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082A - 바지구조 및 바지구조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바지구조 및 바지구조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082A
KR20090051082A KR1020097004876A KR20097004876A KR20090051082A KR 20090051082 A KR20090051082 A KR 20090051082A KR 1020097004876 A KR1020097004876 A KR 1020097004876A KR 20097004876 A KR20097004876 A KR 20097004876A KR 20090051082 A KR20090051082 A KR 20090051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ouser
towing
pants
attach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361B1 (ko
Inventor
오스카 레반더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09005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70Tugs for p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Special W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끝단(11) 및 제 2 끝단(12)을 가지는 바지 유니트(1)와, 추진 유니트가 마련된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지 유니트는 한쪽 끝단에 예인 유니트를 수납하도록 채택되는 바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물의 선적, 수송 및 하역을 위한 효율적인 선박의 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지 유니트(102)는 이동의 정방향 (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이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에서 제 1 예인 유니트(2)를 수납하도록 채택된다. 또한, 바지 유니트(101)는 이동의 정방향(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이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에서 제 2 예인 유니트(3)를 수납하도록 채택된다.

Description

바지구조 및 바지구조의 운전방법{BARGE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BARGE ARRANGEMENT}
본 발명은 제 1 끝단과 제 2 끝단을 구비한 바지 유니트와, 추진유니트가 마련된 예인 유니트(tu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바지 유니트는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라, 한 끝단에 예인 유니트를 수납하도록 채택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0의 서문에 따른 예인 유니트와, 청구항 15의 서문에 따른 바지 유니트 및, 청구항 20에 따른 바지 구조의 운전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적재하도록 채택되고 추진력을 가지지 아니한 바지와 추진력을 가진 예인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지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바지 구조는 종종 여러개의 바지를 위하여 배치된 한개의 추진 예인선을 포함한다. 이 구조는, 하나의 바지가 바다에서 추진되는 동안 다른 바지는 항구에서 선적/하역하도록 운전된다. 이는, 기계장치를 가진 예인선 및 선원들이 바다에서 유효하게 이용되고, 그에 의하여 비생산적인 시간이 항구에서 덜 소비된다. 전형적으로는, 그러한 바지 구조는 푸셔(pusher)-바지 조합으로서, 예인선은 바지선의 선수를 앞쪽으로 밀도록 하기 위하여 그 바지의 선미에 연결된다. 공지의 바지선의 구조의 예는, 예 를 들면 영국특허 2 132 566A 및 미국특허 4,356,78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바지구조들은 일체식 예인-바지(Intergrated tug-barge:ITB)형으로서, 여기서는 예인선 및 바지선이 실질적으로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도록 상호간에 강고한 접속으로 잠겨지고, 그에 의하여 예인선과 바지선의 사이에는 어떠한 움직임도 없게 된다. 바지구조는 또한 관절식 예인-바지(Articulated tug-barge: ATB)형으로서, 여기에서는 예인선 및 바지선이 관절식 또는 힌지식 접속을 함으로써 이물(선수) 및 고물(선미) 피치면 또는 하나의 축상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한다.
통상적으로 공지의 푸셔-바지 조합은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종래의 쇄빙선들이 결빙조건하에서의 운전을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위해 사용된다.
소위 복동식 선박(Double Acting Ship:DAS)으로 불리는 다기능 선박을 얻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이러한 공지의 선박에 있어서는, 선수가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종래의 선수로 되어 있고, 선미는 쇄빙용 목적으로 설계되며, 회동가능한 스크류 구조, 예를 들면 아지무싱 파드 추진(Azimuthing pod prupulsion)과 같은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해양에서의 운전시에, 선박은 앞방향으로는 선수로 이동하고, 쇄빙조건하에서 운전할 때에는 선박은 앞방향으로 쇄빙 선미에 의하여 이동하게 된다. 추진 시스템이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프로펠러는 얼음의 마찰을 감소하기 위하여 선박의 선체를 물로 씻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방법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5,218,917 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법은 구성 및 운전에 있어서 매우 고가이다. 실제적으로 선박은 쇄빙선으로서 구성되어야 하며, 그에 의하여 쇄빙용 선미는 그 쇄빙용 구성에 기인하여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한 선미로서는 적절하지 않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공지의 바지구조와는 달리 선원 및 기계장치들이 항구에서 놀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상이한 환경에서 2개의 별개의 조건하에서 행하는 운전의 관점 및, 항구에서의 운전관점에서 효과적인 선박조합을 제공함에 있다. 그와 같은 조건의 예로서는, 해양 및 결빙조건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바지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적절한 화물 반송유니트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운전을 위한 적절한 추진유니트의 사용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 이상의 바지 유니트 및 하나의 임의의 수의 예인 유니트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바지 유니트는 정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바지유니트의 제 1 끝단이 제 1 예인선에 의하여 밀어지도록 그의 제 2 끝단에 제 1 예인선을 받아들이도록 채택되고, 역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는 바지유니트의 제 2 끝단이 제 2 예인선에 의하여 당겨지도록 그의 제 2 끝단에 제 2 제 2 예인선을 받아들이도록 채택된다.
변화하는 조건들은,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제 1 예인유니트에 의하여 바지유니트가 밀어지도록 배치되고, 쇄빙조건에서의 운전을 위하여는 제 2 예인유니트에 의하여 바지유니트가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예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에, 바지유니트의 제 1 끝단은 해양에서의 운전용으로 설계되고, 제 1 예인 유니트의 제 2 끝단(선미끝단)은 해양에서의 운전용으로 설계되며, 제 2 예인유니트의 제 1 끝단(선수끝단)은 쇄빙조건에서의 운전용으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바지유니트는 그의 제 2 끝단에 예인선 부착수단을 가짐으로써, 제 1 예인 유니트는 제 1 예인선 부착구조가 마련된 제 1 끝단(선수 끝단) 및 제 1 추진유니트가 마련된 제 2 끝단(선미 끝단)을 가지며, 제 2 예인 유니트는 제 2 추진 유니트가 마련된 제 1 끝단(선수 끝단) 및 제 2 바지 부착수단이 마련된 제 2 끝단(선미 끝단)을 가진다.
특히, 예인선 부착수단을 흘수선에 대하여 상이한 수직레벨에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바지 유니트는 선적레벨과 독립적으로, 즉, 바지유니트가 만선으로 되어 수중에 깊이 떠 있는 것과, 중간 적재된 경우, 또는 빈 상태로 수중에 얕게 떠 있는 경우와 독립적으로, 제 1 예인 유니트 및 제 2 예인 유니트를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제 1 예인 유니트 및 제 2 예인 유니트는 따라서 최적의 성능으로 각각 설계된 부양 레벨로 유지되고 바지 유니트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지 유니트의 제 1 예인 유니트는 예를 들면 구상(球狀)선수가 마련되어 해양에서의 운전조건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제 1 예인유니트는 예를 들면 제 1 추진 유니트의 프로펠러의 양호한 유입과, 낮은 비용의 추진 유니트 및, 따라서 일반적으로 낮은 단가의 운전비용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양에서의 밀어대는 운전용으로 설계된 제 2 끝단(선미 끝단)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프로펠러, 바람직하게는 제어가능한 피치 프로펠리가 구비된 축선을 가지는 종래의 기계적인 추진 유니트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 2 예인 유니트는 쇄빙목적으로, 또한 조타가능한 추진 유니트로서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포드 추진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결빙조건에서의 당김 운전용으로 유용하며, 심지어 상기 쇄빙조건에서의 정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얼음을 씻어내는 데에도 유리하다. 결빙조건에서는, 프로펠러로부터의 프로펠러류는 선체에 물을 뿌리게 되며 얼음조각과 선체 사이의 저항을 감소하게 된다. 더우기 포드 (pod)는 다양한 방향으로 추력을 도출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프로펠러류는 달라붙은 얼음을 제거할 수도 있다. 정방향 프로펠러는 방해가 되는 얼음들을 "먹어들어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부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제 1 예인 유니트의 제 1 끝단(선수 끝단) 및 제 2 예인 유니트의 제 2 끝단(선미)의 쐐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바지 유니트의 제 2 끝단에 접속 절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결빙조건하에서는 부착수단이 굴절식인 것이 유리한다. 이는, 거친 해양조건뿐 아니라 결빙조건에서 얼음에 대한 힘을 감소시키는 피칭을 허용한다. 또한, 이는 끌어당기는 제 2 예인 유니트와 바지 유니트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조건에 대하여 더욱 유리하게 된다.
기타의 바지 구조의 장점적인 특징들은 청구항 2 내지 9 에 개시하였다.
청구항 1 내지 9 에 따른 바지구조에서 사용되는 예인 유니트는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을 가지며, 그에 의하여 제 1 끝단은 제 1 바지 부착수단 또는 제 2 추진유니트가 마련되며, 제 2 끝단은 청구항 10 내지 14에서 주어진 바와 같은 제 1 추진 유니트 또는 제 2 바지 부착수단이 마련된다.
바지 유니트의 특징들은 청구항 15 내지 19에 주어지며, 바지 구조의 운전방법은 청구항 20 내지 22에 주어진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상술한 바지 유니트 및 제 1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 의 바지 구조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1 의 제 1 예인 유니트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4 는 바지 유니트 및 제 2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 의 바지구조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4 의 제 2 예인 유니트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 구조의 운전예를 도시한다.
첫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바지 유니트와, 제 1 예인 유니트 및 제 2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가 도 1 내지 6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두번째로, 상술한 바와 같은 바지 유니트와, 제 1 예인 유니트 및 제 2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의 운전예를 도 7 내지 10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장점 및 선택사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바지 유니트(1) 및 제 1 예인 유니트(2)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를 나타낸다.
바지유니트(1)는 본 실시예에서 선수로서 기능하는 제 1 끝단(11)과, 본 실시예에서 선미로서 기능하는 제 2 끝단(12)을 가진다.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은 제 1 예인 유니트(2)를 받아들이도록 채택되며, 제 2 끝단(12)의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며 제 1 예인 유니트(2)를 수납하기 위하여 대략 U자 형상을 가진다. 이 U자형 제 2 끝단은, 2개의 아암(16) 및 그 아암 사이의 베이스(17)와 함께 오목부(13)를 규정한다.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에는 구상 선수(14)가 마련된다. 또한, 바지 유니트(1)에는 절결홈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예인선 부착수단(15)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인선 부착수단(15)들은 흘수선에 대하여 상이한 레벨(도 2)로 있을 수 있다. 예인선 부착수단(15)들은 바지선(1)의 U자형 제 2 끝단(12)의 아암(16)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1 예인 유니트(2)를 도 3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 1 예인 유니트 (2)는 본 실시예에서는 선수인 제 1 끝단(21)과, 본 실시예에서는 선미인 제 2 끝단(22)을 가진다.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1 끝단(21)에는 상기 제 1 끝단(21)의 측부에 제 1 바지 부착수단(23)이 마련되며, 이는 절결홈(도 1), 즉 상술한 예인선 부착수단(15)과 상호결합하기 위한 쐐기의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바지 부착수단(23)은 흘수선에 관하여 상이한 레벨에 있다.
예인선 부착수단과 제 1 바지 부착수단을 가짐으로써,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흘수선에 대하여 상이한 수직레벨상에 예인선 부착부를 가짐으로써, 바지 유니트와 제 1 예인 유니트 사이의 상호접속이, 바지 유니트의 상이한 선적상황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예인 유니트는 따라서 최적의 미는 성능을 위하여 설계된 떠있는 레벨상에 유지될 수 있다.
제 1 예인 유니트(2)에는 그의 제 2 끝단(22)에 제 1 추진 유니트(24)가 마련된다. 제 1 추진 유니트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축선을 가진 종래의 기계적인 추진장치이다. 제 1 추진 유니트(24)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25) 및 키(26)를 가진다.
바지 유니트(1)는 또한 그 바지 유니트(1)의 U자형 제 2 끝단(12)의 베이스 (17)의 안쪽에 대응하는 예인선 부착수단(도시않됨)을 가진다. 이 경우에,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1 끝단(21)의 전방에는 또한 상기 예인선 부착수단과의 상호접속을 위한 대응하는 제 1 예인선 부착수단(도시않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바지 유니트와 제 1 예인 유니트의 상호접속을 부가적으로 확고하고 안정되게 한다.
바지 유니트(1)는 정방향 F 쪽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으로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진다.
도 4 및 도 5는 바지 유니트(1)와 제 2 예인 유니트(3)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를 나타낸다. 바지 유니트(1)는 앞서 도 1 내지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지 유니 트(1)와 동일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찬가지로 기술하겠다.
바지유니트(1)는 본 실시예에서 선미로서 기능하는 제 1 끝단(11)과, 본 실시예에서 선수로서 기능하는 제 2 끝단(12)을 가진다.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은 제 2 예인 유니트(3)를 받아들이도록 채택되며, 제 2 끝단(12)의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며 제 2 예인 유니트(3)를 수납하기 위하여 대략 U자 형상을 가진다. 이 U자형 제 2 끝단(12)은, 2개의 아암(16) 및 그 아암 사이의 베이스(17)와 함께 오목부(13)를 규정한다.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에는 구상 선수(14)가 마련된다. 또한, 바지 유니트(1)에는 절결홈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예인선 부착수단 (15)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인선 부착수단(15)들은 흘수선에 대하여 상이한 레벨(도 5)로 있을 수 있다. 예인선 부착수단(15)들은 바지 유니트(1)의 U자형 제 2 끝단(12)의 아암(16)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 2 예인 유니트(3)를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제 2 예인 유니트 (3)는 본 실시예에서는 선수인 제 1 끝단(31)과, 본 실시예에서는 선미인 제 2 끝단(32)을 가진다.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끝단(32)에는 상기 제 2 끝단(32)의 측부에 제 2 바지 부착수단(33)이 마련되며, 이는 절결홈(도 1), 즉 상술한 예인선 부착수단(15)과 상호결합하기 위한 쐐기의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바지 부착수단(33)은 흘수선에 관하여 상이한 레벨에 있다.
예인선 부착수단과 제 2 바지 부착수단을 가짐으로써, 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흘수선에 대하여 상이한 수직레벨상에 예인선 부착부를 가짐으로써, 바지 유니트와 제 2 예인 유니트 사이의 상호접속이, 바지 유니트의 상이한 선적상황에 대하여 용 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예인 유니트는 따라서 최적의 미는 성능을 위하여 설계된 떠있는 레벨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제 2 예인선(3)이 당기는 운전 모드에 있게 되는 결빙조건하에서는 특히 장점을 가진다. 쇄빙성능은 쇄빙용 제 2 예인 유니트(3)의 흘수선이 적절한 레벨이 있는가의 여부에 보다 의존적이다.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31)은 결빙조건하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선체 또한 쇄빙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특수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바지 유니트(1)에 흘수선에 관하여 상이한 수직 레벨상에 예인선 부착수단(15)이 마련되었을 때, 제 2 바지 부착수단(33) 또한 적절한 예인선 부착수단(15)에 부착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쇄빙특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화된다.
특히, 결빙조건하에서는 부착수단이 굴절식인 것이 유리한다. 이는, 거친 해양조건뿐 아니라 결빙조건에서 얼음에 대한 힘을 감소시키는 피칭을 허용한다. 또한, 이는 끌어당기는 제 2 예인 유니트와 바지 유니트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조건에 대하여 더욱 유리하게 된다.
제 2 견인 유니트(3)에는 그의 제 1 끝단(31)에 제 2 추진 유니트(34)가 마련된다. 제 2 추진 유니트(34)는,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펠러(36)를 포함하는 아지무싱 전기식 포드 추진장치(35)이다. 제 2 추진 유니트는 또한 조타가능한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추력장치일 수 있다.
바지 유니트(1)는 또한 그 바지 유니트(1)의 U자형 제 2 끝단(12)의 베이스 (17)의 안쪽에 대응하는 예인선 부착수단(도시않됨)을 가진다. 이 경우에,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끝단(32)의 전방에는 또한 상기 예인선 부착수단과의 상호접속을 위한 대응하는 제 2 예인선 부착수단(도시않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바지 유니트와 제 2 예인 유니트의 상호접속을 부가적으로 확고하고 안정되게 한다.
바지 유니트(1)는 정방향 F 쪽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으로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지 구조의 운전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예인 유니트(2), 제 2 예인 유니트(3) 및 3개의 바지 유니트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바지 유니트(101), 제 2 바지 유니트(102) 및 제 3 바지 유니트(103)들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지 유니트(1)들에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제 1 예인 유니트(2) 및 제 2 예인 유니트(3) 또한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제 1 예인 유니트(2) 및 제 2 예인 유니트(3)와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이는, 상술한 구성부들이 이와 관련하여 별개로 구분될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항구는 참조부호 P로 표시하였으며, 결빙조건은 참조부호 I, 해양은 참조부호 O로 표시하였다. 정방향 이동방향 F도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논의된 정방향 F과 동일한 것이다.
이하에서, 바지구조의 운전을 2개의 모드, 즉 해양 O에서 발생하는 제 1 운전모드와, 결빙조건 I에서 발생하는 제 2 운전모드로 기술한다.
도 7에서 제 1 바지 유니트(101)는 결빙조건 I을 뚫고 제 2 예인 유니트(3) 에 의하여 끌어당겨져서 항구 P를 떠나고 있다. 제 1 바지 유니트(101) 및 제 2 예인 유니트(3)는 상술한 바(도 4 내지 6)와 같이 예인선 부착수단(15) 및 제 2 바지선 부착수단(33)에 의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다. 제 2 추진유니트(34)는, 바지 구조가 정방향 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에 의하여 이동함에 따라서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31)에 의하여 마주치는 얼음을 씻어낸다.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31)은 결빙조건하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제 1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상 선수(14)를 가지며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설계에 따른 단점은 남기지 않게 된다.
동시에, 제 2 바지 유니트(102)는 항구 P 를 향하여 해양을 항해해오고 있다. 제 2 바지 유니트(102)는 정방향 F으로, 제 2 바지 유니트(12)의 제 1 끝단 (11)으로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고 있다. 해양 O 에서는, 구상 선수(14)를 구비한 제 2 바지 유니트(102)의 제 1 끝단(11)이 항해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2 끝단(22)은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적절한 장점, 즉, 프로펠러(25)에 보다 호의적인 유입상태를 제공하는 설계를 가진다. 제 1 추진 유니트(24)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단일 축선을 가진 저속엔진을 포함하는 통상의 기계식 추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구성, 엔진, 연료소비 및 운전의 관점에서 경제성을 부여한다.
제 3 바지 유니트(102)는 항구 P 에서 선적/하역을 위하여 정박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제 1 바지 유니트(101) 및 제 2 바지 유니트(102)는 예인 유니트를 바꾸게 된다.
제 1 바지 유니트(101)가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결빙조건을 뚫고 끌어당겨질 때, 제 2 예인 유니트(3)는 제 1 제 1 바지 유니트(101)로부터 떠나서 그의 제 2 끝단(32)으로 제 2 바지 유니트(102)의 제 2 끝단(12)을 향하여 이동하여 접속된다(도 8에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함). 접속시,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바지 부착수단(33)은 제 2 바지 유니트(102)의 예인 부착수단(15)과 접속하게 된다. 이제 제 2 예인 유니트(3)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빙조건 I을 뚫고 항구 P를 향하여(도 9 및 도 10) 제 2 바지 유니트(102)를 끌어당길 준비가 된다.
그 동안에, 제 1 예인 유니트(2)는, 제 2 바지 유니트(102)를 떠나서 제 1 바지 유니트(101)의 제 2 끝단(12)과 결합하고(도 8 에서 곡선화살표로 나타냄), 원하는 목적지로 향하여 정방향 F 으로 바지선의 제 1 끝단(11)을 제 1 바지 유니트(101)로 밀어냄으로써 항해를 계속하게 된다(도 9 및 도 10).
도 9에서는, 어떻게 바지 유니트와 예인 유니트의 조합이 그들의 정방향 F으로의 이동을 하기 위하여 선회하는지를 도시하였다. 도 8에서의 위치들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제 3 바지유니트(103)는 화물을 선적/하역하기 위하여 항구에 정박중이고, 항구 P로 들어오게 되는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해양 O 을 향해 결빙조건을 뚫고 꺼내어지길 대기하고 있다.
도 10은 도 7과 역전된 상황을 나타낸다. 제 1 바지 유니트(101)는 해양 O 에서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고 있고, 반면에 제 2 바지 유니트(102)는 결빙조건 I을 뚫고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항구 P를 향해 끌어당겨지고 있다. 제 2 예인 유니트(3)로 제 2 바지 유니트(102)가 항구에 도착하면, 제 2 바지 유니트(102)는 선적/하역을 위하여 정박되고, 그에 의하여 제 2 예인 유니트(3)는 제 3 바지 유니트(103)와 결합되고 이를 밀어서 결빙조건 I을 뚫고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것에 해당되는 방식으로 정방향 F을 향하여 제 3 바지 유니트(103)의 제 2 끝단(12)을 밀어 해야 O으로 나가게 된다. 이 바지 유니트 및 예인 유니트의 조합이 해양 O에 도착하게 되면, 제 2 예인 유니트(3)는 제 3 바지 유니트(103)를 떠나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항구 P로 예인되길 기다리고 있는 다음의 바지 유니트를 맡게 된다.
결빙조건, 즉 극지의 조건하에서는, 결빙운전이 단지 아주 단거리에서만 행해지고 대부분의 시간은 해양에서 소비된다. 따라서, 2개의 보족적인 예인 유니트, 하나는 특히 결빙조건용으로 만들어지고, 다른 하나는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해 만들어진 것을 동일한 바지선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높은 효율 및 경제성이 달성된다.
결빙조건 운전용의 특화된 예인 유니트, 즉 끌어당기는 제 2 예인 유니트는, 다소 결빙조건하에서의 운전만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제 1 끝단(선수 끝단)이 특별히 결빙조건용, 즉 쇄빙목적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추진유니트는 그의 제 1 끝단에서 이 특별한 목적용으로 선택될 수 있는데, 즉, 회전가능한 전기식 포드 추진장치일 수 있어서, 부하를 끌어당 기기 위하여 제 2 예인 유니트의 선수 끝단으로부터 얼음을 씻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가의 추진기가 의도된 용도로 가능한한 많이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최적의 선원들, 즉 쇄빙지식에 통달한 승무원들이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해양에서의 운전용으로 특화된 예인 유니트, 즉 미는 제 1 예인 유니트는, 해양에서의 운전용으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제 2 끝단이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즉 적절한 종래의 용골선을 따라서 프로펠러로 최적의 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추진 유니트는 낮은 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을 가진 통상의 기계적인 추진장치일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다). 승무원은 어떠한 특별한 능력을 가질 필요없이 통상의 지식만을 가져도 좋다.
제 1 바지 유니트의 각각의 바지 유니트와, 제 2 바지 유니트 및 제 3 바지 유니트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끝단에 구상선수를 가지는 해양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앞에 달린 구상선수는 제 1 예인 유니트로 밀 때에는 해양에서 양호한 항해를 제공하지만, 한편으로는, 제 2 예인 유니트에 의하여 결빙조건을 뚫고 바지 유니트가 끌어당겨질 때에도 특별히 부정적인 효과를 가지지는 않는다.
양호한 기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지 유니트의 제 2 끝단은 제 1 예인 유니트의 제 1 끝단 및 제 2 예인 유니트의 제 2 끝단과 상호결합하기 위한 설계로서, 정방향으로의 유선형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선체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바지 유니트의 U자형의 제 2 끝단(12)과, 예인 유니트 수납 오목부 (13)를 형성하는 아암(16) 및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1 끝단(21)들은 해양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유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바지 유니트의 U형 제 2 끝단(12)과, 예인 유니트 수납 오목부(13)을 형성하는 아암(16)등도, 결빙조건 I하에서의 운전에 적합한 유선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아암(16)은 제 2 예인 유니트(3)와 함께 양호한 쇄빙선체를 형성하도록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형적인 적용분야는, 극지 LNG 수송선, 극지 유조선, 극지 콘테이너 화물선, 극지 범용 화물선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다양한 조건들은, 주로 해양에서의 제 1 운전모드 및 결빙조건하에서의 제 2 운전모드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다른 조건들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 구조는 강에서의 운송을 위한 제 1 운전모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제 1 예인 유니트는 강에서의 얕고 조용한 운송을 위한 운전용의 제 1 모드로 설계될 수 있다. 제 2 운전모드는 거칠고 높은 파도의 해양운송용으로 생각할 수 있고, 여기에서 제 2 예인 유니트는 해양용 예인 유니트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바지 유니트의 바람직한 추진 유니트, 설계 및 승무원의 능력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예인선 부착수단 및 바지 부착수단들은 굴절식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결빙조건 또는 척박한 해양조건하에서 유용한다. 또한 그러한 조건하에서는 바지 유니트와 끌어당기는 제 2 예인 유니트의 사이에 간격을 둘수도 있다.
바지 유니트 및 예인 유니트의 수는 바지 유니트가 사용되는 조건에 따라서 가변적이고, 운전거리, 선적/하역 속도등도 가변적임은 명백하다.
설명 내용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본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의도로만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가변적일 수 있다.

Claims (22)

  1. 제 1 끝단(11) 및 제 2 끝단(12)을 가지는 바지 유니트(1)와, 추진 유니트가 마련된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지 유니트는 한쪽 끝단에 예인 유니트를 수납하도록 채택되는 바지 구조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는 이동의 정방향 (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이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에서 제 1 예인 유니트(2)를 수납하도록 채택되며, 바지 유니트(1)는 이동의 정방향(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이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에서 제 2 예인 유니트(3)를 수납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는 해양(O)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도록 배치되고, 바지 유니트(1)는 결빙조건(I)하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제 2 예인 유니트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은 해양(O)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설계되고,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2 끝단(22)은 해양(O)에서의 운전을 위하여 설계되며,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31)은 결빙조건(I)에서의 운전 을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에는 구상 선수(1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에는 쇄빙용 선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는 그의 제 2 끝단(12)에 예인선 부착수단 (15)을 가지며, 제 1 예인 유니트(2)는 제 1 바지 부착수단(23)이 마련된 제 1 끝단(21)을 가지며, 제 2 예인 유니트(2)의 제 2 끝단(22)에는 제 1 추진 유니트(24)가 마련되며,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31)에는 제 2 추진 유니트(34)가 마련되고,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끝단(32)에는 제 2 바지 부착수단(3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예인선 부착수단(15)들은 흘수선에 대하여 상이한 수직레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추진 유니트(24)는 통상의 기계식 추진장치이며, 제 2 추진 유니트는 전기식 포드 추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9. 제 2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은 해양(O)에서의 운전을 위한 선수 끝단 및 결빙조건(I)에서의 운전을 위한 선미 끝단이며,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은 해양(O)에서의 운전을 위한 선미 끝단 및 결빙조건(I)에서의 운전을 위한 선수 끝단이며,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1 끝단(21)은 선수 끝단이고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2 끝단(22)은 선미 끝단이며,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1 끝단(31)은 선수 끝단이고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끝단(32)은 선미 끝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바지 구조에 사용되는 예인 유니트이고, 이 바지 구조는 예인선 부착수단(15)를 가지는 바지 유니트를 포함하는 예인 유니트에 있어서,
    예인 유니트는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을 구비하고, 제 1 끝단에는 제 1 바지 부착수단(23) 또는 제 2 추진 유니트(34)를 구비하고, 제 2 끝단에는 제 1 추진 유니트(24) 또는 제 2 바지 부착수단(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유니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예인 유니트는 해양(O)에서의 운전용으로 설계된 것이며, 예인 유니트의 제 2 끝단의 제 1 추진 유니트(24)는 프로펠러(25) 및 키(26)를 포함하는 통상의 기계식 추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유니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예인 유니트의 제 2 끝단은 프로펠러(25)에 물을 양호하게 유입하는 해양(O)운전용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유니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예인 유니트는 결빙조건(I)에서의 운전용으로 설계되고, 예인 유니트의 제 1 끝단의 제 2 추진유니트(35)는 전기식 포드 추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유니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결빙조건(I)하에서의 운전용으로 설계된 예인 유니트의 제 1 끝단에는 결빙조건(I)하에서의 운전용 쇄빙선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인 유니트.
  15. 제 1 끝단 및 제 2 끝단을 가지며, 추진 유니트가 마련된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바지 유니트(1)에 사용할 것을 의도한 것이며, 바지 유니트(1)는 한쪽 끝단에 예인 유니트를 수납하도록 채택되는 바지 유니트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는 이동의 정방향 (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이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에서 제 1 예인 유니트(2)를 수납하도록 채택되며, 바지 유니트(1)는 이동의 정방향(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이 제 2 예인 유니트(3)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에서 제 2 예인 유니트(3)를 수납하도록 채택되고,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은, 정방향(F)으로의 유선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체적인 선체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예인 유니트(2) 및 제 2 예인 유니트(3)와 일체 접속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유니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에는, 제 1 예인 유니트 (2)와의 해양(O) 운전을 위한 유선운동을 제공하고 제 2 예인 유니트와의 결빙조건 (I)하에서의 운전을 위한 유선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1 끝단(21)에서 제 1 바지 부착수단(23)과의 상호결합 및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끝단(32)에서 제 2 바지 부착수단(33)과의 상호결합용으로 설계된 예인 부착수단(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유니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예인 부착수단(15)은 흘수선에 관하여 상이한 수직레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유니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은 제 1 예인 유니트(2) 또는 제 2 예인 유니트(3)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13)를 규정하는 2개의 아암(16) 및 베이스(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유니트.
  19. 제 15 항에 있어서, 바지 유니트(14)의 제 1 끝단(11)에는 구상 선수(1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유니트.
  20. 제 1 끝단(11) 및 제 2 끝단(12)을 가지며, 추진 유니트가 마련된 예인 유니트를 포함하는 바지 구조의 운전방법이며, 이 방법에서 바지 유니트(1)는 한쪽 끝단에 예인 유니트를 수납하도록 채택되고, 예인 유니트는 그 바지 유니트를 추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예인 유니트(2)에는 제 1 추진 유니트(24)가 마련되고 제 2 예인 유니트(3)에는 제 2 추진 유니트(34)가 마련되며, 제 1 운전모드에서 제 1 예인 유니트 (2)는 정방향(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1 끝단(11)이 제 1 예인 유니트(2)에 의하여 밀어지도록 그의 제 2 끝단(12)과 걸어맞추어지고, 제 2 운전모드에서 제 2 예인 유니트(3)는 이동의 정방향(F)으로 바지 유니트(1)의 제 2 끝단(12)으로 끌어당겨지도록 바지 유니트의 제 2 끝단(12)과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예인 유니트(2)는 해양(O)에서의 제 1 운전모드에서 바지 유니트를 밀어주고, 제 2 예인 유니트(3)는 결빙조건(I)에서의 제 2 운전모드에서 바지 유니트를 끌어당겨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 1 예인 유니트(2)의 제 1 끝단(21)에 마련된 제 1 바지선 부착수단(23)을 바지 유니트의 제 2 끝단(12)에 마련된 예인선 부착수단(15)과 걸어맞춤함으로써 제 1 예인 유니트(2)가 바지 유니트의 제 2 끝단(12)과 걸어 맞추어지고, 제 2 예인 유니트(3)의 제 2 끝단(32)에 마련된 제 2 바지선 부착수단 (33)을 바지 유니트의 제 2 끝단(12)에서 예인선 부착수단(15)과 상호결합함으로써 제 2 예인 유니트(3)가 바지 유니트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7004876A 2006-08-14 2007-06-08 바지구조 및 바지구조의 운전방법 KR101415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65510A FI122506B (fi) 2006-08-14 2006-08-14 Proomujärjestelmä, hinaajayksikkö, proomuyksikkö ja menetelmä proomu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FI20065510 2006-08-14
PCT/FI2007/050338 WO2008020114A2 (en) 2006-08-14 2007-06-08 Barge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barge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082A true KR20090051082A (ko) 2009-05-20
KR101415361B1 KR101415361B1 (ko) 2014-08-01

Family

ID=3695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876A KR101415361B1 (ko) 2006-08-14 2007-06-08 바지구조 및 바지구조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41508B2 (ko)
EP (1) EP2051903B1 (ko)
JP (1) JP5268911B2 (ko)
KR (1) KR101415361B1 (ko)
CN (1) CN101500889A (ko)
AT (1) ATE519667T1 (ko)
DK (1) DK2051903T3 (ko)
FI (1) FI122506B (ko)
NO (1) NO338102B1 (ko)
RU (1) RU2462385C2 (ko)
WO (1) WO20080201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4459B2 (en) * 2011-03-02 2014-09-30 Robert H. Perez Tug-barge offshore cargo transport
JP6039684B2 (ja) * 2011-12-05 2016-12-07 ブルー ウェーブ シーオー エス.エー. 天然ガスの充填、保管および船からの取出し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331691A1 (en) * 2011-12-05 2014-11-13 Francesco Nettis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storing and offloading natural gas from a barge
JP2014051229A (ja) * 2012-09-08 2014-03-20 Taisei Engineering Kk 艀と押船との連結体
US10526058B2 (en) * 2017-09-06 2020-01-07 Crowley Technical Services Ballast and de-ballast system and methods
RU2695247C1 (ru) * 2018-07-31 2019-07-22 Валерий Васильевич Харин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вод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CN113636055B (zh) * 2021-09-07 2023-06-23 汇能智联(深圳)科技有限公司 多模态可更换式水上能源补给运输系统
SE2251364A1 (en) * 2022-11-22 2023-12-29 Volvo Penta Corp A marine mobile propul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7327A (en) 1970-06-06 1974-06-19 Kingston Marine Technology Ltd Sea-going vessel
US3735722A (en) * 1971-12-09 1973-05-29 Interstate Oil Transport Co Rigid disconnectable coupling for waterborne vessels
SU451564A1 (ru) * 1972-06-12 1974-11-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556 Шарнирный оцеп дл буксировки судов
US3910219A (en) * 1973-10-05 1975-10-07 Aoki Construction Connecting structure for ocean-going push-barge
SU1643315A1 (ru) * 1988-04-25 1991-04-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109 Буксир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с судов
FI94508C (fi) * 1991-03-18 1995-09-25 Masa Yards Oy Jäätä murtava laiva
US5660131A (en) * 1996-05-10 1997-08-26 Marinette Marine Corp Icebreaker attachment
US6162105A (en) * 1997-04-11 2000-12-19 Den Norske Stats Oljeselskap A.S. Two-part ship for use in oil transport in arctic waters
NO982585L (no) * 1998-06-05 1999-12-06 Navion As System for bruk ved arbeidsoperasjoner til havs, på innsjöer eaalaa
US6182593B1 (en) * 1999-01-20 2001-02-06 Carlos Kountz Wierick Sea going barge train
JP3532832B2 (ja) * 2000-06-05 2004-05-31 日鐵物流株式会社 全喫水対応フィン連結プッシャバージ
GB2412358B (en) * 2001-08-06 2005-12-14 Alstom An electric propulsion unit for ships and the like
NO316066B1 (no) * 2002-04-25 2003-12-08 Winch Bollard As Slepebåt
FI116972B (fi) * 2004-02-09 2006-04-28 Waertsilae Finland Oy Proomusovitelma, proomuyksikkö ja hinaajayksikkö
KR20060039270A (ko) * 2004-11-02 2006-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쇄빙기능을 갖는 선박의 선수부 형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65510A (fi) 2008-02-15
RU2009109211A (ru) 2010-09-27
FI122506B (fi) 2012-02-29
EP2051903A2 (en) 2009-04-29
KR101415361B1 (ko) 2014-08-01
JP2010500229A (ja) 2010-01-07
CN101500889A (zh) 2009-08-05
EP2051903B1 (en) 2011-08-10
FI20065510A0 (fi) 2006-08-14
NO20091076L (no) 2009-04-01
WO2008020114A3 (en) 2008-07-10
US8141508B2 (en) 2012-03-27
WO2008020114A2 (en) 2008-02-21
RU2462385C2 (ru) 2012-09-27
DK2051903T3 (da) 2011-10-17
JP5268911B2 (ja) 2013-08-21
NO338102B1 (no) 2016-08-01
US20100199904A1 (en) 2010-08-12
ATE519667T1 (de) 2011-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1082A (ko) 바지구조 및 바지구조의 운전방법
US3934531A (en)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CA2285955C (en) A two-part ship for use in oil transport in arctic waters
CA2691092A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ice-breaking properties of a water craft and a water craf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method
US8844459B2 (en) Tug-barge offshore cargo transport
US6817914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load from ship-based production and storage units to dynamically positioned tankers
US3698339A (en) Method and means for the water transport of liquids
CN203228917U (zh) 一种高效的定位顶推式开体驳船
CN110949624B (zh) 一种双折角舷侧的破冰船型
US3805729A (en) Means for the water transport of liquids
KR20120133964A (ko) 쇄빙선박의 선형
RU2462386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в ледовых условиях (варианты)
AU9743101A (en) Device for watercraft for the retrieval and launch of floating or submersible objects
CN2923508Y (zh) 引航船型一体化驳船
RU2779970C1 (ru) Судоподъем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нутренних водных путей
JP2637753B2 (ja) 氷のなかを航行可能な船ユニット
CN204726617U (zh) 一种江海联运船
FI128740B (en) Pusher-barge unit, pusher and barge
RU2793995C1 (ru) Буксирно-моторный катер
US3674042A (en) Method of maritime delivery of crude oil through ice-congested regions
US20040206290A1 (en) Combination planing and displacement boat hull
SU1105383A1 (ru) Лихтеровоз
WO2015122781A1 (en) Improved kayak design
KR820002152Y1 (ko) 하역선(荷役船)
JP2003182682A (ja) 超高速船型及び超高速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