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256B1 -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256B1
KR101058256B1 KR1020097006059A KR20097006059A KR101058256B1 KR 101058256 B1 KR101058256 B1 KR 101058256B1 KR 1020097006059 A KR1020097006059 A KR 1020097006059A KR 20097006059 A KR20097006059 A KR 20097006059A KR 101058256 B1 KR101058256 B1 KR 10105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ment
control
element group
contac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004A (ko
Inventor
사야 시게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전자 기기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면서, 또한 각각이 접촉을 검출하는 센서 소자 R1~R4, L1~L4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 G1 및 제 2 센서 소자군 G2와, 각 센서 소자군이 개별적으로 제어를 실시하는 제 1 제어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20)는, 어느 하나의 센서 소자군 내의 센서 소자에 의해 개시되는 접촉 검출, 상기 개시 센서 소자에 인접하는 센서 소자에 의해, 상기 센서 소자군의 종단부까지 연속하는 연속 접촉 검출, 및 상기 하나의 센서 소자군의 종단부에 인접하는 다른 센서 소자군의 종단부로부터의 연속 접촉 검출을 검출함으로써 제 1 제어와는 다른 제 2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DETECTING METHOD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8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29655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 대상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부로서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고리 형상으로 배열한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조작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입력부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나 구성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0792호 공보에는, 휴대 전자 기기에 회전 다이얼식 입력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표시부 상에 표시시킨 커서를 회전 다이얼식 입력 디바이스의 회전량에 따라 이동시키도록 하는 휴대 전자 기기가 개시되 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0792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물리적·기계적인 회전에 따른 「회전 다이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인 마모 등에 의해 오동작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여, 조작 입력부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고, 또한, 내구성 기간이 짧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522797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1196호 공보에서, 물리적·기계적인 회전을 수반하지 않는 터치 센서 소자를 조작 입력부로 이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기술에서는, 복수의 터치 센서 소자를 고리 형상으로 배치하여, 접촉을 검출하며, 연속적인 접촉이 검출된 경우는, 그 접촉 검출 포인트의 이동에 따라, 커서의 이동 지시가 생긴다고 판정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휴대 전화에서 처리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함)이 다양화되고 있어,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도 다양화가 요청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5-52279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1196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센서 소자가 순방향(forward direction) 또는 역방향으로 접촉 조작되었는지를 검지하여, 그 검지한 방향에 따라 커서를 2방향 중 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처리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다양한 입력에 대처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이러한 터치 센서만을 탑재한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불충분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2방향의 이동을 검지하는 센서 소자군뿐만 아니라, 처리의 관리 체계가 상이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 전자 기기의 하우징 상에 마련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센서 소자군 및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장시키는 하우징의 표면 영역이 한정되어 있어, 작은 사이즈의 각 센서 소자군 및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야 하였다.
그러나, 휴대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실장하는 작은 사이즈의 각 센서 소자군 및 작은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특히 접촉을 검지하는 센서 소자군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작은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입력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미스를 유발하거나, 사용자의 의도하는 대로의 입력을 센서 소자군이 판정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장 면적을 크게 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 조작을 행하는 충분한 조작 영역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의도한 대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성이 우수한 휴대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르면, 휴대 전자 기기는, 접촉이 검출되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제 1 센서 소자군 및 제 2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 대해, 각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에 따라, 개별 제어를 실시하는 제 1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은 그들의 단부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 중 어느 한쪽의 센서 소자군 내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제 1 접촉 검출과, 다른 센서 소자군 내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제 2 접촉 검출의 양쪽의 접촉 검출에 근거하여 제어를 실시하는 제 2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 중 어느 한쪽 군내에만, 각각의 군내에서 센서 소자의 배치 방향을 따라 복수의 센서 소자에 의한 연속 접촉 검출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르면,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은 그들의 센서 소자가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으로, 센서 소자에 의해 접촉이 상기 고리 형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 2 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르면, 제 2 관점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은 그들의 센서 소자가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으로, 센서 소자에 의해 접촉이 상기 고리 형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 2 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르면, 제 3 관점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선택 항목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서의 주회 검출(a circulation detec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르면, 제 4 관점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선택 항목에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서의 주회 검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르면,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 1 센서 소자군 및 제 2 센서 소자군을 구비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각각의 센서 소자군에 대한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을 실시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서,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에 따라, 개별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 1 제어를 실행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의 한쪽 센서 소자군 내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과, 다른 센서 소자군내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의 양쪽에 근거하여 제어를 실시하는 제 2 제어를 실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하우징에 실장된 센서 소자를 갖는 휴대 전화 단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상세한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터치 센서 기능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에서의 각 센서 소자로부터의 접촉 검지 데이터의 처리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8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traces)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 전자 기기의 전형예로서 휴대 전화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휴대 전화 단말(100)은, 제어부(110), 센서부(120), 표시부(130), 기억부(플래시 메모리 등)(140), 정보 처리 기능부(150), 전화 기능부(160), 키 조작부 KEY 및 스피커 SP, 및 CDMA 통신망(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여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부 COM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용도에 따라 n개의 센서 소자군, 즉, 제 1 센서 소자군 G1, 제 2 센서 소자군 G2, 및 제 n 센서 소자군 G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 소자군은 복수의 센서(예컨대, 검지부를 기기 하우징의 외면에 마련하여,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 또는 근접을 검출하는 접촉 센서)를 갖고 있다. 기억부(140)는 보존 영역(142), 외부 데이터 보존 영역(144)을 갖고 있다. 제어부(110) 및 정보 처리 기능부(150)는 CPU 등의 연산 수단 및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를 통해 제어부(110)에 접속되는 RFID 모듈 RFID, 적외선 통신부 IR, 카메라(220), 라이트(230), 마이크 MIC, 라디오 모듈 RM, 전원 PS, 전원 컨트롤러 PSCON 등이 제어부(110)에 접속되지만, 여기서는 간략화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물체의 접촉을 검출하고, 기억부(140)의 보존 영역(142)에 검출한 정보를 저장하며, 정보 처리 기능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를 처리시킨다. 제어부(110)는 처리 결과에 따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상의 통화 기능을 위한 전화 기능부(160), 키 조작부 KEY 및 스피커 SP도 제어한다. 표시부(130)는 서브표시부 ELD, 및 도시하지 않은 메인 표시부(휴대 전화 단말(100)이 닫힌 상태에서는 감추어지고, 열린 상태에서는 노출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갖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a)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휴대 전화 단말(100)의 센서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패널 PNL을 생략하고, 센서 소자와 서브표시부 ELD 주변만의 배치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 단말(100)은 센서부(120)(센서 소자군 G1, G2를 덮는 도 6에서 후술하는 패널 PNL이 도시되어 있음), 카메라(220), 및 라이트(230)를 갖고 있다. 휴대 전화 단 말(1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닫힌 상태뿐만 아니라, 힌지부를 회동 또는 슬라이딩시켜 열린 상태로 할 수 있으며, 센서부(120)는 닫힌 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센서 소자 L1~L4 및 R1~R4는, 정전 용량식의 접촉 센서이며,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서브표시부 ELD의 주위에 고리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센서 소자 L1~L4는 제 1 센서 소자군 G1을 구성하고, 센서 소자 R1~R4는 제 2 센서 소자군 G2를 구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20)를 제 1 센서 소자군 G1과 제 2 센서 소자군 G2로 구성하고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 G1 및 제 2 센서 소자군 G2는, 서브표시부 ELD를, 선택 후보 항목의 배열 방향에 대해 선 대칭의 레이아웃으로 그 사이에 삽입 설계되며, 이격부 SP1, SP2에 의해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서브표시부 ELD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소자 L1~L4, R1~R4는, 정전 용량식의 접촉 센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저항식의 접촉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있어서, 서브표시부 ELD는 휴대 전화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음악 플레이어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은, 서브표시부 ELD에는 연주할 수 있는 곡명이 표시된다. 곡명 및 아티스트명의 세트는 하나의 항목, 즉, 「선택 후보 항목」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센서부(120)를 조작하여, 센서 소자 R1~R4, L1~L4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켜 서브표시부 ELD에 표시된 항목이나 조작 대상 영역을 이동시킴으로써, 곡명을 선택한다. 이 때, 터치 센서는, 도 2에 도시한 서브표시부 ELD의 주위에 센서 소자를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소형의 휴대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서의 큰 영역을 차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서브표시부 ELD의 표시를 보면서 센서 소자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센서 소자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상세한 기능 블럭도이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도 3에 나타내는 각종 소프트웨어는, 기억부(140)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기억부(140) 상에 작업 영역(work area)을 설치하고, 제어부(110)에 의해 동작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100)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블럭과 하드웨어 블럭으로 분리된다. 소프트웨어 블럭은 플래그 기억부 FLG를 갖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 서브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 AP1,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 AP2, 그 외 애플리케이션 AP3, 및 라디오 애플리케이션 AP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블럭은 적외선 통신 애플리케이션 APIR 및 RFID 애플리케이션 APRF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이 하드웨어 블럭의 각종 하드웨어를 제어할 때에, 적외선 통신 드라이버 IRD, RFID 드라이버 RFD, 오디오 드라이버 AUD, 라디오 드라이버 RD, 및 프로토콜 PR를 드라이버로서 사용한다. 예컨대, 오디오 드라이버 AUD, 라디오 드라이버 RD, 및 프로토콜 PR은 각각, 마이크 MIC, 스피커 SP, 통신부 COM, 및 라디오 모듈 RM을 제어한다. 소프트웨어 블럭은 하드웨어의 조작 상태를 감시 및 검출하는 키 스캔 포트 드라이버 KSP도 더 포함하며, 터치 센서 드라이버 관련 검출, 키 검출, 폴딩형, 슬라이딩형 등의 휴대 전화 단말의 개폐 검출, 이어폰의 착탈 검출 등을 행한다.
하드웨어 블럭은, 다이얼 키나 후술하는 택트 스위치 SW1 및 SW2와 같은 다양한 버튼을 갖는 키 조작부 KEY, 힌지부의 동작 상황 등에 근거하여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디바이스 OCD, 본체 부속의 마이크 MIC, 착탈 가능한 이어폰 EAP, 스피커 SP, 통신부 COM, 라디오 모듈 RM,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 및 전환 제어부 SWCON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전환 제어부 SWCON은, 소프트웨어 블럭의 해당 블럭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적외선 통신부 IR, RFID 모듈(무선 식별 태그) RFID, 제 1 센서 소자군 G1 및 제 2 센서 소자군 G2를 구성하는 터치 센서 모듈 TSM(센서부(120)와, 발진 회로 등의 센서부(120)를 구동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구성요소를 하나의 모듈로서 형성한 것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가 대응 커맨드를 픽업하도록 선택 가능 하드웨어(IR, RFID, TSM)를 스위칭한다. 전원 PS는 전원 컨트롤러 PSCON 을 통해 선택 가능 하드웨어(IR, RFID, TSM)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의 터치 센서 기능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 단말(100)은 터치 센서 드라이버 블럭 TDB, 터치 센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블럭 TSBA, 디바이스층 DL, 인터럽트 핸들러 IH, 큐(queue) QUE, OS 타이머 CLK,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AP1~AP3을 구비한다. 터치 센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블럭 TSBA는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 및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PI를 구비하고, 터치 센서 드라이버 블럭 TDB는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 및 결과 통지부 NTF를 갖고 있다. 디바이스층 DL은 전환 제어부 SWCON, 전환부 SW,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 적외선 통신부 IR, RFID 및 터치 센서 모듈 TSM을 가지며, 인터럽트 핸들러 IH는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 SIMON 및 확인부 CNF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각 블럭의 기능을 설명한다. 터치 센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블럭 TSBA에 있어서,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와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PI 사이에서는, 터치 센서 모듈 TSM을 기동할지 여부의 판정에 대한 신호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는, 서브표시부용의 애플리케이션인 서브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 AP1, FeliCa의 시큐리티 보호용으로 휴대 전화 단말(100)을 록킹(locking)하는 애플리케이션인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 AP2, 및 그 외 애플리케이션 AP3이다.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는,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터치 센서의 기동이 요구된 경우에,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PI에 터치 센서 모듈 TSM의 기동을 요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100)에 있어서, 서브디스플레이부는 고리 형상으로 배치된 센서 소자군의 중앙 영역에 마련된 서브표시부 ELD를 가리킨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PI는, TSM의 기동을 요구받으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관리하는 블럭(도시하지 않음)에게, 터치 센서 모듈을 기동시킬지 여부의 확인을 행한다. 즉,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PI는,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을 나타내는 서브표시부 ELD의 점등, 또는 FM 라디오 및 휴대 전화 단말(100)에 부속되는 그 외 애플리케이션 등의 터치 센서 모듈 TSM의 기동이 미리 불가능하다고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나타내는 플래그의 유무를 확인한다. 그 결과, 터치 센서 모듈 TSM의 기동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터치 센서 드라이버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API는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에게 터치 센서 모듈 TSM의 기동을 요구한다. 즉, 실제로는 전원 컨트롤러 PSCON을 통해 전원 PS가 터치 센서 모듈 TSM로의 전원 공급을 시작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는, 터치 센서 모듈 TSM의 기동이 요구되면,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에서의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와의 포트를 개방하도록, 디바이스층 DL 내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에게 요구한다.
그리고 그 후,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는, 터치 센서 모듈 TSM의 센싱 결과의 정보를 갖는 신호(이하, 접촉 신호라고 함)를, 터치 센서 모듈 TSM의 내부 클럭에 따라 20㎳의 주기로,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접촉 신호는 상술한 8개의 센서 소자 L1~L4 및 R1~R4 각각에 대응한 8비트의 신호로 출력된다. 특히, 각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지했을 때에는, 이 접촉을 검지한 센서 소자에 대응하는 비트에, 접촉 검지를 나타내는 「flag:1」을 설정하여, 이들 비트의 시리즈에 의한 접촉 신호를 형성한다. 즉, 접촉 신호에는 어떤 센서 소자가 접촉/비접촉인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인터럽트 핸들러 IH에서의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 SIMON은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에 출력된 접촉 신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확인부 CNF가,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추출된 접촉 신호의 True/False를 확인하여, True 신호만을 큐 QUE에 삽입한다(신호의 True/False의 종별에 대해서는 후술함). 또한, 시리얼 인터럽트 감시부 SIMON은, 터치 센서 모듈 TSM에서의 후술하는 택트 스위치의 누름의 발생 등과 같은, 터치 센서 모듈 TSM의 기동 중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SI의 다른 인터럽트의 감시를 행한다.
또한, 감시부 SIMON은, 검출한 접촉이 최초 접촉인 경우에는, 「프레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접촉 신호 앞에 큐 QUE에 삽입(큐잉)한다. 그리고 그 후, 오퍼레이션 시스템 내의 OS 타이머 CLK에 따라 45㎳ 주기로 접촉 신호를 갱신하고, 소정 주기 내에 접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릴리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큐 QUE에 삽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접촉 개시로부터 릴리스까지의 센서 소자 내에서의 접촉 검출의 이동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최초 접촉」은 큐 QUE에 데이터가 없는 상태, 또는, 최근방 입력 데이터가 「릴리스」를 나타내는 경우에 「flag:1」을 갖는 신호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들 처리에 의해,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는 「프레스」로부터 「릴리스」의 구간의 센서 소자의 검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동시에, 감시부 SIMON은, 터치 센서 모듈 TSM으로부터 출력되는 접촉 신호가 FALSE로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신호인 경우에, 「릴리스」를 의미하는 신호를 의사적으로 생성하여 큐 QUE에 삽입한다. 여기서, FALSE로 되는 조건으로는, 「비연속인 2개의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출한 경우」, 「터치 센서 모듈 TSM 기동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메일 착신 등의 통지로 인해 서브표시부 ELD의 점등/소등 상태가 변경된 경우)」, 「터치 센서 모듈 TSM 기동 중에 키의 누름이 발생한 경우」 등이 있다.
또한, 감시부 SIMON은, 예컨대, 센서 소자 R2와 R3인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출한 경우에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접촉을 검출한 경우와 같이, 접촉을 검출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비트에 플래그가 설정된 접촉 신호를 큐 QUE에 삽입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는, 45㎳ 주기로 큐 QUE로부터 접촉 신호를 판독하여, 접촉을 검지한 디바이스를 판정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는, 큐 QUE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한 접촉 신호에 의해 판정되는 접촉의 변화, 및, 접촉을 검지한 소자간의 위치 관계에 근거하여, 「접촉 개시의 디바이스」, 「접촉의 이동 방향(우회전/좌회전)」, 및 「프레스로부터 릴리스까지의 이동 거리」를 판정한다.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는, 판정 결과를 결과 통지부 NTF에 기입하고,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에 결과의 갱신을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단말(100)은, 접촉 신호에 의한 접촉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의 판정 모드로서, 「반주내 검출 모드(detection mode in semicircle)」 및 「주회 검출 모드(detection mode in circle)」를 갖고 있다. 이들 「반주내 검출 모드」 및 「주회 검출 모드」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것은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의 갱신이 터치 센서 드라이버 TSD에 의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에 통지되면, 베이스 애플리케이션 BA는 결과 통지부 NTF를 확인하여, 결과 통지부 NTF에 통지된 정보의 내용을, 더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면서 터치 센서 모듈 TSM의 접촉 조작 결과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서브표시부에서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 AP1, 및 록 제어를 위한 록 시 큐리티 애플리케이션 AP2 등)에 통지한다.
도 5는 센서부(120) 및 서브표시부 ELD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편의상,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서브표시부 ELD의 주위에 고리 형상의 패널 PNL이 배치되어 있다. 패널 PNL은 그 하부에 설치하는 센서 소자의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PNL의 하부에는, 인체의 손가락의 접촉/근접을 검지하기 위한 8개의 정전 용량형의 센서 소자 L1~L4, R1~R4를 고리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좌측의 4개의 센서 소자 L1~L4는 제 1 센서 소자군 G1을 구성하고, 우측의 4개의 센서 소자 R1~R4는 제 2 센서 소자군 G2를 구성하고 있다. 각 센서 소자군내의 인접하는 센서 소자 사이에는, 인접하는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 기능에 간섭하지 않도록,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간섭하지 않는 타입의 센서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간극은 불필요하다.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 L4와,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 R1 사이에는, 동일센서 소자군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센서 소자 사이의 간극보다 큰 간극(예컨대, 2배 이상의 길이)인 이격부 SP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 L1과,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 R4 사이에도, 이격부 SP1과 마찬가지로, 이격부 SP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격부 SP1, SP2에 의해서, 제 1 센서 소자군 G1과 제 2 센서 소자군 G2가 개별적으로 동작할 때에, 서로 손가락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센서 소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원호의 중앙, 즉, 센서 소자 L2 및 L3의 중간 하부에, 택트 스위치 SW1의 중심을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센서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의 중앙, 즉, 센서 소자 R2 및 R3의 중간의 하부에, 택트 스위치 SW2의 중심을 배치한다(도 6 참조).
방향성을 연상시키지 않는 위치인, 센서 소자군의 배치 방향의 중앙 근처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이 스위치가, 센서 소자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방향성을 가진 이동 지시 조작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는 조작을 실시하는 것임을, 사용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센서 소자군의 배치 방향의 중앙이 아니라 단부(예컨대 L1 또는 L4)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하면, 이 스위치는 단부측의 방향성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센서 소자에 의한 이동 동작을 계속하는 등을 위해 길게 누르게 하는 「스위치」로서, 해당 스위치를 사용자가 오해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센서 소자군의 배치 방향의 중앙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하면, 이러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소자의 아래쪽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하여, 해당 기기의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기기의 외관상으로도 노출되는 조작부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복잡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는 스마트한 인상(smart impression)으로 된다. 스위치를 패널 PNL 하부 이외의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기 하우징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하우징 강도의 저하가 생길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 PNL 및 센서 소자 의 아래쪽에 택트 스위치를 배치하여, 새로운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하우징 강도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표시부 ELD에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서브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 AP1의 실행 동안에, 사용자가, 예컨대, 손가락으로 순차적으로 센서 소자 L1, L2, L3, L4를 원호 형상으로 위쪽을 향해 슬라이딩하면, 표시부 ELD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 후보 항목(이 경우는 카메라, 데이터, 표시, 소리) 중 선택 대상 영역(반전 표시나, 다른 컬러로의 강조 표시 등)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항목이 위쪽 항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되거나, 선택 후보 항목이 위쪽으로 스크롤된다. 원하는 선택 후보 항목이 선택 가능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는, 패널 PNL 및 센서 소자 L2, L3을 통해 택트 스위치 SW1을 푸쉬하여 그것을 선택할 수 있거나, 택트 스위치 SW2를 푸쉬하여 화면 표시를 다른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패널 PNL은, 택트 스위치 SW1, SW2를 푸쉬하는데 충분한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도록, 또는 약간 경사 가능하도록 기기 하우징에 마련됨으로써, 택트 스위치 SW1, SW2에 대한 푸셔(pusher)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도 6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센서부(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하우징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 1 층에는, 패널 PNL 및 서브표시부 ELD가 배치된다. 제 1 층의 패널 PNL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층에는, 센서 소자 L1~L4, R1~R4가 배치된다. 제 2 층의 센서 소자 L2, L3 사이 영역, 및 센서 소자 R2, R3 사이 영역의 아래의 제 3 층에는, 택트 스위치 SW1, SW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각 센서 소자로부터의 접촉 검지 데이터의 처리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설명 편의상, 센서 소자 R1~R4로부터의 데이터 처리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지만, 센서 소자 L1~L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센서 소자 R1~R4의 각각에는 고주파가 인가된다. 전처리부(a pre-processing unit)(300)(R1용 전처리부(300a), R2용 전처리부(300b), R3용 전처리부(300c), R4용 전처리부(300d))는, 부유 용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센서 소자 R1~R4 각각을 조정하고(calibrate), 이 때의 고주파 상태를 기준으로서 설정해서, 손가락의 접촉 등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근거한 고주파 상태의 변동을 검출한다. 전처리부(300)에 의한 검출 신호는, A/D 변환기(310)(R1용 A/D 변환기(310a), R2용 A/D 변환기(310b), R3용 A/D 변환기(310c), R4용 A/D 변환기(310d))로 송신되어, 접촉 검출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탈화된 신호는 제어부(320)에 송신된다. 제어부(320)는, 센서 소자 L1~L4로부터의 신호와 합쳐져 8비트의 접촉 신호를 얻고, 해당 8비트의 접촉 신호를 예컨대 16진수로 변환시켜 기억부(330)에 저장한다. 그리고 그 후, 제어부(32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부, 인터럽트 핸들러에 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는,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터치 센서 드라이버가 판독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 후, 큐에 삽입된다. 또한, 제어부(320)는, 기억부(33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인접한 2개 이상의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출했을 때의 방향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 의한 「반주내 검출 모드」 및 「주회 검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주내 검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주내 검출 모드」는, 예컨대 전술한 음악 플레이어의 애플리케이션, 서브표시부 표시 애플리케이션 AP1 등의 실행 중에, 서브표시부 ELD에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 센서부(120)에서의 접촉 조작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반주내 검출 모드」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으로, 센서 소자 상을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a)는 휴대 전화 단말에 실장된 서브표시부와, 상기 서브표시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 센서 소자만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b)는 접촉을 검지한 센서 소자의 시간 추이를 나타내며, (c)은 접촉을 검지한 센서 소자에 따른 서브표시부 ELD의 조작 대상 영역의 위치 변화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9(a)에 있어서, 센서 소자, 센서 소자군 및 이격부에는 도 2(b)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c)의 서브표시부 ELD의 표시에 있어서, TI는 서브표시부가 표시하는 항목 리스트의 타이틀을 나타내고, LS1~LS4는 선택 후보 항목(예컨대, 스크롤 가능한 몇 개의 라인)을 나타낸다. (c)의 서브표시부에서, 조작 가능한 항목은 의 대상이(로) 되는 상태에 있는 항목은, 현재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식별되도록, 상기 항목에 커서를 배치하거나 또는 항목 자체를 반전 표시 등으로 강조 표시한다. 도면에서는, 조작 대상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항목에는 해칭을 실시하여 강조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동 대상」을 조작 대상 영역만으로 설명하지만, 항목 자체를 이동(스크롤링)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서브표시부가 동작한다.
도 8(a)에서 화살표 A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예컨대 손가락 등의 접촉 수단을 이용하여 센서 소자 위를 연속적으로 사용자가 트레이스 하면, 제어부(320)는 도 8(b)에서 나타내는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경우, 센서 소자 R1, R2, R3, R4의 순으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R1로부터 R4까지의 연속한 접촉이, 인접한 2개 이상의 센서 소자에 의해 검지되기 때문에, 제어부(320)는 방향을 검출하여, 인접한 센서 소자가 천이된 회수 및 방향에 따라, 조작 대상 영역이 서브표시부 ELD에 표시된 리스트 위를 이동한다. 이 경우는, 도 8(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은, 초기 위치의 항목 LS1로부터 항목 LS4로 아래쪽을 향해 3개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조작 대상 영역은, 해칭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해칭 피치가 좁은 것이 초기 위치이며, 해칭 피치가 넓은 것이 이동 후의 위치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아래쪽으로의 손가락의 지시 동작」과 유사하게, 서브표시부의 「조작 대상 영역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자신의 손가락으로 조작 대상 영역을 자유자재로 이동시키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의도한 바의 조작 감각을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a)에서 화살표 AR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센서 소자가 글라이딩되면,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 L4, L3, L2, L1이 이 순서대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경우, 검지된 접촉은, 화살표 AR1과 같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는 접촉이기 때문에,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항목 LS1로부터 항목 LS4로 조작 대상 영역이 3개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9(a)에서 화살표 AR1로 나타내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반시계 방향)으로 센서 소자가 트레이스되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 R4, R3, R2, R1이 이 순서대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경우, 검지된 접촉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는 접촉이기 때문에, 도 9(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향해 항목 LS4로부터 항목 LS1로 조작 대상 영역이 3개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도 9(a)에서 화살표 AR2로 나타내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시계 방향)으로 센서 소자가 트레이스되면,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소자 중 센서 소자 L1, L2, L3, L4이 이 순서대로 접촉을 검지한다. 이 경우, 검지된 접촉은, 화살표 AR1과 같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인접하는 센서 소자를 3개 천이하는 접촉이기 때문에, 도 9(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해 항목 LS4로부터 항목 LS1로 조작 대상 영역이 3개분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센서 소자 위를 트레이스할 때에, 센서 소자군의 이격부 SP1 또는 SP2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센서 소자가 접촉을 검출하는 경우에서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센서 소자가 이격부를 가로지르지 않고 접촉을 검출한 경우에서의 응답에 맞추어 설명한다.
도 10~도 13은 인접하는 2개의 센서 소자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복수의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0(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2개의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연속적으로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시간 추 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즉, 센서 소자 L3, L4의 순으로 손가락 등이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센서 소자 L3으로부터 L4까지의 연속한 접촉은,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지 않고, 인접한 2개 이상의 센서 소자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제어부(320)는 방향을 검출하여, 인접한 센서 소자를 천이한 회수와 방향에 따라, 조작 대상 영역이 서브표시부 ELD에 표시된 항목 리스트 상을 이동한다. 이 경우는, 도 10(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2일 때, 조작 대상 영역은 LS1까지 위쪽을 향해 1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1은 이격부 SP1을 가로질러 제 1 센서 소자군 G1과 제 2 센서 소자군 G2를 연속적으로 사용자가 접촉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1(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2개의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1(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 접촉은 센서 소자 L4, R1의 순으로 검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전자 기기)은, 센서 소자가 이격부를 가로지르는 접촉을 검출한 경우, 이격부를 가로지르기 전후의 접촉이, 각 센서 소자군 G1 또는 G2 내에서 2개 이상의 센서 소자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접촉 이동을 유효로 한다. 이격부를 가로지르기 전후의 접촉이, 이격부를 가로지르기 전후의 센서 소자군 G1 및 G2 내에서 하나의 센서 소자에 의해서만 검출되는 경우에는, 이격부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센서에 대한 이동은 무효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제 1 센서 소자군에서의 하나의 센서 소자 L4가 접촉을 검출한 후, 제 2 센서 소자군 내의 인접한 센서 소자에 의해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접촉의 검출 회 수가 센서 소자 R1에 의한 1회뿐이기 때문에, 제 1 센서 소자군 G1에 의해 검출한 제 1 접촉 L4로부터 제 2 센서 소자군 G2에 의해 검출한 제 2 접촉 R1로의 이동은 무효로 된다. 그 때문에, 도 11(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표시부 ELD의 조작 대상 영역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12는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2(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2(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R2, R1의 순으로 검출된다. 도 8의 경우와 같이, 센서 소자 위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움직임이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지 않기 때문에, 접촉 검출의 이동은 유효로 된다. 따라서, 도 12(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2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LS1까지 위쪽 방향으로 하나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3은, 도 11과 같이 이격부 SP1을 가로질러 제 1 센서 소자군 G1 및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센서 소자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3(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3(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R1, L4의 순으로 검출된다. 도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기 전의 제 1 접촉은 제 2 센서 소자군 G2에서의 하나의 센서 소자 R1에 의 해 검출되고, 이격부 SP1을 가로지른 후의 제 2 접촉은 제 1 센서 소자군 G1에서의 하나의 센서 소자 L4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R1로부터 L4로의 이동은 무효로서 간주된다. 따라서, 도 13(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표시부 ELD에서 조작 대상 영역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14~도 19는, 인접하는 3개의 센서 소자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에 있어서,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거나 가로지르지 않는 접촉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는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4(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4(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L2, L3, L4의 순으로 검출된다. 도 9의 경우와 같이,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이동이 아니기 때문에, L2~L4에 의한 접촉 검출은 유효로 된다. 따라서, 도 14(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3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1까지 위쪽 방향으로 2개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5는 사용자가 이격부 SP1을 가로질러 제 1 센서 소자군 G1과 제 2 센서 소자군 G2와 연속하여 접촉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5(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L3, L4, R1의 순으로 검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센서 소자군으로 2개의 접촉을 검출한 후에,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제 2 센서 소자군으로 접촉을 검출한 센서 소자의 수는 하나이다. 따라서, 제 1 센서 소자군 G1에 의해 검출된 제 1 접촉(L3으로부터 L4)은 유효로 되지만, 제 2 센서 소자군 G2에 의해 검출된 제 2 접촉으로의 이동(L4로부터 R1)은 무효로 된다. 따라서, 도 11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인접한 센서 소자를 천이한 회수와 방향에 따라, 선택 항목이 서브표시부 ELD에 표시한 리스트 상을 이동한다. 예컨대, 도 15(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2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항목 LS1까지 위쪽 방향으로 하나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6은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6(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6(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L4, R1, R2의 순으로 검출된다. 이 경우는,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기 전의 제 1 접촉은 하나의 센서 소자 L4에서만 검출되어, L4로부터 R1로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접촉 검출의 이동은 무효이다. 그러나, R1로부터 R2로의 이동은, 이격부 SP1을 가로지른 후에 2개의 접촉의 검출되기 때문에 유효이다. 따라서, 도 15의 경우와 같이, 도 16(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항목 LS2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LS3까지 아래쪽 방향으로 하나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7은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 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7(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R3, R2, R1의 순으로 검출된다. 도 14의 경우와 같이,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이동이 아니기 때문에, 도 17(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3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LS1까지 위쪽 방향으로 2개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8은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8(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부(320)는 도 1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R2, R1, L4의 순으로 검출된다. R2로부터 R1로의 이동은,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기 전에 2개의 접촉이 검출되기 때문에, 유효로 된다. 그러나, R1로부터 L4로의 이동은 이격부 SP1을 가로지른 후에 하나의 접촉만이 검출되므로 무효로 된다. 따라서,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8(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2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LS1까지 위쪽 방향으로 하나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도 19는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한 경우의 서브표시부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9(a)에 있어서,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센서 소자 위를 사용자가 연속하여 트레이스하면, 제어 부(320)는 도 19(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 추이로 접촉을 검출한다. 이 경우는, 접촉은 센서 소자 R1, L4, L3의 순으로 검출된다.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기 전의 제 1 접촉은 하나의 R1에서만 검출되므로, R1로부터 L4로의 이동은 무효이다. 한편, L4로부터 L3으로의 이동은, 이격부 SP1을 가로지른 후에 2개의 접촉이 검출되기 때문에, 유효로 된다. 따라서,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9(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의 초기 위치가 LS2이면, 조작 대상 영역은 LS3까지 아래쪽 방향으로 하나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접촉의 처리를, 이격부를 가로지르지 않는 경우와 합쳐서 설명했지만, 이격부 SP2를 가로지르는 접촉의 처리에도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주내 검출 모드」에서는, 각 센서 소자군에 의한 접촉 검출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므로, 예컨대 서브표시부 ELD 상에 표시된 선택 항목을 각각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제어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주회 검출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회 검출 모드」는, 예컨대 상술한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 AP2의 실행 중에, 시큐리티 록을 해제하는 경우에 센서부(120)에서의 접촉 조작의 주회 수 및 주회 방향을 검출하는 제 2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0은 「주회 검출 모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센서 소자군 G1 및 G2의 구성 및 배치에 관해서는 「반주내 검출 모드」의 것과 동일하다. 이 「주회 검출 모드」는, 「반주내 검출 모드」와 동일한 구성의 휴대 전자 기기를 이용하면서,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여, 다른 제어 체계로 입력을 검출하는 것이다.
도 20(a)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갖는 제 1 센서 소자군 G1 및 제 2 센서 소자군 G2를 나타낸다.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양 단부 및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양 단부는 그들 사이의 이격부 SP1 및 SP2를 각각 끼워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 소자군 위에는 패널 PNL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위화감 없이, 센서 소자군 G1의 종단으로부터 이격부 SP1을 가로질러 센서 소자군 G2의 시단으로, 또는 센서 소자군 G2의 종단으로부터 이격부 SP2를 가로질러 센서 소자군 G1의 시단으로,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트레이스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격부 SP1 및 SP2를 사이에 두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센서 소자군 G1 및 G2 위에서 부드럽게 손가락을 원 운동시킬 수 있다.
「주회 검출 모드」에 있어서는, 도 20(a)의 화살표 A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센서 소자군 G1의 센서 소자 L1~L4 위를 순차적으로 트레이스할 수 있고, 이격부 SP1을 가로질러 연속하여 센서 소자군 G2의 센서 소자 R1~R4 위를 순차적으로 트레이스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는, 서브표시부 ELD의 근방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군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원을 드리도록 트레이스할 수 있다. 이 조작에 의해,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는 일련의 이동으로서 센서 소자에 의해 접촉이 순차로 검출된다.
이러한 원 운동은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원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해당 접촉을 센서 소자가 검지함으로써, 시계 방향 의 복수의 주회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과는 반대의 「주회 검출 모드」를 나타낸다. 센서 소자군 G1 및 G2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 L1~L4 및 R1~R4의 구성은 도 20과 같다. 사용자가, 도 20의 경우와는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손가락을 회전시키면, 해당 이동에 따라 대응하는 접촉을 각 센서 소자가 검지한다.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원 운동을 행하면, 제어부(320)는 해당 접촉을 센서 소자가 검지함으로써, 반시계 방향의 복수 주회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회 검출 모드」에서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주회 운동(들)의 접촉을 검출함으로써, 1회의 회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주회의 접촉뿐만 아니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복수 주회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1주분의 검출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1주분을 단위로 설정하고, 이들 주회 운동을 조합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RFID를 이용한 과금 서비스 등의 비접촉 통신의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시큐리티 록을 사용자가 해제할 때의 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록(사용 규제)이 이용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터치 센서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을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 등에 통지하여, 미리 규정된 주회 방향의 소정수의 주회와 같은 록 해제의 조건에 직면하게 되면, 록 시큐리티 애플리케이션은 록을 해제한다. 또한, 복수 주회의 검출에서는, 예컨대, 음악을 재생하고 있을 때의 음량 조절, 예컨대 시계 방향을 따라 음량 높임 제어 및 반시계 방향을 따라 음량 낮춤 제어와 같이, 연속하는 값을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에 요구되는 동작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센서 소자군을 1주 트레이스하는 조작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대 전자 기기의 하우징 상에 배치된 센서 소자군을 잘 보지 않거나, 센서 소자군을 전혀 보지 않고, 손가락의 느낌으로 조작하는 것도 고려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촉을 검지하는 센서 소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영역이 확보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자주 조작 미스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입력을 센서 소자군이 판정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자 기기(100)는, 전체를 하나로서 간주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휴대 전자 기기(100)에 마련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반주내 검출 모드」 및 「주회 검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소자군을 이용하면, 각각의 모드를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별개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조작 영역이 확보되면서 또한 전체를 하나로 간주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하는 바의 입력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력 미스 및 디바이스의 오판정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예시적인 실시예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교시 내용을 이용하여 전술한 기술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실시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의 모든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됨을 유념해야 한다. 예컨대, 각 부재, 각 수단, 각 단계 등을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유닛, 단계 등을 조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원 형상으로 마련된 센서 소자의 레이아웃으 로 설명했지만, U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센서 소자를,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소자군은 표시부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했지만, 표시부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회의 주회 검출의 발생에 의해 시큐리티 록의 해제 등의 제 2 제어를 시작하는 예를 2개의 패턴으로 설명하였다. 즉, 하나의 패턴은,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개시부의 센서 소자 L1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접촉이 검출되는 센서 소자가 변화되어,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종단부의 센서 소자 R4까지 접촉 검출이 계속 발생하는 것이고, 다른 패턴은,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종단부의 센서 소자 R4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접촉이 검출되는 센서 소자가 변화되어,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개시부의 센서 소자 L1까지 접촉 검출이 계속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2개의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1주의 주회 검출의 발생으로서 다른 패턴의 접촉에 의해 제 2 제어를 실행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개시부도 아니고 종단부도 아닌 부분에 위치하는 센서 소자(예컨대 L3)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접촉이 검출되는 센서 소자가 변화되어,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개시부 R1로 향해 접촉 검출이 계속 천이하여, 제 2 센서 소자군 G2의 종단부 R4까지 접촉 검출이 도달한 후에, 제 1 센서 소자군 G1의 개시부(L1)에서 접촉 검출이 계속 발생해서, 그 후, 기점 L3 앞에, L2까지 접촉 검출이 천이한 경우에 1주의 주회 검출이 완료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1주의 검출로서, 주회 조작에 의한 접촉 검출에 대하여, 기점으로부터 주회 방향에서의 기점의 하나 앞의 위치까지 접촉 검출이 연 속적으로 발생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점으로부터 기점까지 연속하여 접촉 검출이 발생할 때의 주회 조작의 발생을 결정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소자군 G1 및 센서 소자군 G2의 2개의 센서 소자군을 이용했지만, 센서 소자군의 수를 3개 이상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2~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소자 L1~L3을 갖는 센서 소자군 G1, 센서 소자 R1~R3을 갖는 센서 소자군 G2, 및 센서 소자 M1~M3을 갖는 센서 소자군 G3을, 각각의 센서 소자군의 개시부와 종단부를 인접시켜 고리 형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컨대 「반주내 검출 모드」에서, 도 22(a)의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의 센서 소자군 내에서의 접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검출이 이루어지고, 도 22(c)와 같이, 조작 대상 영역이 위쪽 방향으로 2개 항목분만큼 이동한다. 또한, 「반주내 검출 모드」에서, 도 23(a)의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격부 SP1을 가로질러 2개의 센서 소자군 G1 및 G2에서 접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접촉이 하나의 센서 소자 R1만에 의해 검출되면, 이격부 SP1을 가로지른 후에 하나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은 무효로 되어, 조작 대상 영역은 위쪽 방향으로 하나의 항목분만큼 이동한다(도 22(c)). 그러나,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접촉이 2개 이상의 센서 소자에 의해 검출되면, 이격부 SP1을 가로지르는 2개 이상의 센서 소자에 의한 접촉 검출은 유효로 된다. 또한, 「주회 검출 모드」에서, 도 24(a)의 화살표 A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센서 소자군을 경유하여 1주분의 센서 소자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트레이스하면, 그 순서에 따라 연속하여 센서 소자 에 의해 접촉이 검출된다(도 24(b)).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휴대 무선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게임기,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 전자 사전, 휴대 전자 서적 뷰어(portable electronic book viewer)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폭넓게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센서 소자로서 정전 용량식의 접촉 센서를 이용했지만, 상술한 박막 저항식 접촉 센서, 수광량의 변동에 의해 접촉을 검지하는 광학식 센서, 표면 탄성파의 감쇠에 의해 접촉을 검지하는 SAW식 센서, 유도 전류의 발생에 의해 접촉을 검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의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접촉 센서의 타입에 따라서는, 손가락 이외의 전용 펜 등의 지시 기구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의 접촉 센서가 있으며, 이러한 접촉 센서를 탑재한 휴대 전자 기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리 형상으로 배열되고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를 실장한 휴대 전자 기기는, 복수의 센서 소자군이 각각 별개의 센서 소자군으로서 접촉을 검출하는 제어와, 복수의 센서 소자군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센서 소자군으로서 주회의 접촉을 검출하는 제어를 스위칭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복수의 관리 체계를 갖는 것 같은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 검출에 대응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의 실장 면적을 크게 하지 않고 입력 조작을 행하여, 조작 영역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한 대로의 조작을 행할 수 있어,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제 1 센서 소자군 및 제 2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또는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 있어서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에 따른, 각각 개별 제어를 행하는 제 1 제어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은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 중 어느 하나의 센서 소자군 내에 있어서 연속한 접촉이 검출되면, 접촉이 검출된 위치의 변화량에 근거하는 제어인 상기 제 1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 걸쳐 상기 고리 형상을 따르는 주회 접촉(a circulation contact)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제어와는 다르고, 접촉이 검출된 위치의 변화량에 근거하지 않는 제어인 제 2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또는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 중 어느 하나의 센서 소자군 내에서만, 각각의 군 내에 배열된 센서 소자의 배열 방향을 따르도록 복수의 센서 소자에 있어서의 접촉이 연속하여 검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1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는 직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사(示唆)하는 제어이고,
    상기 제 2 제어는 직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사하지 않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 걸쳐, 모든 센서 소자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 2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 걸쳐, 모든 센서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소자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접촉이 검출된 센서 소자를 많이 갖는 쪽의 센서 소자군에 있어서의 접촉 검출에 따른 상기 제 1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선택 항목으로부터 임의의 항목을 선택하는 선택 조작에 관한 제어이고,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및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서의 주회 검출(a circulation detection)에 관한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6.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연속적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서 소자군과,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군의 접촉 검출에 따른, 각각 개별 제어를 행하는 제 1 제어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군 내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을 따르는 주회 접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접촉이 검출된 위치의 변화량에 근거하는 제어인 상기 제 1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소자군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을 따르는 주회 접촉이 검출된 경우에, 접촉이 검출된 위치의 변화량에 근거하지 않는 제 2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7. 접촉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 소자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제 1 센서 소자군 및 제 2 센서 소자군을 갖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센서 소자군에서의 센서 소자의 접촉 검출을 실시하는 공정과,
    각각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과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의 각각에서의 접촉 검출에 따라, 개별 제어를 행하는 제 1 제어를 실행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 또는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 중 어느 하나의 센서 소자군 내에 있어서 연속한 접촉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 1 센서 소자군으로부터 상기 제 2 센서 소자군에 걸쳐 상기 고리 형상을 따르는 주회 접촉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제어와는 다른 제 2 제어를 실행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는, 접촉이 검출된 위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지표를 이동시키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097006059A 2006-08-25 2007-07-26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KR101058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29655 2006-08-25
JP2006229655A JP4964535B2 (ja) 2006-08-25 2006-08-25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操作検出方法
PCT/JP2007/064701 WO2008023532A1 (en) 2006-08-25 2007-07-26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per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004A KR20090043004A (ko) 2009-05-04
KR101058256B1 true KR101058256B1 (ko) 2011-08-22

Family

ID=3910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059A KR101058256B1 (ko) 2006-08-25 2007-07-26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54310B2 (ko)
JP (1) JP4964535B2 (ko)
KR (1) KR101058256B1 (ko)
WO (1) WO20080235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158A (ja) 1999-10-12 2001-07-06 Noobasu:Kk 情報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574A (ja) * 1993-09-30 1995-04-21 Toshiba Corp 遠隔操作制御装置
JP3975799B2 (ja) 2002-03-25 2007-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ダイアル式操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印刷装置
JP4005833B2 (ja) * 2002-04-09 2007-11-14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表示画面操作装置
US7466307B2 (en) 2002-04-11 2008-12-16 Synaptics Incorporated Closed-loop sensor on a solid-state object position detector
JP2004311196A (ja) 2003-04-07 2004-11-04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2005044026A (ja) 2003-07-24 2005-02-17 Fujitsu Ltd 命令実行方法、命令実行プログラムおよび命令実行装置
US20070152977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JP2005303581A (ja) *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システム
JP2005322087A (ja) 2004-05-10 2005-11-17 Sharp Corp 表示装置
US8106888B2 (en) * 2004-10-01 2012-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bration sensing touch input device
CA2594527C (en) * 2004-12-23 2012-07-10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Shared electrode pattern field effect sensor and joystick therewith
US7804495B2 (en) * 2004-12-27 2010-09-28 Pioneer Corporation User interface system,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060227117A1 (en) * 2005-04-07 2006-10-12 Microsoft Corporation Circular touch sensor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20070152983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US9360967B2 (en) * 2006-07-06 2016-06-07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7813774B2 (en) * 2006-08-18 2010-10-12 Microsoft Corporation Contact, motion and position sensing circuitry providing data entry associated with keypad and touchp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158A (ja) 1999-10-12 2001-07-06 Noobasu:Kk 情報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3532A1 (en) 2008-02-28
JP4964535B2 (ja) 2012-07-04
JP2008052594A (ja) 2008-03-06
US20100090961A1 (en) 2010-04-15
US8854310B2 (en) 2014-10-07
KR20090043004A (ko) 200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8813B2 (ja) 携帯電子機器
JP4741673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WO2008020538A1 (fr)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et son procédé de commande
KR101069072B1 (ko) 전자기기
JP5064395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入力操作判定方法
WO2008023540A1 (fr)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procédé de détection du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et procédé pour commander un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JP5295488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57171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57174B2 (ja) 表示機器
KR101058256B1 (ko)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 기기의 조작 검출 방법
JP5046802B2 (ja) 携帯電子機器
JP4721986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536019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55850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制御方法
JP5122779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8052567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操作検出方法
JP4907264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258241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12089148A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