 및 이형지 클램프(1338)의 클램핑 작업이 진행되며(도 13 참조), 다음으로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 및 이형지 클램프(1338)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커버레이시트(5)의 전체 면적에 걸쳐 이형지를 완전히 분리한다(도 14 참조).
제3분리부(133)는 꼭지부(K)의 틈새로 에어를 분사하며,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로 커버레이를 집어서 안착부(140) 방향(커버레이의 로딩 방향에 해당)으로 이송하고, 이형지 클램프(1338)로 이형지를 집어서 커버레이 면에 수직되는 방향(커버레이의 로딩 방향과 수직 방향에 해당)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커버레이 및 이형지는 전체 면적에 걸쳐 완전히 분리되며, 분리된 커버레이는 안착부(140)로 이송되고, 분리된 이형지는 커버레이 가접장치의 아래 방향에 있는 수거함에 수거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를 참조하면, 에어를 분사하며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분리부 노즐(1331)에 의하여 커버레이시트(5)의 모서리부(L)에 걸쳐 커버레이 및 이형지가 분리된다. 그리고, 제3분리부 노즐(1331)의 뒤를 따라 제1커버레이 클램프(1335)의 고정 블레이드(1335a) 및 제2커버레이 클램 프(1336)의 고정 블레이드(1336a)가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3분리부 노즐(1331)이 벌려 놓은 틈새에 삽입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커버레이 클램프(1335) 및 제2커버레이 클램프(1336)가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회동 블레이드(1336b,1336b)가 회동되며 고정 블레이드(1335a, 1336a)에 밀착된다. 고정 블레이드(1335a, 1336a) 및 회동 블레이드(1336b,1336b)가 밀착되면 커버레이의 이송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때 이형지 클램프(1338)는 제1커버레이 클램프(1335) 및 제2커버레이 클램프(1336) 사이의 위치로 상승되어 있으며, 이형지 클램프(1338)의 제1블레이드(1338a) 및 제2블레이드(1338b)는 아직 접촉되기 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의 이송이 시작되면서 이형지가 이형지 클램프(1338)의 제1블레이드(1338a) 및 제2블레이드(1338b) 사이로 인입됨과 동시에, 제2블레이드(1338b)가 이동하여 제1블레이드(1338a)에 밀착되면서 이형지를 집는다.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가 안착부 방향(x축 방향)의 이동을 계속할 때 이형지 클램프(1338)는 이와 수직되는 방향인 커버레이 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형지와 분리된 커버레이는 안착부(140) 방향으로 계속 이송되고 이형지는 커버레이 가접장치의 아래 방향에 배치된 수거함(미도시)으로 이송된다.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커버레이 및 이형지는 전체 면적에 걸쳐 완전히 분리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착부(140)는 이형지와 분리된 커버레이가 커버레이 클램프(1335,1336)에 의하여 이송된 다음 가접수단(50)으로 이송되기 전에 대기하 는 장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착부(140)에 안착된 커버레이는 커버레이 이송수단(20)에 의하여 가접수단(50)으로 이송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레이 이송수단(20)은 커버레이 흡착판(25)과, 이를 x축 방향(가접수단 방향에 해당)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21)와, y축 방향(가접수단에 수직한 방향에 해당)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22)와, z축 방향(커버레이 흡착판(25)을 승강시키는 방향에 해당)으로 이송하는 제3이송부(23)를 구비한다. 커버레이 흡착판(25)은 공기를 흡입하여 안착부(140)에 안착된 커버레이를 흡착하며, 가접수단(50)으로 이송된 다음 공기의 흡입을 해제하여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올려놓는다.
도 1에 도시된 동박시트 적재수단(30)에는 다수 매의 동박시트가 적재된다. 일반적으로 동박시트는 간지와 교대로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박시트는 동박시트 이송수단(40)에 의하여 가접수단(50)으로 이송되며, 간지는 간지배출수단(70)에 의하여 따로 배출된다. 간지 배출 장소는 동박시트 적재수단(30)이 배치된 영역(Ⅲ, 이하 동박시트 적재영역이라 함)의 아래쪽 영역(Ⅲ', 이하 배출영역이라 함)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된 동박시트 이송수단(40)은 동박시트 적재수단(30)에 적재된 동박시트를 가접수단(50)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동박시트 이송수단(40)은 동박시트 흡착판(45)과, 감지센서(44)와, 제1이송부(41)와, 제2이송부(42)를 구비한다.
동박시트 흡착판(45)은 동박시트 적재수단(30)에 적재된 동박시트를 흡착하 여 낱장으로 픽업한다. 동박시트 흡착판(45)은 동박시트 적재수단(30)의 상측에서 제1이송부(41) 및 제2이송부(42)에 의하여 안내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동박시트를 흡착하고 공기의 흡입을 끊어서 동박시트의 흡착을 해제한다.
감지센서(44)는 동박시트 흡착판(45)에 동박시트가 흡착되었는지 간지가 흡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서, 감지센서(44)는 광량의 차이에 따라 동박시트 또는 간지 흡착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이다.
동박시트 적재수단(30)에 동박시트 및 간지가 교대로 적재된 경우, 동박시트 흡착판(45)은 동박시트 또는 간지에 교대로 대면된다. 감지센서(44)는 동박시트인지 간지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동박시트 흡착판(45) 및 간지배출수단(70)의 동작을 결정한다. 감지센서(44)의 지령에 따라 동박시트는 동박시트 흡착판(45), 제1이송부(41) 및 제2이송부(42)에 의하여 가접수단(50)으로 이송되고, 간지는 간지배출수단(70)에 의하여 배출영역으로 배출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이송부(41)는 동박시트 흡착판(45)을 y축 방향(동박시트의 로딩/언로딩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이송부(42)는 동박시트 흡착판(45)을 z축 방향(동판 시트의 상승/하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동박시트 흡착판(45) 및 감지센서(44)는 2자유도의 운동을 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제3이송부를 추가 설치하여 x축 방향으로 동박시트 흡착판(45) 및 감지센서(44)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동박시트 이송수단(40) 및 간지배출수단(70)의 연결 동작에 있어서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로서, 동박시트 이송수단(40)이 제1이송부(41) 및 제2이송부(42)만을 구비함으로써 동박시트 흡착판(45)의 x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동박시트 흡착판(45)이 간지를 흡착한 채 z축 방향으로 상승하면 동박시트 흡착판(45)의 하측으로 간지받침대(75)가 이동된다. 이어서, 동박시트 흡착판(45)의 공기 흡입이 끊어지면서 간지는 간지받침대(75)로 착지된다.
한편, 동박시트 흡착판(45)이 동박시트를 흡착한 경우에도 간지받침대(75)가 동박시트 흡차판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지만, 동박시트는 간지받침대(75)에 착지되지 않고 가접수단(50)으로 계속 이동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간지배출수단(70)은 간지받침대(75)와, 간지받침대(75)를 직선 이동 및 회동시키는 간지받침대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즉, 간지받침대(75)는 간지받침대 구동부에 의하여 도 1의 참조부호 Ⅳ 영역(이하 간지저장영역이라 함)으로부터 참조부호 Ⅲ 영역(동박시트 적재영역)으로 직선이동되며, 동박시트 흡착판(45)에 흡착되어 상승된 간지를 수용한다.
간지받침대 구동부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봉(71)과, 안내봉(71)을 따라 직선이동되며 간지받침대(75)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슬라이더(72)를 구비한다. 따라서, 슬라이더(72)가 안내봉(71)을 따라 직선 이동되면 간지받침대(75)도 직선 이동되며, 간지받침대(75)는 슬라이더(7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동박시트 흡착판(45)에서 분리된 간지를 수용한 간지받침대(75)는 간지저장영역(도 1의 참조부호 Ⅳ 영역)으로 복귀되며, 간지받침대 구동부에 의하여 회동(도 1을 참조하면 간지받침대(75)의 회동에 의하여 간지받침대(75)가 경사진다)됨 으로써 간지를 배출영역(도 1의 참조부호 Ⅲ' 영역)으로 배출한다. 간지받침대(75) 상에 저장된 간지는 간지받침대(75)의 회동시 그 자중에 의하여 배출영역으로 낙하 이동된다.
즉, 동박시트 흡착판(45)의 상승시 간지받침대(75)가 동박시트 흡착판(45)의 하부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동박시트 흡착판(45)에 간지가 흡착되었음을 감지센서(44)가 감지하면 동박시트 흡착판(45)의 공기 흡입을 끊어서 간지가 간지받침대(75)에 착지되게 한다. 간지배출수단(70)은 착지된 간지를 배출영역으로 배출하고 동박시트 흡착판(45)은 동박시트의 흡착을 위하여 다시 하강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동박시트 이송수단(40)이 3자유도의 이송부를 갖는 경우, 동박시트 흡착판(45)이 간지를 직접 간지저장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간지배출수단(70)이 간지를 z축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흡착판을 구비하는 경우, 동박시트 흡착판(45)에 의하지 않고 간지배출수단(70)이 동박시트 적재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간지를 직접 픽업하여 간지저장영역으로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배출영역으로 간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간지받침대(75)가 회동되는 주기는, 간지 한 장마다 또는 간지 여러 장마다 회동될 수 있다.
요약하면, 감지센서(44)가 동박시트 적재수단(30)의 동박시트를 감지하면 동박시트 흡착판(45), 제1이송부(41) 및 제2이송부(42)를 동작하여 동박시트를 가접수단(50)으로 이송하고, 감지센서(44)가 동박시트 적재수단(30)의 간지를 감지하면 간지배출수단(70)을 동작하여 간지를 배출영역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되 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가접수단(50)은 동박시트 이송수단(40)에 의하여 이송된 동박시트와, 커버레이 이송수단(20)에 의하여 이송된 커버레이를 가접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접수단(50)은 베이스플레이트(51)와, 한 쌍의 가접부(53)와, 안내가이드부(57)를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51)에는 동박시트와 커버레이가 가접을 위하여 로딩(loading)된다. 먼저 동박시트 이송수단(40)에 의하여 동박시트가 로딩되며, 커버레이 이송수단(20)에 의하여 커버레이가 동박시트의 상면에 로딩된다. 베이스플레이트(51)는 회동 가능하게 커버레이 가접장치에 결합된다. 가접부(53)에 의하여 동박시트와 커버레이가 가접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51)가 회동하면서 커버레이가 가접된 동박시트를 배출영역(도 1의 참조부호 Ⅲ' 영역)으로 배출한다.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51)의 회동에 의한 동박시트의 배출영역과 간지받침대(75)의 회동에 의한 간지의 배출영역은 도 1의 참조부호 Ⅲ' 영역으로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51) 및 간지받침대(75)의 회동 주기를 교대로 설정하여, 간지배출수단(70)에 의하여 동박시트 적재영역으로부터 회수한 간지를 가접수단(50)에 의하여 가접 완료된 동박시트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간지가 삽입되면 가접 완료된 동박시트가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접부(53)는 베이스플레이트(51)에 로딩된 동박시트에 커버레이를 정렬시켜 커버레이의 일부분을 동박시트에 접합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접부(53)는 커버레이 픽업부재(535)와, 정렬센서(534)와, 가압착부(537)를 구비한다. 커버레이 픽업부재(535)는 공기를 흡입하여 커버레이를 픽업하고 공기 흡입을 끊으면 커버레이의 픽업을 해제한다. 정렬센서(534)는 커버레이가 동박시트에 정렬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하여 정렬센서(534)는 비전(vision) 처리를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착부(537)는 커버레이가 동박시트에 바르게 정렬된 경우 열을 가하여 커버레이의 일부를 동박시트에 접합시킨다.
안내가이드부(57)는 베이스플레이트(51) 위에서 가접부(53)를 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킨다. 필요에 따라 안내가이드부(57)는 z축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접부(53)는 안내가이드부(57)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51) 평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z축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7은 동박시트와 커버레이의 가접과정을 설명한다. 커버레이 분리수단(10)에 의하여 이형지가 이미 분리되었다. 베이스플레이트(51)에 동박시트과 커버레이가 로딩되면, 한 쌍의 가접부(53)는 커버레이 픽업부재(535)를 사용하여 커버레이의 양단을 픽업한다. 도시된 예에 의하면 커버레이의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을 픽업한다.
정렬센서(534)를 사용하여 커버레이가 동박시트에 정확하게 정렬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정렬 상태가 불량인 경우 안내가이드부(57)에 의하여 가접부(53)를 이동시켜서 커버레이를 동박시트에 정확하게 일치시킨다.
즉, 커버레이의 일측 또는 타측 모서리의 양단을 픽업하여 평면상에서 이동 시는 것으로 커버레이 및 동박시트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정렬센서(534)로 커버레이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동박시트에 커버레이를 정렬할 수 있다. 커버레이의 좌측 상단, 좌측 하단,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의 4개의 코너 중에서 2개의 코너를 임의로 선택하고 이 2개의 코너를 한 쌍의 커버레이 픽업부재(535)로 각각 흡착하여 정렬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커버레이가 동박시트에 정렬되면 한 쌍의 가압착부(537)를 사용하여 커버레이의 일측 또는 타측 모서리의 양단을 동박시트에 접합시킨다. 그러면 커버레이가 동박시트에 가접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51)가 회동하여 커버레이가 가접된 동박시트을 배출영역으로 배출한다. 배출영역으로 배출된 동박시트 사이에는 간지배출수단(70)에 의하여 회수된 간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출영역에는 동박시트 및 커버레이를 전체 면적에 걸쳐 완전히 접합시키는 접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영역에 접합수단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배출영역에 배출된 동박시트는 별도의 접합장치로 옮겨져 접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다시 참조하며, 본 발명의 가접장치의 레이 아웃을 설명한다. 가접장치의 최적화된 레이 아웃은 동박시트와 커버레이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것에 대응된다. 롤 타입(roll type)으로 감겨지지 않고 낱장 타입(sheet type)으로 된 커버레이시트(5)는 이형지를 벗겨내는 작업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커버레이를 일일이 낱장 단위로 동박시트와 정렬시켜야 하므로 가접장치의 자동화가 매우 어려운 편이다. 자동화된 가접장치를 저렴한 비용과 컴팩트한 크기로 구현하 려면 이형지의 분리, 커버레이의 이송, 동박시트의 이송, 간지의 취출, 가접된 동박시트의 배출 등 다양한 공정을 수행하는 개별 모듈에 대하여 최적화된 배치가 요구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가접 장치에 있어서 개별 모듈의 레이 아웃(lay out)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5)는 커버레이 분리영역(Ⅰ)에 배치된 커버레이 분리수단(10)에 투입되며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로 안착부(140)에 놓여진다. 이형지가 분리된 낱장의 커버레이는 커버레이 이송수단(20)에 의하여 커버레이 분리영역(Ⅰ)으로부터 가접영역(Ⅱ)으로 로딩된다.
마찬가지로 낱장 타입의 동박시트는 동박시트 적재영역(Ⅲ)에 배치된 동박시트 적재수단(30)에 적재된다. 동박시트 이송수단(40)은 동박시트 적재영역(Ⅲ)으로부터 가접영역(Ⅱ)으로 동박시트를 낱장으로 로딩한다.
만약, 적재되는 동박시트 사이에 간지가 개재되는 경우, 간지는 간지배출수단(70)에 의하여 동박시트 적재영역(Ⅲ)으로부터 간지저장영역(Ⅳ)으로 이송되고, 간지받침대(75)의 회동에 의하여 배출영역(Ⅲ')으로 배출된다.
가접영역(Ⅱ)에서 커버레이의 가접이 완료된 동박시트는 베이스플레이트(51)의 회동에 의하여 배출영역(Ⅲ')으로 배출된다. 이때, 동박시트의 배출 및 간지의 배출이 교대로 설정되면 동박시트 사이에 간지를 다시 끼워넣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출영역(Ⅲ')에 접합수단이 마련되면 본 발명의 가접장치를 이용하여 가접 공정까지 완료할 수 있다.
커버레이는 커버레이 분리영역(Ⅰ)으로부터 가접영역(Ⅱ)으로 이송되고 동박 시트는 동박시트 적재영역(Ⅲ)으로부터 가접영역(Ⅱ)으로 이송되며, 간지는 동박시트 적재영역(Ⅲ)으로부터 간지저장영역(Ⅳ)으로 이송되므로, 커버레이 및 동박시트의 이송 경로가 서로 직교하고, 동박시트 및 간지의 이송 경로가 서로 직교한다.
또한, 가접 완료된 동박시트는 가접영역(Ⅱ)으로부터 배출영역(Ⅲ')으로 배출되고 간지는 간지저장영역(Ⅳ)으로부터 배출영역(Ⅲ')으로 배출되므로, 가접완료된 동박시트 및 간지의 배출 경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접장치는 커버레이, 동박시트 및 간지의 이송 경로와, 동박시트 및 간지의 배출 경로가 각각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가접 소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버레이 가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마련되는 적재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마련되는 이송부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마련되는 제1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마련되는 제2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커버레이 분리수단에 마련되는 제3분리부를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동박시트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가접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가접 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커버레이 3 : 이형지
5 : 커버레이시트 7 : 동박시트
8 : 도체 패턴 10 : 커버레이 분리수단
110 : 적재부 111 : 적재받침대
112 : 적재가이드 120 : 이송부
122 : 픽업 부재 123 : 이송부 모터
124 : 볼 스크류 125 : 슬라이더
126 : 제2액츄에이터 130 : 분리부
131 : 제1분리부 1312 : 회전 날개
1311 : 제1분리부 모터 132 : 제2분리부
1321 : 제2분리부 노즐 1322 : 흡착판
133 : 제3분리부 1331 : 제3분리부 노즐
1335 : 제1커버레이 클램프 1336 : 제2커버레이 클램프
1335a, 1336a : 고정 블레이드 1335b,1336b : 회동 블레이드
1338 : 이형지 클램프 1338a : 제1블레이드
1338b : 제2블레이드 135a,135b : 고정대
140 : 안착부 20 : 커버레이 이송수단
21 : 제1이송부 22 : 제2이송부
23 : 제3이송부 25 : 커버레이 흡착판
30 : 동박시트 적재수단 40 : 동박시트 이송수단
41 : 제1이송부 42 : 제2이송부
44 : 감지센서 45 : 동박시트 흡착판
50 : 가접수단 51 : 베이스플레이트
53 : 가접부 534 : 정렬센서
535 : 커버레이 픽업부재 537 : 가압착부
57 : 안내가이드부 70 : 간지배출수단
71 : 안내봉 72 : 슬라이더
75 : 간지받침대

Claims (25)

  1.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를 적재하고 상기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이송하며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서로 분리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도체 패턴이 형성된 동박시트를 적재하는 동박시트 적재수단;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으로부터 커버레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 적재수단으로부터 동박시트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동박시트를 정렬하고 적어도 일부분을 가접하는 가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 또는 모서리부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때,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 다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제1분리부, 제2분리부 및 제3분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를 털어주는 회전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분리부 노즐과 상기 커버레이의 꼭지부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흡착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3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일측 모서리를 클램핑하는 커버레이 클램프와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하는 이형지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폭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에 선행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제3분리부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레이를 클램핑하며,
    상기 이형지 클램프는 상기 한 쌍의 커버레이 클램프 사이에서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는 상기 커버레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레이의 로딩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형지 클램프는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레이의 로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클램프는,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 블레이드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를 클램핑하는 회동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분리수단은,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다수 매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픽업하여 상기 분리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상기 가접수단에 투입하기 전에 대기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정렬하는 적재가이드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일부를 지지하고 그 나머지 일부는 상기 이송부에 노출되게 하는 적재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부재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픽업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부재의 초기 위치를 P1, 상기 픽업 부재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하여 상기 커버레이시트 방향으로 상승된 위치를 P2, 상기 픽업 부재가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배면에 부착된 다음 아래로 하강된 위치를 P3,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를 털어주는 회전 날개에 상기 커버레이시트가 대면되게 하는 위치를 P4,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가 상기 분리부에 의하여 각각 클램핑되는 위치를 P5,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부재가 아래로 하강되는 위치를 P6라고 할 때,
    상기 픽업 부재의 이동 궤적은 P1-P2-P3-P4-P5-P6-P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픽업하는 상기 픽업 부재의 상면에 접착성 테이프 또는 음압을 형성하는 에어 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이송수단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흡착하는 커버레이 흡착판과,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상기 가접 수단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상기 제1이송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커버레이 흡착판을 승강시키는 제3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간지를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는 간지배출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배출수단은,
    상기 간지가 착지되는 간지받침대와,
    상기 간지받침대를 직선 이동 및 회동시키는 간지받침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시트 이송수단은,
    상기 동박시트를 흡착하는 동박시트 흡착판과,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에 상기 동박시트가 흡착되었는지 상기 간지가 흡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을 상기 가접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을 승강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받침대는,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이 상승되면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의 하측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상기 동박시트 흡착판로부터 분리된 간지를 수용하고, 상기 간지를 상기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접수단은 가접 완료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간지와 동일한 배출영역으로 배출하도록 회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간지받침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교대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상기 간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접수단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가 로딩되는 것으로 가접 완료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을 배출하도록 회동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를 정렬하고 일부분을 가접하는 가접부와,
    상기 가접부를 이동시키는 안내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접부는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가접부는 상기 커버레이가 흡착되는 커버레이 픽업부재와,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의 정렬 여부를 감지하는 정렬센서와, 상기 동박시트 및 상기 커버레이에 열을 가하여 가접하는 가압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커버레이 픽업부재가 상기 커버레이의 일측 또는 타측 모서리에 흡착되어 평면상에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동박시트의 이송 경로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가접수단에 의하여 가접 완료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직교하는 이송 경로들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가접장치.
  22. 낱장 타입의 커버레이시트를 적재하고 상기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이송하며 커버레이와 이형지를 서로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 또는 모서리부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때,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한 다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제1분리부, 제2분리부 및 제3분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를 털어주는 회전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시트의 꼭지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2분리부 노즐과 상기 커버레이의 꼭지부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흡착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3분리부는 상기 커버레이 및 상기 이형지 사이의 틈새에 인입되어 상기 커버레이의 일측 모서리를 클램핑하는 커버레이 클램프와 상기 이형지를 클램핑하는 이형지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레이시트를 다수 매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픽업하여 상기 분리부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커버레이를 대기시키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재부의 최하단에 적재된 커버레이시트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부재를 상기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픽업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레이 분리수단.
KR1020070123728A 2007-11-30 2007-11-30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KR10096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28A KR100969505B1 (ko) 2007-11-30 2007-11-30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US11/966,715 US20090139471A1 (en) 2007-11-30 2007-12-28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28A KR100969505B1 (ko) 2007-11-30 2007-11-30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32A true KR20090056532A (ko) 2009-06-03
KR100969505B1 KR100969505B1 (ko) 2010-07-09

Family

ID=4067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728A KR100969505B1 (ko) 2007-11-30 2007-11-30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39471A1 (ko)
KR (1) KR100969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65B1 (ko) * 2012-05-18 2014-01-24 (주)우리엔지니어링 커버레이 로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5068B (zh) * 2014-04-22 2016-03-02 浙江峻和橡胶科技有限公司 双冷却多通道管路系统及其生产工艺
WO2018088578A1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린도 티엠알 로봇 자동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721A (en) * 1989-03-31 1991-10-01 Gorman Jr Philip P Water meter service coupling
US5624139A (en) * 1994-05-12 1997-04-29 Dwayne Van Kooten Elastomeric hose coupling
JP3585010B2 (ja) * 1996-08-05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水冷式v型内燃機関の冷却水通路構造
US6450545B1 (en) * 2001-02-21 2002-09-17 Parker Hennifin Corporation Fluid coupling plug
US7699804B2 (en) * 2003-01-31 2010-04-20 Creare Inc. Fluid ejection system
JP3880536B2 (ja) 2003-04-15 2007-02-14 株式会社フジクラ カバーレイと銅張積層板の貼り合わせ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234732B2 (en) * 2003-09-30 2007-06-26 Wcm Industries, Inc. Pipe coupling for joining pipes of varying diameters
KR100528062B1 (ko) * 2004-04-07 2005-11-15 (주)포틱스테크놀로지 반도체 패키지용 플렉시블피시비 필름의 커버레이필름 라미네이션 방법 및 커버레이필름 라미네이션 장치
WO2005100220A1 (ja) * 2004-04-13 2005-10-27 Beac Co., Ltd. カバーレイ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
US7373771B2 (en) * 2004-07-09 2008-05-20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oling arrangement for an accessory gearbox and method of cooling
JP4524241B2 (ja) 2005-10-12 2010-08-11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薄板状フィルムの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US7398745B1 (en) * 2006-11-30 2008-07-15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oling system for a marine propulsion device
US7370611B1 (en) * 2006-11-30 2008-05-13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oling system for a marine propuls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65B1 (ko) * 2012-05-18 2014-01-24 (주)우리엔지니어링 커버레이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9471A1 (en) 2009-06-04
KR100969505B1 (ko)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7679B2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貼り合わせ装置
JP3531586B2 (ja) 表示パネルの組立装置および組立方法
CN109867159B (zh) 离型膜剥离方法以及离型膜剥离装置
KR101354065B1 (ko) 커버레이 로딩장치
KR101388277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1354066B1 (ko) 커버레이 가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KR100969505B1 (ko) 커버레이 분리수단 및 이를 구비한 커버레이 가접장치
JP2007302398A (ja) 接合シート貼付装置及び方法
CN112421084A (zh) 用于膜电极的贴合装置
CN112040647A (zh) 一种贴膜机
JP2009218352A (ja) 基板切断装置及び基板切断方法
KR10129501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강부재 합지 장치
CN218856074U (zh) 贴合机
KR101496776B1 (ko) Fpc에 부재플레이트를 탑재하기 위한 부재플레이트 탑재장치
KR102221149B1 (ko) 다층기판의 접합 장치
KR20210000610A (ko) 복합 기판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213936280U (zh) 用于膜电极的贴合装置
CN111376040A (zh) 一种手机pcba板全自动组装机
CN111572920A (zh) 自动贴膜机及贴膜方法
KR101786600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코어기판과 프리프레그 자동 레이업 장치
CN211303861U (zh) 一种多pcs的fpc自动分拣设备
CN216873469U (zh) 一种在线式钢片补强贴合机
CN212122307U (zh) 一种手机pcba板全自动组装机
CN111439414B (zh) 贴膜机
KR101393484B1 (ko) 다층기판 레이업용 가이드핀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