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830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830A
KR20090031830A KR1020080093468A KR20080093468A KR20090031830A KR 20090031830 A KR20090031830 A KR 20090031830A KR 1020080093468 A KR1020080093468 A KR 1020080093468A KR 20080093468 A KR20080093468 A KR 20080093468A KR 20090031830 A KR20090031830 A KR 20090031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outdoor unit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432B1 (ko
Inventor
다께시 나까무라
고오지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47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82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53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82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535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9801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유닛 케이스(11) 내를 구획판(16)으로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로 구분하여, 열교환실(R1)에 열교환기(21) 및 송풍기(22A, 22B)를 수용하고, 기계실(R2)에 압축기(31), 전장 박스(40) 및 어큐뮬레이터(32)를 수용하였다. 구획판(16)에 보강판(50)을 대고, 이 보강판(50)을 통해 구획판(16)에 어큐뮬레이터(32)를 장착하고, 이 구획판(16)의 배면부(16D)를 보강판(50)과 함께 열교환기(21)의 관판(管板, 35)에 고정하였다. 전장 박스(40)는 구획판(16)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당해 구획판(16) 상으로 연장되고, 기계실(R2)측에 인버터 기판(43)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41)을 구비하고, 이 제1 지지판(41)을 구획판(16)의 상면부(16E)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를 열교환기(21)의 관판(35)의 리브(35A)에 임시 고정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복수 적층한 핀 튜브형의 열교환부(151 내지 153)가 한쪽의 단부측에 단차부(155)를 발생하도록 굴곡 형성한 열교환기(21)를 유닛 케이스(11) 내에 구비하고, 단차부(155)에 외기를 도입하는 가이드판(156)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판(156)의 고정부(156C)를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에 장착하는 동시에, 당해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를, 이 측면부(156B)와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3)의 단부(153C) 사이에 외기가 유통하는 간극(160)을 마련하여 유닛 케이스(11)의 바닥판(12)에 장착하였다.
유닛 케이스, 기계실, 열교환실, 공기 조화 장치, 열교환기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OUTSIDE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를 구획판으로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분하여, 열교환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고, 기계실에 압축기, 전장 상자 및 어큐뮬레이터를 수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이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기계실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이 기계실 내에 압축기와 어큐뮬레이터를 상하 관계로 배치하고, 이 어큐뮬레이터를 구획판에 장착하고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9-243115호 공보 참조). 또한, 전장 상자를 구획판의 상부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고, 전장 상자의 일단부를 열교환실측으로 돌출시키고, 열교환실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당해 전장 상자를 냉각한 실외 유닛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01110호 공보 참조).
또한, 이러한 종류의 실외 유닛 중에서 핀 튜브형의 열교환부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한쪽의 단부측에 단차부를 발생시키도록 굴곡 형성된 열교환기를 하우징 내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50544호 공보 참조).
어큐뮬레이터를 구획판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어큐뮬레이터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예를 들어, 8 ㎏), 구획판은 어큐뮬레이터의 중량에 의해서도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압축기가 운전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 배관을 통해 어큐뮬레이터에 전달되므로, 이 진동에 의해 구획판이 진동하는 것이 고려된다. 구획판이 진동하면, 그에 따라서 구획판에 연결되어 하우징을 구성하는 패널도 진동하고, 결과적으로 실외 유닛으로부터 소음이 발생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에 대해, 종래의 것에서는 구획판과 어큐뮬레이터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어큐뮬레이터를 구획판에 장착하는 구조가 번잡화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장 상자의 일단부를 열교환실측으로 돌출시킨 경우, 이 돌출된 부분이 송풍 저항으로 되어,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고려되므로, 전장 상자는 돌출량을 억제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교환실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하여 전장 상자를 배치하면, 이 전장 상자의 하우징에의 장착이 곤란해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열교환기가 하우징의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외측에 배치된 열교환부에 관판을 설치하고, 이 관판에 하우징의 전방면 패널을 장착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열교환기의 단차부에는 외기가 충분히 유통되지 않아 이 단차부가 열교환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당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구획판의 진동을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이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실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하면서, 전장 상자의 하우징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의 단차부를 열교환에 기여시킴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내를 구획판으로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분하여, 열교환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고, 기계실에 압축기, 전장 박스 및 어큐뮬레이터를 수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 보강판을 대고, 이 보강판을 통해 상기 구획판에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장착하고, 이 구획판의 일단부를 상기 보강판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의 관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강판을 통해 구획판에 어큐뮬레이터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보강판에 의해 구획판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당해 구획판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구획판의 일단부가 보강판과 함께 열교환기의 관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획판의 진동이 열교환기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이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의 발 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금속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장착 금속 부재의 피치에 따라서 상기 보강판이 상기 구획판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구획판 및 상기 보강판에는 이들 구획판 및 보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장착 금속 부재를 걸기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기계실 내에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연결되는 냉매 회로에 접속되는 서비스 밸브를 구비하고, 이 서비스 밸브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일단부를 상기 보강판을 통해 상기 구획판에 고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를 구획판으로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분하여, 열교환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고, 기계실에 압축기 및 전장 상자를 수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장 상자는 상기 구획판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당해 구획판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계실측에 전장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이 지지판을 상기 구획판의 상단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지지판의 일단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관판에 임시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획판 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의 기계실측에 전장 유닛을 지지하였으므로, 전장 상자의 열교환실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지판을 구획판의 상단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지지판의 일단부를 열교 환기의 관판에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장 상자를 하우징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이 지지판의 일단부에 상기 관판에 설치된 나사부에 걸림 가능한 구멍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구멍부는 소직경 구멍과 이 소직경 구멍에 연결되는 대직경 구멍을 구비하고, 이들 소직경 구멍 및 대직경 구멍을 상기 지지판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한 대략 동일 반경 상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이 지지판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기계실측으로 연장되는 설편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핀 튜브형의 열교환부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한쪽의 단부측에 단차부를 발생시키도록 굴곡 형성된 열교환기를 하우징 내에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외기를 도입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판의 일단부를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에 장착하는 동시에, 당해 가이드판의 타단부를, 이 타단부와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의 단부의 사이에 상기 외기가 유통하는 간극을 마련하여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판의 타단부와 외측에 배치된 열교환부의 단부와의 간극을 통과하여 흡입된 외기는, 가이드판으로 안내되어 열교환기의 단차부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이 단차부가 열교환에 기여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의 일단부가 내측에 배치된 열교환부에 장착되고, 타단부가 하우징의 바닥판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가이드판을 통해 열교 환기와 하우징의 바닥판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 패널을 장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에는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에 인접하는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열교환기는 대략 동일 형상의 상기 열교환부를 3단으로 적층시켜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판을 통해 구획판에 어큐뮬레이터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보강판에 의해 구획판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당해 구획판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구획판의 일단부가 보강판과 함께 열교환기의 관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획판의 진동이 열교환기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이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판 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의 기계실측에 전장 유닛을 지지하였으므로, 전장 상자의 열교환실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지지판을 구획판의 상단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지지판의 일단부를 열교환기의 관판에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장 상자를 하우징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판의 타단부와 외측에 배치된 열교환부의 단부와의 간극을 통과하여 흡입된 외기는, 가이드판으로 안내되어 열교환기의 단차부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이 단차부가 열교환에 기여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간단한 구성으로 구획판의 진동을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이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열교환실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하면서, 전장 상자의 하우징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단차부를 열교환에 기여시킴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 유닛(10)과 실내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된 냉매 회로에 냉매를 흐르게 하여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행한다. 실외 유닛(10)은 실외에 설치되고,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방 운전시에는 냉매를 응축시켜 외기로 열을 방출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냉매를 증발시켜 외기로부터 열을 취입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상하 및 좌우와 같은 방향은 실외 유닛(10)을 설치한 상태에서 그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1은 실외 유닛(10)을 전방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2는 실외 유닛(10)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실외 유닛(10)은 대략 직방체 상자형 형상의 유닛 케이스(하우징)(11)를 구비하고, 유닛 케이스(11)는 바닥판(12), 천장판(13), 전방면 패널(14) 및 외판(15)을 갖고, 유닛 케이스(11) 내부가 바닥판(12)에 기립 설치된 구획판(16)에 의해 세로로 구획되어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로 분할되어 있 다. 또한, 도1의 예에서는 전방면 패널(14)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전방면 패널(14)은 구획판(16)을 경계로 좌우로 2분할된 제1 전방면 패널(14A)과 제2 전방면 패널(14B)로 구성되고, 각 전방면 패널(14A, 14B)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가 전방면측으로부터 열교환실(R1) 및 기계실(R2) 내의 부품의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실(R1)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배면측에 열교환기(21)가 수용되고, 그 전방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된 송풍기(22A, 22B)가 수용된다. 열교환기(21)는 상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열교환실(R1)의 좌측면(외측면)으로부터 배면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21)는 열교환실(R1)[즉, 유닛 케이스(11)]의 좌측면 및 배면을 형성하고, 이 좌측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친 노출면 전체가 통풍로(흡입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열교환기(21)의 표면은 이 열교환기(21)에의 인체 등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성 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핀 가드(도시하지 않음)로 덮여 있다.
송풍기(22A, 22B)는 열교환실(R1) 내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24L, 24R)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지지 기둥(24L, 24R)은 당해 지지 기둥(24L, 24R)의 상단부를 각각 열교환기(21)의 상부 모서리부에 거는 동시에, 당해 지지 기둥(24L, 24R)의 하단부는 바닥판(12)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송풍기(22A)는 지지 기둥(24L, 24R)의 상부에 받침대(25A)를 통해 고정된 팬 모터(26A)와, 이 팬 모터(26A)의 축에 장착된 프로펠러 팬(축류 팬)(27A)으로 구성 되고, 이 프로펠러 팬(27A)이 열교환실(R1)의 전방면측에 근접 배치된다. 또한, 이 프로펠러 팬(27A)의 전방부가, 열교환실(R1)의 제1 전방면 패널(14A)의 상부에 설치된 원형 플랜지 형상의 팬 덮개부(28A) 내로 들어가, 이 팬 덮개부(28A)의 개구부가 통풍로(분출구)로서 기능하고, 이 개구부가 프로펠러 팬(27)에의 인체 등의 접촉을 방지하는 팬 가드(29A)로 덮인다. 또한, 송풍기(22B)는 상기 지지 기둥(24L, 24R)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송풍기(22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이 송풍기(22A)를 구성하는 기기와 같은 종류의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팬 모터(26A, 26B)에 의해 프로펠러 팬(27A, 27B)이 회전 구동되면, 실외 유닛(10)의 주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21)의 배면측 및 좌측면측으로부터 외기가 열교환실(R1) 내로 흡입되어, 열교환기(21)의 대략 전방면을 통과한 후에, 열교환실(R1) 전방면의 팬 덮개부(28A, 28B)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이 실외 유닛(10)은 전방면으로부터 열교환 후의 공기를 분출하는 전방면 분출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실(R2)에는 냉매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31), 어큐뮬레이터(32) 및 사방 밸브(33)나 팽창 밸브(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밸브 본체 등의 냉매 회로 구성 부품이 배관 접속되고, 당해 기계실(R2)의 대략 하방 공간 내에 수용된다.
본 구성에서는 압축기(31)와 어큐뮬레이터(32)는 같은 정도의 용량을 갖는 압축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계실(R2) 내에 상하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 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31)는 바닥판(12) 상에 설치되고, 이 압축기(31)의 상방에서 어큐뮬레이터(32)는 구획판(16)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계실(R2) 내에 있어서의 압축기(31) 및 어큐뮬레이터(32)의 설치 공간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R2)의 전방면측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지지판(36)이 배치되고, 이 지지판(36)에는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와 액관용 서비스 밸브(38)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에는, 실내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닛 배관의 가스관 및 액관(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접속되고, 이에 의해 냉매를 순환하는 냉매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기계실(R2)의 상방 공간에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 등의 각종 전장품을 배치한 전장 박스(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장 박스(40)는 구획판(16)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지지판)(41)과, 이 제1 지지판(41)에 장착되는 제2 지지판(42)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 제1 지지판(41) 및 제2 지지판(42)에 기판 등의 전장 유닛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구획판(16)과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구획판(16)과 어큐뮬레이터(3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4는 구획판(16)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5는 구획판(16)에의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구획판(16)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 사이에 배치되어 당해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을 구분하는 기판부(16A)와, 이 기판 부(16A)의 전방면측의 측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전방면부(16B)와, 기판부(16A)의 배면측의 측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비스듬히 절곡하여 형성한 경사면부(16C)와, 이 경사면부(16C)의 측모서리부를 상기 전방면부(16B)와 대략 평행하게 절곡하여 형성한 배면부(16D)와, 기판부(16A)의 상부 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상면부(16E)와, 이 상면부(16E)와 대략 평행하게 기판부(16A)의 하부 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하면부(16F)를 구비하여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획판(16)은 얇은 판금을 상기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구획판(16)의 강성(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구획판(16)의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이 구획판(16)의 일부에 보강판(50)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판(50)은 구획판(16)의 일면(기계실측의 면)에 대어져 배치되어 있고, 이 보강판(50)을 사이에 두고 구획판(16)에는 어큐뮬레이터(3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어큐뮬레이터(32)는 압력 용기로서 형성된 용기 본체(32A)와, 이 용기 본체(32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하 한 쌍의 장착 금속 부재(32B)를 구비한다. 이 장착 금속 부재(32B)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역ㄷ자 형상의 금속 부재의 대략 중앙에 볼트(32C)가 고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강판(50)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금속 부재(32B)의 장착 피치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 P로 구획판(16)의 상하에 2군데에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구획판(16)의 일부에 보강판(50)을 대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구획판 전체의 판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비해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의 용량 등이 변경되어 장착 금속 부재의 장착 피치가 변경된 경우라도, 이 장착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보강판(50)을 구획판(16)에 배치하면 좋고, 각종 제품에 폭넓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강판(50)은 구획판(16)의 전방면부(16B)로부터 기판부(16A), 경사면부(16C) 및 배면부(16D)에 걸쳐, 이 구획판(16)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강판(50)은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판(16)의 기판부(16A), 전방면부(16B), 경사면부(16C) 및 배면부(16D)에 대응하는 기판부(50A), 전방면부(50B)(도5), 경사면부(50C) 및 배면부(50D)를 구비하고, 이들 기판부(50A), 전방면부(50B), 경사면부(50C) 및 배면부(50D)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를 각각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부려 리브(50E)를 형성하고 있다.
보강판(50)은 상기 리브(50E)를 구비함으로써 트레이 형상으로 성형되므로, 이 보강판(50) 자체의 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보강판(50)을 구획판(16)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여 당해 구획판(16)에 댐으로써, 보강판(50)과 구획판(16)이 일체화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구획판(1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보강판(50)과 구획판(16)은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만, 나사 고정 등의 수단에 의해 접합해도 좋다.
구획판(16)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구획판(16)의 하면부(16F)와 바닥판(12)을 나사 고정함으로써 이 바닥판(12)에 기립 설치하고 있다. 또한, 구획판(16)의 배면부(16D)(일단부)를 열교환기(21)에 나사 고정하여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21)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열교환기(21)의 도면 중 우측의 단부에 관판(35)을 구비하고, 이 관판(35)에는 유닛 케이스(11) 내측의 측모서리부를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한 리브(3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판(16)의 배면부(16D)를 보강판(50)의 배면부(50D)와 함께 관판(35)의 리브(35A)에 나사 고정하고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구획판(16)의 전방면부(16B)를, 보강판(50)의 전방면부(50B)와 함께 제1 전방면 패널(14A)에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강판(50)에 의해 보강된 부분에서, 구획판(16)을 관판(35) 및 제1 전방면 패널(14A)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 구획판(16)을 보다 견고하게 유닛 케이스(11) 내에 지지시킬 수 있고, 이 구획판(16)의 진동이 열교환기(21)나 유닛 케이스(11)의 각 패널에 전달하기 어려워져 이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50)을 사이에 두고 구획판(16)에 어큐뮬레이터(32)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 보강판(50)에 의해 구획판(16)의 강성이 높아져 어큐뮬레이터(32)의 하중에 의해 구획판(1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어큐뮬레이터(32)의 진동에 수반되는 당해 구획판(16)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16)의 기판부(16A) 및 보강판(50)의 기판부(50A)에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을 관통하는 조롱박 형상 구멍(gourd-shaped hole)(구멍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롱박 형상 구멍(52)은 대직경의 구멍(52A)과, 소직경의 구멍(52B)이 상하로 이어져 형성된 것이며, 소직경의 구멍(52B)은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금속 부재(32B)의 볼트(32C) 직경보다도 크고, 이 볼트(32C)에 나 사 결합되는 너트(53)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직경의 구멍(52A)은 상기 너트(53)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16)에 어큐뮬레이터(32)를 장착하는 경우, 이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금속 부재(32B)의 볼트(32C)에 너트(53)를 붙인 상태에서 조롱박 형상 구멍(52)의 대직경의 구멍(52A)에 너트(53)째 볼트(32C)를 통과시킨다. 다음에, 어큐뮬레이터(3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볼트(32C)가 소직경의 구멍(52B) 내로 이동하여 이 소직경의 구멍(52B)에 너트(53)가 걸린다. 이로 인해, 어큐뮬레이터(32)를 간단하게 구획판(16)에 임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53)를 조임으로써 어큐뮬레이터(32)가 구획판(16)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획판(16) 및 보강판(50)에는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금속 부재(32B)를 걸리게 할 수 있는 조롱박 형상 구멍(5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32)를 구획판(16)에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1명이라도 용이하게 어큐뮬레이터(32)를 구획판(16)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하방의 보강판(50)에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와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를 지지하는 지지판(36)의 일단부(36A)가 접속되고, 이 지지판(36)의 타단부(36B)는 외판(15)의 전방면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에는 실외 유닛(10)을 설치할 때에 유닛 배관의 가스관 및 액관(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접속되는 것 외에, 설치 후에 있어서도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를 통과하여 냉매가 보충되는 경우 가 있다. 이로 인해,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에 배관 등이 착탈되는 기회가 많으므로,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는 확실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서는 지지판(36)의 일단부(36A)가 하방의 보강판(50)을 통해 구획판(1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에 배관을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닛 케이스(11) 내를 구획판(16)으로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로 구분하여, 열교환실(R1)에 열교환기(21) 및 송풍기(22A, 22B)를 수용하고, 기계실(R2)에 압축기(31) 및 어큐뮬레이터(32)를 수용하고, 구획판(16)에 보강판(50)을 대고 이 보강판(50)을 통해 구획판(16)에 어큐뮬레이터(32)를 장착하였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보강판(50)에 의해 구획판(16)의 강성이 높아져 어큐뮬레이터(32)의 하중에 의해 구획판(16)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어큐뮬레이터(32)의 진동에 수반되는 당해 구획판(16)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획판(16)의 배면부(16D)를 보강판(50)과 함께 열교환기(21)의 관판(35)에 고정하였으므로, 이 구획판(16)을 보다 견고하게 유닛 케이스(11) 내에 지지시킬 수 있고, 이 구획판(16)의 진동이 열교환기(21)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이 진동에 수반되는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어큐뮬레이터(32)는 용기 본체(32A)와 이 용기 본체(32A)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금속 부재(32B)를 구비하고, 이들 장착 금속 부재(32B)의 피치에 따라서 보강판(50)이 구획판(16)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어큐뮬 레이터의 장착 금속 부재의 장착 피치가 변경된 경우라도 이 장착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보강판(50)을 구획판(16)에 배치하면 좋고, 각종 제품에 폭넓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획판(16) 및 보강판(50)에는 이들 구획판(16) 및 보강판(50)을 관통하여 어큐뮬레이터(32)의 장착 금속 부재(32B)를 걸기 가능한 조롱박 형상 구멍(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큐뮬레이터(32)를 구획판(16)에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가 1명이라도 용이하게 어큐뮬레이터(32)를 구획판(16)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계실(R2) 내에 압축기(31) 및 어큐뮬레이터(32)에 연결되는 냉매 회로에 접속되는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를 구비하고, 이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를 지지하는 지지판(36)의 일단부(36A)를 보강판(50)을 통해 구획판(16)에 고정하였으므로, 이들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를 유닛 케이스(11)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당해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에 배관을 착탈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장 박스(40)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전장 박스(40)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7은 그 확대 사시도이다.
전장 박스(40)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판(16)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판(41)을 구비하고, 이 제1 지지판(41)의 기계실(R2)측에는 압축기(31)를 구동하는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인버터 기판(43)이 배치된다. 이 인버터 기판(43)은 인버터 회로 등의 비교적 발열량이 많은 전장품을 실장한 기판이므로, 당해 인버터 기판(43)의 반대측, 즉 제1 지지판(41)의 열교환실(R1)측에는 당해 인버터 기판(43)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기 위한 히트 싱크(4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히트 싱크(44)는 복수의 핀을 구성하는 금속판을 좌우에 간격을 두고 배열한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지지판(41)의 열교환실(R1)측에는 상기 히트 싱크(44)를 덮는 커버체(4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체(45)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는 히트 싱크(44)의 핀과 열교환하는 냉각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45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판(41)은 구획판(16)과 대략 동일한 폭을 구비하고, 이 구획판(16)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당해 구획판(16)과 협동하여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을 구분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구성에서는, 제1 지지판(41)의 높이는 구획판(16) 상에 얹었을 때에 열교환기(21)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제1 지지판(41)은 상기 인버터 기판(43) 및 히트 싱크(44)가 배치되는 기판부(41A)와, 이 기판부(41A)의 전방면측의 측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전방면부(41B)와, 기판부(41A)의 배면측의 측모서리부를 상기 전방면부(41B)와 대략 평행하게 절곡하여 형성한 배면부(일단부)(41C)와, 기판부(16A)의 상부 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상면부(41D)와, 이 상면부(41D)와 대략 평행하게 기판부(41A)의 하부 모서리부를 기계실(R2)측으로 절곡하 여 형성한 하면부(41E)를 구비하여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제1 지지판(41)에는 이 제1 지지판(41)의 하면부(41E)의 모서리부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설편부(舌片部)(41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부(41F)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판(41)을 구획판(16) 상에 얹으면, 이 구획판(16)의 상단부의 기계실(R2)측으로 연장된다. 이 설편부(41F)는 제1 지지판(41)을 구획판(16) 상에 얹을 때에 위치 결정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제1 지지판(41)과 구획판(16)의 간극을 덮는 커버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열교환실(R1)로부터 구획판(16)과 제1 지지판(41)의 간극을 통과하여 기계실(R2) 내에 빗물이 침입하였다고 해도, 이 빗물은 설편부(41F)에 닿아 기계실(R2)의 하방으로 흘러내리므로, 당해 빗물이 전장 박스(40) 내로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전장 박스(40)는 제1 지지판(41)에 고정되어 기계실(R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판(42)을 구비한다. 이 제2 지지판(42)은 기계실(R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42A)와, 이 판부(42A)의 하부 모서리부를 전방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바닥판부(42B)를 구비하고, 당해 판부(42A)의 전방면측에 필터 기판(46)이 배치되고, 이 판부(42A)의 배면측에 리액터(4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판부(42A)의 전방면측에는 필터 기판(46)을 덮도록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커버체(48)가 배치된다. 이 커버체(48)는 판부(42A)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커버체(48)를 판부(42A)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커버체(48)의 전방면에는 실외 유닛(10) 내에 배 치된 각종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49)이 배치된다. 이 제어 기판(49)은 기계실(R2)의 전방면측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어 제2 전방면 패널(14B)(도2 참조)을 제거하여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판(42)의 바닥판부(42B)에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장착판(51)이 고정되고, 이 장착판(51)의 전방면측에는 실외 유닛(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실내 유닛 등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단자대(5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장 박스(40)는 제1 지지판(41) 및 제2 지지판(42)을 구비하고, 이들 제1 지지판(41) 및 제2 지지판(42)에 전장 유닛으로서 상기 인버터 기판(43), 히트 싱크(44), 필터 기판(46), 리액터(47), 제어 기판(49) 및 도시하지 않은 파워 릴레이, 캐패시터 등이 배치되므로 전장 박스(40)의 중량은 비교적 무거워져(예를 들어, 약 11 ㎏), 이 전장 박스(40)의 장착 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본 구성에서는 전장 박스(40)의 제1 지지판(41)을 구획판(16)의 상면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를 열교환기(21)의 관판(35)에 임시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에는 관판(35)의 리브(35A)에 장착된 나사(62)에 걸 수 있는 조롱박 형상 구멍(구멍부)(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롱박 형상 구멍(61)은, 소직경의 구멍(61A)과 대직경의 구멍(61B)이 이어져 형성된 것이며, 소직경의 구멍(61A)은 나사(62)의 나사 직경보다도 크고, 이 나사(62)의 헤드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직경의 구멍(61B)은 상기 나사(62)의 헤드부보다도 커서, 이 헤드부를 관통할 수 있는 직 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조롱박 형상 구멍(61)은 대직경의 구멍(61B)이 소직경의 구멍(61A)보다도 기계실(R2)측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조롱박 형상 구멍(61)은 제1 지지판(41)의 하면부(41E)에 있어서의 열교환실(R1)측의 코너부(41E1)를 중심으로 한 대략 동일 반경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롱박 형상 구멍(61)은 대직경의 구멍(61B)이 소직경의 구멍(61A)보다도 기계실(R2)측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장 박스(40)를 장착한 경우 대직경의 구멍(61B)은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판(35)의 리브(35A)보다도 열교환실(R1)측으로 연장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대직경의 구멍(61B)은 상기 리브(35A)에 의해 막히므로, 이 대직경의 구멍(61B)을 통과하여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이 연통되는 것이 방지되어, 당해 대직경의 구멍(61B)으로부터 빗물 등이 전장 박스(40) 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전장 박스(40)의 장착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지지판(41) 및 제2 지지판(42)을 조합하고, 이들 제1 지지판(41), 제2 지지판(42)에 전장 유닛을 배치하여 전장 박스(40)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판(41)의 하면부(41E)를 구획판(16)의 상면부(16E) 상에 얹고, 상기 설편부(41F)를 가이드로 하여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가 열교환기(21)의 관판(35)의 리브(35A)에 접촉할 때까지 압입한다. 이 경우, 전장 박스(40)는 설편부(41F)를 가이드로 하여 구획판(16)의 상 면부(16E) 상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전장 박스(40)를 소정의 위치까지 압입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장 박스(40)의 상부[예를 들어, 제1 지지판(41)의 상면부(41D)]를 기계실(R1)측으로 기울여,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에 형성된 조롱박 형상 구멍(61)의 대직경의 구멍(61B)을 관판(35)의 리브(35A)에 미리 가볍게 나사 결합한 나사(62)의 헤드부에 삽입한다. 이 조롱박 형상 구멍(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판(41)의 하면부(41E)에 있어서의 열교환실(R1)측의 코너부(41E1)를 중심으로 한 대략 동일 반경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코너부(41E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면 중 R방향)으로 제1 지지판(41)[전장 박스(40)]을 회전시키면, 나사(62)가 소직경의 구멍(61A) 내로 이동하여 이 소직경의 구멍(61A)에 나사의 헤드부가 걸린다.
이로 인해, 전장 박스(40)를 간단하게 유닛 케이스(11), 구체적으로는 구획판(16) 및 열교환기(21)의 관판(35)에 임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62)를 조임으로써, 제2 지지판(42) 및 장착판(51)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64)을 통과하여 전장 박스(40)를 외판(15)(도2)의 전방면측의 단부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전장 박스(40)의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에는, 이 제1 지지판(41)을 구획판(16)의 상면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열교환기(21)의 관판(35)에 설치한 나사(62)에 걸림 가능한 조롱박 형상 구멍(6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장 박스(40)를 구획판(16) 및 열교환기(21)의 관판(35)에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1명이라도 용이하게 전장 박스(40)를 유닛 케이스(11) 내에 장착할 수 있 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닛 케이스(11) 내를 구획판(16)으로 열교환실(R1)과 기계실(R2)로 구분하여, 열교환실(R1)에 열교환기(21) 및 송풍기(22A, 22B)를 수용하고, 기계실(R2)에 압축기(31) 및 전장 박스(40)를 수용하고, 이 전장 박스(40)는 구획판(16)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당해 구획판(16) 상으로 연장되고, 기계실(R2)측에 인버터 기판(43)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41)을 구비하였으므로, 이 제1 지지판(41)의 열교환실(R1)측에는 상기 인버터 기판(43)을 냉각하는 히트 싱크(44)만이 돌출되어 전장 박스(40)의 열교환실(R1)측으로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장 박스(40)가 열교환실(R1) 내에 돌출됨으로써 발생하는 송풍 저항이 억제되어, 열교환기(21)에서의 열교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송풍기(22A, 22B)를 상하로 나열하여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전장 박스(40)의 돌출량을 억제함으로써 이들 송풍기(22A, 22B)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흐름 분포가 최적으로 되도록 당해 송풍기(22A, 22B)를 열교환실(R1) 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21)에서의 열교환 효율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41)을 구획판(16)의 상면부(16E)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제1 지지판(41)의 배면부(41C)를 열교환기(21)의 관판(35)의 리브(35A)에 임시 고정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전장 박스(40)를 유닛 케이스(11) 내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지지판(41)은 이 제1 지지판(41)의 배면 부(41C)에 관판(35)의 리브(35A)에 장착된 나사(62)가 걸림 가능한 조롱박 형상 구멍(61)을 구비하므로, 전장 박스(40)를 구획판(16) 및 열교환기(21)의 관판(35)에 임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1명이라도 용이하게 전장 박스(40)를 유닛 케이스(11) 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롱박 형상 구멍(61)은 소직경의 구멍(61A)과 대직경의 구멍(61B)을 구비하고, 이들 소직경의 구멍(61A) 및 대직경의 구멍(61B)을 제1 지지판(41)의 하면부(41E)에 있어서의 열교환실(R1)측의 코너부(41E1)를 중심으로 한 대략 동일 반경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코너부(41E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면 중 R방향)으로 제1 지지판(41)[전장 박스(40)]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나사(62)를 조롱박 형상 구멍(61)에 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지지판(41)은 이 제1 지지판(41)의 하면부(41E)로부터 구획판(16)의 상면부(16E)의 기계실(R2)측으로 연장되는 설편부(41F)를 구비하므로, 전장 박스(40)를 장착할 때에 이 전장 박스(40)를, 설편부(41F)를 가이드로 하여 구획판(16)의 상면부(16E) 상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당해 전장 박스(40)를 소정의 위치까지 압입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판(41)과 구획판(16)의 간극을 덮는 커버로서 기능하므로, 열교환실(R1)로부터 구획판(16)과 제1 지지판(41)의 간극을 통과하여 기계실(R2) 내로 빗물이 침입하였다고 해도 이 빗물은 설편부(41F)에 닿아 기계실(R2)의 하방으로 흘러내리므로, 당해 빗물이 전장 박스(40) 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열교환기(2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열교환기(21)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핀 튜브형의 열교환부(151, 152, 153)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51A)과, 이 냉매관(151A)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열용 핀(151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중간 및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2, 153)는 상기 열교환부(51)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동시에, 당해 열교환부(15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같은 종류의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열교환부(151 내지 153)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의 단부의 위치를 정렬하여 배치되고, 이 단부에는 당해 열교환부(151 내지 153)끼리를 연결하는 제1 관판(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관판(35)은 제1 관판(35)의 유닛 케이스(11) 내측의 모서리부를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한 리브(35A)를 구비하고, 이 리브(35A)에 상기 구획판(16)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부(151 내지 153)는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도면 중 우측의 단부의 위치를 정렬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 상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열교환부(151 내지 153)의 도면 중 좌측(한쪽)의 단부는 각각 정렬되어 있지 않고, 이 단부측에 단차부(155)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에 배치된 열교환부(151)의 단부(151C)보다도 중간에 배치된 열교환부(152)의 단부(152C)는 후방에 위치하고, 이 단부(152C)보다도 외측에 배치된 열교환부(153)의 단부(153C)는 후방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각 단부(151C 내지 153C)의 위치가 정렬되지 않는 결과, 열교환기(21)의 한쪽의 단부측에 단차부(155) 가 형성된다.
단차부(155)에는,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22A, 22B)의 운전에 의해 이 단차부(155)로 외기를 도입하는 가이드판(15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판(156)은 열교환기(21)와 대략 동일한 높이를 갖는 판 부재이며, 단차부(155)에 있어서의 각 열교환부(151 내지 153)의 핀(151B 내지 153B)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면부(156A)와, 이 전방면부(156A)의 일단부를 단차부(155)측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측면부(156B)와, 상기 전방면부(156A)의 타단부, 즉 당해 측면부(156B)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전방면 패널(14)측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고정부(156C)를 구비한다. 이 고정부(156C)(일단부)는 내측에 배치된 열교환부(15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열교환부(151)의 단부(151C)에는 당해 열교환부(151)에 가이드판(156)을 장착하기 위한 제2 관판(1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관판(157)은 열교환부(151)의 핀(151B)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157A)와, 이 엔드 플레이트(157A)의 좌측의 단부, 즉 외측의 열교환부(153)측의 단부를 전방면 패널(14)측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리브(157B)를 구비한다. 이 리브(157B)는 가이드판(156)의 고정부(156C)와 대략 동일한 폭이며, 이 리브(157B)와 고정부(156C)를 맞대어 나사 고정함으로써, 가이드판(156)이 열교환부(151)에 장착된다. 본 구성에서는 가이드판(156)은 1매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판(156)의 측면부(타단부)(156B)는 바닥판(12)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닥판(12)은 그 주위에 기립부(112A)를 구비하고, 이 기립 부(112A)에는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1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12B)는 상기 측면부(156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움푹 패여 있고, 오목부(112B)와 측면부(156B)를 나사(158)로 고정함으로써 가이드판(156)의 측면부(타단부)(156B)가 바닥판(1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156)의 고정부(156C)는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의 제2 관판(157)에 장착되고,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는 바닥판(12)의 기립부(112A)에 형성된 오목부(112B)에 장착되므로, 이 가이드판(156)을 통해 열교환기(21)와 바닥판(12)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열교환기(21)를 바닥판(12)에 연결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가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가 감소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판(156)은 이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와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3)의 단부(153C)의 사이에 폭 W의 간극(160)이 형성되도록 바닥판(12)에 장착되어 있다. 이 간극(160)의 폭 W는, 이 간극(160)을 통과하여 외기가 단차부(155)에 유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송풍기(22A, 22B)의 운전에 의해 상기 간극(160)을 통과하여 흡입된 외기는 도11 중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156)으로 안내되어 열교환기(21)의 단차부(155)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단차부(155)에 충분한 외기가 유통됨으로써 이 단차부(155)가 열교환에 기여하므로, 열교환기(21)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3개 이상으로 열교환부(51 내지 53)를 적층시켜 열교환기(2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11 중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156)에 의해 열교환에 기여하는 면적이 보다 확대되므로, 얻어지는 효과도 한층 더 큰 것으로 된다.
또한, 가이드판(156)의 전방면부(156A) 및 고정부(156C)에는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피치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도1 참조)의 절결부(개구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61)는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와 중간에 배치되는(상기 열교환부에 인접하는) 열교환부(152)를 연결할 때에 이용되는 것이다. 본 구성에서는 이 절결부(161)를 통과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의 냉매관(151A)과, 중간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2)의 냉매관(152A)을 결속 밴드(연결구)(162)로 묶음으로써 이들 열교환부(151, 152)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 절결부(161)를 크게 형성하면, 냉매관(151A, 152A)을 결속 밴드(162)로 묶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이 절결부(161)를 통과하여 외기가 열교환기(21)의 내측의 공간으로 빠지기 쉬워지므로, 당해 절결부(161)의 크기는 결속 밴드로 묶는 작업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중간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2)의 냉매관(152A)과,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3)의 냉매관(153A)은 가이드판(156)의 내측에서 상기 결속 밴드로 묶임으로써 열교환부(152, 153)가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에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방면 패널(114A)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전방면 패널(114A)은 열교환기(21)의 단차부(155)측의 단부를 배면측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측부(114A1)를 갖고, 이 측부(114A1)가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 측면부(156B)에 나사 고정된다.
이 측부(114A1)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측면부(156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움푹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와 측면부(156B)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제1 전방면 패널(114A)이 장착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외측의 열교환부(153)의 단부(153C)에 제1 전방면 패널(114A)을 장착하기 위한 관판이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가 감소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1 전방면 패널(114A)의 측부(114A1)는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와 대략 겹치도록 장착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간극(160)은 제1 전방면 패널(114A)의 측부(114A1)에 의해 좁혀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는 당해 측부(114A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10)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핀 튜브형의 열교환부(151 내지 153)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한쪽의 단부측에 단차부(155)를 발생하도록 굴곡 형성된 열교환기(21)를 유닛 케이스(11) 내에 구비하고, 단차부(155)에 외기를 도입하는 가이드판(156)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판(156)의 고정부(156C)를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에 장착하는 동시에, 당해 가이드판(156)의 측면부(156B)를 이 측면부(156B)와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3)의 단부(153C)의 사이에 외기가 유통하 는 간극(160)을 마련하여 유닛 케이스(11)의 바닥판(12)에 장착하였으므로, 이 간극(160)을 통과하여 흡입된 외기는 가이드판(156)으로 안내되어 열교환기(21)의 단차부(155)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단차부(155)에 충분한 외기가 유통함으로써 이 단차부(155)가 열교환에 기여하므로, 열교환기(21)의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156)을 통과하여 열교환기(21)와 바닥판(12)이 연결되므로, 열교환기(21)를 바닥판(12)에 연결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가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가 감소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판(156)에 제1 전방면 패널(114A)을 장착하였으므로, 외측의 열교환부(153)의 단부(153C)에 제1 전방면 패널(114A)을 장착하기 위한 관판이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가 감소하는 동시에, 조립 작업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판(156)에는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와 중간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2)를 연결하는 결속 밴드(162)를 통과시키기 위한 절결부(16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절결부(161)를 통과하여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1)의 냉매관(151A)과, 중간에 배치되는 열교환부(152)의 냉매관(152A)을 결속 밴드(162)로 묶음으로써 이들 열교환부(151, 152)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열교환기(21)는 대략 동일 형상의 열교환부(151 내지 153)를 3단으로 적층시켜 형성하였으므로, 가이드판(156)에 의해 열교 환에 기여하는 면적이, 2개의 열교환부를 적층한 것에 비해 보다 확대되므로 열교환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16)에 상하 2매의 보강판(5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나 3개 이상의 보강판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관용 서비스 밸브(37) 및 액관용 서비스 밸브(38)를 지지하는 지지판(36)을 하방의 보강판(50)을 통해 구획판(16)에 고정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방의 보강판(50)을 통해 구획판(16)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교환기(21)는 3개의 열교환부(151, 152, 153)를 적층시킨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열교환기는 열교환부를 2층, 4층, 5층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본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되는 열교환부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구로서 결속 밴드(62)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사, 끈, 벨트로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에 배치된 2대의 송풍기(22A, 22B)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1대의 송풍기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실외 유닛의 내부 구성의 정면도.
도2는 실외 유닛의 내부 구성의 상면도.
도3은 구획판과 어큐뮬레이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구획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구획판에의 어큐뮬레이터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6은 구획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장 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전장 박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전장 박스의 장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단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단차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단차부에 유통하는 외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 : 열교환실
R2 : 기계실
10 : 실외 유닛
11 : 유닛 케이스
14 : 전방면 패널
16 : 구획판
21 : 열교환기
22A, 22B : 송풍기
26A, 26B : 팬 모터
27A, 27B : 프로펠러 팬
31 : 압축기
32 : 어큐뮬레이터
33 : 사방 밸브
35 : 관판
36 : 지지판
37, 38 : 서비스 밸브
40 : 전장 박스
43 : 인버터 기판
44 : 히트 싱크
46 : 필터 기판
50 : 보강판
50E : 리브
151, 152, 153 : 열교환부
155 : 단차부
156 : 가이드판

Claims (12)

  1. 하우징 내를 구획판으로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분하여, 열교환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고, 기계실에 압축기, 전장 상자 및 어큐뮬레이터를 수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 보강판을 대고, 이 보강판을 통해 상기 구획판에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장착하고, 이 구획판의 일단부를 상기 보강판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의 관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금속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장착 금속 부재의 피치에 따라서 상기 보강판이 상기 구획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및 상기 보강판에는 이들 구획판 및 보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장착 금속 부재를 걸기 가능한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내에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연결되는 냉매 회로에 접속되는 서비스 밸브를 구비하고, 이 서비스 밸브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일단부를 상기 보강판을 통해 상기 구획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5. 하우징 내를 구획판으로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분하여, 열교환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고, 기계실에 압축기, 전장 상자 및 어큐뮬레이터를 수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장 상자는 상기 구획판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당해 구획판 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계실측에 전장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이 지지판을 상기 구획판의 상단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당해 지지판의 일단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관판에 임시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이 지지판의 일단부에, 상기 관판에 설치된 나사부에 걸림 가능한 구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소직경 구멍과 이 소직경 구멍에 연결되는 대직경 구멍을 구비하고, 이들 소직경 구멍 및 대직경 구멍을 상기 지지판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한 대략 동일 반경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이 지지판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구획판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계실측으로 연장되는 설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9. 하우징 내를 구획판으로 열교환실과 기계실로 구분하여, 열교환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용하고, 기계실에 압축기, 전장 상자 및 어큐뮬레이터를 수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두께 방향으로 복수 적층되고, 당해 열교환기의 한쪽의 단부측에 단차부를 발생시키도록 굴곡 형성된 핀 튜브형의 열교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에 외기를 도입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판의 일단부를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에 장착하는 동시에, 당해 가이드판의 타단부를, 이 타단부와 외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의 단부 사이에 상기 외기가 유통하는 간극을 마련하여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 패널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는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에 인접하는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대략 동일 형상의 상기 열교환부를 3단으로 적층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20080093468A 2007-09-25 2008-09-24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0995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47749A JP5028201B2 (ja) 2007-09-25 2007-09-25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7-00247749 2007-09-25
JP2007253565A JP5028204B2 (ja) 2007-09-28 2007-09-28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7-00253565 2007-09-28
JP2007253564A JP4859801B2 (ja) 2007-09-28 2007-09-28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7-00253564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30A true KR20090031830A (ko) 2009-03-30
KR100995432B1 KR100995432B1 (ko) 2010-11-18

Family

ID=4013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468A KR100995432B1 (ko) 2007-09-25 2008-09-24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42820A3 (ko)
KR (1) KR100995432B1 (ko)
CN (2) CN1019154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065A (zh) * 2016-05-27 2016-08-24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的电器架固定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97714Y (zh) * 2008-09-18 2009-08-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
JP5849396B2 (ja) * 2011-01-31 2016-01-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EP2518415A3 (en) * 2011-04-28 2018-08-15 Sanyo Electric Co., Lt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EP2525158A3 (en) * 2011-05-17 2018-08-15 Sanyo Electric Co., Lt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3673136B (zh) * 2012-09-18 2016-04-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的隔板及具有该隔板的空调器
WO2014102970A1 (ja) * 2012-12-27 2014-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ペラファン、送風装置、室外機
JP2015021676A (ja) * 2013-07-19 2015-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熱交換器、室内機、室外熱交換器、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CN105318451B (zh) * 2014-07-30 2018-06-2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侧出风空调室外机
JP6238878B2 (ja) * 2014-11-25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4913481B (zh) * 2015-06-30 2018-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器及空调机组
US20170176028A1 (en) * 2015-12-18 2017-06-2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6288025B (zh) * 2016-09-18 2018-09-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隔板及具有其的空调器室外机
SG11201902192PA (en) * 2016-10-19 2019-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Heat pump device
CN106839164B (zh) * 2017-03-27 2022-1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室外机及空调器
CN106969430B (zh) * 2017-03-27 2022-11-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室外机及空调器
US11543138B2 (en) * 2017-11-15 2023-01-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200032038A (ko) * 2018-09-10 2020-03-25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용 전자 제어 어셈블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공기 조화기
CN114599920A (zh) * 2019-11-06 2022-06-07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外机以及空调装置的室外机的组装方法
CN117685673B (zh) * 2024-02-04 2024-04-2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暖通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376A (ja) * 1993-07-26 1995-02-07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9243115A (ja) * 1996-03-13 1997-09-16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ユニット
KR200180231Y1 (ko) * 1997-12-05 2000-05-01 윤종용 공조기기의 실외기
JP2001201110A (ja)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430257B2 (ja) 2001-02-22 2010-03-1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711064B2 (ja) * 2001-11-09 2005-10-2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470755B2 (ja) * 2005-02-21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065A (zh) * 2016-05-27 2016-08-24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的电器架固定结构
CN105890065B (zh) * 2016-05-27 2019-02-19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的电器架固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42820A2 (en) 2009-04-01
KR100995432B1 (ko) 2010-11-18
CN101915438A (zh) 2010-12-15
CN101915439A (zh) 2010-12-15
EP2042820A3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432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US8978393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859777B2 (ja) 室外ユニット
US10001285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02820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425524B2 (ja) 室外ユニット
CN101430118A (zh) 空调装置的室外机组
JP2010175231A (ja) 電装品モジュール及び空気調和装置
CN110785613A (zh) 制冷机室外单元
JP684413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5009161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16638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WO201608874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859801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4859776B2 (ja) 室外ユニット
JP200903087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80038015A (ko) 실외기
JP7245073B2 (ja) 空気調和装置
AU2015407701B2 (en) Outdoor unit
JP54233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7110522B (zh) 室外机
JP602225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1800423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WO2022130518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688271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