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2629A -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 Google Patents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2629A KR20090052629A KR1020070119235A KR20070119235A KR20090052629A KR 20090052629 A KR20090052629 A KR 20090052629A KR 1020070119235 A KR1020070119235 A KR 1020070119235A KR 20070119235 A KR20070119235 A KR 20070119235A KR 20090052629 A KR20090052629 A KR 200900526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substrate
- backup pin
- support
- way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제공한다. 상기 백업 핀은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지지스프링,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및, 그 외주면이 상기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백업 핀에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구비되기 때문에, 백업 핀의 높이 설정시 작업자의 로드 고정작업이 없이도 로드의 위치를 설정 및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이용하면, 백업 핀의 높이 설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부품, 실장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실장하는 공정에서 기판의 밑면을 지지하는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칩 마운터와 같은 부품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반도체 칩과 같은 부품을 실장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부품실장기의 부품실장 공정은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을 부품실장영역으로 공급하는 기판공급 단계, 상기 부품실장영역으로 공급된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고정 단계, 상기 고정된 기판의 밑면을 지지하는 기판지지 단계 및, 고정됨과 아울러 그 밑면이 지지된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된 기판의 밑면을 지지하는 기판지지 단계는 일정 높이만큼 상승 및 하강되는 백업 테이블(backup table) 및 상기 백업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백업 핀(backup pin)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 백업 핀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백업 핀(50)은 중공의 몸체(52), 상기 몸체(52)의 내부로 끼워지며 상기 몸체(52)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로드(rod,51), 상기 로드(51)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52)의 내부에 끼워지는 지지스프링(53), 상기 지지스프링(53)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52)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체(55) 및, 상기 몸체(52)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51)를 고정시키는 클램프(clamp,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백업 핀(50)은 그 로드(51)와 지지스프링(53)이 몸체(52) 내부로 끼워진 다음, 스프링 지지체(55)가 몸체(52)의 하부로 결합되고 클램프(54)가 몸체(52)의 측면으로 결합되어 조립되며, 조립된 이후에는 백업 테이블 상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백업 핀(50)으로 기판을 지지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백업 핀의 로드를 고정하지 않고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종래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백업 테이블을 상승시켜 종래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c)는 백업 테이블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종래 백업 핀의 로드를 고정시킨 후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백업 핀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기판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상기 (a)와 같이 백업 핀이 셋팅된 상태에서 상기 (a)의 경우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의 (a)를 참조하면, 기판이송장치(30)에 의해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된 기판(10)은 기판 클램프(20)에 의해 그 부품실장영역에서 고정된다. 다음, 기판(10)이 고정되면, 백업 핀(50)이 고정된 기판(1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도록 백업 테이블(40)은 상승된다. 따라서, 종래 백업 핀(50)은 도 2의 (b)와 같이 기판(1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게 되고, 부품실장헤드(미도시)는 이러한 기판(10) 상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계속하여, 부품이 실장되면, 부품이 실장된 기판(10)이 후속 공정위치로 이송되도록 백업 테이블(40)은 도 2의 (c)와 같이 하강된다. 따라서, 백업 핀(50)도 이러한 백업 테이블(40)과 같이 하강되며, 기판(10)은 기판이송장치(30)에 의해 후속 공정위치로 이송된다.
이때, 종래 백업 핀(50)은 클램프(54)로 로드(51)를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백업 핀 몸체(52) 내부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 2의 (c)와 같이, 백업 테이블(40)을 하강시킬 경우, 기판(10)에 접촉되어 몸체(52) 내부로 이동되었던 로드(51)는 백업 테이블(40)이 하강됨에 따라 원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백업 핀(50)으로 기판(10)의 중앙 부분을 다시 지지하기 위해서는 백업 테이블(40)이 도 2의 (b)와 같이 매우 높게 상승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 백업 핀(50)으로 기판(10)의 밑면을 매우 빠르고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이송되는 기판(10)에 맞게 로드(51)의 위치를 설정하고, 클램 프(54)를 이용하여 그 설정된 위치에 로드(51)를 고정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품실장 공정의 진행에 앞서 사용자가 그 기판(10)에 맞게 로드(51)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한 뒤에는 클램프(54)를 이용하여 그 설정된 위치에 로드(51)를 고정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상과 같은 로드 고정작업을 수행하는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우 좁은 폭을 갖는 기판(10)의 경우에는 기판이송장치(30)의 사이로 손을 집어넣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어려운 과정을 통하여 도 3의 (a)와 같이 로드의 위치를 설정 및 고정시켰을 경우에도, 도 3의 (b)와 같이 작업하는 기판(10')이 변경되면 일정 위치에 설정 및 고정된 로드(51)가 기판(10')의 일정영역(도 3의 A)에 부딪치어 기판(10')을 브로큰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상과 같은 로드 고정작업은 기판(10')이 바뀔 때마다 즉, 작업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그 높이 설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백업 핀이 제공된다. 상기 백업 핀은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지지스프링;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및, 그 외주면이 상기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제1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에 맞물리도록 제2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부품실장기가 제공된다. 상기 부품실장기는 기판을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장치; 상기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된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프; 상기 고정 된 기판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는 백업 테이블; 상기 백업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된 기판의 밑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되,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지지스프링,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및, 그 외주면이 상기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을 구비한 백업 핀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제1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에 맞물리도록 제2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업 핀에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구비되기 때문에, 백업 핀의 높이 설정시 작업자의 로드 고정작업이 없이도 로드의 위치를 설정 및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이용하면, 백업 핀의 높이 설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 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백업 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업 핀(100)은 후술될 로드(110)가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베어링 결합부(123)가 마련된 몸체(120), 상기 몸체(120)의 하단을 통해 상기 몸체(120)의 내부로 끼워지며 상기 몸체(120)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로드(110), 상기 몸체(120)의 내부로 끼워지되 상기 로드(110)의 상부가 상기 몸체(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로드(110)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130), 상기 지지스프링(1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체(150), 상기 몸체(120)의 측면에 마련된 베어링 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110)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160) 및,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을 커버하는 베어링 캡(17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결합부(123)는 상기 몸체(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일부가 상기 몸체(120)의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이 상기 베어링 결합부(123)에 끼워지면, 상기 몸체(120)의 내부로 끼워진 상기 로드(110)의 일측면은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일면 예를 들면, 외주면에 접촉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로드(110)는 상기 몸체(120)의 하단을 통해 상기 몸체(120)의 내부로 끼워지되 상기 몸체(120)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드(110)의 길이는 상기 지지스프링(130)이 그 하부를 지지했을 때 그 상부가 상기 몸체(120)의 상부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120)에 결합되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제1 걸림부(115)가 형성되되 상기 로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부(115)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걸림부(115)의 형상은 대략 요철(凹凸) 형태나 톱니(△△△)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은 일측 방향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으로, 그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115)에 맞물리도록 제2 걸림부(16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20)의 내부로 상기 로드(110)가 끼워진 후,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이 상기 베어링 결합부(123)에 끼워지면, 상기 로드(110)의 제1 걸림부(115)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부(165)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110)는 상기 걸림부들(115,165)의 맞물림과 함께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일방향 회전 기능으로 인하여, 그 하측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그 상측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못하게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걸림 부(165)의 형상은 상기 제1 걸림부(115)의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걸림부(165)의 형상은 대략 요철(凹凸) 형태나 톱니(△△△)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양측면 중앙에는 회전방지해제 돌기(162)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역회전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회전방지해제 돌기(162)를 잡아당기거나 소정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은 회전이 방지되었던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몸체(120)의 하부로 이동되었던 로드(110)는 상기 지지스프링(130)의 탄성지지로 인하여 최초의 위치 곧, 상기 몸체(120)의 상단 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참조번호 121은 상기 몸체(1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121)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백업 핀(100)을 구비한 부품실장기 및 이 부품실장기의 기판지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 백업 핀을 이용하여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본 발명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백업 테이블을 상승시켜 본 발명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백업 테이블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는 기판(10)을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장치(30), 상기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된 기 판(10)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프(20), 상기 고정된 기판(10)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는 백업 테이블(40) 및, 상기 백업 테이블(4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된 기판(10)의 밑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백업 핀(10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도 4 내지 도 5의 백업 핀(100)이므로, 이하에서는 백업 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부품실장기의 기판지지 방법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와 같이, 기판이송장치(30)에 의해 기판(10)이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되면, 기판 클램프(20)는 그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된 기판(10)을 고정한다.
다음, 기판(10)이 고정되면, 백업 핀(100)이 고정된 기판(1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도록 백업 테이블(40)은 상승된다. 이때, 백업 핀(100)의 내부에는 원웨이 베어링(160)이 구비되고, 백업 핀(100)의 로드(110)는 이 원웨이 베어링(160)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백업 핀(100)이 상승될 시, 백업 핀(100)의 로드(110)는 작업자의 별도의 로드 고정작업 없이 기판(10)에 접촉되어 자동으로 그 높이가 설정되고, 설정된 이후에는 도 6의 (b)와 같이 기판(1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부품실장헤드는 이러한 기판(10) 상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계속하여, 부품이 실장되면, 부품이 실장된 기판(10)이 후속 공정위치로 이송되도록 백업 테이블(40)은 도 6의 (c)와 같이 하강된다. 따라서, 백업 핀(100)도 이러한 백업 테이블(40)과 같이 하강되며, 기판(10)은 기판이송장치(30)에 의해 후속 공정위치로 이송된다.
이때, 종래 백업 핀(50)은 작업자가 별도로 로드(51)를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그 로드(51)가 백업 핀(50)의 상부로 다시 복귀되어지므로, 작업자의 로드 고정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의 경우는, 로드(110)의 제1 걸림부(115)가 원웨이 베어링(160)의 제2 걸림부(165)에 맞물려 있고, 또 원웨이 베어링(160)은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일방향으로만의 회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로드(110)는 그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의 경우에는 백업 핀(100)의 높이 설정시 작업자의 로드 고정작업이 없이도 로드(110)의 위치를 설정 및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을 이용하면, 백업 핀(100)의 높이 설정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이송장치(30)의 폭 조절 등을 위해 백업 핀(100)을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더라도 백업 핀(100)의 설정 높이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실장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의 역회전이 필요할 경우, 즉, 백업 핀(100)의 높이 설정이 다시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원웨이 베어링(160)의 회전방지해제 돌기(162)를 잡아당기거나 소정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160)은 회전이 방지되었던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몸체(120)의 하부로 이동되었던 로드(110)는 상기 지지스프링(130)의 탄성지지로 인하여 최초의 위치 곧, 상기 몸체(120)의 상단 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이에, 작업자는 백업 핀(100)의 높이 설정을 다시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의 경우에는 백업 핀(100)의 로드(1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의 변경 등에 의해 나중에 사용될 기판(10')의 두께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판(1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경우, 작업자의 별도의 작업 없이도 곧바로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을 이용하여 그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100)을 이용하면, 종래에 비하여 백업 핀(100)의 높이 설정시간만큼의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백업 핀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백업 핀의 로드를 고정하지 않고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종래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백업 테이블을 상승시켜 종래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c)는 백업 테이블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종래 백업 핀의 로드를 고정시킨 후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백업 핀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기판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상기 (a)와 같이 백업 핀이 셋팅된 상태에서 상기 (a)의 경우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 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백업 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 백업 핀을 이용하여 기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a)는 본 발명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백업 테이블을 상승시켜 본 발명 백업 핀이 기판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백업 테이블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 중공의 몸체;상기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로드;상기 로드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지지스프링;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및,그 외주면이 상기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을 포함하는 백업 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로드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에 맞물리도록 제2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핀.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핀.
- 기판을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하는 기판이송장치;상기 부품실장영역으로 이송된 기판을 고정하는 기판 클램프;상기 고정된 기판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는 백업 테이블;상기 백업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된 기판의 밑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되,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로드, 상기 로드의 하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로 끼워지는 지지스프링,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및, 그 외주면이 상기 로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하측 방향 이동만을 허용하고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하는 원웨이 베어링을 구비한 백업 핀을 포함하는 부품실장기.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로드의 일측면에는 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도록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상기 원웨이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부에 맞물리도록 제2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235A KR101126768B1 (ko) | 2007-11-21 | 2007-11-21 |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9235A KR101126768B1 (ko) | 2007-11-21 | 2007-11-21 |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629A true KR20090052629A (ko) | 2009-05-26 |
KR101126768B1 KR101126768B1 (ko) | 2012-04-12 |
Family
ID=4086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9235A KR101126768B1 (ko) | 2007-11-21 | 2007-11-21 |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676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5367A (ja) * | 1992-08-11 | 1994-03-01 | Hitachi Ltd | 物品の自動位置決め装置 |
KR100371225B1 (ko) * | 2000-11-24 | 2003-02-06 | 미래산업 주식회사 | 표면실장장치의 백업장치 |
KR100407743B1 (ko) * | 2001-07-23 | 2003-12-03 | 미래산업 주식회사 | 표면실장장치의 인쇄회로기판의 백업부재 |
FR2919691B1 (fr) | 2007-08-03 | 2009-10-30 | Lisi Aerospace Soc Par Actions | Agrafe d'epinglage a vis et son utilisation pour la fixation temporaire d'une grille de percage sur des elements a assembler |
-
2007
- 2007-11-21 KR KR1020070119235A patent/KR1011267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6768B1 (ko) | 2012-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5456B2 (en) | Semiconductor device socket | |
US4831721A (en) | Mounting head exchange arrangement for part mounting machine | |
JP2009241428A (ja) | 印刷装置 | |
JP3550787B2 (ja) | Icソケット | |
JP2011159719A (ja) | Led用ハンダ付け治具 | |
KR101126768B1 (ko) | 백업 핀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 |
KR20150045406A (ko) |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 | |
JP4647686B2 (ja) | 仮止め装置 | |
KR20030004126A (ko) | 전자 부품용 소켓 | |
TWI708448B (zh) | 電性零件用插座 | |
JP2010238962A (ja) | ハンダ付け治具 | |
TW202119035A (zh) | Ic檢查用插座 | |
JP6546697B2 (ja) | 基板サポート装置、スクリーン印刷装置、塗布装置、表面実装機、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段取り方法 | |
JP3242275B2 (ja) | Icソケット用治具 | |
JP3453447B2 (ja) | 実装機のノズル保持構造 | |
JP2005311093A (ja) | ウェーハ搬送装置 | |
KR20050087361A (ko) | 기판 이송 장치 | |
JPH08274222A (ja) | Icソケット用治具 | |
KR100267213B1 (ko) | 캐리어모듈에 마이크로 비지에이(μBGA)타입의 소자를 로딩하여 소켓에 콘택하는 장치 | |
JP2002178287A (ja) | 電子部品搭載装置 | |
KR100908113B1 (ko) | 브러쉬홀더 어셈블리의 고정링 설치용 작업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정링 설치방법 | |
KR101466042B1 (ko) | 반도체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 |
TWM568426U (zh) | Quick release briquetting block and wafer burning device with quick release briquetting block | |
JP2004134556A (ja) | 電子部品フィーダー | |
JP2005066777A (ja) | ノズル交換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