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329A -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 - Google Patents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329A
KR20090037329A KR1020080099082A KR20080099082A KR20090037329A KR 20090037329 A KR20090037329 A KR 20090037329A KR 1020080099082 A KR1020080099082 A KR 1020080099082A KR 20080099082 A KR20080099082 A KR 20080099082A KR 20090037329 A KR20090037329 A KR 2009003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lutch mechanism
auxiliary member
axial
arti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068B1 (ko
Inventor
하피즈 오스망
빠뜨리쓰 베르땡
미셀 그라똥
크리스토퍼 드할레인
엠마누엘 르코크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09003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메카니즘(10)은 다이어프램(14)이 수납되고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관절 연결된 커버(12)와, 다이어프램(14)의 지지 및 관절 연결을 위한 제 1 부분(18A)을 포함하는 대략 선회 형태의 관절 연결 부재(20)와, 그 결합 위치를 향한 다이어프램(14)의 경사를 보조하기 위한 대략 선회 형태의 탄성 부재(24)와, 커버(12)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부에서 관절 연결 부재(20) 및 보조 부재(24)가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22)를 포함한다. 관절 연결 부재(20) 및 보조 부재(24)는 지지 부재(22)의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및 제 2 축방향 정지부(23B)에 각각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관절 연결 부재(20)는 제 2 축방향 정지부(23B)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고 제 2 보조 부재(24)는 제 1 축방향 정지부(23A)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된다.
클러치용 메카니즘, 다이어프램, 커버, 관절 연결 부재, 축방향 정지부, 보조 부재

Description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CLUTCH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WITH IMPROVED ENGAGEMENT ASSISTANC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메카니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클러치는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를 실질적으로 정렬된 회전축과 결합하도록 의도된다. 구동 회전 부재는 엔진, 더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결합되고, 피동 회전 부재는 일반적으로 기어박스 샤프트에 결합된다.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이 메카니즘은 커버, 다이어프램 및 압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피동 부재에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구동 및 피동 회전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은 커버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반작용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피동 회전 부재에 회전식으로 연결된 마찰 디스크를 파지한다.
다이어프램은 제 1 및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에 의해 표현되는 관절 연결 축을 포함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따라서, 푸시형(pushed type)의 메카니즘의 경우에, 다이어프램은 제 1 유형의 레버, 즉 관절 연결축의 각각의 측에 인가된 작용력 및 반작용력을 받게 되는 레버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 풀형(pulled type)의 메카니즘의 경우에는, 다이어프램은 제 2 유형의 레버, 즉 작용력 및 반작용력을 받게 되는 레버를 형성하고, 반작용력은 그 관절 연결축과 작용력의 인가 영역 사이에서 레버에 인가된다.
다이어프램은, 이 다이어프램이 그 위치를 향해 탄성적으로 복귀하게 되는 결합 위치와, 이 다이어프램이 제어 해제 베어링에 의해 그 복귀력에 대항하여 그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관절 연결축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결합 위치에서, 다이어프램은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에 의해 회전 안내되고, 압력 플레이트에 하중을 작용시키기 위해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 상에 지지된다.
분리 위치에서, 다이어프램은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에 의해 회전 안내되고, 압력 플레이트에 작용된 하중을 상쇄시키기 위해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 상에 지지된다.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용 메카니즘이 종래 기술에, 특히 프랑스 공개 특허 제 2 709 337 호로부터 또한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 메카니즘은, 다이어프램이 압력 플레이트에 힘을 인가하여 압력 플레이트와 반작용 플레이트 사이에 마찰 디스크를 파지하는 결합 위치와, 다이어프램이 제어 해제 베어링에 의해 활성화되 어 압력 플레이트를 해제하는 분리 위치 사이에 관절 연결되고, 다이어프램이 수납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한다.
다이어프램의 관절 연결은 제 1 및 제 2 관절 연결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 사이에 다이어프램을 파지함으로써 성취된다.
분리 후에 그 결합 위치로의 다이어프램의 최적의 복귀와 다이어프램의 사용 수명 전체에 걸친 이러한 최적의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 그 결합 위치를 향한 다이어프램의 경사를 보조하는 탄성 부재가 다이어프램에 접하여 배열된다.
이 보조 부재는 또한 다이어프램이 그 사용 수명 전체에 걸쳐 결합 위치에서 압력 플레이트에, 그리고 분리 위치에서 제어 해제 베어링에 최적의 힘을 인가하는 것을 보장한다.
관절 부재, 다이어프램 및 보조 부재는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부재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적층된다.
2개의 관절 연결 부재는 보조 부재와 축방향 압축 상태로 결합된다. 사실상, 보조 부재에 인가된 축방향 압축은 각각의 관절 연결 부재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적층된 요소는 다이어프램이 경사질 때 서로에 대해 마찰되고, 이러한 마찰은 이들 요소 중 일부에 조기 마모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몇몇 경우에, 전술된 적층에 기인하여, 치수의 분산이 메카니즘을 조립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조립이 간단하고 그 구성 요소의 조기 마모를 방지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결점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용 메카니즘에 있어서,
- 다이어프램이 수납되어 있고,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 관절 연결되는 커버,
- 다이어프램을 위한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를 포함하는 대략 선회 형태의 관절 연결 부재,
- 그 결합 위치를 향한 다이어프램의 경사를 보조하는 대략 선회 형태의 탄성 부재,
- 커버에 의해 지지되고, 관절 연결 부재 및 보조 부재가 그 상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관절 연결 부재 및 보조 부재는 지지 부재의 제 1 및 제 2 축방향 정지부에 각각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관절 연결 부재는 제 2 축방향 정지부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고, 보조 부재는 제 1 축방향 정지부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는 유형의 클러치용 메카니즘이다.
제 1 부재는 제 2 부재 상에 인가된 압축이 제 1 부재에 전달되지 않으면 제 2 부재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축방향 압축에 의한 분리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그 결합 및 분리 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때 관절 연결 부재와 보조 부재 사이의 마찰이 방지되고, 이는 조기 마모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분리는 관절 연결 부재 및 보조 부재의 적층을 회피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요소의 치수의 분산의 누적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가 회피된다.
더욱이, 관절 부재 및 보조 부재는 동일한 지지 부재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메카니즘은 그 제조를 위해 소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비교적 조립이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즘은 또한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제 1 및 제 2 축방향 정지부는 지지 부재의 숄더의 2개의 반경방향 편위부에 의해 형성된다.
- 관절 연결 부재는 보조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싼다.
- 다이어프램은 커버에 의해, 예를 들어 커버 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에 의해 지지된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와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 사이에 파지된다.
- 다이어프램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다이어프램과 보조 부재 사이에 간극(clearance)이 제공된다.
- 메카니즘은 커버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적어도 3개, 예를 들어 9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 다이어프램은 대략 접시 스프링(Belleville washer)의 형태를 갖고, 레버를 각각 형성하는 방사상 핑거를 포함하고, 이러한 방사상 핑거의 작동은 그 결합 및 분리 위치 사이에서의 경사 중에 다이어프램의 변형을 발생시킨다.
- 보조 부재는 대략 접시 스프링의 형태이고, 자유 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짧은 및 기다란 실질적으로 방사상 러그(lug)를 포함하고, 기다란 러그의 자유 단부는 짧은 러그의 자유 단부에 대해 메카니즘의 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편위되고, 짧은 및 기다란 러그는 다이어프램이 그 분리 위치를 향해 경사질 때, 기다란 러그의 자유 단부가 짧은 러그의 자유 단부에 앞서 다이어프램과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 관절 연결 부재는 접시 스프링의 형태이다.
- 지지 부재는 이 지지 부재의 숄더를 형성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리벳을 갖는다.
- 메카니즘은 보조 부재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개재되어 보조 부재와 다이어프램 사이의 마찰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마찰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 메카니즘은 푸시형이다.
- 메카니즘은, 메카니즘이 클러치 내에 배열될 때,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 상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의도된 마모 보상 장치를 포함한다.
- 메카니즘은 보조 부재의 축방향 고정을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특히 간극이 보조 부재와 다이어프램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 보조 부재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이러한 축방향 이동이 바람직하지 않은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및/또는 보조 부재 상의 조기 마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고정 수단은 제 1 축방향 정지부와, 관절 연결 부재에 연결된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toungue)를 포함하고, 보조 부재는 제 1 축방향 정지부와 텅부 사이에 파지된다.
- 고정 수단은 제 1 축방향 정지부 및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를 포함하고, 이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는 보조 부재에 연결되며, 관절 연결 부재와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에 접해 있는 보조 부재를 고정한다.
- 고정 수단은 제 1 축방향 정지부 및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를 포함하고, 이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는 보조 부재에 연결되며, 다이어프램과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에 접해 있는 보조 부재를 고정하는 한다.
- 고정 수단은 제 1 축방향 정지부 및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를 포함하고, 이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는 커버에 의해 지지되며, 보조 부재와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에 접해 있는 이것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이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설명의 숙독으로부터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간단하고 그 구성 요소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클러치용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를 도시한다. 이 클러치는 도면 부호(10)로 나타낸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메카니즘(10)은 통상의 수단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엔진 플라이휠(도시 생략)과 회전식으로 연결되도록 의도된 대략 선회 형태의 커버(12)를 포함한다. 접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다이어프램(14)이 커버(12) 내에 수납된다. 이 커버(12) 및 다이어프램(14)은 실질적으로 동축적이다.
다이어프램(14)은 다이어프램의 축을 향해 연장하는 방사상 핑거(14D)를 구비한다. 이들 핑거(14D)는 접시 스프링 형태뿐만 아니라 탄성을 다이어프램(14)에 제공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절첩된다.
클러치가 자동차에 조립될 때, 다이어프램(14)은 제어 해제 베어링(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되고, 커버(12) 내에 수납되어 커버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압력 플레이트(16)와 협동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14)이 휴지 상태에 있을 때, 이는 압력 플레이트(16)에 힘을 인가하여, 압력 플레이트(16)와 반작용 플레이트(도시 생략) 사이에 마찰 디스크(도시 생략)를 파지함으로써 마찰 디스크를 메카니즘(10)과 결합한다(결합 위치).
제어 해제 베어링이 작동될 때, 이는 다이어프램(14)의 핑거(14D)에 축방향 힘을 인가하고, 이는 다이어프램(14)의 탄성 변형을 발생시킨다. 다이어프램(14)은 이어서 관절 연결축(19)에 대해 피봇하여, 압력 플레이트(16)를 해제하고, 따라서 마찰 디스크를 해제한다(분리 위치).
다이어프램(14)의 관절 연결축(18)은 커버(12)에 의해 지지된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A) 및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B)에 의해 표현되고, 이들 제 1 및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 사이에는 다이어프램(14)이 파지된다.
다이어프램(14), 특히 그 핑거(14D)의 각각은 이어서 이들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A) 및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B)에 대해 관절 연결된 제 1 유형의 레버를 형성한다.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A)는 접시 스프링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대략 선회 형태의 관절 연결 부재(20)에 의해 지지된다. 관절 연결 부재(20)는 내부 윤곽부(20I) 및 외부 윤곽부(20E)를 포함한다. 외부 윤곽부(20E)는 다이어프램(14)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이에 의해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A)를 형성한다.
관절 연결 부재(20)의 내부 윤곽부(20I)는 커버(12)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2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예를 들어 커버(12)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9개의 지지 부재(22)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지지 부재(22)는 숄더를 형성하는 헤드(22A)를 구비하는 리벳을 갖는데, 이 숄더가 숄더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제 1 축방향 정지부(23A)를 포함하고,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대하여 관절 연결 부재(20)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관절 연결 부재(20)는 다이어프램(14)과 제 1 정지부(23A) 사이에 축방향으로 파지된다.
게다가,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B)는 커버(12) 상에 형성된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인 환형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변형예에서,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는 커버(12)에 부착된 제 2 관절 연결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결합 위치를 향한 다이어프램(14)의 경사를 보조하기 위해, 메카니즘(10)은 대략 선회 형태의 탄성 보조 부재(24)를 포함한다. 이 탄성 보조 부재(24)는 또한 지지 부재(22) 상에 지지된다.
사실상, 각각의 지지 부재(22)는 제 1 축방향 정지부(23A)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위된 숄더(22A)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제 2 축방향 정지부(23B)를 포함하고,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대해 보조 부재(24)가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된 보조 부재(24)는 접시 스프링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하다.
보조 부재(24)는 짧은 실질적으로 방사상 러그(24A) 및 기다란 실질적으로 방사상 러그(24B), 예를 들어 3개의 기다란 러그(24B)를 포함한다. 각각의 러그(24A, 24B)는 자유 단부를 구비하여, 기다란 러그(24B)의 자유 단부가 짧은 러그(24A)의 자유 단부에 대해 메카니즘의 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편위된다.
짧은 러그(24A) 및 기다란 러그(24B)는, 다이어프램(14)이 그 분리 위치를 향해 경사질 때, 기다란 러그(24B)의 자유 단부가 짧은 러그(24A)의 자유 단부에 앞서 다이어프램(14)의 핑거(14D)와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보조 부재(24)는 다이어프램(14)이 그 분리 위치를 향해 경사질 때 다이어프램(14)에 점진적인 힘을 인가한다.
설명된 예에서, 기다란 러그(24B)는 다이어프램(14)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에도, 결합력에서 이를 보조하기 위해 다이어프램(14)의 핑거(14D)와 협동한다.
게다가, 기다란 러그(24B)는 각각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를 형성하고, 다이어프램(14)과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보조 부재(24)를 고정한다.
따라서, 탄성 텅부(24B) 및 제 1 축방향 정지부(23A)는 함께 보조 부재용 탄성 축방향 고정 수단(26)을 형성한다.
변형예에서, 다이어프램(14)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다이어프램(14)과 보조 부재(24) 사이에 간극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절 연결 부재(20)는 제 2 축방향 정지부(23B)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고, 보조 부재(24)는 제 1 축방향 정지부(23A)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된다. 특히, 관절 연결 부재(20)의 내부 윤곽부(20I)의 직경은 보조 부재(24)의 외부 윤곽부(24E)의 직경보다 커서, 관절 연결 부재(20)가 이 보조 부재(24)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게 된다. 달리 말하면, 관절 연결 부재(20) 및 보조 부재(24)는 지지 부재(22)의 각각의 측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이들 관절 연결 부재(20) 및 보조 부재(24)는 서로 독립적이고, 따라서 다이어프램(14)이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경사질 때 서로에 대해 마찰될 가능성이 없다.
게다가, 관절 연결 부재(20) 및 보조 부재(24)는 적층되지 않고, 따라서 치수의 분산의 위험이 제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10)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이전의 도면들의 것과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메카니즘(10)은 보조 부재(24)와 다이어프램(14) 사이에 개재되어 보조 부재(24)와 다이어프램(14) 사이의 마찰을 제한하는 각진 마찰 제한 부재(28)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10)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이전의 도면들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메카니즘(10)은 보조 부재(24)의 축방향 고정을 위한 탄성 수단(26)을 포함한다.
고정 수단(26)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와, 관절 연결 부재(20)의 내부 윤곽부(20I)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0)를 포함하여, 보조 부재(24)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와 텅부(30) 사이에 파지되게 된다. 예를 들면, 관절 연결 부재(20)는 그 내부 윤곽부(20I)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9개의 텅부(30)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10)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이전의 도면들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26)은, 보조 부재(24)의 외부 윤곽부(24E) 상에 형성되고, 다이어프램(14)과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보조 부재(24)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텅부(32)는, 텅부의 제 1 단부가 보조 부재(24)의 외부 윤곽부(24E)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14)과 협동하는 상부를 갖는 그러한 곡선 형상을 구비한다. 변형예에서, 텅부의 제 2 단부는 그 상부에 지지되도록 관절 연결 부재(20)와 협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10)을 도시한다. 도 9에서, 이전의 도면들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26)은, 보조 부재(24)의 외부 윤곽부(24E) 상에 형성되고, 관절 연결 부재(20)와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보조 부재(24)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4)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10)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이전의 도면들의 것들과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26)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보조 부재(24)와 협동하여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이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 부재(24)는 탄성 텅 부(36)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사이에 파지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변형예에서 보조 부재(24)가 관절 연결 부재(20)를 둘러쌀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보조 부재(24)는 이 보조 부재(24)의 외부 윤곽부로부터 돌출하는 외부 방사상 러그를 포함할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 상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의도된 마모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메카니즘(10)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의 축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메카니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메카니즘의 보조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의 도 1의 것과 유사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의 도 1의 것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메카니즘의 보조 부재 및 관절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메카니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메카니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 및 관절 연결 부재의 도 3의 것과 유사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 및 관절 연결 부재의 도 6의 것과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카니즘 12: 커버
14: 다이어프램 14D: 핑거
16: 압력 플레이트 18: 관절 연결축
18A: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 18B: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
20: 관절 연결 부재 22: 지지 부재
23A: 제 1 축방향 정지부 23B: 제 2 축방향 정지부
24A, 24B: 러그 24: 보조 부재
26: 고정 수단 30, 32, 34, 36: 텅부

Claims (20)

  1.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용 메카니즘(10)에 있어서,
    - 다이어프램(14)이 수납되어 있고, 결합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 관절 연결되는 커버(12),
    - 상기 다이어프램(14)을 위한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A)를 포함하는 대략 선회 형태의 관절 연결 부재(20),
    - 그 결합 위치를 향한 상기 다이어프램(14)의 경사를 보조하는 대략 선회 형태의 탄성 부재(24),
    - 상기 커버(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 및 보조 부재(24)가 그 상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 및 상기 보조 부재(24)는 상기 지지 부재(22)의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및 제 2 축방향 정지부(23B)에 각각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는 상기 제 2 축방향 정지부(23B)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보조 부재(24)는 상기 제 1 축방향 정지부(23A)로부터의 축방향 압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및 상기 제 2 축방향 정지부(23B)는 상기 지지 부재(22)의 숄더(22A)의 2개의 반경방향 편위부에 의해 형성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는 상기 보조 부재(24)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14)은 커버(14)에 의해, 예를 들어 커버(14) 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제 1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A)와 상기 제 2 지지 및 관절 연결부(18B) 사이에 파지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14)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간극이 상기 다이어프램(14)과 상기 보조 부재(24) 사이에 제공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 상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적어도 3개, 예를 들어 9개의 지지 부재(22)를 포함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14)은 대략 접시 스프링의 형태이고, 레버를 각각 형성하는 방사상 핑거(14D)를 포함하고, 이 방사상 핑거의 작동은 그 결합 및 분리 위치 사이에서의 경사 중에 상기 다이어프램(14)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24)는 자유 단부를 각각 구비하는 짧은 실질적으로 방사상 러그(24A) 및 기다란 실질적으로 방사상 러그(24B)를 포함하고, 상기 기다란 러그(24B)의 자유 단부는 상기 짧은 러그(24A)의 자유 단부에 대해 상기 메카니즘의 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편위되고, 상기 짧은 러그(24A) 및 기다란 러그(24B)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이 그 분리 위치를 향해 경사질 때, 상기 기다란 러그(24B)의 자유 단부가 상기 짧은 러그(24A)의 자유 단부에 앞서 상기 다이어프램(14)과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24)는 대략 접시 스프링의 형태인
    클러치용 메카니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는 대략 접시 스프링의 형태인
    클러치용 메카니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2)는 상기 지지 부재(22)의 숄더(22A)를 형성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리벳을 갖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24)와 상기 다이어프램(1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조 부재(24)와 상기 다이어프램(14) 사이의 마찰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마찰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10)은 푸시형인
    클러치용 메카니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10)이 상기 클러치 내에 배열될 때 상기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 상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의도된 마모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24)의 축방향 고정을 위한 탄성 수단(26)을 포함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6)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와,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에 연결된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부재(24)는 상기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와 상기 텅부(30) 사이에 파지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6)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및 탄성 축방향 고정 텅 부(3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4)는 상기 보조 부재(24)에 연결되며, 상기 관절 연결 부재(20)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상기 보조 부재(24)를 고정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6)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및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24B; 3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24B; 32)는 상기 보조 부재(24)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어프램(14)과 협동하여 상기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상기 보조 부재(24)를 고정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6)은 제 1 축방향 정지부(23A) 및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축방향 고정 텅부(36)는 상기 커버(1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조 부재(24)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축방향 정지부(23A)에 접해 있는 이것을 고정하는
    클러치용 메카니즘.
  20.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카니즘(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KR1020080099082A 2007-10-11 2008-10-09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 KR101503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58232 2007-10-11
FR0758232A FR2922284B1 (fr) 2007-10-11 2007-10-11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a assistance perfectionnee a l'embray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329A true KR20090037329A (ko) 2009-04-15
KR101503068B1 KR101503068B1 (ko) 2015-03-16

Family

ID=3944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082A KR101503068B1 (ko) 2007-10-11 2008-10-09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48397B1 (ko)
KR (1) KR101503068B1 (ko)
FR (1) FR2922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5980B4 (de) * 2009-10-26 2011-12-08 Zf Friedrichshafen Ag Reibungskupplung
FR2994237B1 (fr) 2012-08-03 2015-07-03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P2917600B1 (de) * 2012-11-09 2019-12-1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vorrichtung
DE112014001052A5 (de) * 2013-02-28 2015-12-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IN2015DE00013A (ko) 2014-01-30 2015-08-07 Valeo Embrayages
DE102014211437A1 (de) * 2014-06-16 2015-12-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ützfeder für ein Betätigungssystem einer Reibkupplung
US9628116B2 (en) 2015-07-14 2017-04-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CN109210100B (zh) 2017-06-29 2021-11-02 南京法雷奥离合器有限公司 用于离合器结构的盖、离合器机构和组装所述机构的方法
CN111412225A (zh) * 2019-01-07 2020-07-14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合器
IT202100011735A1 (it) 2021-05-07 2022-11-07 Raicam Driveline S R L Innesto a frizione per veicoli a moto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9469B1 (en) * 1986-06-13 1990-05-09 Automotive Products Public Limited Company Friction clutch cover assemblies
FR2688558B1 (fr) * 1992-03-10 1998-03-13 Valeo Mecanisme d'embrayage a diaphragme pour vehicule automobile.
JP2564888Y2 (ja) * 1992-04-06 1998-03-1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RU2166679C2 (ru) 1993-05-26 2001-05-10 Лук Ламеллен унд Купплюнгсбау ГмбХ Фрикционное сцепление
DE29508091U1 (de) * 1994-12-24 1995-07-20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Hilfsfeder zur Unterstützung der Ausrückkraft
DE19608772C2 (de) * 1996-03-07 2002-07-18 Zf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Erzeugung der Anpreßkraft durch zwei Federn
GB0208137D0 (en) * 2002-04-09 2002-05-22 Automotive Products Uk Ltd Clutc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22284B1 (fr) 2010-03-19
EP2048397B1 (fr) 2013-07-31
FR2922284A1 (fr) 2009-04-17
KR101503068B1 (ko) 2015-03-16
EP2048397A1 (fr)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7329A (ko)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
JP4188528B2 (ja) クラッチリング用アクチュエータ
KR102218998B1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장치
KR102154873B1 (ko)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KR101498317B1 (ko) 마찰 클러치
JPH0444126B2 (ko)
EP2772658B1 (en) Clutch device
KR20150096418A (ko) 특히 자동차용의 간극 조정기를 구비한 클러치
KR102001270B1 (ko) 특히 자동차용의 토크 전달 유닛
KR20140040029A (ko) 자동차용의 토크 전달 조립체
KR20140104431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이중 클러치
US6260684B1 (en) Clutch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
KR102396061B1 (ko)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용 어셈블리
CN107304790B (zh) 尤其用于机动车辆的磨损补偿式离合器装置
JP4217250B2 (ja) クラッチカバーアッセンブリ
KR102296648B1 (ko) 마찰 클러치용 결합/분리 시스템
EP2775158A1 (en) Clutch device
KR20040045380A (ko) 마찰 클러치
US20180058560A1 (en) Torque converter with lock-up clutch spring
JP4873336B2 (ja) 摩擦クラッチ
JP3578599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連結機構
KR20100044178A (ko) 자동차의 클러치용 기구
JPH0563649B2 (ko)
JP3136641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用軸受ユニット
JP3515667B2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