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406A -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 - Google Patents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406A
KR20150045406A KR20147032040A KR20147032040A KR20150045406A KR 20150045406 A KR20150045406 A KR 20150045406A KR 20147032040 A KR20147032040 A KR 20147032040A KR 20147032040 A KR20147032040 A KR 20147032040A KR 20150045406 A KR20150045406 A KR 20150045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printed circuit
circuit assembly
channel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이 웨스트팔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5004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1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having operat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장치는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로킹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로킹 유닛은 제 1 채널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 제 1 채널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 및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로킹 부재는, 맞물림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1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는 제 1 채널 내에 배치되며, 제 1 외부 로킹 부재 및 제 1 내부 로킹 부재와 접촉하여, 제 1 내부 로킹 부재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CONNECTION INCLUDING FLANGE IN COOPERATION WITH RESILIENT MEMBER TO ENGAGE AND DISENGAGE REMOVABLE PRINTED CIRCUIT ASSEMBLY}
본 발명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하는 연결 장치, 및 그러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및 그러한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버 등과 같은 전자 기기 내의 연결 장치는 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ual in-line memory module; DIMM)과 같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다. DIMM은 데이터, 프로그램, 및/또는 동종의 것을 저장할 수 있다. DIMM은 필요에 따라 제거되고, 재설치되고,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서버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서 연결 장치는 메모리 모듈과 같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인쇄 회로 조립체는 칩 및/또는 기타 전자부품을 유지하는 기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판은 각각의 커넥터의 대응하는 전기 접점에 착탈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상면에 전기 접점을 갖는 에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JEDEC 표준과 같은 표준에 부합하는 연결 장치는 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IMM) 등과 같은 착탈식 메모리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연결 장치는 각각의 DIM의 에지 부분의 대응하는 전기 접점을 수용하기 위한, 예컨대, 전기 접점 및/또는 키를 구비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장치는 또한 DIMM의 각각의 에지 부분의 슬롯 내로의 삽입 시에 DIMM과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한 세트의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각각의 래치를 설치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연결 장치의 각각의 부분을 이들 사이에 저항을 제공하도록 접촉시키는 구속 범프(detain bum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의도되지 않은 힘 또는 진동에 의해 래치는 구속 범프와 연결 장치의 각각의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저항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DIMM은 의도하지 않게 연결 장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오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DIMM 및/또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손상되거나 및/또는 이용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장치는 커넥터 본체 및 이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로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킹 유닛은 제 1 채널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 상기 제 1 채널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 및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로킹 부재는, 맞물림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1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탄성 부재는 제 1 채널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외부 로킹 부재 및 제 1 내부 로킹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덧붙여, 제 1 탄성 부재는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제 1 내부 로킹 부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맞물림 위치에서, 제 1 탄성 부재는 맞물림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에 대고 제 1 플랜지를 압박하는 그리고 유지하는 적절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의 이탈이나 연결 장치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의 오정렬 및 그 결과로서의 손상을 유발하는 의도되지 않은 힘 또는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시되는 다음의 기재에서 설명되고,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2개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동일하고 유사한 구조, 요소 또는 부분들은 대체로 이들이 도시되어 있는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및 특징부의 치수는 주로 설명의 편의성 및 간략화를 위해 선택되었고, 반드시 축적을 따르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맞물림 해제 위치 및 맞물림 위치에 있는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도 2b의 연결 장치의 제 1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맞물림 위치에 있는 도 3a의 연결 장치의 제 1 로킹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도 3b의 연결 장치의 제 1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도 2b의 연결 장치의 제 2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맞물림 위치에 있는 도 5a의 연결 장치의 제 2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도 5b의 연결 장치의 제 2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한 도면이 참조되고, 여기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가 실예로서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화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100)는 커넥터 본체(11) 및 이 커넥터 본체(11)에 결합되는 제 1 로킹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킹 유닛(12)은 제 1 채널(14)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제 1 채널(1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15), 및 제 1 탄성 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로킹 부재(15)는, 맞물림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1 플랜지(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7)는 제 1 채널(14) 내에 배치되며,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및 제 1 내부 로킹 부재(15)와 접촉하여, 제 1 내부 로킹 부재(15)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즉, 제 1 플랜지(16) 및 제 1 탄성 부재(17)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리도록,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충분한 힘의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필요 시에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호 협동 작용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맞물림 해제 위치 및 맞물림 위치에 있는 연결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장치(100)는 커넥터 본체(11), 제 1 로킹 유닛(12), 및 제 2 로킹 유닛(22)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11)는 제 1 단부 부분(21a), 제 2 단부 부분(21b), 및 제 1 단부 부분(21a)과 제 2 단부 부분(21b)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부분(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로킹 유닛(12)은 커넥터 본체(11)의 제 1 단부 부분(2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로킹 유닛(12) 및 제 2 로킹 유닛(22)은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되며, 예컨대, 커넥터 장치(100)로부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제거하기 위해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로킹 유닛(12) 및 제 2 로킹 유닛(22)은 연결 장치(100)의 커넥터 본체(11)의 중앙 부분(21c)로부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제거할 수 있도록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조작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로킹 유닛(12, 22)의 이동을 개시할 수 있고, 다음에 커넥터 본체(11)로부터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는 커넥터 장치(1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로킹 유닛(12) 및 제 2 로킹 유닛(22)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향해 회전되어,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와의 맞물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로킹 유닛(12) 및 제 2 로킹 유닛(22)은 연결 장치(100)의 커넥터 본체(11)의 중앙 부분(21c) 내로 인쇄 회로 조립체(29)가 삽입될 때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향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도 2b의 연결 장치의 제 1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맞물림 위치에 있는 도 3a의 연결 장치의 제 1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도 3b의 연결 장치의 제 1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로킹 유닛(12)은 제 1 채널(14)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제 1 채널(1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15), 제 1 탄성 부재(17), 제 1 피벗 부재(38), 및 제 1 방향설정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로킹 부재(13)의 제 1 채널(14)은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내에서 제 1 외부 로킹 부재(1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외부 로킹 부재(13)는 또한 커넥터 본체(11)의 제 1 단부 부분(21a)과 맞물리는 제 1 구속 범프(3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외부 로킹 부재(13)는 복수의 제 1 구속 범프(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로킹 부재(13)는 또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제 1 돌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는 제 1 수용 요부(73a), 제 1 보충 요부(73d), 제 2 수용 요부(73b)(도 5b), 제 2 보충 요부(73e)(도 5b), 및 메모리 회로(73c)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돌출부(31)는, 제 1 로킹 유닛(12)이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향해 회전될 때 제 1 보충 요부(73d)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내부 로킹 부재(15)는 제 1 플랜지(16), 제 1 수조작 접촉 부분(35a), 및 제 1 표시자 부분(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랜지(16)는, 예컨대, 제 1 내부 로킹 부재(1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플랜지(16)는 맞물림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예컨대, 제 1 수용 요부(73a))와 맞물리고,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예컨대, 제 1 수용 요부(73a))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위치에서, 제 1 플랜지(16)는 제 1 수용 요부(73a)의 일부에 접촉하여 압박되고,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1 플랜지(16)는 제 1 수용 요부(73a)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컨대, 맞물림 위치에서, 제 1 플랜지(16)의 상부 부분은 제 1 수용 요부(73a)의 상부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1 플랜지(16)의 상부 부분은 제 1 수용 요부(73a)의 상부 부분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제 1 수조작 접촉 부분(35a)은 제 1 해제 힘 fr1을 수용하여 제 1 탄성 부재(17)에 전달함으로써 제 1 플랜지(16)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제 1 내부 로킹 부재(15)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외부 로킹 부재(13)에 대한 제 1 표시자 부분(35b)의 위치는 제 1 로킹 유닛(12)이 맞물림 위치에 있는지 또는 맞물림 해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1 내부 로킹 부재(15)는, 제 1 로킹 유닛(12)이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향해 회전되고, 그리고 제 1 내부 로킹 부재(15)가 맞물림 위치에 있음을 표시하도록 제 1 플랜지(16)가 제 1 수용 요부(73a)에 대해 압박될 때, 제 1 채널(1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거나, 선택적으로 제 1 채널(14) 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탄성 부재(17)는 제 1 채널(14) 내에 배치되며,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및 제 1 내부 로킹 부재(15)와 접촉하여, 제 1 내부 로킹 부재(15)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 1 탄성 부재(17)의 제 1 맞물림 힘 fe1은 제 1 플랜지(16)를 맞물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1 맞물림 힘 fe1은 제 1 수용 요부(73a)의 각각의 부분에 대고 제 1 플랜지(16)를 압박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위치에서, 제 1 플랜지(16)의 상부 부분은 제 1 수용 요부(73a)의 상부 부분과 접촉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탄성 부재(17)는 제 1 해제 힘 fr1을 수용하여 제 1 플랜지(16)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해제 힘 fr1은 제 1 수조작 접촉 부분(35a) 상에 사용자에 의해 수조작으로 개시될 수 있고, 그리고 제 1 수용 요부(73a)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플랜지(16)를 이동시키도록 제 1 탄성 부재(17)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1 플랜지(16)의 상부 부분은 제 1 수용 요부(73a)의 상부 부분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탄성 부재(17)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제 1 피벗 부재(38)는, 제 1 로킹 유닛(12)이 제 1 피벗 부재(3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로킹 유닛(12)을 커넥터 본체(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피벗 부재(38)는 핀(pin), 대응하는 요부 또는 이동저지부 등일 수 있다. 제 1 방향설정 부재(32)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에 대해 제 1 로킹 유닛(12)을 방향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방향설정 부재(32)는 인쇄 회로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로킹 유닛(12)의 회전 중에 제 1 보충 요부(73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돌출부 부재(31)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각각의 인쇄 회로 조립체(29)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도 2b의 연결 장치의 제 2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맞물림 위치에 있는 도 5a의 연결 장치의 제 2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도 5b의 연결 장치의 제 2 로킹 유닛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로킹 유닛(22)은 제 2 채널(54)을 갖는 제 2 외부 로킹 부재(53), 제 2 채널(5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내부 로킹 부재(55), 제 2 탄성 부재(57), 제 2 피벗 부재(58), 및 제 2 방향설정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외부 로킹 부재(53)의 제 2 채널(54)은 제 2 외부 로킹 부재(53) 내에서 제 2 외부 로킹 부재(53)의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외부 로킹 부재(53)는 또한 커넥터 본체(11)의 제 2 단부 부분(21b)과 맞물리는 제 2 구속 범프(59)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외부 로킹 부재(53)는 복수의 제 2 구속 범프(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부 로킹 부재(53)는 또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제 2 돌출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는 제 1 수용 요부(73a)(도 3b), 제 1 보충 요부(73d)(도 3b), 제 2 수용 요부(73b), 제 2 보충 요부(73e), 및 메모리 회로(73c)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돌출부(51)는, 제 2 로킹 유닛(22)이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향해 회전될 때 제 2 보충 요부(73e)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내부 로킹 부재(55)는 제 2 플랜지(56), 제 2 수조작 접촉 부분(55a), 및 제 2 표시자 부분(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56)는, 예컨대, 제 2 내부 로킹 부재(5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플랜지(56)는 맞물림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예컨대, 제 2 수용 요부(73b))와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예컨대, 제 2 수용 요부(73b))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위치에서, 제 2 플랜지(56)는 제 2 수용 요부(73b)의 일부에 접촉하여 압박되고,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2 플랜지(56)는 제 2 수용 요부(73b)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컨대, 맞물림 위치에서, 제 2 플랜지(56)의 상부 부분은 제 2 수용 요부(73b)의 상부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2 플랜지(56)의 상부 부분은 제 2 수용 요부(73b)의 상부 부분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제 2 수조작 접촉 부분(55a)은 제 2 해제 힘 fr2을 수용하여 제 2 탄성 부재(57)에 전달함으로써 제 2 플랜지(58)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제 2 내부 로킹 부재(55)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외부 로킹 부재(53)에 대한 제 2 표시자 부분(55b)의 위치는 제 2 로킹 유닛(22)이 맞물림 위치에 있는지 또는 맞물림 해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2 내부 로킹 부재(55)는, 제 2 로킹 유닛(22)이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향해 회전되고, 그리고 제 2 내부 로킹 부재(55)가 맞물림 위치에 있음을 표시하도록 제 2 플랜지(56)가 제 2 수용 요부(73a)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압박될 때, 제 2 채널(5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거나, 선택적으로 제 2 채널(14) 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탄성 부재(57)는 제 2 채널(54) 내에 배치되며, 제 2 외부 로킹 부재(53) 및 제 2 내부 로킹 부재(55)와 접촉하여, 제 2 내부 로킹 부재(55)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즉, 제 1 플랜지(56) 및 제 1 탄성 부재(57)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와 맞물리도록,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의 충분한 힘의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필요 시에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상호 협동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탄성 부재(57)의 제 1 맞물림 힘 fe2는 제 2 플랜지(56)를 맞물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2 맞물림 힘 fe2는 제 1 수용 요부(73b)의 각각의 부분에 대고 제 2 플랜지(56)를 압박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위치에서, 제 2 플랜지(56)의 상부 부분은 제 2 수용 요부(73b)의 상부 부분과 접촉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57)는 제 2 해제 힘을 수용하여 제 2 플랜지(56)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해제 힘 fr2는 제 2 수조작 접촉 부분(55a) 상에 사용자에 의해 수조작으로 개시될 수 있고, 그리고 제 1 수용 요부(73b)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2 플랜지(56)를 이동시키도록 제 2 탄성 부재(57)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2 플랜지(56)의 상부 부분은 제 2 수용 요부(73b)의 상부 부분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탄성 부재(17)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제 2 피벗 부재(58)는, 제 2 로킹 유닛(22)이 제 2 피벗 부재(5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로킹 유닛(22)을 커넥터 본체(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피벗 부재(58)는 핀, 대응하는 이동저지부 또는 요부 등일 수 있다. 제 2 방향설정 부재(52)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에 대해 제 2 로킹 유닛(22)을 방향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방향설정 부재(52)는 인쇄 회로 조립체(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2 로킹 유닛(22)의 회전 중에 제 2 보충 요부(73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2 돌출부 부재(51)를 이동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각각의 인쇄 회로 조립체(29)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700)은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 및 연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는 인쇄 회로 기판(7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2)은 제 1 수용 요부(73a), 제 2 수용 요부(73b), 및 메모리 회로(73c)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29)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장치(100)는 커넥터 본체(11), 제 1 로킹 유닛(12), 및 제 2 로킹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1)는 제 1 단부 부분(21a), 제 2 단부 부분(21b), 및 제 1 단부 부분(21a)과 제 2 단부 부분(21b)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부분(2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로킹 유닛(12)은 커넥터 본체(11)의 제 1 단부 부분(2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로킹 유닛(12)은 제 1 채널(14)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제 1 채널(1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15), 및 제 1 탄성 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로킹 부재(15)는, 맞물림 위치에서 제 1 수용 요부(73a)의 각각의 부분과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1 수용 요부(73a)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1 플랜지(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17)는 제 1 채널(14) 내에 배치되며, 제 1 외부 로킹 부재(13) 및 제 1 내부 로킹 부재(15)와 접촉하여, 제 1 내부 로킹 부재(15)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2 로킹 유닛(22)은 커넥터 본체(11)의 제 2 단부 부분(21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로킹 유닛(22)은 제 2 채널(54)을 갖는 제 2 외부 로킹 부재(53), 제 2 채널(54)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내부 로킹 부재(55), 및 제 2 탄성 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부 로킹 부재(55)는, 맞물림 위치에서 제 2 수용 요부(73b)의 각각의 부분과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제 2 수용 요부(73b)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2 플랜지(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57)는 제 2 채널(54) 내에 배치되며, 제 2 외부 로킹 부재(53) 및 제 2 내부 로킹 부재(55)와 접촉하여, 제 2 내부 로킹 부재(55)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 1 탄성 부재(17) 및 제 2 탄성 부재(57)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를 갖지 않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을 이용하여 설명되었다. 하나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 기구 및/또는 작용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모든 실시예가 특정의 도면에 도시된, 또는 실시예들 중 하나에 관하여 설명된 모든 기구 및/또는 작용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된 실시예의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것이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 및 그 변화형은, 본 개시 및/또는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의미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일부는 본 개시의 본질이 아닐 수 있는, 그리고 설명의 목적을 위해 기재된 구조, 작용 또는 구조 및 작용의 상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 및 작용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이 구조 및 작용이 상이한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등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요소 및 제한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5)

  1.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제 1 로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킹 유닛은 제 1 채널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 상기 제 1 채널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 및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는,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상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채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외부 로킹 부재 및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제 1 맞물림 힘(engaging force)은 상기 제 1 플랜지를 맞물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설정되는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제 1 해제 힘(release force)을 수용하여 상기 제 1 플랜지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스프링 부재인
    연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킹 유닛은 제 1 피벗 부재(pivot memb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피벗 부재는, 상기 제 1 로킹 유닛이 제 1 피벗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로킹 유닛을 상기 커넥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제 1 단부 부분, 제 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과 상기 제 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킹 유닛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 1 단부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는, 제 1 해제 힘을 수용하여 상기 제 1 탄성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플랜지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수조작 접촉 부분(manual contact portion)을 더 포함하는
    연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로킹 부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 1 단부 부분과 맞물리는 제 1 구속 범프(detain bump)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 2 단부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로킹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킹 유닛은 제 2 채널을 갖는 제 2 외부 로킹 부재, 상기 제 2 채널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내부 로킹 부재, 및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는,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상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채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외부 로킹 부재 및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제 2 맞물림 힘은 상기 제 2 플랜지를 맞물림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제 2 해제 힘을 수용하여 상기 제 2 플랜지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스프링 부재인
    연결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킹 유닛은 제 2 피벗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피벗 부재는, 상기 제 2 로킹 유닛이 제 2 피벗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로킹 유닛을 상기 커넥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는, 제 2 해제 힘을 수용하여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 2 플랜지를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 2 수조작 접촉 부분을 더 포함하는
    연결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부 로킹 부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 2 단부와 맞물리는 제 2 구속 범프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15.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수용 요부(receiving indent), 제 2 수용 요부 및 메모리 회로를 구비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 및
    상기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를 수용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장치는,
    제 1 단부 부분, 제 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 1 단부 부분과 상기 제 2 단부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 1 단부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로킹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로킹 유닛은 제 1 채널을 갖는 제 1 외부 로킹 부재, 상기 제 1 채널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내부 로킹 부재, 및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는,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제 1 수용 요부의 각각의 부분과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상기 제 1 수용 요부의 상기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채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외부 로킹 부재 및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 1 내부 로킹 부재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1 로킹 유닛;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 2 단부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로킹 유닛으로서,
    상기 제 2 로킹 유닛은 제 2 채널을 갖는 제 2 외부 로킹 부재, 상기 제 2 채널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내부 로킹 부재, 및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는,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제 2 수용 요부의 각각의 부분과 맞물리며 맞물림 해제 위치에서 상기 제 2 수용 요부의 상기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제 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채널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외부 로킹 부재 및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 2 내부 로킹 부재가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 2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조립체 설치 시스템.
KR20147032040A 2012-08-17 2012-08-17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 KR20150045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51377 WO2014028028A1 (en) 2012-08-17 2012-08-17 Connection including flange in cooperation with resilient member to engage and disengage removable printed circui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406A true KR20150045406A (ko) 2015-04-28

Family

ID=5010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2040A KR20150045406A (ko) 2012-08-17 2012-08-17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27389A1 (ko)
EP (1) EP2885842A4 (ko)
JP (1) JP5959731B2 (ko)
KR (1) KR20150045406A (ko)
CN (1) CN104412455A (ko)
WO (1) WO2014028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15256U (zh) * 2015-08-05 2016-01-01 Nextronics Engineering Corp 機箱面板的助拔裝置
CN206640916U (zh) * 2017-02-09 2017-11-14 索斯科公司 计算机机架系统和机架附接装置
US20200170136A1 (en) * 2018-11-24 2020-05-28 Nanning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Moving assistance structure
TWI709465B (zh) * 2019-11-19 2020-11-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手把延伸結構及電子裝置機殼
US11984685B2 (en) * 2020-08-24 2024-05-14 Intel Corporation Retention latch with spr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6950B1 (en) * 1994-12-21 2001-08-21 Berg Technology, Inc.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US6132228A (en) * 1998-05-26 2000-10-17 Molex Incorporated Lever for card edge connector
US6315614B1 (en) * 1999-04-16 2001-11-13 Sun Microsystems, Inc. Memory module with offset notches for improved insertion and stability and memory module connector
US6113404A (en) * 1999-04-28 2000-09-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esilient ejector for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having the same
US6227887B1 (en) * 1999-12-16 2001-05-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rd edge connector with ejector thereof
JP3517661B2 (ja) * 2000-01-11 2004-04-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Fpc/ffc用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CN2686143Y (zh) * 2003-12-18 2005-03-16 拓洋实业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的耳扣装置
JP2006202615A (ja) * 2005-01-20 2006-08-03 Elpida Memory Inc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7252523B1 (en) * 2006-08-18 2007-08-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cket connector having latch biasing member
US7500863B2 (en) * 2007-06-19 2009-03-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IMM socket positive lock extractor
US20090077293A1 (en) * 2007-09-07 2009-03-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mm Ejection Mechanism
TWM334614U (en) * 2008-01-16 2008-06-11 Nextronics Engineering Corp Shackle structure of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8028A1 (en) 2014-02-20
JP5959731B2 (ja) 2016-08-02
CN104412455A (zh) 2015-03-11
US20150327389A1 (en) 2015-11-12
EP2885842A1 (en) 2015-06-24
EP2885842A4 (en) 2016-03-16
JP2015520488A (ja)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5406A (ko) 착탈식 인쇄 회로 조립체와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부재와 협동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부
US9907197B2 (en) Electronic card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815456B2 (en) Semiconductor device socket
US7852633B2 (en) Connector for connection to a module board
US7405929B1 (en) Docking station
US7648289B2 (en) Module having a handle to be operated to attach the module to a cage
US823574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64071B1 (ko) 커넥터 장치
US858231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related thereto
US8663826B2 (en) Battery assembly and fitting set thereof
US20150004829A1 (en) Lever-Type Connector
US9214754B2 (en) Holding device used for electrical connector
EP3525290B1 (en) Low profile circuit board connector
JP3328764B2 (ja) エッジコネクタ
JP4173155B2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ー
JP2012059578A (ja) 保持部材、組立体及び電子機器
KR20140117502A (ko) 레버식 커넥터
US753413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lignment pin
JP2013101807A (ja) コネクタ装置
WO2005096454A1 (ja) 垂直嵌合コネクタ
US8162685B2 (en) Socket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mber to restrict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a fastened portion of a load lever
KR20130083254A (ko)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9709762B2 (en) Retention member for positioning optical module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JP5896229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