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1335A -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1335A
KR20090031335A KR1020080092809A KR20080092809A KR20090031335A KR 20090031335 A KR20090031335 A KR 20090031335A KR 1020080092809 A KR1020080092809 A KR 1020080092809A KR 20080092809 A KR20080092809 A KR 20080092809A KR 20090031335 A KR20090031335 A KR 2009003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port
joint
chassi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치로 미츠이
카즈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2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steel wir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브바디(14)의 제1포트(12)에, 금속제 재료로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조인트부재(20)를 삽입함에 의해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가 구성된다. 상기 제1포트(12)에 대면하는 클립홀(24)에 단면이 U자 형상인 클립(40)을 삽입하고,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핀홈(34)을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제1포트(12) 내에 수용된 조인트부재(20)의 축선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또,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트(12)에 대하여 조인트부재(20)의 회전변위가 규제되고,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상기 제1포트(12)에 대하여 접속된다.
조인트부재

Description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JOINT MEMBER}
본 발명은, 유체압기기 등에 대하여 조인트부재의 착탈이 자유로운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압력유체의 유량, 압력 등을 소망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밸브나, 부압을 발생시키는 이젝터 등의 유체압기기가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유체압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바디부가 수지제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에 대하여는 압력유체가 공급 또는 배출되는 조인트부재가 접속된다. 또, 이와 같은 조인트부재는,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압력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게 뿐만 아니라 강도의 이유에서 금속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인트부재를,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디의 공급/배출포트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조인트부재를 상기 공급/배출포트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상기 조인트부재를 과대한 토크로 조인 경우에 바디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그 조임 토크의 조절 또는 관리가 번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디의 파손 및 토크 관리의 번잡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번호. 06-059022에 개시된 인서트 너트(insert nut)를 가지고, 바디를 수지제 재료로 형성할 시에 조인트부재를 동시에 인서트성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상기 조인트부재를 고정하는 접속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디를 성형할 때에, 상기 조인트부재를 공급/배출포트상에 장착하여 성형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성형시에 있어서의 상기 조인트부재의 조립작업이 번잡하다. 그로 인해,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디와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부재를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상기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반 목적은,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섀시(chassis)에 대하여 조인트부재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가 있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고, 압력유체가 공급/배출되는 포트를 구비한 유체압기기의 섀시에 접속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금속제 재료로 단면이 비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체가 유통하는 개구부와,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오목한 고정홈을 갖는 조인트부재와, 상기 포트에 면하는 섀시의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부재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가 삽입되는 포트의 단면형상이, 상기 조인트부재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한 비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도시예의 방법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람직한 실시예를 동반한 도면들과 함께, 하기의 기재를 통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유체압기기를 구성하는 섀시의 포트에 조인트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조인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대하여, 상기 섀시의 삽l입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부재를,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섀시의 포트에 대하여 확실하고 간편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또,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부재를,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섀시의 포트에 대하여 인서트성형에 의해 미리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인서트성형을 실시하여 조인트부재를 섀시에 대하여 미리 접속하고 있던 경우와 비교하여, 그 성형공정을 폐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고,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인트부재(20)의 접속구조가 적용된 감압밸브(유체압기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압밸브(10)는, 압력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1포트(12) 및 제2포트(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밸브바디(섀시)(14)와, 상기 밸브바디(14)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유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조정밸브(16)가 장차되는 하우징(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바디(14)는, 수지제 재료로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형성되어 압력유체가 공급되는 제1포트(포트)(12)와,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체가 배출되는 제2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14)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포 트(12) 및 제2포트를 연통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연통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포트(12)로부터 공급된 압력유체가, 연통실을 통하는 동안 제2포트로 유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바디(14)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포트(12)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장착되는 조건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제1포트(12)는, 육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12)의 내부에, 배관 등이 접속할 수 있는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장착된다.
또, 상기 밸브바디(14)의 저면측에는, 상방을 향해서 소정의 높이로 오목한 오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2)에는, 상기 제1 포트(12)측을 향해서 관통한 클립홀(삽입홀)(24)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홀(24)은, 상기 밸브바디(14)의 연직방향을 따라서 연재한 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홀(24)은 상기 제1 포트(12)의 내부에 관통하고 있다.
상기 클립홀(24)에 대하여, 상기 제1 포트(12)의 축선방향을 따른(화살표 X방향으로) 깊이가, 후술되는 클립(고정부재)(40)의 핀부(42a,42b)의 지름과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고, 상술한 축선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폭의 치수는, 한쌍의 핀부(42a,42b)의 이간거리로 한정되는 상기 클립(40)의 폭 치수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상기 하우징(18)은 상기 밸브바디(14)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복수의 볼트(26)에 의해 연결되고, 그 상부로부터 돌출한 유지부(28)에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조정밸브(16)가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정밸브(16)는 상기 하우징(18) 및 상기 밸브바디(14)의 내부에 축선방향을 따라서 변위하도록 배치된 샤프 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상기 조정밸브(1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샤프트가 변위하여, 연통실의 내부를 유통하는 압력유체를 소정의 압력값으로 조정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포트(12)를 통해서 상기 밸브바디(14) 내에 공급된 압력유체가 상기 조정밸브(1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의 압력값으로 조정되고, 도시하지 않는 연통실을 통과하는 동안 제2포트(미도시)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부재(20)는 금속제 재료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측에 형성되는 단면이 육각형상인 베이스부(30)와, 타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30)에 인접하여 장착되는 시일부재(32)와, 상기 베이스부(30)의 외주면이 환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핀홈(고정홈)(3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30)는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트(12)의 내벽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상기 제1 포트(12)에 삽입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부(30)의 외주면과 상기 제1 포트(12)의 내벽면이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가진 상태로 수용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부재(2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 측정기구 등이 접속되는 접속홀(홀부)(36)이 관통하고 있다. 상기 접속홀(36)은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축선방향(도 5의 화살표 X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 측정기구 등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새겨져 있다.
또,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축선방향에 따른 길이는 상기 제1 포트(12)의 깊이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제1 포트(12)로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핀홈(34)이 상기 클립홀(24)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시일부재(32)가 환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트(12)의 소경부(38)에 배치되어 그 내벽면에 접촉한다. 즉, 상기 조인트부재(20)의 길이와 상기 제1포트(12)의 깊이가 대략 서로 동등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상기 제1 포트(12)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밸브바디(14)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조인트부재(20)가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조인트부재(20)가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단면을 직사각형으로 상기 조인트부재(20)가 형성되어도 좋다. 즉, 상기 조인트부재(2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각부를 갖는 다각형상의 단면으로,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장착되는 제1포트(12)의 형상을 대응시킨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포트(12)에 삽입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회전방향으로의 변위가 확실하게 규제된다.
상기 클립(40)은 금속제 재료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핀부(42a,42b)와, 상기 2개의 핀부(42a,42b) 각각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44)를 포함한다. 상기 핀부(42a,42b)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대략 서로 평행한다. 상기 핀부(42a,42b)의 일단부가 상기 접속부(44)에 의해 접속되는 한편, 타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한 상태에 있다. 상기 한쌍의 핀부(42a,42b)가 이간한 거리는 상기 조인트부재(20)에 형성된 핀홈(34)의 주면에 따른 지름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또, 일단부측에서, 상기 핀부(42a,42b)는 타단부측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 큼 절곡되고, 상기 절곡된 단부는 상기 접속부(4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핀부(42a,42b)의 절곡된 단부는, 예를 들면, 상기 핀부(42a,42b)의 타단부에 대하여 약 45° 절곡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40)은, 상기 밸브바디(14)의 오목부(22)측으로부터 상기 핀부(42a,42b)를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클립홀(24)에 삽입되고, 그 후에, 상기 핀부(42a,42b)가 상기 제1 포트(12)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조인트부재(20)의 핀홈(34)을 통해 각각 삽입된다. 그 결과로, 상기 제1 포트(12) 내에 있어서의 조인트 부재(20)의 축선방향(도 5의 화살표 X방향)을 따른 변위가 규제되고, 상기 제1 포트(12)로부터의 조인트부재(20)의 탈락이 저지된다.
또,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조인트부재(20)는, 유사하게,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트(1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방향으로의 변위도 규제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밸브바디(14)의 제1 포트(12)에 대하여 확실하고 강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인트부재(20)의 접속구조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장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B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압밸브(10)를 구성하는 상기 밸브바디(14)의 제1포트(12)에 면하는 위치에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이동시키고, 상기 시일부재(32)가 장착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포트(12)에 조인트부재(20)를 삽입한다. 이때,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조 인트부재(20)의 외주면을,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포트(12)의 내벽면 형상에 맞추도록 하여 삽입한다. 즉, 상기 조인트부재(20)가,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트(1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회전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고, 상기 조인트부재(20)는 회전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시일부재(32)가 상기 제1 포트(12)의 소경부(38)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포트(12)와 상기 조인트부재(2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며, 상기 핀홈(34)이 상기 클립홀(24)에 대면하는 위치에 정렬된다. 이 경우, 상기 조인트부재(20)는 상기 제1포트(12)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기 조인트부재(20)의 단부면이 상기 밸브바디(14)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핀부(42a,42b)가 상기 밸브바디(14)측을 향하도록 상기 클립(40)의 접속부(44)를 파지하고, 상기 밸브바디(14)의 저면에 배치된 상기 오목부(22)로부터 클립홀(24)측을 향하여 상기 클립(40)을 삽입한다. 결과적으로, 2개의 핀부(42a,42b)가 상기 클립홀(24)에 면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핀홈(34)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클립(40)이 상기 클립홀(24)의 내부에 유지된다(도 7A 및 도 7B 참조). 이때, 상기 클립(40)을 구성하는 접속부(44)는 상기 클립홀(24)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선방향(화살표 X방향)을 따른 상기 조인트부재(20)의 변위는, 상기 조인트부재(20)의 베이스부(30)의 도중에 형성된 핀홈(34)에 삽입된 클립(40)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포트(12) 내부에서 규제되고, 이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재(20)는 상기 제1 포트(12)내부에서 유지된다. 그 결과, 상기 조인트부 재(20)가, 상기 제1포트(12)에 의해 감압밸브(10)를 구성하는 밸브바디(14)의 측면에 확실하고 강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상기 제1 포트(1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22)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클립(40)의 접속부(44)를 파지하여 상기 밸브바디(14)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인장시키고, 이로써, 상기 핀부(42a,42b)가 클립홀(24)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클립(40)의 일단부측은, 상기 핀부(42a,42b)를 갖는 타단부측에 대하여 절곡하기 때문에, 상기 클립(40)을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고 확고하게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홀(24)로부터 상기 클립(40)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포트(12)에 대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축선방향(화살표 X방향)으로의 변위규제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상기 제1포트(12)로부터 분리하여 이탈시킬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섀시를 형성하는 상기 감압밸브(10)의 밸브바디(14)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삽입한 후, 상기 조인트부재(20)의 핀홈(34)에 상기 클립(40)의 핀부(42a,42b)를 삽입시키고 관통시킨다. 또, 상기 클립(40)의 핀부(42a,42b)가 상기 핀홈(34)에 삽입 관통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포트(12) 내부에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축선방향(화살표 X방향)에 따른 변위가 저지되고, 또,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포트(1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회전 변위 또한 저지된다. 이의 결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간편한 작업으로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조인트부재(20)를,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밸브바 디(14)의 제1 포트(12)에 대하여 확실하고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포트(12)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밸브바디(14)의 제1포트(12)에 대하여 인서트성형에 의해 미리 접속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인서트성형을 실행했던 경우와 비교하여, 그 성형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조인트부재(20)를 밸브바디(14)에 접속시킬 때에,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상기 제1 포트(12)에 삽입한 후, 상기 클립(40)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재(20)를 고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섀시에 대하여 조인트부재(20)를 소정의 조임 토크로 나사결합하여 접속시켰던 종래의 접속구조와 비교하여, 그 접속 동안에 필요로 되는 조임 토크의 관리가 불필요해지고,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장착하에 필요한 장착공정 단계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작업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접속구조에서 염려되었던, 조인트부재를 과대한 토크로 섀시에 대하여 나사시켰을 때에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접속되며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밸브바디(14)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압력계를 상기 조인트부재(20)에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포트(12)에 대한 상기 조인트부재(20)의 회전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조인트부재(20)에 대하여 소망하는 위치에 상기 압력계를 미리 접속시켜 두는 것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14)에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접속시켰을 때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 상기 압력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재(20)는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술한 압력계 등의 사용조건에 따라서 간편하게 부착 각도를 변경하여 접속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조인트부재(20)가 밸브바디(14)에 접속된 상태로부터 상기 클립(40)을 간단히 이탈시키고,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상기 조인트부재(20)를 상기 제1 포트(12)에 다시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부재(20)는 상기 클립(40)의 결합에 의해 다시 한번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가 적용된 감압밸브에 있어서, 조인트부재와 클립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인트부재 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인트부재에 대하여 클립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조인트부재 및 클립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인트부재가 밸브바디의 제1포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된 횡단면도이며,
도 6A는, 도 5의 VIA-VIA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B는, 도 6A의 조인트부재 및 클립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된 종단면도이며,
도 7A는, 도 5의 VIIA-VII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7B는, 도 7A의 조인트부재 및 클립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된 종단면도이다.

Claims (7)

  1.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고, 압력유체가 공급/배출되는 포트(12)를 구비한 유체압기기(10)의 섀시(14)에 접속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금속제 재료로 단면이 비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체가 유통하는 개구부(36)와,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오목한 고정홈(34)을 갖는 조인트부재(20)와,
    상기 포트(12)에 면하는 섀시(14)의 삽입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부재(20)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고정홈(34)을 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삽입되는 포트(12)의 단면형상이, 상기 조인트부재(2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비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핀부(42a,42b)와, 상기 핀부(42a,42b) 각각의 단부가 접속하는 접속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42a,42b)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접속부(44)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핀부(42a,42b)는 상기 삽입홀(24)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홈(34)으로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접속부(44)측의 상기 핀부(42a,42b)의 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각각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20) 및 포트(12)는, 단면이 육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오목부(22)가 상기 삽입홀(24)과 연통하며, 상기 고정부재(40)의 접속부(44)가 수용되는 섀시(1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20)가 상기 포트(12)에 장착될 때에, 상기 조인트부재(20)의 고정홈(34)은 상기 삽입홀(24)에 대면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KR1020080092809A 2007-09-21 2008-09-22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KR20090031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44608A JP2009074620A (ja) 2007-09-21 2007-09-21 継手部材の接続構造
JPJP-P-2007-00244608 2007-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335A true KR20090031335A (ko) 2009-03-25

Family

ID=4038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809A KR20090031335A (ko) 2007-09-21 2008-09-22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80200B2 (ko)
JP (1) JP2009074620A (ko)
KR (1) KR20090031335A (ko)
CN (1) CN101392778A (ko)
DE (1) DE102008045985A1 (ko)
TW (1) TWI3445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6573B2 (en) * 2010-03-10 2012-12-25 Coast Pneumatics, Inc. Modular manifold with quick disconnect valve fittings
US8333214B2 (en) * 2010-03-10 2012-12-18 Coast Pneumatics, Inc. Modular manifold with quick disconnect valve fittings
ITRM20110388A1 (it) * 2011-07-20 2013-01-21 Seko Spa Croce idraulica provvista di fissaggi rapidi di sicurezza, relativo kit di accessori, e relativo sistema idraulico.
ITPD20130008U1 (it) * 2013-03-04 2014-09-05 Dab Pumps Spa Collegamento tra elementi tubolari di componenti di un gruppo di pompaggio
JP6147641B2 (ja) * 2013-10-11 2017-06-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配管接続部材
DE102013111456B4 (de) 2013-10-17 2018-09-13 Otto Egelhof Gmbh & Co. Kg Abschaltventil
JP2016089883A (ja) * 2014-10-31 2016-05-23 ニッタ株式会社 エア配管におけるバルブと継手の接続機構
WO2016076146A1 (ja) * 2014-11-12 2016-05-19 ニッタ株式会社 テストコネクション付継手
EP3163142B1 (en) * 2015-10-29 2018-09-26 Flow Meter S.p.a. Device for controlled supply of a medical gas, with replaceable outlet union,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aid device
TWI608175B (zh) * 2016-12-06 2017-12-11 陳玉惠 接合裝置
TWM550965U (zh) * 2017-05-26 2017-10-21 Cooler Master Tech Inc 液冷裝置
CN110250142B (zh) * 2019-07-04 2024-02-27 苏州萨得尔电动工具有限公司 带自清洁功能的喷雾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321653A1 (es) 1965-02-15 1966-10-01 Gra-Tec Inc Un dispositivo de acoplamiento para fluidos.
JPS5128857B1 (ko) 1965-02-15 1976-08-21
US3560027A (en) * 1967-02-20 1971-02-02 Gra Tec Inc Coupling assembly
US3538940A (en) * 1967-09-15 1970-11-10 Gra Tec Inc Fitting assembly
JPS5128857A (ja) 1974-09-06 1976-03-11 Shinetsu Chemical Co Shirikoongomusoseibutsu
US4269075A (en) * 1979-04-16 1981-05-26 Crist Gerald L Coupling arrangement for detachably connecting a driven unit to a drive unit
US4453747A (en) * 1982-06-01 1984-06-12 Bimba Charles W Connector system for flexible tubing
JPS59208283A (ja) 1983-05-11 1984-11-26 Koyo Sangyo Kk ガスコツク
IT1238199B (it) 1989-11-02 1993-07-09 Valvola a otturatore sferico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JPH0659022A (ja) 1992-08-07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波検出装置
JP2672784B2 (ja) 1994-08-31 1997-11-05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給排ポートのカートリッジ式ポート継手の固定構造
FR2793867B1 (fr) * 1999-05-20 2001-06-29 Comap Abbeville Module pour un collecteur pour distribution de fluide et systeme de fixation pour de tels modules
TW481224U (en) * 2001-08-24 2002-03-21 Shako Co Ltd Structure improvement for pneumatic adjustment component
JP4496384B2 (ja) 2002-03-12 2010-07-07 Smc株式会社 流体機器本体と嵌合部材との連結装置
JP3857172B2 (ja) 2002-04-10 2006-12-13 Smc株式会社 一括配管形流体圧装置
JP3947968B2 (ja) * 2002-04-19 2007-07-25 Smc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の接続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45985A1 (de) 2009-04-02
US20090079188A1 (en) 2009-03-26
JP2009074620A (ja) 2009-04-09
US7780200B2 (en) 2010-08-24
TW200928118A (en) 2009-07-01
TWI344513B (en) 2011-07-01
CN101392778A (zh)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1335A (ko) 조인트부재의 접속구조
US5806897A (en) Mechanism for attaching a fluid-related device to a device-attaching frame member
US7765876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essure gauge to a pipe
US5716051A (en) One-piece seal with fastening section and sealing section
BRPI0407528B1 (pt) extremidade de abertura ajustável de rosca reta
US11493156B2 (en) Hammerless and torqueless union connection
KR101266144B1 (ko)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KR101117519B1 (ko) 유압 기기의 접속기구
KR101973010B1 (ko) 관 피팅 장치
CN210289729U (zh) 油嘴及采油树
US5429446A (en) Apparatus for hydraulically locking a hollow cylinder body onto a shaft
WO2020216814A1 (en) Common rail assembly
IT201900000523A1 (it) Inserto e raccordo per tubazioni flessibili, nonché metodo per il fissaggio di un raccordo ad una tubazione flessibile
WO2018155493A1 (ja) ノズル装置およびノズルユニット
US20200290305A1 (en) Single Piece Expansion Sealing Plug
KR20080005468U (ko) 튜브 피팅
CN220523503U (zh) 一种快拆式管件
CN218644977U (zh) 一种管接头
CN210719697U (zh) 一种用于减震器活塞阀系特性测试的工装
KR200472519Y1 (ko) 원터치 니플용 어댑터
TW202122703A (zh) 管接頭用螺帽、管接頭、流體壓機器、流體控制系統、螺帽旋轉用輔助具及管接頭用螺帽的螺旋方法
JP4552125B2 (ja) 管継手
JP6776153B2 (ja) 連結構造
RU2175380C1 (ru) Штуцер дискретный
JP2020032494A (ja) 部品取り付け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