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161B1 - 비접촉 커넥터 - Google Patents

비접촉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161B1
KR100713161B1 KR1020050093086A KR20050093086A KR100713161B1 KR 100713161 B1 KR100713161 B1 KR 100713161B1 KR 1020050093086 A KR1020050093086 A KR 1020050093086A KR 20050093086 A KR20050093086 A KR 20050093086A KR 100713161 B1 KR100713161 B1 KR 10071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fixed
side light
light emit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008A (ko
Inventor
히로유키 코이타바시
Original Assignee
추부 니혼 마루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부 니혼 마루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부 니혼 마루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Abstract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회전측광소자와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대향하는 위치로 고정체에 배치된 고정측광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고정측광소자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을 중심축으로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측광소자는 회전체의 원통면상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회전측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회전체, 고정체, 회전축, 베어링, 중공부, 비접촉 커넥터, 회전측전기회로부, 고정측전기회로부, 운동체

Description

비접촉 커넥터{Contactless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로 구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로 구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로 구성되는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단면도,
도 7은 비접촉에 의한 전력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회전측전기회로부(11)와 고정측전기회로부(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전기회로부(11, 21)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고정체
4 : 회전축
5 : 베어링
7 : 중공부
10 : 비접촉 커넥터
11 : 회전측전기회로부
12 : 회전측유지부
13 : 회전측광소자
14 : 회전측트랜스권선
15 : 회전측트랜스코어
17 : 절결부
21 : 고정측전기회로부
22 : 고정측유지부
23 : 고정측광소자
24 : 고정측트랜스권선
25 : 고정측트랜스코어
27 : 절결부
31 : 운동체
131 : 회전측광소자
132 : 회전측광소자
231 : 고정측광소자
232 : 고정측광소자
2120 : 스위칭회로
본 발명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비접촉으로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광로를 구성한 비접촉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회전측과 고정측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졌다.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 등을 고정측의 신호처리부에 송신한다 라는 등이다. 이 경우에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고정측에 송신하기 위하여 카메라와 신호처리부와의 사이에 직접 배선을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였다. 그런데, 근년 무선화 기술의 발전에 의해 직접 배선을 접속하지 않고서도 회전측과 고정측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었다.
그러나, 회전측에서 고정측으로 무선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고정측에서 회전측으로 비접촉에 의한 전력공급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서는 원반상의 회전체 상부에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체의 수광소자를 복수 개 설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비접촉으로 행함과 동시에 회전측과 고정측과의 사이에 회전트랜스를 구성하여 고정측에서 회전측으로 비접촉에 의한 전력공급을 실현시켰다(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문헌1).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제2002-75760호 공보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제2002-75760호에서는 데이터의 통신속도가 고속화하면 반드시 회전체의 발광소자로부터 고정체의 수광소자로의 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즉, 일본 공개특허 제2002-75760호에서는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광소자 간의 비접촉에 의한 광접속이 단절되기 때문에 발광소자로부터의 광로를 다른 수광소자로 광로를 바꾸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환방식은 데이터의 통신속도가 고속화되면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시간보다도 빨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도 있어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회전측광소자와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대향하는 위치로 고정체에 배치된 고정측광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고정측광소자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을 중심축으로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측광소자는 회전체의 원통면상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회전측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발광된 빛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도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광소자는 회전체의 원통면상에 복수단으로 뻗어서 배치되고,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고정체에 복수단으로 뻗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광소자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널화를 실현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회전체와 고정체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복수의 동심 원주상에 배치되며, 또한, 복수단으로 뻗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복수의 동심 원주상에 뻗어서 회전측광소자 및 고정측광소자가 배치되기 때문에 역시 다채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원통면상에 회전측 수광소자와 회전측 발광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 및 회전측 발광소자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측 발광소자와 고정측 수광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회전체에서 고정체 뿐만 아니라 고정체에서 회전체로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임의의 단에 회전측 발광소자 또는 회전측 수광소자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측 발광소자 또는 회전측 수광소자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측 수광소자 또는 고정측 발광소자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임의의 단과는 다른 단에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회전측 발광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회전측 발광소자와 회전에 따라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측 발광소자 또는 고정측 수광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어떤 단에는 회전체에서 고정체로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다른 단에서는 고정체에서 회전체로 데이터가 송수신되기 때문에 회전체와 고정체와의 쌍방향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고정측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입력된 해당 데이터가 어떤 발광소자로부터의 입력데이터인가를 식별하여 식별된 광소자를 미리 요구된 출력으로 바꾸는 전환수 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임의의 출력단에 입력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고정체의 각각에 트랜스코어 및 트랜스권선으로 구성된 회전트랜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고정체에서 회전체로의 비접촉에 의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고정체의 쌍방에 홈 또는 절결부를 만들어 상기 회전측광소자 및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상기 홈 또는 절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회전체 및 고정체 내부에 광소자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접촉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또한 상기 회전측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거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회전측광소자 또는 고정측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은 고정체에서 반사되어 회전체가 회전하여도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원통형태의 비접촉 커넥터(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비 접촉 커넥터(10)는 회전체(1)와 고정체(2)로 구성된다.
회전체(1)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장치와 접속되어 본체장치로부터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체(1)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중공부(7)를 갖는다. 비접촉 커넥터(10)는 이 중공부(7)를 매개하여 본체장치의 회전샤프트에 회전체(1)를 장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체(2)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체(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1)의 원통 외벽과 고정체(2)의 원통 내벽에는 각각 복수단으로 복수개의 광소자(13, 23)가 배치된다. 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회전체(1)의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송신되고, 비접촉으로 고정체(2)의 고정측광소자(23)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고정체(2)에 접속된 본체장치에 출력된다. 여기서, 회전측광소자(13)는 회전체(1)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향하여 발광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고정측광소자(23)도 원주방향으로부터의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고정체(2)에 만들어져 있다. 이것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비접촉 커넥터(1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비접촉 커넥터(10)의 회전축(4)을 포함한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회전체(1)는 회전측전기회로부(11), 회전측유지부(12)와, 회전측광소자(13)와, 회전측트랜스권선(rotation-side transformer winding)(14)과, 회전측트랜스코어(rotation-side transformer core)(15)와, 베어링(5)의 내륜(16) 및 중공부(7)로 구성된다.
회전측전기회로부(11)는 회전체(1)의 상부에 장치되며 각종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촬영용 카메라를 탑재한 회전테이블의 회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 등이 입력되며, 후술하는 회전측광소자(13)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회전측유지부(12)는 회전측전기회로부(11)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측전기회로부(11)를 지지한다.
회전측광소자(13)는 회전측유지부(12)의 외주에서, 회전체(1)의 외벽에 연하여 위치한다. 도 2에서는 2단의 회전측광소자(13)가 배치된다. 회전측광소자(13)는 회전측전기회로부(11)와 접촉되고, 회전측전기회로부(11)로부터의 구동 데이터에 의하여 발광하는 것으로 비접촉으로 고정측광소자(23)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회전측광소자(13)에 의해 1 채널분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회전측트랜스권선(14)은 회전측유지부(12)의 하부에서 회전체(1)의 외주의 요부에 위치한다.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고정체(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회전측트랜스권선(14)에 의해 회전체(1)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측트랜스코어(15)는 회전측트랜스권선(14)을 둘러싸도록 그 단면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측트랜스코어(15)는 그 요부에 회전측트랜스권선(14)을 수납하여 고정체(2)와의 사이에서 회전 트랜스를 형성한다. 고정체(2)와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한 전력공급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베어링(5)의 내륜(16)은 회전체(1)의 외주에 연하여, 또한 운동체(31)와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체(1)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이 내륜(16)은 수지재 등의 비자성재로 형성된다.
중공부(7)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중공구조로 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본체장치의 회전샤프트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비접촉 커넥터(10)를 본체장치에 장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중공부(7)를 매개로 본체장치로부터 공기나 기름을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고정체(2)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체(2)는 고정측전기회로부(21), 고정측유지부(22)와, 고정측광소자(23)와, 고정측트랜스권선(fixed-side transformer winding)(24)과, 고정측트랜스코어(fixed-side transformer core)(25)와, 베어링(5)의 외륜(26)으로 구성된다.
고정측전기회로부(21)는 고정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측전기회로부(21)는 고정측광소자(23)와 접속되고 회전측광소자(13)와의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고정체(2)와 접촉된 외부장치에 출력한다.
고정측유지부(22)는 고정측전기회로부(21)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정측전기회로부(21)를 지지한다.
고정측광소자(23)는 회전측광소자(1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위치에서 고정체(2)의 회전체(1)와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하여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이 고정측광소자(23)도 회전측광소자(13)와 마찬가지로 도 2에서는 좌우에 2개씩 합계 4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광소자(23)는 회전측광소자(13)로 부터의 빛을 연속하여 수광할 수 있도록 회전측광소자(13)와 동일 또는 그것 이상의 수를 고정체(2)에 장치한다.
고정측트랜스권선(24)은 회전측트랜스권선(14)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고정체(2)의 내주측에 위치한다. 고정측트랜스권선(24)은 고정체(2)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고정측트랜스코어(25)는 고정측트랜스권선(24)을 둘러 싸도록 그 단면이 コ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고정측트랜스코어(25)는 그 요부에 고정측트랜스권선(24)을 수납하여 회전체(1)와의 사이에서 회전 트랜스를 형성한다.
베어링(5)의 외륜(26)은 고정체(2)의 내벽에 연하여, 또한 운동체(31)와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도어져 있다. 이 외륜(26)도 내륜(16)과 같이 수지재 등의 비 자성재로 형성된다.
또한, 비접촉 커넥터(10)는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에 운동체(31)를 구비하고, 이 운동체(31)와 회전체(1)의 내륜(16) 및 고정체(2)의 외륜(26)에 의하여 베어링(5)이 형성된다. 베어링(5)은 회전체(1)나 고정체(2)의 위치를 정렬함과 동시에 회전체(1)를 고정체(2)의 내주면에서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베어링(5)은 철강재나 수지재 등의 비자성재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에 의하여 형성되는 광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가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와는 각각 회전체(1)와 고정체(2)에 각각 1개씩 배치되어 있다.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회전체(1)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향하여 발광된다. 발광된 빛은 고정체(2)의 내벽으로 향하는 것이 되지만, 고정체(2)의 내벽에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거울이 설치되어 있어서 내벽으로 향하는 빛은 거울에 반사된다. 물론 반사율이 높은 소재라면 거울 이외의 소재라도 좋다.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내면에 설치된 거울에 의하여 반사를 반복하여 도 3a에서 보인 광로가 형성된다. 그래서, 도 3a에서 보인 것처럼 고정측광소자(23)에 입광한다.
그 후,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회전측광소자(13)의 위치도 도 3a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도 3b에서 보인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도 도면에서 보인 것처럼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은 고정체(2)의 거울에 의하여 반사를 반복하여 고정측광소자(23)에 입광한다.
이와 같이,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의 경로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측광소자(23)에 항상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광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회전체(1)가 회전하여도 회전측광소자(13)과 고정측광소자(23)와의 사이에는 광로가 단절되지 않아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회전체(1)와 고정체(2)에 각각 2개의 회전측광소자(131, 132)와 고정측광소자(231, 232)를 배치한 경우의 광로에 대하여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2개의 회전측광소자(131, 132)는 같이 회전체(1)의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향하여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되지만,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역방향으로 향하여 발광한다. 이 경우에도 고정체(2)의 내벽에는 거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측광소자(131, 132)로부터 발광된 빛은 이 거울에 반사되어 도 4a에 도시한 광로가 형성된다. 즉, 회전측광소자(131)에서 발광된 빛은 고정체(2)의 내벽에 설치된 거울에 의하여 반사를 반복하여 고정측광소자(232)에 입광하고, 회전측광소자(132)에서 발광된 빛도 동일하게 반사를 반복하여 고정측광소자(231)에 입광한다.
그 후, 회전체(1)의 회전에 따라, 회전측광소자(131, 132)의 위치도 도 4b에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하지만, 이 경우도 회전측광소자(131)에서 발광된 빛은 직접 고정측광소자(232)에 입광하고, 회전측광소자(132)에서 발광된 빛은 반사를 반복하여 고정측광소자(231)에 입광한다.
이와 같이 회전체(1)가 회전하여도 회전측광소자(131, 132)로부터 발광된 빛은 고정측광소자(231, 232)에 항상 입광하기 때문에 회전측광소자(131, 132)와 고정측광소자(231, 232)와의 사이에서 광로의 단절은 없어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회전체(1)에 6개의 회전측광소자(131~136), 고정체(2)에 1개의 고정측광소자(23)를 배치한 예이다. 예를 들어, 회전측광소자(131)를 주목하면, 회전체(1)가 회전하여도 도 3a 및 도 3b와 같은 광로가 형성되고 회전측광소자(131)로부터 발광된 빛은 항상 고정측광소자(23)에 입광한다. 회전측광소자(132)에 대하여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고정측광소자(23)에는 6개의 회전측광소자(131~136)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광되어서 단절이 없는 광로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이 예의 경우,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의 영 역은 각 회전측광소자(131~136)로부터의 광로가 복수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도 3a 내지 도 5는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빛을 발광하여 고정측광소자(23)에서 수광하는 예이다. 즉, 회전측광소자(13)가 발광소자, 고정측광소자(23)가 수광소자로서 기능하는 예이다. 이것 이외에도 고정측광소자(23)를 발광소자, 회전측광소자(13)를 수광소자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광로에는 가역성이 있기 때문에 고정측광소자(23)로부터 발광된 빛은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회전측광소자(13)로 수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절이 없는 광로가 형성되어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a 등의 예에서는 회전체(1)가 회전하는 원주상에 1개 또는 복수의 회전측광소자(13)를 배치한 예이었지만,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측광소자(13)를 회전체(1) 외주 측벽에 복수단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각단에 있어서의 광로는 도 3a 등의 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통신의 연속성과 함께 복수의 광소자(13, 23)가 배치되기 때문에 다채널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떤 단에서는 회전측광소자(13)는 발광소자로, 고정측광소자(23)는 수광소자로, 다른 단에서는 회전측광소자(13)는 수광소자로, 고정측광소자(23)는 발광소자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회전체(1)로부터 고정체(2)에로의 데이터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고정체(2)로부터 회전체(1)에로의 데이터의 송수신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널화와 동시에 쌍방향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단에서는 회전측광소자(13)에 대해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혼합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고정측광소자(23)에 대해서도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혼 합하여 배치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것을 회전체(1), 고정체(2)에 복수단 설치하는 것으로 다채널화도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단으로 구성된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의 한층더 다채널화를 실현한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회전축(4)을 포함한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의 영역에 회전체(1)로부터 회전측광소자(13)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이 고정체(2)방향으로 복수단 연장되어 있다. 고정체(2)로부터도 같은 모양으로 회전체(1)로 향하여 복수단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각각의 기둥으로부터는 상하로 서로 맞물린 빗의 가지 모양으로 되도록 회전축(4)과 평행하게 다시 한번 기둥이 연장되어 있다. 이들 기둥들에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동심원에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가 한 쌍이 되도록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서도, 동일 단에 위치한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와의 사이에는 도 3a 등에서 설명한 단절이 없는 광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한층 더 다채널화를 실현한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고정체(2)에서 회전체(1)로의 비접촉에 의한 전력공급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의 회전측트랜스코어(15) 의 동체부분에 회전측트랜스권선(14)이 감겨져 있고, 또한 고정체(2)의 고정측트랜스코어(25)의 동체부분에 고정측트랜스권선(24)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측트랜스권선(24)에 본체장체에서 전력을 흘리는 것으로 고정측트랜스코어(25)의 주위에 자계가 발생한다. 회전체의 회전동작에 자계가 발생한 고정측트랜스코어(25)와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측트랜스코어(15)가 위치하면 자기회로가 구성되고 그 동체부분에 감겨져 있는 회전측트랜스권선(14)에 전류가 발생한다(소위, 전자유도의 법칙). 이것에 의해 회전체(1)의 각부에 전력이 공급되어, 예를 들어 회전측전기회로부(11)가 구동되어 회전측광소자(13)가 발광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고정체(2)에서 회전체(1)로의 비접촉에 의한 전력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체(2)의 고정측전기회로부(21)는 직접 본체장치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커넥터(10)의 다른 형태를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든 것에 회전측광소자(13)는 회전체(1)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광로가 형성되도록 설치하고 고정측광소자(23)도 회전측광소자(13)로부터 빛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예는, 도 2와 마찬가지로 회전측광소자(13)가 회전측유지부(12)의 외주에 위치하고 고정측광소자(23)는 회전측광소자(13)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도 2와는 달리 1단의 회전측광소자(13), 고정측광소자(23)이다. 도 2와 비교하여 회전체(1)의 원통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의 연속성과 동시에 비접촉 커넥터(1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는 베어링(5)을 회전측트랜스코어(15) 및 고정측트랜스코어(25)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여, 베어링(5)과 광소자(13, 23) 등의 광통신용 부품을 별개의 부재로 한 예이다.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는 각각 베어링(5)과 회전측트랜스코어(15) 또는 베어링(5)과 고정측트랜스코어(25)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베어링(5)은 트랜스 코어(15, 25) 및 트랜스 권선(14, 24)으로 형성된 자기회로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베어링 부재를 비자성 재료로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자성재료 등 각종의 재료로 베어링(5)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를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회전측트랜스권선(14)과 고정측트랜스권선(24)의 하부에 배치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권선(14, 24)의 상부에 배치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도 양 광소자(13, 23)는 도 3a 등에 도시한 광로가 형성되므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0은 베어링(5)과 광통신용 부품을 동일부재로 한 예이다. 즉, 내륜(16)이 회전측트랜스코어(15)의 일부로써, 외륜(26)이 고정측트랜스코어(25)의 일부로 되어있는 예이다. 도 9 등과 비교하여 이 예에서는 트랜스코어(15, 25)의 길이를 회전축(4)에 연하여 길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회전측광소자(13)는 회전측트랜스권선(14)의 하부가 아니고 상부에, 고정측광소자(23)도 고정측트랜스권선(24)의 상부에 설치해도 좋다.
도 11은 회전측유지부(12)의 외벽과 고정측유지부(22)의 내벽에 각각 홈을 만들어 그 홈 안에 각각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를 배치한 예이다.
즉, 회전측유지부(12)의 외벽에 회전축(4) 방향으로 향하여 홈을 만든다. 그리고 이들 홈 안으로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를 배치시킨다. 양 광소자(13, 23)에 의한 광로는 이 홈 안에서도 형성되지만, 그 광로는 도 3a 등과 마찬가지다. 따라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에 광소자(13, 23)를 설치한 도 3a등과 비교하여 회전체(1)와 고정체(2)의 내부에 광소자(13, 23)가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체(1)의 회전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회전체(1)와 고정체(2)와의 사이에 광소자(13, 23)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 없게 되며, 그만큼 비접촉 커넥터(1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베어링(5)의 상부의 유지부(12, 22)에 홈을 만들었지만 베어링(5)의 하부의 트랜스코어(15, 25)에 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홈의 위치는 회전측유지부(12) 및 고정측유지부(22)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베어링(5)의 내륜(16) 및 외륜(26)에 설치하여도 좋다. 본래, 운동체(31) 유지 등을 위하여 설치된 내륜(16) 및 외륜(26)에 광소자(13, 23)를 설치하는 것으로 공간효율을 높여서, 이 경우에도 비접촉 커넥터(1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유지부(12) 및 고정측유지부(22)에도 홈을 만드는 것으로 복수단에 연장되어 광소자(13, 23)를 배치할 수 있어서 다채널화도 가능하다.
도 12에서는, 홈은 없고 상부에 절결부(17, 27)를 만들어 그 절결부(17, 27) 내에 광소자(13, 23)를 설치한 예이다. 즉, 회전측유지부(12)의 상부에서, 회전측 전기회로부(11) 하부에 베어링(5)방향으로 향하여 절결부(17)를 설치하여, 그 절결부(17)내로 회전측광소자(13)를 배치시킨다. 또한, 고정측유지부(22)의 상부에서, 고정측전기회로부(21)하부에 베어링(5)방향으로 향하여 절결부(27)를 설치하여, 그 절결부(17)내로 고정측광소자(23)를 배치시킨다. 회전체(1)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에 대하여는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와의 사이에서의 광로가 저해되지 않도록 상호 원주방향을 향하여 대항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도 3a 등과 마찬가지로 단절이 없는 광로가 형성되므로 통신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한, 홈을 설치한 예와 마찬가지로 공간효율을 높여서, 비접촉 커넥터(1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절결부(17, 27)를 유지부(12, 22)에 설치하였지만, 예를 들어 트랜스 권선(14, 24)의 하부에 절결부(17, 27)를 설치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광소자(13, 23)를 배치시켜도 좋다.
도 13의 예는, 광소자(13, 23)를 회전체(1), 고정체(2)의 상부에 배치한 예이다. 즉, 회전체(1)의 외벽, 고정체(2)의 내벽에 따른 회전체(1)와 고정체(2)의 원판 상부에 배치한 예이다. 이 경우에도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와의 사이에서 도 3a 등과 마찬가지의 광로가 형성되어 단절이 없는 광로로 되어서, 통신의 연속성은 확보된다.
또한, 이 예에서도 광소자(13, 23)가 회전체(1)와 고정체(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1)의 회전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서 비접촉 커넥터(10)의 크기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3에 보인 것처럼 회전체(1)와 고정체(2)의 상부에 광소자(13, 23)를 설치하지 않고, 하부에 설치하도록 하 여도 같은 작용효과를 낳는다.
도 14는 회전 트랜스를 구성하기 위한 자기회로를 배제한 예이다. 즉, 회전체(1) 및 고정체(2)에서 각각 트랜스권선(14, 24)과 트랜스코어(15, 25)를 배제한 예이다. 회전체(1)로의 전력공급은, 예를 들어 회전체(1)에 축전지나 건전지를 구비하여 그 전력에 의하여 회전측전기회로부(11)등이 구동되어 진다. 또한, 회전체(1) 및 고정체(2) 쌍방에 본체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 예에서는, 자기회로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베어링(5)을 비자성재료로 해야 할 필요도 없게 되어서 각종의 재료에 의해서 구성 가능하다. 또한, 회전측전기회로부(11)는 회전측유지부(12)의 내주측에 배치시키고, 고정측전기회로부(21)는 고정측유지부(22)의 외주측에 배치시킨다. 본래 그 위치에는 트랜스권선(14, 24)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이 권선(14, 24)이 없는 만큼 전기회로부(11, 21)를 배치시키는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비접촉 커넥터(1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전기회로부(11, 21)는 유지부(12, 22)의 상부나 하부에 배치시켜도 좋다.
이 예에서의 회전측광소자(13)는, 회전측유지부(12)의 상부에서 회전체(1)의 외벽에 배치되고, 고정측광소자(23)는 고정측유지부(22)의 상부에서 고정체(2)의 내벽에 배치된다. 양 광소자(13, 23)의 배치는 회전트랜스를 배제한 것이라면 도 14의 예에 구애받지 않고 예를 들어 홈을 만들어 그 홈 내에 배치시켜도(도 11), 절결부(17, 27)를 설치한 경우라도(도 12), 원판 상부에 설치한 경우(도 13)라도 좋다. 어느 경우라도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쌍방향으로 다채널, 또한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회전측전기회로부(11) 및 고정측전기회로부(21)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4개의 채널의 데이터(각각 CH.1~CH.4)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를 보인다. 또한, 본 도면에 보인 전기회로부(11, 21)는 도 1에서 도 14에서 도시한 모든 비접촉 커넥터(10)에 적용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측전기회로부(11)에는 4개의 인터페이스(I/F)회로(111~114)와 4개의 구동회로(115~118)로 구성된다. 각 I/F회로(111~114)는 회전체(1)와 접속된 본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CH.1~CH.4)가 입력되고 회전측전기회로부(11)내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4개의 채널의 데이터를 송수신을 행하기 때문에 채널마다 각각 I/F회로(111~114)(전부 4개)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회로(115~118)는 회전측광소자(1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데이터를 발생하는 회로이다. I/F회로(111~11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입력되어서 그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구동데이터를 발생한다. 이 구동회로(115~118)도 입력된 채널 수에 대응한 개수만큼 존재한다(본 실시 예에서는 전부 4개). 생성된 구동데이터는 각 회전측광소자(131, 132)에 각각 공급되어진다.
다음으로, 회전측광소자(131~134)는 각각의 구동회로(115~118)로부터 공급된 구동데이터에 의거하여 광전변환(光電變換)등에 의하여 구동데이터에 대응한 빛을 발광한다. 이 예의 경우, 회전측광소자(131~134)는 발광소자이고, 입력채널 수에 대응한 개수의 소자로부터 구성된다.(본 실시 예에서는 4개).
고정측광소자(231~2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측광소자(131~134)로부터의 빛을 회전체(1)가 회전하고 있는 때에 끊어짐이 없이 연속하여 수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회전측광소자(131~134)와 동등 이상의 개수로 구성된다. 도 15의 경우에는 4개의 고정측광소자(231~234)로 구성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 고정측광소자(231~234)는 수광소자로서 기능을 한다.
고정측전기회로부(21)는 각 고정측광소자(231~234)와 각각 접속되는 수신회로(2111~2114), 스위칭회로(2120), 인터페이스(I/F)회로(2121~2124)로 구성된다.
수신회로(2111~2114)는 스위칭회로(2120)와도 접속되며, 고정측광소자(231~ 234)로부터 수광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수신회로(2111~2114)는, 이 수광신호를 고정측전기회로부(21) 내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위칭회로(2120)에 출력한다. 이 경우 4개의 고정측광소자(231~234)가 있기 때문에 수신회로(2111~2114)도 이 소자에 대응하여 4개 있다.
스위칭회로(2120)는 각 수신회로(2111~2114)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어서, 각 데이터를 요구되는 채널의 출력포트에 공급하도록 입력데이터를 바꾸는 것이다. 즉, 본 스위칭회로(2120)는 비접촉 커넥터(10)의 입력채널과 출력채널 간의 자유로운 접속관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복수의 논리회로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4개의 채널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10)이기 때문에 대응하도록 4개의 출력포트를 구비한다.
I/F회로(2121~2124)는 스위칭회로(2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입력되어서 외부로 출력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경우 4개의 출력포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4개의 I/F회로(2121~2124)가 존재한다. 그래서 각 I/F회로(2121~2124)로부 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요구되는 각 채널에 대응하는 출력포트에 출력된다. 도 15에서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CH.1, CH.2, CH.3, CH.4의 출력데이터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전기회로부(11, 21)를 포함한 동작의 예에 대하여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정체(2)에 접속된 본체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적당한 타이밍으로 고정측전기회로부(21)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회전체(1)에 접속된 본체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체(1)는 회전구동한다. 예를 들어, 본체장치가 360°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turntable)이라면, 그 위의 카메라 자체가 회전되어 턴테이블에 접속된 회전체(1)도 회전한다. 또한 고정측트랜스권선(24)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이 권선(24)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자계가 발생하고 회전체(1)의 회전측트랜스권선(14)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측광소자(13)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체장치상의 카메라로부터 회전체(1)에 영상데이터가 공급되어지면 상술한 도 15에 보인 것처럼 회전측전기회로부(11)에 이 영상데이터 등이 입력된다. 데이터의 예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의 예에서는 채널1(CH.1)과 채널3(CH.3)에 각각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각각 영상과 음성데이터)가 입력되는 예이다. 또한 채널2(CH.2)과 채널4(CH.4)에는 각각 채널1(CH.1)과 채널3(CH.3)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기(同期)를 위한 클록 데이터(clock data)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채널마다 다른 데이터가 생성되어 본 비접촉 커넥터(10)에 입력된다. 한편, 이와 같이 데이터가 생성과 채널마다의 데이터의 통합과 분리는 본체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처리회로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16의 데이터의 부호화에 의해 각 채널의 데이터를 식별할 수가 있다. 즉, 각 채널의 데이터의 선두에 채널의식별을 위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발광소자(131~134)로부터 발광시키는 것으로, 고정체(2)의 스위칭회로(2120)는 입력된 채널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회로(2120)는 입력된 모든 채널의 데이터가 소망의 출력단에 출력되도록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6에 보인 것처럼, 각 채널의 각 데이터의 선두에 2 비트의 식별부호가 부가되어 발광소자(131~134)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소자(231~234)에 의하여 수광한다. 그래서 수신회로(2111~2114)를 매개로 하여 스위칭회로(2120)에 입력된 데이터는 이 식별부호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어떤 채널의 데이터인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미리 입력된 논리에 따른 입출력 관계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보인 식별부호가 “0 0”의 경우는 1채널째의 데이터, “0 1”의 경우는 2채널째의 데이터, “1 0”의 경우는 3채널째의 데이터, “1 1”의 경우는 4채널째의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선두에 부가되어져 있다면, 스위칭회로(2120)는 식별부호가 “0 0”의 경우는 1채널째의 데이터로서 출력은 I/F (2121)에 출력되도록 입력데이터를 바꾼다. 마찬가지로, 2채널째는 I/F (2122), 3채널째는 I/F (2123), 4채널째는 I/F (2124)에 출력되도록 하여 놓는다. 또한, 이 예에서의 이 식별부호는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1클록분의 데이터의 선두에 부가한다.
또한, 이와 같은 채널의 식별부호화는 고정체(2)에 접속된 본체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행하여 져도 좋고, 회전측전기회로부(11)의 구동회로(115~118)에서 행하여도 좋다. 또한, 모든 채널의 전 데이터에 채널의 식별부호 를 부가하지 않고, 복수의 채널 중 일부에 부가시켜 각 채널의 식별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전용 라인화). 또한, 식별부호의 부가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록마다가 아니고 소정의 클록 수 마다에 부가하여도 좋고,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의 프레임 선두(frame header)에 부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채널에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것으로, 다채널의 데이터를 고정체(2)에서 수신하는 경우, 어떤 채널의 데이터인가를 인식하여 소정의 출력포트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접촉 커넥터(10)에 자동채널의 전환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회전측광소자(13)를 발광소자로 하고 고정측광소자(23)를 수광소자로 한 예로 설명했지만, 거꾸로 회전측광소자(13)를 수광소자로 고정측광소자(23)를 발광소자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회전체(1)의 전기회로부(11)에 상술한 수신회로, 스위칭회로, I/F를 설치하고, 고정체(2)의 전기회로부(21)에 I/F, 구동회로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회전측광소자(13)와 고정측광소자(23)에서 발광소자, 수광소자의 쌍방을 설치하는 것으로, 회전체(1)와 고정체(2)에서 쌍방향의 비접촉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회전측전기회로부(11)와 고정측전기회로부(21)는 다 같이 I/F, 구동회로, 수신회로, 스위칭회로 등을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커넥터는 회전측광소자와 고정측광소자 사이에서 회전체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단절 없는 광로를 구성한 것으로, 통신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비접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배치된 회전측광소자와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대향하는 위치로 고정체에 배치된 고정측광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고정측광소자의 사이에서 비접촉에 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비접촉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을 중심축으로서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측광소자는 회전체의 원통면상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회전측광소자 또는 상기 고정측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거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또 다른 상기 회전측광소자가 아닌 특정의 상기 회전측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기 거울을 매개로하여 항상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광소자는 회전체의 원통면상에 복수단으로 뻗어서 배치되고,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고정체에 복수단으로 뻗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광소자와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회전체와 고정체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복수의 동심 원주상에 배치되며, 또한, 복수단으로 뻗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원통면상에 회전측 수광소자와 회전측 발광 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 및 회전측 발광소자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측 발광소자와 고정측 수광소자가 혼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임의의 단에 회전측 발광소자 또는 회전측 수광소자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측 발광소자 또는 회전측 수광소자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측 수광소자 또는 고정측 발광소자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임의의 단과는 다른 단에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회전측 발광소자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회전측 발광소자와 회전에 따라 단절이 없는 광로를 구성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측 발광소자 또는 고정측 수광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측광소자를 구성하는 회전측 수광소자 또는 고정측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입력된 해당 데이터가 어떤 발광소자로부터의 입력데이터인가를 식별하여 식별된 광소자를 미리 요구된 출력으로 바꾸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고정체의 각각에 트랜스코어 및 트랜스권선으로 구성된 회전트랜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및 고정체의 쌍방에 홈 또는 절결부를 만들어 상기 회전측광소자 및 상기 고정측광소자는 상기 홈 또는 절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커넥터.
  9. 삭제
KR1020050093086A 2004-10-05 2005-10-04 비접촉 커넥터 KR100713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2160A JP2006108337A (ja) 2004-10-05 2004-10-05 非接触コネクタ
JPJP-P-2004-00292160 2004-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08A KR20060052008A (ko) 2006-05-19
KR100713161B1 true KR100713161B1 (ko) 2007-05-02

Family

ID=3559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086A KR100713161B1 (ko) 2004-10-05 2005-10-04 비접촉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39372B2 (ko)
EP (1) EP1646166B1 (ko)
JP (1) JP2006108337A (ko)
KR (1) KR100713161B1 (ko)
CN (1) CN1758389B (ko)
AT (1) ATE557484T1 (ko)
IL (1) IL1710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99B1 (ko) * 2005-04-18 2007-11-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회전체와 고정체 간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전달장치
DE102006059442B8 (de) * 2006-12-15 2009-07-02 Siemens Ag Vorrichtung zur optischen Datenübertragung
JP4644261B2 (ja) * 2007-09-10 2011-03-02 中部日本マルコ株式会社 非接触コネクタ
KR101235423B1 (ko) * 2011-04-15 2013-02-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신호 전송을 위한 광학 시스템
US9122017B2 (en) 2013-05-16 2015-09-01 Raytheon Company Optical interconnect for rolling slip rings
JP6833352B2 (ja) * 2016-06-09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機器
JP6648231B1 (ja) * 2018-09-28 2020-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無線コネクタ
CN112311456A (zh) * 2019-07-29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LiFi通信控制控制方法、装置、发送端以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993A (en) * 1991-06-09 1994-10-11 Elscint Ltd. Optical communication link for medical imaging gantry having continuous line of sight communications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US5818188A (en) * 1992-06-18 1998-10-06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Noncontacting electric power transfer apparatus, noncontacting signal transfer apparatus, split-type mechanical apparatus employing these transfer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040141686A1 (en) * 2003-01-21 2004-07-22 Harry Schilling Optical high speed rotary joi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002B2 (ja) 1981-02-20 1985-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スリップリング
DE3205065A1 (de) * 1982-02-12 1983-08-18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uebertragen von signalen zwischen zwei relativ zueinander drehbaren teilen
US4525025A (en) * 1983-03-21 1985-06-25 Litton Systems Inc. Fiber optic rotary joint using a reflective surface and tangentially mounted rotor and stator optical fibers
JPS6124961A (ja) 1984-07-11 1986-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等の断熱壁
IL90853A0 (en) * 1989-07-03 1990-02-09 Elscint Ltd Optical communication link
US5129023A (en) * 1991-05-14 1992-07-07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enhanced provisions for interconnection and for prevention of optical and mechanical disconnection
JP3163446B2 (ja) 1991-06-11 2001-05-08 株式会社リコー 回転式光コネクタ
JPH05134140A (ja) 1991-11-12 1993-05-28 Hitachi Cable Ltd 多芯光ロータリージヨイント
JPH06261003A (ja) 1993-03-03 1994-09-16 Toshiba Corp データ伝送装置
CN2278943Y (zh) * 1996-08-29 1998-04-15 白添发 光纤连接器
US6104849A (en) * 1997-10-02 2000-08-15 Litton Systems, Inc. Fiber optic rotary joint
JP3598053B2 (ja) 2000-08-29 2004-12-08 多摩川精機株式会社 回転型非接触コネクタ
US6759759B2 (en) 2000-08-29 2004-07-06 Tamagawa Seiki Kabushiki Kaisha Rotary contactless connector and non-rotary contactless connector
US7027737B2 (en) * 2002-09-26 2006-04-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from a rotary part to a stationary part of a data gen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993A (en) * 1991-06-09 1994-10-11 Elscint Ltd. Optical communication link for medical imaging gantry having continuous line of sight communications betwe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US5818188A (en) * 1992-06-18 1998-10-06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Noncontacting electric power transfer apparatus, noncontacting signal transfer apparatus, split-type mechanical apparatus employing these transfer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040141686A1 (en) * 2003-01-21 2004-07-22 Harry Schilling Optical high speed rotary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6166A3 (en) 2006-05-10
ATE557484T1 (de) 2012-05-15
JP2006108337A (ja) 2006-04-20
US20060072920A1 (en) 2006-04-06
IL171016A (en) 2013-09-30
EP1646166A2 (en) 2006-04-12
KR20060052008A (ko) 2006-05-19
US7539372B2 (en) 2009-05-26
EP1646166B1 (en) 2012-05-09
CN1758389A (zh) 2006-04-12
CN1758389B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161B1 (ko) 비접촉 커넥터
JP4202351B2 (ja) 非接触コネクタ
KR100778285B1 (ko) 비접촉 커넥터
JP4080503B2 (ja) 非接触コネクタ
CN211209705U (zh) 一种高速通信用的非接触滑环
KR101030817B1 (ko) 비접촉 커넥터
KR20090054889A (ko) 비접촉 커넥터
EP2058687B1 (en) Non-contact connector
JP4644261B2 (ja) 非接触コネクタ
JP4647930B2 (ja) 非接触コネクタ
KR100800076B1 (ko) 비접촉 커넥터
JP2006049629A (ja) 非接触コネクタ
JP2005302965A (ja) 非接触コネクタ
JP2006108338A (ja) 非接触コネクタ
JP4608934B2 (ja) 光通信機器及びその光信号の入出力方法
JP2008124236A (ja) 非接触コネクタ
JP2016051947A (ja) 回転型回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