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5060A -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5060A
KR20090045060A KR1020080106832A KR20080106832A KR20090045060A KR 20090045060 A KR20090045060 A KR 20090045060A KR 1020080106832 A KR1020080106832 A KR 1020080106832A KR 20080106832 A KR20080106832 A KR 20080106832A KR 20090045060 A KR20090045060 A KR 2009004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ignal
video signal
outpu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와따나베
마끼오 니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기기는 적어도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및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기,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접속된 케이블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 및 출력 유닛이 판별 유닛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및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판별 유닛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 신호용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스위치는 출력 유닛이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Figure P1020080106832
영상 기기, 영상 신호, 스위치, 판별 유닛, 출력 유닛

Description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 {VIDEO DEVICE, OUTPUT SWITCHING METHOD FOR VIDEO DEVICE, AND CABLE DISCRIMINATING METHOD}
본 발명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고 있는, 2007년 10월 31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JP 2007-284045호에 대한 주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와 같이 출력 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장치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예로서는 고화질을 가지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 및 표준 화질을 가지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SD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는 촬영한 영상이 텔레비전 수상기와 같은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 유닛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는 휘도 신호(S-Y), 색 신호(S-C) 및 컴포지트(composite) 신호(VIDEO)로 구성되는 표 준 화질 영상 신호(SD 영상 신호)와 R 채널 및 L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A/V 출력 단자 그리고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Cb/Pb) 및 제2 색 신 호(Cr/Pr)로 구성되는 고화질 컴포넌트 영상 신호(H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컴포넌트 출력 단자가 설치된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모니터에 접속시키는 제1 방법에 따르면, 케이블은 A/V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 경우, 1개의 케이블이 모니터 장치에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모니터 장치에 SD 화질의 영상을 표시하고, 오디오를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2 방법에 따르면, 케이블은 컴포넌트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 경우, 영상용의 케이블은 컴포넌트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오디오용의 케이블은 A/V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2개의 케이블이 HD 영상 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하여 오디오를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비디오 카메라 장치 내의 부품 수를 삭감하여 그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래서, 1개의 잭이 A/V 출력 및 컴포넌트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도록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출력 유닛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A/V 출력 및 컴포넌트 출력 단자에 있어서, A/V 출력 단자용 단자 및 컴포넌트 출력 단자용 단자가 컴포지트 영상 신호용의 단자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경우, 단자 수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A/V 출력 및 컴포넌트 출력 단자용 잭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는 휘도 신호(S-Y), 색 신호(S-C) 및 컴포지트 신호(VIDEO)로 구성된 SD 영상 신호 그리고 R 채널 및 L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A/V 출력 단자만을 포함하며, 이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와 상이하다. 그에 반해서,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A/V 출력 및 컴포넌트 출력 단자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는 1개의 잭만을 가지고, 이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A/V 출력 단자와 유사하게 보인다.
그런데, HD 영상 신호가 SD 영상 신호보다 넓은 대역폭(bandwidth)을 가지기 때문에, 광대역의 케이블이 컴포넌트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용으로 사용되고, 이는 A/V 출력 단자와는 상이하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은 HD 모니터 장치에 접속되고,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은 SD 모니터 장치에 접속된다. 따라서,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출력 유닛이 A/V 출력 및 컴포넌트 출력 단자로서 사용되는 경우,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가 SD 영상 신호를 출력할 때에,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케이블이 HD 모니터 장치의 컴포넌트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버릴 수도 있다. 이 경우, HD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로부터 출력된 SD 영상 신호가 모니터에 정확하지 않게 표시된다. 유사하게,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출력 유닛이 HD 모니터 장치의 컴포넌트 입력 단자에 접속되었을 경우에도,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로부터 출력된 SD 영상 신호가 모니터에 정확하지 않게 표시된다.
그 결과,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A/V 출력 단자용 단자와 컴포넌트 출력 단자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경우, 즉 1개의 잭이 양 단자용으로 공용되는 경우, 출력 단자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가 판별되고, 그에 따라 출력될 영상 신호가 절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A/V 출력 단자가 모니터의 컴포넌트 입력 단자에 잘못해서 접속되는 경우,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와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 모두가 출력되는 경우, 잭과 같은 1개의 출력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출력 유닛이 1개인 경우 출력 유닛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정확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기 및 케이블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의 종류가 판별되고, 그 케이블 종류가 잘못된 경우, 사용자에게 케이블 종류가 잘못되었음을 통지하는 영상 기기 및 케이블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는 적어도 컴포지트(composite)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및 고화질의 컴포넌트(component)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 유닛,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접속된 케이블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 및 출력 유닛이 판별 유닛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절환 유닛을 포함한다. 판별 유닛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 신호용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절환 유닛은 출력 유닛이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절환 방법은 출력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여 영상 신호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방법은 판별 유닛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게 하는 단계 및 판별 유닛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 유닛을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는 휘도 신호, 색 신호 및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도록 구성된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준 화질 영상 신호 처리 유닛, 표준 화질 영상 신호를 접속된 케이블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 및 잘못된 케이블이 출력 유닛에 접속되는 경우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고 유닛을 포함한다. 판별 유닛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잘못된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경고 유닛은 경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판별 방법은 출력 유닛이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휘도 신호, 색 신호 및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출력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한다. 상기 방법은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잘못된 케이블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경우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가 판별 유닛에 의해 판별된다. 판별 유닛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의 영상 신호용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했을 때, 출력 유닛은 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된다. 따라서,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와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잭과 같은 1개의 출력 유닛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전체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부품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출력 유닛의 인터페이스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기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출력 유닛이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서 정확하게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가 판별되어 판별 유닛이 틀린 케이블이 출력 유닛에 접속된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 경고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틀린 케이블이 접속되었음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다음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비디오 카메라 장치와 모니터가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본 발명의 예 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가 케이블 접속 장치(30)에 의해 HD 모니터 장치(20)에 접속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고화질을 가지는 영상을 촬영하고, HD 모니터 장치(20)는 고화질의 영상 신호(이후 HD 영상 신호로 칭함)를 표시한다. 또한,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HD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도1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가 SD 모니터 장치(50)에 케이블 접속 장치(60)에 의해 접속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는 표준 화질을 가지는 영상을 촬영하고, SD 모니터 장치(50)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이후, SD 영상 신호로 칭함)를 표시한다. 또한,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SD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화질인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SD 영상 신호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케이블 접속 장치(60)를 사용해서 SD 모니터 장치(50)에 접속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HD 영상 신호와 SD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출력될 영상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접속되는 1개의 잭(11)을 사용한다. 따라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 치(30)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동일한 플러그를 사용한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플러그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플러그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HD 영상 신호가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경우,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잘못 접속되거나, SD 영상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 접속될 수도 있다. 그래서,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가 판별되어서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에 대응하는 HD 영상 신호 또는 SD 영상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경우,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플러그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플러그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 접속될 수도 있다. 그래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 있어서,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가 판별되어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 접속되는 경우, 케이블이 잘못 접속되었다는 경고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뷰 파인더나 모니터에 이루어진다. 또한,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판별하지 않는 종래 기술에 따른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와 비교하여,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경고를 알리는 표시, 예를 들어 적색 스크린이 HD 모니터 장치(20)나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뷰 파인더나 모니터에 표시된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나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서 수행되는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 판별은 플러그 내에 내장된 ID에 의해 수행된다. 상세 사항이 후술될 것이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플러그에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 또는 다른 케이블의 종류를 구별하는 저항 소자가 설치된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 또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는 저항을 검출하여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한다.
(1)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설명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와 HD 모니터 장치(20)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HD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3개의 케이블, 즉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이 일렬로 일체식으로 성형된 3중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2개의 케이블, 즉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일렬로 일체식으로 성형된 2중 제2 케이블 복합체(302)를 포함한다. HD 영상 신호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를 통해 전송되고, 오디오 신호는 제2 케이블 복합체(302)를 통해 전송된다.
제1 케이블 복합체(301)는 HD 영상 신호를 전송하며, HD 영상 신호의 대역폭이 SD 영상 신호보다 넓은 것을 감안하여, SD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케이블보다 광대역인 케이블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HD 영상 신호는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Pb) 및 제2 색 신호(Pr)로 구성된 컴포넌트 영상 신호이다.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1 케이블(301a)은 휘도 신호(Y)를 전송하고, 제2 케이블(301b)은 제1 색 신호(Pb)를 전송하고, 제3 케이블(301c)은 제2 색 신호(Pr)를 전송한다.
또한,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4 케이블(302a)은 L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제5 케이블(302b)은 R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된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에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11)이 접속되는 측에 멀티 플러그(304)가 설치된다.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멀티 플러그(304)에 의해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에는 HD 모니터 장치(20)가 접속되는 측에 RCA 플러그(303)가 설치된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CA의 경우 제1의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이 각각 분리된다. 이 경우, 제1 케이블(301a)에는 Y 플러그(303a)가 설치되고, 제2 케이블(30lb)에는 Pb 플러그(303b)가 설치되고, 제3 케이블(301c)에는 Pr 플러그(303c)가 설치된다. 또한,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은 서로 분리되고, 제4 케이블(302a)에는 L 채널 오디오 플러그(303d)가 설치되고, 제4 케이블(302b)에는 R 채널 오디오 플러그(303e)가 설치된다.
멀티 플러그(304)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11)이 접속되는 측에서 제1 케이블 복합체(301)와 제2 케이블 복합체(302)를 일체화시킨다. 이 경우,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중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2중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제2 케이블 복합체(302)와 대면하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2 케이블(30lb)과 제3 케이블(301c)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최저부(305b) 및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1 케이블(301a)과 제2 케이블(30lb)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최저 부(305a)에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멀티 플러그(304)에 의해 일체화된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적층되고, 이는 일렬로 적층된 5개의 케이블과 비교하여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폭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대략 10mm/10mm(길이/폭)의 외형을 가지고, 이는 크기의 소형화를 허용한다.
또한, 이를 통해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도출되는 멀티 플러그(304)의 배면 주위에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주위를 지지하는 지지부(307)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첩하는 경우, 복수의 외측 최저부(308)가 제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 외측에 형성된다. 멀티 플러그(304)의 배면 주위에 형성된 지지부(307)에는 폐색부(309)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대략 산형인 외측 최저부(308)를 폐색시킨다. 폐색부(309)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를 지지하고, 멀티 플러그(304)의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케이블 복합체(301, 302)가 멀티 플러그(304)로부터 도출될 때에 서로 분리되어 가요성 있게 변위된다. 폐색부(309)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2a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플러그(304)에는 케이스(306) 내부 에, 제1 내지 제5 케이블(301a, 30lb, 301c, 302a, 302b)이 접속되는 단자 부재(311) 및 단자 부재(311)를 덮는 셀(312)이 설치된다.
케이스(306)는 멀티 플러그(304)의 외부 하우징을 구성하고, PVC(polyvinyl chloride)에 의해 성형된다. 케이스(306)는 본체부(306a) 및 이를 통해 제1 케이블 복합체(301)와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도출되는 도출 유닛(306b)을 포함한다. 도출 유닛(306b)은 본체부(306a)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접속되는 단자 부재(311) 그리고 단자 부재(311) 위로 형성되는 셀(312)이 본체부(306a) 내에 장착된다. 또한, 도출 유닛(306b)은 복수의 슬릿(306c)을 가지고 가요성을 갖도록 본체부(306a)로부터 연장한다. 도출 유닛(306b)은 본체부(306a)로부터 도출된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마모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4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부재(311)의 일단부에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11)에 삽입되는 단자부(313)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을 접속하는 접속 유닛(314)이 설치된다.
단자부(313)의 플러그는 대략 D자 형상을 가지고, 도전성 셀(312)이 단자 주위를 피복한다. 단자부(313)는 케이스(306)의 전방면으로부터 셀(312)에 의해 덮어진 상태에서 돌출하고,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11)에 삽입된다.
여기서, 단자부(313)의 핀 배치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다.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핀이 2열, 즉 총 10개의 핀이 단자부(313)에 배열된다.
1열
1번 핀: L 채널의 오디오 신호 단자.
2번 핀: 민간용 VCR 컨트롤용으로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인 LANC(local application control bus system)용 신호 단자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번 핀은 공백임.
3번 핀: 영상 신호용의 GND 단자.
4번 핀: LANC의 AC 전력 공급 단자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4번 핀은 공백임
5번 핀: 제1 색 신호(Pb) 단자.
2열
6번 핀: R 채널의 오디오 신호 단자.
7번 핀: 플러그 ID 단자, 여기에서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를 도시하는 저항 소자(예를 들어, 33kΩ)가 접속되고, 저항 소자의 타단부는 GND 선에 접속됨.
8번 핀: 오디오 신호용의 GND 단자.
9번 핀: 제2 색 신호(Pr) 단자.
10번 핀: 휘도 신호(Y) 단자.
전술된 바와 같이, 단자부(313)는 오디오 신호용의 단자(1번 핀 및 6번 핀)가 종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영상 신호용의 단자(10번 핀, 9번 핀, 5번 핀)가 종방향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출력 단자 열과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신호 단자 및 영상 신호 단자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전송될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도4와 도6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된 단자부(313)의 반대 측에 설치되는 접속 유닛(314)은 기단부에 설치되는 제1 단차부(315) 및 제1 단차부(315) 앞 선단부에 설치되고 제1 단차부(315) 보다 얇은 제2 단차부(316)를 가진다. 각각의 단차부(315, 316)의 마주하는 면 상에는,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납땜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 단자(31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차부(315)의 한쪽 면에는, 1번 핀, 3번 핀 및 5번 핀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접속 단자(3171, 3173, 3175)가 설치된다. 또한, 제2 단차부(316)의 한쪽 면에는, 접속 단자(3172, 3174)가 설치된다. 또한, 제1 단차부(315)의 다른 쪽 면에는, 6번 핀, 8번 핀 및 10번 핀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접속 단자(3176, 3178, 31710)가 설치된다. 제2 단차부(316)의 다른 쪽 면에는, 접속 단자(3177, 3179)가 설치된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은 접속 단자(3171 내지 10)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단자(3171 : 1번 핀에 대응) -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4 케이블(302a : L 채널의 오디오 신호)이 접속됨.
접속 단자(3172 : 2번 핀에 대응) - LANC 신호 케이블이 접속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백임.
접속 단자(3173 : 3번 핀에 대응) -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3 케이블(301c)의 GND 선이 접속됨.
접속 단자(3174 : 4번 핀에 대응) - LANC의 AC 전원 공급 케이블이 접속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백임.
접속 단자(3175 : 5번 핀에 대응) -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2 케이블[30lb : 제1 색 신호(Pb)]이 접속됨.
접속 단자(3176 : 6번 핀에 대응) -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5 케이블(302b : R 채널의 오디오 신호)이 접속됨.
접속 단자(3177 : 7번 핀에 대응) - 플러그 ID가 되는 저항 소자(318 : 예를 들어, 33KΩ)의 일단부가 접속됨.
접속 단자(3178 : 8번 핀에 대응) -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5 케이블(302b)의 GND 선이 접속되고, 저항 소자(318)의 타단부도 접속됨.
접속 단자(3179 : 9번 핀에 대응) -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3 케이블[301c : 제2 색 신호(Pr)]이 접속됨.
접속 단자(31710 : 10번 핀에 대응) -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1 케이 블[301a : 휘도 신호(Y)]이 접속됨.
도4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GND 선은 단자 부재(311)의 단자부(313)를 덮는 셀(312)에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셀(312)은 그 위에 니켈 도금이 가해져서 도전성을 가진다. 셀(312)은 단자 부재(311)의 단자부(313)가 삽입되는 튜브(319) 및 튜브(319)의 양측에 형성되는 아암부(320)를 포함한다. 아암부(320)에는 케이블의 GND 선이 접속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단자 부재(311)의 접속 유닛(317)에 설치된 접속 단자(3171 내지 10)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고, GND 선이 셀(312)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면, 멀티 플러그(304)는 도8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부재(311) 혹은 셀(312)과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과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 사이의 접속 부분, 즉 단자 부재(311)의 접속 유닛(314)을 보호하기 위해서, 내부 몰드(321)가 설치된다. 내부 몰드(321)가 설치되는 부분은 멀티 플러그(304)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케이스(306)의 본체부(306a)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내부 몰드(321)는 PE(Polyethylene) 수지로 성형된다. 이후, 내부 몰드(321) 위에 케이스(306)가 성형된다.
여기서, 도10은 케이스(306)가 성형될 때의 제1 금형(330)을 도시한다. 제1 금형(330)은 2중의 제2 케이블 복합체(302)를 성형하는 금형이다. 제1 금형(330)은 케이스(306)의 본체부(306a)를 성형하는 본체 성형부(331), 케이스(306)의 도출 유닛(306b)을 성형하는 도출 유닛 성형부(332), 셀(312)에 의해 덮어진 단자 부재(311)의 단자부(313)를 구비한 본체 성형부(331)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단자 배치부(333) 및 서로 중첩하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와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배치되는 도출 유닛 성형부(332)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케이블 배치부(334)를 포함한다.
도11은 제1 금형(330)이 제1 금형(330)에 로킹되는 제2 금형(340)과 몰드-결합되었을 때의 상태인 케이블 배치 유닛(334)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케이블 배치 유닛(334)은 제2 케이블 복합체(302)를 유지하는 대략 반원 형상의 연속한 케이블 유지부(335a, 335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양측을 유지하는 케이블 지지부(336a, 336b)는 케이블 유지부(335a, 335b)의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케이스(306)가 성형되는 경우, 수지가 제1 금형(330)과 제2 금형(340)을 몰드-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캐비티(339) 내에 사출 및 충전된다. 이러한 경우, 캐비티(339) 내에 사출 및 충전된 수지가 케이블 배치 유닛(334)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외측 최저부(308)를 따라 바람직하지 못하게 스며 나올 수도 있다. 또한, 수지가 제1 케이블 복합체(301)와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사이에 설치되는 최저부(305a, 305b)에서 스며 나올 수도 있다.
여기서,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지지부(336a, 336b)에 근접하는, 케이블 배치 유닛(334)의 케이블 유지부(335a, 335b)의 단부(337)는 케이 블 유지부(335a, 335b)에 의해 유지된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을 서로 근접하도록 압축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양측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336a, 336b)도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이 서로 근접하도록 압축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한다. 즉, 제1 금형(330)에서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케이블 유지부(335a, 335b) 및 케이블 지지부(336a, 336b)에 의해 폭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케이블 지지부(336a, 336b)의 선단부(338), 즉 제2 금형(340)과 로킹되는 부분은 외측을 향해 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금형(330)과 쌍을 이루는 제2 금형(340)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제1 내지 제3 케이블(301a, 30lb, 301c)을 유지하는 대략 반원 형상의 연속의 케이블 유지부(341a, 34lb, 341c)를 포함한다. 제1 금형(330)의 케이블 지지부(336a, 336b)의 원호 형상의 선단부(338)를 수용하는 수용부(342)는 양측에 배치되는 케이블 유지부(341a, 341c) 근처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 결합은 제1 금형(330)의 케이블 지지부(336a, 336b)의 선단부(338)가 제2 금형(340)의 수용부(342)와 결합되도록 수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케이블 유지부(335a, 335b) 및 케이블 지지부(336a, 336b)에 의해 폭 방향으로 압축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도11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제2 금형(340)을 사용하여 서로 근접하 도록 압축된다. 따라서, 제1 금형(330) 및 제2 금형(340)이 서로 몰드-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외측 최저부(308), 특히 제1 케이블 복합체(301)와 제2 케이블 복합체(302) 사이에 설치되는 외측 최저부(308a) 부분이 감소된다. 그 결과, 캐비티(339) 내부로 사출-충전된 수지가 케이블 배치 유닛(334)에 배치되는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외측 최저부(308)를 따라 스며 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압축되기 때문에, 캐비티(339) 내부로 사출-충전된 수지가 제1 케이블 복합체(301)와 제2 케이블 복합체(302) 사이에 형성되는 최저부(305a, 305b)에서 스며나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금형(330) 및 제2 금형(340)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에 있어서, 캐비티(339) 내로 수지를 사출 및 충전하는 게이트는 케이블 배치 유닛(334)으로부터 분리된 본체 성형 유닛(331)에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블 배치 유닛(334)의 압력이 감소되는 경우, 수지의 스며나옴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금형(330) 및 제2 금형(340)이 개방되어, 성형 제품인 멀티 플러그(304)가 방출되면, 제1 및 제2 금형(330, 340)에 의해 압축되어 있었던 제1의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도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외주부는 폐쇄 유닛(309)에 근접하여 밀착되어, 폐쇄 유닛(309)에 의해 강도가 향상된다. 먼지가 멀티 플러그(304)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에 따르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는 제2 케이블 복합체(302)의 제4 및 제5 케이블(302a, 302b)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의 최저부(305a, 305b)에 위치되고 멀티 플러그(304)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5개의 케이블이 일렬로 배열되는 5중 케이블과 비교하면, 멀티 플러그(304)의 폭이 좁아질 수 있고, 예를 들어 10mm/10mm(길이/폭)인 외형을 가지고, 이는 크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영상 신호용의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오디오 신호용의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멀티 플러그(304) 이외의 부분에서는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 사이의 크로스 토크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에서는, 80db 이상의 크로스 토크를 가지는 케이블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750Ω 및 30MHz의 특성 임피던스에서 0.1db 이하의 쇠퇴량(attenuation)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 장치(30)에서는, 3중의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2중의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중첩된다. 따라서, 멀티 플러그(304)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케이스(306)가 성형되는 경우,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서로 근접하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수지가 사출 및 충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지가 스며 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시각적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버어(burr)의 제거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제2 케이블 복합 몸(302)의 외주부는 폐쇄 유닛(309)에 거의 밀착되고, 폐쇄 유닛(309)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다. 또한, 먼지가 멀티 플러그(304) 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앞선 실시예에 따른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3중의 제1 케이블 복합체(301) 및 2중의 제2 케이블 복합체(302)가 적층되어 멀티 플러그(304)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홀수개의 평행 케이블 및 짝수개의 평행 케이블이 적층되는 것이면, 케이블 접속 장치(30)와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D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2개의 케이블과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3중 케이블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2중 케이블과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1개의 케이블이 2중 케이블의 최저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상기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플러그 ID로서 저항 소자를 사용했지만, RFID 태그와 같은 다른 식별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와 HD 모니터 장치(20)를 접속하는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VTR과 HD 모니터 장치(20)를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Cb) 및 제2 색 신호(Cr)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에는 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방사 노이즈 또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멀티 플러그(304), Y 플러그(303a), Pb 플러그(303b), Pr 플러그(303c), L 채널 오디오 플러그(303d) 또는 R 채널 오디오 플러그(303e)의 근방에 케이블의 중심을 통과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페라이트(ferrite) 코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2)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설명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 또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를 SD 모니터 장치(50)에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SD 영상 신호용의 제1 케이블(601)과 오디오 신호용의 제2 및 제3의 케이블(602, 603)이 일렬로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3중 케이블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 접속 장치(60)에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에서 사용된 멀티 플러그(30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멀티 플러그(600)가 설치된다. 멀티 플러그(600)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 또는 SD 비디오 카메라(40)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 장치(30) 쪽에 설치된다. 또한, SD 모니터 장치(50)에 접속되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다른 쪽에는, SD 영상 신호용 플러그(604)가 제1 케이블(601)을 위해 설치되고, L 채널 오디오 플러그(605)가 제2 케이블(602)을 위해 설치되고, R 채널 오디오 플러그(606)가 제3 케이블(603)을 위해 설치된다. SD 영상 신호 플러그(604)는 컴포넌트 신호(VIDEO)를 출력하는 RCA 플러그이거나 S 단자로서 구성된다. 3개의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 컴포넌트 신호(VIDEO)용 플러그에 추가하여, 휘도 신호(S-Y)용 플러그 및 색 신호(S-C)용의 플러그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표준적인 케이블이 제1 내지 제3 케이블(601, 602, 603)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 용도로 사용되는 광대역 케 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 또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 접속되는 멀티 플러그(600)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 또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 설치되는 잭(11, 41)에 접속된다.
여기서,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여 멀티 플러그(600)의 핀 배치가 설명될 것이다.
1열
1번 핀: L 채널의 오디오 신호 단자.
2번 핀: LANC의 신호 단자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번 핀은 공백임.
3번 핀: 영상 신호용의 GND 단자.
4번 핀: LANC의 AC 전력 공급 단자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4번 핀은 공백임.
5번 핀: 색 신호(S-C) 단자.
2열
6번 핀: R 채널의 오디오 신호 단자.
7번 핀: 단락. 저항 소자(318)가 접속되지 않음.
8번 핀: 오디오 신호용의 GND 단자.
9번 핀: 컴포지트 신호(VIDEO) 단자.
10번 핀: 휘도 신호(S-Y) 단자.
전술된 구성을 가지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멀티 플러 그(600)를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41) 또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잭(41)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SD 모니터 장치(50) 상에 SD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 및 SD 모니터 장치(50)에 접속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VTR 및 SD 모니터 장치(50)에 접속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와 마찬가지로,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에도 케이블로부터 발생되는 방사 노이즈 또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중심을 통과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3)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설명
전술한 바와 같이,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잭(11)으로부터 HD 영상 신호 및 SD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또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가 잭(11)에 선택적으로 삽입 접속된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는 서로 물리적으로 동일하고 10개의 핀을 가진다. 멀티 플러그(304, 600)에 삽입되는 잭(11)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1번 내지 4번, 6번 및 8번 핀이 HD 영상 신호를 출력할 때의 신호의 종류는 1번 내지 4번, 6번 및 8번 핀이 SD 영상 신호를 출력할 때의 신호의 종류와 다르지 않다.
7번 핀은 플러그 ID를 나타내고, 소정 저항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를 사용하는 경우, 7번 핀의 저항값은 33kΩ이다. 그러나,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항 소자가 7번 핀에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저항값은 0Ω이다.
5번 핀은 HD 영상 신호의 경우에 제1 색 신호(Pb)를 출력하고, SD 영상 신호의 경우에 색 신호(S-C)를 출력한다.
9번 핀은 HD 영상 신호의 경우에 제2 색 신호(Pr)를 출력하고, SD 영상 신호의 경우에 컴포지트 신호(VIDEO)를 출력한다.
10번 핀은 HD 영상 신호의 경우에 휘도 신호(Y)를 출력하고, SD 영상 신호의 경우에도 휘도 신호(S-Y)를 출력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디지털 H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 디지털 S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와 SD 디지털 신 호 처리 회로(102)를 절환하는 제1 절환 스위치(103), 디지털 HD 영상 신호 또는 디지털 SD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104) 및 아날로그 HD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되는 H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5), 아날로그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되는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6), 잭(11)에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07), 촬상 유닛에서 촬상된 영상을 HD 영상 신호 또는 SD 영상 신호로 기록 보존하는 기록부(108) 및 H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5)와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6)로부터의 출력을 절환하는 인버터(109)를 포함한다.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는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와 같은 촬상 소자에 의해 촬상된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Pb) 및 제2 색 신호(Pr)를 가지도록 구성된 HD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기록부(108)에 보존한다. 또한,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로 출력될 때,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는 기록부(108)로부터 디지털 HD 영상 신호, 즉 컴포지트 영상 신호를 판독한다.
또한,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는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에의해 촬상된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S-Y)를 생성하고, 색 차이 신호(R-Y, B-Y)로부터 색 신호(S-C)를 생성한다. 이후,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는 휘도 신호(S-Y)와 색 신호(S-C)를 합성한 컴포지트 신호(VIDEO)를 디지털 신호로서 기록부(108)에 보존한다. 신호가 SD 모니터 장치(50)로 출력될 때,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는 기록부(108)로부터 디지털 SD 영상 신호, 즉 컴포지트 신호(VIDEO)를 판독하고, 컴포지트 신호(VIDEO)로부터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생성한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접속되는 경우, 제1 절환 스위치(103)는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를 선택하여, HD 영상 신호, 즉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Pb) 및 제2 색 신호(Pr)를 D/A 컨버터(104)로 출력한다. 또한,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접속되는 경우, 제1 절환 스위 치(103)는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를 선택하여, SD 영상 신호, 즉 컴포지트 신호(VIDEO)로부터 생성된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 -C)를 D/A 컨버터(104)로 출력한다.
D/A 컨버터(104)는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로부터의 HD 영상 신호 또는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로부터의 SD 영상 신호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입력 포트(104a) 및 제1 내지 제3 출력 포트(104b, 104c, 104d)를 포함한다.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로부터 디지털 HD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D/A 컨버터(104)는 디지털 휘도 신호(Y)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출력 포트(104b)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D/A 컨버터(104)는 디지털 제2 색 신호(Pr)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출력 포트(104c)를 통해 출력하고, 디지털 제1 색 신호(Pb)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3 출력 포트(104d)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로부터 디지털 SD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D/A 컨버터(104)는 디지털 휘도 신호(S-Y)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출력 포트(104b)를 통해 출력하고, 디지털 색 신호(S-C)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출력 포트(104c)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경우, 제3 출력 포트(104e)를 통해서는 어떤 신호도 출력되지 않는다.
H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5)는 아날로그 HD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H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5)는 제2 절환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105a)는 D/A 컨버터(104)의 제1 출력 포트(104b)와 잭(11)의 10번 핀 사이에 설치되어, H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Y)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2 스위치(105b)는 D/A 컨버터(104)의 제2 출력 포트(104c)와 잭(11)의 9번 핀 사이에 설치되어, H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제2 색 신호(Pr)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3 스위치(105c)는 D/A 컨버터(104)의 제3 출력 포트(104d)와 잭(11)의 5번 핀 사이에 설치되어, H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제1 색 신호(Pb)의 출력을 제어한다.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6)는 아날로그 SD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6)는 제2 절환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포함한다. 제4 스위치(106a)는 D/A 컨버터(104)의 제1 출력 포트(104b)와 잭(11)의 10번 핀 사이에 설치되어,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S-Y)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5 스위치(106b)는 D/A 컨버터(104)의 제2 출력 포트(104c)와 잭(11)의 5번 핀 사이에 설치되어,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색 신호(S-C)의 출력을 제어한다.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106)는 D/A 컨버터(104)의 제1 출력 포트(104b)와 제2 출력 포트(104c)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106d)를 더 포함한다. 가산기(106d)는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가산해서 컴포지트 신호(VIDEO)를 생성한다. 제6 스위치(106c)는 가산기(106d)와 9번 핀 사이에 설치되어,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컴포지트 신호(VIDEO)의 출력을 제어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7번 핀의 저항값을 검출한다. 따라서, 저항이 소정값, 즉 33kΩ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 치(30)가 잭(1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저항이 0Ω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잭(1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저항이 ∞Ω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잭(11)에 케이블 접속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107)가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잭(1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제1 스위치(103)를 단자(101a)에 접속하고,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와 D/A 컨버터(104)를 접속하기 위해 제1 스위치(103)를 절환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07)가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잭(1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제1 스위치(103)를 단자(102a)에 접속하고,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를 D/A 컨버터(104)에 접속하기 위해 제1 스위치(103)를 절환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인버터(109)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와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109)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와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마이크로 컴퓨터(107)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절환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HD 영상 신호가 출력될 때, 인버터(109)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를 턴온시키고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턴오프시킨다. 따라서, H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Y)는 잭(11)의 10번 핀으로부터 출력되고, H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제2 색 신호(Pr)는 잭(11)의 9번 핀으로부터 출력되고, H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제1 색 신호(Pb)는 잭(11)의 5번 핀으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아날로그 SD 영상 신호가 출력될 때, 인버터(109)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를 턴오프시키고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턴온시킨다. 따라서,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S-Y)는 잭(11)의 10번 핀으로부터 출력되고,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컴포지트 신호(VIDEO)는 잭(11)의 9번 핀으로부터 출력되고,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색 신호(S-C)는 잭(11)의 5번 핀으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에,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11)에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HD 영상 신호 또는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까지의 프로세스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S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7번 핀의 저항값을 검출하여, 저항값이 ∞Ω으로부터 0Ω까지 혹은 33k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저항이 0Ω 또는 33kΩ인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 중 어느 것이 잭(11)에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케이블이 잭(11)에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단계(S2)에서 저항이 소정값, 예를 들어 33kΩ인지를 판단한다. 저항이 소정값이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접속되었다고 판단하고, 단계(S3)로 진행한다. 반대로, 저항이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접속되었다고 판단하고, 단계(S4)로 진행한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단계(S3)에서 제1 절환 스위치(103)를 단자(101a)에 접속하여서, HD 영상 신호를 D/A 컨버터(104)로 출력시킨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인버터(109)를 제어하여서,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를 턴온시키고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턴오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H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1)는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Pb) 및 제2 색 신호(Pr)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D/A 컨버터(104)로 출력한다. D/A 컨버터(104)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제1 출력 포트(104b)를 통해 아날로그 휘도 신호(Y)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휘도 신호(Y)는 제1 스위치(105a)를 통해서 10번 핀으로 출력된다. D/A 컨버터(104)는 제2 출력 포트(104c)를 통해 아날로그 제2 색 신호(Pr)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제2 색 신호(Pr)는 제2 스위치(105b)를 통해 9번 핀으로 출력된다. D/A 컨버터(104)는 제3 출력 포트(104d)를 통해 아날로그 제1 색 신호(Pb)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제1 색 신호(Pb)는 제3 스위치(105c)를 통해 5번 핀으로 출력된다. 또한, 1번 및 6번 핀으로부터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는 Y 플러그(303a)가 HD 모니터 장치(20)의 Y 입력 단자(21a)에 접속되고 Pb 플러그(303b)가 Pb 입력 단자(2lb)에 접속되고 Pr 플러그(303c)가 Pr 입력 단자(21c)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L 채널 오디오 플러그(303d)는 L 채널 오디오 입력 단자(21d)에 접속되고, R 채널 오디오 플러그(303e)는 R 채널 오디오 입력 단자(21e)에 접속된 다. 따라서, HD 모니터 장치(20)에는, HD 영상 신호가 표시되고 스테레오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단계(S4)에서 제1 스위치(103)를 단자(102a)에 접속하여, SD 영상 신호를 D/A 컨버터(104)로 출력시킨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인버터(109)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스위치(105a, 105b, 105c)를 턴오프시키고 제4 내지 제6 스위치(106a, 106b, 106c)를 턴온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서,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는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D/A 컨버터(104)로 출력한다. D/A 컨버터(104)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출력 포트(104b)를 통해 아날로그 휘도 신호(S-Y)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휘도 신호(S-Y)는 제4 스위치(106a)를 통해 10번 핀으로 출력된다. D/A 컨버터(104)는 제2 출력 포트(104c)를 통해 아날로그 색 신호(S-C)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색 신호(S-C)는 제5 스위치(106b)를 통해 5번 핀으로 출력된다. 또한, 가산기(106d)는 아날로그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가산해서 컴포지트 신호(VIDEO)를 생성하여 9번 핀으로 출력한다. 또한, 1번 핀 및 6번 핀으로부터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SD 영상 신호 플래그(604)가 SD 모니터 장치(50)의 RCS의 S 단자(61a) 또는 컴포지트 입력 단자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L 채널 오디오 플러그(605)는 L 채널 오디오 입력 단자(61b)에 접속되고, R 채널 오디오 플러그(606)는 R 채널 오디오 입력 단 자(61c)에 접속된다. 따라서, SD 모니터 장치(50)에는, SD 영상 신호가 표시되고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전술된 구성이 채택되는 경우,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는 HD 영상 신호 및 SD 영상 신호 모두를 출력할 수 있으면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 모두가 1개의 잭(11)에 접속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잭의 수 및 부품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에서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 모두가 1개의 잭(11)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 경우, 케이블의 종류가 판별되고,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HD 영상 신호와 SD 영상 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틀린 영상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나 SD 모니터 장치(50)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다양한 케이블 종류를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에 있어서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저항이 33kΩ으로 정의되고,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저항이 0Ω으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다른 저항값이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접속되는 케이블에 할당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07)에 의해 판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L 채널 오디오 신호와 R 채널 오디오 신호만이 출력된다. 또한, 다른 저항값이 원격 조작 장치와 같은 수동 조작 장치에 접속되는 케이 블에 할당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07)에 의해 판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가 LANC용으로 사용되는 4번 핀 및 2번 핀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또는 전송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번 및 4번 핀은 공백이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다양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4)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설명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는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잭(41)을 포함한다. 잭(41)은 오로지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에 접속된다. 이 경우,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는 물리적으로 동일 형상을 가지는 것을 고려할 때, 잭(41)은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10)의 잭(11)과 물리적으로 동일하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는 디지털 S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401), 디지털 SD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402), 아날로그 S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3), 잘못된 케이블 접속 장치가 잭(41)에 접속되었을 때에 표시되는 경고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고용 데이터 메모리(404), 잭(41)에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판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405) 및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401)의 출력을 절환하는 스위치(406)를 포함한다.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는 CCD 또는 CMOS 센서와 같은 촬상 소자에 의해 촬상된 신호로부터의 휘도 신호(S-Y) 및 색 차이 신호(R-Y, B-Y)로부터의 색 신호(S-C)를 생성하고,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합성해서 컴포지트 신호(VIDEO)를 디지털 신호로서 기록부(407)에 보존한다. 또한, 신호가 SD 모니터 장치(50)로 출력될 때,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는 기록부(407)로부터 디지털 SD 영상 신호, 즉 컴포지트 영상 신호(VIDEO)를 판독하고, 컴포지트 신 호(VIDEO)로부터 휘도 신호(S-Y)와 색 신호(S-C)를 분리시킨다.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스위치(406)에 접속되었을 때, 스위치(406)는 SD 영상 신호, 즉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D/A 컨버터(402)로 출력하기 위해 턴온된다. 또한, 잘못된 케이블, 즉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접속되었을 때, 스위치(406)는 SD 영상 신호의 출력을 방지하기 위해 턴오프된다.
D/A 컨버터(402)는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102)로부터의 SD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포트(402a)와 제1 및 제2 출력 포트(402b, 402c)를 포함한다.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401)로부터 디지털 SD 영상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D/A 컨버터(402)는 디지털의 휘도 신호(S-Y)를 아날로그 신호에 변환하여 제1 출력 포트(402b)를 통해 출력하고, 디지털 색 신호(S-C)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출력 포트(402c)를 통해 출력한다.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3)는 출력될 아날로그 S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SD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03)는 D/A 컨버터(402)의 제1 출력 포트(402b) 및 제2 출력 포트(402c)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403a)를 포함한다. 가산기(403a)는 SD 영상 신호의 아날로그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가산 해서 컴포지트 신호(VIDEO)를 생성한다.
따라서, D/A 컨버터(402)의 제1 출력 포트(402b)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휘도 신호(S-Y)는 잭(41)의 10번 핀으로 입력되고, D/A 컨버터(402)의 제2 출력 포트(402c)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색 신호(S-C)는 잭(41)의 5번 핀으로 입력되고, 가산기(403a)에 의해 생성된 컴포지트 신호(VIDEO)는 잭(41)의 9번 핀으로 입력된다.
경고용 데이터 메모리(404)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 대신에 잘못된 케이블이 잭(41)에 접속되었을 때에,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모니터나 뷰파인더와 같은 표시 유닛(408)에 경고 알림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잭(41)에 접속되는 경우, HD 모니터 장치(20)가 거기에 접속될 가능성이 높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모니터 장치(20)에는 컴포넌트 신호용의 입력 단자, 즉 Y 입력 단자(21a), Pb 입력 단자(2lb) 및 Pr 입력 단자(21c)가 설치된다. 따라서, HD 모니터 장치(20)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 접속되어, SD 영상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에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Y 플러그(303a)는 Y 입력 단자(21a)에 접속되고, Pb 플러그(303b)는 Pb 입력 단자(2lb)에 접속된다. 또한, Pr 플러그(303c)는 Pr 입력 단자(21c)에 접속된다. 따라서, SD 영상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에 입력되게 되어서, 정확하게 표시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경고용 데이터 메모리(404)는 문자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 화상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같은 경고용 데 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경고용 데이터 메모리(404)는 "이 케이블은 이 모니터에 대응하지 않음"과 같은 경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7번 핀의 저항을 검출한다. 저항이 소정값, 예를 들어 33kΩ이면,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해서 잭(4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저항이 0Ω이면,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잭(4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저항이 ∞Ω이면,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잭(41)에 어떠한 케이블도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405)가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해서 잭(4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스위치(406)를 턴오프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405)가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잭(41)에 올바르게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단자(401a)에 접속되도록 스위치(406)를 턴온시켜서, 스위치(406)를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401)와 D/A 컨버터(402)가 접속하도록 절환한다.
다음으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잭(41)에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까지의 프로세스가 도17을 참조해서 설명될 것이다.
단계(S1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7번 핀 저항값을 검출하여 저항값이 ∞Ω 내지 0Ω 또는 33kΩ인지를 판단한다. 저항이 0Ω 또는 33kΩ이면,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 그(304) 및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 중 하나가 잭(41)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다. 케이블이 잭(41)에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단계(S12)에서 저항값이 소정값, 예를 들어 33kΩ인지를 판단한다. 저항이 소정값이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해서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S13)로 진행한다. 반대로, 저항이 소정값이 아니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정확하게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S14)로 진행한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하여 잭(41)에 접속되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단계(S13)에서 스위치(406)를 단자(401a)로부터 분리하고 스위치(406)를 턴오프시킨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SD 영상 신호의 출력을 방지하고, SD 영상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경고용 데이터 메모리(404)로부터 경고용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모니터 또는 뷰 파인더와 같은 표시부(408)에 경고용 데이터를 표시한다.
마이크로 컴퓨터(405)가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정확하게 접속되었다고 판단했을 때, 마이크로 컴퓨터(405)는 단계(S14)에서 스위치(406)를 턴온시켜서 단자(401a)와 D/A 컨버터(402)를 접속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SD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401)는 휘도 신호(S-Y) 및 색 신호(S-C)를 D/A 컨버터(402)로 출력한다. D/A 컨버터(402)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출력 포트(402b)를 통해 아날로그 휘도 신호(S-Y)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휘도 신호(S -Y)는 10번 핀으로 출력된다. 또한, D/A 컨버터(402)는 제2 출력 포트(402c)로부터 아날로그 색 신호(S-C)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색 신호(S-C)는 5번 핀으로 출력된다. 또한, 가산기(403a)는 아날로그 휘도 신호(S-Y)와 색 신호(S-C)를 합성하여 컴포지트 신호(VIDEO)를 생성하여 9번 핀으로 출력한다. 1번 및 6번 핀으로부터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는 SD 영상 신호 플러그(604)가 SD 모니터 장치(50)의 RCA의 컴포지트 입력 단자 또는 S 단자(61a)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L 채널 오디오 플러그(605)는 L 채널 오디오 입력 단자(61b)에 접속되고, R 채널 오디오 플러그(606)는 R 채널 오디오 입력 단자(61c)에 접속된다. 따라서, SD 모니터 장치(50)에서는, SD 영상 신호가 표시되고 스테레오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405)가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가 정확하게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와 같은 잘못된 케이블이 접속되었을 때, SD 영상 신호의 출력이 방지된다. 따라서, 잘못된 영상이 HD 모니터 장치(20)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서는,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가 모니터나 뷰 파인더와 같은 표시 유닛(408)에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에 잘못해서 접속된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17을 참조하면,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 러그(304)가 잘못해서 잭(41)에 접속되면,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는 스위치(406)를 턴오프하여 SD 영상 신호의 출력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경우 SD 영상 신호의 출력이 방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HD 모니터 장치(20)에 적색 화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적색은 경고를 행할 때에 사용되기 때문에, HD 모니터 장치(20)에 적색 화상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잘못해서 접속된 것을 알 수 있다.
(5) 종래 기술의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설명
종래 기술에 따른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는 도16에 도시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로부터 마이크로 컴퓨터(405) 및 경고용 데이터 메모리(404)가 배제된 구성을 가진다. 다른 구성은 도16에 도시한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와 동일하다. 즉,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의 잭은 상술의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40)의 잭(41)과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잭에,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60)의 멀티 플러그(600) 이외에, HD 모니터 장치(20)에 접속되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가 잘못해서 접속될 수도 있다.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멀티 플러그(304)가 종래 기술에 따른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잭에 잘못해서 접속되었을 때에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 영상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에 입력되게 된다.
이 경우,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 및 HD 모니터 장치(20)는 정확하게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SD 영상 신호가 HD 모니터 장치(20) 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게 된다.
휘도 신호(S-Y) : HD 모니터 장치(20)의 휘도 신호(Y) 입력 단자(21a).
색 신호(S-C) : HD 모니터 장치(20)의 제1 색 신호(Pb) 입력 단자(2lb).
컴포지트 신호(VIDEO) : HD 모니터 장치(20)의 제2 색 신호(Pr) 입력 단자(21c).
따라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모니터 장치(20)의 휘도 신호(Y) 입력 단자(21a), 제1 색 신호(Pb) 입력 단자(2lb) 및 제2 색 신호(Pr) 입력 단자(2lb)는 동기 신호(sync)를 검출한다.
따라서, HD 모니터 장치(20)의 휘도 신호(Y) 입력 단자(21a)에 있어서는, 동기 신호(sync)가 SD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S-Y)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SD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S-Y)가 HD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Y)로서 인식될 수도 있다.
또한, HD 모니터 장치(20)의 제1 색 신호(Pb) 입력 단자(21b)에 있어서는, SD 영상 신호의 색 신호(S-C)가 입력되더라도, 동기 신호(sync)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색 신호(S- C)가 청(blue) 성분인 제1 색 신호(Pb)로서 인식되지 않는다.
또한, HD 모니터 장치(20)의 제2 색 신호(Pr) 입력 단자(21c)에 있어서는, 동기 신호(sync)가 SD 영상 신호의 컴포지트 신호(VIDEO)에 포함된다. 따라서, SD 영상 신호의 컴포지트 신호(VIDEO)가 적(red) 성분인 HD 영상 신호의 제2 색 신호(Pr)로서 인식된다.
결과적으로, SD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Y) 및 제2 색 신호(Pr)를 인식함으로 써, HD 모니터 장치(20)는 적색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적색은 일반적으로 경고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HD 모니터 장치(20)를 관찰함으로써 잘못된 케이블이 접속된 것을 알 수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폭보다 큰 진폭을 갖는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HD 모니터 장치(20)는 휘도 신호(Y), 제1 색 신호(Pb), 제2 색 신호(Pr)를 인식한다. 따라서,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와 HD 모니터 장치(20) 사이에 플러그가 잘못해서 삽입되는 경우, HD 모니터 장치(20)는 다음과 같이 적색 이외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휘도 신호(S-Y) : HD 모니터 장치(20)의 휘도 신호(Y) 입력 단자(21a).
색 신호(S-C) : HD 모니터 장치(20)의 제2 색 신호(Pr) 입력 단자(21c).
컴포지트 신호(VIDEO) : HD 모니터 장치(20)의 제1 색 신호(Pb) 입력 단자(2lb).
이 경우, 동기 신호를 갖는 컴포지트 신호(VIDEO)가 제1 색 신호(Pb) 입력 단자(2lb)에 입력되기 때문에, HD 모니터 장치(20)에는 청색의 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HD 모니터 장치(20)에 정상이지 않은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HD 모니터 장치(20)를 관찰함으로써 잘못된 케이블이 접속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 모니터 장치(20)는 영상 신호의 영역(X) 중의 휘도 신호(S-Y)의 진폭이 커지는 것만큼 밝은 영상이 표시되고 컴포지트 신호(VIDEO)의 진폭이 커지는 것만큼 빨강 또는 파랑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컴포지트 신호(VIDEO)가 HD 모니터 장치(20)의 휘도 신호(Y) 입력 단자(21a)에 입력되어, 휘도 신호(S-Y)가 제1 색 신호(Pb) 입력 단자(2lb) 또는 제2 색 신호(Pr) 입력 단자(21c)에 입력된다. 이 경우, 휘도 신호(Y) 입력 단자(21a)가 색채 성분을 휘도 신호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깜박이는 화상이 전체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HD 모니터 장치(20)에 정상이지 않은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HD 모니터 장치(20)를 관찰함으로써 잘못된 케이블이 접속된 것을 알 수 있다.
(6)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의 변형예
앞선 실시예에서는, RCA 플러그를 사용함으로써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30)가 HD 모니터 장치(20)에 접속되었지만, D 단자 플러그(22)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 모니터 장치(20)에 접속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D 단자 플러그(22)는 HD 모니터 장치(20)의 D 단자(23)에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HD 컴포넌트 영상 신호(Y, Pb, Pr) 및 R채널과 L채널의 오디오 신호가 1개의 커넥터 접속에 의해 수신 및 전송될 수 있고, 이는 RCA와 비교하여 플러그의 수를 감소시킨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있어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 범위 내이기만 하면 설계 조건 및 다른 인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조합 및 서브-조합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HD 영상 신호 및 SD 영상 신호의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2a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의 멀티 플러그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2b는 도2a의 배면도.
도3은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의 멀티 플러그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4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의 멀티 플러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의 멀티 플러그의 핀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단자 부재의 측면도.
도7은 단자 부재의 배면도.
도8은 단자 부재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상태에서 내부 몰드가 설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멀티 플러그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기능하는 케이스를 몰딩 성형하기 위한 제1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제1 금형이 제2 금형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케이블 배치 유닛을 도시 한 단면도.
도12a 및 도12b는 S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의 멀티 플러그의 핀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잭의 핀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15는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잭에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HD 영상 신호 및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까지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16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17은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의 잭에게 접속된 케이블 접속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로부터 S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까지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18은 SD 영상 신호와 HD 컴포넌트 영상 신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영상 신호의 진폭을 도시한 도면.
도20은 HD 영상 신호용의 케이블 접속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HD 비디오 카메라 장치
20 : HD 모니터 장치
30 : 케이블 접속 장치
40 : SD 비디오 카메라 장치
50 : SD 모니터 장치
60 : 케이블 접속 장치
301a : 제1 케이블
30lb : 제2 케이블
301c : 제3 케이블
302a : 제4 케이블
302b : 제5 케이블

Claims (15)

  1. 적어도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및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기와,
    상기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접속된 케이블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과,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과,
    상기 출력 유닛이 상기 판별 유닛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 신호용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출력 유닛이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영상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에서는, 저항 소자가 식별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판별 유닛은 상기 저항 소자의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영상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는 휘도 신호, 제1 색 신 호 및 제2 색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 및 상기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는 동일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의 제1 색 신호는 Pb 신호이고,
    상기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의 색 신호 및 상기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의 제1 색 신호는 동일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의 제2 색 신호는 Pr 신호이고,
    상기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의 컴포지트 신호 및 상기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의 제2 색 신호는 동일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의 영상 신호 출력 단자 및 오디오 신호 출력 단자는 출력 단자 열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영상 기기.
  8. 출력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여 영상 신호 처리기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또는 고화질의 컴 포넌트 영상 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절환 방법이며,
    판별 유닛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유닛을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력 절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에서는, 저항 소자가 식별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항 소자의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가 판별되는 출력 절환 방법.
  10. 적어도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준 화질 영상 신호 처리기와,
    상기 표준 화질 영상 신호를 접속된 케이블로 출력하는 출력 유닛과,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과,
    잘못된 케이블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되는 경우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잘못된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경고 유닛은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플러그 식별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 사이의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 유닛은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영상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유닛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플러그 식별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저항 소자의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 상기 경고 수단은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기기.
  13. 출력 유닛이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 처리기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컴포지트 신호를 가지는 표준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케이블 판별 방법이며,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잘못된 케이블이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판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종류가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플러그 식별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 사이의 저항에 기초하여 판별되는 케이블 판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의 플러그 식별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 사이의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유닛에 접속된 케이블이 고화질의 컴포넌트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경고 데이터가 출력되는 케이블 판별 방법.
KR1020080106832A 2007-10-31 2008-10-30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 KR20090045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84045 2007-10-31
JP2007284045A JP4595991B2 (ja) 2007-10-31 2007-10-31 映像機器及び映像機器の出力切換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060A true KR20090045060A (ko) 2009-05-07

Family

ID=4058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832A KR20090045060A (ko) 2007-10-31 2008-10-30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54661B2 (ko)
JP (1) JP4595991B2 (ko)
KR (1) KR20090045060A (ko)
CN (1) CN101426094B (ko)
TW (1) TWI3684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5239B1 (en) * 2007-11-30 2009-12-01 Nvidia Corporation Single-to-multiple display adapter utilizing a single cable construction
JP2011244265A (ja) * 2010-05-19 2011-12-01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2480613B (zh) * 2010-11-25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会议电视系统的终端的视频监控方法、装置及系统
JP5932293B2 (ja) * 2011-10-31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
JP5930748B2 (ja) * 2012-02-08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システム
CN102724459B (zh) * 2012-05-16 2014-04-0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模拟视频信号格式确定系统、方法及相关设备
CN103795994A (zh) * 2012-10-29 2014-05-14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的处理方法及装置
US9274992B2 (en) 2013-07-19 2016-03-01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Cable with circuitry for communicating performance information
JP2018006837A (ja) * 2016-06-27 2018-0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接続機器判別装置および光学機器
CN109581255A (zh) * 2017-09-29 2019-04-05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测试系统的防差错系统及方法
CN112363878A (zh) * 2020-11-13 2021-02-12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器组件及其线缆连接正确性检测机构
US20230098018A1 (en) * 2021-09-27 2023-03-30 Fxt Technology Co., Limited Onboard vehicle-powered wireless rearview ahd transmiss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401B2 (ja) * 1987-03-17 1997-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撮像装置
JPH06326916A (ja) * 1993-05-12 1994-11-2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ヘッド分離型撮像装置
US6798458B1 (en) * 1998-10-01 2004-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signal conversion equipment
US6700624B2 (en) * 1999-12-30 2004-03-02 Lg Electronics Inc. Combined terrestrial wave/cable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2001346760A (ja) * 2000-06-08 2001-12-18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システム
CN2535810Y (zh) 2002-03-15 2003-02-12 山东中实股份有限公司 一种电能表监控装置
JP2004056719A (ja) 2002-07-24 2004-02-19 Plus Vision Corp 画像処理装置の画像信号入出力端子
JP3942986B2 (ja) * 2002-08-09 2007-07-11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
JP2005101865A (ja) * 2003-09-24 2005-04-14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US20060195627A1 (en) * 2005-02-26 2006-08-31 Cole James R Detecting whether video source device is coupled to video display device
JP2007006150A (ja) * 2005-06-23 2007-01-11 Sony Corp テレビ受像機
JP4488990B2 (ja) * 2005-09-16 2010-06-23 株式会社東芝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電圧供給方法
CN1963740A (zh) * 2005-11-11 2007-05-16 杨建兴 可接收多种规格信号的切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5991B2 (ja) 2010-12-08
TW200935877A (en) 2009-08-16
US20090109336A1 (en) 2009-04-30
US8154661B2 (en) 2012-04-10
CN101426094A (zh) 2009-05-06
CN101426094B (zh) 2011-07-06
JP2009111877A (ja) 2009-05-21
TWI368434B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5060A (ko) 영상 기기, 영상 기기용 출력 절환 방법 및 케이블 판별 방법
US8690759B2 (en) Endoscopic instrument
JP4841391B2 (ja) 内視鏡
WO2022143280A1 (zh) 图像传感器、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85876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ndoscope
KR20100102942A (ko) 신호전달장치
KR101469838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JPS63299022A (ja) 切り替えスイッチ付ケーブルアダプタ
JP4992669B2 (ja) ケーブル接続装置
US20050122406A1 (en) Digital camera system and method having autocalibrated playback viewing performance
KR100802132B1 (ko) 연결 케이블
JP4780367B2 (ja) マルチプラグおよびマルチジャック
CN109819147A (zh) 一种镜头摄像模组及摄像机
KR1010256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4984954B2 (ja) 接続ケーブル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207320425U (zh) 改进的电连接器
KR100257268B1 (ko) 입출력 공용단자의 분리 적용회로
KR100381321B1 (ko) 스위칭장치를갖는텔레비전수신기
KR101276836B1 (ko)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신호 처리 방법
EP1406437A2 (en) Broadcast data receiver
US8345079B2 (en) Camera service port and remote camera system
JP3049728B2 (ja) Vtr
KR20060030147A (ko) 전자기기의 신호전송 장치
KR2004002799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신호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
KR20070000591A (ko) 영상 표시 기기에서 케이블 연결 자동 보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