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503A -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503A
KR20090037503A KR1020097004650A KR20097004650A KR20090037503A KR 20090037503 A KR20090037503 A KR 20090037503A KR 1020097004650 A KR1020097004650 A KR 1020097004650A KR 20097004650 A KR20097004650 A KR 20097004650A KR 20090037503 A KR20090037503 A KR 2009003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astic body
elevator
centrifugal force
stop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588B1 (ko
Inventor
미네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의 급전(給電)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적응 비용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추가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환수단을 설치하고, 이 전환수단에 의해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탄성체의 길이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PEED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定格)속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調速)장치 및 이러한 조속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속도를 상시(常時) 감시하고, 엘리베이터 칸이 소정의 과속상태에 빠졌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정지시키는 조속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속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속도가 정격속도를 넘어 제1 과속도(통상은 정격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면,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전원 및 이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전원을 각각 차단한다. 또, 조속장치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속도가 제1 과속도를 넘어 제2 과속도(통상은 정격속도의 1. 4배 정도)에 이르면,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비상멈춤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을 기계적으로 비상정지시킨다.
한편,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의 피트(pit) 깊이의 제한에 의해 하강시의 정격속도를 소정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고속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내의 급격한 압력변동에 수반하는 불쾌감을 억제하기 위해서 하강시의 정격속도를 크게 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게 하도록 하고자 한 요구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얻을 수 있는 조속장치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특허문헌 1에는 구체적인 예로서 이하의 것이 기재되어 있다.
(1)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가지는 플라이 볼(fly ball) 방식의 조속기구와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 방식의 조속기구가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에 제1 과속도의 크기가 저속 측에 설정된 플라이 볼 방식의 조속기구를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분리하는 것.
(2)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가지는 2개의 플라이 웨이트 방식의 조속기구가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에 제1 과속도의 크기가 저속 측에 설정된 한쪽의 조속기구를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분리하는 것.
(3)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가지는 2개의 플라이 볼 방식의 조속기구가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에 제1 과속도의 크기가 저속 측에 설정된 한쪽의 조속기구를 클러치 기구에 의해서 분리하는 것.
(4) 1개의 조속기구에 고속 측의 제1 과속도로 동작하는 정지용 스위치와 저속 측의 제1 과속도로 동작하는 정지용 스위치가 구비되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에 전기회로에 의해서 저속 측에 설정된 정지용 스위치의 동작을 무효로 하는 것.
(5) 정지용 스위치의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방향에 맞추어 이동시키는 이동기구가 구비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에 고속 측의 제1 과속도로 동작하도록 정지용 스위치를 배치하며, 엘리베이터 칸의 하강시에 저속 측의 제1 과속도로 동작하도록 정지용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
특허문헌 1 : 일본특개2000-32724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1) 내지 (3)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예의 경우, 2개의 조속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조속장치가 대형화하며, 비용도 큰 폭으로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승시 및 하강시에 불필요한 조속기구를 떼어내기 위한 클러치 기구가 필요하고, 외부로부터의 급전(給電)의 필요성이 발생함과 동시에, 그 전기회로의 신뢰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4) 및 (5)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예의 경우, 정지용 스위치의 ON-OFF 동작이나 그 배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급전의 필요성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동작을 실시하는 전기회로의 신뢰성을 담보할 필요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한 구성이고 또한 적은 비용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이러한 조속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錘)와, 원심력을 받은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추가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구동되어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탄성체의 길이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및 하강에 연동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추가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른 정부(正負) 어느 한쪽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발전기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탄성체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탄성체의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가압수단과, 직류발전기 및 가압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직류발전기에서 발생한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만을 가압수단에 공급하는 정류(整流)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도록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추가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구동되어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탄성체의 길이를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방향으로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도록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및 하강에 연동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추가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른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발전기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탄성체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탄성체의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가압수단과, 직류발전기 및 가압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직류발전기에서 발생한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만을 가압수단에 공급하는 정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적은 비용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승강로, 2 기계실, 2a 기계대, 3 엘리베이터 칸, 4 균형추, 5 메인로프, 6 권상기, 6a 구동쉬브, 7 디플렉터 쉬브, 8 완충기, 9 제어장치, 10 조속장치, 11 쉬브, 12 텐션 쉬브, 13 조속로프, 14 비상멈춤장치, 15 암, 16 조속부, 17 지지 체, 18 구동축, 19 베어링, 20 구동베벨기어, 21 세로축, 22 베어링, 23 종동(從動)베벨기어, 24 플라이 볼 조속기구, 25 지지부, 26 암, 27 핀, 28 플라이 볼, 29 슬라이딩 실린더, 30 링크, 31 핀, 32 핀, 33 솔레노이드 코일, 34 액츄에이터, 35 리테이너(retainer), 36 스토퍼, 37 평형스프링, 38 직류발전기, 39 발전기 본체, 40 축, 41 암, 42 도선(導線), 43 정류회로, 44 종동실린더, 45 정지용 스위치, 45a 레버, 46 조작레버, 47 제1 링크, 48 제2 링크, 49 회전레버, 50 축, 51 스프링, 52 롤러, 53 가동슈(shoe), 54 고정슈, 55 플라이 웨이트 조속기구, 56 플라이 웨이트, 57 작동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건축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위쪽에 설치된 기계실, 3은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4는 승강로(1) 내를 엘리베이터 칸(3)과는 서로 역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5는 엘리베이터 칸(3)과 균형추(4)를 두레박식으로 현가하는 메인로프(권상로프라고도 함), 6은 기계실(2) 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3)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진 권상기 이다. 또한, 권상기(6)의 구동쉬브(6a)에 메인로프(5)의 일부가 감겨지는 것에 의해 구동쉬브(6a)의 회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7은 기계실(2) 내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디플렉터 쉬브, 8은 승강로(1)의 피트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3)용 및 균형추(4)용의 완충기, 9는 기계실(2) 내에 설치되고, 권상기(6) 등 엘리베이터의 주요기기에 접속되어 엘리베이터의 전체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제어장치(9)는 구동쉬브(6a)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승속도 및 하강속도로 엘리베이터 칸(3)을 승강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속도와 하강속도는 서로 다른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도록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10은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속도를 상시 감시하고, 엘리베이터 칸(3)이 소정의 과속상태가 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정지시키는 조속장치이다. 이 조속장치(10)에는 기계실(2) 내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조속용 쉬브(11)와, 승강로(1)의 피트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가압된 텐션 쉬브(12)와, 쉬브(11) 및 텐션 쉬브(12)에 감겨져 텐션 쉬브(12)에 의해 소정의 장력이 부여된 무단상(無端狀)의 조속로프(13)와,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비상멈춤장치(14) 및 상기 조속로프(13)의 사이에 연결되어 조속로프(13)를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동작에 연동시키는 암(15)과, 쉬브(11)의 회동속도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속도를 검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이 소정의 과속상태가 되었 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정지시키도록 동작하는 조속부(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속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속도가 상승시에서의 정격속도를 넘어 상승시 제1 과속도(예를 들면, 상승시에서의 정격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렀을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속도가 하강시에서의 정격속도를 넘어 하강시 제1 과속도(예를 들면, 하강시에서의 정격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렀을 경우에 권상기(6)의 전원 및 이 권상기(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9)의 전원을 각각 차단한다. 또, 조속장치(10)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속도가 하강시 제1 과속도를 넘어 하강시 제2 과속도(예를 들면, 하강시에서의 정격속도의 1. 4배 정도)에 이르면, 조속로프(13)를 제동하는 것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4)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3)을 기계적으로 비상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조속장치(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서 17은 기계실(2)의 바닥면 또는 기계대(2a)에 설치된 지지체, 18은 수평방향으로 축방향을 가지고, 베어링(19)을 통하여 지지체(17)에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이며, 상기 쉬브(11)는 구동축(18)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쉬브(11)는 로프 홈에 감겨진 조속로프(13)의 상단 만곡부와의 마찰력에 의해, 조속로프(13)의 이동,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 및 하강에 연동하여 구동축(18)과 함께 회동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 내를 하강하는 경우에는 쉬브(11) 및 구동축(18)은 정회전하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로(1) 내를 상승하는 경우에는 쉬브(11) 및 구동축(18)은 역회전한다.
20은 구동축(18)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구동축(18)의 회동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된 구동베벨기어, 21은 연직방향으로 축방향을 가지고, 베어링(22)을 통하여 지지체(17)에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세로축, 23은 세로축(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세로축(21)의 회동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구동베벨기어(20)와 치합하도록 배치된 종동베벨기어이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에 연동하여 구동축(18)이 회동하면, 구동베벨기어(20)가 구동축(18)과 일체적으로 회동하고, 구동베벨기어(20) 및 종동베벨기어(23)를 통하여 구동축(18)의 회동이 세로축(21)에 전달된다.
24는 세로축(21)의 상부에 설치된 플라이 볼 조속기구이며, 세로축(2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를 검출한다. 또, 플라이 볼 조속기구(24)는 엘리베이터 칸(3)이 소정의 과속상태에 빠졌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3)을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동작을 실시한다. 이하에 플라이 볼 조속기구(24)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25는 세로축(2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세로축(21)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지지부, 26은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축방향을 가지는 핀(27)에 의해서 지지부(25)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암, 28은 암(26)의 하단부에 설치된 소정의 질량을 가지는 플라이 볼(추), 29는 지지부(2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도시하지 않음)에 세로축(21)이 삽입통과되는 것에 의해, 세로축(21)을 따라서 세로 축(21)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실린더, 30은 상단부가 핀(31)에 의해서 암(26)의 중간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부가 핀(32)에 의해서 슬라이딩 실린더(29)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링크이다. 또한, 핀(31 및 32)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축방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30)는 플라이 볼(28)이 핀(27)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슬라이딩 실린더(29)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암(26)과 슬라이딩 실린더(29)를 연결한다.
33은 지지부(25)의 하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코일, 34는 솔레노이드 코일(33)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솔레노이드 코일(33)로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그 일부가 소정 거리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액츄에이터, 35는 액츄에이터(3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세로축(21)이 삽입통과되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34)의 상기 돌출동작에 연동하여 세로축(21)을 따라서 세로축(21)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리테이너, 36은 상단부가 지지부(25)에 설치되어 그 하단부에 의해 리테이너(35)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를 소정의 위치(높이)까지 제한하는 스토퍼, 37은 중공부에 세로축(21)이 삽입통과된 압축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평형스프링(탄성체)이다. 여기서, 상기 평형스프링(37)은 리테이너(35)의 하면과 슬라이딩 실린더(29)의 상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딩 실린더(29)를 소정의 힘에 의해서 상시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또한, 도 3은 솔레노이드 코일(33)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액츄에이터(34)가 소정 거리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38은 발전기 본체(39)와 축(40)으로 주요부가 구성된 직류발전기이다. 상기 발전기 본체(39)는 지지부(25)의 상면에 설치되고, 그 중심이 세로축(21)의 회동중심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발전기 본체(39)는 세로축(21)이 회동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25)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또, 상기 축(40)은 상하방향으로 축방향을 가지고, 세로축(21)의 회동축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축(40)은 상단부가 지지체(17)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암(41)에 발전기 본체(39)의 위쪽에서 고정되고, 하단부가 발전기 본체(39)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 내에 위쪽으로부터 배치된다. 그리고, 직류발전기(38)는 상기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세로축(21)(구동축(18))의 회동에 연동하여 발전기 본체(39)가 회동했을 때에 축(40)에 대한 발전기 본체(39)의 회전방향, 즉, 구동축(18)의 회전방향을 따라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42는 발전기 본체(39) 및 솔레노이드 코일(33)의 사이에 연결되어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한 전류를 솔레노이드 코일(33)로 흘리기 위한 도선, 43은 도선(42)의 도중에 설치되어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하는 정부의 전류 중, 한쪽을 발전기 본체(39)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33)에 대해서 흘려 다른 쪽을 차단하는, 즉,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한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만을 발전기 본체(39)로부터 솔레노이드 코일(33)에 대해서 흘리도록 구성된 정류회로(정류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정류회로(43)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에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솔레노이드 코일(33)로 흐르고,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솔레노이드 코일(33)에 흐르지 않도록 정류방향이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에는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한 전류가 솔레노이드 코일(33)로 공급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4)가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리테이너(35)는 스토퍼(36)에 의해서 아래쪽으로의 변위가 규제될 때까지, 평형스프링(3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한 전류는 솔레노이드 코일(33)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리테이너(35)는 평형스프링(37)으로 가압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위쪽 위치에 배치된다.
또, 44는 슬라이딩 실린더(29)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도시하지 않음)에 세로축(21)이 삽입통과되는 것에 의해, 세로축(21)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고, 슬라이딩 실린더(29)의 상하이동에 추종하여 세로축(21)의 축방향(상하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종동실린더, 45는 지지체(17)에 설치된 정지용 스위치이다. 이 정지용 스위치(45)는 세로축(21) 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레버(45a)가 위쪽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권상기(6)의 전원 및 제어장치(9)의 전원을 각각 차단한다. 46은 종동실린더(44)로부터 정지용 스위치(45) 측으로 돌출되고, 선단부가 레버(45a)의 아래쪽에 배치된 조작레버이다. 이 조작레버(46)는 종동실린더(44)가 소정 위치(높이)에 이르렀을 때에 레버(45)를 위쪽으로 가압하여 정지용 스위치(45)를 동작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 볼 조속기구(24)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플라이 볼(28)이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 즉, 구동축(18)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평형스프링(37)을 가압한다. 그리 고, 상기 원심력을 받은 플라이 볼(28)이 평형스프링(3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동작수단에 의해 정지용 스위치(45)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정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세로축(21)이 쉬브(11)의 정회전에 연동하여 한쪽으로 회전, 혹은, 쉬브(11)의 역회전에 연동하여 다른 쪽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플라이 볼(28)이 세로축(21)을 중심으로 세로축(21)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세로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라이 볼(28)은 세로축(21)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아 세로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핀(27)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 위쪽으로 이동한다. 즉, 플라이 볼(28)에 연동하는 슬라이딩 실린더(29) 및 종동실린더(44)가 평형스프링(3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속도가 상승시 제1 과속도에 이르거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속도가 하강시 제1 과속도에 이르면, 플라이 볼(28)(종동실린더(44))이 평형스프링(3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위치(높이)에 이르고, 조작레버(46)에 의해서 레버(45a)가 위쪽으로 가압된다. 즉, 정지용 스위치(45)가 동작되는 것에 의해, 권상기(6)의 전원 및 제어장치(9)의 전원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정지된다. 또한, 정지용 스위치(45)를 동작시키는 상기 동작수단은, 예를 들면, 링크(30), 슬라이딩 실린더(29), 종동실린더(44), 조작레버(46) 등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플라이 볼 조속기구(24)에서는 상기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45)를 동작시킬 때의 평형스프링(37)의 길이가 전환수단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된다. 또한, 이 전환수단은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구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환수단은 직류발전기(38)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평형스프링(37)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45)를 동작시킬 때의 평형스프링(37)의 압축시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대소(유무도 포함한다)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정류회로(43)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 직류발전기(38)에서는 발전기 본체(39)가 축(40)에 대해서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가 발생한다. 그러나,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한 전류는 정류회로(43)에 의해서 차단되어 솔레노이드 코일(33)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34)는 동작하지 않고, 리테이너(35)는 평형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서 위쪽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 직류발전기(38)에서는 발전기 본체(39)가 축(40)에 대해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정부 어느 다른 쪽의 전류가 발생한다. 직류발전기(38)에서 발생한 이 전류는 정류회로(43)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고 솔레노이드 코일(33)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34)가 동작하여 리테이너(35)는 평형스프링(37)을 압축하도록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정지용 스위치(45) 동작시의 평형스프링(37)의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대소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상기 가압수단은, 예를 들면, 직류발전기(38)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코일(33), 액츄에이터(34), 리테이너(35), 스토퍼(36)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방향에 의해서 리테이너(35)의 배치가 전환되는, 즉, 평형스프링(37)의 예(豫)압축량이 2단계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에 조작레버(46)를 정지용 스위치(45)의 동작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평형스프링(37)의 압축량은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서의 압축량과 비교하여, 리테이너(35)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커진다. 또한, 평형스프링(37)을 압축하기(조작레버(46)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이 볼(28)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원심력의 크기는 세로축(21)의 회전방향,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방향에 관계없이, 세로축(21)의 회전속도(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에 정지용 스위치(45)가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속도(상승시 제1 과속도)는 플라이 볼(28)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평형스프링(37)을 불필요하게 압축시킬 필요가 있는 만큼,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정지용 스위치(45)가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속도(하강시 제1 과속도)보다 커진다. 따라서, 평형스프링(37)의 스프링상수나 리테이너(35)의 이동량(스토퍼(36)의 배치) 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승시 제1 과속도와 하강시 제1 과속도를 서로 다른 소망하는 속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10)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적응 비용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종래와 같이, 상승시 제1 과속도 및 하강시 제1 과속도에 맞추어 2종류의 조속기구를 구비할 필요도 없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대해서는, 상승시 제1 과속도가 하 강시 제1 과속도보다 큰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정류회로(43)의 정류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에 의해, 하강시 제1 과속도를 상승시 제1 과속도보다 크게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속도가 하강시 제1 과속도를 넘어 하강시 제2 과속도에 이르렀을 때에 비상멈춤장치(14)를 동작시키는 조속장치(10)의 제동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상기 제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47은 상단부가 종동실린더(44)에 연결된 제1 링크, 48은 중앙부가 지지체(17)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부가 제1 링크(47)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2 링크, 49는 중앙부가 지지체(17)에 축(50)을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레버(49)는 스프링(51)에 의해서 축(50)을 중심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시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회전레버(49)는, 상시에는, 그 일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52)가 제2 링크(48)의 타단부에 접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그 회전이 제지되고 있다. 한편, 상기 회전레버(49)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속도가 하강시 제2 과속도에 이르면, 종동실린더(44)의 상승에 연동하여 제2 링크(48)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롤러(52)가 제2 링크(48)의 타단부로부터 벗어나,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서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레버(49)의 타단부에는 가동슈(53)가 걸어 멈춰져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시 제2 과속도에 이르러 회전레버(49)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슈(53)가 회전레버(49)로부터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리고, 회전레버(49)로부터 낙하한 가동슈(53)는 지지체(17)에 고정된 고정슈(54)에 의해서 조속로프(13)를 사이에 끼우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고, 조속로프(13)의 이동을 제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비상멈춤장치(14)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리테이너(35)를 상승위치에 배치한 상태로 하강시 제2 과속도를 검출할 수 있어 하강시 제2 과속도를 하강시 제1 과속도에 맞춘 소정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플라이 웨이트 조속기구(55)에 의해서 구성된 조속장치(1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구성의 조속장치(10)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 즉, 구동축(18)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56)의 일단부가 쉬브(11)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평형스프링(37)을 압축한다. 그리고, 상기 원심력을 받은 플라이 웨이트(56)가 평형스프링(3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동작수단으로 이루어진 작동자(57)에 의해서 정지용 스위치(45)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3)이 비상정지된다.
또, 상기 플라이 웨이트 조속기구(55)에서는 상기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45)를 동작시킬 때의 평형스프링(37)의 압축시 길이가 전환수단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전환수단은, 예를 들면, 구동축(18)에 설치된 발전기 본체(39) 및 지지체(17)에 설치된 축(40)으로 구성되는 직류발전기(38)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평형스프링(37)의 일단 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45)를 동작시킬 때의 평형스프링(37)의 압축시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대소(유무를 포함한다)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가압수단과, 직류발전기(38) 및 가압수단의 사이에 설치된 정류회로(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예를 들면, 직류발전기(38)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코일(33), 솔레노이드 코일(33)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그 일부가 돌출하는 액츄에이터(34), 액츄에이터(34)의 선단부에 설치된 리테이너(35), 리테이너(35)의 변위를 소정의 위치까지 제한하는 스토퍼(36)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 조속기구(55)를 구비한 조속장치(10)에서도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적응 비용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서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급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적응 비용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제1 과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용이에 대응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定格)속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調速)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錘)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가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동작수단이 상기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탄성체의 길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2.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및 하강에 연동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가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른 정부(正負) 어느 한쪽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발전기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작수단이 상기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탄성체의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직류발전기 및 상기 가압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류발전기에서 발생한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만을 상기 가압수단에 공급하는 정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원심력을 받은 추의 이동에 의해서 압축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동작수단이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탄성체의 압축시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직류발전기에 접속된 솔레노이드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탄성체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도록 그 일부가 이동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5.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 및 하강시의 이동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가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동작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동작수단이 상기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탄성체의 길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방향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시와 하강시에 다른 크기의 정격속도를 가지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및 하강에 연동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받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추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의 이동에 의해서 가압되는 탄성체와,
    원심력을 받은 상기 추가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과,
    상기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에 따른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직류발전기와,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작수단이 상기 정지용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의 상기 탄성체의 길이를 흐르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길이로 전환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직류발전기 및 상기 가압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류발전기에서 발생한 정부 어느 한쪽의 전류만을 상기 가압수단에 공급하는 정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04650A 2006-10-18 2006-10-18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8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0736 WO2008047425A1 (fr) 2006-10-18 2006-10-18 Commande de vitesse d'ascenseur et dispositif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503A true KR20090037503A (ko) 2009-04-15
KR101080588B1 KR101080588B1 (ko) 2011-11-04

Family

ID=3931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650A KR101080588B1 (ko) 2006-10-18 2006-10-18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69956B2 (ko)
EP (1) EP2067733A4 (ko)
JP (1) JP4985649B2 (ko)
KR (1) KR101080588B1 (ko)
CN (1) CN101522554B (ko)
WO (1) WO20080474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25B1 (ko) * 2010-09-17 2014-05-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5649B2 (ja) * 2006-10-18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EP2177466A4 (en) * 2007-08-09 201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PEED REGULATOR
JPWO2010086967A1 (ja) * 2009-01-28 2012-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1201617B1 (ko) 2009-04-09 2012-11-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FI121423B (fi) * 2009-04-23 2010-11-15 Kone Corp Hissin turvajärjestely
JPWO2011027432A1 (ja) * 2009-09-02 2013-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20110109096A1 (en) * 2009-11-06 2011-05-12 Matthew Earley Fixed pitch wind (or water) turbine with centrifugal weight control (CWC)
EP2319793B1 (de) * 2009-11-10 2012-01-25 ThyssenKrupp Elevator AG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n Geschwindigkeitsbegrenzer einer Aufzugsanlage
KR20120069780A (ko) * 2010-01-07 2012-06-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577736B2 (ja) * 2010-02-18 201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12086026A1 (ja) * 2010-12-22 2012-06-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US9359173B2 (en) * 2011-02-07 2016-06-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having two tripping mechanisms on separate sheaves
JP5753072B2 (ja) * 2011-12-21 2015-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FI20125046L (fi) * 2012-01-16 2013-07-17 Kone Corp Hissi
JP5850754B2 (ja) * 2012-01-24 2016-0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調速機及びこの調速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CN104350003B (zh) * 2012-05-30 2016-08-1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设备
CN104583108B (zh) * 2012-08-28 2016-08-24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设备
JP6027686B2 (ja) * 2013-09-09 2016-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WO2016025042A1 (en) * 2014-07-23 2016-02-18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governor with independent threshold speeds
CN106276465B (zh) * 2015-06-29 2018-08-2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及其限速器
JP6646892B2 (ja) * 2016-08-02 2020-02-1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そ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並びにそれを用いた速度検出方法
CN106219352B (zh) * 2016-10-09 2018-08-03 重庆能源职业学院 一种电梯坠落抱紧装置
CN106185531B (zh) * 2016-10-09 2018-07-31 重庆能源职业学院 一种防坠落电梯抱紧机构
EP3309104B1 (en) * 2016-10-14 2019-10-09 KONE Corporatio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CN109592530A (zh) * 2017-09-30 2019-04-09 上海龙钰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电梯限速器
US11034546B2 (en) * 2018-06-28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CN109058024A (zh) * 2018-07-12 2018-12-21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发电机保护功能的水利发电设备
CN110040598B (zh) * 2019-05-15 2024-01-09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无级触发的限速装置
CN115140627B (zh) * 2022-07-27 2024-01-19 苏州富士精工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限速器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697A (en) * 1947-12-12 1950-06-13 William C Clift Elevator safety apparatus
JPH05186156A (ja) * 1992-01-14 1993-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US6173813B1 (en) * 1998-12-23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control for an elevator braking system
JP4306014B2 (ja) 1999-05-1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調速装置
JP2001122549A (ja) 1999-10-25 2001-05-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ガバナ
JP4009500B2 (ja) * 2001-08-03 2007-11-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調速機
JP2003104646A (ja) 2001-09-28 2003-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33662B1 (ko) * 2002-04-24 2006-10-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초과 속도 조정 장치
US7614481B2 (en) * 2004-04-27 2009-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control portion that detects an abnormality
US7353916B2 (en) * 2004-06-02 2008-04-08 Inventio Ag Elevator supervision
JP4985649B2 (ja) * 2006-10-18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ES2537169T3 (es) * 2007-05-02 2015-06-03 Tesis Engineering S.R.L. Salvaescaleras motorizado
EP2177466A4 (en) * 2007-08-09 2014-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PEED REGUL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25B1 (ko) * 2010-09-17 2014-05-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47425A1 (ja) 2010-02-18
WO2008047425A1 (fr) 2008-04-24
JP4985649B2 (ja) 2012-07-25
US8069956B2 (en) 2011-12-06
EP2067733A4 (en) 2014-01-01
KR101080588B1 (ko) 2011-11-04
CN101522554B (zh) 2011-11-23
CN101522554A (zh) 2009-09-02
EP2067733A1 (en) 2009-06-10
US20090314586A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588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3339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JP4306014B2 (ja) 調速装置
JP5809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2647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4395220B (zh) 电梯装置
JP2009154984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00869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190236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CN108116959B (zh) 调速器和电梯装置
EP2522613A1 (en) Elevator device
JP7146119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非常止め装置
WO2014033845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7530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213847B2 (ja) エレベータの油入緩衝器
CN115339978A (zh) 电梯限速装置
CN115535772A (zh) 电梯限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