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435A -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 Google Patents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435A
KR20090038435A KR1020097001558A KR20097001558A KR20090038435A KR 20090038435 A KR20090038435 A KR 20090038435A KR 1020097001558 A KR1020097001558 A KR 1020097001558A KR 20097001558 A KR20097001558 A KR 20097001558A KR 20090038435 A KR20090038435 A KR 2009003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hoistway
machine
elevato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160B1 (ko
Inventor
토마스 코쿼렐
프레데릭 뷰차드
파스칼 레빌라드
라파엘 피카드
장-노엘 크룩스
미쉘 비우재르트
로이 두샴프
제라드 시리주
휴거스 파닐레
파브리스 하몽
오렐린 티시어
프랑 도밍게즈
스테판 조르진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133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3843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9003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4), 승강로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2) 및 승강로 내에서 상기 카(2)의 이동 경로 및 그 수직방향 돌출부를 벗어나 배치되는 드라이브 머신(10)을 포함한다. 상기 카(2)는 카(2) 아래로 통과되도록 1 쌍의 아이들러 시브(26, 28)에 의하여 안내되는 로프(18)에 의해 머신(10)에 커플링된다. 아이들러 시브(26, 28)는 120 mm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개시된 구성은 오버헤드 공간 및 피트 깊이 모두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ELEVATOR INSTALLATION WITH REDUCED HOISTWAY DIMENSION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최소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한 구성들, 특히 엘리베이터 카 이동의 상단부에서 엘리베이터 카 위에 필요한 수직방향의 공간 및 엘리베이터 카 이동의 하단부에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필요한 수직방향의 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최소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가능한 한 작은 수직방향 공간을 요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머신 및 그와 연관된 기구를 하우징하는 승강로 위의 기계실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는 설치들을 제공하기 위한 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피트(pit)의 깊이를 축소하려는 요구가 있다.
WO 99/43589는 승강로 내에서, 카의 측면에 대한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머신이 제공되어 머신을 머신-룸 내에 하우징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승강로의 수직방향 크기를 어느 정도 축소시키는 구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머신-룸 없는 엘리베이터 설치들에 비해 향상된 사항을 제공하거나 적어도 대안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피트 깊이 및 오버헤드 높이를 갖는 승강로, 상기 승강로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상기 카 위에는 1 이상의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가 장착됨], 상기 아이들러 시브를 통해 상기 카를 매다는 로프, 및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로프와 맞물리는 드라이브 머신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아이들러 시브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 장착되고 120 mm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상기 피트 깊이와 상기 오버헤드 높이의 합이 상기 카의 높이보다는 1.4 m 이하만큼 더 큰 조건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나 위에 매달림에도 불구하고 상승분을 초과하는 승강로 높이에 대해 매우 작은 요건(이 요건은 오버헤드 높이와 피트 깊이의 합이 카 높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표현됨)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 구조가 제공된다. 이는 아이들러 시브(들)가 매우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직경은 120 mm 보다 작으며, 실제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100 mm이다. 개조될 수 있는 기존 빌딩들의 범위와 신축 빌딩들 둘 모두에 유리한 빌딩의 디자인과 관련하여 상기 시스템이 배치되는데 제약이 따르므로, 오버헤드 높이와 피트 깊이의 합을 가능한 한 작게 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해 빌딩을 건축하고 조정하는 비용이 절감된다. 물론 여하한의 주어진 설치에 있어, 낮은 전체 승강로 높이의 제약들 안에서 특히 피트 깊이 또는 오버헤드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어느 정도까지는, 어느 하나를 희생시켜 나머지를 축소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언더슬링(underslung) 로핑 구조를 선택하면 오버헤드 높이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반면, 피트 깊이를 최소화시키는 것은 오버슬링 구조의 사용을 제안하며, 양자의 경우에 있어 실제 선택은 다른 인자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감안하여 이루어진다.
크기들, 즉 피트 깊이, 오버헤드 높이 및 카 높이의 의미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으나, 다음과 같이 정의하여 불명확성을 제거한다. 피트 깊이는 최하부 층계참의 플로어와 승강로의 바닥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통상적으로, 이 공간은 카의 하부-구조, 버퍼들, 토우 가드(toe guard) 및 오버-트레블을 위한 허용차(allowance for over-travel)를 수용한다. 오버헤드 높이는 최상부 층계참의 플로어와 승강로의 최상부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이다. 따라서, 이 공간은 적어도 카의 높이 및 카 루프 구조체를 수용해야 한다. 카 높이는 카의 내부 플로어와 내부 천장 사이의 거리이다.
당업자가 승강로의 높이를 최소화하려는 경우를 고려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카 아이들러 시브(들)가 1:1 로핑 구조(카에 직접적으로 커플링되는 로프 단부를 가짐)를 채용함으로써 생략되거나 또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카를 수직방향으로 오버래핑할 수 있도록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밖에 제공된다. 하지만, 출원인은 실제로 수직방향 높이가 최소화되는 한편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 아이들러 시브(들)을 배치하여 2:1 로핑의 이점들을 실현함으로써 보다 균형 잡힌 로딩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승강로에 대해 요구되는 단면적으로 최소화해 건축/개조 비용도 절감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들러 시브(들)은 부분적으로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 제공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신은 승강로의 벽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수직방향 승강로 크기의 최소화를 돕는다.
예를 들어, 카의 최상부 또는 바닥부 중심에 단일 아이들러 시브가 제공될 수도 있다. 1 쌍의 아이들러 시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가 평형추에 의하여 균형을 이루게 되는 트랙션 드라이브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는 머신에 연결되는 트랙션 시브를 이용하여 로프를 구동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트랙션 시브는 직경이 120 mm보다 작으며, 1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트랙션 시브를 수용하기 위해 보다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또한 보다 작은 머신이 채용될 수 있도록 머신의 토크 요건들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강로 내 공간 이용의 최적화를 돕는다.
로프는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되는 작은 직경 주위로 통과되도록 충분히 작은 벤딩 반경을 가져야 한다. 로프는 작은 직경의 케이블들을 포함하지만, 복수의 평행하게 매입된 코드들을 포함하는 1 이상의 편평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트 깊이와 오버헤드 높이의 합은 1.4 m를 넘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1.2 m를 넘지 않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를 넘지 않게,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m를 넘지 않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m를 넘지 않게 카 높이를 초과한다.
어떠한 적합한 엘리베이터 머신도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머신은 세장형, 즉 회전 축선 방향으로 가장 긴 형상이 바람직하다. 기어 없는(gearless) 머신이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언더슬링 또는 오버슬링(overslung) 구조와 조화되는 몇 가지 가능한 로핑 구조들이 존재한다. 로프의 단부들은 승강로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의 단부들은 승강로의 벽 또는 루프에 히칭되거나 또는 실제로 여하한의 다른 적합한 구조체에 히칭되지만, 카 및/또는 평형추의 수직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가이드 레일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히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로프의 1 이상의 단부는 가이드 레일들 중 몇몇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머신 베드플레이트에 히칭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가이드 레일들이 엘리베이터의 힘들 모두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또한 승강로의 벽 또는 루프를 특별히 보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축 비용을 절감시킨다.
머신은 여하한의 통상적인 배치에 있어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돌출부를 벗어나 장착되지만, 필요한 로프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승강로의 상단부를 향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신은 승강로의 벽 또는 루프나 여하한의 다른 적합한 구조체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 및/또는 평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1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장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는 가이드 레일(들)이 모든 충분한 부하들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주변 빌딩과 관련한 요건들을 완화시킨다.
출원인은 또한 평형추의 높이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전체 승강로 높이를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다시 말해, 평형추가 보다 짧아지지 않는 한 몇몇 경우에 전체 승강로 높이가 축소될 수 없다. 물론 그 밖의 모두가 동등하다면, 보다 짧은 평형추는 무게가 덜 나갈 것이다. 이는 카와 평형추 간의 적절한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 납과 같은 보다 높은 밀도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비용을 증가시키고 특히 납의 경우에 환경 보호의 원칙들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출원인은 상술된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2 가지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 첫번째는 평형추 상에 보다 작은 직경의 시브, 즉 120 mm보다 작은 직경의 시브를 채용하는 것이다. 시브는 평형추의 높이에 관련되기 때문에 그것의 직경을 줄임으로써 추들이 그에 대응하여 보다 큰 비율의 높이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로, 출원인은 평형추의 무게를 유지하는 한편 그를 보다 넓게 만들어 그만큼 가이드 레일들(상기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서 이전보다 더 많이 이동함)을 이격시킴으로써 그 높이가 축소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1.4 m의 카 깊이(전방에서 후방) 및 1.1 m의 카 폭(측면에서 측면)을 갖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은 1.0 m보다는 크지 않게 이격된다. 이러한 이격은 이러한 통상적인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및 평형추와 같은 쪽에 배치되는 드라이브에 의하여 제한된다.
카가 1 m 내지 1.6 m 사이의 깊이를 갖는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평형추를 위한 1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들은 적어도 카의 깊이에서 0.2 m를 뺀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는 본래 신규하고 진보성을 갖는 것으로서, 추가 실시형태를 살펴볼 경우 본 발명은 공통의 로프에 매달리는 1 m와 1.6 m 사이의 폭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 및 평형추를 포함하며, 상기 평형추는 적어도 카의 깊이에서 0.2 m를 뺀 거리만큼 이격되는 1 쌍의 가이드 레일들에 의하여 그 수직방향의 이동이 안내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가이드 레일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승강로의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 카의 최상부 및 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승강로(4)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2)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볼 수 있다. 승강로(4)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2)의 양 쪽에는 2 개의 수직방향 카 가이드 레일(6, 7)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들(6, 7)은 카(2)의 수직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1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8, 9) - 상기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형추(10)의 수직방향 이동을 안내함 - 이 승강로(도 1 및 2에서 볼 수 있음)의 좌측을 가로질러 이격되어 있다. 평형추(10)는 종래의 평형추들보다 짧아서 그 수직방향의 이동 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의 축소된 승강로 높이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 최상부에는 단지 100 mm 정도의 직경을 갖는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16)가 제공된다.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의 수평방향 간격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들 보다 커서 평형추(10)가 보다 넓어질 수 있어 그 높이의 축소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은 카의 깊이보다 0.2 미터 작은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2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8, 9) 및 좌측 카 가이드 레일(6)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머신(12)을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머신 베드플레이트(machine bedplate;11)가 부착되어 있다. 머신(12)은 본질적으로 당업계에서 알려진 세장형 기어리스 타입(elongate gearless type)으로 이루어져 있다. 머신(12)의 축은 2 개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베드플레이트(11)를 통해 3 개의 가이드 레일(6, 8, 9)에 장착됨으로써, 머신(12)의 무게 및 그것의 부하는 가이드 레일들에 의하여 승강로의 플로어로 하향 전달되고 승강로의 벽들(14) 또는 천장(16)에 의하여 지지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머신(12)이 카와 벽(14) 사이의 승강로에서 카(2)와 나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머신은 카(2)의 수직방향 돌출부 외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머신은 승강로(4)의 전체 높이를 부가시키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로프(18)는 3 개의 개별 벨트들로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작은 직경의 케이블들, 통상적인 케이블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작은 직경의 케이블들 또는 편평한 벨트(본질적으로 재킷 내에 매입되는 매우 작은 직경의 케이블들을 포함함)는 벤딩 반경(bending radius) 대 부하 강도(load strength)의 가장 유리한 비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로프(18)는 일 단부에서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소위 데드-엔드 히치(dead-end hitch; 20)를 갖는 베드플레이트(11)에 히칭된다(hitch). 그 다음, 상기 로프는 위로 통과(pass)되고 머신에 의해 구동되도록 머신(12)의 스핀들에 고정되거나 상기 스핀들과 일체로 된 트랙션 시브(24)(도 3 참조) 위로 통과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 트랙션 시브(24)의 직경은, 예를 들어 100 mm 이하로 매우 작다.
트랙션 시브(24)로부터 로프(18)는 아래로 그리고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2)의 바닥에 장착되는 아이들러 시브(26) 주위로 통과된다. 아이들러 시브(26) 또한 매우 작은 직경, 예를 들어 대략 100 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로프(18)는 카(2) 아래 및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서 제 2의 동일한 아이들러 시브(28) 주위로 통과되며, 그로부터 로프는 대향되는 가이드 레일(7)에 장착되는 또 다른 데드-엔드 히치(30)까지 위쪽으로 통과된다.
상술된 로핑 구조는 2 : 1 구조이다. 하지만,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매우 작은 직경의 아이들러 시브들(26, 28)을 채택함으로써, 최하부 층계참에 있을 경우의 카(2) 아래에 필요한 수직방향 공간의 양, 다시 말해 승강로 피트(32)에 필요한 최소 깊이가 축소된다. 이와 유사하게, 언더슬링 서스펜션 구성(underslung suspension arrangement)를 사용하고 머신(12)을 카(2)의 수직방향 돌출부로부터 벗어나게 배치함으로써, 매우 작은 오버헤드 공간(34)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수치적인 예를 들자면, 카를 위한 통상적인 높이는 21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트는 300 mm로 얕고 오버헤드 높이는 2500 mm로서 그 합이 2800 mm가 되어 카 높이를 단지 700 mm 초과하거나 또는 카 높이의 33%만을 초과한다.
베드플레이트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2 개의 데드-엔드 히치들(20, 30)과 머신(12)까지 가이드 레일들(6, 7, 8, 9)에 장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 무게 및 그 작동력들의 크기는 승강로(14, 16)의 벽들 또는 천장(14, 16)에 의해 지지될 필요 없이(따라서 특별한 보강을 필요로하지 않음) 가이드 레일들에 의하여 아래로 피트(32)를 통과한 다음 빌딩의 토대 내로 전달된다.
상술된 설명은 기본적으로 제한이 아닌 예시에 불과하다. 후속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례들 및 수정례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들이라면 이해할 것이다.

Claims (16)

  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피트(pit) 깊이 및 오버헤드 높이를 갖는 승강로(4);
    상기 승강로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위에 1 이상의 아이들러 시브(26, 28)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카(2);
    상기 아이들러 시브를 통해 상기 카를 매다는(suspend) 로프(18); 및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로프와 맞물리는 드라이브 머신(12)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들러 시브(26, 28)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내에 장착되고 120 미만mm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상기 피트 깊이 및 상기 오버헤드 높이의 합이 상기 카의 높이보다 1.4 m 이하만큼 더 큰 조건을 충족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1)은 상기 카(2)의 이동 경로 또는 상기 카의 수직방향 돌출부 밖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8)가 상기 카(2)의 아래 또는 위로 통과되도록 상기 로프(18)를 안내하는 1 쌍의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 26, 28)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8)는 상기 드라이브 머신에 연결되는 120 mm 보다 작은 직경의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24)에 의하여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12)은 세장형(elongate)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12)은 기어가 없는(gearless)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20, 30)의 단부들은 상기 승강로(4)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20, 30)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카(2) 및/또는 평형추(10)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하여 1 이상의 가이드 레일(6, 7, 8, 9)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히칭(hitch)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12)은 상기 승강로(4)의 상단부를 향하여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12)은 상기 카(2) 및/또는 평형추(10)를 안내하기 위하여 1 이상의 가이드 레일(6, 7, 8, 9)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의 깊이와 상기 오버헤드 높이의 합은 상기 카(2)의 높이보다 1 m 이하만큼 더 큰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 깊이와 상기 오버헤드 높이의 합은 상기 카(2)의 높이보다 0.7 m 이하만큼 더 큰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8)는 1 이상의 편평한 벨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20 mm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아이들러 시브(16)에 의하여 상기 로프(18)에 커플링되는 평형추(1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2)는 1 m와 1.6 m 사이의 깊이를 가지고, 상기 시스템은 1 쌍의 평형추 가이드 레일(8, 9)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들(8, 9)은 적어도 상기 카(2)의 깊이에서 0.2 m를 뺀 거리만큼 이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의 로프(18)에 의해 매달리는 1 m와 1.6 m 사이의 깊이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2) 및 평형추(10)를 포함하고,
    상기 평형추(10)는 적어도 상기 카(2)의 깊이에서 0.2 m를 뺀 거리만큼 이격되는 1 쌍의 가이드 레일(8, 9)에 의하여 그 수직방향 움직임이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097001558A 2006-06-26 2006-06-26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KR10113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6/001750 WO2008001149A1 (en) 2006-06-26 2006-06-26 Elevator installation with reduced hoistway dimen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435A true KR20090038435A (ko) 2009-04-20
KR101130160B1 KR101130160B1 (ko) 2012-03-28

Family

ID=3781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558A KR101130160B1 (ko) 2006-06-26 2006-06-26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50384B2 (ko)
EP (1) EP2032491B1 (ko)
JP (1) JP2009541181A (ko)
KR (1) KR101130160B1 (ko)
CN (1) CN101472829A (ko)
BR (1) BRPI0621793A2 (ko)
ES (1) ES2548423T3 (ko)
WO (1) WO20080011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768A (ko) * 2010-12-07 2014-04-07 인벤티오 아게 고체 전송음을 포착하는 음향 수신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5594A1 (en) * 2010-10-11 2012-04-12 Tim Wright Drive Arrangement for Machine Roomless Elevator
CN106458518A (zh) * 2014-04-02 2017-02-22 奥的斯电梯公司 可移除式轿厢操作面板
WO2017089855A1 (en) 2015-11-25 2017-06-01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CN109132806B (zh) * 2018-11-08 2023-12-19 南通万部机电有限公司 一种老旧楼无底坑加装电梯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10558T2 (de) * 1997-09-26 2003-11-20 Toshiba Kawasaki Kk Einsetzen einer Antriebseinheit in einem Aufzugsschacht
DE69914577C5 (de) 1998-02-26 2014-11-20 Otis Elevator Co. Treibscheibenaufzugsystem mit flexiblem flachseil und permanentmagnet-antrieb
WO1999043592A1 (en) 1998-02-26 1999-09-02 Otis Elevator Company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WO1999043589A1 (en) 1998-02-26 1999-09-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US6138799A (en) * 1998-09-30 2000-10-31 Otis Elevator Company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DE29924745U1 (de) 1998-02-26 2005-06-09 Otis Elevator Co., Farmington Richtungsübereinstimmung von Flachseilen für Aufzüge
DE29924761U1 (de) 1998-02-26 2005-06-23 Otis Elevator Co., Farmington Zugelement für einen Aufzug
PT1056679E (pt) 1998-02-26 2003-11-28 Otis Elevator Co Sistema de elevador sem casa de maquinas com uma maquina de elevador montada numa cabina de elevador
DE69931193T3 (de) 1998-12-22 2012-02-09 Otis Elevator Co. Zugglied für einen aufzug
FI111622B (fi) 1999-01-27 2003-08-29 Kone Corp Vetopyörähissi ja taittopyörän käyttö
US6095288A (en) * 1999-04-22 2000-08-01 Otis Elevator Company Pit-less elevator
JP2000318956A (ja) 1999-05-07 2000-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ームエレベータ及びその巻上機
US6619433B1 (en) * 2000-07-24 2003-09-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2002167137A (ja)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4771587B2 (ja) 2000-12-19 2011-09-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DE20122517U1 (de) 2001-01-04 2006-01-26 Wittur Ag Getriebeloser Seilaufzug
JP2004534707A (ja) 2001-07-09 2004-11-18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シャフトの底部および/または頂部に実質的な保護区域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これ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ATE512925T1 (de) 2001-11-23 2011-07-15 Inventio Ag Aufzugssystem
FI119234B (fi) * 2002-01-09 2008-09-15 Kone Corp Hissi
DE10257564A1 (de) 2002-12-10 2004-07-08 Ziehl-Abegg Ag Treibscheibenaufzug
EP1606208B1 (de) 2003-03-06 2015-12-09 Inventio AG Aufzug mit 2:1 zahnriemenführung
ITMI20031887A1 (it) 2003-10-02 2005-04-03 L A Consulting S A S Di Sara Faletto & C Sa Ascensore con fossa e testata ridotta, anche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JP2005255259A (ja) 2004-03-09 2005-09-22 Toyoda Mach Works Ltd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カゴ
ES2343324T3 (es) * 2004-05-05 2010-07-28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la proteccion de un operador en hueco de ascensores con fondo de poca altura y ascensor equipado con el mismo.
ATE442332T1 (de) * 2004-07-19 2009-09-15 Otis Elevator Co Aufzugskabinen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n aufzug ohne maschinenraum
MY143607A (en) 2004-10-18 2011-06-15 Inventio Ag Lift comprising a flat-belt as a tractive element
EP1867597B1 (de) 2006-06-14 2013-03-06 Inventio AG Aufz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768A (ko) * 2010-12-07 2014-04-07 인벤티오 아게 고체 전송음을 포착하는 음향 수신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0384B2 (en) 2015-10-06
WO2008001149A1 (en) 2008-01-03
JP2009541181A (ja) 2009-11-26
EP2032491B1 (en) 2015-09-09
KR101130160B1 (ko) 2012-03-28
EP2032491A1 (en) 2009-03-11
ES2548423T3 (es) 2015-10-16
CN101472829A (zh) 2009-07-01
BRPI0621793A2 (pt) 2012-10-16
US20100155181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817B2 (en) Elevator arrangement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A2508686A1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EP3722242B1 (en) Elevator for particularly small elevator shafts
KR101130160B1 (ko) 축소된 승강로 크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
KR20080039285A (ko)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CN1118763A (zh) 牵引滑轮电梯、提升机构和设备容置室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EP1481935A1 (en) Elevaltor apparatus
EP1828044B1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US6302239B1 (en) Elevator apparatus with hoisting machine beneath elevator car
JP2003146555A (ja) エレベータ
US20070170005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3553013A2 (en) Lifting system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JPH0624668A (ja) エレベータ制御用テールコードの振止装置
KR20000025369A (ko)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RU2459762C2 (ru) Грузо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RU85154U1 (ru) Лифт (варианты)
JP2001171940A (ja) エレベーター
WO2012000461A1 (en) Vertical hoist system
KR20040019492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2001253662A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