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580A -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580A
KR20090045580A KR1020070111476A KR20070111476A KR20090045580A KR 20090045580 A KR20090045580 A KR 20090045580A KR 1020070111476 A KR1020070111476 A KR 1020070111476A KR 20070111476 A KR20070111476 A KR 20070111476A KR 20090045580 A KR20090045580 A KR 2009004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eat
extrac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600B1 (ko
Inventor
유병혁
라영임
권순태
이기동
배진희
박창호
박주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주)이슬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주)이슬나라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7011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6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적정 배합비로 배합하고 추출하여 한약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건조분말을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높은 연화효과를 나타내고 고기의 맛과 향은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연화제, 식육 연화제, 연육제, 한약재, 추출물, 과립, 무화과, 당귀

Description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comprising herbs extract for tenderizing and enhancing the flavor of meat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적정 배합비로 배합하고 추출하여 한약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건조분말을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높은 연화효과를 나타내고 고기의 맛과 향은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부드럽게 연육시키는데는 식물성 효소을 이용한 방법과 화학 효소첨가물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우선 파파야, 피그, 무, 배, 파인애플, 키위 등의 과일을 이용하여 연육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이들 과일 내에 단단한 단백질 고기조직을 연하게 만드는 자연효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키위의 과즙에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악티니딘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서 적은 양으로도 강한 연육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삼겹살이나 냄새가 나고 질긴 고기의 냄새제거 및 연화를 위하여 일반가정에서나 일부 음식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키위나 파인애플 등의 과일을 이용하여 연육하는 방법은 오랜 시간이 걸리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 일반음식점이나 고기유통업소에서는 주로 화학제품을 이용한다. 화학 연육제로는 프로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인체에는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통상 근육 이완용 약제로 약국에서 구입 가능한 것이다.
고기는 질긴 단백질조직 때문에 가열시 육질이 딱딱해지고 질겨지므로 통상 조리시에 연육제를 첨가하는데 이러한 연육제를 쓰면 연육제가 고기 표면에서 흘러내릴 뿐만 아니라 고기 본연의 맛을 잃어버릴 수가 있어, 특히 소고기의 경우 소고기 특유의 씹는 맛과 육즙의 맛을 느낄 수 없다.
한편, 종래 한약재를 이용한 식육 연화제 발명에 관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07058호에 10 내지 14%의 황기, 9 내지 11%의 당귀, 20 내지 24%의 계피, 1 내지 3%의 감초, 10 내지 14%의 용안육, 6 내지 12%의 천궁, 10 내지 14%의 두충, 10 내지 14%의 오가피, 3 내지 6%의 인삼 및 3 내지 6%의 대추를 중량비 10 내지 30배의 물에 침지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조건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한약재의 고형분을 여과하여 제조하는 고기양념용 기능성 한방추출액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약재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식육에 첨가하였을 때 한약재 고유의 쓴맛 때문에 관능미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추출액의 용액 상태를 띠고 있어 제품화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91247호에는 육류의 조리시 첨가하는 액상의 양념에 있어서, 재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씻는 선별 및 수세공정(S1)과;건조상태 기준으로 오가피 70중량%, 두충 18.5중량%, 대추 3중량%, 갈근 2.5중량%, 당귀 5중량% 및 황기 1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재료를 구성하는 배합공정(S2)과;상기 혼합재료와 혼합재료 중량의 8 내지 10배의 물을 혼합하여 100℃ 내지 125℃의 온도로 90분 내지 120분간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가열공정(S3)과;상온으로 냉각한 후 여과하여 부유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여과공정(S4)을 거쳐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조리용 오가피 양념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오가피를 주재로 하고 있어 오가피 특유의 맵고 쓴맛 때문에 관능미가 떨어지고 추출액 형태를 띠고 있어 제품화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적정 배합비로 배합하고 추출하여 한약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건조분말을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높은 연화효과를 나타내고 고기의 맛과 향은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이용한 한약재 혼합추출분말에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로 제조한 한약재 혼합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이용한 한약재 혼합추출분말에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을 혼합하고 건조함으로써 과립의 형태를 가진 한약재 혼합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이용한 한약재 혼합추출분말에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를 가진 한약재 추출분말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한약재 혼합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전단력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은 당 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함유한 한약재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은 당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함유한 한약재 혼합물의 추출물 50~54중량%, 무화과 분말 20.0~20.5중량%, 포도당 17~19.5중량%, 맥아엿 4~6중량%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약재 혼합물의 재료 배합비가 상기 범위 밖이면 관능미가 떨어지고 식육 연화 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재료 배합비가 상기 범위 밖이면 과립 형성이 곤란하고 관능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한약재 혼합물의 추출분말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을 포함한다(도 1 참조):
당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정제수 1000~3000중량부를 첨가하고 α-아밀라제 0.2~0.4중량부를 혼합하여 100~120℃에서 4~8시간 1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액에 펙티나제 0.2~0.4중량부, α-아밀라제 0.3~0.5중량부 및 프로테아제 0.05~0.2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40~60℃에서 3~7시간 2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2차 추출액을 80~100℃에서 20분~40분 동안 실활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 상기 농축액 대비 20중량%의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Brix 33 내지 Brix 39인 최종 농축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농축액을 -30℃ ~ -70℃에서 12~48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본 발명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과립 형태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당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정제수 1000~3000중량부를 첨가하고 α-아밀라제 0.2~0.4중량부를 혼합하여 100~120℃에서 4~8시간 1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액에 펙티나제 0.2~0.4중량부, α-아밀라제 0.3~0.5중량부 및 프로테아제 0.05~0.2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40~60℃에서 3~7시간 2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2차 추출액을 80~100℃에서 20분~40분 동안 실활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 상기 농축액 대비 20중량%의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Brix 33 내지 Brix 39인 최종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 최종 농축액을 -30℃ ~ -70℃에서 12~48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 50~54중량%, 무화과 분말 20.0~20.5중량%, 포도당 17~19.5중량%, 맥아엿 4~6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과립기로 성형한 다음 50~70℃에서 열풍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은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적정 배합비로 배합하고 추출하여 한약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건조분말을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높은 연화효과를 나타내고 고기의 맛과 향은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구성된 한약재 혼합물을 5mesh로 조분쇄한 다음 한약재 혼합물 500g에 20배수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α-아밀라제[상품명: 터마밀 (Termamyl ), 노보자임사] 1.5g(한약재 혼합물의 0.3중량%)을 혼합하여 110℃에서 6시간 가압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혼합용액에 펙티나제[라피다제 (Rapidase ), DSM사] 1.5g(0.3중량%), α-아밀라제[BAN , 노보자임사] 2.0g(0.4중량%) 및 프로테아제[프로타맥스(Protamax)] 0.5g(0.1중량%)을 첨가한 다음 5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고 90℃에서 30분 동안 실활시킨 다음 여과하여 Brix 30으로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에 상기 농축액 대비 20중량%의 덱스트린(Max 1000, 한국마쯔다니주식회사)을 투입하여 Brix 36인 최종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최종 농축액을 -50℃에서 24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본 발명 한약재추출물을 제조하였다(도 1).
한약재 배합비
원재료명 배합비(중량%)
당귀 21
황기 20
감초 18
구기자 22
오레가노 4
월계수 잎 3
베이질(혹은 바질) 3
로즈마리 5
정향 1
오향 3
합계 100
실시예 2: 본 발명 한약재추출 분말을 이용한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과립 제조
하기 표 2의 배합비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 한약재추출분말, 무화과 분말 및 포도당을, 50℃까지 중탕 가열한 맥아엿에 첨가하고 정제수를 투입한 다음 리본믹서로 혼합한 후 과립기로 성형한 다음 60℃에서 1회 열풍건조한 다음 과립형성 여부를 조사하였다(도 2).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약재추출 분말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 과립형성 여부
1 52중량% 20.3중량% 16중량% 5중량% 잔량 ++
2 52중량% 20.3중량% 17중량% 5중량% 잔량 +++
3 52중량% 20.3중량% 18중량% 5중량% 잔량 +++
4 52중량% 20.3중량% 19중량% 5중량% 잔량 +++
5 52중량% 20.3중량% 19.5중량% 5중량% 잔량 ++++
상기 표 2를 통해 과립 형성 정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된 배합비로 본 발명 한약재추출 분말을 이용한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과립을 제조하였다(표 3 참조).
최종 배합비
원재료명 배합비(중량%)
실시예 1의 한약재 추출 분말 52
무화과 분말 20.3
포도당 19.5
맥아엿 5
3.2
합계 100
실험예 1: 전단력 측정
우육의 결합조직이 없는 부분을 2 X 2 X 0.4cm의 크기로 자른 후, 우육 200g당 정제수 200mL을 첨가하여 우육이 정제수에 잠기도록 하였다. 이 후 우육대비 0.4중량%, 0.8중량%, 1.2중량%, 1.5중량%가 되게 한약재 추출과립을 첨가하여 매 30분마다 전단력을 측정하여 4시간 동안 실험하였다. 보관의 상태는 상부를 봉하여 영상 4℃에 보관하며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테스트 속도(Test Speed)는 2mm/sec, 테스트 힘의 세기(Test Force)는 100g, 테스트 거리(Test distance)는 10mm의 조건으로 텍스처 미터(texture meter)(T1-AT2, SMS Co., UK)를 사용하여 전단력(Shear force)으로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과립의 전단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도 3에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과립의 첨가량 별 전단력 측정결과
  St 0.40중량% 0.80중량% 1.20중량% 1.50중량%
30분 326 234 204 186 178
1시간 314 232 193 189 170
1시간 30분 299 243 198 182 158
2시간 301 229 186 176 153
2시간 30분 286 217 183 172 146
3시간 283 212 182 163 142
3시간 30분 276 209 175 161 141
4시간 274 202 164 158 132
실험 결과,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시간이 경과할수록 전단력의 값은 떨어졌다. 이는 한약재 추출과립이 식육의 연화제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사료되었다. 하지만, 단순히 전단력의 값이 낮다고 고기의 식감이 우수하다고는 볼 수 없다. 이에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가장 풍미와 식감이 우수한 조건을 조사하였다.
실험예 2: 한약재 추출과립의 첨가량에 따른 관능검사
우육의 결합조직이 없는 부분을 7mm로 슬라이스 하여, 우육대비 첨가량 별로 한약재 추출과립을 표면에 도포하였다. 5분간 방치 후 양면 석쇠구이기를 이용하여 7분간 조리하였다.
슬라이스 기계는 수동 슬라이서-HMS300을 사용하였으며, 양면석쇠구이기는 산요社의 HR-M01모델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정한 조리를 위하여 각각의 재료를 기기 10분간 예열한 후, 7분간 조리하여 관능평가에 사용하였다.
관능평가는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직원 중 관능평가에 경험이 있는 15명을 차출하여 실시하였다.
각 첨가량 별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한약추출물 과립의 첨가량 별 관능평가 결과
  외관 부드러운 정도 즙이 나오는 정도(Juiciness) 종합적 기호도
대조구(무처리구) 3 3.4 3 3.4 3.3 3.5 3.1
0.4중량% 처리구 3.1 3.6 3 3.1 3.5 3.2 3.2
0.8중량% 처리구 4.2 4.3 3.3 3.2 4.1 3.7 3.8
1.2중량% 처리구 4.3 4.1 4.5 3.7 4.4 3.9 4.1
1.5중량% 처리구 2.9 3.2 3.8 3.1 3.4 3.2 3.6
종합적 평가를 볼 때, 1.5중량% 처리구는 너무 향이나 맛이 과하다고 평가되어 풍미의 증진이라기보다는 이취로 느껴졌다. 따라서 고기의 중량 대비 0.8~1.2중량% 정도가 가장 적당한 사용량이라 볼 수 있었다.
제조예 1: 한약재 추출과립의 제품화
한약재 추출과립의 포장 형태를 일반 소분포장(150g, 300g, 500g)과 스틱형의 일회용 포장(5g~8g)의 두 가지 형태로 포장하여 제품화하였다.
이상,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당귀, 황기, 감초, 구기자, 오레가노, 월계수 잎, 베이질, 로즈마리, 정향 및 오향을 적정 배합비로 배합하고 추출하여 한약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건조분말을 무화과 분말, 포도당, 맥아엿과 혼합하고 건조하여 과립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적은 양으로도 높은 연화효과를 나타내고 고기의 맛과 향은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첨가량 별 전단력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첨가량 별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3)

  1. 당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함유한 한약재 혼합물의 추출물 50~54중량%, 무화과 분말 20.0~20.5중량%, 포도당 17~19.5중량%, 맥아엿 4~6중량%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2. 당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정제수 1000~3000중량부를 첨가하고 α-아밀라제 0.2~0.4중량부를 혼합하여 100~120℃에서 4~8시간 1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액에 펙티나제 0.2~0.4중량부, α-아밀라제 0.3~0.5중량부 및 프로테아제 0.05~0.2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40~60℃에서 3~7시간 2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2차 추출액을 80~100℃에서 20분~40분 동안 실활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 상기 농축액 대비 20중량%의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Brix 33 내 지 Brix 39인 최종 농축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농축액을 -30℃ ~ -70℃에서 12~48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3. 당귀 20~22중량%, 황기 19~21중량%, 감초 17~19중량%, 구기자 21~23중량%, 오레가노 3~5중량%, 월계수 잎 2~4중량%, 베이질 2~4중량%, 로즈마리 4~6중량%, 정향 0.5~1.5중량% 및 오향 2~4중량%를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약재 혼합물 100중량부에 정제수 1000~3000중량부를 첨가하고 α-아밀라제 0.2~0.4중량부를 혼합하여 100~120℃에서 4~8시간 1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추출액에 펙티나제 0.2~0.4중량부, α-아밀라제 0.3~0.5중량부 및 프로테아제 0.05~0.2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40~60℃에서 3~7시간 2차 추출하는 단계;
    상기 2차 추출액을 80~100℃에서 20분~40분 동안 실활시킨 다음 여과하여 농축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에 상기 농축액 대비 20중량%의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Brix 33 내지 Brix 39인 최종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 최종 농축액을 -30℃ ~ -70℃에서 12~48시간 동안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분말화함으로써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 50~54중량%, 무화과 분말 20.0~20.5중량%, 포도당 17~19.5중량%, 맥아엿 4~6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과립기로 성형한 다음 50~70℃에서 열풍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70111476A 2007-11-02 2007-11-02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91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76A KR100919600B1 (ko) 2007-11-02 2007-11-02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476A KR100919600B1 (ko) 2007-11-02 2007-11-02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580A true KR20090045580A (ko) 2009-05-08
KR100919600B1 KR100919600B1 (ko) 2009-09-29

Family

ID=4085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476A KR100919600B1 (ko) 2007-11-02 2007-11-02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6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08B1 (ko) * 2012-06-22 2015-03-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비채 생약제 추출물 함유 연육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6127310A1 (en) * 2015-02-10 2016-08-18 Nestec S.A. Lipid activation with rhizoma polygonati
KR20190096991A (ko) 2016-12-21 2019-08-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세정제 계량 방법
KR20210011669A (ko) 2019-07-23 2021-02-02 남도제품유통사업자협동조합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류의 연화 방법
KR20210036525A (ko) 2019-09-26 2021-04-05 농업회사법인(주)명성포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육 연화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88B1 (ko) * 2013-06-28 2015-01-07 (주)자연의식탁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육 연화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64Y1 (ko) * 1997-07-31 1999-09-01 양재신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KR20020007058A (ko) * 2000-07-15 2002-01-26 최희규 고기양념용 기능성 한방추출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08B1 (ko) * 2012-06-22 2015-03-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비채 생약제 추출물 함유 연육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6127310A1 (en) * 2015-02-10 2016-08-18 Nestec S.A. Lipid activation with rhizoma polygonati
KR20190096991A (ko) 2016-12-21 2019-08-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세정제 계량 방법
KR20210011669A (ko) 2019-07-23 2021-02-02 남도제품유통사업자협동조합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육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류의 연화 방법
KR20210036525A (ko) 2019-09-26 2021-04-05 농업회사법인(주)명성포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육 연화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600B1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771B1 (ko) 양념소스 및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CN107495282B (zh) 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KR102407756B1 (ko)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KR100919600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 함유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CN104432140B (zh) 手撕牛肉条的制备方法
KR100718074B1 (ko) 뽕잎분말을 첨가한 김치와 그 제조방법
CN104905299A (zh) 一种含有可可粉的风味鸭肉肠及其制备方法
KR101923863B1 (ko) 육즙이 풍부한 백숙통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숙통닭
KR101377041B1 (ko)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되는 인삼 다시 및 그 제조방법
KR100792811B1 (ko) 오가피를 함유한 드레싱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295635B1 (ko) 한방재료를 이용한 육류 냄새 제거 및 육질연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육제품
CN110313602A (zh) 一种果蔬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33918A (ko) 조리용 양념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5437B1 (ko) 한방 천연소재를 이용한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CN107028090A (zh) 一种牛肉炸酱面及其制备方法
KR101871971B1 (ko) 대추가 함유된 쌀돈까스
KR100725015B1 (ko) 새우육수를 함유한 배추김치 제조방법
KR102498204B1 (ko) 인삼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2851B1 (ko) 홍어 식해의 제조방법
KR102498205B1 (ko) 죽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27527A (zh) 一种即食南瓜干的制备方法
KR102662894B1 (ko) 양념게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3531B1 (ko) 금화규를 이용한 기능성 돼지수육 제조방법
KR102576871B1 (ko) 호흡기 면역력 강화 도라지만두전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