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959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959A
KR20090053959A KR1020097007756A KR20097007756A KR20090053959A KR 20090053959 A KR20090053959 A KR 20090053959A KR 1020097007756 A KR1020097007756 A KR 1020097007756A KR 20097007756 A KR20097007756 A KR 20097007756A KR 20090053959 A KR20090053959 A KR 2009005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unit
request
touch sensor
oper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072B1 (ko
Inventor
다로 이이오
다쿠야 스에츠구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센서는, 소정의 전압 인가 상태에 있어서 조작 상태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 상태 검출 가능 상태로 된다. 터치 센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의 전압 무인가 상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의 기동 허가 요구를 검출하면, 소정의 전압값까지 전압을 서서히 올림과 아울러 소정의 교정 동작을 행하여 조작 상태 검출 가능 상태로 이행시키고, 조작 상태 검출 가능 상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의 기동 금지 요구를 검출하면, 전압 무인가 상태까지 전압을 서서히 내려서 터치 센서의 조작 상태의 검출이 불가능한 조작 상태 검출 불가능 상태로 이행시키며, 조작 상태 검출 불가능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 동안에 터치 센서의 기동 허가 요구를 검출한 경우는, 조작 상태 검출 불가능 상태로 이행하는 동작이 종료한 후에 조작 상태 검출 가능 상태로 이행시킨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마련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기기의 조작 검출부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나 구성이 개발되어 왔다. 예컨대, 전자기기에 회전 다이얼식 입력 디바이스를 마련하고, 표시부 상에 표시시킨 커서를 회전 다이얼식 입력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따라 이동시키는 기술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물리적ㆍ기계적인 회전을 수반하는 「회전 다이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마모 등에 의해서 오동작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기 쉬워서, 조작 검출부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거나, 내용(耐用) 기간이 짧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물리적ㆍ기계적인 회전을 수반하지 않는 조작 검출부로서 터치 센서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 3 참조). 이 제안 기술은, 복수의 터치 센서 소자를 연속적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개개의 터치 센서 소자로부터의 접촉 검출에 근거하여 이동을 따르는 조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서, 복 수의 선택지로부터 하나의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 동작 제어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079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52279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119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종래의 조작 검출부를 갖는 전자기기는,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동작 불가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이루어지는 소정의 요구에 따라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가 행해져서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 또는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소정의 요구가 있으면, 그 요구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가 개시되어 버려서, 적정한 교정 처리가 완료하지 않는 채로 조작 검출부가 동작 가능 상태로 설정되어 버린다. 즉, 이 경우, 조작 검출부는 조작부로의 조작을 적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 또는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소정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도, 조작부로의 조작을 적정 하게 검출할 수 있는 조작 검출부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하여 교정 처리를 행하는 교정 처리부와, 제 1 요구에 따라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한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조작 검출부가, 상기 동작 불가 상태일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가 행해지면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해지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하여 교정 처리를 행하는 교정 처리부와, 제 1 요구에 따라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하여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 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조작 검출부가, 상기 동작 불가 상태일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가 행해지면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해지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상기 조작 검출부가 상기 이동 불가 상태로 설정되고 나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 1 요구로서 인식하여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한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 또는 제 2 요구 가 이루어진 것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요구에 따라 상기 조작 검출부를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상기 기억부에 마지막으로 기억된 요구가 상기 제 1 요구인 경우에는 상기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고, 상기 설정중에 상기 기억부에 마지막으로 기억된 요구가 상기 제 2 요구인 경우에는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과의 개폐 중 어느 한쪽의 상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 1 요구로서 인식하여, 이 중 다른쪽의 상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 2 요구로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제 2 요구가 이루어지면,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은, 조작부로의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이루어지는 제 1 요구에 따라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가 행해져서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해지는 조작 검출부를 갖고, 상기 조작 검출부가 상기 동작 가능 상태와 상기 동작 불가 상태 사이의 전환을 행하고 있을 때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 또는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소정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도, 상기 요구에 따른 조작 검출부의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를 억제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조작부로의 조작을 적정히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센서 소자를 하우징에 실장한 휴대 전화 단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에서의 각 센서 소자로부터의 접촉 검 지 데이터의 처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6은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덧쓴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덧쓴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터치 센서 기능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의 ON/OFF 제어의 순차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전자기기의 전형예로서 휴대 전화 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 단말(100)은 제어부(110), 센서부(120), 표시부(130), 기억부(플래시 메모리 등)(140), 정보 처리 기능부(150), 전화 기능부(160), 키 조작부(KEY) 및 스피커(SP), 또한, 도시하지 않은 CDMA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CO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복수의 센서 소자(예컨대, 그 검지부를 기기 하우징의 외면에 마련해 놓고,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ㆍ근접을 검출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한 센서 소자군을, 용도에 따라 n개, 즉, 제 1 센서 소 자군(G1), 제 2 센서 소자군(G2) 및 제 n 센서 소자군(G3)을 포함하고, 기억부(140)는 보존 영역(142), 외부 데이터 보존 영역(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10) 및 정보 처리 기능부(150)는 CPU 등의 연산 수단 및 소프트웨어 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를 통해서 제어부(110)에 접속되는 FeliCA 모듈(FM)이나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카메라(220)나 라이트(230) 외에, 마이크(MIC), 라디오 모듈(RM), 전원(PS), 전원 컨트롤러(PSCON) 등이 제어부(110)에 접속되지만,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한다.
도 1의 블록도에 있어서의 각 블록의 기능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여, 기억부(140)의 보존 영역(142)에 검출한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 처리 기능부(150)에 의해 저장된 정보의 처리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리 결과에 따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상의 통화 기능을 위한 전화 기능부(160), 키 조작부(KEY) 및 스피커(SP)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서브 표시부(ELD) 및 도시하지 않은 메인 표시부(휴대 전화 단말(100)이 닫힌 상태에서 보이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노출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센서 소자를 하우징에 실장한 휴대 전화 단말의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 단말(1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닫힌 상태 외에, 힌지부를 회동, 슬라이드시켜서 열린 상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터치 센서부(210)는 닫힌 상태 에 있어서도 조작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2(a)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 단말(100)은 터치 센서부(210)(외관상, 센서부(130), 즉 센서 소자군(G1, G2)을 덮는 패널(PNL)(조작부)이 보이고 있음(도 4에서 후술)), 카메라(220), 및 라이트(230)를 구비한다. 도 2(b)는 터치 센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해서, 패널(PNL)을 생략하고, 센서 소자와 서브 표시부(ELD) 주변만의 배치를 표시한 휴대 전화 단말(100)의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센서 소자(L1~L4 및 R1~R4)가 서브 표시부(ELD)의 주위를 따라서 모두 배치되어 있다. 센서 소자(L1~L4)는 제 1 센서 소자군(G1)을 구성하고, 센서 소자(R1~R4)는 제 2 센서 소자군(G2)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은 이격부(SP1, SP2)를 사이에 두고서 구분된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레이아웃에 대해, 제 2 센서 소자군(G2)은 서브 표시부(ELD)를 끼우고, 선택 후보 항목이 늘어서져 있는 방향을 중심선으로 하는 선대칭인 레이아웃을 가진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서브 표시부(ELD)에 유기 EL 디스플레이가 이용되고 있지만, 예컨대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이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센서 소자로서 정전 용량식의 접촉 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도 2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 있어서, 서브 표시부(ELD)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용도에 따른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휴대 전화 단말(100)을 음악 플레이어로서 이용하는 경우, 서브 표시부(ELD)에는 연주할 수 있는 곡목이 표시된다. 곡명 및 아티스트명의 세트에서 하나의 항목, 즉, 「선택 후보 항목」으로 된다. 사용자는 터치 센서부(210)를 조작하여 센서 소자(L1~L4, R1~R4)의 정전 용량 을 변화시키면, 제어부(110)는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된 항목이나 조작 대상 영역을 이동시켜서 곡목을 선택한다. 이때, 터치 센서부(120)는, 도 2와 같이, 서브 표시부(ELD)의 주위에 센서 소자가 늘어서는 구성으로 하면, 소형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 하우징에서의 실장 부분을 크게 점유하지 않고, 또한, 사용자는 서브 표시부(ELD)의 표시를 보면서 센서 소자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특히 터치 센서부(210)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작성 및 설명의 편의상,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도시 및 설명한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서브 표시부(ELD)의 주위를 따라서 원 환상(環狀)의 패널(PNL)이 배치되어 있다. 패널(PNL)은 하부에 마련하는 센서 소자의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PNL)의 하부에는, 인체의 손가락의 접촉/근접을 검지할 수 있는 정전 용량형의 8개의 센서 소자(L1~L4, R1~R4)를 거의 환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해 둔다. 왼쪽의 4개의 센서 소자(L1~L4)로 제 1 센서 소자군(G1), 오른쪽의 4개의 센서 소자(R1~R4)로 제 2 센서 소자군(G2)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각 센서 소자군 내의 인접하는 센서 소자 사이에는, 인접하는 센서 소자끼리로 접촉 검출 기능에 간섭하지 않도록, 클리어런스(간극)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간섭하지 않는 타입의 센서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리어런스는 불필요하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일단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L4)와, 제 2 센서 소자군(G2)의 일단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R1) 사이에는, 상기 클리어런스보다 큰 클리어런스(예컨대, 2배 이상의 길이)인 이격부(SP1)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타단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L1)와, 제 2 센서 소자군(G2)의 타단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R4) 사이에도, 이격부(SP1)와 마찬가지로 이격부(SP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부(SP1, SP2)에 의해서, 제 1 센서 소자군(G1)과 제 2 센서 소자군(G2)이 별개로 기능되는 경우에, 서로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 1 센서 소자군(G1)의 각 센서 소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 원호의 중앙, 즉, 센서 소자(L2 및 L3)의 중간의 하부에는, 택트 스위치(SW1)의 중심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센서 소자군(G2)의 각 센서 소자로 형성되는 원호의 중앙, 즉, 센서 소자(R2 및 R3)의 중간의 하부에는, 택트 스위치(SW2)의 중심이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방향성을 연상시키지 않는 위치인 센서 소자군의 배치 방향의 거의 중앙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택트 스위치가 센서 소자 위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손가락의 방향성을 가진 이동을 따르는 조작에 의한 방향 지시와는 직접 관계하지 않는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인 것을, 사용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센서 소자군의 배치 방향의 중앙이 아니라 단부(예컨대, L1이나 L4)에 택트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으면, 택트 스위치는 단부측 방향의 방향성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터치 센서에 의한 이동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서 길게 누르는 「스위치」라는 오해를 사용자에게 주기 쉽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과 같이, 센서 소자군의 배치 방향의 중앙에 택트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으면, 이러한 오해가 생길 우려가 저감되어, 보다 쾌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센서 소자의 아래쪽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하여 기기 외면에 노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기기의 외관상도 노출하는 조작부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이 필요없는 스마트한 인상으로 된다. 또한, 스위치를 패널(PNL) 하부 이외의 개소에 마련하는 경우에는, 기기 하우징에 별도 관통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관통 구멍을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서는 하우징 강도의 저하가 생길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패널(PNL), 및, 센서 소자의 아래쪽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새로운 관통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하우징 강도의 저하도 억제된다.
사용자가, 예컨대, 손가락으로 순차적으로 센서 소자(L1, L2, L3, L4)를 원호 형상으로 위쪽을 향해서 덧쓰면,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이 경우는, 소리, 표시, 데이터, 카메라) 중 선택 대상 영역(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반전 표시나 별도의 컬러로의 강조 표시 등)으로서 표시되고 있는 항목이 위쪽의 항목에 순차적으로 변화되거나, 선택 후보 항목이 위쪽으로 스크롤하거나 한다. 그리고, 소망하는 선택 후보 항목이 선택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고 있을 때에, 사용자는 패널(PNL) 및 센서 소자(L2, L3) 너머로 택트 스위치(SW1)를 눌러서 선택지를 확정하는 선택 확정 동작을 행하거나, 택트 스위치(SW2)를 눌러서 표시 자체를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즉, 패널(PNL)은 택트 스위치(SW1, SW2)를 누르는 데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거나, 또는 약간 경도(傾倒) 가능하게 기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택트 스위치(SW1, SW2)에 대한 가압 소자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요소, 특히 터치 센서부(2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하우징의 외면을 이루는 제 1 층에는, 패널(PNL) 및 서브 표시부(ELD)가 배치된다. 제 1 층의 패 널(PNL)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층에는, 센서 소자(L1~L4, R1~R4)가 배치된다. 제 2 층의 센서 소자(L2, L3) 사이의 아래쪽, 및, 센서 소자(R2, R3) 사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3 층에는, 택트 스위치(SW1, SW2)가 각각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에서의 각 센서 소자로부터의 접촉 검지 데이터의 처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설명의 간이화를 위해서, 센서 소자(R1~R4)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지만, 센서 소자(L1~L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센서 소자(R1~R4)의 각각에는, 고주파가 인가되어 있고, 일정한 부유 용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칼리브레이션(calibration)되어서 인식된 고주파 상태가 기준으로서 설정되어 있고, 각각, 전처리부(300)(R1용 전처리부(300a), R2용 전처리부(300b), R3용 전처리부(300c), R4용 전처리부(300d))에서, 손가락의 접촉 등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근거하는 고주파 상태의 변동이 검출되면, A/D 변환기(310)(R1용 A/D 변환기(310a), R2용 A/D 변환기(310b), R3용 A/D 변환기(310c), R4용 A/D 변환기(310d))로 송신되고, 접촉 검출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화된 신호는 제어부(320)로 송신되어 센서 소자군으로서의 통합된 신호의 집합으로서, 기억부(330)에 신호가 유지하는 정보로서 저장된다. 그 후, 후술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인터럽트 핸들러(IH)에 상기 신호가 송출되고, 인터럽트 핸들러(IH)에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가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 후, 변환 후의 신호를 큐(QUE)에 넣는다. 또한, 제어부(320)는, 기억부(330)에 저장한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한 센서 소자의 2개 이상에서 접촉을 검출한 시점에서 방향을 검출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은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덧쓴 경우의 서브 표시부의 응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a)는 휴대 전화 단말에 실장한 서브 표시부(ELD)와, 그 주변을 따라서 모두 배치한 센서 소자만을, 설명의 간이화를 위해서 나타낸 개략도, (b)는 시간 추이에 따라 검지된 센서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c)는 검지된 센서 소자에 따른 서브 표시부(ELD)의 조작 대상 영역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의 (a)에 있어서, 센서 소자, 센서 소자군 및 이격부에는 도 2(b)와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c)의 서브 표시부(ELD)의 표시에 있어서, TI는 서브 표시부가 표시하는 항목 리스트의 타이틀, LS1~LS4는 선택 후보 항목(예컨대, 스크롤 가능한 몇 개의 행)을 나타낸다. 또한, (c)의 서브 표시부에서,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상태에 있는 항목은, 현재의 조작 대상 영역인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항목에 커서를 배치하거나, 혹은, 항목 자체를 반전 표시 등으로 강조 표시한다. 이들 도면에서는,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항목에는 빗금을 그어서 강조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동 대상」을 조작 대상 영역만으로 설명하지만, 항목 자체를 이동(스크롤)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서브 표시부는 동작한다.
도 6(a)에 있어서 화살표 AR1로 나타내는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예컨대 손가락 등의 접촉 수단을 이용하여 각 센서 소자 위를 연속적으로 덧쓰면, 제어부(110)는, (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이동을 따르는 조작으로서 검지한다. 이 경우는, 센서 소자(R1, R2, R3, R4)의 순으로 조작이 검지된다. 이 R1로부터 R4까지의 연속한 접촉은, 인접한 센서 소자의 2개 이상에서 검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의 검출이 행해져서, 인접한 센서 소자를 천이한 횟수와 그 방향에 따라, 조작 대상 영역이 서브 표시부(ELD)에 표시한 리스트 위를 이동한다. 이 경우는,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은 초기 위치의 항목 LS1으로부터 항목 LS4까지 아래쪽으로 항목을 3개만큼 이동한다. 또한, 조작 대상 영역은 빗금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빗금 간격이 좁은 것이 초기 위치이고, 빗금 간격이 넓은 것이 이동 후의 위치이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아래쪽으로의 손가락의 지시 동작」과 동일하게, 서브 표시부의 「조작 대상 영역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자기의 손가락으로 조작 대상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있는 것 같이 느끼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의도한 바와 같은 조작 감각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면 (a)에 있어서 화살표 AR2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센서 소자가 덧쓰였다고 하면,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L4, L3, L2, L1)가, 이러한 순으로 접촉을 이동을 따르는 조작으로서 검지한다. 이 경우의 접촉은, 화살표 AR1와 동일하게 위로부터 아래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는 접촉이기 때문에, (c)와 같이 아래쪽을 향해서 항목 LS1로부터 항목 LS4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만큼 이동한다.
도 7(a)에 있어서 화살표 AR1로 표시하는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센서 소자가 덧쓰였다고 하면,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R4, R3, R2, R1)가, 이러한 순으로 접촉을 이동을 따르는 조작으로서 검지한다. 이 경우의 접촉은, 아래로부터 위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 는 접촉이기 때문에, (c)와 같이 위쪽을 향해서 항목 LS4로부터 항목 LS1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만큼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면 (a)에 있어서 화살표 AR2로 표시하는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시계 회전 방향)으로 센서 소자가 덧쓰였다고 하면,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L1, L2, L3, L4)가, 이러한 순으로 접촉을 이동을 따르는 조작으로서 검지한다. 이 경우의 접촉은, 화살표 AR1과 동일하게 아래로부터 위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는 접촉이기 때문에, (c)와 같이 위쪽을 향해서 항목 LS4로부터 항목 LS1까지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만큼 이동한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 단말(10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도 8에 나타내는 각종 소프트웨어는, 기억부(140)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동일하게 기억부(140) 위에 워크 에어리어를 마련한 후에, 제어부(110)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동작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의 여러 가지 기능은 소프트웨어 블록과 하드웨어 블록으로 분리된다. 소프트웨어 블록은 플래그 기억부(FLG)를 가지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AP2), 기타 애플리케이션(AP3), 및 라디오 애플리케이션(AP4)으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 블록은, 또한, 적외선 통신 애플리케이션(APIR) 및 FeliCa 애플리케이션(APF)도 포함한다. 이들 각종 애플리케이션(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 하드웨어 블록의 각종 하드웨어를 제어할 때에, 적외선 통신 드라이버(IRD), FeliCa 드라이버(FD), 오디오 드라이버(AUD), 라디오 드라이버(RD), 및 프로토콜(PR)을 드라이버로서 사용한다. 예컨 대, 오디오 드라이버(AUD), 라디오 드라이버(RD), 및 프로토콜(PR)은, 각각, 마이크(MIC), 스피커(SP), 통신부(COM), 및 라디오 모듈(RM)을 제어한다. 소프트웨어 블록은, 또한, 하드웨어의 조작 상태를 감시ㆍ검출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도 포함하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 관련 검출, 키 검출, 폴더식이나 슬라이드식 등의 휴대 전화 단말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이어폰 착탈 검출 등을 행한다.
하드웨어 블록은 다이얼 키나 택트 스위치(SW1, SW2)를 포함하는 각종 버튼 등을 포함하는 키 조작부(KEY), 힌지부의 동작 상황 등에 근거하여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디바이스(OCD), 기기 본체 부속의 마이크(MIC), 착탈 가능한 이어폰(EAP), 스피커(SP), 통신부(COM), 라디오 모듈(RM),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및 전환 제어부(SWCON)로 구성된다. 전환 제어부(SWCON)는 소프트웨어 블록의 그 블록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적외선 통신부(IR), FeliCa 모듈(FM), 터치 센서 모듈(TSM)(센서부(120)과, 발진 회로 등의 센서부(120)를 구동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 전부를 모듈화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신호를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가 골라내도록 선택 대상 하드웨어(IR, FM, TSM)를 전환한다. 전원(PS)은 전원 컨트롤러(PSCON)를 통해서 선택 대상 하드웨어(IR, FM, TSM)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터치 센서 기능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휴대 전화 단말(100)은 터치 센서 드라이버 블록(TDB), 터치 센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블 록(TSBA), 디바이스층(DL), 인터럽트 핸들러(IH), 큐(QUE), OS 타이머(CLK), 각종 애플리케이션(AP1~AP3)을 구비한다. 여기서 터치 센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블록(TSBA)은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및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구비하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 블록(TDB)은 터치 센서 드라이버(터치 센서 제어부)(TSD) 및 결과 통지부(NTF)를 구비한다. 또한, 디바이스층(DL)은 전환 제어부(SWCON), 전환부(SW),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 적외선 통신부(IR), FeliCa 모듈(FM) 및 터치 센서 모듈(TSM)을 구비하고, 인터럽트 핸들러(IH)는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SIMON) 및 확인부(CNF)를 구비한다.
다음에, 각 블록의 기능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센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블록(TSBA)에 있어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과,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사이에서는, 터치 센서를 기동할지 여부의 교환이 행해진다.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은 서브 표시부용의 애플리케이션인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시큐리티 보호용으로 휴대 전화 단말(100)에 록을 거는 애플리케이션인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AP2), 기타 애플리케이션(AP3)의 베이스로 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에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터치 센서의 기동이 요구된 경우에,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에 터치 센서의 기동을 요구한다. 또한, 서브 표시부란, 각 도면에 나타내는 서브 표시부(ELD)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서, 환상으로 배치된 센서 소자군의 중앙 영역에 마련된 표시부의 것을 가리킨다.
기동의 요구를 받아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관리하는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터치 센서의 기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서브 표시부(ELD)의 점등, 또는 FM 라디오 그 밖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 부속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미리 터치 센서의 기동이 불가능으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나타내는 플래그의 유무를 확인한다. 그 결과, 터치 센서의 기동이 가능으로 판단된 경우,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는, 터치 센서 드라이버(터치 센서 제어부)(TSD)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을 요구한다. 즉, 실질적으로는 전원 컨트롤러(PSCOM)를 사이에 둔 전원(PS)으로부터 터치 센서 모듈(TSM)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기동이 요구되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디바이스층(DL) 내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 요구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서의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와의 포트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그 후,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터치 센서의 센싱 결과의 정보를 갖는 신호(이하, 접촉 신호라고 함)를, 터치 센서 모듈(TSM)이 갖는 내부 클럭에 의한 20ms의 주기로,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접촉 신호는, 상술한 각 센서 소자(L1~L4 및 R1~R4)의 8개의 센서 소자 각각에 대응한 8비트 신호로 출력되고 있다. 즉, 각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지했을 때에는, 이 접촉을 검지한 센서 소자에 대응하는 비트에, 접촉 검지를 나타내는 「플 래그:1」를 발생시킨 신호로서, 이들 비트열에 의해 접촉 신호가 형성된다. 즉, 접촉 신호에는, 「어떤 센서 소자」가 「접촉/비접촉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입터럽트 핸들러(IH)에서의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SIMON)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 출력된 접촉 신호를 취출한다. 여기서 확인부(CNF)가,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취출한 접촉 신호의 True/False을 확인하여, True(진실)인 신호의 데이터만을 큐(QUE)에 넣는다(신호의 True/False의 종별에 관해서는 후술함). 또한,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SIMON)는, 택트 스위치 눌림의 발생 등의, 터치 센서 기동중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부(SI)의 다른 인터럽트 사상(事象)의 감시도 행한다.
또한, 감시부(SIMON)는 검출한 접촉이 최초의 접촉이었던 경우에는 「프레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접촉 신호의 앞에 큐(QUE)에 넣는다(큐잉함). 그 후, 오퍼레이션 시스템이 갖는 OS 타이머(CLK)에 의한 클럭 40ms 주기로 접촉 신호의 갱신을 행하고, 소정 횟수 접촉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릴리즈」를 의미하는 신호를 큐(QUE)에 넣는다. 이에 따라, 접촉 개시로부터 릴리즈까지의 센서 소자 사이에서의 접촉 검출의 이동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초의 접촉」이란, 큐(QUE)에 데이터가 없는 상태, 혹은, 바로 근처의 입력 데이터가 「릴리즈」인 경우에 「플래그:1」를 갖는 신호가 발생하는 사상을 가리킨다. 이들 처리에 의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프레스」 내지 「릴리즈」의 구간의 센서 소자의 검출 상태를 알 수 있다.
동시에, 감시부(SIMON)는 터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접촉 신호가 False로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신호이었던 경우에, 「릴리즈」를 의미하는 신호를 유사적으로 생성하여 큐(QUE)에 넣는다. 여기서 False(거짓)로 되는 조건으로서는, 「비연속적인 2개의 센서 소자로 접촉을 검출한 경우」, 「터치 센서 기동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메일 착신 등의 통지에서 서브 표시부(ELD)의 점등/소등 상태가 변경된 경우)」, 「터치 센서 기동중에 키 눌림이 발생한 경우」,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 소자군을 걸친 접촉을 검출한 경우」 등이 설정된다.
또한, 감시부(SIMON)는, 예컨대, 센서 소자(R2와 R3) 등의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에서 동시에 접촉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일의 소자를 검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촉을 검출한 소자에 대응하는 비트에 플래그가 발생한 접촉 신호를 큐(QUE)에 넣는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45ms 주기로 큐(QUE)로부터 접촉 신호를 판독하여, 판독한 접촉 신호에 의해서, 접촉을 검지한 소자를 판정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큐(QUE)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한 접촉 신호에 의해 판정한 접촉의 변화, 및, 검지한 소자와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접촉 시작의 소자」, 「접촉의 이동 방향(시계 회전/반시계 회전)의 검출」, 및 「프레스로부터 릴리즈까지의 이동 거리」를 판정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판정된 결과를 결과 통지부(NTF)에 기입함과 아울러,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에 결과를 갱신하도록 통지한다.
접촉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의 판정은, 인접하는 센서 소자의 검출 및 각 센서 소자의 검출의 조합에 의해 행해지지만, 이것에는 여러 가지의 수법(판정 룰)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하나의 센서 소자(예컨대 R2)로부터 인접하는 센서 소자(이 예의 경우, R3)로 접촉이 천이하면, 그 방향으로, 1소자만큼(서브 표시부에서의 선택 후보 항목의 1항목만큼) 이동한다고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의 갱신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의해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에 통지되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은 결과 통지부(NTF)를 확인하여, 결과 통지부(NTF)에 통지된 정보의 내용을, 더욱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며 터치 센서 결과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서브 표시부에서의 메뉴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 및 록 제어를 위한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AP2) 등)에 통지한다.
다음에, 터치 센서부(210)(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터치 센서 모듈(TSM)에 대한 전원 ON/OFF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제어부, 교정 처리부)는, 터치 센서 모듈(TSM)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전압 무인가 상태(동작 불가 상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제 1 요구)를 검출하면, 터치 센서 모듈(TSM)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전압값까지 터치 센서 모듈(TSM)에 인가되는 전압을 올림과 아울러, 소정의 교정 처리(칼리브레이션)를 행하여 ON 상태(동작 가능 상태)로 이행시킨다. 즉, 터치 센서 모듈(TSM)은 ON 상태와 OFF 상태 사이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ON 상태에 있어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터치 센서 모 듈(TSM)의 기동 금지 요구(제 2 요구)를 검출하면, 전압을 내려서 전압 무인가 상태인 OFF 상태로 이행시키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이 내려가는 도중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를 검출하면, 그 기동 허가가 요구된 시점에서의 전압 인가 상태(전압이 무인가 상태까지 내려가지 않은 상태)로부터 다시 전압이 소정의 전압까지 오르려고 한다. 그러나, 터치 센서 모듈(TSM)은, 초기화 상태인 전압 무인가 상태로부터 전압을 소정의 전압까지 올려짐과 아울러 소정의 교정 동작이 행해져서 처음에 그 패널(PNL)로의 조작이 정상적으로 검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전압이 무인가 상태까지 내려가지 않은 상태로부터 전압을 소정의 전압까지 올리면, 상기 교정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고, 터치 센서 모듈(TSM)도 정상적으로 패널(PNL)로의 조작을 검출할 수 없다.
그래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전압이 내려가는 도중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를 검출해도 그 기동 허가 요구에 따른 전압의 인가 및 교정 동작을 억제하고, OFF 상태로의 이행 동작의 제어를 우선하여, 터치 센서 모듈(TSM)이 정상적으로 패널(PNL)로의 조작을 검출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전압 무인가 상태인 OFF 상태로의 이행 후에, 터치 센서 모듈(TSM)을 구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압값까지 전압을 올림과 아울러 소정의 교정 처리(칼리브레이션)를 행하여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여기서, 교정 처리(칼리브레이션)이란,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의해 행해지는 센서 소자의 기준 용량값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이다(정전 용량식의 센서 소자는, 기준 용량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에는 기준 용량값을 파악해 놓아야 함).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금지 요구 직후에, 기동 허가 요구가 있는 경우의 구체예로서는, 하우징을 열린 상태로 한 직후에 닫힌 상태로 한 경우, FM 라디오를 ON으로 한 직후에 OFF로 한 경우, 서브 표시부(ELD)를 소등으로 한 직후에 점등으로 한 경우, UART(시리얼 포트의 통신 회로)가 적외선 통신부 IR 또는 Felica로 전환한 직후에 터치 센서 모듈(TSM)로 전환한 경우 등이 생각된다.
하우징을 열린 상태로 한 직후에 닫힌 상태로 한 경우란, 즉 열린 상태에서는, 표시부(130) 측에서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하여, 그 직후 닫힌 상태로 하고, 터치 센서 모듈(TSM)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전원을 ON으로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개폐 검출부)가, 개폐 검출 디바이스(OCD)를 감시하여,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 기동 금지 요구를 행한다.
FM 라디오를 ON으로 한 직후에 OFF로 한 경우란, FM 라디오를 ON으로 하고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하고, 그 직후에, FM 라디오를 OFF로 하고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N 상태로 하는 경우이다. 즉, 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터치 센서 모듈(TSM)은, 발진 회로와 발진 회로에 접속된 전극을 갖고, 전극으로의 접촉 조작에 의해서 변화되는 발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신호의 주파수나 진폭의 변화에 근거하여 접촉 조작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진 회로의 발신 주파수와, FM 라디오의 수신 주파수가 가까운 값인 경우에 는, FM 라디오의 ON 동안에 터치 센서 모듈(TSM)을 조작하면, 라디오에 노이즈가 혼입하기 때문에, FM 라디오의 ON 상태와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 ON 상태는 서로 병존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는, 라디오 애플리케이션(AP4)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통해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 기동 금지 요구를 행한다.
서브 표시부(ELD)를 소등으로 한 직후에 점등으로 한 경우란, 즉, 서브 표시부의 점등/소등은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의 ON/OFF에 연동하고 있어, 서브 표시부(ELD)를 소등하여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하고, 그 직후에, 서브 표시부(ELD)를 점등하여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N 상태로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통해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 기동 금지 요구를 행한다.
UART가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Felica 모듈(FM)로 전환한 직후에 터치 센서 모듈(TSM)로 전환한 경우란, 즉, 터치 센서 모듈(TSM)로부터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Felica 모듈(FM)로 전환하여,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FF 상태로 하고, 그 직후에,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Felica 모듈(FM)을 종료하여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Felica로부터 터치 센서 모듈(TSM)로 전환하여,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을 ON 상태로 하는 경우이다. 본 휴대 전화 단말(100)에서는, UART에는 적 외선 통신부(IR), Felica 모듈(FM), 터치 센서 모듈(TSM)이 접속되고, 통상은, 터치 센서 모듈(TSM)의 시리얼 포트가 열려 있지만, 각각의 시리얼 포트는 동시에 열 수 없기 때문에, 전환부(SW)에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적외선 통신부 애플리케이션(APIR) 또는 FeliCa 애플리케이션(APF)이, 각각 적외선 통신 드라이버(IRD) 또는 FeliCa 드라이버(FD)를 통해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에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FeliCa 모듈(FM)의 기동 허가 요구를 행하면, 전환 제어부(SWCON)가 전환부(SW)에 의해 적외선 통신부(IR) 또는 FeliCa 모듈(FM)로 전환한다.
도 10은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의 ON/OFF 제어의 순차도이다.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의 ON/OFF 제어를 행하는 처리부를 터치 센서 드라이버(터치 센서 제어부)(TSD)로 한다. 즉,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전원 컨트롤러(PSCON)를 통해서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의 ON/OFF 제어를 행한다. 또한, 여기서는,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 라디오 애플리케이션(AP4), 서브 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AP1)을 클라이언트라고 하고, 클라이언트는 A, B, C를 상정한다. 또한,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압이 내려오기까지의 시간 50ms의 대기를 행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사용한다.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이 ON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A가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금지 요구를 행하면,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BA)의 플래그 기억부(FLG)(기억부)의 허가/금지 플래그를 금지 플래그로 갱신하여, 전원 OFF의 처리를 행한다. 이때, 바로 전원 OFF 상태(완전히 전원을 OFF하고 있는 상태)로 천이할 수 없기 때문에, 전원 OFF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50ms의 대기를 행하기 위해서, 50ms의 타이머를 기동한다. 타이머가 타임아웃하기 전에,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금지 요구가 행해진 경우는, 실제로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허가/금지 플래그만을 갱신한다. 순차 상에서는, 대표예로서 3개의 케이스를 준비하고 있다. 케이스 1은,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한 기동 허가/금지 요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케이스 2는, 기동 금지 요구한 클라이언트가 기동 허가 요구를 행하는 경우, 케이스 3은, 기동 금지 요구한 클라이언트가 기동 허가 요구를 하지만, 또 다른 클라이언트가 기동 금지 요구를 하는 경우이다. 또한, 이들 3개의 케이스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그 밖의 케이스이어도 좋고, 예컨대 플래그의 갱신이 3회 이상 행해지는 경우이어도 좋다.
타이머가 타임아웃한 경우,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허가/금지 플래그를 보고서, 케이스 1 및 케이스 3인 경우는, 마지막에 기억된 플래그가 금지 플래그이기 때문에 전원 OFF라고 판단하여, 전원 OFF 상태로 천이한다. 케이스 2의 경우는, 모든 클라이언트가 허가하고 있기 때문에, 재차 전원 ON의 처리를 행하여, 전원 ON 상태로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OFF 대기 상태의 동안에, 기동 허가 요구, 기동 금지 요구가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억하는 플래그 기억부(FLG)를 더 갖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가 전원 OFF 상태로 천이 후, 플래그 기억부(FLG)에 기억한 마지막 플래그 상태에 근거하여 제어를 행함으로써,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허가 요구, 기동 금지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또한, 터치 센서 드라이버(TSD)는,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 ON 상태 또 는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의 이행중인 상태의 동안에,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금지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전원 OFF 상태로의 이행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전원 ON 상태의 동안에, 기동 금지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칼리브레이션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로 터치 센서 모듈(TSM)의 전원 OFF 동작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터치 센서 모듈(TSM)의 기동 금지 요구가, FM 라디오를 ON 동작하는 경우는, 바로 라디오에 노이즈가 혼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도면이나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것에 주의한다. 따라서, 이들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유의한다. 예컨대, 각 부재,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하지 않도록 재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혹은 분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원 환상으로 마련한 센서 소자 레이아웃으로 설명했지만, コ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센서 소자군을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서 대향 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센서 소자군은 좌우 배치의 실시예로 설명했지만, 상하 2군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을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전화 이외의 휴대 무선 단말,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 휴대 게임기,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 전자 사전, 휴대 전자 서적 뷰어 등의 휴대 전자기기에 폭넓게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촉 센서의 타입에 따라서는, 손가락 이외의 전용 펜 등의 지시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이러한 접촉 센서를 탑재한 휴대 전자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치 센서 모듈(TSM)이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이행하고 있을 때에 이루어진 기동 허가 요구에 따른 ON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터치 센서 모듈(TSM)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이행하고 있을 때에 이루어진 기동 허가 요구에 따른 ON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가령, 터치 센서 모듈(TSM)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이행하고 있을 때에, 재차 기동 허가 요구에 따른 ON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가 개시되었다고 하면, ON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터치 센서 모듈(TSM)에 대한 교정 처리가 적정히 행해지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터치 센서 모듈(TSM)은 조작을 적정히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하게 되지만, 터치 센서 모듈(TSM)이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이행하고 있을 때에 이루어진 기동 허가 요구에 따른 ON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정한 교정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것에 따라 조작을 적정히 검출할 수 없는 것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센서 모듈(TSM)에 대한 기동 금지 요구가, 예컨대 하우징의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이동에 근거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의 검출 결과이며, 기동 허가 요구가, 예컨대 하우징의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동에 근거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의 검출 결과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터치 센서 모듈(TSM)에 대한 기동 금지 요구가, 예컨대 하우징의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동에 근거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의 검출 결과이며, 기동 허가 요구가, 예컨대 하우징의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이동에 근거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의 검출 결과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터치 센서 모듈(TSM)로의 조작이, 하우징의 열린 상태에서 가능해지도록 표시부(130)에 근접한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면, 하우징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터치 센서 모듈(TSM)이 조작하기 쉬운 부위에 나타남과 아울러, 상기 이동에 근거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KSP)의 검출을 계기로 기동 허가 요구가 이루어져 터치 센서 모듈(TSM)에 대해 교정 처리가 되고, 또한, ON 상태로 설정되게 되어,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관련 출원에 대한 크로스 레퍼런스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50616호(2006년 9월 15일 출원)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것의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한다.

Claims (8)

  1.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해 교정 처리를 행하는 교정 처리부와,
    제 1 요구에 따라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한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갖고,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동작 불가 상태일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가 행해지면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해 교정 처리를 행하는 교정 처리부와,
    제 1 요구에 따라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한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갖고,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동작 불가 상태일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가 행해지면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상기 조작 검출부가 상기 이동 불가 상태로 설정되고 나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 1 요구로서 인식하여,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조작 검출부에 대한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 또는 제 2 요구가 이루어진 것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요구에 따라 상기 조작 검출부를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중에 상기 기억부에 마지막에 기억된 요구가 상기 제 1 요구인 경우에는 상기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부에 의한 교정 처리를 행하고, 상기 설정중에 상기 기억부에 마지막에 기억된 요구가 상기 제 2 요구인 경우에는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설정을 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둔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한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개폐 중 어느 한쪽의 상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 1 요구로서 인식하고, 다른쪽의 상태의 검출 결과를 상기 제 2 요구로서 인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부터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중에 제 2 요구가 이루어지면,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동작 가능 상태와 동작 불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동작 불가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이루어지는 제 1 요구에 따라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교정 처리가 행해져서 상기 조작부로의 조작이 검출 가능해지는 조작 검출부를 갖고,
    상기 조작 검출부가 상기 동작 가능 상태와 상기 동작 불가 상태 사이의 전환을 하고 있을 때에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요구에 따른 상기 조작 검출부의 상기 동작 가능 상태로의 설정 및 상기 교정 처리를 억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에서의 제어 방법.
KR1020097007756A 2006-09-15 2007-09-14 전자기기 KR101069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50616 2006-09-15
JP2006250616A JP4578451B2 (ja) 2006-09-15 2006-09-15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959A true KR20090053959A (ko) 2009-05-28
KR101069072B1 KR101069072B1 (ko) 2011-09-29

Family

ID=3918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756A KR101069072B1 (ko) 2006-09-15 2007-09-14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83194B2 (ko)
JP (1) JP4578451B2 (ko)
KR (1) KR101069072B1 (ko)
WO (1) WO2008032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1672B (zh) * 2008-04-14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手摇轮
KR101014426B1 (ko) * 2008-12-08 2011-02-15 주식회사 애트랩 퍽 타입의 포인팅 장치, 포인팅 시스템 및 포인팅 방법
CN102141850B (zh) * 2010-01-29 2013-05-08 钛积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侦测与回复的触控系统及其重置装置
US10133636B2 (en) 2013-03-12 2018-11-20 Formulus Black Corporation Data storage and retrieval medi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304703B1 (en) 2015-04-15 2016-04-05 Symbolic I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e hyper IO digital retention
US9817728B2 (en) 2013-02-01 2017-11-14 Symbolic Io Corporation Fast system state cloning
US10061514B2 (en) 2015-04-15 2018-08-28 Formulus Bla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e hyper IO digital retention
US10572186B2 (en) 2017-12-18 2020-02-25 Formulus Black Corporation Random access memory (RAM)-based computer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0725853B2 (en) 2019-01-02 2020-07-28 Formulus Blac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failure prevention, management, and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9105A (en) * 1969-03-03 1971-05-18 Perkin Elmer Corp Digital readout system having an automatic zero-setting circuit
US3680084A (en) * 1970-08-03 1972-07-25 Denis Franklin Status display panel indicating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time with record feature
US4134217A (en) * 1977-03-11 1979-01-16 The Singer Company Omega simulation
US4541806A (en) * 1982-09-10 1985-09-17 Jewish Employment And Vocational Service Multiple aptitude testing device
JPS60245379A (ja) * 1984-05-19 1985-12-05 Fuji Photo Film Co Ltd 録画再生カメラ
US4786982A (en) * 1984-12-28 1988-11-22 Sony Corporation Multi-function rotary dial system including timer setting feature
US5488404A (en) * 1988-03-11 1996-0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cal character generator for an electro photographic printer
US6744470B1 (en) * 1992-07-07 2004-06-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ynchronization of video recording and laser pulses including background light suppression
US5473685A (en) * 1992-07-31 1995-12-05 U.S. Philips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end station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terminating impedance
US5345775A (en) * 1993-03-03 1994-09-13 Ridenour Ralph Gaylord Refrigeration system detection assembly
US5936613A (en) * 1993-11-05 1999-08-10 Intertactile Technologies Corporation Rotary circuit control devices with changeable graphics
US5561436A (en) * 1994-07-21 1996-10-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osition antenna
GB2293935B (en) * 1994-10-03 1999-07-14 Linear Modulation Tech Automatic calibration of carrier suppression and loop phase in a cartesian amplifier
US5537472A (en) * 1995-03-09 1996-07-16 At&T Corp. Portable telephone with flip stand or hinged doors and having speaker therein
US5673314A (en) * 1995-09-18 1997-09-3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oor cover speaker actuator and latch mechanism
US6185203B1 (en) * 1997-02-18 2001-02-06 Vixel Corporation Fibre channel switching fabric
KR100228315B1 (ko) * 1997-03-04 1999-11-01 윤종용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 장치
US6489883B1 (en) * 1997-04-30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contact data carrier system
JP3712834B2 (ja) * 1997-06-24 2005-11-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6266098B1 (en) * 1997-10-22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Function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ing a rotatable function menu
SE520689C2 (sv) * 1997-12-19 2003-08-12 Ericsson Telefon Ab L M Lock innefattande elekriska kalibreringsorgan, portabel anordning och sätt att tillverka ett lock
US6563864B1 (en) * 1998-02-04 2003-05-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sidential power cutback for splitterless DSL operation
DE19844663C2 (de) * 1998-09-29 2000-09-21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Schaltpunkten eines Entscheiders
US6178388B1 (en) * 1998-11-13 2001-01-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esistive ladder switching matrix
JP3421599B2 (ja) * 1998-11-25 2003-06-3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フィルム巻上げ装置を備えたカメラ
US6346807B1 (en) * 1999-10-22 2002-02-12 Bently Nevada Corporation Digital eddy current proximit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NO20004375L (no) * 1999-12-06 2001-06-07 Ziad Badarneh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fremvisning og assistering av manipuleringsbevegelser ved betjening av en manöverinnretning foret funksjonsutstyr
JP3271763B2 (ja) * 1999-12-16 2002-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DE10004996C2 (de) * 2000-02-04 2002-09-26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elbstkalibrierung von Faltungs-Analog/Digitalwandlern
JP2001277952A (ja) * 2000-03-29 2001-10-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装備品の作動システム
US6781570B1 (en) * 2000-11-09 2004-08-24 Logitech Europe S.A. Wireless optical input device
DE10117956B4 (de) * 2001-04-10 2004-04-08 Schott Glas Berührungsschalter mit einer Bedienfläche
BR0116989A (pt) * 2001-05-14 2004-06-29 Dept Of Atomic Energy Govt Of Dosìmetro de radiação digital de bolso
DE10135527A1 (de) * 2001-07-20 2003-02-13 Infineon Technologies Ag Mobilstation eines Mobilkommunikationssystems und Verfahren zum Zugreifen auf einen Dienst und/oder einen Datensatz im Bereitschaftsmodus der Mobilstation
US7312785B2 (en) * 2001-10-22 2007-12-2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345671B2 (en) *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20030111588A1 (en) * 2001-12-18 2003-06-19 Pao-Jung Chen Near-contact optical touch-screen sensor module
JP3721141B2 (ja) * 2002-03-25 2005-1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3975799B2 (ja) 2002-03-25 2007-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ダイアル式操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印刷装置
US7466307B2 (en) 2002-04-11 2008-12-16 Synaptics Incorporated Closed-loop sensor on a solid-state object position detector
US20040204129A1 (en) * 2002-08-14 2004-10-14 Payne David M.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7473949B2 (en) * 2002-12-10 2009-01-06 Fujitsu Limited Ferroelectr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125092A1 (en) * 2002-12-30 2004-07-01 Keith Kinerk Movable user interface
US20040135680A1 (en) * 2003-01-13 2004-07-15 Jacobs Ruby L. Handler Vehicle anti-carjacking and theft prevention device incorporating a sensor deactivating system
JP2004246414A (ja) * 2003-02-10 2004-09-02 Fujitsu Component Ltd 座標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4084171A1 (ja) * 2003-03-19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表示装置
JP2004311196A (ja) 2003-04-07 2004-11-04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4876369B2 (ja) * 2003-06-19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ガス漏洩検知方法
SE525614C2 (sv) * 2003-10-13 2005-03-22 Anders Swedin Beröringskänslig bildskärmsenhet, samt metod för avkänning av en beröring på bildskärmsenheten
US8531431B2 (en) * 2003-10-13 2013-09-10 Integritouch Development Ab High speed 3D multi touch sensitive device
JP4403141B2 (ja) * 2003-12-01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133781B2 (ja) * 2003-12-09 2008-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05277466A (ja) * 2004-03-22 2005-10-06 Sharp Corp 通信装置
US6967581B2 (en) * 2004-04-07 2005-11-22 Harry Karsten Breath alcohol detection system with identity verification
JP4304118B2 (ja) * 2004-04-22 2009-07-2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の出力コネクタ
WO2006066097A2 (en) * 2004-12-17 2006-06-22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Touch sensor system and method
US20060161711A1 (en) * 2004-12-24 2006-07-20 Kyocera Corporation Information device
JP4355652B2 (ja) * 2004-12-27 2009-11-0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防塵構造
US7683890B2 (en) * 2005-04-28 2010-03-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bending mode sensors and multiple detection techniques
US9019209B2 (en) * 2005-06-08 2015-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determination involving multiple touch location processes
WO2007011938A2 (en) * 2005-07-19 2007-01-25 Lafrance Autoworks, Inc. Touch-sensitive electronically controlled automotive door opener
US7843368B2 (en) * 2005-12-14 2010-11-30 Broadcom Corporation Programmable settling for high speed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O2007138982A1 (ja) * 2006-05-30 2007-12-06 Nec Corporation 入力装置
US20080004113A1 (en) * 2006-06-30 2008-01-03 Jason Avery Enhanced controller with modifiable functionality
KR101035814B1 (ko) * 2006-08-18 2011-05-2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80045278A1 (en) * 2006-08-18 2008-02-21 Healthpia America Corp. Externally connected glucome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9042216B2 (en) * 2008-06-20 2015-05-26 Alcatel Lucent Loop prevention mechanism for ethernet ring protection
JP4927791B2 (ja) * 2008-06-26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WO2011007382A1 (ja) * 2009-07-13 2011-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動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動装置
US8274489B2 (en) * 2009-09-17 2012-09-25 Himax Technologies Limited Readout apparatus and multi-channel readout apparatus for touch panel
US8335938B2 (en) * 2010-06-11 2012-12-18 Kevin Howard Orr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on of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9129A1 (en) 2010-03-18
US8583194B2 (en) 2013-11-12
WO2008032832A1 (fr) 2008-03-20
JP4578451B2 (ja) 2010-11-10
JP2008071235A (ja) 2008-03-27
KR101069072B1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072B1 (ko) 전자기기
KR101068441B1 (ko) 휴대 전자 기기
KR101035814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4741673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064395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入力操作判定方法
KR1011391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657171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95488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46802B2 (ja) 携帯電子機器
JP5355850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制御方法
KR101058256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JP5122779B2 (ja) 携帯電子機器
JP4907264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052429A (ja) 携帯電子機器
JP2008052567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操作検出方法
JP2011258241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