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710A - 롤지 공급 기구 및 롤지 프린터 - Google Patents

롤지 공급 기구 및 롤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710A
KR20090046710A KR1020080108880A KR20080108880A KR20090046710A KR 20090046710 A KR20090046710 A KR 20090046710A KR 1020080108880 A KR1020080108880 A KR 1020080108880A KR 20080108880 A KR20080108880 A KR 20080108880A KR 20090046710 A KR20090046710 A KR 2009004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paper
pressing member
side wall
pap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056B1 (ko
Inventor
마사히코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2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0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web roll being unw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7Supporting web roll on its outer circumference
    • B65H2301/41372Supporting web roll on its outer circumference rollers or balls arrangement
    • B65H2301/41374Supporting web roll on its outer circumference rollers or balls arrangement arranged in a stationary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65H2403/411Double rack cooperating with one pinion, e.g. for performing symmetrical displacement relative to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롤지 공급 기구는 롤지 공급 기구(10) 또는 롤지의 지폭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적절하게 롤지를 수납하고 있다. 롤지 프린터(1)의 롤지 공급 기구(10) 내의 제 1 측벽(41)이 수납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지 수납부(11)의 수납 폭이 조정되면, 제 1 측벽(41)에 배치된 롤지 가압 부재(46)가 돌출 위치(46A)와 퇴피 위치(46B) 사이의 중립 위치(46C)에 유지된다. 조정 후에, 롤지 가압 부재(46)는 돌출 방향과 퇴피 방향으로 여전히 소정 범위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양 방향으로의 이동범위는 수납된 롤지의 지폭과 롤지 공급 기구(10)의 편차를 완화시킨다. 따라서, 롤지 공급 기구는 유극 없이 적절한 압력으로 롤지(12)를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롤지 공급 기구 및 롤지 프린터{ROLL PAPER SUPPLY MECHANISM AND ROLL PAPER PRINTER}
본 발명은 롤지를 수납하기 위한 롤지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지 수납부로부터 프린터의 프린팅 유닛으로 연속적인 프린팅 종이를 공급하는 롤지 공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되는 롤지의 지폭에 따라 롤지 수납부의 수납 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롤지 공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영수증 등을 발행하는 롤지 프린터에서는, 기록 매체로서 연속적인 프린팅 종이를 롤 형상으로 둘러감은 롤지가 이용된다. 이러한 롤지 프린터에 사용되는 롤지 공급 기구의 한 종류로, 종이 공급 롤이 장전되고 상측으로부터 장전되고, 롤지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는 투입식(drop-in type) 롤지 수납부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6-44900 호에는 롤지 수납부의 수납 폭을 규정하는 좌우의 측벽을 이동시킴으로써 롤지 수납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타입의 롤지 공급 기구가 교시되어 있다.
투입식의 롤지 수납부에서는, 롤지의 관성 부하 및 롤지와 롤지 수납부 저면 사이의 마찰은 롤지를 회전시켜서 롤지 수납부로부터 종이를 급송하기 위해 극복되 어야만 한다. 롤지는 종이 전송부에 배치된 종이 반송 롤러를 구동함으로써 공급된다. 롤지 공급 롤러 상의 종이 전송 부하는 종이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게 되고, 종이 반송 롤러와 종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종이 전송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종이 전송 부하를 감소시키고 종이를 정밀하게 이송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7-203563 호에는, 롤지 수납부의 바닥에 롤지를 공급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급송 롤러를 구비한 롤지 공급 기구가 교시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롤지 공급 기구에서는, 롤지 수납부의 측벽이 이동할 수 있다. 롤지 수납부의 측벽은 수납된 롤지의 지폭에 대응하는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하여 수납 폭을 조정한다. 그러나, 롤지의 지폭에는 편차가 있기 때문에, 이 편차를 고려해서 수납 폭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조정 후의 수납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측벽은 수납된 롤지의 단부에 강하게 가압된다. 이 결과, 롤지로부터 프린팅 종이를 연속 투입하기 위해서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롤지 프린터의 종이 반송 롤러에 작용하는 종이 전송 부하가 과잉이 되어, 예를 들어, 롤지로부터 프린팅 종이를 급송하기 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조정 후의 수납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롤지가 롤지 수납부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롤지가 종이 전송 경로로 급송될 때 사행하게 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롤지 수납부에 급송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송 롤러는 일반적으로 마찰 계수가 높은 러버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급송 롤러에 접촉하고 측벽을 이동시키면서 롤지를 측방향으로 즉, 롤지 수납부의 폭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롤지가 롤지 수용부에 배치되고 폭을 조정하기 위해 측벽을 이동시킬 때, 롤지는 롤지와 다른 부품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가압되어야 한다.
또한, 롤지가 급송 롤러 상에 있고 종이 롤이 일측부로 이동하면, 롤지 수납부의 측벽으로부터의 측압에 더해져 롤이 이동할 때 급송 롤러와의 마찰로부터의 측압이 작용하여, 롤지로부터 프린팅 종이를 공급하는 데에 필요한 종이 전송 부하가 과잉이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롤지 공급 기구에 의하면, 롤지의 지폭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롤지가 적절한 측압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 폭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롤지 공급 기구에 의하면, 급송 롤러를 사용할 경우에도, 적절한 측압 상태로 롤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 폭을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롤지 공급 기구는 롤지를 수납하기 위한 롤지 수납부와, 상기 롤지 수납부의 일측을 규정하고, 이동할 수 있는 제 1 측벽과, 상기 롤지 수납부의 타측을 규정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을 로킹시키는 로 크 기구(lock mechanism)와, 상기 롤지를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가압하는 롤지 가압 부재와, 상기 로크 기구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소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지 공급 기구는 로크 기구를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로킹이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로크 레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롤지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소정량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유지 기구는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로크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되는 롤지와 다른 지폭을 가진 롤지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롤지 공급 기구에 장전되면, 로크 레버는 제 1 측벽이 이동할 수 있도록 로킹 해제 위치로 조작된다. 이어서, 제 1 측벽은 저장되는 롤지의 지폭에 대응하는 수납폭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로크 레버는 다시 조작되어 제 1 측벽을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로킹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로크 레버가 이러한 수납폭 조정 작업에서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유지 기구는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 측으로 퇴피된 위치에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롤지는 롤지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자는 실질적으로 지폭에 상응하는 위치에 정지할 때까지 제 1 측벽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롤지 가압 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한다면, 이러한 가압력으로 인하여 조작자는 제 1 측벽이 정지부를 만났다고 생각할 수 있고, 잘못된 지폭 위치에 제 1 측벽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 1 측벽을 이동시킨 후에, 로크 레버가 로킹 위치로 복귀한다면, 제 1 측벽은 유지되고, 롤지 가압 부재와 유지 기구에 의해 해제되는 롤지 가압 부재는 돌출 위치로 가압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제 1 측벽이 이동하고, 롤지가 배치되더라도, 롤지 공급 기구의 편차와 조작자가 로크 레버를 복귀시킬 때의 미끄러짐은 롤지와 제 1 측벽 또는 제 2 측벽 사이의 약간의 간극을 생성시킬 수 있고, 롤지는 비스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롤지의 지폭의 변화의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롤지 가압 부재는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힘으로 롤지를 일측부의 벽으로 밀어서 롤지를 배치한 후의 이러한 유극을 제거한다.
또한, 롤지의 에지는 일측부의 벽과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롤지가 이송될 때 롤지가 비스듬하게 이동하거나, 사행하거나, 또는 비뚫어지게 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롤지 가압 부재의 범위가 롤지의 지폭 편차 또는 롤지 공급 기구의 변경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된다면, 롤지 가압 부재는 수납된 롤지의 지폭에 변화가 있더라도 수납폭 방향으로 적절한 측압을 계속 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로크 레버에 형성된 레버측 결합부와, 상기 롤지 가압 부재에 배치된 가압 부재측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크 레버가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레버측 결합부는 가압 부재측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 시킨다.
이러한 연동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롤지 가압 부재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사이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 중앙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폭이 더 좁거나 넓어도 롤지의 지폭의 변화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제 2 측벽은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연동 기구는 상기 제 1 측벽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제 1 측벽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측벽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측벽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측벽을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롤지 공급 기구는 상기 롤지 수납부에 수납된 롤지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롤지를 공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급송 롤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급송 롤러는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축과,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축에 부착되는 롤러 본체를 포함한다.
롤지가 급송 롤러 상에 있고 제 1 측벽이 이동하여 수납폭을 조정하면, 롤지는 급송 롤러와 마찰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급송 롤러와 롤지 사이의 마찰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이 제 1 측벽에 가해져야만 다른 제 2 측벽으로 롤지를 이동시켜서, 롤지를 측방향 유극없이 수납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롤러 본체는 롤지 수납부에 대한 폭방향으 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롤러 본체는 롤지가 롤지 수납부에 대한 폭방향으로 이동할 때 롤지와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롤지는 롤지 수납부에 대한 폭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롤지 수납부의 폭방향으로의 롤지 가압 부재의 이동과 상기 롤러 본체의 슬라이딩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술한 롤지 공급 기구를 구비하는 롤지 프린터이다. 이로 의하여 다양한 지폭의 롤지가 장전될 때 인쇄 위치의 기울어짐과 사행 및 종이 전송 부하의 증가에 의해 유발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위치가 더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롤지 프린터에 있어서 결함있는 롤지 전송에 의해 유발되는 인쇄 품질의 저하가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롤지 공급 기구의 제 1 측벽이 수납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지 수납부의 종이 수납폭을 조정하면, 제 1 측벽에 배치된 롤지 가압 부재가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은 실질적으로 그 사이에 롤지가 유지된 상태에서 지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에 있어서 롤지 가압 부재의 이동 차이(이동 범위)를 남겨둔다. 그러나, 약간의 간극이 롤지와 제 1 측벽 또는 제 2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롤지의 지폭 또는 롤지 공급 기구에 변화가 있다면, 또는 조작자가 로크 레버를 복귀시킬 때에 변동이 있다면, 롤지는 비스듬히 이동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극과 유극은 롤지를 이동시키고 가압하는 롤지 가압 부재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유극은 항상 제거되고,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롤지를 수납할 수 있는 롤지 공급 기구가 달성될 수 있다.
다른 목적 및 기능은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이해와 함께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과 관련된 청구범위를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롤지 공급 기구를 구비한 롤지 프린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식의 롤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커버 유닛을 모두 개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롤지 프린터(1)는 전체로서 거의 직방체 형상을 한 프린터 케이스(2)와, 해당 프린터 케이스(2)의 전면에 장착된 커버 유닛(3)를 갖고 있다. 프린터 케이스(2)의 외장 케이스(2a)의 전면에는 소정폭의 종이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종이 배출구(4)의 하측에는 출구 가이드(5)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해당 출구 가이드(5)의 아래에는 커버 개방 레버(6)가 배치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2a)에 있어서의 출구 가이드(5) 및 커버 개방 레버(6)의 하측에는, 롤지 출납용의 직사각형의 개구부(2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2b)가 커버 유닛(3)의 커버 케이스(3a)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커버 개방 레버(6)를 조작하면 커버 유닛(3)의 로킹이 해제된다. 로킹 해제 후, 출구 가이드(5)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커버 유닛(3)은 그 바닥 단부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전방으로 거의 수평 위치까지 개방된다. 커버 유닛(3)이 개방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내에 조립되어 롤지 공급 기구(10)의 롤지 수납부(11)가 개방 상태로 된다. 동시에, 롤지 수납부(11)로부터 종이 배출구(4)에 이르는 종이 전송 경로가 개방 상태가 되어, 프린터 전방으로부터 롤지가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도 2에는 커버 유닛(3)의 커버 케이스(3a) 및 커버 개방 레버(6)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주의하라.
도 3은 롤지 프린터(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롤지 프린터(1)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롤지 공급 기구(10)는 프린터 케이스(2)의 측부 사이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 롤지 수납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롤지(12)의 중심이 프린터 폭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롤지(12)가 롤지 수납부(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롤지(12)는 소정 길이의 프린팅 종이(12a)(도면에 있어서는 굵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를 권취하여 롤 형상으로 한 것이다. 상기 프린팅 종이(12a)는 롤지 수납부(11)에 수납되어 있는 롤지(12)로부터 인출되어, 대각선 상측으로 만곡된 종이 가이드(14) 둘레로 진행하고, 이어서 반송로(15)[프린팅 종이(12a)를 지시하는 일점 쇄선과 동일한 경로]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여, 종이 배출구(4)로부터 배출된다.
반송로(15)의 수평 부분은 롤지 공급 기구(10)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반송로의 수평 부분에는, 잉크젯 헤드(18) 및 플레이튼(19)이 일정한 갭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플레이튼(19)에 의해 잉크젯 헤드(18)의 인쇄 위치(20)가 규 정되어 있다.
반송로(15)에 있어서의 잉크젯 헤드(18)의 상류측에는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가 배치되어 있고, 이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는 종이 전송 모터(22)에 의해 구동된다. 이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압력 롤러(23)가 프린팅 종이(12a)를 사이에 두고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에 가압된다. 잉크젯 헤드(18)의 하류측에는,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와 동시에 회전하는 하류측 종이 반송 롤러(24)가 배치되어 있고, 하류측 종이 반송 롤러(3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압력 롤러(25)가 프린팅 종이(12a)를 사이에 두고 하류측 종이 반송 롤러(24)에 가압된다. 종이 배출구(4)의 근방에는 종이 자동 절단기(26)가 배치되어 있어, 인쇄 후의 프린팅 종이(12a)의 선단 부분이 소정의 길이로 수평방향으로 절단된다.
종이 가이드(14)는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27)에 의해 프린팅 종이(12a)에 장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로(15)에 통해 이송되는 프린팅 종이(12a)는 일정한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종이 가이드(14)의 근방에는 가이드 센서(28)가 배치되어 있고, 프린팅 종이(12a)에 느슨함이 발생해서 종이 가이드(14)가 스프링 부재(27)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러한 종이 가이드(14)의 이동이 가이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다.
롤지 공급 기구(10)의 롤지 수납부(11)는, 1개의 급송 롤러(30)와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 개 즉, 제 1 내지 제 3 가이드 롤러(31, 32, 33)를 구비하고 있다. 급송 롤러(30)는 급송 모터(34)에 의해 구동된다. 3 개(제 1 ∼ 제 3)의 가이드 롤러(31∼33)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롤지 프린터(1)의 구동 제어부(35)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호스트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이 호스트 장치로부터 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롤지 프린터(1)의 다른 부분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인쇄 동작에 있어서는, 종이 전송 모터(22)를 구동해서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 및 하류측 종이 반송 롤러(24)를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반송 롤러와 연동하여 롤지 공급 기구(10)의 급송 모터(34)를 회전 구동하여, 프린팅 종이(12a)를 이송시킨다. 또한, 구동 제어부(35)는 프린팅 종이(12a)의 반송에 동기하여 잉크젯 헤드(18)를 구동하여, 인쇄 위치(20)를 통과하는 프린팅 종이(12a)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한다. 인쇄 종료 후에, 구동 제어부(35)는 종이 자동 절단기(26)를 구동해서 프린팅 종이(12a)를 절단한다. 이로써, 종이 배출구(4)로부터 프린팅 종이(12a)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일정 길이의 영수증 또는 티켓 등이 발행되게 된다.
구동 제어부(35)에서는, 가이드 센서(28)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프린팅 종이(12a)가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장력 상태로 반송되도록,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21) 및 하류측 종이 반송 롤러(24)에 동기하여, 롤지 공급 기구(10)의 급송 롤러(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롤지 공급 기구)
도 4(a)는 롤지 공급 기구(10)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롤지 공급 기구(10)의 롤지 수납부(11)는 좌우측으로 그 수납 폭을 규정하고 있는 제 1 측벽(41) 및 제 2 측벽(4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측벽(41) 및 제 2 측벽(42)의 전단 부분은, 수납 폭방향(A)(프린터 폭방향)과 나란하게 도시하지 않는 프린터 프레임에 장착한 가이드판(4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제 1 측판(41) 및 제 2 측판(42)의 전방 하단부 및 후단부를 관통하고, 수납 폭방향으로 수평으로 롤러축(30a, 31a, 32a, 33a)이 연장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측벽(41, 42)은 이들 롤러축(30a∼33a)을 따라 수납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롤러축(30a)은 급송 롤러(30)의 롤러축이며, 그 수납 폭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동축 관계로 급송 롤러(3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축(30a)의 양단은 도시하지 않는 프린터 프레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3 개의 롤러축(31a∼33a)은 각각 제 1∼제 3 가이드 롤러(31∼33)의 롤러축이며, 각각 양단이 도시하지 않는 프린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측벽(41) 및 제 2 측벽(42)의 하단부의 내측 에지에는 일정 폭의 바닥부(41A, 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바닥부(41A, 42A)에는 각 롤러축(31a∼33a)에 동축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제 1∼제 3 가이드 롤러(31∼33)가 지지되어 있고, 제 1 측벽(41) 및 제 2 측벽(42)과 함께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 1 측벽(41)에는, 로크 레버(45) 및 롤지 가압 부재(46)가 조립되어 있다. 제 1 측벽(41) 전방의 상부에는, 로크 레버(45)의 말단부(45a)가 노출되어 있다. 로크 레버(45)는 제 1 측벽(41)이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당 제 1 측 벽(41)을 가이드판(43)에 로킹하고 있다. 그 말단부(45a)를 수동 조작에 의해 밀어넣으면, 로크 레버(45)에 의해 로킹이 해제되어, 제 1 측벽(41)이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측벽(41)에 있어서의 내면(41a)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41b)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서 롤지 수납부(11) 내부를 향하여 상기 개구(41b)를 통해서 롤지 가압 부재(46)가 돌출되어 있다.
롤지 가압 부재(46)의 말단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롤지 가압 부재(46)는 탄성력에 의해 제 2 측벽(42)을 향해 계속 가압되고 있다. 롤지 가압 부재(46)는 도 4a에 도시되어 돌출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고, 롤지 가압 부재(46)의 단부 표면(46a)이 제 1 측벽(41)의 표면(41a)에 일치하는 퇴피 위치까지 압입될 수 있다.
도 4(b)에는, 제 1 측벽(41)과 제 2 측벽(42)을 연결하는 연동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연동 기구(50)는 정해진 위치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피니언(51)과, 이 피니언(51)에 양측으로부터 맞물려 있는 제 1 래크(52) 및 제 2 래크(5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래크(52, 53)는 수납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 1 래크(52)는 제 1 측벽(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래크(53)는 제 2 측벽(42)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측벽(41)을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제 2 측벽(42)이 반대 방향으로 동일량만큼 이동한다.
연동 기구로서 별도의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측벽을 고정한 채 제 1 측벽(41)을 이동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제 1 측 벽(41)과 제 2 측벽(42)의 위치를 좌우 교체한 배치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로크 레버 및 롤지 가압 부재)
도 5는 제 1 측벽(41)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측벽(41)은, 본체 유닛(61)과, 이 본체 유닛(61)에 장착된 측판(62)과, 본체 유닛(61)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로크 레버(45) 및 롤지 가압 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유닛(61)은 기본적으로 내면(41a)이 형성되어 있는 측벽 부분(63)과, 이 측벽 부분(63)의 외주연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는 외벽 부분(64)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판(62)의 윤곽은 외벽 부분(64)에 대응하며,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외벽 부분(64)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도 6(a)은 본체 유닛(61)에 로크 레버(45) 및 롤지 가압 부재(46)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b) 및 (c)는, 도 6(a)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며, 롤지 가압 부재(46)가 돌출 위치(46A) 및 퇴피 위치(46B)에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로크 레버(45)는 본체 유닛(61)의 측판 부분(63)의 이면측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있는 지지핀(65)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크 레버(45)의 지지핀(65)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아암(45b)의 단부는 상방으로 만곡되어, 조작 단부(45a)를 형성한다. 이 조작 단부(45a)는 본체 유닛(61)의 외주 측벽 부분(64)에 형성된 개구부(64b)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로크 레버(45)의 지지핀(65)으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45c)의 단부는 로킹 아암(45d)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레버(4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도 6(a)에 도시하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로킹 아암(45d)에 대향하는 가이드판(43)의 측에는, 롤지 수납부(11)의 수납 폭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소에 노치(43a)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력에 의해 로크 레버(45)는, 그 로킹 아암(45d)이 하나의 노치(43a)에 결합되는 로킹 위치(45A)에 유지되어 있다.
로크 레버(45)의 조작 단부(45a)를 수동 조작에 의해 밀어 넣으면, 로크 레버(45)를 지지핀(65)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화살표(B)와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로크 레버(45)가 화살표(B)와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면, 로킹 아암(45d)이 노치(43a)로부터 분리되고, 제 1 측벽(41)을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롤지 가압 부재(46)는 가늘고 직사각형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말단부(46b)를 구비하고 있고, 이 말단부(46b)가 본체 유닛(61)의 측벽 부분(63)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41b)로부터 롤지 수납부(11)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말단부(46b)의 이면에는 원통형의 스프링 리시버(4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리시버(46c)에 대향하는 측판(62)의 위치에도 원통형의 스프링 리시버(62a)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스프링 리시버(46c, 62a)의 사이에는 압축 상태로 코일 스프링(66)이 장착되어 있다.
롤지 가압 부재(46)에는, 본체 유닛(61)의 개구(41b) 연부에 이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접촉판(46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판(46d)이 개구(41b)의 연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의해 롤지 가압 부재(46)의 돌출 위치(46A)가 규정된다.
이 접촉판(46d)의 인접 위치에는, 본체 유닛(61)의 개구 연부에서 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촉판(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판(67)이 롤지 가압 부재(46)와 접촉하는 위치에 의해 롤지 가압 부재(46)의 퇴피 위치(46B)가 규정된다.
도 6(c)는 롤지 가압 부재(46)가 퇴피 위치(46B)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위치에 있어서는, 롤지 가압 부재(46)의 단부면(46a)이 제 1 측벽(41)의 내면(41a)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들 접촉판(46d, 67)에 의해 규정되는 돌출 위치(46A)와 후퇴 위치(46B) 사이의 범위 내에서, 롤지 가압 부재(46)는 롤지 수납부(11)의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로크 레버(45)가 로킹 위치(45A)에 있으면, 롤지 가압 부재(46)는 제 2 측벽(42)을 향해 롤지(12)를 가압하면서, 돌출 위치(46A)와 퇴피 위치(46B) 사이에서 이동한다.
롤지 가압 부재(46)는 로크 레버(45)의 하측의 아암(45c)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의 말단은 좌우의 테이퍼면(46f, 46g) 사이에서 단부를 향해 좁아지게 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의 단부에는 로크 레버(45)의 아암(45c)이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를 향하는 개구로서 로크 레버(45)의 아암(45c)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형 레버측 결합부(45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측 결합부(45e)의 개방측에서 좌우의 말단부(45f, 45g)가 각각 롤지 가압 부재측의 좌우의 테이퍼면(46f, 46g)에 대향하고 있다.
도 7(a),(b)는, 도6(a), (b)와 마찬가지로, 본체 유닛(61)에 로크 레버(45) 및 롤지 가압 부재(46)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와, 도 7(a)의 b-b선으로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로크 레버(45)의 조작 단부(45a)를 수동 조작에 의해 밀어넣으면, 로크 레버(45)는 지지핀(65)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하고, 그 하측의 아암(45c)이 가이드판(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로크 레버(45)는 아암(45c)의 말단의 로킹 클로(45d)가 가이드판(43)의 노치(43a)로부터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45B)의 상태가 된다. 이 위치로부터, 제 1 측판(41)을 롤지 수납부(11)의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45)가 로킹 해제 위치(45B)을 향해서 선회하면, 그 아암(45c)의 레버측 결합부(45e)의 좌우의 말단부(45f, 45g)가, 롤지 가압 부재(46)의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의 좌우의 테이퍼면(46f, 46g)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b) 및 도 6(c)에는 로크 레버(45)가 로킹 위치(45A)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b)의 로크 레버(45)가 이 로킹 위치(45A)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45B)로 이동하는 조작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롤지 가압 부재(46)가 도 6(b)에 도시하는 돌출 위치(46A)에 돌출되어 있고{롤지 가압 부재(46)의 단부면(46a)이 롤지(12)와 접촉하지 않음}, 로크 레버(45)가 로킹 해제 위치(45B)로 이 동하면, 로크 레버(45)의 레버측 결합부(45e)가 상승하고, 레버측 결합부(45e)의 우측상의 말단(45g)이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의 우측 테이퍼(46g)와 접촉하며, 좌측으로 테이퍼(46g)를 밀면서 이동한다.
롤지 가압 부재(46)가 도 6(c)에 도시하는 퇴피 위치(46B)로 퇴피될 때{여기서, 롤지 가압 부재(46)의 단부면(46a)이 롤지(12)와 접촉하게 된다}, 좌측 말단(45f)이 좌측의 테이퍼면(46f)과 접촉하고, 해당 테이퍼면(46f)를 우측으로 밀어넣으면서 이동한다.
롤지 가압 부재(46)가 어느 쪽의 위치(46A, 46B)에 있는 경우에도, 로크 레버(45)를 로킹 해제 위치(45B)에 밀어넣으면, 롤지 가압 부재(46)의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는 로크 레버(45)의 레버측 결합부(45e)의 채널 내에 삽입 유지된다. 본 예에서는, 이 상태에서의 롤지 가압 부재(46)의 위치가 그 돌출 위치(46A)와 퇴피 위치(46B)의 사이의 중립 위치(46C)로 제어된다. 물론, 중립 위치(46C)로부터 좌우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버측 결합부(45e)와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에 의해, 롤지 가압 부재(46)를 중립 위치(46C)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측벽(41)이 이동할 수 있도록 로크 레버(45)가 로킹 해제 위치(45B)에 설정되면, 롤지 가압 부재(46)는 제 1 측벽(41)에 고정된다. 그 결과, 제 1 측벽(41)이 이동하여 롤지 가압 부재(46)의 가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제 2 측벽(41) 측으로 롤지(12)를 이동시킬 수 있고, 제 1 측벽(41) 및 제 2 측벽(42)은 실질적으로 롤지(12)의 폭으로 조정될 수 있다. 로크 레버(45)는 이어서 제 1 측벽에 로킹되도록 로킹 위치(45A)로 설정될 수 있다.
(급송 롤러)
다음에, 도 8은 급송 롤러(30)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급송 롤러(30)는, 롤러축(30a)에 대하여 일체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실린더(30b)와, 좌우의 스냅링(30c, 30d)과, 러버제의 롤러 본체(30e)가 롤러축(30a)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30b)는 롤러축(30a)의 축방향(수납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고, 스냅링(30c, 30d)은 슬라이드 실린더(30b)의 슬라이딩 범위를 결정한다. 롤러 본체(30e)는 슬라이드 실린더(30b)의 외부를 동심 관계로 포위하고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30b)는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제 1 측벽(41)을 향해 계속적으로 가압된다.
이 구조의 급송 롤러(30)를 제 2 측벽(42)의 측으로 누르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 본체(30e)가 슬라이드 실린더(30b)와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 슬라이드 거리(L)는 롤지 가압 부재(46)가 이동하는 거리, 즉, 돌출 위치(46A)로부터 퇴피 위치(46B)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 거리는 달라질 수도 있다.
(수납 폭의 변경)
전술한 롤지 프린터(1)의 롤지 공급 기구(10)에 있어서의 롤지 수납부(11)의 수납 폭을 변경할 때의 동작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롤지(12)가 장전되지 않고 롤지 수납부(11)가 빈 상태에서는, 도 6(a) 및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45)가 로킹 위치(45A)에 있고, 롤지 가압 부재(46)는 돌출 위치(46A)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 1 측벽(41)의 전단 상부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로크 레버(45)의 조작 단부(45a)를 밀어넣어, 로크 레버(45)를 로킹 해제 위치(45B)로 이동한다(도 7 참조). 이 결과, 제 1 측벽(41)이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크 레버(45)의 레버측 결합부(45e)에 의해 롤지 가압 부재(46)의 가압 부재측 결합부(46e)가 밀리면, 롤지 가압 부재(46)는 돌출 위치(46A)로부터 퇴피 위치(46B)를 향해서 눌려져 중립 위치(46C)의 상태로 유지된다(도 7b 참조).
이어서, 롤지(12)를 롤지 수납부(11)에 장전하고, 로크 레버(45)를 밀어넣으면서 정지할 때까지 제 1 측벽(41)을 수납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로크 레버(45)의 로킹 클로(45d)를 수납하는 롤지의 지폭에 대응하는 가이드판(43)의 노치(43a)에 배치한다. 이 결과, 롤지 수납부(11)의 수납 폭은, 제 1 측벽(41)에 있어서의 중립 위치(46C)에 위치하고 있는 롤지 가압 부재(46)의 단부면(46a)과, 이것에 대치하는 반대측의 제 2 측벽(42)의 표면(42a)에 의해 규정된다. 이 때, 롤지 가압 부재(46)의 가압력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측벽(41)은 그 제 1 측벽(41)이 정지부를 만나게 되는 것과 같이 만드는 가압력으로 인하여, 롤지의 폭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크 레버(45)가 해제되면, 로크 레버(45)가 로킹 위치(45A)에 복귀하고, 이에 따라 제 1 측벽(41)의 이동이 추가 이동이 방지된다. 롤지 가압 부재(46)도 로크 레버(45)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롤지 가압 부재(46)는 스프링 힘에 의해 돌출 위치(46A)를 향해 복귀된다.
롤지 가압 부재(46)는 돌출 위치(46A)와 퇴피 위치(46B) 사이에서 이동하고, 롤지(12)를 제 2 측벽(42) 측으로 밀어낸다. 롤지 공급 기구(10)의 변화와 조작부가 로크 레버(45)를 복귀시킬 때의 이동으로 인하여, 롤지(12)와 제 1 측벽(41) 또는 제 2 측벽(42)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길 수 있다. 수납 폭이 조정된 후에는 롤지(12)의 지폭에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
간극이 있고, 지폭이 좁은 경우, 예를 들어, 롤지 가압 부재(46)는 중립 위치(46C)로부터 돌출 위치(46A) 측을 향해 돌출되고, 롤지(12)의 단부에 소정의 측압으로 가압되어, 그 사이에 어떠한 간극도 없이 롤지(12)를 유지하게 된다.
지폭이 넓을 경우에는, 롤지 가압 부재(46)는 롤지(12)의 단부에 의해 중립 위치(46C)로부터 퇴피 위치(46B)로 밀려서, 롤지(12)는 다시 단부에 소정의 측압으로 유지되고, 측압이 과잉이 되는 일은 없다.
롤지(12)와 제 1 측벽(41) 또는 제 2 측벽(42) 사이의 간극과 롤지(12)의 지폭에 있어서의 변화는 롤지 가압 부재(46)의 중립 위치(46C)와 돌출 위치(46A) 및 퇴피 위치(46C) 사이의 이동 범위 또는 차이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롤지(12)는 수납 폭 방향의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롤지(12)는 과도한 측압으로 유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롤지(12)로부터 전달된 프린팅 종이(12a)의 단부가 제 2 측벽(42)의 위치와 항상 정렬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18)에 대한 인쇄 위치가 일정하여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급송 롤러(30)의 롤러 본체(3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그 결과, 급송 롤러(30) 에 안장된 롤지(12)가 롤지 가압 부재(46)에 의해 밀려서 제 2 측벽(42)의 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롤지(12)와 함께 롤러 본체(30e)가 이동한다. 롤지(12)는 원활하게 세팅될 수 있다. 롤러 본체(30e)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롤지(12)와 롤러 본체(30e)의 사이의 마찰력이 롤지(12)에 측압이 되어서 작용하고, 롤지(12)의 측압이 과잉이 되어, 종이 반송 롤러에 작용하는 전송 부하가 증가해서 프린팅 종이(12a)의 전송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롤지(12)는 용이하게 세팅되지 않는다. 그러나, 급송 롤러(30)의 롤러 본체(3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 폭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측압의 증가가 억제되고, 이로 인하여 종이 전송 부하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 및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이러한 모든 변형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지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롤지 프린터의 커버 유닛을 개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롤지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a 및 4b는 도 1의 롤지 프린터의 롤지 공급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롤지 공급 기구의 제 1 측벽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6b는 도 4의 롤지 공급 기구의 제 1 측벽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a 및 7b는 도 4의 롤지 공급 기구의 로크 레버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a 및 8b는 도 4a의 롤지 공급 기구의 급송 롤러에 대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롤지 프린터 2 : 프린터 케이스
2a : 외장 케이스 3 : 커버 유닛
3a :커버 케이스 4 : 종이 배출구
5 : 출구 가이드 6 : 커버 개방 레버
10 : 롤지 공급 기구 11 : 롤지 수납부
12 : 롤지 14 : 종이 가이드
15 : 반송로 18 : 잉크젯 헤드
19 : 플레이튼 20 : 인쇄 위치
21 : 상류측 종이 반송 롤러 22 : 종이 전송 모터
23 : 압력 롤러 24 : 하류측 종이 반송 롤러
30e : 롤러 본체 31 : 제 1 가이드 롤러
32 : 제 2가이드 롤러 33 : 제 3 가이드 롤러
43 : 가이드판 43a : 노치
45 : 로크 레버 45A : 로킹 위치
45B : 로킹 해제 위치 46 : 롤지 가압 부재
46A : 돌출 위치 46B : 퇴피 위치
46C : 중립 위치 46e : 가압 부재측 결합부
51 : 피니언 52 : 제 1 래크
53 : 제 2 래크 66 : 코일 스프링

Claims (14)

  1. 롤지 공급 기구에 있어서,
    롤지를 수납하기 위한 롤지 수납부와,
    상기 롤지 수납부의 일측을 규정하고, 이동할 수 있는 제 1 측벽과,
    상기 롤지 수납부의 타측을 규정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을 로킹시키는 로크 기구(lock mechanism)와,
    상기 롤지를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가압하는 롤지 가압 부재와,
    상기 로크 기구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소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롤지 공급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 기구를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로킹이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로크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지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소정량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유지 기구는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로크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시키는
    롤지 공급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로크 레버에 형성된 레버측 결합부와, 상기 롤지 가압 부재에 배치된 가압 부재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레버가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레버측 결합부는 가압 부재측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시키는
    롤지 공급 기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사이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 중앙에 위치하는
    롤지 공급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측벽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제 1 측벽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측벽을 이동시킬 수 있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롤지 공급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수납부에 수납된 롤지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롤지를 공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급송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송 롤러는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축과,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축에 부착되는 롤러 본체를 포함하는
    롤지 공급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수납부의 폭방향으로의 롤지 가압 부재의 이동과 상기 롤러 본체의 슬라이딩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롤지 공급 기구.
  8. 롤지 공급 기구를 구비하는 롤지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롤지 공급 기구는,
    롤지를 수납하기 위한 롤지 수납부와,
    상기 롤지 수납부의 일측을 규정하고, 이동할 수 있는 제 1 측벽과,
    상기 롤지 수납부의 타측을 규정하는 제 2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을 로킹시키는 로크 기구와,
    상기 롤지를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가압하는 롤지 가압 부재와,
    상기 로크 기구와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소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롤지 프린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공급 기구는 로크 기구를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로킹이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로크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지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하는 돌출 위치와, 소정량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상기 유지 기구는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로크 레버와 연동하여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시키는
    롤지 프린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로크 레버에 형성된 레버측 결합부와, 상기 롤지 가압 부재에 배치된 가압 부재측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레버가 로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레버측 결합부는 가압 부재측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롤지 가압 부재를 유지시키는
    롤지 프린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사이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상기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 중앙에 위치하는
    롤지 프린터.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벽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측벽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제 1 측벽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측벽을 이동시킬 수 있는 연동 기구를 구비하는
    롤지 프린터.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공급 기구는, 상기 롤지 수납부에 수납된 롤지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롤지를 공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급송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송 롤러는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롤러 축과, 상기 롤지 수납부에 폭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축에 부착되는 롤러 본체를 포함하는
    롤지 프린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수납부의 폭방향으로의 롤지 가압 부재의 이동과 상기 롤러 본체 의 슬라이딩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롤지 프린터.
KR1020080108880A 2007-11-05 2008-11-04 종이 공급 기구 및 롤지 프린터 KR101050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7009 2007-11-05
JP2007287009A JP5239298B2 (ja) 2007-11-05 2007-11-05 ロール紙供給機構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710A true KR20090046710A (ko) 2009-05-11
KR101050056B1 KR101050056B1 (ko) 2011-07-19

Family

ID=4038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880A KR101050056B1 (ko) 2007-11-05 2008-11-04 종이 공급 기구 및 롤지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7462B2 (ko)
EP (1) EP2055491B1 (ko)
JP (1) JP5239298B2 (ko)
KR (1) KR101050056B1 (ko)
CN (1) CN1014285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148B2 (ja) * 2008-12-2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紙幅検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757910B2 (en) * 2009-08-30 2014-06-24 Pitney Bowes Inc. Printer mounting arrangement for feed guide mechanisms
JP5459541B2 (ja) 2009-11-17 2014-04-02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材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43983A (ja) * 2010-01-13 2011-07-28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装置
JP5549231B2 (ja) * 2010-01-13 2014-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20110215189A1 (en) * 2010-03-05 2011-09-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Roll holder unit for printer
JP5621294B2 (ja) * 2010-03-29 2014-1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プリンター及びロール紙プリンターのカバー開閉方法
JP5464005B2 (ja) * 2010-03-29 2014-04-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プリンター
US8879117B2 (en) 2010-05-26 2014-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rgin adjustment
JP5822333B2 (ja) * 2010-06-21 2015-11-24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画像形成装置
JP4974092B2 (ja) * 2010-10-25 2012-07-1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ロール紙セット構造
TWI415747B (zh) * 2011-01-14 2013-11-21 Primax Electronics Ltd 列印機之紙捲固定裝置
JP5751951B2 (ja) * 2011-06-23 2015-07-22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ピンチロールレバー
JP2013010619A (ja) * 2011-06-30 2013-01-17 Casio Computer Co Ltd 電子機器
TW201404609A (zh) * 2012-07-27 2014-02-01 Primax Electronics Ltd 列印機之紙捲固定裝置
CN103568600A (zh) * 2012-08-03 2014-02-12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机的纸卷固定装置
CN102826248A (zh) * 2012-08-30 2012-12-19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捆钞机的伸缩带盒装置
JP5979439B2 (ja) * 2012-11-29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5945958B2 (ja) * 2012-12-20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9315054B2 (en) * 2013-09-27 2016-04-19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elf-adjusting paper bucket for a printer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lf-adjusting paper bucket
WO2017216843A1 (ja) * 2016-06-13 2017-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
US10974925B2 (en) 2018-12-14 2021-04-13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Spindle assembly for a printer for accommodating paper rolls of different sizes
CN109665382B (zh) * 2019-01-29 2024-04-30 中山市优绿智得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表面卷曲收卷装置
JP7268391B2 (ja) * 2019-02-20 202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WO2021014664A1 (ja) 2019-07-19 2021-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スタンド
CN111137715B (zh) * 2020-01-16 2021-02-02 河南工学院 一种用于印刷的进纸装置
CN113571367B (zh) * 2021-08-04 2024-04-12 杭州恒汇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多段反馈按键的智能云盒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5404A (en) * 1957-02-19 1959-09-22 Walter J Simmons Supply holder for rolled material
JPH01109046U (ko) * 1988-01-19 1989-07-24
JP3351918B2 (ja) 1994-11-07 2002-12-03 キヤノンアプテ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媒体供給装置およびラベルプリンタ
JP2000351493A (ja) 1999-06-14 2000-12-19 Teraoka Seiko Co Ltd ラベルプリンタのラベルロール紙セット装置
US6412992B2 (en) * 2000-01-14 2002-07-02 Fuji Photo Film Co., Ltd. Printer with paper aligning device
JP3849850B2 (ja) 2001-10-02 2006-11-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KR100415398B1 (ko) * 2002-03-08 2004-01-16 코리아프린팅시스템 주식회사 라벨프린터용 페이퍼 홀딩장치
JP3865072B2 (ja) * 2003-05-21 2007-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紙ホルダおよび該ホルダを用いたプリンタ
TWI220412B (en) * 2003-11-11 2004-08-21 Benq Corp Guid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JP2005306535A (ja) * 2004-04-20 2005-11-04 Star Micronics Co Ltd ロール紙保持機構およびプリンタ
JP2006044900A (ja) 2004-08-06 2006-02-16 Sony Corp ロール紙ガイド装置、ロール紙ガイド方法、ロール紙支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60801A (ja) 2005-12-15 2007-06-28 Sony Corp ロール紙給紙機構、ロール紙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407631B2 (ja) * 2005-12-15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ロール紙給紙機構、ロール紙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03563A (ja) 2006-02-01 2007-08-16 Seiko Epson Corp ロール紙プリンタおよびロール紙繰り出し機構
JP4396659B2 (ja) 2006-04-19 2010-01-1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コード読取装置
JP2006327826A (ja) 2006-07-20 2006-12-07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47462B2 (en) 2011-11-01
US20090114758A1 (en) 2009-05-07
CN101428508B (zh) 2011-02-09
JP5239298B2 (ja) 2013-07-17
KR101050056B1 (ko) 2011-07-19
EP2055491B1 (en) 2013-03-13
JP2009113899A (ja) 2009-05-28
EP2055491A1 (en) 2009-05-06
CN101428508A (zh)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056B1 (ko) 종이 공급 기구 및 롤지 프린터
US8002214B2 (en) Rolled medium holding device holding a rolled medium at both ends and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rolled medium holding device
US20080277851A1 (en) Rolled medium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both ends of rolled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rolled medium supporting device
US7931229B2 (en) Rolled medium supporting mechanism for supporting both ends of rolled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e rolled medium supporting mechanism
KR0133922B1 (ko) 프린터
US20050051011A1 (en) Cutting device for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DE3708601A1 (de) Papierfoerdereinrichtung fuer ein aufzeichnungsgeraet
US20230312294A1 (en) Convey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H09272238A (ja) 熱転写プリンタ
US20150246555A1 (en) Simplex and duplex printer
JP2011110812A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記録媒体供給構造
EP0368685A2 (en) Sheet-feed/sheet-receiving unit used in combination with printer
US20060266863A1 (en) Recording material supply device
US5139354A (en) Printer
CN114450238B (zh) 供纸单元
US7470018B2 (en) Recording apparatus
US7390077B2 (en) Carriage and record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CN100586731C (zh) 记录设备
JP2000063015A (ja) プリンタ
US6991328B2 (en) Medium transport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EP1270244B1 (en) Printer
JP2698699B2 (ja) 記録装置
JP4715442B2 (ja) ロール紙プリンタ
JPH0395038A (ja) 給紙トレイ
JP5578252B2 (ja) ロール紙供給機構およびロール紙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