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380A - 마찰 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380A
KR20040045380A KR1020030083721A KR20030083721A KR20040045380A KR 20040045380 A KR20040045380 A KR 20040045380A KR 1020030083721 A KR1020030083721 A KR 1020030083721A KR 20030083721 A KR20030083721 A KR 20030083721A KR 20040045380 A KR20040045380 A KR 2004004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iction clutch
friction
clutch
ax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163B1 (ko
Inventor
로페즈카를로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04004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는 반동 플레이트와, 마찰 디스크(100)와, 압력 플레이트(11)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커버(12)와, 상기 커버(12)와 커버(12)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상기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작동하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결합 수단(13)과, 카운터-램프 수단(15)과 협동하기에 적합한 램프 수단(14)을 포함하는 마모 보상 장치와,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워엄(23)이 협동하는 치형부(19)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수단(14)은 상기 치형부(19) 세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워엄(23)을 회전식으로 구동하는 수단(20)은 상기 클러치가 결합할 때 마찰 라이닝(들)(101)의 마모에 의해 작동하게 제공되고 상기 워엄(23)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래칫 휠에 의해 구성되며 탄성 부재(32)가 갖는 제어 텅(36)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워엄(23) 및 래칫 휠(20)은 커버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스핀들(27) 주위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Description

마찰 클러치{FRICTION CLUTCH WITH DEVICE FOR TAKING UP WEAR OF FRICTION LININGS,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의 마모에 대한 보상용 장치가 구비된 클러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이후의 설명에서 상기 라이닝(들)이 마모될 때 작동하는 마모 보상 장치(wear take-up device)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마찰 클러치는 감쇠 플라이휠 또는 가요성 플라이휠을 형성하도록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이휠에 속하는 반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이 반동 플레이트는 통상적으로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구동 샤프트인 제 1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랭핑되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커버를 그의 외주연부에 의해 지지한다.
압력 플레이트는 커버 및 반동 플레이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한편, 분리 수단에 의해 제어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 수단의 작용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결합 수단은 나선형 스프링, 또는 직렬 또는 병렬로 장착된 1개 또는 2개의 접시형 와셔(Belleville washer)로 구성되며, 분리 수단을 형성하는 클러치 해제 레버의 작용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이 결합 및 분리 수단은 하나 그리고 동일 구성요소, 예컨대 커버상에 위치된 금속 다이아프램에 속한다. 분리 작용력을 돕도록 다이아프램은 접시형 와셔와 직렬 또는 병렬로 장착될 수 있다.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같은 통상적인 종동 샤프트인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그의 외주연부에서 지지하는 마찰 디스크는,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클러치가 결합 위치에 있을 경우 이들 사이에 파지된다. 결합 수단이 분리 수단을 통해 클러치 해제 베어링에 의해 작동될 경우 이 결합 수단은 압력 플레이트의 축방향 변위를 제어한다. 종종, 마찰 디스크는 2개의 마찰 라이닝이 양측부상에 고정되는 축방향의 탄성 지지 디스크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마찰 디스크가 점진적으로 파지된다. 변형예로서, 지지 디스크가 강성이고, 예컨대 그의 외주연부에서 마찰 라이닝내에 끼워 넣어진다.
이러한 클러치의 유효수명 동안에, 마찰 라이닝(들)뿐만 아니라 카운터 요소, 즉 압력 플레이트 및 반동 플레이트가 마모되며, 이러한 마모는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 그리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결합 수단 및 클러치 해제 베어링의 위치의 변이를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서 분리 수단의 작동 상태의 변화로 인해 한편으로는 마창 디스크와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및 반동 플레이트 사이의 파지력(gripping force)의 변이를 초래하여 클러치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클러치에 마모 보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이 회피되며, 결합 수단과, 통상적으로 분리 수단상에 일정하게 위치하는 클러치 해제 베어링은 클러치가 결합 위치에 있을 경우 동일한 위치를 차지하여, 클러치의 축방향 공간 요구 조건이 감소된다.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반동 플레이트와, 그의 외주연부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고,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마찰 디스크와,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커버와, 분리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제 2 및 제 1 정지 수단에 의하여 한편으로 커버와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커버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한편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압력 플레이트를 커버쪽으로 축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마찰 클러치는 또한 정지 수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카운터-램프 수단(counter-ramp means)과 협동하도록 적합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램프 수단을 구비한 마모 보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수단은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워엄(worm)이 협동하는 치형부 세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며, 워엄을 회전식으로 구동시키는 수단은 클러치가 결합될 때 마찰 라이닝(들)의 마모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되고 워엄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래칫 휠(ratchet wheel)에 의해 구성되며 탄성 부재가 구비한 제어 텅(control tongue)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워엄과 래칫 휠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와 탄성 부재는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그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웹(web)과, 상기 워엄과 래칫 휠을 지탱하는 스핀들(spindle)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2개의 윙(wing)을 갖는 U자 형상인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치는 예컨대 프랑스 특허 제 2 753 503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마찰 클러치를 제안한 것으로, 상기 유형의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 양자의 공간 요구 조건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반동 플레이트와, 그의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며,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마찰 디스크와, 압력 플레이트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커버와, 분리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제 2 정지 수단 및 제 1 정지 수단에 의하여 한편으로는 상기 커버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유형의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를 상기 커버쪽으로 축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클러치는 램프 수단을 구비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램프 수단의 램프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정지 수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며,카운터-램프 수단과 협력하기에 적합하며; 치형부 세트는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워엄과 협동하고; 상기 램프 수단은 상기 치형부 세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워엄을 회전식으로 구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클러치가 결합될 때 마찰 라이닝(들)의 마모에 의해 작동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워엄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래칫 휠에 의해 구성되고, 탄성 부재를 구비한 제어 텅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는 상기 워엄과 상기 래칫 휠은 상기 커버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핀들 주위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커버는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는 2개의 윙을 구비하며, 상기 윙은 스핀들이 통과하는 상기 윙의 구멍에 의하여,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스핀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외측을 향한 반경방향 연장부를 국부적으로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웹과 상기 2개의 윙을 갖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스핀들은 축방향 접촉부내의 치형부 세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소위 접촉 구성요소를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접촉 구성요소는 지지 윙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윙은 스핀들, 및 내측을 향하여 그리고 향하여 지향된 벤드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치형부 세트가 그들상에 축방향으로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구성요소는 외측을 향하여 지향되고, 커버의 고정 림의 반동 플레이트를 향하여 지향된 면에 놓이기 적합한 반경방향의 아암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치형부 세트는 램프 수단에 결합된 단부 아암을 갖는 세그먼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아암은 얇고 탄성적이며 아치형으로 되어 접촉 구성요소에 대하여 적용한 치형부 세트를 축방향으로 오프셋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는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커버의 하부의 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매우 긴 블레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에 직접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탄성 부재의 자유 단부는 제어 텅으로서 형성되고, 클러치의 축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의 외측을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부분 및 제어 텅은 커버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반경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있다.
유리하게는, 탄성 부재의 외측을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향한 볼록한 상태로 약간 아치형이어서, 커버의 하부의 두께와 일직선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위 횡방향 아암은 제어 텅의 어느 한 측을 연장하고, 제어 접촉부를 구성하는 개구부의 반경방향 에지에 대하여 접촉되기에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 수단이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는 다이아프램의 관절 수단(articulation means)을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중 하나에 의해 커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래칫 휠은 제어 텅을 통해 다이아프램에 의해 제어된다.
유리하게는, 래칫 휠은 다이아프램의 외주에 구비되는 반경방향의 부속물에 의해 구성된 작동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는 다이아프램의 접시형 와셔부에 대하여 상기 커버의 하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작동 장치는 상기 제어 텅의 배면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절결부인 탄성 러그(elastic lug)의 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램프 수단은 한편으로는 경사져서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램프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정지 수단을 축방향으로 갖는 링으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상기 램프 및 상기 제 2 정지 수단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거의 일직선상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운터-램프 수단은 램프 수단의 램프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패드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상기 워엄은 소위 탄성 보상 수단의 작용을 받음으로써 그의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기 워엄과 일직선으로 있는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축에 경사진 환형 스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순수하게 설명을 위한 것이며 비제한적인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클러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일부를 절개한 도 1의 화살표(II)를 따른 클러치의 단면도,
도 3은 램프 수단(ramp means)의 정면도,
도 4는 램프 수단, 워엄, 래칫 휠 및 나선형 스프링을 수용하는 커버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부분 절결된 클러치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
도 6 은 접촉 구성요소의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의 선 VII-VII 및 선 VIII-VIII를 따른 접촉 구성요소의 단면도,
도 9는 접촉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10은 작동 장치와 탄성 부재 사이의 협동을 사시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11은 작동 장치를 갖춘 다이아프램의 평면도,
도 12는 작동 장치를 도시한 도 11의 확대부(XII)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찰 디스크 101 : 마찰 라이닝
11 : 압력 플레이트 12 : 커버
13 : 결합 수단 14 : 램프 수단
16 : 램프 17 : 제 2 정지 수단
18 : 제 1 정지 수단 19 : 치형부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마찰 디스크(100)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압력 플레이트(1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임을 알 수 있으며, 그의 외주연부에서 마찰 라이닝(101)을 지지하는 댐퍼 플레이트 또는 지지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반동 플레이트와 그 자신이 협동한다. 반동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플라이휠에 속한다. 마찰 디스크(100)는 그의 내주연부에서 댐퍼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된 허브(hub)에 의하여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같은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주조될 수 있는 재료, 본원에서 주철로 이루어진 압력 플레이트는 프레싱된 시트 금속제로 이루어진 커버(12)를 향하여 압력 플레이트(11)를 복귀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접선방향의 텅(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공지된 방식으로 중공 형상의 커버(12)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커버(12)는 축에 경사진 환형 스커트(41)에 의해,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반경방향 림(radial rim)(21)에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배향된 하부(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림(21)은 축방향으로의 오프셋 영역으로 나뉜다.
따라서, 커버(12)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압력 플레이트(11)는, 커버(12)의 하부(42)의 내주연부에 위치된 리벳(48)에 의해 지지된 보유 링(10)에 의하여 그리고 커버(12)의 하부(42)에 형성되어 다이아프램(13)용 제 1 정지부를 제공하는 원호 형상의 가압부(18)에 의하여 커버(12)에 관절 결합된 제어된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 즉 본원에서 다이아프램(13)의 작동하에서 커버(1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는 본원에서 푸쉬 타입이며, 상기 분리 동작은 클러치는 결합된 상태로 도시된 도 1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다이아프램(13)의핑거(finger)의 단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다이아프램(13)은 제 1 정지부(18)와, 제 1 정지부(18)에 대해 다이아프램을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유 링(10)의 외주연부 사이의 관절 결합에 의해 장착된다.
클러치가 결합된 경우 마찰 디스크(100)의 라이닝(101)의 마모에 관계없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 수단(12)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마찰 면부로 언급된 면부가 디스크(100)의 라이닝(101)과 접촉하는 압력 플레이트(11) 및 반동 플레이트의 마모를 적게 하기 위하여, 마모 보상 장치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램프(16)를 구비한 램프 수단(14)을 포함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램프 수단(14)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편 압력 플레이트(11)를 향하여 뻗어 있는 램프(16)를 갖는 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링은 그의 대향면상에 클러치의 축상에 중심설정된 원호에 배치된 둥근 상부 릿지(ridge)에 의해 구성된 소위 제 2 정지 영역(17)을 갖는다. 물론, 상기 제 2 정지 영역(17)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정지 영역(17)은 제 1 정지 영역(18)위에 반경방향으로 위치된다.
압력 플레이트(11)는, 커버(12)의 하부(42)쪽으로 향하는 그의 면부상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패드의 형태인 카운터-램프(15)를 포함하는 카운터-램프 수단을 포함하는 이송시키는 횡방향 정지면을 구비하며, 카운터-램프(15)는 2개의 연속적인 램프(16)를 원주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에 대응하며, 카운터-램프(15)는 램프(16)와 각각 협동하도록 의도된다.
램프 수단(14)이 다이아프램(13)과 카운터-램프 수단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어 카운터-램프(15)는 램프(16)를 수용하고 다이아프램(13)은 2차 정지 영역(17)과 협동함으로써 다이아프램(13)이 압력 플레이트(11)에 작용하는 것에 의하여 정지 수단을 구성한다.
치형부(19) 세트는 회전식 연결 수단에 의하여 램프 수단(14)에 연결되며, 이 회전식 연결 수단은 프랑스 특허 제 2 784 15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19) 세트 및 램프 수단(14)을 포함하는 2개의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들의 외주연부에, 램프 수단(14)은 반경방향 러그(44), 본원에서는 5개의 반경방향 러그(44)를 포함하고; 이러한 반경방향 러그(44)중의 2개 사이에, 치형부(19) 세트를 갖는 세그먼트(45)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치형부(19) 세트는 세그먼트(45)의 에지를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패드(15)가 형성되는 압력 플레이트(11)의 정지면은 램프 수단(14)이 중심설정된 외주연부상에 원주 방향의 원통형 에지(28)를 가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정지면은 에지(28)와 친밀하게 접촉하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림을 갖는다.
치형부(19) 세트가 연장하는 사이의 세그먼트(45)의 단부 아암은 얇고 탄성이 있으며 아치형이어서, 본원에서는 리벳에 의해 반경방향의 러그(44)에 고정된 경우 2차 정지 영역(17)의 평면에 대해 치형부(19) 세트를 축방향으로 오프셋시킨다.
균형 관점에 있어서, 다른 3개의 반경방향의 러그(44)는 치형부(19) 세트를 갖는 세그먼트(45)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소위 균형세그먼트(balancing segment)(55)를 지지한다.
램프(16) 및 2차 정지 수단(17)은 반경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일직선에 있으며; 이에 따라, 램프 수단(14)은 단순하고 낮은 관성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매우 견고하며, 세그먼트(45, 55)와 함께 소조립체를 구성한다.
압력 플레이트의 카운터-램프(15) 및 원통형 에지(28)는 대강 주조된 돌기로부터 기계 가공된다.
또한, 마모 보상 장치는, 경사진 치형부를 갖고, 또한 워엄(23)을 지지하는 스핀들(2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래칫 휠을 포함하고; 워엄(23)의 나사산(thread) 및 피치는 치형부(19) 세트에 적합하며; 워엄(23)은 후술된 조건하에서 치형부(19) 세트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다.
스핀들(27)은 커버(12)에 의해 지지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12)의 스커트(41)는 외측을 향한 반경방향의 연장부(22)를 국부적으로 가지며, 이 연장부(22)는 웹(24)과, 2개의 평행한 윙(25, 26)을 갖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명을 가지며, 상기 윙(25, 26)은 스핀들이 통과하는 구멍에 의하여 스핀들(27)을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스커트(41)는 워엄(23)과 일직선상에 개구부(52)를 그 내에 가지며, 이 워엄은 개구부(52)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스핀들(27)이 치형부(19) 세트를 축방향 접촉부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소위 접촉 구성요소(30)를 지지하기에 적합하여 상기 치형부 세트는 워엄(23)에 대해 완전히 위치되고; 이를 위해, 접촉 구성요소(30)는 한편으로 접촉 구성요소가지지 윙(33, 34)이 갖는 구멍을 통과하는 스핀들(27)에 의해 지지되게 하는 상기 지지 윙(33, 34)과, 다른 한편으로는 그 내부쪽으로 그리고 서로를 향하여 배향되고 그 상에 치형부(19) 세트가 축방향으로 접하는 굴곡부(37, 38)를 포함한다.
접촉 구성요소(3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다.
치형부(19) 세트는, 접촉 구성요소의 웹(31), 보다 상세하게는 윙(33, 34)을 지나서 그 내측을 향한 반경방향의 연장부(53)와, 축방향 양방향으로 치형부(19) 세트를 고정하도록 포크를 규정하는 굴곡부(37, 38)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배치의 목적은 워엄에 대해 치형부(19) 세트의 치형부의 분리를 회피하는 것으로, 축방향 진동이 크므로 치형부(19) 세트상으로 지나갈 수 있고, 비틀림 응력이 큰 경우, 특히 클러치가 2중 감쇠 플라이휠과 결합되는 경우 마모 없이 보상 작동을 하게 한다.
또한, 접촉 구성요소(30)는 윙(33, 34)상에 외주연부쪽으로 배향되고 반동 플레이트쪽으로 배향된 커버(12)의 결합 림(21)의 면상에 위치된 반경방향의 아암(31)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접촉 플레이트(30)의 위치가 완전히 규정되고; 따라서 동일 부품이 워엄(23)에 관하여 치형부(19) 세트의 축방향 위치에 적용되고, 세그먼트(45)의 단부 아암에 의해 접촉시 굴곡부(37, 38)상에 작용한다.
커버(12)에 대해 스핀들(27)을 고정시키기 위해, 스핀들(27)은 그의 단부중의 하나에 반경방향의 연장부(22)의 윙(26)내로 가압된 요홈부(47)를 제공된 원통형 몸체를 포함한다.
다른 윙(25)내의 구멍(43)은 커버(12)의 스커트(41)의 외부로 완전히 전개하지 않아서, 스핀들(27)이 커버(12)상에 장착되는 경우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워엄(23) 및 래칫 휠(20)이 본원에서는 단일 구성요소이고; 축방향의 원통형 보어(56)는 스핀들(27)상에 이러한 구성요소의 장착을 허용하며; 물론, 워엄(23) 및 래칫 휠(20)은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워엄(23) 및 래칫 휠(20)이 서로 회전식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본원에서 금속제이고 작은 두께의 탄성 부재(32)는 보유 링(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48)중의 하나에 의해 커버(12)에 고정용 구멍(51)을 제공한 일반적인 형태의 매우 긴 블레이드(blade)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는 커버(12)의 하부(42)의 내부면을 따라 연장된다. 변형예로서, 블레이드는 외부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탄성 부재(32)의 자유단부는 제어 텅(36)으로서 형상화되고 클러치의 샤프트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어 텅(36)의 단부는 좁아져 그의 폭이 래칫 휠(20)의 치형부의 것에 적합하고; 탄성 부재(32) 및 래칫 휠(20)이 커버(12)상에 장착되는 경우 제어 텅(36)은 래칫 휠(20)의 치형부의 풋(foot)과 탄성식으로 협동한다.
탄성 부재(32)의 외부를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부분 및 제어 텅(36)은, 커버(12)의 하부(42)에 형성된 개구부(40)와 일직선상에 있고; 이러한 부분은 상기 개구부(40)쪽으로 향한 볼록한 상태로 약간 아치형이어서, 커버(12)의 하부(42)의 두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직선상에 있으므로, 축방향의 공간 요구 조건에 대한 절약을 허용한다.
탄성 부재(32)는 긴 길이 덕분에 보다 작은 굽힘 응력을 받게 되며; 그의 질량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되고 가요성이 높고; 제어 텅(36)은 감소된 질량을 가지고 그의 움직임은 넓은 범위에 있고; 원심 효과에 좋다.
제어 텅(36)의 양측부에 개구부(40)의 반경방향 에지에 대한 접촉부에 들어가기에 적합한 소위 횡방향 아암(49, 50)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지는 도 10에서 알 수 있으며 후술된 바와 같이 커버(12)의 하부(42)쪽으로 제어 텅(36)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어 접촉부로서 작용을 한다.
스핀들(27) 주위에,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탄성 보상 수단을 구성하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46)이 있고; 본원에서는, 스프링(46)이 래칫 휠(20)과 접촉 구성요소(30)의 윙(34)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래칫 휠(20), 워엄(23) 및 나선형 스프링(46)은 커버(12)에 고정되고, 다이어프램(13)은 커버(12)에 대해 이동하고; 이에 따라 분리 및 재결합 작동시 제어 텅(36)에 대해 다이어프램(13)은 그의 외주에서 작동 장치(29, 도 1 및 도 12)로 언급된 반경방향 부속물을 포함하며, 이 작동 장치(29)는 탄성 부재(32)의 제어 텅(36)과 협동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13)의 접시형 와셔부의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한편 이러한 접시형 와셔부에 대해 커버(12)의 하부(42)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장치(29)의 풋은 좁아지고 이러한 연결 영역에서 응력을 제한하는 둥근 섹션에 의해 접시형 와셔부에 연결되고; U-형상의 절결부에 의하여 탄성 부재(32)는 제어 텅(36)의 풋을 넘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러그(39)를 가지고; 작동 장치(29, 도 10)는 제어 텅(36)의 배면부와 작동 장치(29)에 대해 탄성적으로 항상 위치하는 탄성 러그(39)의 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는 제어 텅(36)의 어떠한 탄력을 회피하게 하고;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다이어프램(13)의 진동시 그리고 재결합 작동시 이는 도 1에 대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제어 텅(36)을 이동시키고, 래칫 휠(20)의 치형부와의 협동에 의해 제어 텅(36)의 단부는 래칫 휠(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분리시 탄성 부재의 탄성 그리고 래칫 휠(20)의 치형부의 경사는 상기 규정된 제어 접촉부에 의해 허용된 휨의 제한내에 제어 텅(36)이 그의 치형부를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된 마모 보상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은 결합된 클러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마찰 디스크(100)의 라이닝(101)은 새로운 상태에 있고 반동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와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 파지된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제어 텅(36)은 래칫 휠(20)의 치형부의 풋에서 그의 단부를 갖는다.
클러치가 분리된 경우, 다이어프램(13)의 핑거의 단부는 화살표(F)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커버(12)의 하부(4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다이어프램(13)은 보유 링(10)에 의해 발휘된 탄성 파지력의 작용하에서 제 1 정지부(18) 주위에서 진동하고; 그의 움직임에 있어서, 다이어프램(13)의 외주연부는 압력 플레이트(11), 그의 작동 장치(29) 및 제어 텅(36) 각각을 점진적으로 해제시키고; 제어 텅(36)의 단부는 이전의 단계에서 위치되었던 풋에서 치형부에 의해 구성된 경사진 램프를 따르며, 래칫 휠(20)의 치형부는 새로운 라이닝 분리 운동시 제어 텅(36)의 단부가치형부를 넘지 않으며; 이는 탄성 부재(32)에 의해 성취되므로, 그의 제어 텅(36)은 제어 접촉부 또는 커버(12)에 대해 접촉한다.
라이닝이 마모될 경우, 공지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13)의 축방향 힘에 항상 지배받는 압력 플레이트(11)가 커버(12)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반동 플레이트에 더 근접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13)의 작동 장치(29)는 반동 플레이트에 더 근접하여 그의 움직임에 있어서 제어 텅(36)을 구동시키며; 래칫 휠(20)은 시계 방향으로 그의 샤프트 둘레에 회전하며; 래칫 휠(20)의 이러한 회전 구동은 워엄(23)을 그의 샤프트에 대해 회전하도록 이끌며; 램프 수단(14)은 다아아프램의 하중 영향하에서 회전식으로 고정되고, 치형부(19) 세트와 결합하는 워엄(23)은 말하자면 이 치형부(19) 세트상에 나사 결합되며, 워엄(23)의 나사산(thread)의 방향은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기술된 마모 단계를 수반하는 분리 동작시, 압력 플레이트(11)는 커버(12)의 하부(42), 압력 플레이트(11)뿐만 아니라 제 2 정지 영역(14)에 의해 다이아프램(13) 및 그들의 램프(16)에 의해 패드(15)와 접촉하는 램프 수단(14)을 향하여 복귀시키는 접선방향 텅의 작동하에 라이닝(101)으로부터 멀리 이동함으로써 라이닝(101)을 해제시킨다. 나선형 스프링(46)은 반경방향 연장부(22)의 윙(25)을 향해 위엄(23)을 작동시키고, 이로부터 마모 단계에서 멀리 이동하며, 즉 도 2에 대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다이아프램(13)의 하중은 램프 수단(14)에 적용되고, 압력 플레이트(11)에 대해 이러한 램프 수단(14)을 회전하게 할 수 있도록 극복되어야 하는 힘은 접선방향 텅의 복귀력이며; 나선형 스프링(46)의 하중이 이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경우, 스프링(46)은 제어 텅(36)의 압력에 의해 자체에 작동함이 방지되고 치형부(19) 세트를 구동시킬 워엄(23)을 이동시키고; 그들을 작동시킬 때 상대적으로 고정된 패드(15)와의 협력에 의해, 램프(16)는 압력 플레이트(11)를 커버(12)의 하부(42)로부터 멀리 이동될 것이어서, 압력 플레이트(11)의 작업면과 램프 수단(14)의 제 2 정지 영역(17)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증가시키고, 라이닝(101)의 마모 때문에 압력 플레이트(11)의 변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작된다. 나선형 스프링(46)의 부하는 마모 단계 동안에 워엄(23)에 의해 압축된 양의 함수이기 때문에, 많은 결합 및 분리 동작이 플레이 보상 장치가 보상 단계를 적절히 들어가지 전에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관계된 구성요소의 상대적 치수의 함수이다.
마모가 복귀시 복귀 이동이 제어 접촉부에 의해 한정되는 제어 텅(36)이 결합 작동시 치형부를 점프하도록 래칫 휠(20)이 충분히 회전하기 위해 마모가 충분한 경우, 제어 텅(36)은 래칫 휠(20)을 회전하게 하고 다이아프램(13)에 의해 잡히지 않은 램프 수단(14)은 회전하고 마모를 시작하며; 보상 작동의 말기에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서 다이아프램(13), 래칫 휠(20) 및 제어 텅(36)은 도 1에서 차지한 그들의 위치를 회복한다.
물론, 보유 링(10)은 제 1 정지부(18)에 대향된 정지부를 제공하는 프로파일된 헤드를 갖는 칼럼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치형부(19) 세트는 램프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구성 요소에 속해 있다. 이 중간 구성 요소는 그의 내주에 램프 수단이 제 2 정지부(17)를 지나서 갖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림내에 제조된 리세스내로 들어가는 치형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치형부(19) 세트는 램프 수단(14)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한편, 장부 타입의 연결부에 의해 램프 수단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 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마찰 클러치로서, 반경방향 및 축방향 양자의 공간 요구 조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구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반동 플레이트와, 그의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101)을 이송하며, 종동 샤프트에 회전식으로 클램핑되도록 의도된 마찰 디스크(100)와, 압력 플레이트(11)와, 상기 반동 플레이트에 고정된 커버(12)와, 분리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제 2 정지 수단(17) 및 제 1 정지 수단(18)에 의하여 한편으로는 상기 커버(12)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결합 수단(13)을 포함하는 유형의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는 상기 커버(12)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커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를 상기 커버(12)쪽으로 축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클러치는 램프 수단(14)을 구비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램프 수단(14)의 램프(16)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정지 수단(17)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며, 카운터-램프 수단(15)과 협력하기에 적합하며; 치형부(19) 세트는 접선방향으로 배치된 워엄(23)과 협동하고; 상기 램프 수단(14)은 상기 치형부(19) 세트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워엄(23)을 회전식으로 구동시키는 수단(20)은 상기 클러치가 결합될 때 마찰 라이닝(들)(101)의 마모에 의해 작동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워엄(23)에 회전식으로 고정된 래칫 휠에 의해 구성되고, 탄성 부재(32)를 구비한 제어 텅(36)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워엄(23)과 상기 래칫 휠(20)은 상기 커버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핀들(27) 주위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는, 전체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는 2개의 윙(25, 26)을 구비하며, 상기 윙(25, 26)은 스핀들(27)이 통과하는 상기 윙의 구멍에 의하여,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스핀들(27)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는 외측을 향한 반경방향 연장부(22)를 국부적으로 가지며, 상기 연장부(22)는 웹(24) 및 상기 2개의 윙(25, 26)을 갖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27)은 축방향 접촉부내의 치형부(19) 세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소위 접촉 구성요소(30)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구성요소(30)는 지지 윙(33, 34)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윙을 상기 스핀들(27) 및 내측을 향하여 그리고 서로를 향하여 지향된 굴곡부(37, 38)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치형부(19) 세트가 그들 상에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구성요소(30)는 외측을 향하여 지향되고, 상기 커버(12)의 고정 림(21)의 반동 플레이트를 향하여 지향된 면에 놓이기에 적합한 반경방향 아암(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7. 제 4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19) 세트는 상기 램프 수단(14)에 결합된 단부 아암을 갖는 세그먼트(4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아암은 얇고 탄성적이며 아치형으로 되어 접촉 구성요소에 대하여 적용한 치형부 세트를 축방향으로 오프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는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상기 커버(12)의 하부(42)의 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매우 긴 블레이드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12)에 직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의 자유 단부는 제어 텅(36)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의 축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의 외측을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부분 및 상기 제어 텅(36)은 상기 커버(12)의 하부(42)내에 형성된 개구부(40)와 반경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의 외측을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부분은, 상기 개구부(40)를 향한 볼록한 상태로 약간 아치형이어서, 상기 커버(12)의 하부(42)의 두께와 일직선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소위 횡방향 아암(49, 50)은 상기 제어 텅(36)의 어느 한 측을 연장하고, 제어 접촉부를 구성하는 상기 개구부(40)의 반경방향 에지에 대하여 접촉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결합 수단은 다이아프램(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는 상기 다이아프램(13)의 관절 수단(10)을 상기 커버(12)에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 부재(48)중 하나에 의해 상기 커버(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휠(20)은 상기 제어 텅(36)을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13)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휠(20)은 상기 다이아프램(13)의 외주에 구비되는 반경방향 부속체에 의해 구성된 작동 장치(29)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69)는 상기 다이아프램(13)의 상기 접시형 와셔부에 대하여 상기 커버(12)의 하부(42)를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29)는, 상기 제어 텅(36)의 배면과, 상기 탄성 부재(32)의 절결부인 탄성 러그(39)의 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수단(14)은 한편으로는 경사져서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램프(16)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정지 수단(17)을 축방향으로 갖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16) 및 상기 제 2 정지 수단(17)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거의 일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램프 수단(15)은 상기 램프 수단(14)의 램프(16)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23)은 소위 탄성 보상 수단(46)의 작용을 받음으로써 그의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는 개구부(52)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기 워엄(23)과 일직선상에 있는 상기 개구부(52)를 갖는 상기 축에 경사진 환형 스커트(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KR1020030083721A 2002-11-25 2003-11-24 마찰 클러치 KR101032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4719 2002-11-25
FR0214719A FR2847625B1 (fr) 2002-11-25 2002-11-25 Embrayages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380A true KR20040045380A (ko) 2004-06-01
KR101032163B1 KR101032163B1 (ko) 2011-05-02

Family

ID=3224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721A KR101032163B1 (ko) 2002-11-25 2003-11-24 마찰 클러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32163B1 (ko)
DE (1) DE10355366B4 (ko)
FR (1) FR2847625B1 (ko)
MX (1) MXPA030106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5742B4 (de) * 2008-02-13 2015-10-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09005743B4 (de) * 2008-02-13 2015-10-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09042824B4 (de) * 2008-10-30 2019-03-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10051254B4 (de) * 2009-11-26 2019-09-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Verschleißkompensation
BR112013023820A2 (pt) * 2011-04-28 2016-12-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processo de desacoplamento e dispositivo de desacoplamento para um dispositivo de reajuste de revestimento de fricção de uma embreagem de fricção
FR2984433B1 (fr) * 2011-12-16 2014-01-10 Valeo Embrayages 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95955B1 (fr) * 2012-09-24 2015-09-25 Valeo Embrayages Systeme d'embrayage equipe d'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ameliore
FR3038947B1 (fr) * 2015-07-16 2017-07-28 Valeo Embrayages Cordon rampe pour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un mecanisme d'embrayage
FR3084417B1 (fr) * 2018-07-26 2021-11-26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0355A (en) * 1939-06-24 1942-04-21 W C Lipe Inc Automatic wear take-up for friction clutches
US4228883A (en) 1978-04-27 1980-10-21 Borg-Warner Corporation Automatic wear adjuste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FR2739158B1 (fr) 1995-09-21 1997-11-28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39159B1 (fr) * 1995-09-21 1997-11-28 Valeo Moyens a rampes pour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destine a equiper un 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53503B1 (fr) 1996-09-17 1998-12-04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980193T1 (de) 1998-02-05 2000-09-07 Valeo Reibungskupplungsmechanismu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Verschleissnachstellvorrichtung
FR2784150B1 (fr) 1998-09-23 2001-01-19 Valeo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87847B1 (fr) 1998-12-29 2001-02-0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91746B1 (fr) * 1999-03-29 2001-06-2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04186B1 (fr) 2000-01-25 2002-04-26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163B1 (ko) 2011-05-02
FR2847625A1 (fr) 2004-05-28
DE10355366B4 (de) 2019-01-10
DE10355366A1 (de) 2004-06-17
FR2847625B1 (fr) 2005-01-07
MXPA03010685A (es)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99B1 (ko) 마찰 클러치
KR100522356B1 (ko) 자동차용의마모보상장치를구비한마찰클러치
KR100416360B1 (ko) 차량용마찰클러치를구비한간극조정용장치의램프수단
JP4187805B2 (ja) 摩擦クラッチ
KR100495561B1 (ko) 마모보상장치를구비한자동차용마찰클러치
JP3887416B2 (ja) ダンプフライホイール、特に自動車用ダンプフライホイール
JP4458677B2 (ja) エンドレスネジタイプの摩耗吸収装置が設けられたクラッチ機構
JPH04136525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S639142B2 (ko)
KR101032163B1 (ko) 마찰 클러치
JP3717690B2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2000205297A (ja) 過度調節保護の付いた自動調節摩擦クラッチ
KR19990067664A (ko)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
JPH09504355A (ja) 特に自動車用の摩擦クラッチ
KR100588926B1 (ko) 마찰 클러치
US6123178A (en) Torque converter
JP2002501597A (ja) 平衡手段を備える摩耗調整装置付きクラッチ機構
KR20010005827A (ko) 마찰 클러치
US6460675B1 (en)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JPH08507355A (ja) 自動車の動力ユニットと一体化しうるようになっているダンピング装置
US6491151B1 (en) Friction clutch
JPH09166158A (ja) 自動車摩擦クラッチ用のクラッチ・ディスク
KR100633967B1 (ko) 마찰 클러치
GB2338530A (en) Clutch release assembly
JPH0650355A (ja) クラ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