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677A -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677A
KR20090042677A KR1020070108559A KR20070108559A KR20090042677A KR 20090042677 A KR20090042677 A KR 20090042677A KR 1020070108559 A KR1020070108559 A KR 1020070108559A KR 20070108559 A KR20070108559 A KR 20070108559A KR 20090042677 A KR20090042677 A KR 20090042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movable member
pile
she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141B1 (ko
Inventor
김화수
손유석
김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1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2Caissons able to be floated on water and to be lowered into water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8Foundations formed by making use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결합한 다수의 쉬트파일(10)이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보강하기 위한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쉬트파일(10)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20); 다수의 파일(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기준부재(110); 다수의 파일(20)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준부재(11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부재(120);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수심이 상이한 여러 시공위치에 가물막이공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 1회의 제작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별도로 속채움용 링이 없이도 안전한 속채움 작업을 가능하도록 한다.
가물막이, 분리형, 충돌방지공

Description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SEPARATE TYPE TEMPLATE AND COSTRUCTION METHOD FOR COFFERD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해상 공사에 사용되는 가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안의 간척사업, 해상교량의 교각 형성용 파일, 해상교량의 충돌방지공 등의 시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가물막이 공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9는 종래의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공법은 기본적으로 지상에서 다수의 쉬트파일을 원형으로 조립하고, 이 조립체를 해상의 시공위치에 운반하고 항타하여,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상하고 이에 속채움을 하는 구성을 취한다.
다수의 쉬트파일에 의한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를 조립된 형상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공위치까지 운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설 구조물(Template)(30)가 필요하다.
종래의 가설 구조물(30)은 파일(31)과 복수의 링 형상의 지지부재(3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지지부재(32)의 외측에 다수의 쉬트파일(10)이 결합하여 지 지되는 구성을 취한다.
종래의 가설 구조물(30)을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상에서 가설 구조물(30)을 이용하여 다수의 쉬트파일(10)을 조립하고(도 1), 이를 해상 크레인(1)에 의해 들어올려 운반한다(도 2,3).
운반과정에서 쉬트파일 조립체가 전체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쉬트파일(10)에 모두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구를 가진 조금구(2)를 이용한다.
쉬트파일 조립체가 시공위치에 이르면, 이를 내려놓고 조금구(2)를 해체한다(도 4,5).
보조 크레인(3)에 의해 쉬트파일(10)을 항타하여, 쉬트파일(10)의 하단이 지중에 근입 고정되도록 한다(도 6).
해상 크레인(1)에 의해 가설 구조물(30)을 들어올려 제거하고(도 7), 별도의 속채움용 링(4)을 다시 쉬트파일 조립체의 두부 내측에 설치한다(도 8).
이와 같이, 별도의 속채움용 링(4)을 설치하는 이유는 속채움 작업 중, 쉬트파일 조립체의 두부가 내측으로 오그라드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모래 채취 투입선(5) 등에 의해 쉬트파일 조립체의 내부에 사석(6) 등을 투입하여 속채움 작업을 실시한다(도 9).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물막이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첫째, 가설 구조물(30)의 높이가 정해져 있으므로, 수심이 다른 여러 시공위치에 가물막이공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서로 높이가 다른 가설 구조물(30)을 여 러 개 만들어 사용한다는 점이다.
둘째, 속채움 작업을 위해 가설 구조물(30)과 별도로 속채움용 링(4)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의 증가를 초래하는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지적되어 온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심이 상이한 여러 시공위치에 가물막이공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 1회의 제작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별도로 속채움용 링이 없이도 안전한 속채움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한 다수의 쉬트파일(10)이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보강하기 위한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20); 상기 다수의 파일(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기준부재(110); 상기 다수의 파일(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기준부재(11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부재(120); 상기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기준부재(110)와 상기 가동부재(120)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제시한다.
상기 기준부재(110)에는 상기 파일(2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14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부재(110)는 상부 가이드링(111); 하부 가이드링(112); 상기 상부 가이드링(111) 및 하부 가이드링(112)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싱 부재(113); 상기 가이드공(114a)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가이드링(111) 및 하부 가이드링(11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공 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부재(110)의 상부 가이드링(111)의 내부 영역에는 크레인의 인양에 의한 상기 상부 가이드링(111)의 압축 변형에 저항하기 위한 변형방지용 보강부(111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120)에는 상기 파일(2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24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120)는 상부 가이드링(121); 하부 가이드링(122); 상기 상부 가이드링(121) 및 하부 가이드링(122)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싱 부재(123); 상기 가이드공(124a)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가이드링(121) 및 하부 가이드링(12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공 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12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부재(120) 중 상부 가동부재(120a)와 하부 가동부재(120b)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가동부재(120a)와 상기 하부 가동부재(120b)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2차 연결부재(1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체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트파일(10)과 상기 기준부재(110)의 결합부(200)는 상기 쉬트파일(1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돌출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구 관통 공(211)이 형성된 쉬트파일 결합부재(210); 상기 쉬트파일 결합부재(210)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준부재(110)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복수의 결합구 관통공(211)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구 장착공(221)이 형성된 기준부재 결합부재(220); 상기 결합구 관통공(211) 및 결합구 장착공(221)을 함께 관통하여 장착되는 결합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부재 결합부재(220)는 좌우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쉬트파일 결합부재(210)는 상기 한 쌍의 기준부재 결합부재(220) 사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이용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파일(20),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를 조립하여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형성하는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의 외측에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을 결합하는 쉬트파일 결합단계; 크레인에 의해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및 쉬트파일(10) 결합체를 시공위치까지 인양하여 이송하는 인양단계; 상기 파일(20)의 하단을 지중에 근입하는 파일 근입단계; 상기 쉬트파일(10)의 하단을 지중에 근입하는 쉬트파일 근입단계;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상측으로 제거하는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파일(20) 및 기준부재(110)를 상호 용접하여 파일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파 일(20) 용접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쉬트파일(10) 및 기준부재(110)를 상호 용접하여 쉬트파일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쉬트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쉬트파일 용접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를 적층하여 조립위치에 놓는 단계; 상기 기준부재(110)에 형성된 가이드공(114a) 및 상기 가동부재(120)에 형성된 가이드공(124a)에 상기 파일(20)을 관통하여 설치하는 파일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파일(20) 설치단계 이후, 상기 기준부재(110)를 들어올리고, 상기 기준부재(110)와 상기 가동부재(120)의 사이에 간격유지대(14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파일(20)을 항타하여 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트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쉬트파일(10)을 항타하여 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는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가동부재(120)가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110)와 상기 가동부재(120)를 분리하여, 상기 기준부재(110)만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가동부재(120)를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상단에 임시로 결합하는 가동부재 임시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부 공간을 사석 등에 의해 속채움하는 속채움단계; 상기 가동부재(120) 임시결합단계에 의해 임시로 결합한 상기 가동부재(120)를 제거하는 가동부재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 제거단계 이후, 상기 파일(20)을 제거하는 파일 제거단계; 상기 쉬트파일(10)을 두부를 정리하는 단계; 상기 속채움 주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심이 상이한 여러 시공위치에 가물막이공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 1회의 제작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별도로 속채움용 링이 없이도 안전한 속채움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결합한 다수의 쉬트파일(10)이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보강하기 위한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쉬트파일(10)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20); 다수의 파일(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기준부재(110); 다수의 파일(20)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준부재(11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부재(120); 기준부 재(110)와 가동부재(120)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은 종래와 같이 일체형이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130)의 길이를 조정함에 따라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길이가 긴 연결부재(130)를 적용하여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고,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반대의 구조를 취할 수 있는바, 쉬트파일 조립체 내부의 보강을 안전하게 하면서도, 가설 구조물(100)의 전체 높이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심이 상이한 여러 시공위치에 가물막이공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 1회의 제작에 의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일(20), 기준부재(110), 가동부재(120)가 상호 분리가능한 분리형 구조를 취하므로, 속채움 작업시 가동부재(120)만을 분리하여 쉬트파일 조립체의 두부에 설치할 수 있는바, 종래와 같이 별도로 속채움용 링이 없이도 안전한 속채움 작업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기준부재(110)는 파일(20)과 결합하여 일정 위치에서 다수의 쉬트파일(10)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므로, 파일(20)과 소정 위치에서 결합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물막이 공사 중 궁극적으로는 파일(20)과 분리되는 작업이 필요한바, 그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기준부재(110)에 파일(2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14a)이 설치되고, 그 파일(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준부재(110)는, 도 10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링(111); 하부 가이드링(112); 상부 가이드링(111) 및 하부 가이드링(112)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싱 부재(113); 가이드공(114a)을 형성하도록, 상부 가이드링(111) 및 하부 가이드링(11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공 부재(114);를 포함하는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기준부재(110)의 상부 가이드링(111)의 내부 영역에 크레인(1)의 인양에 의한 상부 가이드링(111)의 압축 변형에 저항하기 위한 변형방지용 보강부(111a)가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이러한 상부 가이드링(111)을 직접 인양함으로써 가설 구조물(100) 및 쉬트파일 조립체의 운반작업이 가능할 것인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조금구(2) 및 그 설치작업이 필요 없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동부재(120)는 기준부재(11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움직임이 파일(2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동부재(120)에 가이드공(124a)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공(124a)에 파일(20)이 삽입되는 방식 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부재(120)의 경우에도 기준부재(110)와 같이, 상부 가이드링(121); 하부 가이드링(122); 상부 가이드링(121) 및 하부 가이드링(122)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싱 부재(123); 가이드공(124a)을 형성하도록, 상부 가이드링(121) 및 하부 가이드링(12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공 부재(124);를 포함하는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설 구조물(100)이 높이가 높을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가동부재(120)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그 전체적인 높이를 증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재(12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가 설치되고, 복수의 가동부재(120) 중 상부 가동부재(120a)와 하부 가동부재(120b)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부 가동부재(120a)와 상기 하부 가동부재(120b)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2차 연결부재(131);를 더 포함하는 구조 등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가동부재(120)가 2개인 경우(총 3개)를 예로 들었으나, 경우에 따라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재(130)는 어떤 길이의 것이 장착되는가에 따라,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 사이의 거리를 달라지게 하고, 이는 가설 구조물(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변화시킨다.
또한 가설 구조물(100)이 해중에 설치된 경우, 가동부재(120)의 저면이 해저 지중에 접촉함에 따라 다소의 높이 변화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불구하고 가설 구조물(100)의 안정적 정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 연결부재(130)가 체인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을 설명하면서, 그 가설 구조물 및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물막이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파일(20),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를 조립하여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형성하는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도 13 내지 15);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의 외측에 다수의 쉬트파일(10)을 결합하는 쉬트파일 결합단계(도 16); 해상 크레인(1)에 의해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및 쉬트파일(10) 결합체를 시공위치까지 인양하여 이송하는 인양단계(도 17,18); 파일(20)의 하단을 지중에 근입하는 파일 근입단계(도 19,20); 쉬트파일(10)의 하단을 지중에 근입하는 쉬트파일 근입단계(도 21);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상측으로 제거하는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도 2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일(20)과 기준부재(110)는 위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에 의해 일단 결합하였다가, 위 파일 근입단계에서 다시 분리하게 되는데, 가물막이 공사 전반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서는,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시 파일(20) 및 기준부재(110)를 상호 용접하여 파일 용접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파일 근입단계시 파일(20) 용접부를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쉬트파일(10)과 기준부재(110)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과정을 취하게 되는데, 위와 같은 이유로,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시 쉬트파일(10) 및 기준부재(110)를 상호 용접하여 쉬트파일 용접부를 형성하고, 쉬트파일 근입단계시 쉬트파일 용접부를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를 적층하여 조립위치에 놓는 단계(도 13); 기준부재(110)에 형성된 가이드공(114a) 및 가동부재(120)에 형성된 가이드공(124a)에 파일(20)을 공통으로 관통 하여 설치하는 파일 설치단계(도 14);의 순서로 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쉬트파일(10)의 설치를 위해서는, 가설 구조물(100)이 전체적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상기 파일 설치단계 이후, 기준부재(110)를 들어올리고,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의 사이에 간격유지대(140)를 설치하는 단계(도 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일(20)을 근입하는 파일 근입단계(도 19)는 여러 방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왕에 형성된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의 가이드공(114a,124a)을 활용하여, 가이드하면서 항타에 의해 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쉬트파일(10)을 근입하는 쉬트파일 근입단계(도 21)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취지로 항타하여 근입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는 구체적으로,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들어올리는 단계(도 22); 가동부재(120)가 다수의 쉬트파일(1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를 분리하여, 기준부재(110)만을 제거하는 단계(도 23); 가동부재(120)를 다수의 쉬트파일(10)의 상단에 임시로 결합하는 가동부재 임시결합단계(도 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가동부재(120)를 기준부재(110)로부터 분리하여 쉬트파일 조립체의 두부에 설치하고 속채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속채움용 링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동부재(120)는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부 공간을 사석 등에 의해 속채움하는 속채움 작업에 의해 가물막이공의 구조가 안정된 후 제거되어, 다음 시 공을 위한 조립에 투입된다.
이후, 파일(20)을 제거하고, 쉬트파일(10)의 두부를 정리한 후, 속채움 주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마무리 작업을 거쳐 가물막이공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쉬트파일(10)과 기준부재(110)의 결합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 결합하였다가 절단에 의해 분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 결합부의 길이 손실이 발생하여, 다음 작업시 새로운 부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낭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28,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트파일(10)과 기준부재(110)의 결합부(200)는, 쉬트파일(1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돌출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구 관통공(211)이 형성된 쉬트파일 결합부재(210); 쉬트파일 결합부재(210)와 결합하도록, 기준부재(110)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복수의 결합구 관통공(211)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구 장착공(221)이 형성된 기준부재 결합부재(220); 결합구 관통공(211) 및 결합구 장착공(221)을 함께 관통하여 장착되는 결합구(23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1회 작업을 한 후, 2회 작업시에는 쉬트파일 결합부재(210)의 길이가 다소 짧아질 것인 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결합구 관통공(211)과 결합구 장착공(221)의 위치를 바꾸어 결합할 수 있을 것인바, 절단에 의해 쉬트파일 결합부재(210)의 길이 손실이 있는 경우라도 복수 회에 걸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쉬트파일 결합부재(210)와 기준부재 결합부재(220)의 더욱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기준부재 결합부재(220)는 좌우 한 쌍이 설치되고, 쉬트파일 결합부재(210)는 한 쌍의 기준부재 결합부재(220) 사이에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의 사시도.
도 2 내지 9는 종래의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을 이용한 가물막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3 내지 2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물막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8, 29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의 제4실시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쉬트파일 20 : 파일
100 :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110 : 기준부재 111 : 상부 가이드링
111a : 변형방지용 보강부 112 : 하부 가이드링
113 : 브레이싱 부재 114 : 가이드공 부재
114a : 가이드공 120 : 가동부재
120a : 상부 가동부재 120b : 하부 가동부재
121 : 상부 가이드링 122 : 하부 가이드링
123 : 브레이싱 부재 124 : 가이드공 부재
124a : 가이드공 130 : 연결부재
131 : 2차 연결부재 140 : 간격유지대
200 : 결합부 210 : 쉬트파일 결합부재
211 : 결합구 관통공 220 : 기준부재 결합부재
221 : 결합구 장착공 230 : 결합구

Claims (20)

  1. 상호 결합한 다수의 쉬트파일(10)이 일정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보강하기 위한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 내부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20);
    상기 다수의 파일(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기준부재(110);
    상기 다수의 파일(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기준부재(11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부재(120);
    상기 기준부재(110)와 가동부재(120)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기준부재(110)와 상기 가동부재(120)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110)에는 상기 파일(2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110)는
    상부 가이드링(111);
    하부 가이드링(112);
    상기 상부 가이드링(111) 및 하부 가이드링(112)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싱 부재(113);
    상기 가이드공(114a)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가이드링(111) 및 하부 가이드링(11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공 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110)의 상부 가이드링(111)의 내부 영역에는 크레인의 인양에 의한 상기 상부 가이드링(111)의 압축 변형에 저항하기 위한 변형방지용 보강부(11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20)에는 상기 파일(2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20)는
    상부 가이드링(121);
    하부 가이드링(122);
    상기 상부 가이드링(121) 및 하부 가이드링(122) 사이에 설치된 브레이싱 부재(123);
    상기 가이드공(124a)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가이드링(121) 및 하부 가이드링(122)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공 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2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동부재(120) 중 상부 가동부재(120a)와 하부 가동부재(120b)의 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가동부재(120a)와 상기 하부 가동부재(120b) 사이를 착탈가능하도록 연결하는 2차 연결부재(1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체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파일(10)과 상기 기준부재(110)의 결합부(200)는
    상기 쉬트파일(1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돌출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구 관통공(211)이 형성된 쉬트파일 결합부재(210);
    상기 쉬트파일 결합부재(210)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준부재(110)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심부에 상기 복수의 결합구 관통공(211)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구 장착공(221)이 형성된 기준부재 결합부재(220);
    상기 결합구 관통공(211) 및 결합구 장착공(221)을 함께 관통하여 장착되는 결합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 결합부재(220)는 좌우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쉬트파일 결합부재(210)는 상기 한 쌍의 기준부재 결합부재(220) 사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11. 제1항의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이용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파일(20),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를 조립하여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형성하는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의 외측에 상기 다수의 쉬트파 일(10)을 결합하는 쉬트파일 결합단계;
    크레인에 의해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 및 쉬트파일(10) 결합체를 시공위치까지 인양하여 이송하는 인양단계;
    상기 파일(20)의 하단을 지중에 근입하는 파일 근입단계;
    상기 쉬트파일(10)의 하단을 지중에 근입하는 쉬트파일 근입단계;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상측으로 제거하는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파일(20) 및 기준부재(110)를 상호 용접하여 파일 용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파일(20) 용접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쉬트파일(10) 및 기준부재(110)를 상호 용접하여 쉬트파일 용접부를 형 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쉬트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쉬트파일 용접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기준부재(110) 및 가동부재(120)를 적층하여 조립위치에 놓는 단계;
    상기 기준부재(110)에 형성된 가이드공(114a) 및 상기 가동부재(120)에 형성된 가이드공(124a)에 상기 파일(20)을 관통하여 설치하는 파일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조립단계는
    상기 파일(20) 설치단계 이후,
    상기 기준부재(110)를 들어올리고, 상기 기준부재(110)와 상기 가동부재(120)의 사이에 간격유지대(14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파일(20)을 항타하여 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쉬트파일 근입단계는
    상기 쉬트파일(10)을 항타하여 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는
    상기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100)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가동부재(120)가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110)와 상기 가동부재(120)를 분리하여, 상기 기준부재(110)만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가동부재(120)를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상단에 임시로 결합하는 가동부재 임시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제거단계 이후,
    상기 다수의 쉬트파일(10)의 내부 공간을 사석 등에 의해 속채움하는 속채움단계;
    상기 가동부재(120) 임시결합단계에 의해 임시로 결합한 상기 가동부재(120)를 제거하는 가동부재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 제거단계 이후,
    상기 파일(20)을 제거하는 파일 제거단계;
    상기 쉬트파일(10)을 두부를 정리하는 단계;
    상기 속채움 주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물막이 시공방법.
KR1020070108559A 2007-10-26 2007-10-26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KR10092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559A KR100929141B1 (ko) 2007-10-26 2007-10-26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559A KR100929141B1 (ko) 2007-10-26 2007-10-26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677A true KR20090042677A (ko) 2009-04-30
KR100929141B1 KR100929141B1 (ko) 2009-12-01

Family

ID=4076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559A KR100929141B1 (ko) 2007-10-26 2007-10-26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83B1 (ko) * 2010-02-10 2012-01-19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셀식 가물막이 공법
WO2012157829A1 (ko) * 2011-05-13 2012-11-22 (주)코아지질 시트파일을 이용한 일괄설치형 수중 대구경 케이싱 가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3221A (ja) 1984-02-15 1985-09-06 Hiroshi Sugihara 鋼矢板組立セルの打ち込み工法
KR200291360Y1 (ko) * 2002-07-12 2002-10-09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교각 기초 시공을 위한 원통형 흙막이 매립형 복합구조
KR100730981B1 (ko) * 2006-05-12 2007-06-21 쌍용건설 주식회사 우물통용 가물막이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83B1 (ko) * 2010-02-10 2012-01-19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셀식 가물막이 공법
WO2012157829A1 (ko) * 2011-05-13 2012-11-22 (주)코아지질 시트파일을 이용한 일괄설치형 수중 대구경 케이싱 가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U2011368478B2 (en) * 2011-05-13 2014-10-02 Core Geotechnics Co., Ltd. Batch-installation-type large-caliber underwater casing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sheet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141B1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12353B (zh) 水下混凝土块结构构造方法
JP5830423B2 (ja) 杭式海洋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杭式海洋構造物
KR101083037B1 (ko)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
JP4597921B2 (ja) 桟橋の構築方法
JP2007204218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用基礎の構築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pc基礎並びにレベル調整用梁材
KR100929141B1 (ko) 분리형 가물막이용 가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시공방법
JP4898591B2 (ja) コンクリート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構造
KR102337158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124704B1 (ko) 연속벽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연속벽 시공방법
JP2009174281A (ja) 構造物の建て替え方法
KR100714920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조인트캡
CN209194540U (zh) 一种工字钢与u型钢板桩相咬合的装配式复合围护桩
JP4886376B2 (ja) 法枠上での掘削機の移動方法
CN110331718B (zh) 榫卯式连接钢套管接头结构
KR102184568B1 (ko) 탑다운 공법 시행용 브래킷 설치 장치
JP6710999B2 (ja) 既設構造物の仮受け工法
KR200400664Y1 (ko) 콘크리트 파일의 조인트캡
KR101070461B1 (ko) 조립식 교각과 그 시공방법
JP2017002688A (ja) 底版構築方法および底版構造
KR101106583B1 (ko) 셀식 가물막이 공법
KR102599844B1 (ko) 해안바닥에 해상기둥을 설치하는 방법
CN216948341U (zh) 一种圆桩孔孔壁塌落防护装置
JP2006112148A (ja) 地下構造及び浮き上がり防止方法並びに地下構造の構築方法
JP7207885B2 (ja) 浮体構造物の施工方法
CN211113637U (zh) 一种桩基施工时的桩位弃土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