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020A -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020A
KR20090050020A KR1020080113559A KR20080113559A KR20090050020A KR 20090050020 A KR20090050020 A KR 20090050020A KR 1020080113559 A KR1020080113559 A KR 1020080113559A KR 20080113559 A KR20080113559 A KR 20080113559A KR 20090050020 A KR20090050020 A KR 2009005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adhesive
protective film
transparent protectiv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205B1 (ko
Inventor
마사시 시나가와
아키코 스기노
유타카 후지타
마사유키 사타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투명 보호 필름에 도포한 경우의 젖음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또한 얻어진 편광판은 고온에서의 내수성을 갖고, 또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로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및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이고, 또한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투명 보호 필름, 젖음성, 편광판, 편광판용 접착제, 아세틸렌 골격, 레벨링제

Description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편광판용 접착제를 사용한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편광판은 이것 단독으로, 또는 이것을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부터 액정 패널 표면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에 편광자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편광자는,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등의 2 색성 재료로 염색을 실시한 후,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를 실시하고, 1 축 연신함으로써 제막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편광자는 연신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수축되기 쉽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친수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가습 조건하에 있어서는 매우 변형되기 쉽다. 또한 필름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필름이 찢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편광자의 양측 또는 편측에 트 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투명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 강도를 보강한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제로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최근의 액정 표시 장치는 용도가 확대되어, 휴대 단말부터 가정용 대형 TV 까지 폭넓게 전개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각 용도에 따라 각각의 규격이 형성되도록 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 용도에서는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한 요구가 매우 엄격하다.     예를 들어 편광판에는, 결로가 발생하는 가습 조건하, 나아가서는 고온의 가습 조건하에 있어서도 특성, 형상이 변화하지 않는 내수성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편광자는, 투명 보호 필름에 의해 강도를 보강한 편광판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에 사용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가교제를 혼합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는 가습 조건하에서는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상기 접착제의 주성분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수용성 고분자로, 결로된 상황하에서는 접착제의 용해가 일어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문제에 대해,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한편, 편광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수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통해 부착할 때에는, 당해 접착제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투명 보호 필름에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 등의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그러나, 투명 보호 필름에 활성화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도 투명 보호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는 활성화 처리가 불충분하고, 충분히 젖음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접착제에 불소계 등의 계면 활성제, 특수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등의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첨가제를 접착제에 혼합하면, 접착성 (특히 내수 접착성) 이 저하되거나 얻어지는 편광판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수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의 적용은,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접착제를 도공한 후에 건조 후 또는 건조시키지 않고 편광자와 부착하는 방법 (프리 도포법), 또는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상기 접착제에 도공하면서 부착하는 방법 (동시 도포법) 이 있다. 그러나, 프리 도포법에서는 양호한 젖음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프리 도포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에서는 불균일이 보인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98945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8191호
본 발명은, 투명 보호 필름에 도포한 경우의 젖음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또한 얻어진 편광판은 고온에서의 내수성을 갖고, 또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편광판용 접착제를 사용한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편광판을 적층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 나아가서는 당해 편광판,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편광판용 접착제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로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및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이고, 또한,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 합물을 함유하는 수분산체 또는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산체는, 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있어서,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아세틸렌글리콜류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사용하는 가교제로는,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사용하는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6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접착제층의 두께가, 10 ∼ 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조제하는 공정,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층을 형성하 는 공정,
편광자와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조제하는 공정,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에 의해, 당해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편광자와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이, 적어도 1 장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 또는 상기 광학 필름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에 추가하여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레벨링제의 작용에 의해 각종 투명 보호 필름에 도포한 경우의 젖음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에 의하면, 프리 도포법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한 경우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편광판의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편광판을 제조할 때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편광판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프리 도포법에서는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 상에 편광판용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 건조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당해 점착제층을 편광자에 부착하는 방법과,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건조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채로 편광자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는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젖음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특히 젖음성이 요구되는 전자의 방법에 있어서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는, 레벨링제로서,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레벨링제를 소정의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젖음성을 확보하면서, 얻어지는 편광판은 고온, 고습하에서도 밀착성을 만족시킬 수 있어, 고온에서의 내수 접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얻어지는 편광판은 레벨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및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나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들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서, 편광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한 편광판용 접착제에서는, 레벨링제를 사용하면 내수성의 저하나 광학 특성의 저하가 많이 관찰되었으나,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에서는, 상기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배합함으로써,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내수성의 저하나 광학 특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 그 유도체 ; 또한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을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트)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성면에서는, 평균 중합도 100 ∼ 5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0 ∼ 4000, 평균 비누화도 85 ∼ 100 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이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디케텐을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켜 두고, 여기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 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미리 용해시켜 두고, 여기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0.1 몰%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0.1 몰% 미만에서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하여 부적당하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40 몰%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7 몰% 이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가 40 몰% 를 초과하면 내수성의 향상 효과가 작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NMR 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가교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 개 갖는 알킬렌디아민류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류 ;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 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탈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 메틸올우레아,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메틸올우레아, 알킬화메틸올화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 또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 가 금속, 또는 3 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나 디알데히드류가 바람직하다.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로는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디알데히드류로는 글리옥살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인 메틸올멜라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로는,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1 ∼ 6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 55 중량부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부이다. 이러한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와 같이 가교제를 1 ∼ 60 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 55 중량부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가교제의 반응이 단시간에 진행되어 접착제가 겔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 시간 (포트 라이프) 이 극단적으로 짧아져, 공업적인 사용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가교제의 배합량은 상기 배합량으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수지 용액은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가교제의 배합량이 많은 경우에도 양호한 안정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레벨링제는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알코올류, 아세틸렌글리콜류를 들 수 있다. 아세틸렌알코올류, 아세틸렌글리콜류는 아세틸렌과 케톤류 또는 알데히드류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상기 아세틸렌알코올류, 아세틸렌글리콜류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이나, 알릴에테르 변성물의 에테르 변성물 등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세틸렌글리콜류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바람직하다.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아세틸렌알코올류, 아세틸렌글리콜류 및 이들의 유도체는 1 종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세틸렌글리콜류 및 그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화합물은 친수성-소수성-친수성의 대상 구조를 하고 있고, 젖음제, 침투제로서 적합하고, 동적 표면 장력, 동적 접촉각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소포성, 탈포성이 높아, 물에 분산되기 쉽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8865297-PAT00001
식 중, R11, R14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12, R15 는 탄소수 1 ∼ 8 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이고, R13, R16 은 수소 원자, 알릴기,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이다. 또한 상기 부가물은 -(AO)n-AOH 로 나타내고, 상기 n 은 1 ∼ 7 의 정수이고, 1 ∼ 5 가 바람직하고, 1 ∼ 3 이 더욱 바람직하다. A 는 에틸렌기 및/또는 프로필렌기이다.
상기 일반식으로 나타내는 아세틸렌글리콜류 및 그 유도체에 있어서, 상기 R11, R14 는 메틸기가 바람직하고, R12, R15 는 탄소수 3 ∼ 5 의 알킬기, 특히 분기쇄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기쇄의 알킬기 중에서도 이소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R13, R16 은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아세틸렌글리콜류 (R13, R16 은 수소 원자인 경우)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2,5,8,11-테트라메틸-6-도데신-5,8-디올,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3,6-디메틸-4-옥틴-3,6-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레벨링제는, 통상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 을 수분산체 또는 수용액으로서 사용한다. 수분산체 또는 수용액 중의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0 ∼ 80 중량% 이다. 나아가서는 20 ∼ 7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0 ∼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체 또는 수용액의 분산매로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매로는, 물 외에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류나 글리콜모노에테르류 등의 다른 분산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분산매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 이외의 분산매를 사용하는 경우로는,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서, 아세틸렌글리콜류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젖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물 이외의 분산매로는 알킬렌글리콜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의 비율 (고형분의 환산값) 로 배합된다.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의 배합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한 젖음성을 확보하고, 또한 얻어지는 편광판의 고온 내수성 및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의 배합 비율은 0.05 ∼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3 ∼ 4 중량부, 나아가서는 0.4 ∼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의 배합 비율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편광판의 고온 내수성 및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한편,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의 배합 비율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젖음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고, 또한 프리 도포법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한 경우에, 얻어지는 편광판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및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으로서, 통상 수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수지 용액 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도공성이나 방치 안정성 등을 고려하면, 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 이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5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트 라이프가 짧아질 우려가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인 수지 용액의 조제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적절히 농도를 조제한 것에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배합함으로써, 수지 용액이 조제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거나 가교제의 배합량이 많은 경우에는, 용액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혼합한 후에, 가교제를, 얻어지는 수지 용액의 사용 시기 등을 고려 하면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용 접착제인 수지 용액의 농도는 수지 용액을 조제한 후에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편광판용 접착제에는, 각종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편광판용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제조한다. 얻어진 편광판에서는, 편광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 상기 편광판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투명 보호 필름, 편광자 중 어느 것에 실시해도 되고, 양자에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건조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가 10 ∼ 300㎚ 정도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균일한 면내 두께를 얻는 것과 충분한 접착력을 얻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00㎚ 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접착제 용액의 고형분 농도나 접착제의 도포 장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층 두께의 측정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이나,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에 의한 단면 관찰 측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접착제의 도포 조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롤법, 분무법, 침지법 등의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는 프리 도포법에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프리 도포법 중에서도, 투명 보호 필름 상에 편광판용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 건조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당해 점착제층을 편광자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산 효율이 높아지는 점이 양호하다. 종래에는, 프리 도포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접착제의 젖음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편광판에서는 불균일이 관찰되었으나, 본 발명의 접착제에 의하면, 프리 도포법을 채용한 경우에도 얻어지는 편광판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프리 도포법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를 용액 상태에서 편광자 및/또는 투명 보호 필름에 도포하고, 그 후,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을 부착한 후에 건조 공정을 실시하고, 도포 건조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있어서의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부착은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부착 후의 건조 공정의 건조 온도는 5 ∼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 ∼ 120℃ 이고, 120 초간 이상, 나아가서는 300 초간 이상이다.
또한 프리 도포법,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투명 보호 필름 상에 도포한 후, 건조에 의해 투명 보호 필름 상에 도포 건조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하여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부착은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 등의 2 색성 재료를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편차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 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 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는, 통상 투명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되는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 종류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더욱 바 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이하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갖는 고투명성 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페닐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위상차가 작고, 광탄성 계수가 작기 때문에 편광판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투습도가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면에서 1 ∼ 500㎛ 정도이다.     특히 1 ∼ 300㎛ 가 바람직하고, 5 ∼ 2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의 양측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 표리에서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및 (메트)아크릴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 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는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어, 입수 용이성이나 코스트면에서도 유리하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의 시판품의 예로는, 후지필름사 제조의 상품명 「UV-50」, 「UV-80」, 「SH-80」, 「TD-80U」, 「TD-TAC」, 「UZ-TAC」나, 코니카사 제조의 「KC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는, 면내 위상차 (Re) 는 거의 제로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 60㎚ 정도를 갖고 있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작은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셀룰로오스 수지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제를 도공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스테인리스 등의 기재 필름을 일반적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부착하여 가열 건조 (예를 들어 80 ∼ 150℃ 에서 3 ∼ 10 분간 정도) 시킨 후, 기재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 노르보르넨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시클로펜타논,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제에 용해시킨 용액을 일반적인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에 도공하여 가열 건조 (예를 들어 80 ∼ 150℃ 에서 3 ∼ 10 분간 정도) 시킨 후, 도공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작은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으로는, 지방 치환도를 제어한 지방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서는 아세트산 치환도가 2.8 정도인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치환도를 1.8 ∼ 2.7 로 제어함으로써 Rth 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치환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디부틸프탈레이트, p-톨루엔술폰아닐리드,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등의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Rth 를 작게 제어할 수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지방산 셀룰로오스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부이다.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르넨계 수지이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이 중합 단위로서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0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48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213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 그 공중합체 (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시킨 그래프트 중합체, 그리고 그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의 구체예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예로는, 니혼 제온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제오넥스」, 「제오노아」, JSR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아톤」, TICONA 사 제조의 상품명 「토파스」,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APEL」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 가 115℃ 이상임으로써, 편광판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부터는, 면내 위상차 (R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거의 제로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온 주식회사 제조의 아크리펫 VH 나 아크리펫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0296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트)아크릴 수지계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2 축 연신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화학식 2) 으로 나타내는 고리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78865297-PAT00002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 20 의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락톤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 이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락톤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이 5 중량% 보다 적으면, 내열성, 내용제성, 표면 경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화학식 1) 으로 나타내는 락톤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이 90 중량% 보다 많으면, 성형 가공성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 500000 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면, 성형 가공성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Tg 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 가 115℃ 이상인 점에서, 예를 들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판에 삽입한 경우에,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품의 ASTM-D-1003 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투명성의 기준으로서, 전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투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정면 위상차가 40㎚ 미만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가 80㎚ 미만인 것이 통상 사용된다.     정면 위상차 Re 는 Re = (nx - ny) × d 로 나타낸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Rth = (nx - nz) × d 로 나타낸다.     또한, Nz 계수는 Nz = (nx - nz)/(nx - ny) 로 나타낸다.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 는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필름면 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은, 가능한 한 착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이 -90㎚ ∼ +75㎚ 인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 (Rth) 이 -90㎚ ∼ +75㎚ 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투명 보호 필름에서 기인하는 편광판의 착색 (광학적인 착색) 을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값 (Rth) 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60㎚, 특히 -70㎚ ∼ +45㎚ 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정면 위상차가 40㎚ 이상 및/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가 80㎚ 이상인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정면 위상차는, 통상 40 ∼ 200㎚ 의 범위로, 두께 방향 위상차는, 통상 80 ∼ 300㎚ 의 범위로 제어된다.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위상차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위상차판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위상차판으로는, 고분자 소재를 1 축 또는 2 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 150㎛ 정도가 일반적이다.
고분자 소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이들의 2 원계, 3 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 (연신 필름) 이 된다.
액정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의 직선 형상 원자단 (메소겐) 이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도입된 주쇄형이나 측쇄형의 각종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주쇄형의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로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의, 예를 들어 네마틱 배향성의 폴리에스테르계 액정성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쇄형의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 트 또는 폴리말로네이트를 주쇄 골격으로 하고, 측쇄로서 공액성의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를 통해 네마틱 배향 부여성의 파라 치환 고리형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 폴리머는, 예를 들어 유리판 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 처리한 것, 산화규소를 사방 증착한 것 등의 배향 처리면 상에 액정성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절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위상차판은 nx = ny > nz, nx > ny > nz, nx > ny = nz, nx > nz > ny, nz = nx > ny, nz > nx > ny, nz > nx = n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각종 용도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된다.     또한, ny = nz 란, ny 와 nz 가 완전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ny 와 nz 가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x > ny > nz 를 만족시키는 위상차판에서는, 정면 위상차는 40 ∼ 100㎚, 두께 방향 위상차는 100 ∼ 320㎚, Nz 계수는 1.8 ∼ 4.5 를 만족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x > ny = nz 를 만족시키는 위상차판 (포지티브 A 플레이트) 에서는, 정면 위상차는 100 ∼ 200㎚ 를 만족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z = nx > ny 를 만족시키는 위상차판 (네거티브 A 플레이트) 에서는, 정면 위상차는 100 ∼ 200㎚ 를 만족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x > nz > ny 를 만족시키는 위상차판에서는, 정면 위상차는 150 ∼ 300㎚, Nz 계수는 0 을 초과 ∼ 0.7 을 만족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nx = ny > nz, nz > nx > ny 또는 nz > nx = ny 를 만족시키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은, 적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 (Vertical Alignment, MVA, PVA 를 포함한다) 의 경우에는, 편광판의 적어도 편방 (셀측) 의 투명 보호 필름이 위상차를 갖고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위상차로서 Re = 0 ∼ 240㎚, Rth = 0 ∼ 50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차원 굴절률로 말하면, nx > ny = nz, nx > ny > nz, nx > nz > ny, nx = ny > nz (포지티브 A 플레이트, 2 축, 네거티브 C 플레이트) 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VA 형으로는, 포지티브 A 플레이트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의 조합, 또는 2 축 필름 1 장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셀의 상하에 편광판을 사용할 때, 액정 셀의 상하 모두에 위상차를 갖고 있거나, 또는 상하 중 어느 하나의 투명 보호 필름이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IPS (In-Plane Switching, FFS 포함) 의 경우, 편광판의 편방의 투명 보호 필름이 위상차를 갖고 있는 경우,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차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 셀의 상하 (셀측) 모두에 위상차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바람직하다.     위상차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액정 셀의 상하 모두에 위상차를 갖고 있는 경우, 상하 중 어느 하나가 위상차를 갖고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측에 nx > nz > n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2 축 필름, 하측에 위상차가 없는 경우나, 상측에 포지티브 A 플레이트, 하측에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경우). 위상차를 갖고 있는 경우, Re = -500 ∼ 500㎚, Rth = -500 ∼ 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3 차원 굴절률로 말하면, nx > ny = nz, nx > nz > ny, nz > nx = ny, nz > nx > ny (포지티브 A 플레이트, 2 축, 포지티브 C 플레이트) 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상차를 갖는 필름은, 위상차를 갖지 않는 투명 보호 필름에 별도로 부착하여 상기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와 접착하는 면에는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접착 용이 처리로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의 드라이 처리, 알칼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화학 처리, 접착 용이제층을 형성하는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 용이제층을 형성하는 코팅 처리나 알칼리 처리가 바람직하다.     접착 용이제층의 형성에는, 폴리올 수지, 폴리카르복실산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각종 접착 용이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용이제층의 두께는, 통상 0.001 ∼ 10㎛ 정도, 나아가서는 0.001 ∼ 5㎛ 정도, 특히 0.001 ∼ 1㎛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하드 코트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흠집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절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티킹 방지 처리는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안티글레어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의 저해를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스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5 ∼ 20㎛ 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을 가질 수도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일반적으로 2 ∼ 70 중량부 정도이고, 5 ∼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시켜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 름과는 별체인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실용시에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시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을 1 층 또는 2 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혹은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으로,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쉽다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 투명 보호층 등을 개재하여 편광판의 편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설하는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투명 보호 필름의 편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투명 보호 필름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로 하고, 그 위에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을 갖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상기한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거림을 방지하고,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 미립자 함유의 투명 보호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것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 불균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갖고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 방식, 이온 플레이팅 방식, 스퍼터링 방식 등의 증착 방식이나 도금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금속을 투명 보호층의 표면에 직접 부설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반사판은 상기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에 직접 부여하는 방식 대신에, 그 투명 필름에 준한 적절한 필름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층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반사면이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판 등으로 피복된 상태의 사용 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 방지, 나아가서는 초기 반사율의 장기 지속면이나, 보호층의 별도 부설의 회피면 등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 있어서 반사층에서 광을 반사하고, 또한 투과하는 하프미러 등의 반투과형의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측 (裏側) 에 형성되며,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백사이드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 광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 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 사용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 하에서도 내장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혹은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위상차판 등이 사용된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판으로는, 이른바 1/4 파장판 (λ/4 판이라고도 한다) 이 사용된다.     1/2 파장판 (λ/2 판이라고도 한다) 은, 통상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수퍼 트위스트 네마틱 (STN) 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발생한 착색 (청 또는 황) 을 보상 (방지) 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한, 3 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발생하는 착색도 보상 (방지)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화상이 컬러 표시가 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조정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또한 반사 방지의 기능도 갖는다.     상기한 위상차판의 구체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이나 그 밖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와 같은 적절한 폴리머로 이루 어지는 필름을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이나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절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타원 편광판이나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적절한 조합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조합이 되도록 그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미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각 보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닌 약간 경사진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필름이다. 이러한 시각 보상 위상차판으로는,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 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위상차판은 그 면 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것에 대해,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판에는 면 방향으로 2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나, 면 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 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 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에 열 수축 필름을 접착하여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하에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이나, 액정 폴리머를 경사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소재 원료 폴리머는, 앞서 위상차판에서 설명한 폴리머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에 기초하는 시인각의 변화로 인한 착색 등의 방지나 시인이 양호한 시야각의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인이 양호한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는 점 등에서,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폴리머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이방성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지지한 광학 보상 위상차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부착한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측 (裏側) 사이드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 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된다.     이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그 뒤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 셀의 이측으로부터 편광자를 통해 광을 입사시킨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축에 일치하지 않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자에 흡수되어 편광자를 투과해 오지 않는다.     즉, 사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대략 50% 의 광이 편광자에 흡수되고, 그 만큼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되어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에서 일단 반사시키고, 다시 그 뒤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이 된 편광만을, 휘도 향상 필름은 투과시켜 편광자에 공급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확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 반사된 편광 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을 향하는데,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가 된다.     즉, 확산판은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린다.     이 비편광 상태, 즉 자연광 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하고,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되고,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밝기의 불균일을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첫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횟수가 알맞게 증가하여,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더불어 균일한 밝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 중 어느 일방의 원 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맞추어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점에서 그 원 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파장 550㎚ 의 담색광에 대해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를 들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 층 또는 2 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이한 것의 조합으로 하여 2 층 또는 3 층 이상 중첩한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 영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 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그에 기초하여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원 편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상기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 층 또는 3 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데, 미리 적층하여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층 등의 적절한 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이나 그 밖의 광학 필름의 접착시에, 그들의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전술한 편광판이나, 편광판이 적어도 1 층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름에는, 액정 셀 등의 타부재와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추가하여,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이나 박리 현상의 방지, 열팽창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나 액정 셀의 휨 방지, 나아가서는 고품질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성 등의 면에서, 흡습율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층이 바람직하다.
점착층은, 예를 들어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특히 점착성 부여 수지나, 유리 섬유, 유리 비드, 금속분,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나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의 점착층에 첨가되는 경우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층 등이어도 된다.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으로의 점착층의 부설은,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적절한 용제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매에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10 ∼ 40 중량% 정도의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유연 방식이나 도공 방식 등의 적절한 전개 방식으로 편광판 상 또는 광학 필름 상에 직접 부설하는 방식, 또는 상기에 준하여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그것을 편광판 상 또는 광학 필름 상에 이착 (移着) 하는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은, 상이한 조성 또는 종류 등인 것의 중첩층으로서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편광판이나 광학 필름의 표리에서 상이한 조성이나 종류나 두께 등의 점착층으로 할 수도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 ∼ 500㎛ 이고, 1 ∼ 200㎛ 가 바람직하고, 특히 1 ∼ 100㎛ 가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제공될 때까지의 동안에, 그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가 임시 장착되어 커버된다.     이로써, 통례의 취급 상태에서 점착층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상기 두께 조건을 제외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직물,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薄葉體) 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쇄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절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의, 종래에 준한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편광판을 형성하는 편광자나 투명 보호 필름이나 광학 필름 등, 또한 점착층 등의 각 층에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하게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삽입하는 등에 의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 형이나 STN 형, π 형 등의 임의의 타입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에 대해 설명한 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발광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다양한 유기 박막의 적층체로서,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의 적층체나, 혹은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나, 혹은 이들의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다양한 조합을 가진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가 형광 물자 (物資) 를 여기시키고, 여기된 형광 물질이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광을 방사한다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커니즘은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동일하고, 이 점에서도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와 발광 강도는 인가 전압에 대해 정류성을 수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층에서의 발광을 취출하기 위해 적어도 일방의 전극이 투명해야 하고, 통상 산화인듐주석 (ITO) 등의 투명 도전체로 형성한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극에 일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 Mg-Ag, Al-Li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유기 발광층은 두께 10㎚ 정도로 매우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발광층도 투명 전극과 동일하게 광을 거의 완전하게 투과한다.     그 결과, 비발광시에 투명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하고,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투명 기판의 표면측으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시인하였을 때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경면처럼 보인다.
전압의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표면측에 투명 전극을 구비함과 함께, 유기 발광층의 이면측에 금속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 전극의 표면측에 편광판을 형성함과 함께, 이들 투명 전극과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판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판 및 편광판은, 외부로부터 입사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어 온 광을 편광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그 편광 작용에 의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외부로부터 시인시키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상차판을 1/4 파장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을 π/4 로 조정하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즉,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외부광은, 편광판에 의해 직선 편광 성분만이 투과된다.     이 직선 편광은 위상차판에 의해 일반적으로 타원 편광이 되는데, 특히 위상차판이 1/4 파장판이고 나아가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이 π/4 일 때에는 원 편광이 된다.
이 원 편광은 투명 기판, 투명 전극, 유기 박막을 투과하고,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고, 다시 유기 박막, 투명 전극, 투명 기판을 투과하여 위상차판에 다시 직 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판의 편광 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 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예 중, 부 및 %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편광자)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의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시켜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중량비 = 0.5/8) 의 농도 0.3% 의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3.5 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하였다.     그 후, 65℃ 의 붕산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토탈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하였다.     연신 후에, 40℃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시켜 편광자를 얻었다.
(투명 보호 필름)
일방의 투명 보호 필름 1 로서, 두께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하였다. 다른 일방의 투명 보호 필름 2 로서, 두께 70㎛ 의 2 축 연신을 실시한 노르보르넨계 필름 (니혼 제온 (주) 제조, 제오노아) 을 사용하였다.
(접착제의 조제)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평균 중합도 : 1200, 비 누화도 : 98.5 몰%, 아세토아세틸화도 : 5 몰%) 100 부에 대해, 메틸올멜라민 35 부,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 (닛신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상품명 오르핀 EXP4123, 고형분 농도 40%, 분산매로서, 중량비로 물/프로필렌글리콜 = 10/50 을 함유) 0.15 부를 30℃ 의 온도 조건하에서 순수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 로 조정한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편광판의 제조)
상기 2 종류의 투명 보호 필름 1, 2 각각의 편면에, 상기 접착제를 건조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가 100㎚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접착제의 도포는, 그 조제로부터 30 분간 후에 30℃ 의 온도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 보호 필름을 90℃ 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을 2 장 얻었다. 이들 2 장의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롤기로 부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4, 비교예 1 ∼ 5
실시예 1 에 있어서, 접착제의 조제에 있어서,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성분의 종류, 사용 비율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또한, 얻어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 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 2 로서, 두께 70㎛ 의 2 축 연신을 실시한 노르보르넨계 필름 대신에 두께 40㎛ 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미츠비시 레이온 (주) 제조, 아크리펫 VH)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 등에 대해 하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편광판의 불균일)
각 예에 있어서, 얻어진 편광판에 대해 그 상태에서 보이는 불균일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 확인하였다.
◎ : 얻어진 편광판에는, 불균일이 암실 내에서도 보이지 않고, 화상 표시 불량이 없다.
○ : 얻어진 편광판에는, 불균일을 암실 내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화상 표시 불량이 없다.
× : 얻어진 편광판에는, 불균일을 확인할 수 있고, 화상 표시에 영향이 있다.
또한, 편광판의 불균일은 표면 형상 측정 장치 (WYKO NT3300, 마츠시타 테크노 트레이딩 (주) 제조) 에 의해 측정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링 모양의 형상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육안에 있어서 「×」로 평가할 수 있다.
(온수 접착력)
편광판을,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50㎜, 흡수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25㎜ 가 되도록 잘라내어 샘플을 조제하였다. 당해 샘플을 60℃ 의 온수에 침지시키고, 시간 경과와 함께 샘플의 단부가 박리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광학 특성 : 투과율의 변화량)
얻어진 편광판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50㎜ × 25㎜ 의 크기로, 편광판의 흡수축이 장변에 대해 45˚ 가 되도록 샘플을 잘라내고, 적분구식 투과율 측정기 ((주) 무라카미 색채 연구소 제조 : DOT-3C) 를 사용하여 단체 투과율 (%) 을 측정하였다. 단체 투과율 (%) 의 변화량은, 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직후의 편광판의 단체 투과율 (T1) 은, 모두 42.5% 이었다. 또한, 편광판을 제조한 후, 500 시간 경과한 후의 단체 투과율 (T2) 을 측정하였다. 단체 투과율의 변화량은 T2/T1 이다. 상기 변화량이 ±3% 인 경우를 ◎, ±5% 인 경우를 ○, ±10% 인 경우를 × 로 하여 표 1 에 나타낸다.
편광판용의 투명 보호 필름 레벨링제 평가
투명 보호 필름 1 투명 보호 필름 2 종류 배합량 (부) 편광판의 불균일 온수 접착력 (시간) 투과율의 변화량 (%)
실시예 1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0.15 24 시간 이상
실시예 2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0.5 24 시간 이상
실시예 3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3 24 시간 이상
실시예 4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7 7 시간
실시예 5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아크릴계 아세틸렌계 0.5 24 시간 이상
비교예 1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0 × 7 시간
비교예 2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0.05 × 7 시간
비교예 3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아세틸렌계 12 2 시간 ×
비교예 4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불소계 0.5 5 시간 ×
비교예 5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노르보르넨계 실리콘계 0.5 × 24 시간 이상 ×
또한, 표 1 중의 레벨링제에 대해,
아세틸렌계는,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 (닛신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상품명 오르핀 EXP4123, 고형분 농도 40%, 분산매로서 중량비로 물/프로필렌글리콜 = 10/50 을 함유),
불소계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상품명 메가팩 F-443, 고형분 농도 100%),
실리콘계는, 빅 케미·재팬 (주) 제조의 상품명 BYK-345 를 나타낸다.
표 1 로부터,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편광판은 프리 도포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나, 불균일이 관찰되지 않고,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접착제는 각 투명 보호 필름 상으로의 도포가 양호하고, 상기 접착제는 각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한 양호한 젖음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편광판은 고온에서의 내수 접착력이 양호하고, 또한 광학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불균일에 관한 평가에 있어서 「×」로 평가된 경우의 일례이다.

Claims (13)

  1.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로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가교제 및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레벨링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이고, 또한,
    상기 레벨링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1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분산체 또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체가, 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아세틸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아세틸렌글리콜류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7.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의 배합량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8.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용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의 두께가, 10 ∼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0.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용 접착제를 조제하는 공정,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편광자와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용 접착제를 조제하는 공정,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에 의해, 상기 투명 보호 필름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
    편광자와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이, 적어도 1 장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3.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이 사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0113559A 2007-11-14 2008-11-14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030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95834 2007-11-14
JP2007295834A JP4603572B2 (ja) 2007-11-14 2007-11-14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020A true KR20090050020A (ko) 2009-05-19
KR101030205B1 KR101030205B1 (ko) 2011-04-22

Family

ID=4033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559A KR101030205B1 (ko) 2007-11-14 2008-11-14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09578B2 (ko)
EP (1) EP2060612A1 (ko)
JP (1) JP4603572B2 (ko)
KR (1) KR101030205B1 (ko)
CN (1) CN101692133B (ko)
TW (1) TWI4069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8529B2 (ja) * 2008-11-12 2012-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399296B (zh) * 2009-10-28 2013-06-21 Innolux Corp 光學膜片組及其製造方法
JP5316607B2 (ja) * 2010-08-11 2013-10-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シール材
JP2012224802A (ja) * 2011-04-22 2012-11-15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5975625B2 (ja) * 2011-11-21 2016-08-2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560216B1 (ko) * 2012-12-27 2015-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형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855959B1 (ko) 2014-09-30 2018-05-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6716196B (zh) 2014-09-30 2018-08-03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膜的制造方法
KR102567394B1 (ko) 2014-09-30 2023-08-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JP6077620B2 (ja) 2014-09-30 2017-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2016139006A (ja) * 2015-01-27 2016-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表示素子の前面板、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の基板、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KR101780540B1 (ko) 2015-02-16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456710B2 (ja) * 2015-02-16 2019-01-23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936009B2 (ja) * 2017-01-20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WO2019117302A1 (ja) * 2017-12-15 2019-06-20 株式会社Dnpファインケミカル 水系仮止め接着剤及び水系仮止め接着剤の製造方法、並びに該水系仮止め接着剤を用いた各種部材又は部品の製造方法
EP4052898A4 (en) * 2019-10-31 2022-11-23 Lg Chem, Ltd. POLARIZATION PLATE LAMINATE AND METHOD FOR PREPARING IT
USD990566S1 (en) 2020-08-12 2023-06-27 Shutterfly, Llc Display panel
US11138910B1 (en) * 2020-08-12 2021-10-05 Shutterfly, Llc Repositionable display panel
CN115746748A (zh) * 2021-09-03 2023-03-07 恒美光电股份有限公司 黏着组合物、粘接膜及接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4056A (en) * 1982-08-16 1987-09-1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repared by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ethoxylated acetylenic tertiary glycol
JP2825157B2 (ja) 1988-03-22 1998-11-18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重合体の製造方法
JP2881751B2 (ja) 1989-03-10 1999-04-12 三井化学株式会社 メッキ用組成物およびメッキ物
JP2712643B2 (ja) 1989-10-06 1998-02-16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成形品
JPH07198945A (ja) 1993-12-27 1995-08-0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
JP4953494B2 (ja) 1998-12-09 2012-06-13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性耐熱樹脂成形材料、そ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US6864395B2 (en) * 1999-05-04 2005-03-0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cetylenic diol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adduct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US6313182B1 (en) * 1999-05-04 2001-11-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cetylenic diol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adduct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WO2001037007A1 (fr) 1999-11-12 2001-05-25 Kaneka Corporation Film transparent
JP4769348B2 (ja) 1999-11-26 2011-09-07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性耐熱樹脂の製造方法
JP2001343529A (ja) 2000-03-30 2001-12-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14080B2 (ja) 2000-10-18 2010-02-10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熱可塑性樹脂積層体
JP4703869B2 (ja) 2001-03-05 2011-06-15 株式会社日本触媒 熱可塑性樹脂積層体
JP2004070296A (ja) 2002-06-14 2004-03-04 Toray Ind Inc 偏光板保護シートおよび偏光板
US6641986B1 (en) * 2002-08-12 2003-11-0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cetylenic diol surfactant solu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5010760A (ja) * 2003-05-26 2005-01-13 Nitto Denko Corp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749348B2 (en) * 2003-09-30 2010-07-06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viewing display
JP4340128B2 (ja) 2003-11-13 2009-10-07 株式会社日本触媒 ラクトン環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JP2006178191A (ja) 2004-12-22 2006-07-06 Jsr Corp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フィルム
DE602007005987D1 (de) 2006-02-24 2010-06-02 Nippon Synthetic Chem Ind Harzzusammensetzung und ihre verwendung
JP2007308588A (ja) * 2006-05-18 2007-11-29 Dainippon Ink & Chem Inc プラスチック基材用水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偏光板
JP4846685B2 (ja) * 2007-09-25 2011-12-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2401A1 (en) 2009-05-14
CN101692133A (zh) 2010-04-07
US7709578B2 (en) 2010-05-04
TWI406923B (zh) 2013-09-01
KR101030205B1 (ko) 2011-04-22
CN101692133B (zh) 2012-02-22
TW200927874A (en) 2009-07-01
EP2060612A1 (en) 2009-05-20
JP2009120711A (ja) 2009-06-04
JP4603572B2 (ja)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205B1 (ko)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06594B1 (ko)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화상 표시 장치
KR100888572B1 (ko)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101164474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882168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JP4686512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161600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22489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61601B1 (ko)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90084887A (ko) 연결 조합형 광학 필름, 액정 패널, 화상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05109051A1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67083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90096301A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편광자,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표시 장치
KR10081430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0043158A (ja)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882169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80045607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80039233A (ko) 조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 장치, 조합형 광학필름,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적층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4594290B2 (ja)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042457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03833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244863A (ja) 偏光子、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