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753A - 옹벽용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 - Google Patents

옹벽용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753A
KR20090051753A KR1020097005102A KR20097005102A KR20090051753A KR 20090051753 A KR20090051753 A KR 20090051753A KR 1020097005102 A KR1020097005102 A KR 1020097005102A KR 20097005102 A KR20097005102 A KR 20097005102A KR 20090051753 A KR20090051753 A KR 20090051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xis
brick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르도 엔리크 아벨라
Original Assignee
마티네즈 나란조, 존, 자이로
리카르도 엔리크 아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티네즈 나란조, 존, 자이로, 리카르도 엔리크 아벨라 filed Critical 마티네즈 나란조, 존, 자이로
Publication of KR2009005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9Round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5Building elements for making arcuat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출원 발명은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경사진 벽의 건설을 위한, 로드와 벽돌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벽돌은 벽을 구성하는 인접한 벽돌 사이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의 상호 맞물림 구성을 허용하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돌출부 및 공동을 구비한 블록이다. 벽돌에는 또한 홀이 천공되어 벽을 구성하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홀과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형성하게 된다. 시스템의 로드는 벽을 가로질러 벽의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로드 골조에 의해 보강되는 벽돌로 이루어진 경사진 벽의 건설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해서 건설되는 벽은 옹벽용으로 적당하다.
Figure P1020097005102
벽돌, 로드, 경사진 벽, 옹벽, 돌출부, 공동, 상호 맞물림, 연속적인 홀

Description

옹벽용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SYSTEM OF BRICK WITH ROD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벽돌로 이루어진 경사진 벽의 건설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에는, 접착제 또는 모르타르의 사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와 공동을 구비한 벽돌을 이용하여 건설되는 벽이 서술되어 왔다.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와 공동을 구비한 벽돌은 또한,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자연력에 대해 고도의 측면 저항성을 갖는 벽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여서도 서술되어 왔다. 그러나, 접착제 또는 모르타르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과 함께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초래하는 경사진 벽의 건설을 위한 벽돌과 로드 시스템에 대해서는 서술된 바가 없다.
종래 기술을 보면,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와 공동을 구비한 벽돌을 사용함으로써 접착제 또는 모르타르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자연력에 대한 고도의 저항성을 갖춘 벽의 건설에 대하여 서술되어 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나나야크카라(Nanayakkara)의 미국 특허 제6,550,208 B2호(2003년 4월 22일), 제6,105,330호(2000년 8월 22일) 및 제6,578,338 B1호(2003년 6월 17일)에는, 모르타르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의 상호 맞물림 구성의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자연력에 대한 고도의 측면 저항성을 갖춘 벽을 초래하는 벽돌 또는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미국 특허 제6,550,208 B2호에는, 상보적인 양(positive)의 기하학적 외형 및 음(negative)의 기하학적 외형 그리고 연속적인 수직 방향 공동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직 방향 공동을 갖춘 벽의 건설을 위한 인접한 벽돌 사이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상호 맞물림 구성을 초래하는 벽돌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나나야크카라의 특허에는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로드와 벽돌 시스템에서 서술되고 있는 바와 같은 벽돌 또는 블록은 서술되어 있지 않다. 나나야크카라의 특허에 개시된 벽돌 또는 블록은 경사진 벽에는 적당하지 않다. 또한, 나나야크카라는 벽을 구성하는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돌출부 및 공동에 의해 형성되는 상호 맞물림 구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로드의 직경에 특히 적합하도록 맞추어진 천공부 또는 홀을 구비한 벽돌에 대해서는 서술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명세서에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써 인용되고 있는 콜롬비아 특허 출원 제06-049234호(2006년 5월 23일)에서, 벽을 구성하는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돌출부 및 공동에 의해 형성되는 상호 맞 물림 구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로드의 직경에 특히 적합하도록 맞추어진 천공부 또는 홀을 갖는 벽돌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 역시 경사진 벽의 건설을 허용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에 대해서는 서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와 벽돌 시스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로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는 옹벽과 같은 경사진 벽의 건설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길이를 정의하는 수평 방향 X-축선과, 높이를 정의하는 수직 방향 Y-축선 그리고 폭을 정의하는 수평 방향 Z-축선의 세 개의 데카르트 좌표 X, Y, Z에 의해 정의되는 중실형 블록 형태의 벽 건조용 직육면체 벽돌 그리고 로드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상기 벽돌은,
a. X-축선 및 Z-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 방향 상면 및 수평 방향 하면과;
b. Z-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 방향 전면 및 수직 방향 후면과;
c. X-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과;
d.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과 수평 방향 하면 사이의 축선이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e"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와;
e.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과 수평 방향 하면 사이의 축선이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d"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과;
f.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 상에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와;
g. 수평 방향 하면 상에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 그리고
h.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는,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로서,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고, 또한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 그러한 두 개의 원통형 홀을 포함하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여,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를 초래하는 경사진 벽을 건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과 로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두 개의 추가 홀을 포함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1 홀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추가 홀의 길이는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에서부터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까지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추가 홀은 상기 항목 "h"에 서술된 바와 같은 두 개의 홀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2 홀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상기 항목 "d"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를 완전히 관통하는 수직 방향 원통형 홀로서, 상기 제2 추가 홀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수평 방향 상면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의 수평 방향 하면의 중심까지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직경이 동일하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로드의 길이가 벽의 높이와 같거나 벽의 높이를 초과하며; 또한 로드는 벽의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로드가 로드 단편(fragment)을 포함하는 조립 로드로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그리고 제3 부분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에 맞먹으며;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부분은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로드 단편의 암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이며;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중실형이고; 상기 제3 부분은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실형이며; 상기 제3 부분은 제1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로드 단편의 수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며; 일 로드 단편의 제1 부분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과 상호 맞물리며,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로드가 로드 단편을 포함하는 조립 로드로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그리고 제3 부분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에 맞먹으며;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경이 제3 부분의 외경에 딱 맞는 중공형이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암형 부분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이며;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중실형이고; 상기 제3 부분은 외경이 제1 부분의 내경에 딱 맞는 중실형이며; 상기 제3 부분은 제1 부분을 구성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는 로드 단편의 수형 부분이고; 일 로드 단편의 제1 부분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과 상호 맞물리게 되어,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버젼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의 중간부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돌출부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의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의 중간부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공동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동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의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 상에 Y-축선 방향으로 위치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의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수평 방향 하면 상에 Y-축선 방향으로 위치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동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의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을 특징으로 하며,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며;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여,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를 초래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X-축선 및 Y-축선에 의해 획정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을 특징으로 하는 벽의 건조용 입체 블록이며, 제1 수직 방향 측면은 볼록한 표면이고; 제2 수직 방향 측면은 오목한 표면이며;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서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의 중간부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돌출부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의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의 중간부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동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의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의 중간부에 Y-축선 방향으로 대칭형으로 위치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의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수평 방향 하면의 중간부에 Y-축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동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의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원통형 홀을 특징으로 하며, Y-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 상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 상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며;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되어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한다.
또한,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벽을 건조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원통형 홀을 특징으로 하며, Y-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 상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 상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며;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져 복수 개의 수직 방향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고; 상기 벽은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두 개의 추가 홀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1 홀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Y-축선의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추가 홀의 길이는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에서부터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까지로 정의되며; 또한 상기 제1 추가 홀은 수평 방향 상면의 돌출부로부터 수평 방향 하면의 공동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홀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2 홀은 Y-축선의 방향으로 수직 방향 전방 벽의 돌출부를 완전히 관통하는 수직 방향 원통형 홀로서 상기 제2 추가 홀의 길이는 수직 방향 전방 벽의 돌출부의 수평 방향 상면의 중심에서부터 수직 방향 전방 벽의 돌출부의 수평 방향 하면의 중심까지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직경이 동일하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수직 방향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고; 상기 벽은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수직 방향 전면의 Y-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과; 수직 방향 후면의 Y-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과; 수평 방향 상면의 X-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 직각 채널; 그리고 수평 방향 하면의 X-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그외 추가적인 장점이 도면 설명과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그리고 청구의 범위를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돌의 일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2는 수직 방향으로 및 수평 방향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벽돌을 도시한, 본 발명의 벽돌의 일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3은 벽돌의 경사진 홀의 중선을 도시한, 본 발명의 벽돌의 이차원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5는 본 발명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6은 본 발명의 벽돌의 일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7은 수직 방향으로 및 수평 방향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벽돌을 도시한, 본 발명의 벽돌의 일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7a는 수직 방향으로 및 수평 방향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벽돌과, 벽의 높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로드, 그리고 로드에 부착되어 벽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케이블을 도시한, 본 발명의 벽돌의 일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8은 본 발명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9는 본 발명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벽돌의 삼차원도.
도 11은 수직 방향으로 및 수평 방향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벽돌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벽돌의 삼차원도.
도 12는 벽돌의 경사진 홀의 중선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벽돌의 이차원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15는 벽돌의 경사진 홀의 중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로드 단편의 세 개의 버젼이 입체도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버젼 및 제2 버젼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의 이차원 평면도.
도 16은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로드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세 개의 벽돌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버젼 및 제2 버젼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의 이차원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벽돌의 두 개의 실시예의 삼차원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버젼에 따라 건조되는 벽의 횡단면을 도시한 이차원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 상의 공동 중 하나와 수평 방향 상면 상의 돌출부 중 하나의 횡단면을 도시한 이차원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벽돌의 일 실시예의 삼차원도이다. 벽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데카르트 좌표 X, Y, Z에 의해 정의되는데, 여기서 수평 방향 X-축선은 길이를 정의한 것이며, 수직 방향 Y-축선은 높이를 정의한 것이고, 수평 방향 Z-축선은 폭을 정의한 것이다.
이러한 벽돌은 수평 방향 상면(1)(도 1 및 도 3), 수평 방향 하면(2)(도 3), 수직 방향 전면(3)(도 1), 수직 방향 후면(4)(도 1), 그리고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5)(도 1 및 도 3)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버젼에 따르면,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6)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과 수평 방향 하면 사이의 돌출부의 축선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8)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형성된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6)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과 수평 방향 하면 사이의 돌출부의 축선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8)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Z-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되는,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 내의 돌출부의 기부(9)의 폭은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6)의 최대 직경(10)보다 짧다.
도 1에는 또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8)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공동(8)은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1)과 수평 방향 하면(2)(도 3) 사이의 공동의 축선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다. 상기 공동(8)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6)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8)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8)이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1)과 수평 방향 하면(2) 사이의 공동의 축선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공동(8)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6)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Z-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되는,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 상의 공동(8)의 개구(11)의 폭은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8)의 최대 직경(12) 미만이다.
도 1에는 또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에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14)(도 3)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1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 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17)(도 3)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13)가 그 축선이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14)을 갖는 방향으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돌출부(13)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17)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의 각각의 돌출부(13)의 기부의 직경(15)(도 3)은 돌출부(13)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16)(도 3)과 동일하다.
도 3에는 또한,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14)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수평 방향 하면(2) 상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1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동(17)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13)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17)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17)이 그 축선이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14)을 갖는 방향으로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2) 상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상기 공동(17)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13)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 돌의 수평 방향 하면(2) 상의 각각의 공동(17)의 개구의 직경(18)은 공동(17)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19)과 동일하다.
도 1 및 도 3에는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20)이 도시되어 있다.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14)(도 3)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20)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1)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13)의 상측 가장자리(21)(도 3)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17)의 상측 가장자리(22)(도 3)까지로 정의된다. 이들 홀(20)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20)(도 3)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한다.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여,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를 초래하는 경사진 벽을 건조할 수 있다.
도 6에는 두 개의 추가 홀(23)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두 개의 추가 홀(23) 중 제1 홀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14)(도 3)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제1 추가 홀(23)의 길이는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에서부터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2)까지로 정의된다. 상기 제1 추가 홀(23)은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13)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2) 의 공동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홀(20)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추가 홀(23) 중 제2 홀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6)를 완전히 관통하는 수직 방향 원통형 홀이다. 제2 추가 홀(23)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6)의 수평 방향 상면(1)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돌출부(6)의 수평 방향 하면(2)의 중심까지로 정의된다. 제1 추가 홀(23)과 제2 추가 홀(23)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제1 추가 홀(23)과 제2 추가 홀(23)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한다. 이들 두 개의 추가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로드(24)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4)의 길이는 벽의 높이와 같거나 벽의 높이를 초과하며, 이러한 로드(24)는 벽의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본 발명의 로드(24)는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을 이용하여 벽을 고정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케이블(66)은 두 개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 사이에 어댑터(adapter)(67)를 구비하며, 또한 어댑터는 벽에 유지되는 서로 다른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는 T-자형의 종결 구성(termination)에 의해 벽의 외부에 유지될 수 있다. 어댑터는 또한, 수평 방향 상면의 돌출부 중 하나에 딱 맞는 오리피스(orifice)에 의해 벽에 유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67)는 로드(24)의 직경에 딱 맞는 홀을 구비한다.
로드(24)는 하나 이상의 로드 단편(fragment)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 로드(composed ro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버젼 중 하나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로드 단편(26)에 있어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26A)과, 제2 부분(26B), 그리고 제3 부분(26C)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이 된다. 제1 부분(26A)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한다. 이 제1 부분(26A)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로드 단편의 암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제2 부분(26B)은 제1 부분(26A)과 제3 부분(26C)의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를 구성한다. 이 제2 부분(26B)은 중실형이다. 제3 부분(26C)은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실형이다. 이 제3 부분(26C)은 제1 부분(26A)에 의해 구성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3 부분(26C)이 로드 단편의 수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부분(26A)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26C)에 상호 맞물리게 되며, 이렇게 해서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24)(도 16)가 형성된다.
도 15에는 또한, 로드 단편(25)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25A)과, 제2 부분(25B), 그리고 제3 부분(25C)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이 된다. 제1 부분(25A)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한다. 이 제1 부분(25A)은 내경이 제3 부분(25C)의 외경에 딱 맞는 중공형이다. 이러한 제1 부분(25A)이 로드 단편의 암형 부분이다. 제2 부분(25B)은 제1 부분(25A)과 제3 부분(25C)의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를 구성한다. 이 제2 부분(25B)은 중실형이다. 제3 부분(25C)은 외경이 제1 부분(25A)의 내경에 딱 맞는 중실형이다. 이 제3 부분(25C)은 제1 부분(25A)에 의해 구성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3 부분(25C)이 로드 단편의 수형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부분(25A)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25C)에 상호 맞물리게 되며, 이렇게 해서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24)(도 16)가 형성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 버젼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의 중간부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27)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돌출부(27)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28)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7)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형성된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27)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의 중간부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돌출부(27)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28)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Z-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되는,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의 기부(9)의 폭은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27)의 최대 직경(30)보다 짧다.
도 10에는 또한,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의 중간부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공동(28)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동(28)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27)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28)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공동(28)이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의 중간부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동(28)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27)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Z-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되는,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28)의 개구의 길이(31)는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28)의 최대 직경(32) 미만이다.
도 10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또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에 Y-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33)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33)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34)(도 12)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3)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33)가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에 Y-축선의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33)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34)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의 각각의 돌출부(33)의 기부의 직경(35)(도 12)은 돌출부(33)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36)(도 12)과 동일하다.
도 12에는 또한,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또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수평 방향 하면(2) 상에 Y-축선의 방향으로 위치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34)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33)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34)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34)이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2)에 Y-축선의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공동(34)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33)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2) 상의 각각의 공동(34)의 개구(37)의 직경 은 공동(34)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38)과 동일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있어서, 벽돌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39)을 특징으로 한다.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40)(도 12)의 방향으로의 상기 홀(39)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1)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33)의 상측 가장자리(41)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2)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34)의 상측 가장자리(42)까지로 정의된다. 상기 홀(39)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39)은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여,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를 초래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에 관한 전술한 바와 같은 두 개의 버젼은 옹벽용의 경사진 벽의 건설에 적당하다.
도 17 내지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3 버젼에 따른 벽의 건설을 위한 벽돌이 삼차원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벽돌은 X-축선 및 Y-축선에 의해 획정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43, 44)(도 17)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직 방향 측면(43)(도 17)은 볼록면이며, 제2 수직 방향 제2 측면은 오목면이다. 이들 제1 수직면(43)과 제2 수직면(44)은 서로 평행하다.
도 17 및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도 17)의 중간부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돌출부(45)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45)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46)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5)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형성된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돌출부(45)가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의 중간부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45)는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후면(4)의 공동(46)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Z-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되는,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3) 상의 돌출부(45)의 기부(47)(도 17)의 폭은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45)의 최대 직경(48)(도 17) 미만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다른 태양의 벽돌은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의 중간부 상에 X-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46)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46)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45)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46)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대칭형 공동(46)이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의 중간부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공동(46)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45)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Z-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의되는,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4) 상의 공동(46)의 개구의 직경(49)(도 17)은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46)의 최대 직경(50)(도 17) 미만이다.
도 17, 도 18 및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Y-축선 방향으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의 중간부 상에 대칭적으로 위치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51)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51)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52)(도 20)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1)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17,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볼록한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51)가 Y-축선의 방향으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의 중간부 상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51)는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52)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 상의 각각의 돌출부(51)의 기부의 직경(53)(도 20)은 돌출부(51)의 원통형 부분(54)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다.
도 20에는 또한,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수평 방향 하면(2)의 중간부 상에 Y-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52)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52)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51)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동(52)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은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음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명하자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52)이 수평 방향 하면(2)의 중간부 상에 Y-축선의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공동(52)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51)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2) 상의 각각의 공동의 개구의 직경(55)은 공동(52)의 원통형 부분의 직경(56)보다 크거나 같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벽돌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원통형 홀(57)을 특징으로 한다. Y-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57)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1)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51)의 상측 가장자리(58)(도 20)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2)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52)의 상측 가장자리(59)(도 20)까지로 정의된다. 상기 홀(57)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57)은 벽의 수직 축선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하게 된다.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벽을 건조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벽돌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의 원통형 홀(57)을 특징으로 한다. Y-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57)의 길이는 수평 방향 상면(1)의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51)의 상측 가장자리(58)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2)의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52)의 상측 가장자리(59)까지로 정의된다. 상기 홀(57)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57)은 벽의 수직 축선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수직 방향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는 벽의 건설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벽은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이다.
도 18 및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본 태양의 벽돌은 두 개의 추가 홀(60, 61)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1 홀(60)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Y-축선의 방향으로의 제1 추가 홀(60)의 길이는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1)에서부터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2)까지로 정의된다. 상기 제1 추가 홀(60)은 수평 방향 상면(1)의 돌출부(51) 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2)의 공동(52)까지 연장하는 두 개의 홀(57)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2 홀(61)은 Y-축선의 방향으로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45)를 완전히 관통하는 수직 방향 원통형 홀이다. 이 제2 추가 홀(61)의 길이는 상기 수직 방향 전면(3)의 돌출부(45)의 수평 방향 상면(1)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수직 방향 전면(3)의 상기 돌출부(45)의 수평 방향 하면(2)의 중심까지로 정의된다. 제1 추가 홀(60)과 제2 추가 홀(61)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제1 추가 홀(60)과 제2 추가 홀(61)은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되어,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한다. 이들 두 개의 추가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다.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수직 방향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벽은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벽돌은 수직 방향 전면(3)의 Y-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62)과; 수직 방향 후면(4)의 Y-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63)과; 수평 방향 상면(1)의 X-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64); 그리고 수평 방향 하면(2)의 X-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 널(65)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버젼의 벽돌은 곡선형 벽의 건설에 적당하다.
본 발명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의 장점 중 하나로서, 전술한 세 개의 바람직한 버젼 외에도, 본 발명은 또한 직경이 동일한 단 한 쌍의 홀을 구비한 벽돌을 포함한다. 상기 직경은 로드의 직경과 딱 맞아야 한다. 단 한 쌍의 홀의 경우에는, 상기 홀이 수평 방향 상면 상의 돌출부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 상의 공동까지 연장하는 한 쌍의 홀과 유사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홀은 수평 방향 상면의 중간부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의 중간부까지 연장하며 다른 하나의 홀은 수직 방향 전면의 돌출부를 따라 수평 방향 상면에서부터 수평 방향 하면까지 연장하는 한 쌍의 홀과 유사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 기본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개개의 구성 요소의 형태 및 배열과 관련하여 추가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길이를 정의하는 수평 방향 X-축선과, 높이를 정의하는 수직 방향 Y-축선 그리고 폭을 정의하는 수평 방향 Z-축선의 세 개의 데카르트 좌표 X, Y, Z에 의해 정의되는 중실형 블록 형태의 벽의 건설을 위한 직육면체 벽돌 그리고 로드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상기 벽돌은
    a. X-축선 및 Z-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 방향 상면 및 수평 방향 하면과;
    b. Z-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 방향 전면 및 수직 방향 후면과;
    c. X-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과;
    d.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과 수평 방향 하면 사이의 축선이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e"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와;
    e.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방향 상면과 수평 방향 하면 사이의 축선이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d"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과;
    f.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 상에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 상의 두 개의 돌출부와;
    g. 수평 방향 하면 상에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 그리고
    h.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는,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로서,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 그러한 두 개의 원통형 홀을 포함하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여,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를 초래하는 경사진 벽을 건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두 개의 추가 홀을 포함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1 홀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추가 홀의 길이는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에서부터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까지로 정의되며; 또한 상기 제1 추가 홀은 청구항 1의 상기 항목 "h"에 서술된 바와 같은 두 개의 홀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2 홀은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 청구항 1의 상기 항목 "d"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를 완전히 관통하는 수직 방향 원통형 홀로서, 상기 제2 추가 홀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수평 방향 상면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의 수평 방향 하면의 중심까지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직경이 동일하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길이는 벽의 높이와 같거나 벽의 높이를 초과하며, 또한 로드는 벽의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로드 단편(fragment)을 포함하는 조립 로드(composed rod)로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그리고 제3 부분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에 맞먹으며;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로드 단편의 암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중실형이고; 상기 제3 부분은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실형이며; 상기 제3 부분은 제1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로드 단편의 수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며; 일 로드 단편의 상기 제1 부분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과 상호 맞물리게 되며,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로드 단편을 포함하는 조립 로드로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그리고 제3 부분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에 맞먹으며;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 기 제1 부분은 내경이 제3 부분의 외경에 딱 맞는 중공형이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암형 부분이며,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이며; 상기 제2 부분은 중실형이고; 상기 제3 부분은 외경이 제1 부분의 내경에 딱 맞는 중실형이며; 상기 제3 부분은 제1 부분을 구성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로드 단편의 수형 부분이고; 일 로드 단편의 제1 부분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과 상호 맞물리게 되며,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6. 길이를 정의하는 수평 방향 X-축선과, 높이를 정의하는 수직 방향 Y-축선 그리고 폭을 정의하는 수평 방향 Z-축선의 세 개의 데카르트 좌표 X, Y, Z에 의해 정의되는 중실형 블록 형태의 벽의 건설을 위한 직육면체 벽돌과 로드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상기 벽돌은
    a. X-축선 및 Z-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 방향 상면 및 수평 방향 하면과;
    b. Z-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 방향 전면 및 수직 방향 후면과;
    c. X-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과;
    d.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의 중간부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e"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와;
    e.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의 중간부 상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 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d"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과;
    f.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 상에 Y-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와;
    g. 수평 방향 하면 상에 Y-축선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 그리고
    h. Y-축선에 대하여 1°내지 45°의 범위의 경사각을 갖는 축선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는,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로서;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홀의 축선이 벽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경사진 홀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갖는 그러한 두 개의 원통형 홀을 포함하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여,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 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를 초래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길이는 벽의 높이와 같거나 벽의 높이를 초과하며; 또한 로드는 벽의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로드 단편을 포함하는 조립 로드로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그리고 제3 부분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에 맞먹으며;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로드 단편의 암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중실형이고; 상기 제3 부분은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실형이며; 상기 제3 부분은 제1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로드 단편의 수형 나사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며; 일 로드 단편의 제1 부분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과 상호 맞물리게 되며,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로드 단편을 포함하는 조립 로드로서 각각의 로드 단편의 길이는 벽돌의 높이의 한배 반이며, 각각의 로드 단편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그리고 제3 부분으로 정의되는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세 개의 부분은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부분의 길이가 로드 단편의 길이의 1/3에 맞먹으며; 상기 제1 부분은 로드 단편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내경이 제3 부분의 외경에 딱 맞는 중공형이며; 또한 상기 제1 부분이 로드 단편의 암형 부분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제3 부분 사이의 로드 단편의 중간부이며;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중실형이고; 상기 제3 부분은 외경이 제1 부분의 내경에 딱 맞는 중실형이며; 상기 제3 부분은 제1 부분을 구성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3 부분은 로드 단편의 수형 부분이며; 일 로드 단편의 제1 부분이 다른 동일 로드 단편의 제3 부분과 상호 맞물리게 되며, 연속적으로 상호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동일 로드 단편에 의해 조립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와 벽돌 시스템.
  10. 길이를 정의하는 수평 방향 X-축선과, 높이를 정의하는 수직 방향 Y-축선 그리고 폭을 정의하는 수평 방향 Z-축선의 세 개의 데카르트 좌표 X, Y, Z에 의해 정의되는 중실형 블록 형태의 벽의 건설을 위한 삼차원 입체 벽돌로서,
    a. X-축선 및 Z-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평 방향 상면 및 수평 방향 하면과;
    b. Z-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 방향 전면 및 수직 방향 후면과;
    c. X-축선 및 Y-축선에 의해 정의되는 서로 평행한, 볼록한 표면으로서의 제1 수직 방향 측면과 오목한 표면으로서의 제2 수직 방향 측면의 두 개의 수직 방향 측면과;
    d. 벽돌의 수직 방향 전면의 중간부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e"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와;
    e. 벽돌의 수직 방향 후면의 중간부에 X-축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d"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과;
    f.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의 중간부에 Y-축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하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공동과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돌출부와;
    g. 수평 방향 하면의 중간부에 Y-축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와 정확하게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두 개의 공동; 그리고
    h. Y-축선의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는,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원통형 홀로서, 이들 홀과 벽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동일 홀은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하는 그러한 두 개의 수직 방향 원통형 홀을 포함하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벽을 건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입체 벽돌.
  11. 제10항에 있어서,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 원통형 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Y-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홀의 길이는 청구항 10의 상기 항목 "f"에 서술된 바와 같은 양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부터 청구항 10의 상기 항목 "g"에 서술된 바와 같은 음의 기하학적 형상의 상측 가장자리까지로 정의되고; 이들 홀과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블록의 동일 홀은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홀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수직 방향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벽이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입체 벽돌.
  12. 제1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추가 홀을 포함하며, 이들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1 홀은 벽돌을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Y-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추가 홀의 길이는 벽돌의 수평 방향 상면에서부터 벽돌의 수평 방향 하면까지로 정의되며; 또한 제1 추가 홀은 청구항 11에 서술된 바와 같은 두 개의 홀의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추가 홀 중 제2 추가 홀은 수직 방향 전면의 상기 돌출부를 Y-축선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원통형 홀로서 이 제2 추가 홀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수평 방향 상면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돌출부의 수평 방향 하면의 중심까지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은 직경이 동일하고,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상기 제1 추가 홀과 제2 추가 홀이 벽의 수직 축선의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수직 방향 홀을 형성하고; 또한 이들 두 개의 추가 홀은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속적인 홀을 관통하여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 로드의 직경에 딱 맞는 직경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벽돌의 사이에 저항성의 상호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복수 개의 수직 방향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골조의 도입을 허용하는 벽을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벽이 상당한 강성 및 측면 저항성, 그리고 극도의 균일하면서도 주기적인 중력에 대한 상당한 저항성을 갖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입체 벽돌.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 전면의 Y-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과; 수직 방향 후면의 Y-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과; 수평 방향 상면의 X-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 그리고 수평 방향 하면의 X-축선 방향으로의 두 개의 엣지 상의 90°직각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입체 벽돌.
KR1020097005102A 2006-08-24 2007-08-24 옹벽용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 KR20090051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O06083678A CO5900022A1 (es) 2006-08-24 2006-08-24 Sistema de ladrillo con varilla para pared de contencion
CO06083678 2006-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753A true KR20090051753A (ko) 2009-05-22

Family

ID=4026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102A KR20090051753A (ko) 2006-08-24 2007-08-24 옹벽용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7387472B2 (ko)
EP (1) EP2059637B1 (ko)
JP (1) JP2010501748A (ko)
KR (1) KR20090051753A (ko)
CN (1) CN101517166A (ko)
AR (1) AR062505A1 (ko)
AU (1) AU2007287342A1 (ko)
BR (1) BRPI0715724A2 (ko)
CA (1) CA2661583A1 (ko)
CL (1) CL2007002488A1 (ko)
CO (1) CO5900022A1 (ko)
CR (1) CR10677A (ko)
DO (1) DOP2009000027A (ko)
EA (1) EA200900340A1 (ko)
IL (1) IL197163A0 (ko)
MX (1) MX2009002029A (ko)
PE (1) PE20080870A1 (ko)
RS (1) RS20090082A (ko)
TR (1) TR200901605T1 (ko)
UY (1) UY30560A1 (ko)
WO (1) WO2008023262A2 (ko)
ZA (1) ZA2009019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62U (ko) * 2020-04-15 2021-10-25 홍석준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5820228A1 (es) * 2006-05-23 2007-11-30 Martinez Naranjo Jhon Jairo Sistema de ladrillo con varilla
AU2009307016A1 (en) * 2008-10-24 2010-04-29 2158484 Ontario Inc. Concrete form module and form panel structures
US8246275B2 (en) * 2009-07-23 2012-08-21 Earth Reinforcement Technologies, Llc Anchored cantilever using modular block
US8464482B2 (en) * 2009-08-04 2013-06-18 Brice C. Raynor Sectioned precast deck footings/ piers
US8225578B2 (en) * 2010-01-11 2012-07-24 Mohammad Reza Azizi Ronagh Flexible interlocking mortarless wall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US8413399B2 (en) * 2010-02-10 2013-04-09 Michael L. Kelley, Jr. Block combinable with other similar blocks to form a wall,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839593B2 (en) * 2010-02-17 2014-09-23 Ply Gem Industries, Inc. Pre-cast blocks for use in column construction
PT105009A (pt) 2010-03-09 2011-09-09 Antonio Jose Vieira Da Cunha Bloco para construção de sistemas de fundação e método para construir muros com o referido bloco
CA2735351C (en) * 2011-03-23 2021-04-06 Michael W. Binns Block wall system
EP2758611A2 (en) * 2011-08-09 2014-07-30 Tie-Cast Systems, Inc. Masonry reinforcement system
US8601758B2 (en) * 2011-09-08 2013-12-10 Samobi Industries, Llc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s
JP2013170404A (ja) * 2012-02-21 2013-09-02 Jihei Kaneko 擁壁ブロック、擁壁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GB2502783A (en) * 2012-06-06 2013-12-11 David Charles Mardel An interlocking block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engagement
WO2013187791A1 (ru) * 2012-06-14 2013-12-19 Li-Chin Sergei Alexandrovich Деревя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стена из таких элементов
CN103114674A (zh) * 2012-12-12 2013-05-22 樊荣 一种组合砖
BR102013000849A2 (pt) * 2013-01-14 2015-06-02 Leonardo Jorge Sistema de blocos modulados com novo modo de encaixe, viabilidade de resistência e estruturação
US20150013255A1 (en) * 2013-03-14 2015-01-15 Christopher M. Hunt Hybrid cementitious buildings for a multi-level habitat
CA3032844C (en) * 2013-03-15 2021-06-29 Abt, Inc. Interlocking form assembly
AU2014202480B2 (en) * 2013-05-13 2018-01-25 Auzcon Pty Ltd Sea defence
US9234349B1 (en) * 2013-08-30 2016-01-12 Convergent Market Research, Inc. Concrete panel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mponents
US9089096B1 (en) * 2013-10-09 2015-07-28 Michael R. Ulrich Pre-formed landscape barrier
CN107109846A (zh) * 2014-08-01 2017-08-29 贾斯特生物纤维公司 承重式互锁结构块和模块化建筑系统
US20170225204A1 (en) * 2016-02-05 2017-08-10 Jesse Silkwood Concrete washout apparatus
US10316485B1 (en) * 2018-07-17 2019-06-11 Pacific Coast Building Products, Inc. Retaining wall block
CN109322284A (zh) * 2018-11-30 2019-02-12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装配式混凝土枯水平台
CN110306685A (zh) * 2019-04-12 2019-10-08 深圳全景空间工业有限公司 一种砖块墙
RU195239U1 (ru) * 2019-11-06 2020-01-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Гравитационная подпорная стена
CN110965564A (zh) * 2019-12-12 2020-04-07 安徽国基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抗冲刷生态护坡砖、护坡、铺设方法
US10982436B1 (en) * 2020-01-03 2021-04-20 John P. Ross Log wall construction
NL2024738B1 (en) * 2020-01-23 2021-09-09 Leiqo B V Building unit comprising a body member and a coupling fixation member
ES2784651A1 (es) * 2020-06-10 2020-09-29 Univ Madrid Politecnica Estructura y pieza modular para la construccion
CN111926989B (zh) * 2020-07-17 2021-12-03 余选清 一种组合式保温砌块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4427A (en) * 1931-02-24 1934-09-25 Herbert M Knight Wall
US2826906A (en) * 1954-07-07 1958-03-18 William A Rice Wall of building blocks
JPS5342803U (ko) * 1976-09-17 1978-04-13
CA1145573A (en) * 1980-09-17 1983-05-03 Robert E. Crowe Erosion control blocks
DE8104628U1 (de) * 1981-02-19 1981-09-17 Dees, Richard, 4802 Halle Baustein
GB2105383A (en) * 1981-08-25 1983-03-23 Kinji Terada L-shaped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such L-shaped concrete blocks
US5003746A (en) * 1988-11-07 1991-04-02 Structural Block Systems, Inc. Arcuate and curvilinear assemblies comprising tandemly arranged building blocks having degrees of rotation
US4996813A (en) * 1989-09-21 1991-03-05 Kliethermes Jr John C Sound block
JPH04146330A (ja) * 1990-10-09 1992-05-20 Fujita Corp 擁壁用透水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擁壁の施工法
US5312858A (en) * 1991-12-16 1994-05-17 Virgil Folsom Construction article from waste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754360A (ja) * 1993-08-17 1995-02-28 Chiba Tokushu Concrete Kogyo Kk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JPH0830344B2 (ja) * 1993-11-19 1996-03-27 株式会社佐藤工業川水流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7331674A (ja) * 1994-06-13 1995-12-19 Fujita Corp 擁壁の施工方法
US5536111A (en) * 1994-09-27 1996-07-16 Doernemann; Jarett Adjustable erosion control wall
JP2931769B2 (ja) * 1995-01-19 1999-08-09 佐藤工業株式会社 修景型枠工法並びに修景型枠ブロック
US6286251B1 (en) * 1996-04-10 2001-09-11 Bend Industries, Inc. Interlocking composite masonry edging or stepping block
DE19716472C2 (de) * 1997-04-19 2002-08-14 Rainer Klinkhammer Bauelement, daraus hergestellte Schwergewichtsmau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Schwergewichtsmauer
US6578338B1 (en) * 1997-09-05 2003-06-17 Lakdas Nanayakkara Constructional brick
US6758020B2 (en) * 1997-09-08 2004-07-06 Cercorp Initiatives Incorporated Flexible interlocking wall system
US6467229B2 (en) * 1998-12-24 2002-10-22 Tony J. Azar Mortarless brick
JP2000291029A (ja) * 1999-04-02 2000-10-17 Takamizawa:Kk 連節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法面の施工方法
JP4576018B2 (ja) * 2000-03-01 2010-11-04 日本興業株式会社 擁壁
JP3398642B2 (ja) * 2000-03-06 2003-04-21 建設基礎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ブロックの設置固定工法及び連結方法
DE10340596A1 (de) * 2003-09-01 2005-03-24 Schwenk Betontechnik Gmbh & Co. Kg Mauerstein, Mauerendstein und Mauersteinsystem
JP5473191B2 (ja) 2004-11-08 2014-04-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ppar)活性化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医薬、サプリメント、機能性食品および食品添加物
US7114887B1 (en) * 2005-11-14 2006-10-03 Earth Reinforcement Technologies, Llc Modular block anchoring techn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62U (ko) * 2020-04-15 2021-10-25 홍석준 양쪽 끝단에 반원형 양단부와 볼록부와 함입부를 가지며 상하결합 고정공을 갖는 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R10677A (es) 2009-05-14
WO2008023262A3 (en) 2008-04-24
AU2007287342A1 (en) 2008-02-28
UY30560A1 (es) 2009-04-30
CO5900022A1 (es) 2008-03-31
MX2009002029A (es) 2009-05-28
CN101517166A (zh) 2009-08-26
CL2007002488A1 (es) 2008-02-01
EA200900340A1 (ru) 2009-08-28
BRPI0715724A2 (pt) 2013-09-17
US7387472B2 (en) 2008-06-17
EP2059637A2 (en) 2009-05-20
WO2008023262A2 (en) 2008-02-28
ZA200901996B (en) 2010-06-30
EP2059637A4 (en) 2010-09-15
IL197163A0 (en) 2009-12-24
US20080047218A1 (en) 2008-02-28
EP2059637B1 (en) 2012-08-08
CA2661583A1 (en) 2008-02-28
AR062505A1 (es) 2008-11-12
TR200901605T1 (tr) 2009-07-21
PE20080870A1 (es) 2008-07-06
US20080202054A1 (en) 2008-08-28
RS20090082A (en) 2010-10-31
JP2010501748A (ja) 2010-01-21
DOP2009000027A (es)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1753A (ko) 옹벽용의 로드와 벽돌 시스템
JP2009537718A (ja) レンガおよびロッドのシステム
US6550208B2 (en) Constructional components for use in a wall structure
US6694692B2 (en) Modular formwork elements and assembly
AU2011308092B2 (en) Construction block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CA2848746A1 (en) Slant wall block and wall section including same
JP2000204700A (ja) ブロック組立体及びそれで建造した壁
JP2016027240A (ja) 建築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物
US7337589B2 (en) Interlocking blocks for construction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RU174524U1 (ru) Камень стеновой
US20210348384A1 (en) Building block (variants)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CN210263513U (zh) 一种高层建筑墙体砖构件
CA3025394C (en) A device for connecting and separating masonry units
RU70909U1 (ru) Керам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для получения угловой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и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ь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101468U1 (ru) Керамический кирпич
JP3199085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天端ユニットブロック体
RU126345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JP4625422B2 (ja) 組積用ブロック及び組積ブロックの構築方法
RU2513228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