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889A - 비접촉 커넥터 - Google Patents

비접촉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889A
KR20090054889A KR1020080059613A KR20080059613A KR20090054889A KR 20090054889 A KR20090054889 A KR 20090054889A KR 1020080059613 A KR1020080059613 A KR 1020080059613A KR 20080059613 A KR20080059613 A KR 20080059613A KR 20090054889 A KR20090054889 A KR 2009005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tation
optical element
side optical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코이타바시
Original Assignee
추부 니혼 마루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부 니혼 마루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부 니혼 마루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5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4Rotary joints allowing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opposing fibre or fibre bund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측과 고정측에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고, 또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회전측 광소자와, 고정체에 배치된 고정측 광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측 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 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체는 가시광 파장에서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 대하여 투명한 2개의 직육면체 형상 소재 중, 한쪽 소재의 일면에는 얇은 금속막이 증착되어 다른 한쪽 소재와 증착막면을 사이에 두고 접착 성형하여 구성한 외형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의 큐빅미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접촉 커넥터{Non-contact connector}
본 발명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비접촉으로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요즘, 무선기술의 진전에 의해 커넥터로서의 기능을 가지면서, 비접촉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가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카메라와 신호처리부를 비접촉 커넥터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상(撮像)한 영상신호를 비접촉으로 신호처리부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접촉 커넥터의 종래기술로서는, 회전체와 고정체로 구성된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고정체로부터 회전체의 각 부에 비접촉으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이하의 특허문헌1).
또한, 기어에 접속된 반사경(反射鏡)을 회전체에 마련하여, 이 반사경을 매개로 하여 회전체와 고정체간의 비접촉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것으로, 고 속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한 비접촉 커넥터도 있다(예를 들어, 이하의 특허문헌2, 3).
한편, 금속을 표면에 증착시킨 금속증착 거울면은, 글라스 등의 투명소재 외표면에 금속을 증착시켜 거울면으로 하고, 빛을 투명소재 내에 입사시켜 사용하는 평면반사경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제2002-075760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제2006-197553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제2007-103608호 공보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 제2002-075760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수광소자의 전환을 행할 필요가 있어, 고속으로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에 그 전환이 뒤따르지 않으면, 고속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6-197553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제2007-103608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고속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도, 반사경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직선 상에 배치되는 경우, 반사경이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회전측과 고정측의 사이에서 쌍방향에 다 채널로 송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요청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서 생각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측과 고정측에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회전측 광소자와, 고정체에 배치된 고정측 광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측 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 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체는 가시광 파장에서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 대하여 투명한 2개의 직육면체 형상 소재 중, 한쪽 소재의 일면에는 얇은 금속막이 증착되어 다른 한쪽 소재와 증착막면을 사이에 두고 접착 성형하여 구성한 외형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의 큐빅미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커넥터는, 회전측과 고정측에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커넥터는,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접촉 커넥터(10)의 일 예이다.
회전체(1)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고정체(2)는 회전체(1)의 주위에 고정하여 배치된다.
회전체(1)는 회전측 전기회로부(11)와, 회전측 유지부(12)와, 회전측 광소자(13)와, 회전측 트랜스권선(14)과, 회전측 트랜스코어(15), 및 반사체(7)를 구비한다.
회전측 전기회로부(11)는 회전체(1)의 상부에 마련되어, 각종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회전체(1)에 촬상용의 카메라가 설치되어져 있는 경우, 회전측 전기회로부(11)에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 등이 입력되어, 회전측 광소자(13)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회전측 유지부(12)는 회전측 전기회로부(11)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측 전기회로부(11)를 유지한다.
회전측 광소자(13)는 회전축(4)에 직교하는 회전체(1)의 원반면(圓盤面) 상 에 위치한다.
이 회전측 광소자(13)는 회전측 전기회로부(11)로부터의 전기신호에 근거하여 발광하며, 반사체(7)를 매개로 하여 비접촉으로 고정측 광소자(23)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회전측 광소자(13)는 고정측 광소자(23)로부터의 데이터를 반사체(7)를 매개로 하여 수광하여 회전측 전기회로부(11)로 출력한다.
회전측 트랜스권선(14)은 회전측 유지부(12)의 하부에 있으며, 회전체(1) 외주의 요부(凹部)에 위치한다.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고정체(2)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어, 이 회전측 트랜스권선(14)에 의해 회전체(1)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측 트랜스코어(15)는 회전측 트랜스권선(14)을 둘러싸도록 그 단면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측 트랜스코어(15)는 그 요부에 회전측 트랜스권선(14)을 수납하여 고정체(2)와의 사이에서 회전트랜스를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회전측 유지부(12)는 이 회전측 트랜스코어(15)의 일부이다.
반사체(7)는 회전체(1)의 회전축(4) 상에 위치하여,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반사체(7)는 각 광소자(13)(23)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한다.
반사체(7)의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고정체(2)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체(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전기회로부(21)와, 고정측 유지부(22)와, 고정측 광소자(23)와, 고정측 트랜스권선(24), 및 고정측 트랜스코어(25)를 구비한다.
고정측 전기회로부(21)는 고정체(2)의 원반(圓盤) 상부에 마련되어져 있다.
고정측 전기회로부(21)는 고정측 광소자(23)와 접속되어, 고정측 광소자(23)에 의해 수광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고정체(2)에 접속된 외부장치로 출력한다.
또한, 고정측 전기회로부(21)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고정측 광소자(23)로 출력한다.
고정측 유지부(22)는 고정측 전기회로부(21)의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측 전기회로부(21)를 유지한다.
고정측 광소자(23)는 회전측 광소자(13)가 배치된 회전체(1)의 원반면과 대략 평행한 고정체(2)의 평면반(平面盤) 상에 위치한다.
고정측 광소자(23)는 회전측 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체(7)를 매개로 하여 비접촉으로 수광하며, 수광한 데이터를 고정측 전기회로부(21)로 출력한다.
또한, 고정측 광소자(23)는 고정측 전기회로부(21)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광하며, 반사체(7)를 매개로 하여 회전측 광소자(13)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광소자(23)는 회전측 광소자(13)와의 사이에서 회전축(4)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광로가 형성된다.
고정측 트랜스권선(24)은 회전측 트랜스권선(14)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고정체(2)의 내주 측에 위치한다.
고정측 트랜스권선(24)은 고정체(2)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고정측 트랜스코어(25)는 고정측 트랜스권선(24)을 둘러싸도록 그 단면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측 트랜스코어(25)는 그 요부에 고정측 트랜스권선(24)을 수납하여, 회전체(1)와의 사이에서 회전트랜스를 형성한다.
또한, 고정측 유지부(22)는 이 고정측 트랜스코어(25)의 일부이다.
또한, 본 비접촉 커넥터(10)는 회전체(1)의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하거나, 회전체(1)와 고정체(2)의 위치 결정 등 때문에 전동체(轉動體)(31)를 구비한다.
전동체(31)는 회전체(1)와 고정체(2)의 사이 간격에 위치한다.
회전체(1) 및 고정체(2)는 이 전동체(31)의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 내륜 및 외륜을 구비한다.
이 전동체(31)와 내륜 및 외륜에 의해 베어링(5)이 구성된다.
또한, 회전체(1) 회전 동작의 원활화나 위치 결정 등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전동체(31)는 생략 가능하다.
다음으로,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광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그 일 예로, 본 비접촉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회전측 광소자(13)를 발광소자, 고정측 광소자(23)를 수광소자로 하며, 반사 체(7)는 회전축(4)과 회전체(1)의 교점에 있는 회전중심 O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측 발광소자(13)와 고정측 수광소자(23)가 회전중심 O를 향하여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반사체(7)의 평면부분이 선분 CE 상에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이 경우에, 회전측 발광소자(13)는 반사체(7)를 향하여 빛을 발광하고, 그 빛은 반사체(7)에 있어서 반사되어, 고정측 수광소자(23)를 향한다.
이 경우에, 발광소자(13)는 반사체(7)로부터의 빛을 차광하여 수광소자(23)에서 수광할 수 없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수광소자(23)를 발광소자(13)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하는 것으로 이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가 소정 각도 θ만큼 회전하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이 경우, 회전측 발광소자(13)는 위치 A'으로부터 위치 A''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입사광이 거울 등의 반사면에서 반사하는 경우, 반사면에 직교하는 반사중심선과 입사광이 이루는 각도와, 반사중심선과 반사광이 이루는 각도는 같게 된다.
도 3의 예에서는, 발광소자(13)로부터의 입사광과 반사중심선이 이루는 각도(θ/2)는 반사중심선과 반사광이 이루는 각도(θ/2)와 같다.
한편, 반사중심선은 회전측 광소자(13)의 이동에 따라 회전중심 O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한다.
이 이동하는 반사중심선을 따라서 반사체(7)의 반사면을 회전시키면, 입사광 및 반사광과 반사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모두 θ/2로 되기 때문에, 회전측 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반사체(7)에서 반사되어 특정의 고정측 광소자(23)를 항상 향한다.
따라서, 반사체(7)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 회전속도의 절반으로 한다면, 회전측 발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항상 특정의 고정측 수광소자(23)를 향한다.
결국, 회전측 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이 반사체(7)에서 반사하여, 그 광로 선분 상에 고정측 광소자(23)가 위치하는 경우에, 반사체(7)를 매개로 하여 발광소자(13)와 수광소자(23)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도록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를 마련한다.
그리고, 이후, 반사체(7)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 회전속도의 절반으로 하면, 회전축(4)을 중심으로 반사체(7)의 반사면이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측 발광소자(13)가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항상 특정 위치에 있는 고정측 수광소자(23)와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의 회전으로 위치 A''에 회전측 광소자(1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반사중심선은 θ/2에 위치하며, 따라서, 회전측 발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반사체(7)에서 반사되어 고정측 수광소자(23)에서 수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A)로부터 도 4의 (D)는 반사체(7)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7)는, 2개의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71)(72) 중, 한쪽 직육면체(71)의 외표면(73)을 금속 증착 거울면으로 성형한 후, 그 증착 거울면을 다른 한쪽 직육면체(72)에 샌드위치 형상으로 접착 접합하여, 반사면의 두께가 극히 얇고 게다가 그 양면이 반사면으로 되도록 구성한 평면거울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2개의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투명소재(71)(72)를 도시한다.
전자(前者)의 직육면체 aFGbdBCc 내의 abcd면(73)은 금속 증착 가공을 행한 평면 거울면으로 되어 있고, 후자(後者)의 직육면체 EefHAhgD 내의 efgh면(74)과 샌드위치 형상으로 접착 접합하여, 반사체(7)인 직육면체 EFGHABCD 형상의 큐빅미러(7)를 구성한다.
도 4의 (C)는 큐빅미러(7)의 형상(직육면체 EFGHABCD)과 큐빅미러(7)의 평면거울로서의 광학적 기능을 도시한 도이다.
큐빅미러(7)에 대하여 ABCD면으로부터 입사하여, abcd면에서 반사한 후, EFGH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속(光束)의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서, 큐빅미러(7)의 중심축은 회전축(4) 상에 배치되며, 큐빅미러(7) 모서리 ab의 중점 P, 모서리 cd의 중점 Q를 통과하는 직선으로서, 본 큐빅미러(7)의 반사점이다.
또한, 큐빅미러(7)로의 입사(入射) 시 및 출사(出射) 시에 투명소재의 굴절률에 따른 광로의 굴절효과는 복잡함을 고려하여 표현하지 않는다.
도 4의 (D)에 광로의 세부를 도시하면, 도 4의 (D)의 좌측 도면이 도 4의 (C)의 평면도를, 우측 도면이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광로1은 (ABCD면 가운데) AdcD면으로부터 중심축(회전축)(4)에 입사되며, (EFGH면 가운데) EabH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광로2는 (ABCD면 가운데) cd선상으로부터 중심축(4)을 향하여 입사되며, ab선상으로부터 출사하는 광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dBCc면으로부터 입사하여 aFGb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로도 당연히 존재하지만, 광로2와 모두 같은 형태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도면에서도 큐빅미러(7)로의 입사 시 및 출사 시 투명소재(71)(72)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광로의 굴절효과는 복잡함을 고려하여 표현하지 않는다.
또한, 큐빅미러(7)를 구성하는 투명소재(71)(72)는 가시광 파장에서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 대하여 투명하므로, 증착막면(73)에 있어서 가시광 파장 및 근적외선 파장 파를 반사한다.
따라서, 본 큐빅미러(7)에 의해 반사체(7)를 구성하는 것으로 가시광뿐만 아니라 적외선도 반사 가능하여, 회전체(1)와 고정체(2)의 사이에서 적외선 통신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큐빅미러(7)에 의해, 회전체(1)가 180°회전하는 경우(θ=180°), 반사체(큐빅미러)(7)로부터 수광소자(23)를 향한 광로가 차단되는 일없이 증착막면(73)으로 투과한다.
반사체(7)를 반사경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두께를 얇게 하는 등의 고민을 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모든 각도에 대하여 수광소자(23)로의 광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가 90°회전하는 경우(θ=90°), 큐빅미러(7)는 45°회전하여, 반사중심선은 45°에 위치한다.
이 때, 회전측 발광소자(13)는 선분 CO 상에 위치하며, 발광소자(13)로부터 반사체(7)에서 반사된 빛은 위치 B에 있는 수광소자(23)를 향한다.
또한, 회전체(1)가 270°회전하는 경우에는(θ=270°), 큐빅미러(7)는 135°회전하여(θ/2), 반사중심선이 135°에 위치한다.
회전측 광소자(13)는 선분 EO 상에 위치하여, 회전측 발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위치 B의 고정측 수광소자(23)를 향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회전측 광소자(13)가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어느 위치로 이동하여도, 특정 위치에 있는 고정측 수광소자(23)와의 사이에서 항상 광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의 사이에서 단절 없는 광로가 형성되어, 통신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한, 빛의 가역성에 의해 회전측 광소자(13)를 수광소자, 고정측 광소자(23)를 발광소자로 하여도 모두 같은 형태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회전체(1)에 복수의 발광소자(13)를 마련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고정체(2)에 복수의 수광소자(23)를 마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는, 회전측 발광소자(13)와 고정측 수광소자(23)가 정육각형의 각 꼭지점 위치에 위치하는 예이다.
이 예에서도, 회전측 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이 큐빅미러(7)에서 반사되어, 그 광로 선분 상에 고정측 광소자(23)가 위치하는 경우에,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의 사이에서 반사체(7)를 매개로 하여 광로가 형성되도록 각 회전측 광소자(13)와 각 고정측 광소자(23)가 마련되어져 있다.
도 5의 (A)위치에서의 광로를 생각해 본다.
큐빅미러(7)의 반사면은 B3과 B6을 연결하는 선분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 경우, 반사중심선은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측 발광소자 A1로부터 발광된 빛은 반사체(7)에서 반사되어, 고정측 수광소자 B1을 향한다.
또한, 회전측 발광소자 A2도 대응하는 고정측 수광소자 B2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측 발광소자 A3으로부터의 광로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측 수광소자 B3을 향하여 그 광로가 형성된다.
큐빅미러(7)는 증착막면(73)의 양면이 반사면이기 때문에, 그 이외의 각 발광소자 A4~A6도 모두 같은 형태이다.
여기에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가 반시계방향으로 60°회전하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각 발광소자 A1~A6도 60°이동한다.
이 때, 큐빅미러(7)는 회전체(1)의 절반 회전속도이므로 30°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반사중심선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한다.
회전측 발광소자 A1은 고정측 수광소자 B1을 향하여 광로가 형성되고, 회전측 발광소자 A2는 고정측 수광소자 B2를 향하여 광로가 형성된다.
그 이외의 발광소자 A3~A6도 큐빅미러(7)의 증착막면(73) 양면이 반사면이기 때문에 모두 같은 형태이다.
이와 같이 회전측 발광소자(13)와 고정측 수광소자(23)를 복수 배치시킨 경우에도, 각 회전측 광소자(13)와 대응하는 각 고정측 수광소자(23)의 사이에서 항상 광로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 소자(13)(23) 사이에서 단절 없는 광로가 형성되어,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광소자(13)(23)에 의한 통신에 의하여 본 비접촉 커넥터(10)에 있어서 다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60°간극으로 각 소자(13)(23)를 배치시켰지만, 60°간극으로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 있어도 좋다.
반사체(큐빅미러)(7)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의 회전속도 절반으로 한다면, 항상 회전측 광소자(13)와 대응하는 고정측 수광소자(23)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때, 반사체(7)의 초기 각도 위치는 예를 들어, 회전측 발광소자(13)와 고정측 수광소자(23)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도록 반사체(7)의 방향을 설정해 두면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 회전측 광소자(13)는 회전중심 O로부터의 거리가 일정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그 거리는 임의의 위치에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각 회전측 광소자(13)는 대응하는 고정측 광소자(23)로 그 광로가 형성되도록, 각각 그 취부 각도 α를 설정하여 회전체(1)에 마련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회전측 광소자(13)를 발광소자, 고정측 광소자(23)를 수광소자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빛의 가역성에 의해 회전측 광소자(13)를 수광소자, 고정측 광소자(23)를 발광소자로 하여도 모두 같은 형태로 광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비접촉 커넥터(10)에 있어서 동시 쌍방향성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인 회전측 광소자(13)의 일부를 발광소자, 나머지를 수광소자가 되도록 혼합 배치하여도 같은 형태이다.
예를 들어, 회전측 광소자 A1을 발광소자, 광소자 A2를 수광소자로 하면, 고정측 광소자 B1은 수광소자, 광소자 B2는 발광소자가 되도록 혼합 배치한다.
다음으로, 반사체(7)의 회전속도를 회전체(1) 회전속도의 절반으로 시키는 회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그 일 예인 유성기어 변속장치(40)를 도시한다.
이 유성기어 변속장치(40)는 예를 들어 회전체(1) 내부에 마련되어져 있다.
유성기어 변속장치(40)는 태양기어(41)와, 유성기어(42)와, 내기어(43) 및 가로대(44)로 구성된다.
태양기어(41)는 회전체(1)의 중심에 설치된다.
이 태양기어(41)의 회전축과 회전체(1)를 회전시키는 본체장치 측의 회전축은 일치하기 때문에, 태양기어(41)는 회전체(1)와 함께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유성기어(42)는 태양기어(41)의 외측에 배치되며, 태양기어(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동시에, 태양기어(41)와 내기어(43)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유성기어(42)는 내기어(43)에 맞물려진 기어 상에 태양기어(41)와 맞물려진 기어(고착기어)를 구비한 2단 구조이다.
또한, 가로대(44)는 유성기어(42)의 중심과 반사체(7)의 중심(회전축(4) 상의 위치)을 연결하는 선분 상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체장치 측의 회전에 의해 태양기어(41)가 G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성기어(42)는 H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에 따라 반사체(7)도 H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태양기어(41)의 잇수와 유성기어(42)의 잇수 비를 소정 값으로 하는 것으로, 유성기어(42)의 이동속도는 태양기어(41) 회전속도의 절반으로 된다.
이에 따라, 반사체(7)는 회전체(1) 회전속도의 절반으로 회전축(4)을 중심으 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반사체(7)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도를 절반으로 시키는 회전제어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는 본 비접촉 커넥터(10)의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본 비접촉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에는 회전축(4)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륜(532)과, 전동체(轉動體)(533)와, 외륜(531)과, 회전측 마그넷(541)을 구비한다.
이 내륜(532)과 전동체(533) 및 외륜(531)으로 상술한 베어링(5)이 구성된다.
또한, 고정체(2)에는 회전측 마그넷(541)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측 마그넷(542)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체(1)에는 두 개의 탄성체(51, 52)를 더 구비한다.
이 두 개의 탄성체(51)(52)는 모두 대략 같은 탄성특성을 가진다.
도 7의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탄성체(51)(52)는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탄성체(51)의 일단은 내륜(532)에 접속되고, 탄성체(52)의 일단은 외륜(531)에 접속된다.
한편, 회전측 마그넷(541)과 고정측 마그넷(54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력에 의하여 두 마그넷(541)(542)은 공간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체(1)가 회전하여도 회전측 마그넷(541)이 고정측 마그넷(542) 과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륜(531)도 회전측 마그넷(541)과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륜(531)도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이 회전측 마그넷(541)과 외륜(531)으로 공간고정체가 구성된다.
즉, 탄성체(52)의 일단은 회전체(1)의 공간고정체와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체(1)가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탄성체(51)의 일단은 내륜(532)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체(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이 두 개의 탄성체(51)(52)에 의해 탄성체 구동장치(50)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탄성체 구동장치(5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두 개의 탄성체(51)(52)가 선분 PQ 상에 위치하는 경우로부터, 회전체(1)가 회전각도 θ만큼 회전했을 때를 생각해 본다.
즉, 탄성체(51)의 일단이 점 Q로부터 점 Q'로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회전체(1)의 회전에 의해, 두 개의 탄성체(51)(52)가 전체적으로 「x」만큼 늘어났을 때, 두 개의 탄성체(51)(52)의 탄성특성은 대략 같기 때문에, 탄성체(51)는 「x/2」만큼, 탄성체(52)도 「x/2」만큼 늘어난다.
여기에서, 두 개의 삼각형 OPS와 OQ'S를 생각해 보면, 이 두 개의 삼각형은 동일 형상이다.
선분 PS는 「x/2」만큼 늘어나고, 선분 SQ'도 「x/2」만큼 늘어나기 때문이 다.
그리고, 회전체(1)가 θ만큼 회전하는 경우, 선분 PS가 「x/2」만큼 늘어나기 때문에, 반사체(7)는 선분 OR 상의 위치로부터 「θ/2」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1) 회전각도의 절반으로 반사체(7)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탄성체(51)의 일단은 회전체(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1) 상의 위치(점 Q나 점 Q')에 접속되며, 탄성체(52)의 타단은 고정체(2)와 자기력에 의해 공간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 회전체(1) 상의 위치(점 P)에 접속된다.
반사체(7)는 선분 PQ(선분 PQ')의 대략 중앙과 회전축(4)을 연결하는 선분 OR(선분 OS) 상에 반사체(7)의 반사면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도 7의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탄성체 구동장치(50)의 예에 있어서도, 회전체(1)와 고정체(2)를 분리하여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체(1)와 고정체(2)를 예를 들어, 결합 조작 등 간이(簡易)한 조작에 의해 광로가 구성 가능하고, 비접촉에 의한 광 커넥터나 광 콘센트를 용이하게 작성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51)(52)는 실제로는 스프링이나 고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탄성체(51)(52)도 두 개로는 아니고 한 개로도 좋고, 세 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탄성체(51)의 일단은 회전체(1)와 함께 회전하는 위치라면 어디에 접 속되어도 좋고, 탄성체(52)의 일단도 회전체(1) 상에 있는 공간고정체 상이라면 어느 위치에서 접속되어도 좋다.
반사체(7)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도를 절반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 유성기어 변속장치(40) 이외에도, 예를 들어, 반사체(7)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반사체 구동장치와, 회전체(1)의 회전속도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마련하여, 검출장치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반사체(7)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도를 절반으로 하도록 반사체 구동장치에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반사체 구동장치를 적용하는 경우의 반사체(7) 초기 각도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의 유성기어 변속장치(4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반사체(7)는 회전체(1)와 기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체(7)의 회전체(1)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동하지 않는다.
즉, 반사체(7)의 초기 위치를 굳이 설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반사체 구동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브레이크 기구 등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사체(7)의 초기 위치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회전측 발광소자(13)와 고정측 수광소자(23)가 반사체(7)의 회전중심 O를 향하여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회전체(1)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검출장치의 초기 각도 위치라고 하면, 이 때의 회전각도의 절반을 반사체(7)의 초기화 차례 위치로 하도록 입력하여 반사체 구동장치에 피드백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설정하면 좋다.
상술의 반사체 구동기구나 회전각도 검출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반사체(7) 만을 회전축(4) 상에 설치하여, 회전체(1)와 고정체(2)를 결합하는 것으로 회전체(1)와 고정체(2) 간의 광로를 구성하는 구조로 하면, 비접촉의 광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체 구동기구가 없는 구성은 반사체 구동기구의 입력을 0(구동정지)으로 한 상태와 대략 같으므로, 반사체 구동방식의 한 사용형태이다.
또한, 이 반사체 구동기구가 없는 구성은 탄성체 구동장치(50)의 탄성계수를 매우 크게 한(거의 반사체(7)가 움직이지 않음) 상태와 대략 같으므로, 탄성체 구동장치(50)의 한 사용형태이다.
이 들의 구성에 의해, 현재 형상의 이음관(ferrule)에 의한 접촉방식과는 다른 비접촉의 광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커넥터 기능의 구성은, 광로를 전환하는 스위치 기능에 전용이 가능해진다.
도 9는 A''위치에 있는 발광소자(13)로부터, F의 위치(위치 B로부터 각도 γ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수광소자(23)로 전환(switch)하는 예를 도시한다.
같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소자(23)가 B위치로부터 γ만큼 회전하는 경우, 반사체(7)를 γ/2만큼 더 회전시키면(합계로, θ/2+γ/2), 위치 B의 수광소자(23)로부터 위치 F의 수광소자(23)로 스위치 가능하다.
또한, 반사중심선을 생각해 보면, 도 3의 위치에서 반사중심선이 θ/2에 있는 것이지만, 도 9의 위치에서는 반사중심선이 θ/2+γ/2로 되므로, 반사체(7)를 θ/2+γ/2만큼 회전시키는 것으로 위치 B의 수광소자(23)로부터 위치 F의 수광소자(23)로 스위치 가능하다.
도 10은 다단 구성의 비접촉 커넥터(1)의 구성예이다.
상술한 1단 구성의 비접촉 커넥터(1) 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다 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정체(2)의 측면에 고정측 광소자(23)를 마련하고, 각 단에 있어서 고정측 광소자(23)와 회전측 광소자(13)의 사이에서 상술한 단절 없는 광로가 구성된다.
또한, 각 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가 복수 배치되어도 좋으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더욱이, 회전체 측의 각 단은 샤프트(33)에 의해 접속되어,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진다.
다음으로, 도 11을 이용하여 고정체(2)로부터 회전체(1)로의 비접촉에 의한 전력공급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의 회전측 트랜스코어(15) 동체부분에는 회전측 트랜스권선(14)이, 고정체(2)의 고정측 트랜스코어(25) 동체부분에는 고정측 트랜스권선(24)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측 트랜스권선(24)에 본체장치로부터의 전원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고정측 트랜스코어(25)의 주위에 자계(磁界)가 발생한다.
회전체(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자계가 발생한 고정측 트랜스코어(25)와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측 트랜스코어(15)가 위치하면 자기회로가 구성되며, 그 동체부분에 감겨진 회전측 트랜스권선(14)에 전류가 발생한다(이른바, 전자유도의 법칙).
이에 따라, 회전체(1)의 각 부(部)에 전력이 공급되며, 예를 들어 회전측 전기회로부(11)가 구동되어 회전측 광소자(13)가 발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를 이용하여 회전측 전기회로부(11)와 고정측 전기회로부(21)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4개 채널의 데이터(각각 CH. 1~CH. 4)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로, 각 회전측 광소자(133~136)와 대응하는 각 고정측 광소자(233~236)로 한 채널 분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회전측 전기회로부(11)는 각 채널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I/F)회로(111~114)와 구동회로(115~118)를 구비한다.
본체 장치 측으로부터의 데이터는 I/F회로(111~114)에 입력되어 전기회로부(11) 내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구동회로(115~118)에서 그 데이터가 구동데이터로 변환되어, 이 구동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회전측 광소자(133~136)로부터 빛이 발광된다.
고정측 전기회로부(21)는 수신회로(2111~2114)와 스위칭회로(2120) 및 I/F회로(2121~2124)로 구성된다.
소정의 고정측 광소자(233~236)에서 수광된 데이터는 수신회로(2111~2114)에 있어서 전기회로부(21) 내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며, 스위칭회로(2120) 로 출력된다.
스위칭회로(2120)에서는 수신한 각 채널의 데이터를 소정의 출력단으로 출력시키기 위하여 전환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채널의 데이터를 I/F회로(2122)로부터 출력시키고, 두 번째 채널의 데이터를 I/F(2123)로부터 출력시키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칭회로(2120)에 외부로부터의 전환 제어신호를 입력시켜 원하는 출력단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이른바, 멀티플렉서(multiplexer) 기능).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장치 측의 처리에 의해 각 채널의 데이터에 대하여 식별부호를 부가시켜, 이 식별부호를 스위칭회로(2120)에서 판별하여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00」을 판별한 경우에 「1」번째 채널의 데이터로 하고, I/F(2124)로부터 출력시키는 등이다.
이와 같은 채널의 식별부호화는, 고정체(2)에 접속된 본체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처리회로에서 행하여져도 좋으며, 회전측 전기회로부(11)의 구동회로(115~118)에서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모든 채널의 전체 데이터에 채널의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채널 가운데 어느 하나에 부가시켜, 각 채널의 식별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전용 라인화).
이와 같이, 각 데이터에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것으로, 다 채널의 데이터를 고정체(2)에서 수신했을 때, 어느 채널의 데이터인지를 인식하여 소정의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접촉 커넥터(10)에 있어서 자동 채널 전환기능이 실현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한 예에서는, 회전측 광소자(133~136)를 발광소자, 고정측 광소자(233~236)를 수광소자로 한 경우의 각 전기회로부(11)(21)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이 이외에도, 회전측 광소자(133~136)를 수광소자, 고정측 광소자(233~236)를 발광소자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회전측 전기회로부(11)에는 수신회로(2111~2114), 스위칭회로(2120) 및 I/F회로(2121~2124)를 구비하고, 고정측 전기회로부(21)에는 I/F회로(111~114) 및 구동회로(115~118)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측 광소자(13)와 고정측 광소자(23)를 광화이버(光 fiber)로 치환하여, 고정측 광화이버와 회전측 광화이버에 의해 단절 없는 광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비접촉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반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반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의 (A)로부터 도 4의 (D)는 큐빅미러의 구성예 등을 도시하는 도,
도 5는 반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은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유성기어 변속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도 8은 반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는 반사체에 의해 형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0은 비접촉 커넥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도 11은 비접촉에 의한 전력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2는 회전측 전기회로부와 고정측 전기회로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도 13은 채널 식별부호가 부가된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고정체
4 : 회전축 5 : 베어링
7 : 반사체 10 : 비접촉 커넥터
11 : 회전측 전기회로부 12 : 회전측 유지부
13 : 회전측 광소자 14 : 회전측 트랜스권선
15 : 회전측 트랜스코어 21 : 고정측 전기회로부
22 : 고정측 유지부 23 : 고정측 광소자
24 : 고정측 트랜스권선 25 : 고정측 트랜스코어
40 : 유성기어 변속장치 50 : 탄성체 구동장치
51, 52 : 탄성체 71, 72 : 투명소재
74 : 증착막면 531 : 베어링의 외륜
532 : 베어링의 내륜 541 : 회전체측 마그넷
542 : 고정체측 마그넷 2120 : 스위칭회로

Claims (14)

  1.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회전측 광소자와, 고정체에 배치된 고정측 광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측 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 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구비하며;
    상기 반사체는 가시광 파장에서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 대하여 투명한 2개의 직육면체 형상 소재 중, 한쪽 소재의 일면에는 얇은 금속막이 증착되어 다른 한쪽 소재와 증착막면을 사이에 두고 접착 성형하여 구성한 외형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의 큐빅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큐빅미러는 상기 증착막면에 수직한 일면으로 가시광 파 및 근적외선 파가 입사되어 상기 증착막면에서 반사시켜, 상기 증착막면에 수직한 일면으로부터 출사시키는 반사 평면거울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의 사이에서 상 기 반사체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는 광로는 상기 회전축과 대략 직교하고,
    상기 회전측 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 광소자가 상기 반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도록,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의 사이에서 상기 반사체를 매개로 한 광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광소자는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상기 회전체의 원반면(圓盤面)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측 광소자는 상기 회전체의 원반면과 대략 평행한 상기 고정체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며, 상기 반사체는 그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의 절반으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주위를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의 주위를 회전 이동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상기 반사체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의 잇수 비는, 상기 제2기어의 이동속도가 상기 제1기어의 회전속도 절반으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상에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 상의 제1위치에 접속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고정체와 자기력에 의해 공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 상기 회전체 상의 제2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반사체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를 연결하는 선상의 대략 중앙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상에 상기 반사체의 반사면이 위치하도록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회전속도 또는 회전각의 절반으로 상기 반사체를 회전시키는 반사체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광소자는 상기 회전체의 원반면 상의 임의 위 치에 복수 배치되며, 상기 고정측 광소자는 상기 고정체에 복수 배치되고;
    상기 고정측 광소자가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반사체에서 입반사하는 광로 선분 상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반사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각 회전측 광소자와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각 고정측 광소자는 상기 고정체에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원반면 상의 임의 위치에 회전측 발광소자와 회전측 수광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며, 상기 회전측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고정측 수광소자와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를 향하여 빛을 발광하는 고정측 발광소자가 상기 고정체에 혼합하여 배치되고;
    상기 고정측 발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 수광소자가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상기 회전측 발광소자와 상기 반사체에서 입반사하는 광로 선분 상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반사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회전측 발광소자 또는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와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측 수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발광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대략 수직한 면 내에 있는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가 상기 회전축과 대략 평행하게 각각 상기 회전체와 상 기 고정체에 복수 단 배치되며, 각 단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의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 광소자에서 수광한 데이터가 입력되어, 복수의 출력단 가운데 요구되는 출력단으로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고정체 각각에 트랜스코어와 트랜스권선으로 구성된 회전트랜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 광소자와 상기 고정측 광소자를 광화이버(光 fiber)로 구성하여, 상기 광화이버 사이에서 광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KR1020080059613A 2007-11-27 2008-06-24 비접촉 커넥터 KR20090054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5509A JP2009130773A (ja) 2007-11-27 2007-11-27 非接触コネクタ
JPJP-P-2007-00305509 2007-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889A true KR20090054889A (ko) 2009-06-01

Family

ID=4045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613A KR20090054889A (ko) 2007-11-27 2008-06-24 비접촉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36175A1 (ko)
EP (1) EP2065739A1 (ko)
JP (1) JP2009130773A (ko)
KR (1) KR20090054889A (ko)
CN (1) CN101447326A (ko)
IL (1) IL192246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1705B2 (en) 2012-08-24 2016-07-12 Chubu Nihon Maruko Co., Ltd. Non-contact connector
JP2017158052A (ja) * 2016-03-02 2017-09-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ロールコネクタ
EP3570084B1 (de) * 2018-05-16 2020-07-08 LTN Servotechnik GmbH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optischen signalen zwischen zwei drehbaren baueinheiten
CN110332950A (zh) * 2019-06-26 2019-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红外传感模组、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11770045B2 (en) * 2020-01-06 2023-09-26 Kiryl Nikolaevich CHYKEYUK Rotary connector module for device forming quasi three-dimentional image
WO2021139867A1 (ru) * 2020-01-06 2021-07-15 ЧИКЕЮК, Кирилл Модуль поворот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CN114952597B (zh) * 2022-05-31 2023-10-20 杭州众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化学机械平坦化白光终点检测的采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945A (en) * 1976-03-04 1977-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ptical sliprings
NL7904279A (nl) * 1979-05-31 1980-12-02 Hollandse Signaalapparaten Bv Draaibare lichtgeleiderkoppeling.
JPS63201608A (ja) * 1987-02-18 1988-08-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ロ−タリジヨイント
US5442721A (en) * 1994-08-08 1995-08-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ber-optic rotary joint with bundle collimator assemblies
US6759759B2 (en) * 2000-08-29 2004-07-06 Tamagawa Seiki Kabushiki Kaisha Rotary contactless connector and non-rotary contactless connector
JP3598053B2 (ja) 2000-08-29 2004-12-08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回転型非接触コネクタ
US7010191B2 (en) * 2002-02-15 2006-03-07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Optical rotating data transmission device having an unobstructed inner diameter
US6782160B2 (en) * 2002-04-10 2004-08-2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Optical-signal coupler and related method
US7142747B2 (en) * 2003-08-12 2006-11-28 Moog Inc. Fiber optic rotary joint and associated alignment method
JP4263123B2 (ja) 2004-03-23 2009-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
JP4160922B2 (ja) 2004-03-31 2008-10-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マグネシウムワイヤ
WO2006014689A2 (en) * 2004-07-20 2006-02-09 Neptec Optical Solutions. Inc. Rotary optical switch
JP4479488B2 (ja) * 2004-12-01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排気発電装置
JP4119910B2 (ja) * 2004-12-17 2008-07-16 中部日本マルコ株式会社 非接触コネクタ
US7373041B2 (en) * 2005-08-31 2008-05-13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Optical rotary coupling
JP4080503B2 (ja) * 2005-10-03 2008-04-23 中部日本マルコ株式会社 非接触コネクタ
JP5032060B2 (ja) 2006-05-15 2012-09-2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色素増感型太陽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30773A (ja) 2009-06-11
IL192246A0 (en) 2009-02-11
US20090136175A1 (en) 2009-05-28
EP2065739A1 (en) 2009-06-03
CN101447326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285B1 (ko) 비접촉 커넥터
KR20090054889A (ko) 비접촉 커넥터
KR100769882B1 (ko) 비접촉 커넥터
CN109738988B (zh) 基于透镜的全固态水平二维光束转向装置
US777850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optical data connection of movable housing parts
TW200428052A (en) Optical lenses
US6963680B2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for rotary motion assemblies
CN107662223A (zh) 光连接装置、光通信装置、移位检测装置以及机器人
KR100713161B1 (ko) 비접촉 커넥터
JP4723621B2 (ja) 非接触コネクタ
AU2013402093A1 (en) Load center monitor with optical waveguide sheet
JPS6054652B2 (ja) 光路切換デバイス
JPH02113213A (ja) 多芯光ロータリーコネクタ
JP3932915B2 (ja) 光スイッチ
CN109633826A (zh) 一种基于mems的光开关
JPS6028421B2 (ja) 光伝送の分岐方法
KR100451629B1 (ko) 광 스위치
CN202771039U (zh) 一种光开关
KR20040012161A (ko) 광스위치
JP2003185947A (ja) 光スイッチ
JPH0559592B2 (ko)
JP2006108338A (ja) 非接触コネクタ
JPS62240916A (ja) 光フアイバスイツチ
JP2004094181A (ja) 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